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국지 II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국지 III는 코에이에서 제작한 삼국지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다양한 시나리오와 게임 플레이 방식을 제공한다. 플레이어는 189년부터 235년까지의 삼국 시대 주요 사건들을 배경으로, 46개 도시를 차지하고 수백 명의 삼국지 인물들을 활용하여 중국 통일을 목표로 한다. 게임은 전략 모드와 전술 모드로 나뉘며, 내정, 외교, 전쟁 등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게임을 진행한다. 삼국지 III는 그래픽과 사운드 개선, 다양한 능력치, 그리고 숨겨진 이벤트 등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는 작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가 CD 게임 - 로도스도 전기
    로도스도 전기는 1986년 TRPG 리플레이를 시작으로 소설,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된 일본의 하이 판타지 작품이다.
  • 메가 CD 게임 - 심어스
    심어스는 1990년 맥시스에서 개발한 행성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행성 환경을 조성하고 생명체를 배치하여 진화를 관찰하며 행성 개발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윌 라이트가 개발하고 가이아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 삼국지 게임 - 삼국지 11
    삼국지 11은 코에이에서 개발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3D 맵 도입, 군주제 회귀, 시설 배치 방식 및 장수 특기 시스템의 차별화가 특징이며, 파워업키트에서는 장수 육성, 신규 시나리오, 편집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 삼국지 게임 - 웹삼국지
    웹삼국지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2009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현재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 코에이의 게임 - 삼국무쌍
    삼국무쌍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에서 개발한 삼국 시대 배경의 1대1 액션 격투 게임으로, 무기 전투와 독특한 방어 시스템, 다양한 시간대 배경, 16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일본 전국 시대 인물 등장 등의 특징을 가지며, 액션과 역사적 배경의 결합, 독특한 시스템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배경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고 일본과 해외 게임 명칭이 다른 게임이다.
  • 코에이의 게임 - 삼국지 11
    삼국지 11은 코에이에서 개발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3D 맵 도입, 군주제 회귀, 시설 배치 방식 및 장수 특기 시스템의 차별화가 특징이며, 파워업키트에서는 장수 육성, 신규 시나리오, 편집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삼국지 III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표지 그림
개발사코에이
배급사코에이
작곡가무카이야 미노루
시리즈삼국지
출시일
PC-981992년 2월 5일
슈퍼 패미컴, 메가 드라이브1992년 11월 8일 (일본), 1993년 2월 4일 (북미)
메가 CD1993년 4월 23일
PC 엔진 슈퍼 CD-ROM1993년 10월 1일
플레이스테이션2001년 2월 22일
Windows 952001년 6월 8일
장르
장르턴 기반 전략
모드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
플랫폼
플랫폼MS-DOS
PC-9801
샤프 X68000
FM Towns
PC 엔진
슈퍼 NES
제네시스
세가 CD
플레이스테이션
윈도우 95
기타 정보
일본어 제목三國志III
한국어 제목삼국지 III

2. 시나리오

三国志III중국어삼국지연의의 주요 사건들을 바탕으로 한 6개의 주요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플레이어는 시나리오와 군벌을 선택하여 중국 통일을 목표로 게임을 진행한다. 각 시나리오는 소설에 따라 군벌의 세력과 영토를 대략적으로 묘사하지만, 게임 플레이는 게임 시작 후 소설의 사건을 따르지 않는다. 총 46개의 도시와 수백 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각 캐릭터는 무력, 지력, 정치, 매력, 통솔, 수군 등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전투 외 인터페이스


몇몇 기종(MCD, PCE, DS)에는 추가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2. 1. 주요 시나리오

三国志III중국어의 주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영제 몰락, 동탁 폭정189년반동탁 연합군의 결성
난세, 군웅 전토를 할거194년군웅할거, 난세 재래
유비, 신야 획득201년조맹덕, 패도를 걷다
공명, 중원에서 활약208년지모가 뛰어난 자, 제갈공명
손권 독립, 삼국 정립221년유현덕, 촉한을 건국
강유, 죽은 공명의 뜻을 계승235년삼국 정립 붕괴의 조짐


  • 위에 언급된 시나리오는 모든 판본에 존재한다. 괄호 안의 제목은 SFC, MD, MCD, PCE판의 제목이다.


'''일부 기종에만 존재하는 시나리오'''

  • : MCD, PCE, DS판에만 존재한다. 괄호 안의 제목은 MCD, PCE판의 제목이다. 황건적의 난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지만, MCD, PCE판에는 중요한 장각 일당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난 진압에 나선 하진이 군주로 추가되었다. DS판에는 장각 외에 정원, 사섭이 군주로 추가되었다.


MCD와 PCE는 가정용 게임기에서 CD-ROM을 탑재한 선구 기종으로, 발매 당시 용량이 다른 기종을 압도했기 때문에 특별히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삼국지』 시리즈에서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가 등장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이 외에도 무장의 약력을 적은 무장 열전도 추가되었다. 또한, DS판은 다른 가정용 기종판과 같은 롬 카세트이지만, 기술의 향상으로 롬 카세트 자체의 용량이 대폭 증가하여 동등한 기능이나 오리지널 요소가 추가되어 있다.

2. 2. 추가 시나리오 (일부 기종)

일부 기종(MCD, PCE, DS)에는 다음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MCD, PCE판에는 장각 일당이 존재하지 않지만(난 진압에 나선 하진이 군주로 추가), DS판에는 장각 외에 정원, 사섭이 군주로 추가되었다.

