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은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만 제국 간의 일련의 군사적 충돌을 의미하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과 지중해,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벌어졌다. 헝가리의 왕위 계승 문제와 오스만 제국의 팽창, 종교적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니코폴리스 원정, 바르나 원정 등 유럽 세력의 저지 시도가 있었다.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가 분열되고,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만 제국에 맞서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주변국가의 지원을 받았다. 주요 전쟁으로는 모하치 전투, 비엔나 공방전, 레판토 해전 등이 있으며, 17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해양 확장과 18세기에는 대튀르크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들은 유럽의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성장을 가져왔다. 1차 세계 대전에서는 독일을 중심으로 동맹을 맺었으나, 패전으로 인해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모두 멸망했다.

2.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의 배경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의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15세기 이후 거의 항상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기도 했지만,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에는 다른 왕조들도 연루되었다.[10] 유럽에서의 오스만 전쟁은 서구의 지원을 받았는데, 서구에서는 진격하는 강력한 이슬람 국가가 유럽 기독교 세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니코폴리스 원정(1396년)과 바르나 원정(1443-44년)은 유럽이 중앙 유럽과 발칸 반도로의 투르크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가장 단호하게 시도한 원정이었다.[10]

한동안 오스만 제국은 블라드 드라큘라와 같은 발칸 반군을 진압하는 데 바빴다. 그러나 이러한 반란 세력과 다른 반란 속국들을 제압하면서 중앙 유럽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노출되었다. 헝가리 왕국은 이제 오스만 제국 및 그 속국들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10]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인 네덜란드 총독 마리아(마리아 오스트리아 여대공)는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페르디난트 1세인 자신의 형에게 도망쳤다. 페르디난트의 헝가리 왕위 계승권은 루이 2세의 여동생이자 파괴된 왕국의 왕위 계승자 중 유일한 가족 구성원인 안나와의 결혼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페르디난트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포조니 의회에서 그와 그의 아내는 헝가리의 국왕과 왕비로 선출되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꼭두각시인 잔 잠폴야를 왕위에 앉히려는 오스만 제국의 목표와 충돌하여 두 강대국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1]

2. 1. 오스만 제국의 팽창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의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15세기 이후 거의 항상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기도 했지만,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에는 다른 왕조들도 연루되었다. 유럽에서의 오스만 전쟁은 서구의 지원을 받았는데, 서구에서는 진격하는 강력한 이슬람 국가가 유럽 기독교 세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니코폴리스 원정(1396년)과 바르나 원정(1443-44년)은 유럽이 중앙 유럽과 발칸 반도로의 투르크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가장 단호하게 시도한 원정이었다.[10]

한동안 오스만 제국은 블라드 3세 드라큘라와 같은 발칸 반군을 진압하는 데 바빴다. 그러나 이러한 반란 세력과 다른 반란 속국들을 제압한 것은 중앙 유럽을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개방시켰다. 헝가리 왕국은 이제 오스만 제국과 그 속국들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인 네덜란드 총독 마리아(마리아 오스트리아 여대공)는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페르디난트 1세인 자신의 형제에게 도망쳤다. 페르디난트의 헝가리 왕위 계승권은 루이 2세의 여동생이자 파괴된 왕국의 왕위 계승자 중 유일한 가족 구성원인 안나와의 결혼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페르디난트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포조니 의회에서 그와 그의 아내는 헝가리의 국왕과 왕비로 선출되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꼭두각시인 잔 잠폴야를 왕위에 앉히려는 오스만 제국의 목표와 충돌하여 두 강대국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1]

2. 2. 합스부르크 가문의 대응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의 국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15세기 이후 거의 항상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지만,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에는 다른 왕조들도 연루되었다. 유럽에서의 오스만 전쟁은 서구의 지원을 받았는데, 서구에서는 진격하는 강력한 이슬람 국가가 유럽 기독교 세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니코폴리스 원정(1396년)과 바르나 원정(1443-44년)은 유럽이 중앙 유럽과 발칸 반도로의 투르크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가장 단호하게 시도한 원정이었다.[10]

한동안 오스만 제국은 블라드 드라큘라와 같은 발칸 반군을 진압하는 데 바빴다. 그러나 이러한 반란 세력과 다른 반란 속국들을 제압한 것은 중앙 유럽을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개방시켰다. 헝가리 왕국은 이제 오스만 제국과 그 속국들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인 네덜란드 총독 마리아(마리아 오스트리아 여대공)는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페르디난트 1세인 자신의 형제에게 도망쳤다. 페르디난트의 헝가리 왕위 계승권은 루이 2세의 여동생이자 파괴된 왕국의 왕위 계승자 중 유일한 가족 구성원인 안나와의 결혼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페르디난트 1세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포조니 의회에서 그와 그의 아내는 헝가리의 국왕과 왕비로 선출되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꼭두각시인 잔 잠폴야를 왕위에 앉히려는 오스만 제국의 목표와 충돌하여 두 강대국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1]

