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주는 콩을 삶아 으깬 후 덩어리로 만들어 발효시킨 한국 전통 음식으로, 된장, 간장, 고추장의 원료로 사용된다. 어원은 중세 한국어 '몌조'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시대부터 콩 발효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메주는 10월에서 12월 사이에 만들어지며, 콩을 삶아 으깬 후 덩어리로 만들고 볏짚으로 묶어 발효시킨다. 발효 과정에는 고초균과 다양한 곰팡이, 박테리아가 관여하며,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적인 제조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발효 식품 - 홍어회
    홍어회는 발효시킨 홍어로 만든 음식으로, 특히 삭힌 홍어회는 강렬한 암모니아 향이 특징이며 남도 지방에서 잔치나 제례 음식으로 즐겨 먹고, 돼지고기, 묵은 김치와 함께 홍탁삼합으로 섭취한다.
  • 대두가공품 - 낫토
    낫토는 낫토균으로 발효시킨 끈적한 실이 특징인 일본의 전통 콩 발효 음식으로, 특유의 냄새와 식감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영양소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 대두가공품 - 된장
    된장은 콩을 주재료로 하는 한국 전통 발효 식품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조되었으며, 전통적인 메주 발효 방식과 현대적인 공장 제조 방식이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재료에 따라 한식된장, 된장, 조미된장으로 분류하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페이스트 - 낫토
    낫토는 낫토균으로 발효시킨 끈적한 실이 특징인 일본의 전통 콩 발효 음식으로, 특유의 냄새와 식감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영양소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 페이스트 - 마마이트
    마마이트는 맥주 효모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영국의 스프레드로, 비타민 B의 중요성 인지, 전쟁 중 전투식량 사용, 빈혈 치료 효과 연구 등을 거쳐 현재 유니레버 상표로 판매되며 다양한 섭취법과 강렬한 풍미로 유명하다.
메주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주 (발효된 콩)
공중에 말리는 메주, 볏짚으로 묶음
국가한국
종류발효 식품
주재료
한국어 이름
한글메주
로마자 표기meju
문화어말장
일본어 이름
가타카나メジュ

2. 어원

메주라는 단어는 1527년 훈몽자회에 기록된 중세 한국어 '몌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며주'에서 파생되었다.[3][4] 한자를 사용하여 기록된 초기 표기로는 송나라 학자가 쓴 12세기 한국에 관한 책인 계림유사에 기록된 '밀저'(蜜沮|밀저한국어)가 있다.[5]

3. 역사

콩을 발효시키는 풍습은 삼국시대(기원전 57년 ~ 서기 668년) 이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6]

3세기에 쓰여진 진나라(265–420)의 역사서인 《삼국지(역사서)|삼국지》의 《위서(삼국지)|위서》 동이전에는 "고구려 사람들은 발효된 콩을 잘 담근다"고 언급되어 있다.[7][8] 고구려 시대인 4세기의 안악 3호분 벽화에서는 간장을 담그는 데 사용되는 옹기인 장독이 발견된다.[9]

삼국사기》에는 메주가 683년 2월 신문왕이 하사한 결혼 선물 중 하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0][11]해동역사》는 《신당서》를 인용하여, 메주가 발해 책성 지역의 특산물이었다고 전한다.[12]

고려사》의 《식화지》에는 거란의 침입 이후인 1018년과 기근이 발생한 1052년에 구호 물품에 간장된장이 포함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3][14] 《구황촬요》 및 《증보산림경제》와 같은 조선 시대 문헌에는 좋은 품질의 간장된장을 만들기 위한 메주 제조법이 자세히 나와 있다.[6][15][16]

조선의 '장'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통일신라 초기부터 된장 등이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34] 장의 구체적인 제조법에 대해서는 명종 9년 (1554년)에 발행된 『구황촬요』에 많은 기록이 있으며, 15세기 전반 세종의 치세에 큰 진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4] 또한, 17세기부터 18세기의 『동의보감』이나 『산림경제』 등의 서적에는 대두를 발효시킨 된장이나 간장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나타난다.[34]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한반도로 이주하는 일본인이 증가하여, 1889년까지 일본인 등이 경영하는 장 공장이 조선에 17개소에 달했다.[35] 일제강점기에는 70개소를 넘어선 장류 공장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감소했지만, 생활의 변화와 함께 장 및 그 원료인 메주를 생산하는 공장은 증가하고 있다.[35] 2011년 조사에서는, 한국 내 36.3%의 가정이 된장, 20.1%의 가구가 간장을 각각 직접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36]

