맨위로가기

산페르난도 (라우니온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페르난도 (라우니온주)는 필리핀 라우니온주에 위치한 도시로, 해안과 산악 지형을 아우르는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일로카노 정착촌에서 시작되어 스페인 식민 시대, 필리핀 혁명,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1850년 라우니온주의 주도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 시로 승격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다양한 문화 행사와 관광 명소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산페르난도 (라우니온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산페르난도 라우니온 주기
주기
산페르난도 라우니온 주 문장
문장
공식 명칭City of San Fernando
다른 이름Prime Capital of Ilocandia (일로칸디아의 주요 수도)
Botanical Garden City (식물원 도시)
별칭Prime Capital of Ilocandia (일로칸디아의 주요 수도)
Botanical Garden City (식물원 도시)
국가필리핀
지방일로코스 지방
라우니온 주
지구라우니온 주의 제1선거구
설립1786년 5월 6일
도시 지위 획득1998년 3월 20일
명칭 유래페르난도 3세
시장Hermenegildo A. Gualberto
부시장Alfredo Pablo R. Ortega
하원 의원Francisco Paolo P. Ortega V
시의회Kyle Marie Eufrosito Y. Nisce
Pablo C. Ortega
Lucia Esperanza O. Valero
Jonathan Justo A. Orros
Edwin H. Yumul
Janwell E. Pacio
Rodolfo M. Abat
Arnel A. Almazan
Aldrine R. Jucar
John H. Orros
Mark Anthony A. Ducusin
Quintin L. Balcita Jr.
유권자 수89,284 명 (2022년 필리핀 총선)
해발 고도101 m
면적102.72 km2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P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2500
PSGC'013314000'
지역 번호72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소득 등급1등급
빈곤 발생률4.2% (2018년)
가구 수29,688
총 수익PHP 1,195,136,008.92 (2022년)
총 자산PHP 2,661,462,427.51 (2022년)
자본PHP 2,241,183,510.80 (2022년)
지출PHP 891,095,816.44 (2022년)
부채PHP 420,278,916.71 (2022년)
경제
전기 공급LUELCO
주요 언어일로카노어
팡가시난어
타갈로그어

2. 역사

산페르난도는 해안가와 강둑을 따라 자리 잡은 일로카노 정착촌으로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역은 카볼로안의 북부 지역의 일부였으며, 애니미즘 신앙을 실천했고 금광, 농업 및 항해로 유명했다. 팡가시난족, 이고로트족, 중국인, 일본인을 포함한 인접 그룹과 활발하게 교역했다.[2]

1572년 스페인의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가 이 지역을 방문하면서 ''"El Puerto de Japon"''이라고 명명했다.[3] 1759년까지 산페르난도의 초기 정착지는 코르디예라 산맥 기슭의 ''산 기예르모 데 달라당''과 해안 마을 ''산 비센테 데 발라낙''의 두 바리오로 구성되었다. 1762년에는 두 바리오 주민들이 단결하여 ''핀당안''을 세웠다. 1786년에는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를 기리기 위해 ''"산페르난도 성청"''으로 개명되었다.[3]

1849년 나르시소 클라베리아 총독은 팡가시난주 북부, 일로코스 수르주 남부, 동부 파이스 델 이고로테스 서부를 통합하여 라 우니온주를 형성하는 ''프로모비도''를 발표했다. 1850년 산페르난도를 주도(카베세라)로 지정했다.[3]

필리핀 혁명 시기, 1898년 마누엘 티니오 장군이 이끄는 필리핀 반군은 산페르난도의 스페인 수비대를 공격하여 승리했다. 이 사건은 산페르난도가 스페인으로부터 해방되었음을 의미했다.[5]

필리핀-미국 전쟁 (1899–1902) 이후, 산페르난도는 미국의 식민지배를 받게 되었다. 1899년 미국 해군은 산페르난도를 포격했고, 같은 해 11월 사무엘 볼드윈 마크스 영 장군이 이끄는 미국 원정군이 산페르난도를 점령했다.[4] 1901년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총독이 산페르난도를 방문하여 미국의 민간 행정 도입을 알렸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산페르난도에서 일본군과 벌인 마지막 전투는 바랑가이 바크실에서 일어났으며,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포로 포인트에 미 육군 기지와 미 해군 기지가 설립될 수 있었다.[6] 산페르난도는 1945년에 해방되었다.[7]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시대에 산페르난도 출신 학생 운동가인 로물로와 아르만도 팔라바이는 학대에 반대 의사를 표명하다 투옥되어 고문을 당하고 살해되었다.[12][13]