2. 3. 헝가리 왕국의 분열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하자, 그의 미망인 네덜란드 총독 마리아(마리아 오스트리아 여대공)는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페르디난트 1세인 자신의 형제에게 피신했다.[11] 페르디난트 1세의 헝가리 왕위 계승권은 루이 2세의 여동생이자 헝가리 왕국의 유일한 왕위 계승 가족 구성원인 안나와 결혼하여 더욱 강화되었다.[11]

결과적으로 페르디난트 1세는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되었고, 포조니 의회에서 그와 그의 아내는 헝가리 국왕과 왕비로 선출되었다.[11] 이는 오스만 제국의 꼭두각시인 잔 잠폴야를 왕위에 앉히려는 오스만 제국의 목표와 충돌하여 두 강대국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1]

3. 주요 전쟁 및 군사적 충돌

전쟁명기간결과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1526년–1538년)1526년–1538년오스만 제국 승리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1529년–1533년)1529년–1533년오스만 제국 승리
튀니스 정복 (1535년)1535년합스부르크 군 승리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1540년–1547년)1540년–1547년오스만 제국 승리
1541년 알제리 원정1541년오스만-알제리 연합군 승리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1551년–1562년)1551년–1562년오스만 제국 승리
1558년 모스타가넴 원정1558년오스만-알제리 연합군 승리
오랑과 메르스 엘 케비르 포위전1563년합스부르크 군 승리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1565년–1568년)1565년–1568년오스만 제국 승리
장기 투르크 전쟁1593년–1606년결론 없음
1663년–1664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1663년–1664년오스만 제국 승리
대튀르크 전쟁1683년–1699년합스부르크 군 승리
1716년–1718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1716년–1718년합스부르크 군 승리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37년-1739년)1737년–1739년오스만 제국 승리
1788년–1791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1788년–1791년결론 없음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가 독일 영토에 대한 터키의 위협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대포"''(1518) 그림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와 발칸 반도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면서 헝가리 왕국은 분열되었고, 이후 양측은 헝가리 영토를 분할 점령했다.

16세기에는 술레이만 1세 치세에 오스만 제국이 전성기를 맞이하여 빈을 포위하는 등 합스부르크 가문을 위협했지만, 1529년 비엔나 공방전과 시게트바르 공성전에서 진격이 저지되면서 양측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1593년부터 1606년까지 벌어진 장기 투르크 전쟁은 양측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지만, 결정적인 승리 없이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17세기에는 1663년-1664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승리했지만, 대튀르크 전쟁 (1683년-1699년)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이 빈 전투를 비롯한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고 칼로비츠 조약을 통해 헝가리 전역을 차지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18세기에는 1716년-1718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시 승리하여 파사로비츠 조약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지만, 이후 1737년-1739년 전쟁에서는 오스만 제국에 패배하여 벨그라드 조약을 통해 일부 영토를 상실했다. 1788년-1791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은 시스토바 조약으로 종결되었지만, 양측 모두 큰 이득을 얻지 못했다.

3. 1. 16세기 전쟁

티치아노(Titian)가 그린 1530년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 1세


페르디난트 1세는 내전으로 약화된 헝가리를 1527년에 공격하여 요한 자폴랴를 몰아내고 자신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다. 그러나 요한은 페르디난트의 군사 작전을 막을 수 없었고, 부다(Buda)와 다뉴브 강변의 여러 주요 정착지가 함락되었다. 오스만 술탄은 1529년 5월 10일에 약 12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그의 봉신을 도왔다.[13] 16세기 말 헝가리 왕국은 전쟁으로 황폐해졌음에도 오스트리아나 보헤미아 왕국보다 경제적으로 더 중요했다.[14] 헝가리는 페르디난트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기 때문이다.[15]

오스만 군대는 중화기와 미사일 사격, 기병과 보병으로 구성되어 다재다능하고 강력했다.


비엔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오스만 술탄은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렸다. 페르디난트 대공은 1530년에 공세를 시작하여 에스테르곰(Esztergom)과 다른 요새들을 탈환했지만, 부다(Buda)에 대한 공격은 오스만 투르크 병사들로 인해 좌절되었다.

