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마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마당은 주택의 중앙에 위치한 열린 공간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건축 양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6400년경 요르단 계곡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중동, 중국, 로마 등지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했다. 중세 유럽에서는 농가의 중심 공간으로, 중국에서는 사합원의 일부로 활용되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아트리움과 페리스틸리움으로 구분되었다. 현대에는 주택의 사생활 보호, 야외 활동 공간 제공, 소규모 공동체 공간 조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파티오, 중국식 주택의 별채 분할 등에서 그 활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정 - 가계
    가계는 경제학에서 수요 측면의 최소 단위로, 세대를 기준으로 정의되지만, 최근 개인의 소비 결정 중요성 증가로 소비 실태 파악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 가정 - 아동 학대
    아동 학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 방임, 착취 등 아동의 건강과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인, 관계,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치료를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안마당
정의
정의일반적으로 건물로 둘러싸여 있고 하늘로 열린 공간
건축학적 특징
개방성하늘로 열려 있음
용도휴식, 사색, 조경, 통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
유형
주거용집 안뜰, 빌라 안뜰
공공용대학 안뜰, 사무실 건물 안뜰
종교용사원 안뜰, 수도원 안뜰
디자인 요소
식물다양한 식물 종을 심어 아름다움을 더함
분수 또는 연못물의 요소를 도입하여 시각적, 청각적 즐거움을 제공
포장재돌, 벽돌, 타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바닥을 마감
가구의자, 테이블, 조각상 등을 배치하여 휴식 공간을 조성
문화적 의미
역사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됨
상징성평화, 고요함, 사색 등의 상징으로 여겨짐
참고
관련 용어아트리움, 파티오, 베란다, 테라스

2. 역사적 배경

폴란드 리츠바르크 성의 안마당


안마당은 벽이나 건물로 둘러싸인 사적인 야외 공간으로, 인류가 주거 공간을 건축하기 시작한 이래 건축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 왔다. 안마당의 개념은 매우 오래되어,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안마당 주택 형태가 발견되기도 했다.[2] 역사적으로 안마당은 요리, 수면, 작업, 놀이, 정원 가꾸기, 가축 사육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안마당 주택은 세계 여러 지역의 기후와 문화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특히 온화한 기후 지역에서는 중앙의 안마당이 집안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더욱 흔하게 나타난다.[3] 하지만 혹독한 기후 조건 속에서도 안마당 주택은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안마당이 제공하는 공기 순환, 자연 채광,[4] 사생활 보호, 안전 확보, 그리고 평온함[5]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많은 문화권에서 선호되는 주거 환경의 특징이다. 대부분의 안마당은 정원과 같은 자연 요소를 포함하여 쾌적함을 더한다.

안마당은 실내 공간과 외부 공간의 중간적 성격을 지니며, 프라이버시보안, 고요함 같은 실내의 장점과 신선한 공기, 일조와 같은 야외의 장점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러한 보편적인 장점 때문에 안마당 구조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와 지역의 주거 형태뿐만 아니라, 왕궁, 궁전, 수도원, 교회, 모스크, 불교 사찰과 같은 종교 및 공공 건축물에서도 중요한 공간 구성 방식으로 널리 채택되었다.

튀니지 카이루안에 있는 시디 오크바 모스크(:en:Great Mosque of Kairouan)의 큰 안마당

2. 1. 고대

안마당 주택은 기원전 6400–6000년(보정)경 신석기 시대 야르무키아 문화의 요르단 계곡 중앙, 야르무크강 북쪽 둑에 위치한 Sha'ar HaGolan 유적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는 건축 역사에서 이 지역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2] 안마당이 생겨나기 전에는 집 중앙에 을 피우고 천장에 작은 구멍을 내어 연기를 빼냈는데, 이 구멍이 점차 커져 지붕 없는 안마당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마당이 있는 주거는 기원전 3000년중동 (현재의 이란 지역)과 중국에도 존재했다. 기원전 2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우르에서는 지붕 없는 광장을 중심으로 벽돌로 지은 2층 주택이 세워졌다. 1층에는 부엌, 작업장, 객실 등이 있었고, 2층에는 보다 사적인 공간이 마련되었다.