1998년,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이 ''공화국 법 제8509호''에 서명하고, 국민투표에서 주민들의 찬성을 얻어 산페르난도는 시로 승격되었다.[15]

2. 1. 초기 역사

산페르난도는 해안가와 강둑을 따라 자리 잡은 일로카노 정착촌으로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는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카볼로안의 북부 지역의 일부였으며, 이 공동체는 애니미즘 신앙을 실천했고 금광, 농업 및 항해로 유명했다. 팡가시난족, 이고로트족, 중국인, 일본인을 포함한 인접 그룹과 활발하게 교역했다.[2]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


1572년 6월,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는 일본 무역 기지였던 ''Aroo'' 또는 ''아고호''(아구)의 원주민과 일본인 정착민을 진압한 후 산페르난도에 도착하여 ''"El Puerto de Japon"''이라고 명명했다. 살세도는 원주민들에게 스페인 여왕에게 공물을 바칠 것을 요구했으나, 원주민들은 공물을 가져올 시간을 요청하고 돌아오지 않았다. 살세도는 북쪽으로 계속 나아가 비간을 북부 루손의 스페인 통치 중심지로 삼았고, 그곳에서 원주민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시작했다.[3]

1759년까지 산페르난도의 초기 정착지는 코르디예라 산맥 기슭의 ''산 기예르모 데 달라당''과 해안 마을 ''산 비센테 데 발라낙''의 두 바리오로 구성되었다. 산 기예르모는 ''알보르'' 나무(''불나무'')가 만개할 때마다 사냥 이고로트족의 희생양이 되었는데, 그들은 신을 달래기 위해 희생이 필수적이라고 믿었다. 평온한 여름철에는 산 비센테 데 발라낙이 ''티롱''과 ''모로'' 해적의 습격을 받아 여성과 아이들이 납치되고 파괴되었다.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여, 아우구스티누스회 사제 ''호세 토레스 신부''는 양쪽 바리오 주민들에게 단결할 것을 촉구했다. 1762년, 그들은 이로카노 용어 ''"핀당,"''(생선을 말린다는 뜻)에서 따온 대규모 교회가 특징인 ''핀당안''을 세웠다. "핀당안"은 생선을 말리는 장소를 의미했지만, 이 교회는 나중에 큰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1764년, ''돈 산티아고 올라르테''가 핀당안의 첫 번째 ''고베르나도르실로''(오늘날의 시장)로 임명되었다. 프란체스코회는 같은 위치에 교회를 재건하는 대신, 우기에 적절한 장소를 찾을 때까지 교회를 옮겼다. 이 교회는 은둔자 성 윌리엄 대성당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라 유니온 주 산페르난도 교구의 일부가 되었다.

1786년 5월 6일, 핀당안은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를 기리기 위해 페르난도 레이 신부에 의해 ''"산페르난도 성청"''으로 개명되고 설립되었다. 1792년부터 1831년까지 사제 부족으로 산페르난도는 바우앙과 산후안의 ''“비시타”''가 되었다. 1831년, 바우앙의 본당 신부였던 ''후안 소롤라 신부''가 산페르난도에 배정되면서 종교적 중요성이 확고해졌다.

1849년 10월 29일, 나르시소 클라베리아 총독은 팡가시난주 북부 8개 마을, 일로코스 수르주 남부 3개 마을(암부라얀강 이남), 동부 파이스 델 이고로테스 서부 8개 정착지를 통합하여 라 우니온주를 형성하는 ''프로모비도''를 발표했다. 1850년 3월 2일, ''안토니오 마리아 블랑코 총독''은 라 우니온 설립 ''수페리오르 데크레토''에 서명하여 산페르난도를 주도(카베세라)로 지정했다. 토리비오 루이스 데 라 에스칼레라 대위는 초대 ''군사 및 정치 지사''로 임명되었다.

라 우니온의 창설은 1854년 4월 18일 스페인 이사벨 2세 여왕의 칙령으로 공식 비준되었다. 19세기 말, 일로코스주 이주민 유입으로 산페르난도는 주로 일로카노일로카노화된 팡가시난족이 거주하게 되었다.

2. 3. 필리핀 혁명

1896년 9월 10일, 푸가드 라윈의 외침 직후, 스페인 당국이 식민 정부에 반대하는 음모를 발견하면서 산페르난도에서 중요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 단속을 이끈 사람은 산페르난도의 ''비카르 포란''인 ''프라이 라파엘 레돈도''였다. 그는 혁명 혐의자들을 상대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했다. 처음 체포된 사람 중 한 명은 푸가드 라윈 사건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가 이끄는 카티푸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혁명 운동에 연루된 혐의를 받은 존경받는 지역 사회 인사인 ''루치노 알메이다 박사''였다.