MCD와 PCE는 가정용 게임기에서 CD-ROM을 탑재한 선구 기종으로, 발매 당시 용량이 다른 기종을 압도했기 때문에 특별히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삼국지』 시리즈에서 황건적의 난 시나리오가 등장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이 외에도 무장의 약력을 적은 무장 열전도 추가되었다. DS판은 다른 가정용 기종판과 같은 롬 카세트이지만, 기술의 향상으로 롬 카세트 자체의 용량이 대폭 증가하여 동등한 기능이나 오리지널 요소가 추가되었다.

3. 게임 플레이

삼국지 III는 전작에 비해 게임 플레이 면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우선, 플레이어는 고대 중국의 초기 세력 배치를 결정하는 다음 6개의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동탁의 폭정 (서기 189년)
  • 군벌들의 세력 다툼 (서기 194년)
  • 유비가 신야에서 피난하다 (서기 201년)
  • 와룡의 등장 (서기 208년)
  • 삼국의 부상 (서기 221년)
  • 강유공명의 유산을 상속하다 (서기 235년)


PC-Engine CD-ROM 버전에는 황건적의 난 (서기 184년)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시나리오를 선택한 후, 플레이어는 조종할 군벌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지정 캐릭터를 만들어 다른 세력이 점유하지 않은 영토에 배치할 수 있다. 게임에는 총 46개의 도시와 수백 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각 캐릭터는 무력, 지력, 정치, 매력, 통솔, 수군 등 다양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는 중국의 모든 영토, 즉 모든 도시를 장악하면 게임에서 승리한다.

3. 1. 전작과의 차이

삼국지 II에 비해 전체적인 게임 화면의 그래픽 및 사운드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지도가 지역 중심 방식에서 도시 중심 방식으로 바뀌어, 도시와 도시 사이의 길과 전장을 통해서 이어져 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따라서 이웃한 모든 지역 간에 이동 및 전투가 가능했던 전작과 달리, 도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도시 간에만 이동이나 전투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5][6][7][8] 전투는 탑뷰에서 쿼터뷰 형식으로 바뀌었으며 야전과 공성전의 구분이 생겼고, 병종의 구분이 다양해졌으며 일기토시 애니메이션과 각종 상황별 대사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장수 및 성의 능력치와 수치들이 세분화되었으며 아이템을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페이스 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삼국지 II에서 지도는 화면의 좌측을 차지하고, 우측에 사이드바 형태로 상태 창과 명령창이 존재하여 대부분의 명령을 사이드바에서 처리하였으나, 삼국지 III에서는 상단의 메뉴바와 상태 윈도가 존재하며 대부분의 작업은 서브 윈도가 열리고 닫히면서 수행된다. 또한 게임을 시작하면서 키보드/마우스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으며(삼국지 II에서는 키보드 조작만 가능했다) 키보드 입력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하단의 메시지 상자에 입력 프롬프트가 생겨 입력을 받는다.

외교 면에서는 일부 커맨드의 변화와 함께 외교 모드시 화면이 전환되며, 절차가 좀더 복잡해져 처음 제시된 외교 조건에서 서로 밀고 당기는 등의 더 사실적인 외교가 가능해졌다. 반면 삼국지 II에서는 외교 사절이 지도를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을 보여주었으며 사절이 이동중에 붙잡혀 서신이 노출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기도 했으나, 삼국지 III에서는 없어졌다.

장수의 신분이 다양해졌다. 전작에서는 군주, 군사, 일반 장수, 재야 장수 이렇게 4가지 뿐이었지만 삼국지 III에서는 군주, 군사, 장군, 문관, 무관, 재야 장수로 6가지로 늘어났다. 게임을 세이브할 때 파일명을 지정해서 세이브/로드 하던 방식에서 세이브 슬롯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기도 했다. 가신으로 삼은 무장의 신분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무장의 능력치도 "지력", "정치", "무력", "육지 지휘", "수지 지휘"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제갈량 사후의 시나리오가 처음 등장하면서 등장 무장 수는 전작보다 대폭 증가한 531명(이벤트로 무장으로 등장하는 초선을 포함하면 532명)이 되었다. 하지만, 공명 사후의 인물은 아직 적어서 마지막 시나리오는 빠르게 통일을 진행하지 않으면 무장 수가 부족해 게임 오버가 될 수도 있다(『삼국지 DS』에서는 무장의 추가로 해소되었다). 또한, 본 게임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사마염은 등장 무장 수 제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환상의 무장"이라고 불렸다. 전작에 이어 신군주와 부하 신무장도 등장시킬 수 있지만, 본작부터 게임 시작 전에 군주·무장을 등록하고 초기 설정에서 등장 여부를 선택하도록 변경되어, 이후 시리즈의 표준이 되었다.

전략 페이즈에서는 내릴 수 있는 명령이 세분화(군사에서는 "징병", "모병", "훈련", "전쟁 준비", 내정에서는 "개발", "경작", "치수"(관개 포함))됨과 동시에, 신분에 따라 실행할 수 있는 커맨드의 종류나 기간이 세분화되어 있다. 내정이나 인사 등의 커맨드의 성과는, 결정한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보고되어 밝혀진다. 전술 페이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침략한 도시에서 시가지전을 전개하게 되지만, 공격 측과 방어 측의 경계선상에 전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전장에서 야전이 전개된다. 또한, 전작에서는 합전의 시작 때밖에 할 수 없었던 일기토가 통상 커맨드 중 하나가 되어, 상대 무장이 응하면 언제든지 할 수 있게 되었다. 계략 관계에서는 "함정", "위전", "내통" 등이 신설되었다.

시리즈 최초로 일반 현역 무장에게 신분 개념이 도입되었다(단, 『삼국지 II』에서는 1개 세력에 1명의 군사를 임명할 수 있었다). 본작에서의 신분은 "군사", "장군", "무관", "문관"의 4가지이다. "무관", "문관"은 모든 무장이 될 수 있지만, "군사", "장군"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능력치 제약이 있었다.