고대 로마의 도시 주택인 도무스에는 공적인 성격의 아트리움과 사적인 성격의 페리스틸리움이라는 두 종류의 안마당이 있었다. 아트리움은 집 중앙에 위치한 지붕 없는 공간으로, 초기에는 난로가 있었으나 나중에는 impluvium|임플루비움la이라 불리는 얕은 수조가 중앙에 설치되어 빗물을 모으는 역할을 했다. 도무스에는 종종 정원이 있는 두 번째 안마당인 페리스틸리움이 있었는데, 이는 그리스 양식의 콜로네이드(기둥 복도)로 둘러싸여 있었다. 페리스틸리움 주변의 주랑(기둥으로 둘러싸인 복도) 구조는 이후 수도원 건축 양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2. 2. 동아시아

중국의 전통적인 안마당 주거 형태인 사합원은 광장을 중심으로 여러 채의 건물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각 건물에는 가족 구성원이 거주했으며, 가족이 늘어나면 뒤쪽에 건물을 추가하여 확장했다. 중국의 안마당은 院子|위안쯔중국어 또는 天井|톈징중국어이라 불리며, 정원과 우물이 있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공간이었다.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안마당을 두어, 바깥쪽 안마당은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안쪽으로 갈수록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만 출입하는 등 프라이버시의 단계가 구분되기도 했다.

한국의 전통 가옥인 한옥 역시 안마당을 중심으로 건물이 배치되는 특징을 보인다. 한옥의 안마당은 집안의 여러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심 공간이자, 자연을 집 안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는 서민들이 거주하는 나가야(長屋)에는 안마당이 없는 경우가 많았으나, 부유한 상인들의 주택인 마치야(町屋)에서는 쓰보니와(坪庭)라고 불리는 작은 정원을 두기도 했다. 일본의 도시에서는 안마당 대신 골목이 발달하여, 안마당이나 작은 광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12] 주민들의 교류 공간 역할을 하기도 했다.

3. 지역별 특징

안마당이 있는 주거 형태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각기 다른 기후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왔다. 안마당은 프라이버시보안과 같은 실내 공간의 장점과 신선한 공기, 일조 등 야외 공간의 장점을 함께 제공하는 중간적 성격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온화한 기후에 적합하여 중앙 안마당이 집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추운 기후에서도 안마당 주택은 지어졌다.

역사적으로 안마당 주택은 기원전 3000년경 중동(현재의 이란 지역)과 중국에서 나타났다. 고대 로마에서는 도시 주택인 돔스에 공적인 아트리움과 사적인 페리스틸리움이라는 두 개의 안마당을 두는 경우가 많았다. 중동 지역의 안마당 주택은 유목민 생활 방식의 영향을 받아 방의 용도를 고정하지 않고 기후에 따라 활동 공간을 옮기는 특징을 보였다. 중세 유럽의 농가에서는 여러 건물이 안마당을 둘러싸는 형태로 지어져 작업 공간이나 방어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중국의 전통적인 사합원은 여러 가족 구성원이 사는 여러 채의 건물이 안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독일의 Mietskaserne|미츠카세르네de베를린 미테구의 하케셔 회페 등에서도 안마당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3. 1. 중동

안마당은 고대 중동에서 널리 사용되었다.[6] 기원전 2000년경 우르에서는 열린 광장을 중심으로 2층 주택이 건축되었으며, 구운 벽돌로 지어졌다. 부엌, 작업 공간 및 공공 공간은 1층에 위치했고, 사적인 방은 위층에 배치되었다.[8]