1896년 9월 17일, 산페르난도의 ''파드레 마리아노 가얼란''을 포함한 라 유니온 출신의 세 명의 원주민 보좌 사제가 스페인 식민 정부에 반대하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고문을 받았고, 이로 인해 스페인 통치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가 깊어졌다.[4]

라 유니온에서 필리핀 혁명을 이끈 마누엘 티니오 장군


필리핀 혁명은 1898년에 발발하여 전국적인 독립 운동을 촉발했다. 1898년 7월 22일, 마누엘 티니오 장군, 마우로 오르티스 장군, 호아킨 알레한드리노 소령이 이끄는 필리핀 반군은 600명 이상의 병력으로 산페르난도의 스페인 수비대를 공격했다. 호세 가르시아 에레로 대령이 지휘하는 스페인군은 주요 건물을 요새화하고 증원을 기다렸다. 티니오의 평화적인 협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스페인군은 항복을 거부했다. 며칠간의 교착 상태 끝에 티니오는 7월 31일 공격을 감행했고, 치열한 전투 끝에 스페인군은 항복했다. 이 사건은 아크타스 데 카피툴라시오네스(항복 문서)의 서명을 의미했다. 산페르난도는 스페인 항복을 목격한 29개 도시 중 13번째 도시가 되었으며, 400명의 군인, 8명의 장교, 상당한 군사 자원이 항복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가 1세기 만에 끝나고, 산페르난도는 마침내 해방되었으며, 1850년 3월 2일 설립된 이후 처음으로 필리핀인이 카사 레알의 권한을 맡게 되었다.[5]

2. 4. 미국 식민 시대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필리핀은 파리 조약에 따라 미국에 할양되어 미국의 식민지배가 시작되었다. 필리핀-미국 전쟁 (1899–1902) 이후, 라우니온 주 산페르난도는 미국군이 통제권을 확보하려 하면서 군사적 갈등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강제 이주, 살해, 재산 파괴 등 심각한 학대를 겪었으며, 이는 주민들의 분노를 심화시키고 저항을 부추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페르난도는 결국 미국의 행정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는 상당한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주목할 만한 군사적 사건 중 하나는 미국군의 해상 포격이었다. 이는 그레고리오 델 필라르 장군이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후퇴를 엄호하기 위한 후위 부대 작전을 수행했을 때 발생했다. 그러나 아기날도와 그의 병사들은 결국 체포되었다. 이러한 사건 이후, 평화와 질서가 회복되었고, 미국의 민주적 통치 형태가 스페인의 압제적인 식민 통치를 대체했다. 필리핀의 다른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산페르난도 주민들은 미국이 도입한 정치적, 경제적 기회를 활용하여 도시의 발전을 이끌었다.

1899년 8월 1일, 미국의 상선 ''“사투르무스”''가 산페르난도에 정박하려 했지만 혁명군에게 나포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해군은 8월 7일 보복하여 산페르난도를 포격했고, 도시의 많은 부분이 폐허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 에밀리오 아기날도 대통령이 라우니온을 통과했으며, 11월 21일 사무엘 볼드윈 마크스 영 장군이 미국 원정군을 이끌고 산페르난도를 점령하면서 라우니온에서의 미국 점령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4]

1901년 5월 1일까지 ''마누엘 티니오'' 여단의 항복은 라우니온에서 필리핀-미국 전쟁의 종식을 알렸다. 그해 8월 14일,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총독이 산페르난도 항에 도착하여 ''돈 호아킨 오르테가''와 다른 지역 관리들의 환영을 받았다. 태프트의 방문은 이 지역에 미국의 민간 행정 도입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불과 며칠 후인 8월 17일, 돈 호아킨 오르테가가 초대 라우니온 주지사로 선포되었다.