  • "군사": 지력 또는 정치가 80 이상
  • "장군": 다음 1, 2 중 하나를 만족
  • 무력 85 이상
  • 무력 70 이상, 그리고 "매력 + (육지 지휘와 수지 지휘의 평균)" 120 이상


각 신분에는 다음과 같이 제약이 있었다.

  • "무관" 또는 "문관"이 태수가 되는 경우, 그 도시는 자동으로 위임 상태가 된다.
  • "군사"와 "장군"은 모든 명령을 실행할 수 있지만, 1개월밖에 실행할 수 없다.
  • "문관"은 내정 계통, "무관"은 군사 계통의 명령만 실행할 수 있다. 단, 일부 명령은 최대 6개월까지 연속 실행 가능하다.


태수가 "군사", "장군"이 아니면 도시가 강제적으로 위임 상태가 되는 사양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해 "장군"에 취임할 수 있는 최저선 근처의 능력을 가진 무장이 다수 존재한다. 이것이 전작을 대폭 넘는 무장 수의 등장으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PC판에 한해 장군에게 장군호를 수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기장군, 좌장군 등의 실존하는 장군호를 비롯하여, 오리지널 장군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3. 2. 전략 모드

전략 모드는 게임의 핵심 부분으로, 한 달 단위로 진행되며 매월 자신의 차례가 돌아오면 군주가 있는 도시에서부터 순서대로 도시마다 명령을 내린다. 이미 명령을 마친 도시에는 다시 명령을 내릴 수 없다. 이러한 불편은 후속작인 삼국지 IV에서 해소되었다.

장수의 능력치에 따라 장군, 군사, 무관, 문관 등의 직위를 내릴 수 있으며, 도시별로 태수, 군사 관직을 수여할 수 있다. 직위 '군사'와 도시의 '군사'는 서로 다른 개념으로, 직위 '군사'는 계급을 의미하지만 도시의 '군사'는 명령 실행 시 플레이어에게 조언을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 명령 순서는 플레이어가 정할 수 없지만, 컴퓨터에게 도시 관리를 위임할 수 있다. 도시 태수가 군주 또는 장군이나 군사 이상의 관직을 가진 경우에만 직접 명령을 내릴 수 있고, 그 이하 관직은 자동으로 컴퓨터에게 위임된다. 위임 시 컴퓨터의 인공지능 타입을 생산형, 적응형, 전쟁형 등으로 정할 수 있다. 명령 종류는 군사, 인사, 외교, 개발, 계략 등으로 나뉘며 분야에 따라 중시되는 능력치가 다르다.

여러 플레이어로 플레이하던 중 한 플레이어가 빠지면 자신의 플레이를 인공지능에게 맡길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1명일 경우에도 이 기능을 사용해 게임 플레이를 종료하고 이후 인공지능에 의해 진행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전략 페이즈에서는 내릴 수 있는 명령이 세분화되었다. 군사에서는 징병, 모병, 훈련, 전쟁 준비가 가능하고, 내정에서는 개발, 경작, 치수(관개 포함)가 가능하다. 신분에 따라 실행 가능한 커맨드 종류나 기간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내정이나 인사 등의 커맨드 성과는 결정된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보고된다.[3]

3. 3. 전쟁

전략 모드에서 다른 도시나 지역에 군사를 이끌고 공격하거나, 적의 침입으로 인해 전쟁이 발생한다. 한 달 안에 여러 번의 전투가 벌어질 수도 있다.

두 도시 사이에 "전장"이 존재하고, 그 전장이 방어측 소유이면 방어측은 요격할 수 있다. 전장의 소유주가 없거나 공격측 소유이면, 공격측은 전장을 지나쳐 바로 도시를 공격하여 공성전을 벌인다. 소유주가 없는 전장을 공격측이 통과하면 그 전장은 공격측 소유가 된다.

공격 시에는 길이 연결된 근접 도시에 있는 아군 병력을 함께 출전시킬 수 있다. 외교를 통해 공동 공격에 합의한 경우에도 양쪽 군사가 동시에 움직인다. 수비측도 '원군 요청' 명령으로 지원군을 부를 수 있어, 최대 4개 도시의 군사가 한 전장에서 전투를 벌일 수 있다.

전장에서 벌어지는 야전에서는 어느 한 쪽 병력이 전멸, 전원 퇴각, 군주가 사로잡히거나 군주 부대가 전멸하면 패배한다. 총대장이 군주가 아닐 경우, 총대장이 사로잡히거나 총대장 부대가 전멸하면 총대장을 변경할 수 있다. 수비군이나 공격군이 패배하면 원군은 자동 퇴각한다.

공성전에서는 야전의 승리 조건에 더해 내성 장악이라는 조건이 추가된다. 공격측이 외성 성벽 안에 있는 탑 형태의 내성을 모두 점령하면 공격측이 승리하므로, 수비측은 내성을 사수해야 한다. 10일 동안 승패가 나지 않으면 전략 모드로 넘어간 후 다음 달에 다시 전투를 재개하며, 이때 전투 중인 도시에는 명령을 내릴 수 없다.