4. 제조법

메주가 만들어지면 표면은 건조된 상태로 판매 및 사용된다. 건조된 층 바로 안쪽에는 누룩곰팡이 등의 곰팡이가, 중심부에는 고초균 등의 세균이 자란다.[32] 이 때문에 중심부는 검정에 가까운 흑갈색을 띤다.[32] 한국은 메주를 매다는 겨울철 습도가 낮고, 곰팡이 생육으로 수분이 제거되어 표면은 돌처럼 단단하게 마른다.[21]

메주는 가정에서 만들기도 하고 슈퍼마켓 등에서 시판되기도 한다. 2013년 조사에 따르면 5.5kg에 정가 110,000원이었다.[22] 이 메주로 7~8kg의 간장, 15~20kg의 된장을 만들 수 있다.[22]

메주의 모양은 다양하며, 벽돌 크기 정도의 직육면체[25], 판 모양, 구형 등이 있다.[28] 전라북도 순창군에서는 고추장용으로 멥쌀과 콩을 같은 양으로 섞어 도넛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제조한다.[23]

조선에는 메주와 그것을 이용한 조미료 만들기에 관한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다.


  • "콩으로 메주를 만든다고 해도" (콩으로 메주를 만든다는 당연한 일조차 믿을 수 없다는 의미)[27]
  • "된장 맛이 좋으면 인심도 두텁고 복도 온다."[28]
  • "장의 맛이 변하면 가문이 망한다."[24]

4. 1. 전통적인 제조법

메주는 보통 10월에서 12월 사이, 일반적으로 11월 초 입동 무렵에 만들어진다.[17] 그러나 메주를 만드는 시기와 과정은 지역에 따라, 또 어떤 음식에 사용할지에 따라 달라진다. 궁중 음식에 사용되는 메주는 음력 4월경에 만들어졌고, 가정 요리에 사용되는 메주는 음력 10월 또는 12월경에 만들어졌다.[17] 순창에서는 고추장용 메주를 8월과 9월경에 만들었다.[17] 전통적으로 간장된장용 메주는 발효된 콩만으로 만들고, 고추장용 메주는 콩에 , 보리, 또는 을 섞어 만든다. 밀을 사용할 경우 콩과 밀의 비율은 6:4이고, 찹쌀을 사용할 경우 콩과 찹쌀의 비율은 5:2이다.[17]

콩은 씻어서 하룻밤 불린 후 삶는다.[17] 보통 가마솥에 삶지만, 시루에 찌기도 하며, 최소 3~4시간, 보통 5~8시간 삶는다.[17] 삶은 콩은 소쿠리에 건져서 뜨거울 때 절구에 찧는다.[17] 약 1.8L에서 3.6L의 찧은 콩을 덩어리지어 압축하여 네모 또는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 메주를 형성한다.[17] 메주 덩어리는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서 단단해질 때까지 말린다.[17] 덩어리가 굳으면 쌀 으로 묶어 집의 처마에 매달아 통풍 건조시키는데, 이때 쌀 줄기는 고초균을 메주 덩어리로 옮긴다.[17][18] 곰팡이와 박테리아, 주로 고초균과 다양한 아스페르길루스 균주가 메주의 발효를 담당한다.[2][19] 잘 발효된 메주 덩어리는 씻어 햇볕에 말려 나중에 사용한다.[17]

일반적인 일정으로는 가을에 수확한 콩을 사용하여 기온이 내려간 11월 말부터 12월 초에 메주를 만든다.[22] 전통적인 일정으로는 동지나 연말 마지막 닭날에 메주를 만들기 시작하여 음력 1월 말날에 소금물에 담가 된장을 만든다.[22] 원료로는 백태 또는 메주콩이라고 불리는 품종의 을 사용하며[25], 한국산뿐만 아니라 저렴한 미국산 콩도 사용한다.[26]