미국 통치하에서 농업과 교육이 번성했으며, 미국 교사들의 도입이 이러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새로운 정부하에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는 비극도 겪었다. 1901년 11월 8일, 라우니온 출신의 ''후안 M. 구티에레스'' 대령이 미국에 의해 산페르난도에서 공개 처형된 마지막 최고위 필리핀 장교가 되었다. 미국 정권은 산페르난도에 새로운 정치 및 사회 변화 시대를 가져왔고, 스페인 통치를 민주적 이상으로 대체하는 동시에 상당한 경제 발전을 촉진했지만, 이는 지역 저항과 손실을 대가로 했다.[4]

2. 5.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산페르난도에서 일본군과 벌인 마지막 전투는 바랑가이 바크실에서 일어났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마을 광장 북동쪽에 바크실 능선 기념비가 세워졌다.[6] 이 승리로 포로 포인트에 미 육군 기지인 M 기지(일본 침략을 위한 증강 지역)와 미 해군 기지가 설립될 수 있었다.[6] 산페르난도는 1945년에 해방되었다.[7]

바실 능선 전투는 1945년 3월 제2차 세계 대전필리핀 전역에서 러셀 W. 볼크만이 지휘하는 제121보병연대, 필리핀 연방 육군, USAFIP-NL 소속 필리핀 군인들과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 휘하의 일본 제국 군대 사이에 벌어진 주요 전투 중 하나였다.[8]

바실 능선 전투는 산페르난도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한 한 달간의 전투였다. 3,000명의 무장 병력과 2,000명의 비무장 지원 부대로 구성된 하야시 파견대는 산페르난도와 그 주변 지역을 장악하고 도시 항구와 바기오로 이어지는 도로의 진입을 막았다. 산페르난도-바실 작전의 일환으로 제121보병연대 제1대대는 2월 말부터 연합 공군의 지원을 받아 일본군의 진지를 공격했다.

제1대대는 1945년 3월 16일에 능선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여 3월 19일 바실을 점령할 때까지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다. 같은 날, 제3대대는 저수지 언덕을 점령했다. 필리핀 게릴라와 일본군 간의 바실 능선 전투는 라우니온 주 산페르난도 시를 탈환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1945년 3월 23일 산페르난도와 바크노탄을 점령했으며, 2개월간의 전투 끝에 3월 24일 주 전역의 군사 작전이 종료되었다.[9]

2. 6. 계엄령 시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행정부의 권위주의적 행태에 대해 일로카노족이 대체로 침묵한 것으로 인식되었지만,[10][11] 산페르난도 주민들은 학대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14] 여기에는 산페르난도 출신 학생 운동가인 로물로와 아르만도 팔라바이가 포함되었는데, 이들은 필리핀 대학교(UP) 학생이자 라 유니온 국립 고등학교 졸업생으로, 산페르난도에서 항의 활동을 벌이다 투옥되었고, 팜팡가에 있는 캠프 올리바스에서 고문을 당했으며, 이후 계엄령이 끝나기 전에 각각 살해되었다.[12][13] 로물로(22세)와 아르만도(21세)의 순교는 이후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운 영웅과 순교자를 기리는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에 그들의 이름이 새겨지면서 칭송받았다.[14]

2. 7. 시 승격

1996년 5월 14일, 산페르난도 시의회필리핀 하원필리핀 의회에 산페르난도 시를 구성 도시로 전환해 달라는 공식 요청을 담은 ''결의안 제20호''를 통과시켰다. 당시 산페르난도는 ''1991년 지방 정부법'' 조항에 따라 시로 승격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을 충족했다. ''지방 정부 재정국'' 인증에 따르면, 1991년 불변 가격 기준, 1994년과 1995년 시의 연평균 수입은 44351821.66PHP였다. 또한, ''환경천연자원부 토지 관리국''은 산페르난도의 총 토지 면적이 10526ha로 최소 요건인 10000ha를 초과한다고 인증했다.

라우니온주 주 의회는 산페르난도 시의회의 청원을 철저히 검토하고 신중하게 평가한 후, 하원 및 의회에 시 승격 추진을 지지하는 결의안 제425-96호를 채택했다.

''빅터 F. 오르테가 의원''(라우니온주 제1선거구)이 발의한 ''"라우니온주 산페르난도 시를 산페르난도 시로 알려진 구성 도시로 전환하는 법안"''이라는 제목의 하원 법안 7594는 하원을 통과했다. 이후 상원은 비센테 소토 3세 상원의원과 후안 플라비에르 상원의원이 발의한 이 법안을 승인했다. 1998년 2월 13일,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이 ''공화국 법 제8509호''에 서명하여 법으로 제정되었다. 1998년 3월 20일, 산페르난도 주민들은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으로 이 법안에 찬성표를 던져 산페르난도 시 승격에 대한 오랜 염원을 달성했다.[15]

3. 지리

포로 포인트 자유 무역 지대의 절벽


라우니온 주 산페르난도 시는 서쪽으로 남중국해, 동쪽으로 고지대 사이에 있다. 칼라탄 강과 캣뱅겐 강 등 강과 하천, 그리고 여러 산이 이 도시에 인접해있다. 북쪽으로는 산후안, 남쪽으로는 바우앙, 동쪽으로는 바굴린, 남동쪽으로는 나길리안과 접한다.