중동의 안마당 주택은 이 지역 유목민의 생활 방식이 반영된 특징을 보인다. 요리나 수면 등을 위한 방의 용도를 명확히 정하지 않고, 온도 변화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연중 활동 공간을 옮겨 다녔다. 때로는 건물의 평평한 지붕을 더운 날씨에 잠자는 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일부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안마당이 여성들이 외부의 시선을 받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사적인 야외 공간이 되기도 했다. 또한 여러 안마당 건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순환하며 시원하게 만드는 대류 냉각 효과도 나타났다.[3][7]

3. 2. 유럽

고대 로마도무스에서는 중앙에 지붕이 없는 공간을 '아트리움'이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간을 '안마당'이라 칭하며, '아트리움'이라는 단어는 유리 지붕으로 덮인 안마당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된다. 로마 시대의 아트리움 주택은 거리를 따라 지어졌으며, 외벽에는 창문이 없는 단층 구조였다. 채광은 주로 입구와 중앙 아트리움을 통해 이루어졌다. 원래 아트리움 중앙에는 벽난로가 있었으나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대신 빗물을 모으기 위한 얕은 수조인 '임플루비움'(impluvium|임플루비움la)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주택에는 종종 두 번째 외부 공간으로 정원이 있었고, 그 주위를 그리스 양식의 콜로네이드(열주)로 둘러싸 페리스틸리움을 형성했다. 페리스틸리움처럼 안마당 주변에 열주식 통로를 만드는 구조는 후대에 수도원 건축 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중세 유럽의 농가는 안마당 주택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보통 4개의 건물이 사각형 안마당을 둘러싸고 있으며, 각 건물은 가파른 경사의 초가 지붕을 가지고 있다. 중앙 안마당은 작업 공간, 모임 장소, 때로는 작은 가축을 기르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안마당의 두세 면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높은 통로가 있었는데, 이는 외부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 방어 기능을 높이기 위한 구조였다.

독일에서는 미츠카세르네(Mietskaserne|미츠카세르네de, 병영식 임대 아파트)나 베를린 미테구의 하케셔 회페 등에서 안마당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종교 건축물에서도 교회, 모스크, 불교 사찰 등에서 안마당이 발견된다.

왕궁이나 궁전 건축에서도 안마당은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독일 뮌헨의 레지덴츠 궁전이나 크림반도의 리바디아 궁전 등 여러 유럽 궁전에서 다양한 형태의 안뜰을 볼 수 있다.

3. 3. 중국

기원전 3000년중국에도 안마당이 있는 주거 형태가 존재했다. 중국의 전통적인 안마당이 있는 주거를 쓰허위안(사합원)이라고 부르며, 광장을 둘러싸도록 몇 채의 주거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주거에는 가족 구성원들이 살고, 가족이 늘어나면 뒤쪽에 더 많은 주거를 추가했다.

중국에서 안마당은 '원쯔'(院子) 또는 '톈징'(天井)이라고 불리며, 정원과 우물이 있어서 사생활과 정온함을 보장하는 장소가 되었다.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안마당이 있어서, 큰 길에서 멀어질수록 프라이버시가 더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방문객은 가장 바깥쪽 안마당에서 맞이하고, 가장 안쪽 안마당에는 매우 친한 친구나 가족만 들어갈 수 있었다.

3. 4. 미국

1890년대 초 시카고에서는 안마당 아파트 형태가 등장하여 1920년대까지 번성했다. 이 유형은 주로 낮은 층고를 가지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부지의 세 면을 따라 건물이 배치되고 거리와 수직으로 뻗어있는 열린 안마당이 특징이다. 안마당은 일반적으로 폭보다 깊이가 더 깊지만, 규모가 큰 건물에서는 깊이보다 폭이 더 넓은 경우도 많았다. 단독 주택의 사생활 보호와 가정적인 분위기를 추구하고, 엄격한 건축법규의 영향을 받아 이러한 건축 양식은 이전의 미국 다세대 주택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야외 공간 접근성과 통풍 기능을 제공했다.