메주는 콩을 0.5~1일 동안 물에 불려 흡수시킨 후, 부드러워질 때까지 삶아 절구로 찧어 굵게 으깬다.[25] 이것을 양손으로 모아 판에 두드리면서 직육면체로 만들거나,[25] 삼베 광목을 깐 에 채워 넣는 등의 방법으로 성형한다.[27] 너무 잘게 부수거나 성형 시 너무 압축하면 공기가 통하지 않아 메주 내부가 부패하기 쉽다.[28] 이 단계부터 콩 덩어리는 메주라고 불리며, 형태를 다듬지 않고 소금을 섞어 발효시키면 청국장이라는 낫토와 같은 식품이 된다.[25]

성형된 메주는 1~2일 동안 판 위에서 그대로 건조시켜 부서지지 않게 되면 을 걸어 천장에 매달아 40~45일 동안 곰팡이를 피게 한다.[25] 일반적으로 야외에 매달지만, 적극적으로 고초균을 증식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온돌로 보온된 실내에 매달기도 한다.[29] 충분히 곰팡이가 성장하면 메주를 내려 털어 먼지를 제거하고 푸른곰팡이 등 불필요한 곰팡이를 제거한다.[30] 주로 흰 곰팡이만 남은 상태에서 처마 밑에 매달아 1~2일 동안 햇볕과 바깥 공기에 쐬면 완성된다.[30]

이것을 분쇄한 것은 메주가루라고 불리며, 고추장스타터 등으로 사용된다.[25] 된장이나 간장을 만들 경우에는 메주를 부수지 않고 항아리에 넣고, 콩:소금:물=1:1.5:4 정도의 비율로 소금물을 부어 3개월 정도 발효시킨다.[30]

4. 2. 현대적인 제조법

공장 생산에서는 콩을 물에 24시간 담근 후 가마에서 2시간 삶고 2시간 방냉하는 공정을 여러 번 반복한다[31]。 부드러워진 콩은 기계로 분쇄하여 틀에 넣어 성형한다[31]。 성형된 메주는 모서리를 둥글게 하고 선반에 늘어놓고 건조기에서 2일 정도 건조시킨다[31]。 이것을 발효실에서 벼짚과 번갈아 쌓아 올리고, 경우에 따라 누룩곰팡이고초균을 선택적으로 접종한다[31][32]。 온습도를 제어하여 발효를 진행하고, 2주 정도면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한 메주가 완성된다[32]

5. 발효

표면이 건조된 상태로 판매 및 사용되며, 건조된 층 바로 안쪽에는 누룩곰팡이 등의 곰팡이, 중심부에는 고초균 등의 세균이 생육하고 있다.[32] 이 때문에 중심부는 검정에 가까운 흑갈색을 띤다.[32] 또한, 한국은 메주를 매다는 동절기 습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생육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므로 표면은 돌처럼 단단하게 말라 있다.[21]

주로 표면 부근에서는 국균 등의 곰팡이, 중심부에서는 고초균 등의 세균이 자연적으로 번식한다.[20] 일본된장의 중간 원료가 되는 된장 덩어리와도 비슷하지만, 고초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만드는 된장 덩어리나 누룩과 달리 메주는 내의 고초균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20] 또한, 누룩이 40~70시간 만에 완성되는 것에 비해 메주는 짧아도 2주가 걸린다.[32] 메주에는 다음과 같은 미생물이 번식한다.[20]

종류
곰팡이류국균, 털곰팡이, 푸른곰팡이
효모사카로미세스속, 칸디다속
세균바실러스속, 포도상구균속



고초균은 콩의 pH를 높여 Alkaline hydrolysis|알칼리 가수분해영어를 촉진하기 때문에,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20] 암모니아는 숙성 중에 휘발될 뿐만 아니라, 된장 등을 만들 때 목탄을 넣어 흡착시키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는 암모니아 냄새가 남지 않는다.[33] 한편, 고초균은 낫토균과 근연 관계에 있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낫토와 같은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20]