총 면적은 10272ha이며, 34개의 농촌 바랑가이와 25개의 도시 바랑가이로 나뉜다. 14개의 해안 지역, 31개의 내륙 지역, 14개의 고지대 지역이 있다. 주로 구릉지이며,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나타나는 제1형 기후를 보인다. 우기는 보통 5월 중순에 시작해 10월 말에 끝나고, 건기는 12월부터 5월 초까지이다.[16]

메트로 마닐라에서 269km 거리에 있다.

3. 1. 행정 구역

바랑가이는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행정 구역으로,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 내에서 지방 정부 부서 역할을 한다. 산페르난도 시는 12개 구역으로 구성된 59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각 바랑가이는 바랑가이 촌장과 의원으로 구성된 바랑가이 평의회를 포함한 선출된 공무원이 이끌고 있다. 또한 청년을 대표하는 상구니앙 카바타안은 의장과 자체 평의회가 이끌고 있다. 이 공무원들은 3년마다 선출된다.

산페르난도 시의 바랑가이는 다음과 같다.

바랑가이 이름
아붓
아팔렝
바실
방방골란
방쿠사이
바랑가이 I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II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III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IV (포블라시온)
바라오아스
바토
비데이
비룬겟
붕그로
카바로안 (네그로)
카바르시칸
카닥란
칼라부아오
카만시
카나오아이
카를라탄
캣방겐
달라양안 에스테
달라양안 오에스테
달룸피나스 에스테
달룸피나스 오에스테
일로카노스 노르테
일로카노스 수르
랑쿠아스
링삿
마데그데그
마멜탁
마시콩
나규부유반
남투탄
나라 에스테
나라 오에스테
팍팍코
파그달라간
파그다라오안
파구드푸드
파오 노르테
파오 수르
파리안
피아스
포로
푸스푸스
사큐드
사가야드
산 아구스틴
산 프란시스코
산 비센테
산티아고 노르테
산티아고 수르
사오아이
세비야
시보안-오통
탕키
탕키간


3. 2. 기후

산페르난도 (라우니온 주)의 기후[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1°C31°C33°C33°C32°C31°C30°C30°C30°C31°C31°C31°C
평균 최저 기온 (℃)21°C22°C23°C25°C26°C26°C26°C26°C25°C24°C23°C22°C
월 강수량 (mm)42mm48mm74mm110mm269mm275mm362mm325mm330mm306mm126mm61mm
평균 강수일수11.212.017.121.227.126.828.127.026.024.517.712.4


4. 인구

필리핀 통계청의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페르난도 시의 인구는 125,640명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간 0.65%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라우니온주 전체 인구의 15.28%, 일로코스 지방 전체 인구의 2.37%를 차지한다. 인구 밀도는 제곱킬로미터당 1,223명(또는 제곱마일당 약 8205.04km2)이다. 인구가 가장 많은 바랑가이는 세비야(11,316명)이며, 캣뱅겐(9,638명), 링삿(7,528명), 포로(6,797명) 순이다.[18]

성별 분포는 남성이 49.9%(62,134명), 여성이 50.1%(62,360명)로 거의 균등하다. 연령 분포는 0~14세가 25%(31,088명), 15~64세가 67.4%(83,971명), 65세 이상이 8%(9,435명)이다. 인구 피라미드는 균형 잡힌 성별 분포를 보이며, 주로 생산 가능 인구에 속하는 개인을 특징으로 한다.[18]

2022년 선거에서 산페르난도 시는 선거 관리 위원회에 따르면 76,555명의 등록 유권자를 보유했다. 시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일로코어이지만, 소규모 공동체는 타갈로그어, 캉카나에이어, 팡가시난어, 바고어, 영어 및 비사야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고지대 바랑가이에는 소규모 캉카나에이 원주민 공동체가 있다.