중국 주거 양식을 모델로 한 현대적인 버전에서는 안마당을 활용하여 주거 공간을 여러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구역에는 객실이나 식당을 배치하고, 다른 쪽 구역에는 가족 침실과 같이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공간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후퍼 하우스가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

후퍼 하우스의 안마당


20세기 전반에는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안마당이 있는 주택이 새롭게 유행했다. 겉모습은 지중해풍 건축 양식을 따르면서도, 안마당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개방적인 분위기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공간에 규모감을 더했다. 이 건축 양식은 큰 인기를 얻어 미국 서해안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로스앤젤레스에는 이러한 형태의 주택이 다수 남아 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 《멜로즈 플레이스》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3. 5. 일본

일본에서는 서민들이 사는 나가야에는 안마당이 없었지만, 부유한 상가에는 쓰보니와라고 불리는 작은 정원 형태의 안마당이 있었다.

일본의 도시는 전통적으로 개별 주택에 안마당을 두기보다는 골목이 발달했다. 이 골목은 안마당이나 작은 광장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며[12], 주변 주민들의 공동체 공간으로 기능했다.

1980년대에는 드라마 『금요 부인들에게』의 영향으로 파티오(안마당의 일종)가 있는 집에 대한 동경이 생겨나기도 했다. 드라마에서는 등장인물들이 파티오에 모여 교류하는 모습이 그려졌지만, 실제 일본의 주거 환경에서는 부지가 좁아 안마당을 만드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해당 드라마에서 파티오라고 불린 공간 역시 실제로는 넓은 베란다에 가까운 형태였다.

4. 현대적 의의

현대 사회에서 안마당은 도시화되고 밀집된 주거 환경 속에서 여러 중요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건축가들은 안마당이 현대 주택과 도시 개발에서 어떤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안마당은 거주자에게 외부 시선으로부터 보호받는 사적인 공간을 마련해주고, 번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아이들이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나아가 안마당은 단순한 개인 공간을 넘어, 소규모 공동체를 위한 공유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여러 가구가 공유하는 안마당은 이웃 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공유 안마당 개념은 현대적인 시도로 보일 수 있지만, 과거 잉카 제국 시대에도 공유 안마당을 중심으로 주택을 배치하는 방식이 존재했다.

본질적으로 안마당은 실내 공간과 야외 공간의 장점을 결합한 독특한 공간이다. 프라이버시보안, 조용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신선한 공기와 햇빛을 즐길 수 있게 하여 자연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삭막해지기 쉬운 현대 도시 환경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4. 1. 현대 건축에서의 활용

포트 홀(Fort Hall) 복제품, 안마당, 아이다호주 포카텔로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카펠리테다스(Kaapelitehdas)의 안마당


오늘날 많은 건축가들이 안마당이 현대 주택과 도시 개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주택의 안마당은 가족에게 사생활을 보장하고, 일상생활의 번잡함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건축가들은 안마당을 활용하여 소규모 공동체를 위한 야외 공간을 제공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12채의 주택으로 둘러싸인 안마당은 해당 가족들에게 공유 공원과 같은 공간을 제공하며, 그들은 이 공간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유 안마당 개념은 현대적인 해결책처럼 보일 수 있지만, 공유 안마당을 중심으로 주택을 짓는 것은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잉카 제국 시대에도 흔한 관행이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마리나 스타일" 주택의 평면도에 종종 중앙 파티오가 포함되는데, 이는 개방된 안마당의 축소판으로 때로는 유리나 반투명 재료로 덮여 있다. 중앙 파티오는 공용 공간에 자연 채광을 제공하고 화분에 심은 야외 식물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파키스탄의 길기트 발티스탄에서는 안마당이 전통적으로 마을 관련 문제를 논의하는 공공 모임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파키스탄 부족 지역의 전통인 지르가와는 다르다.

중정이 있는 주거는 전 세계적으로 설계되고 건설되었으며, 시대마다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중정은 실내 공간과 야외 공간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프라이버시, 보안, 고요함과 같은 실내적 특징과 신선한 공기나 일조와 같은 야외 공간의 특징을 동시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온난한 기후에 적합하여 중앙의 중정이 주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지만, 혹독한 기후의 장소에서도 중정이 있는 주거가 지어지고 있다.