6. 지역별 특색

메주는 표면이 건조된 상태로 판매 및 사용되며, 건조된 층 바로 안쪽에는 누룩곰팡이 등의 곰팡이, 중심부에는 고초균 등의 세균이 생육하고 있다.[32] 이 때문에 중심부는 검정에 가까운 흑갈색을 띤다.[32] 한국은 메주를 매다는 동절기 습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생육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므로 표면은 돌처럼 단단하게 말라 있다.[21] 가정에서 만들기도 하고 슈퍼마켓 등에서 시판되기도 하며, 2013년 조사에서는 5.5kg에 정가 110000KRW(당시 환율로 약 11,000엔)이었다.[22] 이 메주로 7~8kg의 간장, 15~20kg의 된장을 만들 수 있다.[22]

메주의 모양은 다양하며, 벽돌 크기 정도의 직육면체[25]이거나 판 모양, 구형 등이 있다.[28] 전라북도 순창군에서는 고추장용으로 특히 멥쌀과 콩을 같은 양으로 섞어 도넛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제조하고 있다.[23]

조선에는 메주와 그것을 이용한 조미료 만들기에 관한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다.


  • "콩에서 메주를 만든다고 해도" (콩으로 메주를 만든다는 당연한 일조차 믿을 수 없다는 의미) [27]
  • "된장 맛이 좋으면 인심도 두텁고 복도 온다." [28]
  • "장의 맛이 변하면 가문이 망한다." [24]

7. 현대적 의의

표면이 건조된 상태로 판매 및 사용되며, 건조된 층 바로 안쪽에는 누룩곰팡이 등의 곰팡이, 중심부에는 고초균 등의 세균이 생육하고 있다.[32] 이 때문에 중심부는 검정에 가까운 흑갈색을 띤다.[32] 한국은 메주를 매다는 동절기 습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의 생육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므로 표면은 돌처럼 단단하게 말라 있다.[21] 가정에서 만들기도 하고 슈퍼마켓 등에서 시판되기도 한다. 2013년 조사에서는 5.5kg에 정가 110000KRW (당시 환율로 약 11,000엔)이었다.[22] 여기에서 7~8kg의 간장, 15~20kg의 된장을 만들 수 있다.[22]

모양은 다양하며, 벽돌 크기 정도의 직육면체[25]이거나 판 모양, 구형 등이 있다.[28] 전라북도 순창군에서는 고추장용으로 특히 멥쌀과 콩을 같은 양으로 섞어 도넛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제조하고 있다.[23]

조선에는 메주와 그것을 이용한 조미료 만들기에 관한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다.


  • "콩에서 메주를 만든다고 해도" (콩으로 메주를 만든다는 당연한 일조차 믿을 수 없다는 의미) [27]
  • "된장 맛이 좋으면 인심도 두텁고 복도 온다." [28]
  • "장의 맛이 변하면 가문이 망한다." [24]

참조

[1] 웹사이트 meju https://krdict.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6-17
[2] 서적 Fermented cereals. A global perspectiv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 웹사이트 meju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6-17
[4] 위키문헌
[5] 위키문헌
[6] 뉴스 http://www.dailian.c[...] 2017-06-17
[7] 뉴스 http://weekly.hankoo[...] 2017-06-17
[8] 뉴스 Ganjang and Doenjang: Traditional Fermented Seasonings http://koreana.kf.or[...] Korea Foundation 2017-06-07
[9] 뉴스 http://vip.mk.co.kr/[...] 2017-06-17
[10] 뉴스 http://pub.chosun.co[...] 2017-06-17
[11] 위키문헌
[12] 위키문헌
[13] 뉴스 http://travel.chosun[...] 2017-06-17
[14] 서적 Goryeosa
[15] 서적 Guhwang chwaryo Jinhyulcheong
[16] 서적 Jeungbo sallim gyeongje
[17] 웹사이트 http://folkency.nfm.[...]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6-11-04
[18] 뉴스 Journey to the Home of Korea's Mother Sauces http://www.saveur.co[...] 2017-06-17
[19] 논문 Aspergillus Associated with Meju, a Fermented Soybean Starting Material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in Korea 2015-09-30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웹사이트 キーワードで見る食文化 食にまつわる「ことわざ」 2010年6月 http://yangnyeom.jp/[...] モランボン 2020-06-15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