종교적으로는 기독교가 주를 이루며, 로마 가톨릭교회가 가장 널리 퍼져 있고,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가 그 뒤를 잇는다. 이 외에도 여호와의 증인, 하나님의 오순절 교회 아시아 선교, 성경 침례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이슬람교,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16]

5. 경제

산페르난도시는 농업을 주 경제 기반으로 하며, 어업이 보조적인 수입원 역할을 한다. 2018년 기준으로 9,129개의 사업체가 등록되어 있으며, 47개의 은행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같은 해 시 정부 재정은 7.788200000000001억필리핀 페소 수입과 6.089700000000001억필리핀 페소 지출을 기록했다.[25]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페르난도시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25]

연도2000년2003년2006년2009년2012년2015년2018년
빈곤율(%)-------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 2012년, 2015년, 2018년의 빈곤률은 원문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5. 1. 주요 산업

산페르난도시는 주로 농업 경제를 유지하며 쌀, 콩류, 잎채소, 뿌리 작물, 과수, 옥수수, 담배 등을 주요 작물로 재배한다. 해안선을 따라 이루어지는 어업 활동은 많은 주민들에게 추가적인 수입원을 제공한다. 농업 생산량은 다양한 수준의 식량 자급자족을 보여주는데, 쌀은 31.91%, 옥수수는 47%, 뿌리 작물은 87.73%, 콩류는 106.75%, 과일은 60.49%, 채소는 127.55%이다. 축산업 또한 중요하며, 돼지 3,584kg, 소 2,266kg, 물소 1,545kg, 염소 2,060kg, 닭 21,644마리가 생산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산페르난도시에는 9,129개의 등록된 사업체가 있다. 금융 부문은 2018년 필리핀 중앙은행이 기록한 바와 같이, 일반 은행, 상업 은행, 저축 은행, 농촌 은행 및 소액 금융 은행을 포함하는 47개의 은행이 있다. 같은 해 시 정부의 재무제표는 수입 778822666.43PHP, 지출 608973969.57PHP를 보여준다.

5. 2. 경제 특구

산페르난도 시는 주로 농업 경제를 유지하며 쌀, 콩, 채소, 뿌리 작물, 과일, 옥수수, 담배 등을 재배한다. 해안선을 따라 어업 활동을 하여 주민들에게 추가적인 수입을 제공한다. 산페르난도의 농업 생산량은 다양한 수준의 식량 자급자족을 보여주는데, 쌀은 31.91%, 옥수수는 47%, 뿌리 작물은 87.73%, 콩은 106.75%, 과일은 60.49%, 채소는 127.55%이다. 돼지(3584kg), 소(2266kg), 물소(1545kg), 염소(2060kg), 닭(21,644마리)을 생산하는 축산업 또한 중요하다.

산페르난도 시에는 9,129개의 등록된 사업체가 있다. 2018년 필리핀 중앙은행이 기록한 바에 따르면, 일반 은행, 상업 은행, 저축 은행, 농촌 은행 및 소액 금융 은행을 포함하는 47개의 은행이 금융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같은 해 시 정부의 재무제표는 7.788200000000001억필리핀 페소의 수입과 6.089700000000001억필리핀 페소의 지출을 보여준다.

6. 정부

라우니온주 제1선거구에 속하는 산페르난도는 시장과 시 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시장은 지역 행정 수반이며, 시 의회는 지방 정부 규정에 따른 입법 기관이다. 시장, 부시장 및 시의원은 3년마다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선출한다.[19]

시장 및 기타 선출직 공무원은 산페르난도 시청에서 직무를 수행한다. 시 의회인 상구니앙 판룽소드는 시청 옆에 있는 돈 마리아노 마르코스 건물에 있다.

산페르난도 시의회 의원 (2019–2022)[19]
직위이름
구역 대표
(라우니온주 제1 입법 지구)
프란시스코 파올로 P. 오르테가 V
최고 행정 책임자 (Chief Executive) 산페르난도 시시장 헤르메네길도 A. 과우알베르토
의장 산페르난도 시의회부시장 알프레드 파블로 R. 오르테가
시의회 의원카일 마리 유프로시토 Y. 니스체
파블로 C. 오르테가
루시아 에스페란자 O. 발레로
조나단 후스토 A. 오로스
에드윈 H. 유물
잔웰 E. 파시오
로돌포 M. 아바트
아르넬 A. 알마잔
알드린 R. 후카르
존 H. 오로스
마크 앤서니 A. 두쿠신
퀸틴 L. 발시타 주니어