공격측의 군량 수송 부대가 전멸하거나 퇴각하면 공격측의 군량이 0이 된다. 전투 중 장수가 화살, 계략, 일기토 등으로 부상을 입어 능력치가 일시적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전투 인터페이스는 전략 모드와 달리 사이드바 방식이 사용되어, 현재 지역 이름, 경과 일수, 풍향, 공격/수비측 사령관, 양쪽 총 병사 수, 금/군량치가 표시된다. 그러나 정보 표시 이상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전투 중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 대기: 움직이지 않는다. 대기하면 이동력 1이 추가된다.
  • 이동: 움직인다.
  • 공격
  • 통상: 혼자 근접한 적을 공격하거나, 성문을 부술 때 사용한다.
  • 공동: 아군과 함께 근접한 적 1개 부대를 공격한다. 육상전에서는 육전지휘 70 이상, 해상전에서는 수전지휘 70 이상이면 공동 공격을 시도할 수 있다.
  • 화살
  • 일반: 일반 화살을 발사한다. (화살 공격 1 소모)
  • 화공: 불화살을 발사한다. 날씨 영향을 크게 받으며, 비가 오면 사용할 수 없다. (화살 공격 2 소모)
  • 일기: 병사는 놔두고 각 부대 지휘관끼리 1:1로 싸운다. 건물에서는 시도할 수 없다. 이기면 쓰러뜨린 부대를 통째로 포로로 잡는다.
  • 매복: 숨는다. 숲에서만 가능하다.
  • 계략
  • 설득: 적 장수를 아군으로 설득한다.
  • 모조전령: 가짜 명령서를 작성해 적을 움직이지 못하게 막는다.
  • 퇴각: 전투를 그만두고 도주한다.

3. 4. 계략

계략은 적의 진영에 작전을 걸어 혼란을 야기시키는 행동이다.

  • 매복의독: 아군 장수를 적 진영에 등용시키는 계략이다. 충성 100인 장수만 매복의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매복의 독으로 등용한 장수의 충성심을 100으로 만든 뒤 제3의 세력으로 재매복을 시키면 해당 장수는 행방불명이 되며 매복이 들켜서 강제복귀 처리된다.
  • 적중작적: 전쟁을 걸기 전에 적 장수에게 미리 사전작업을 해서 전쟁이 나면 아군으로 돌아서게 하는 계략이다. 밀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하다.
  • 위서의심: 적 장수의 충성심을 하락시키는 계략이다. 밀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하다.
  • 이호경식: 두 세력 간 서로 싸우도록 이간질을 시킨다.
  • 구호탄랑: 적 세력의 태수로 하여금 반란을 부추겨서 군주로 만든다. 모든 장수들을 전부 습득하는 것이 목표라면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계략이다. 밀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하다.[1]


전술 페이즈에서는 "함정", "위전", "내통"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1]

3. 5. 도시

三國志III|삼국지 III중국어에서 도시는 게임 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요소설명
민충백성들이 군주 또는 태수를 얼마나 따르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민충이 0이면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병력이 감소한다. 징병, 전쟁, 임시징수, 역병, 자연재해 등으로 감소하며 군량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세율이 41%를 넘어도 민충이 하락한다.[1]
토지땅의 질이 좋은 정도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토지 개발이 잘 된다.[1]
개발땅이 개발된 정도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군량이 많이 증가한다.[1]
치수자연재해를 막을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자연재해 발생 시 피해가 줄어든다.[1]
상업도시의 상업이 개발된 수준을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금이 많이 들어온다.[1]



3. 6. 인사

인사는 게임 초반 세력 확장에 중요한 요소이다. 군주와 부하 장수들이 주어지며, 장수 등용 및 수색을 통해 세력을 확장할 수 있다. 등용에는 금, 설득, 출향(군주 직접 방문)이 있다. 장수의 신분은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나뉜다.[1]

신분설명
군주세력의 수장. 세력 당 1명만 존재하며, 등용은 불가능하고 항복을 받아야 휘하 장수로 둘 수 있다. 군주가 있는 도시는 군주가 태수를 겸한다.
태수소유 도시가 2곳 이상일 때 군주가 없는 도시를 다스리는 장수. 무관이나 문관이면 자동 위임된다.
군사지력 또는 정치력이 80 이상. 태수에게 조언하고 계략 사용에 필요하다.
장군무력 85 이상이거나, 무력 70~84에 {(육전지휘+수전지휘)/2} + 매력의 수치가 120 이상. 관직명을 부여할 수 있다.
무관장군과 비슷하나 태수일 경우 자동 위임되며, 계략, 정치, 행정 업무 불가. 타국 사신 불가.
문관군사와 비슷하나 태수일 경우 자동 위임되며, 전투 업무 불가. 병력 보유 불가.
재야등용되지 않은 장수.
천자원술 이벤트로만 나오는 신분. 모든 외국과의 적대 100 고정, 인접국 집중 공격 대상.



등용한 장수를 해고하거나 아이템을 몰수할 수 있으며, 충성심 100인 장수를 적진에 매복시킬 수 있다. 가신으로 삼은 무장의 신분을 결정할 수 있고, 무장 능력치는 "지력", "정치", "무력", "육지 지휘", "수지 지휘" 등으로 세분화되었다.[1]

3. 7. 능력치

장수들은 게임 플레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능력치는 크게 기본 능력치와 숨은 능력치로 나뉘며, 기본 능력치는 게임 내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숨은 능력치는 확인할 수 없다.

각 캐릭터는 무력, 지력, 정치, 매력, 통솔, 수군 등의 능력치를 가진다. 가신으로 삼은 무장의 신분("군사", "장군", "무관", "문관")을 결정할 수 있으며, 무장의 능력치는 "지력", "정치", "무력", "육지 지휘", "수지 지휘"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제갈량 사후의 시나리오가 처음 등장하면서 등장 무장 수는 전작보다 대폭 증가한 531명(이벤트로 무장으로 등장하는 초선을 포함하면 532명)이 되었다.

3. 7. 1. 기본 능력치

능력치는 각 장수들에게 분야별로 부여된 능력치이다.