1532년 술레이만은 비엔나를 점령하기 위해 거대한 군대를 파견했지만, 쾨세그(Kőszeg)로 다른 경로를 택했다. 니콜라 유리시치(Nikola Jurišić) 크로아티아 백작이 이끄는 700명의 병력에 의한 방어 후, 수비군은 안전을 대가로 요새의 "명예로운" 항복을 받아들였다. 술탄은 철수했고,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의 왕인 요한 자폴랴(John Zápolya)를 인정해야 했다. 타타르 약탈자들은 하부 오스트리아(Lower Austria)를 약탈하고 많은 사람들을 노예로 끌고 갔다.[23]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사이의 평화는 9년 동안 지속되었지만, 요한 자폴야와 페르디난트는 국경을 따라 작은 충돌을 계속했다. 1537년 페르디난트는 오시예크(Osijek) 공성전에 장군들을 파견하여 평화 조약을 깨뜨렸고, 이는 또 다른 오스만의 승리였다. 그럼에도 페르디난트는 나지바라드 조약(Treaty of Nagyvárad)에 따라 헝가리 왕국의 상속자로 인정받았다.

1540년 요한 자폴랴가 사망한 후, 페르디난트의 상속은 요한의 아들 요한 시기스문트 자폴야(John Sigismund Zápolya)에게 주어졌다. 오스트리아인들은 부다로 진격했지만 술레이만에게 패배했다. 술레이만은 남은 오스트리아 군대를 제압하고 헝가리를 사실상 합병했다. 1551년 평화 조약이 체결될 무렵, 합스부르크 헝가리는 국경 지대 이상으로 축소되었다.

테메슈바르(Timișoara Fortress) 점령 후, 1552년


1552년 오스만 군대는 헝가리 왕국으로 국경을 넘었다. 하딤 알리 파샤가 이끄는 군대는 서부와 중부에, 카라 아흐메드 파샤(Kara Ahmed Pasha)가 이끄는 군대는 바나트(Banat) 지역의 요새들을 공격했다. 오스만 군대는 혼트주(Hont County)와 옛 노그라드주(Nógrád County (former))의 성을 정복했다. 합스부르크 군대는 플라슈토브체(Plášťovce)(Palásthu)에서 오스만 군대를 저지하려 했으나 에서 패배했고, 4,000명의 독일과 이탈리아 포로가 콘스탄티노플로 추방되었다. 두 군대는 솔노크(Szolnok)에서 합류한 다음, 솔노크 성(Szolnok Castle)을 포위하고 정복했고, 에게르(Eger)을 향했다.

1552년 9월 카라 아흐메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의 군대는 에게르 성(Eger Castle)을 포위 공격했지만, 이스티반 도보(István Dobó)가 이끄는 수비군은 공격을 물리치고 성을 방어했다. 에게르 공성전(1552년)(siege of Eger (1552))은 헝가리 점령기에 국가 방위와 애국적인 영웅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1554년 슬로바키아 남중부의 필랴코보(Fiľakovo) 마을과 성은 투르크인들에게 정복되었고, 1593년까지 산자크(sanjak)의 중심지였다. 1562년 3월 27일, 퓔렉(Fiľakovo) 성의 산자크베이(sanjak-bey)인 하산은 상부 헝가리(Upper Hungary)의 헝가리 군대를 에서 패배시켰다.

1541년 투르크인들이 부다를 장악한 후, 서부와 북부 헝가리는 합스부르크를 왕으로 인정했고("왕립 헝가리(Royal Hungary)"), 중부와 남부 주는 술탄이 점령했으며("오스만 헝가리(Ottoman Hungary)"), 동부는 트란실바니아 공국이 되었다. 헝가리 영토 내 오스만 요새에서 복무하는 1만 7천 명에서 1만 9천 명에 달하는 오스만 군인의 대다수는 터키계가 아닌 정교회와 무슬림 발칸 슬라브족이었다.[24] 남부 슬라브족은 아킨지(akinji)와 기타 경기병으로 활동했다.[25]

터키의 강 요새 공격, 시게트바르 공성전(siege of Szigetvár)], 1566년
소규모 전쟁에서 양측 모두 기회를 놓쳤다. 헝가리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오스트리아의 시도는 비엔나로의 오스만의 진격만큼이나 성공적이지 못했다. 오스만 제국은 여전히 강력하고 위험한 위협이었다. 프랑스(1536년부터)와 네덜란드(1612년부터)는 때때로 오스만과 함께 합스부르크에 대항하여 협력했다.