역대 산페르난도 시장
재임 기간이름
1895–1898파울리노 알비아르
1899–1901블라스 타디아르
1901–1903우르바노 마르티네스
1904–1905에딜베르토 아키노
1906–1907프란시스코 Z. 플로레스
1908–1909앙헬 살랑가
1910–1911호세 이달고
1912–1914아나스타시오 카수가
1915–1918후안 살랑가
1919–1921울피아노 플로레스
1922–1928페드로 R. 플로레스
1928프란시스코 갈베스
1928–1930에바리스토 갈베스
1931–1933가스파르 플로레스
1934–1936라우로 카수가
1936–1939파울리노 플로레스
1942–1944후안 살랑가
1945–1946모데스토 아키노
1946–1955로렌조 L. 다카나이
1956–1959고도프레도 G. 릴로라자
1960–1971로렌조 L. 다카나이
1972–1980안토니오 페라렌
1980호아킨 T. 오르테가
1980–1987후스토 O. 오로스 주니어
1987루포 T. 콜리사오
1987–1988앙헬 살랑가
1988–1998마누엘 C. 오르테가
1998–2007메리 제인 C. 오르테가
2007–2016파블로 C. 오르테가
2016–현재에르메네힐도 A. 구알베르토


7. 문화 행사

산페르난도 시는 핀당간 축제, 바실 능선 기념, 마쭈 축제, 라비 티 파마디아, 그랜드 피플 퍼레이드, 피에스타 티 바베이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20][21][22]

7. 1. 주요 축제

산페르난도 시는 필리핀의 다른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축제를 매우 열정적으로 기념한다. 시의 연례 축제는 1월 28일부터 2월 15일까지 열리며, 시청 근처에서 무역 박람회가 열린다. 시 승격을 기념하기 위해 3월에도 추가적인 축하 행사가 열린다.[20]

'''핀당간 축제:''' 시 승격 기념일에 열리는 이 축제는 거리 댄스 경연대회를 특징으로 하며, 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세 가지 중요한 사회 역사적 요소를 보여준다. 이 요소들은 핀당간 유적, 도시를 형성한 두 개의 역사적 정착지의 병합, 그리고 "핀당"이라고 알려진 전통적인 생선 보존 기술이다. 참가자들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룹, 바랑가이 및 구역 대표단으로 분류된다.[21]

'''바실 능선 기념:''' 이 행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실 능선을 탈환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영웅 정신을 기린다. 1945년 3월 19일, 미국 육군 제121 보병대는 일본군을 격파하여 바실 능선을 해방시켰다. 3일 후, 산페르난도 시가 해방되었다.

'''마쭈 축제:''' 중국과 로마 가톨릭 전통을 혼합한 독특한 종교 행사로, 이 축제는 중국 바다의 여신인 마쭈와 필리핀-중국 공동체에서 마쭈의 화신으로 숭배하는 카사사야의 성모를 기린다. 마쭈는 어부와 선원에게 보호와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라비 티 파마디아:''' 이 행사는 각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시에 영예를 안겨준 뛰어난 개인들을 기린다.

'''그랜드 피플 퍼레이드:''' 빛의 퍼레이드로도 알려진 이 퍼레이드는 시의 주요 간선도로를 따라 진행된다. 참가자로는 드럼 및 리라 그룹, 미인 대회 참가자 등이 있다. 최우수 꽃차, 의상, 안무에 대한 시상이 진행된다.

'''피에스타 티 바베이:''' "''팔로세보''''"와 "''라로 닝 라히''"와 같은 전통 게임과 함께 진행되는 해상 공예 경연 대회이다. 2023년에는 이 행사가 바랑가이 일로카노스 수르에서 열렸다.[22]

8. 관광

산페르난도시는 깨끗한 해변, 아름다운 폭포, 수세기 전의 유적지, 교회와 사찰, 레저 공원, 쇼핑몰, 수많은 유명 호텔과 레스토랑 등 다양한 명소를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이 이곳을 최고의 관광지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

(하위 섹션 === 주요 관광지 === 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본문에서는 구체적인 관광지 목록을 생략함)

8. 1. 주요 관광지

썬더버드 리조트 포로 포인트


은둔자 성 윌리엄 대성당


산페르난도시는 깨끗한 해변, 아름다운 폭포, 수세기 전의 유적지, 교회와 사찰, 레저 공원, 쇼핑몰, 수많은 유명 호텔과 레스토랑 등 다양한 명소를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이 이곳을 최고의 관광지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