기본적인 능력치는 다음 6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능력치설명
육전지휘무력과 함께 육상전에서의 공격력과 병력 보유량을 결정짓는다. 또한 육전지휘가 높으면 수송 도중 피해를 입지 않고 무사히 도착한다.
수전지휘무력과 함께 해상전에서의 공격력과 병력 보유량을 결정짓는다. 또한 수전지휘가 높으면 수송 도중 피해를 입지 않고 무사히 도착한다.
무력일기토 실력, 육상전, 해상전에서의 공격력, 징병 시 징발되는 병력 수를 결정짓는다.
지력계략 성공률과 조언 성공률, 함정 개수를 결정짓는다. 지력 80 ~ 84는 함정 1개, 85 ~ 89는 2개, 90 ~ 94는 3개, 95 ~ 99는 4개, 100은 5개이다.
정치내정을 실행할 시 상승폭과 인재 수색 성공률을 결정짓는다.
매력군주나 태수일 경우 포상 시 장수들의 충성심을 결정지으며, 인재 등용과 외교를 실행할 경우의 성공률이다. 서책으로 포상할 경우 매력 0~49는 효과 없음, 50~69는 충성 1 상승, 70~89는 충성 2 상승, 90 이상은 충성 3 상승한다.


3. 7. 2. 숨은 능력치

숨은 능력치는 각 장수에게 분야별로 부여된 능력치로, 보이지 않지만 기본 능력치보다 더 큰 효과를 낸다. 숨은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능력치설명
야망0~15. 태수가 군주로부터 독립할 확률이다. 높을수록 충성심이 낮아지고, 군주는 항복 권고를 받지 않는다. 야망이 15이면 절대로 항복하지 않는다.
0~15. 수송 성공률과 수명을 결정한다. 운이 낮으면 급사할 수도 있다.
냉정0~15. 지력의 상위 호환 버전으로, 계략에 걸리지 않을 확률을 높인다.
용맹0~15. 무력의 상위 호환 버전으로, 일기토에 영향을 준다. 용맹 1은 무력 10 이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사마염은 무력이 80을 넘지만 용맹이 1이라 무력 60대 장수에게도 질 수 있다.
의리0~15. 적의 등용에 저항할 확률이다. 의리가 높으면 재야로 남을지언정 다른 군주에게 등용되지 않는다. 의리가 낮으면 군주를 자주 바꾼다. 관우처럼 의리가 높고 야망이 낮거나, 여포처럼 의리가 낮고 야망이 높은 경우가 많지만, 손책처럼 둘 다 높거나 미방처럼 둘 다 낮은 경우도 있다.
상성0~150. 장수 간 친밀도를 나타내는 원형 그래프이다. 150 다음은 0이며, 상성차가 75이면 등용이 어렵다. 0은 동탁, 75는 유비, 손견은 120 근처, 조조는 30 근처에 있다.
수명0~6. 사망할 나이를 미리 결정한다. 1스텟 당 대략 15년에 해당한다. 수명이 0이면 등장 즉시 사망한다.


3. 8. 외교

외교 사절을 보내거나 받을 경우 외교 화면으로 전환되어 외교 커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무관은 외교 커맨드를 선택할 수 없다.

군주들 간에는 동맹, 항복, 교환, 공동 공격 등을 제의할 수 있으며, 선물을 보내거나 원조를 요청하는 등의 외교 행위가 가능하다. 외교의 성공 확률은 해당 군주와의 적대치, 사절의 능력치, 부대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며, 외교 결과에 따라 적대치가 변동된다. 군주 소재도시에 군사가 존재할 경우 결정을 내리기 전에 군사에게 조언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외교 요청에는 금, 군량, 군마, 노궁, 강노, 아이템 등의 부가 조건을 붙여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반대로 요청을 받을 때 이러한 조건을 요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건을 요구받은 측에서는 한 차례 조건 변경을 통해 협상할 수 있다. 사절을 받은 측에서는 외교 사절을 체포하거나 참수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절을 보내는 쪽에서는 호위 장수를 한 명 붙여서 보낼 수 있다. 사절 체포는 사절과 호위 장수의 무력에 따라 성공 확률이 달라지며, 사절 본인 또는 호위 장수 중 한 명의 무력이 90 이상일 경우 사실상 체포가 불가능하다. 다만 사신을 체포해서 등용하면 충성심이 매우 높다. (최하 80 이상)

  • 동맹: 동맹을 맺자고 제의한다. 동맹이 맺어지면 두 군주는 서로 아군이 된다.
  • 원조: 동맹을 맺은 군주에게 적선(금과 군량)을 요구한다. 동맹국이 수락하면 금과 군량을 얻을 수 있다.
  • 교환: 상대국에 자신이 가져온 물건과 요구하는 물건을 교환하자고 제의한다. 외교 중에서 성공 확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주로 쓰지 않는 병과의 무기(기마, 노궁, 강노)를 요구하고 그 대가로 군량을 주는 경우가 많다. 한 번 거절하면 상대방이 조건을 더 유리하게 제시하며 다시 교환을 시도하거나 교환을 포기한다.
  • 공동: 상대방에게 물자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제3국을 함께 공격하자고 제의한다. 이 경우 사절을 체포해도 장수의 충성심이 떨어지지 않는다.
  • 항복: 상대방 군주를 부하로 등용하는 것이다. 세력 차이가 매우 크지 않으면 성공 확률이 희박하다. 성공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상대 군주의 야망이 낮아야 한다.
  • 상대 병력이 600명 수준이어야 한다.
  • 상대 영토 주변에 빈 땅이 없어야 한다.
  • 사실 시나리오 한정으로 유비, 조조, 손견[31][32]은 항복이 불가능하다.[32]