술레이만 1세는 1566년 시게트바르 공성전(siege of Szigetvár)에서 끝나는 마지막 작전을 이끌었다. 요새는 술탄의 군대에 맞서 견뎌냈지만, 72세의 노령의 술탄이 사망했다. 왕실 의사는[26] 군대에 소식이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교살되었고, 오스만은 요새를 점령하고 비엔나에 대한 공격 없이 얼마 후 작전을 끝냈다.[27]

평화는 1568년 아드리아노플에서 체결되었고 1576년, 1584년, 1591년에 갱신되었다.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사이의 전쟁은 장기 투르크 전쟁(Long Turkish War)인 1593년까지 다시 발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평화 기간 동안 "소규모 전쟁"()이 계속되었다.[28] 1571년 투르크인들은 호데요브(Hodejov) 성을 파괴했고 1575년 모드리 카메뉴(Modrý Kameň) 성을 정복했다. 1588년 시크소(Szikszó) 마을 근처에서 헝가리 군대가 투르크인들을 물리쳤다.

무라드 3세의 잘못된 관리가 전쟁 초반 오스만 제국의 패배로 이어졌을 수 있다


1532년 귄스 공성전이 벌어졌던 쾨세크 성의 폐허


1566년 슐레이만의 사망 후 셀림 2세는 유럽에 대한 위협이 덜했다. 무라드 3세는 향락주의자로 전선보다 하렘에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 공국이 오스만 제국에 대한 봉신 관계를 거부했다. 시삭 전투에서, 가지들이 크로아티아를 습격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패배했다.

1593년 시삭 전투에서 하산 프레도예비치의 치명적인 기병 돌격


1594년 대베지르 시난 파샤는 군대를 소집했다. 오스트리아는 그란에 대한 공성전을 포기하고 라압을 잃었다. 코마르노 요새는 베지르의 군대에 대해 충분히 오래 버텨 겨울을 위해 후퇴할 수 있었다.

1595년 기독교 연합군이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다뉴브 강을 따라 남쪽으로 진군했다. 왈라키아 공작인 용감한 미하이는 튀르크인들에 대한 원정을 시작했고 (1594-1595), 다뉴브 강 하류 근처의 여러 성을 정복했으며, 그의 몰다비아 동맹군은 이아시와 몰다비아의 다른 지역에서 튀르크인들을 패배시켰다.[65] 미하이는 오스만 제국 깊숙이 공격을 계속하여 니코폴리스, 리브니크, 킬리아[66]의 요새를 점령했고 심지어 아드리아노플(에디르네)[67]까지 도달했다.

오스만 군대의 승리, 케레슈테스 전투


왈라키아에서 오스만 군대의 패배 (컬러거레니 전투 참조)와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일련의 실패한 충돌 이후, 새로운 술탄 메흐메트 3세는 헝가리 북서쪽으로 군대를 진격시켰다. 1596년 에게르는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궤멸되었다.

오스트리아는 1597년 남쪽으로 진격하여 파파, 타타, 라압(죄르), 베슈프렘을 점령하며 전쟁을 재개했다. 튀르크 구원군이 그로스바르다인(나지바라드)에서 패배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은 더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1605년 라압만 오스트리아의 손에 남게 되었다. 그 해 헝가리 귀족들에 의해 친튀르크 봉신 공이 트란실바니아의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전쟁은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3. 2. 17세기 전쟁

1663년에서 1664년까지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생고타르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하며 끝났다. 특히 프랑수아 도뷔송 드 라 휘야드와 장 드 콜리니-살리니가 이끄는 6,000명의 프랑스 군대의 공격이 결정적이었다.[79]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으로 눈을 돌렸고, 폴란드 국왕 3세 요한 소비에스키는 호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 승리했다.

1682년,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에 대한 합스부르크 제국의 급습에 대응하여 대규모 군대를 빈으로 진군시켰다.

1683년, 15개월간의 병력 동원 끝에 오스만 제국의 대베지르는 빈에 도착했다. 오스트리아는 3세 요한 소비에스키를 포함한 여러 동맹을 맺었다. 1683년 빈 전투가 시작되었을 때, 소비에스키와 그의 독일-폴란드 연합군이 도착하여 오스만 군을 격파하고 포위 공격을 해제했다.

빈 포위 공격의 클라이맥스


젠타 전투


1686년, 신성 동맹군은 부다를 탈환했다. 1687년 오스만 제국은 모하치 제2차 전투에서 패배했다. 1697년 젠타 전투에서 또다시 패배한 오스만 제국은 평화를 요청했고, 1699년 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어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다.