중국의 전통 주거를 모델로 한 현대 건축에서는, 안마당을 배치하여 주거 공간을 기능별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에는 객실이나 식당 같은 공용 공간을, 다른 쪽에는 침실처럼 사적인 공간을 배치하는 식이다.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후퍼 하우스가 이러한 예 중 하나이다.

20세기 전반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안마당이 있는 주거의 새로운 유행이 일어났다. 겉모습은 지중해풍 건축 양식을 따랐지만, 안마당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개방적인 분위기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공간감을 살렸다. 이러한 건축 양식은 인기를 얻어 미국 서해안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로스앤젤레스에는 이러한 주거 형태가 다수 남아 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 《멜로즈 플레이스》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4. 2. 파티오 (Patio)

세비야의 파티오


스페인어의 '''파티오'''(patio|파티오es)는 스페인 주택의 안뜰을 의미하며, 식사, 주민 교류, 오락, 낮잠(시에스타), 아이들의 놀이터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이다.

건축학적으로 고대 로마와 이슬람의 영향을 받았다.[9] 일반적으로 돌이나 타일이 깔려 있으며, 분수화분이 설치되어 있다.[10] 기초는 압축된 스톤 칩, 모래층, 시멘트·모르타르 층 등으로 구성된다.

스페인풍 주택의 지붕 없는 안뜰을 지칭하는 것 외에도, 주택과 정원 사이의 포장된 부분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 이외의 파티오

오스트레일리아인도에서는 발코니베란다를 파티오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모로코에서는 파티오를 갖춘 고대 건축물을 활용한 리야드라는 숙박 시설이 서구 부유층 여행객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11]

핀란드오울루에서는 펍이나 레스토랑의 야외 식사 공간을 파티오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간은 테라스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핀란드에서는 이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5. 한국의 안마당 문화 (한국 관점 추가)

한국의 전통 가옥인 한옥은 건물이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 집 안쪽에 자리한 마당을 안마당이라고 부르며, 이는 단순한 빈 공간을 넘어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생활 공간으로 기능했다.

안마당은 가족 구성원들의 주된 생활 무대였다. 김장을 담그거나 메주를 쑤는 등 규모가 큰 가사 노동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이었으며, 결혼식이나 회갑 잔치와 같은 집안의 중요한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했다. 아이들에게는 안전한 놀이터가 되었고, 때로는 텃밭을 가꾸거나 작은 가축을 기르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처럼 한옥의 안마당은 외부와 분리되어 가족만의 아늑하고 사적인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집안의 여러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개방적인 중심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한국 전통 사회에서 가족 공동체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건축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6. 갤러리

이란 이스파한의 라키브-카네 저택의 안뜰과 수영장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 논문 "The Yarmukian Culture in Israel"
[3] 웹사이트 The role of multiple courtyards in the promotion of convective cooling http://eprints.notti[...] 2011-12-16
[4] 서적 Courtyards: Aesthetic, Social, and Thermal Delight https://www.worldcat[...] John Wiley & Sons, Inc.
[5] 서적 Courtyards: Aesthetic, Social, and Thermal Delight https://www.worldcat[...] John Wiley & Sons, Inc.
[6] 서적 Courtyards: Aesthetic, Social, and Thermal Delight https://www.worldcat[...] John Wiley & Sons, Inc.
[7] 학술지 Thermal Comfort through the Microclimates of the Courtyard. A Critical Review of the Middle-eastern Courtyard House as a Climatic Response 2016-01-06
[8]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Lorenz Educational Press
[9] 서적 室内学入門 建築資料研究社
[10] 서적 室内学入門 建築資料研究社
[11] 뉴스 モロッコ 迷宮都市の異空間 [[日本経済新聞社]] 2017-05-28
[12] 문서 江戸東京の路地―身体感覚で探る場の魅力 学芸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