4. 정보

삼국지 III에서는 여러 자연 현상이 발생하여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자연 현상은 게임의 변수로 작용한다.[1]


  • 풍년: 매년 7월에 발생하는 군량 세액이 증가한다.[1]
  • 흉년: 매년 7월에 발생하는 군량 세액이 감소한다.[1]
  • 메뚜기: 군량이 감소한다.[1]
  • 역병: 병력이 줄어들고 일부 장수들이 병에 걸리며, 드물게 장수가 사망하기도 한다.[1]
  • 태풍: 병력이 줄어들고 민충과 토지개발 수치가 하락한다.[1]
  • 홍수: 병력이 줄어들고 민충과 치수 수치가 하락한다.[1]
  • 주민반란: 임시 징수를 하거나 세율이 41% 이상일 때 민충이 감소하는데, 민충이 0이 되면 발생한다. 주민 반란이 일어나면 병력과 군량이 감소한다.[1]


이 외에도, 46개의 도시와 주요 전장들이 게임 내에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지역' 섹션 참조)

4. 1. 지역

삼국지 III에는 총 46개의 도시가 등장하며, 각 도시는 게임 내에서 중요한 전략적 거점 역할을 한다. 이들 도시는 오늘날의 행정구역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게임 내 도시현재 행정구역
01양평차오양
02북평베이징
03대현장베이
04진양순핑
05남피난피
06평원핑위안
07린장, 안양
08북해팡쯔
09복양푸양
10진류카이펑
11낙양뤄양
12홍농링바오
13장안장안
14안정안딩
15천수톈수이
16서량진타
17하비피저우
18서주페이
19허창쉬창
20타이캉
21여남주마뎬
22난양
23신야신예
24양양난장
25상용주산
26강하장샤
27강릉장링
28무릉우링
29장사창사
30계양구이양
31영릉링링
32수춘서우
33건업난징
34상하이
35회계사오싱
36여강이장
37재상주장
38한중한중
39하변원현
40재동쯔퉁
41성도청두
42영안펑제
43강주충칭
44건녕취징
45운남쿤밍
46남해홍콩



이 외에도 백랑산, 기산, 서새산, 역경, 계교, 관도, 정도, 오장원, 가정, 적도, 회음, 장판, 이릉, 합비, 부성, 유수구, 적벽, 호로관, 함곡관, 무관, 호관, 양평관 등의 전장이 등장한다.

4. 1. 1. 이 게임에 등장하지 않은 도시

4. 2. 자연현상

게임 내에서는 여러 자연 현상이 발생하여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미친다. 주민반란은 민충이 0이 되면 언제든지 발생하고, 그 외의 현상은 3개월 간격으로 무작위로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다.[1]

  • 풍년: 매년 7월에 발생하는 군량 세액이 증가한다.[1]
  • 흉년: 매년 7월에 발생하는 군량 세액이 감소한다.[1]
  • 메뚜기: 군량이 감소한다.[1]
  • 역병: 병력이 줄어들고 일부 장수들이 병에 걸린다. 드물게 장수가 사망하기도 한다.[1]
  • 태풍: 병력이 줄어들고 민충과 토지개발 수치가 하락한다.[1]
  • 홍수: 병력이 줄어들고 민충과 치수 수치가 하락한다.[1]
  • 주민반란: 임시 징수를 하거나 세율이 41% 이상일 때 민충이 감소하는데, 민충이 0이 되면 발생한다. 주민반란이 일어나면 병력과 군량이 감소한다.[1]

5. NPC

플레이어는 직접 다룰 수 없는 인물로 일정 확률로 난입한다. 주로 조언을 한다.[1]


  • 헌제: 신분이 가장 높은 인물로 헌제 이벤트를 할 때마다 나타나서 상을 준다. 발동 조건은 낙양을 점거하고 있는 군주의 인접국 중 세력이 강성하면 된다.[1]
  • 화타: 병이 들거나 부상당한 장수들을 치료해준다. 청낭서를 물려주기도 한다.[1]
  • 좌자: 조언을 하거나 둔갑천서삼권을 물려준다.[1]
  • 간길: 조언을 한다.[1]
  • 재허상인: 조언을 한다.[1]
  • 허자장: 조언을 한다.[1]
  • 관로: 조언을 한다.[1]
  • 사마휘: 조언을 한다.[1]
  • 이의: 조언을 한다.[1]
  • 길평: 병이 들거나 부상당한 장수들을 치료해준다.[1]


조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1]

  • 특정 지역의 내정을 알려준다.[1]
  • 특정 장수가 군주에게 불만을 품고 있다고 알려준다.[1]
  • 특정 아이템(주로 검)을 칭찬한다.[1]
  • 특정 장수가 사망할 것을 예언한다. 이 경우 직접 사망이라 말하지 않고 북두성이나 적로를 언급한다.[1]

6. 이벤트

게임 내에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게임 진행에 영향을 미치며, 게임의 재미를 더한다. 주요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 헌제 이벤트: 헌제가 등장하여 특정 군주에게 무작위로 보상을 주는 이벤트이다.
  • 초선 이벤트: 왕윤초선이 등장하는 이벤트로, 장안을 점령하고 있어야 하는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원술 이벤트: 원술옥새를 얻어 황제가 되는 이벤트로, 손책과의 관계 및 영토 조건 등을 만족해야 한다.
  • 제갈량 이벤트: 유비삼고초려를 통해 제갈량을 등용하는 이벤트이다.

6. 1. 헌제 이벤트

낙양을 점거한 군주와 인접해 있으면서 일정 규모 이상의 세력을 보유하면 헌제가 나타나 "역적 (낙양을 점거한 군주)를 토벌하여 짐의 괴로움을 덜어주오"라는 말을 하고 무작위로 보상을 준다. 보상은 군주 본인의 능력과 세력 크기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진다.