  • 포로 포인트
  • * 포로 포인트 경제 자유 구역 [http://www.poropointfreeport.org/about.html] (구 미국 군사 기지 – 월리스 항공 기지)
  • * 썬더버드 리조트
  • * 보드워크
  • 라 유니온 식물원(시에서 8km) - 10ha 규모의 정원(바랑가이 카다클란)으로, 다양한 희귀 식물 종의 서식지이자 야생 동물의 보호 구역이다.
  • 바실 능선 전투 기념비
  • 핀당안 유적(바랑가이 파리안)
  • 호비타트 포레스트 공원
  • 포로 포인트 베이워크(바랑가이 포로)
  • 세븐 힐스
  • * 주청사 언덕(바랑가이 II) 주 청사 소재지
  • * 파고다 언덕(바랑가이 II), 필리핀-중국 우호 공원 또는 중국 파고다로도 알려짐
  • * 영웅의 언덕 & 자유 공원 계단(153계단) 주청사 언덕 동쪽에 위치
  • * 베다니 언덕(바랑가이 II)
  • * 미라도르 언덕(바랑가이 II)
  • * 마리너스 언덕(바랑가이 캣뱅겐)
  • * 미라클 힐 (바랑가이 파그다라오안)
  • 구세주 그리스도(7.6m 조각상, 레저부아 언덕, 바랑가이 I)
  • 포로 포인트 등대
  • 모로 감시탑(바랑가이 칼라탄)
  • 라 유니온 과학 센터 & 박물관(LUSCM, 카다클란 매장지 및 환경 갤러리, 박물관, 암실, 메인 과학 갤러리 및 이동식 천문관의 5개 갤러리 보유)(바랑가이 카다클란)
  • 마-초 사원
  • 이름 없는 병사의 묘(바랑가이 마데예그데그)
  • 은둔자 성 윌리엄 대성당(바랑가이 II, 포블라시온)[http://www.sanfernandocity.gov.ph/city/history.php]
  • 카사이 해양 보호 구역: 50년 된 대왕조개 또는 트리다크나 기간스(바랑가이 카나오아이)를 특징으로 하는 30ha MPA
  • 어린이 공원(바랑가이 II, 시청 광장)
  • 10.6ha 엔지니어링 위생 매립지(바랑가이 마멜탁)[23]
  • 라 유니온 무역 센터(시청 옆)

9. 자매 도시


  • 안산시 (대한민국)
  • Coatzacoalcos|코아차코알코스es (México|멕시코es)
  • 나가 (Philippines|필리핀영어)
  • 발렌수엘라 (Philippines|필리핀영어)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서적 The Discovery of the Igorots New Day Publishers 1974
[3] 서적 Pangasinan, 1572-1800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4] 웹사이트 History-City of San Fernando-Provincial Government of La Union https://launion.gov.[...]
[5] 웹사이트 About CSF City Government of San Fernando, La Union https://www.sanferna[...]
[6] 웹사이트 Battle of San Fernando Marker in San Fernando (La Union) http://www.localphil[...] 2016-10-04
[7]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anfernan[...] 2016-10-04
[8] 서적 We Remained W.W.Norton & Company, Inc. 1954
[9] 웹사이트 Battle of Bacsil Ridge - PVAO https://pvao.gov.ph/[...] 2021-09-29
[10] 웹사이트 From 1987: 'A Damaged Culture' in the Philippines - The Atlantic https://web.archive.[...] 2020-01-22
[11] 뉴스 Mula Sigwa hanggang Commune hanggang EDSA: mga kabataangmartir at bayani ng UP https://manilatoday.[...] Manila Today 2016-01-27
[12] 웹사이트 PALABAY, Armando D.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2017-01-18
[13] Youtube Armando Palabay https://www.youtube.[...] Commission on Human Rights of the Philippines
[14] 뉴스 Museum puts a face on little-known martial law martyrs https://barangayrp.w[...]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8-09-21
[1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8509 – An Act Converting the Municipality of San Fernando, La Union, Into a Component City To Be Known As the City of San Fernando http://laws.chanrobl[...] 1998-02-13
[16] 웹사이트 About CSF {{!}} City Government of San Fernando, La Union https://www.sanferna[...]
[17] 웹사이트 San Fernando: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4-26
[18] 웹사이트 San Fernando (City, Philippin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citypopulati[...] 2024-10-11
[19] 웹사이트 San Fernando City Council https://www.sanferna[...]
[20] 웹사이트 City celebrates feast of St. William the Hermit https://web.archive.[...] 2010-07-06
[21] 웹사이트 Pindangan Festival 2010 https://web.archive.[...] 2010-07-06
[22] 웹사이트 San Fernando Cityhood Anniversary https://www.festival[...] 2024-10-04
[23] 웹사이트 Tourist Attractions https://web.archive.[...]
[24] 웹인용 San Fernando: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4-26
[2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26]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0
[27]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3
[28]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6
[29]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2
[30]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5
[31]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8
[32]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