  • 전하의 매력이 상승하였습니다.: 해당 군주의 매력이 100이 된다. 여포의 경우 큰 효과(매력 88 상승)를 얻지만, 유비의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다(매력 1 상승).
  • 부하 장수 전원이 충성을 맹세하였습니다.: 해당 세력 장수들의 충성심이 모두 상승한다. 부하 장수가 많을수록 혜택이 커진다.
  • 백성들도 기뻐하고 있습니다.: 해당 세력의 모든 영토에 대한 민충이 100으로 상승한다. 민충이 낮은 도시를 다스리고 있을 경우 큰 도움이 된다.
  • 포상이 지급되었습니다.: 헌제가 금 1000KRW을 상금으로 내준다. 세력이 작은 군주에게 큰 힘이 된다.

6. 2. 초선 이벤트

왕윤이 생존해 있어야 하며, 장안을 점령하고 왕윤을 부하로 두어야 한다. 왕윤과 해당 무장 모두 장안에 있어야 한다. 장안을 소유하지 않으면 초선 이벤트가 발동하지 않기 때문에 장안은 반드시 점거하고 있어야 한다. 그 상태에서 도시의 모든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금 5000KRW, 군량 200000L, 치수 90, 개발 90, 치안 90, 병력 30,000 이상 및 이에 상응하는 수준)이 되면 년도에 상관없이 초선 이벤트가 발동한다.[1]

초선의 능력치는 지력 36, 무력 1, 매력 100, 정치 63, 육지 1, 수지 1이며, 숨겨진 능력치로 야망 1, 운 15, 냉정 1, 용맹 1, 의리 100, 상성 0이다. 따라서 군사나 장군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초선을 태수로 임명하면 조종할 수 없으며, 매복 장수로 다른 도시에 보내려 하면 "그런 곳에 가기 싫습니다."라며 거절한다. 다른 장수로 전쟁을 시도하면 전쟁을 반대하기도 한다. 다만 전쟁에는 참전하지만, 무력 1, 용맹 1이라서 맞붙으면 무조건 부상을 당하고, 일기토를 하면 무조건 사망한다. 초선을 해고하면 자살한다. 적 장수가 초선을 고용하는 유일한 방법은 초선이 군주로 모시는 장수를 항복 권고로 등용하는 것뿐이다. 초선의 상성은 동탁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성 75인 유비와는 상성이 매우 나쁘다. 초선은 이벤트 무장이지만 매력만 높을 뿐, 다른 능력치는 일반 무장보다 떨어진다.[1]

6. 3. 원술 이벤트

원술과 손책이 모두 살아있어야 하며, 둘 다 군주 신분이어야 한다. 손책이 옥새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원술은 영토 6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원술과 손책이 동맹 상태여야 한다.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원술 이벤트가 발생한다.

원술 이벤트가 발생하면 원술은 옥새를 얻고 군주에서 황제로 신분이 바뀌며, 배경음악은 헌제 이벤트에서 사용한 음악으로 변경된다. 원술을 제외한 모든 국가(손책 포함)와의 적대치가 상승한다. 손책은 옥새를 잃는 대신 병력 3,000명과 군마 5를 얻는다.[1]

초반 원술 휘하에는 기령, 장훈[2], 한윤, 원윤[3] 등 쓸만한 장수가 많지 않고 군사가 없어 난이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버티기 모드에 들어가면 염상을 군사로 영입할 수 있고, 영토 6개를 확보할 정도면 조조이각 측의 부하들이 영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져 난이도가 다소 완화된다.[4]

6. 4. 제갈량 이벤트

삼고초려를 게임상에서 구현한 것이다. 군사가 없는 유비에게 가뭄의 단비 같은 이벤트이며 제갈량의 능력치는 지력 100, 무력 61, 매력 95, 정치 92, 육지 92, 수지 78이다. 숨겨진 능력치로는 야망 8, 운 8, 냉정 14, 용맹 9, 의리 100, 상성 76이다. 따라서 제갈량은 일기토 이외의 모든 분야에서 최상위권의 능력을 발휘하며 의리와 상성 모두 유비에게 최적화되어 있다.[1]

7. 마개조

역대 삼국지 시리즈 중 가장 인기 있는 시리즈 중 하나인 삼국지 III는, 높은 인기로 인해 아직도 즐기는 유저들이 많으며, 이에 따라 등장인물 에디트를 하는 경우도 많다. 능력치를 삼국지연의가 아닌 정사 삼국지대로 변경하기도 하며, 삼국지 가공인물하후덕, 하후존, 주창, 아회남, 무안국, 동도나, 담웅, 금환삼결 등을 제외하고, 그 대신 정사에 등장하는 희지재, 하진, 풍칙, 정태, 장각, 장량, 장보, 유우, 염행, 사섭, 문앙, 노식 등을 추가하기도 한다.

8. 평가

《삼국지 III》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전략 게임으로서의 깊이와 다양한 요소들이 호평을 받았다.


  • 일렉트로닉 엔터테인먼트는 10점 만점에 9점을 부여했다.[2]
  • 메가는 68%의 점수를 부여했다.[3]
  • 컴퓨터 게이밍 월드는 1994년 4월, 《삼국지 III》가 중국 역사의 시대를 "경이롭게" 보여주며 게임의 세부 묘사와 유연한 플레이 옵션을 칭찬한다고 언급했다.[4]
  • 메가는 이 게임을 "별나고, 냉담하지만, 결국 중독성 있는" 게임이라고 평했다.[3]

기종별 평가; 슈퍼 패미컴 버전

: 게임 잡지 패미통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25점(40점 만점)을 받았다.[24]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 독자 투표에서는 22.35점(30점 만점)을 받아, 슈퍼 패미컴 전체 소프트웨어 중 64위를 기록했다.[5] SUPER FAMICOM 매거진에서는 기본적인 시스템을 개선하고, 전투 장면을 비스듬히 위에서 내려다보는 형태로 바꾼 점, 새로운 군주 선택 모드와 숨겨진 이벤트의 존재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

항목캐릭터음악조작성몰입도가성비독창성종합
득점3.893.833.734.173.023.7222.35



; 메가 드라이브 버전

: 패미통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24점(40점 만점)을 받았다.[25] 메가 드라이브 FAN 독자 투표에서는 23.62점(30점 만점)을 기록했다.[7] 군주 지배 지역이 도시 단위로 변경되어 세밀한 내정이 가능해졌고, 장기간의 명령이 가능해진 점과 전투 장면이 비스듬히 위에서 내려다보는 형태로 바뀐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게임 시스템 변경에 대해 "현저한 진화가 보인다"고 칭찬했다.[7]

항목캐릭터음악조작성몰입도가성비독창성종합
득점4.253.833.774.423.453.9023.62



; PC 엔진 버전

: 패미통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22점(40점 만점)을 받았다.[26] 월간 PC 엔진에서는 86점(100점 만점), 전격 PC 엔진에서는 63.75점(100점 만점), PC Engine FAN 독자 투표에서는 20.7점(30점 만점)을 기록했다. SFC, MD 버전보다 CPU의 사고가 늦고, 전투에서 현저한 차이가 난다고 평가되었다.[27]

항목캐릭터음악가성비조작성몰입도독창성종합
득점3.63.82.73.54.03.220.7


참조

[1] 웹사이트 Help needed - most wanted cartridges https://board.byuu.o[...] 2016-10-25
[2]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1994-03
[3]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Dragon of Destiny" 1994-05
[4] 간행물 Dragon Of Destiny http://www.cgwmuseum[...] 1994-04
[5] 간행물 8月情報号特別付録 スーパーファミコン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8-01
[6] 서적 G-MOOK176 スーパーファミコンパーフェクトカタログ ジーウォーク 2019-09-28
[7] 간행물 7月号特別付録 メガドライブ&ゲームギア 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7-15
[8] 서적 G-MOOK145 メガドライブパーフェクトカタログ ジーウォーク 2018-06-29
[9] 웹사이트 コーエー、「信長の野望 武将風雲録」など3タイトルを「コーエー定番シリーズ」として1,980円で発売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01-05-25
[10] 웹사이트 コーエー定番シリーズに3タイトル追加 https://nlab.itmedia[...] ITmedia 2001-05-28
[11] 웹사이트 コーエー、EZweb「Mobile 三國志3」4月20日より配信開始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06-04-14
[12] 웹사이트 GAMECITY https://www.gamecity[...] 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13] 웹사이트 コーエー,「Mobile 三國志3」などを903iシリーズ向けに配信 https://www.4gamer.n[...] Aetas 2006-10-27
[14] 웹사이트 “シブサワ・コウ アーカイブス”第三弾『信長の野望・戦国群雄伝』、『三國志III』、『水滸伝・天命の誓い』が配信開始 https://www.famitsu.[...] KADOKAWA 2017-02-22
[15] 웹사이트 「シブサワ・コウ アーカイブス」第三弾発売開始!『三國志 III』『水滸伝・天命の誓い』など https://www.inside-g[...] イード 2017-02-22
[16] 웹사이트 「シブサワ・コウ アーカイブス」第3弾「信長の野望・戦国群雄伝」「三國志III」「水滸伝・天命の誓い」がSteamで配信 https://www.4gamer.n[...] Aetas 2017-02-22
[17] 웹사이트 【配信開始】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の『三國志』シリーズ人気作『三國志III』がスマホ向けにグレードアップして登場 https://app.famitsu.[...] KADOKAWA 2019-07-25
[18] 웹사이트 新機能も搭載されたスマホ版「三國志III」がリリース。700円オフで購入できる配信記念セールを8月6日まで実施中 https://www.4gamer.n[...] Aetas 2019-07-25
[19] 웹사이트 3DS『三國志2』を移植したアプリ『三國志III』配信開始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19-07-26
[20] 웹사이트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Dragon of Destiny for Genesis (1992)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1] 웹사이트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Dragon of Destiny for SNES (1992)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2]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1994-03
[23]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Dragon of Destiny" 1994-05
[24] 웹사이트 三國志III まとめ [スーパーファミコン] http://www.famitsu.c[...] KADOKAWA CORPORATION
[25] 웹사이트 三國志III まとめ [メガドライブ] http://www.famitsu.c[...] KADOKAWA CORPORATION
[26] 웹사이트 三國志III まとめ [PCエンジン] http://www.famitsu.c[...] KADOKAWA CORPORATION
[27] 간행물 超絶 大技林 '98年春版 徳間書店/インターメディア・カンパニー 1998-04-15
[28] 뉴스 삼국지 인터넷’ 내년 1월 출시 http://news.gamechos[...] 게임조선 1999-11-28
[29] 뉴스 KOEI 삼국지3, KTF WIPI로 서비스 http://www.gameshot.[...] 게임샷 2012-03-02
[30] 뉴스 명작의 화려한 부활! 삼국지DS리뷰 http://www.gamenote.[...] 게임스팟 2007-09-29
[31] 문서 손견
[32] 문서 가상 시나리오이면 야망 스텟이 랜덤하게 결정되므로 유조손도 조건만 맞으면 항복한다.
[33]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1994-03
[34] 간행물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II: Dragon of Destiny" 199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