오스만 제국의 로도스 점령(1522년), 키오스 점령(1566년), 키프로스 점령(1570년) 이후 크레타 (1669년)는 동지중해에서 오스만 제국 지배하에 들어간 마지막 주요 섬이었다.[68]

크레타 칸디아(헤라클리온)의 베네치아 요새


1644년 7월, 이집트로 향하던 오스만 함선이 몰타 기사단에게 포위되어 함락되었다.[70] 이에 대한 대응으로 오스만 제국은 1645년에 대규모 함대를 집결시켰다.[71] 오스만 제국은 기습을 이용하여 1645년 6월 크레타 원정을 시작했다.[72] 1645년부터 1648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은 섬 대부분을 점령했고, 1648년 5월에는 수도 칸디아(현재 헤라클리온)를 포위하기 시작했다.[73]

칸디아 공방전은 21년 동안 계속되었다. 1666년, 오스만 제국은 크레타로 대규모 증원군을 파견했다.[76] 보퍼트 공작 프랑수아 드 뱅돔 지휘하의 프랑스 군인들의 오스만군 포위망 돌파 시도가 실패한 후, 도시는 1669년 9월 5일에 항복했다.[78]

3. 3. 18세기 전쟁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16년-1718년)


1717년, 사보이아의 외젠이 벨그라드를 함락시키다


거대 튀르크 전쟁이 오스만 제국에게 큰 피해를 입혔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은 곧 프랑스와의 또 다른 전쟁(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1711년 러시아와의 전투(프루트 강 전투)와 1715년 베네치아와의 전투(1714년-1718년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에서 승리한 오스만 제국은 1716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7월 벨그라드에서 북쪽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이 침략은 알리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군대가 8월 페트로바라딘 전투에서 사보이아의 외젠 휘하의 오스트리아군에게 궤멸되면서 대참사로 끝났다. 사보이아의 외젠은 1년 후 1717년 벨그라드 공성전에서 벨그라드를 함락시켰다. 그 후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어 오스트리아는 테메슈바르 바나트, 세르비아와 올테니아를 얻었다.

오스트리아는 1737년 러시아와 함께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전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1739년 그로츠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 패배했다. 그 결과, 벨그라드 조약(1739)에 따라 세르비아와 왈라키아에서의 정복은 무효화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세르비아(벨그라드 포함), 테메슈바르 바나트의 남부, 북부 보스니아를 오스만 제국에 할양했고,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얻은 크라이오바 바나트(올테니아)는 왈라키아(오스만의 속국)에 할양하고, 사바 강과 다뉴브 강을 경계선으로 삼았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88년-1791년)은 결론이 나지 않았고,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장은 시스토바 조약에서 미미했다. 오스트리아는 보스니아, 벨그라드, 부쿠레슈티를 포함한 넓은 영토를 점령했지만, 프랑스 혁명 전쟁프로이센과의 외교적 긴장에 직면했다. 이 전쟁으로 얻은 것은 왈라키아의 오르쇼바 마을과 크로아티아 국경의 작은 마을 두 곳뿐이었다. 비록 이 분쟁이 두 강대국 간의 마지막 직접 충돌이었지만, 정치적, 군사적 긴장은 계속되었다.

4. 지중해에서의 갈등

오스만 제국은 15세기부터 해군력을 빠르게 강화하여 지중해의 패권을 두고 합스부르크 가 및 베네치아와 갈등을 빚었다. 14세기에는 소규모 해군만 보유했던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수백 척의 함선을 건조하여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고 이탈리아 해상 공화국들에 도전했다.

1522년 로도스 공방전에서 승리한 오스만 제국은 성 요한 기사단을 몰아내고 지중해 동부의 주요 거점을 확보했다. 이에 맞서 카를 5세는 신성 동맹을 결성하여 1535년 튀니스를 공격했지만, 하이레딘 바르바로사가 이끄는 오스만 해군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승리하며 지중해에서의 세력을 확장했다.

1541년 카를 5세의 알제 원정은 실패로 끝났고, 이후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로 거점을 옮기자 오스만 제국은 1565년 몰타 공방전을 벌였으나 몰타 점령에 실패했다.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해군이 신성 동맹 함대에 대패했지만, 베네치아는 결국 1573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해야 했다.

4. 1. 해상 전투 및 주요 사건

1522년, 오스만 제국은 로도스 공방전에서 승리하여 성 요한 기사단을 몰아냈고, 이로써 기독교 세력은 중요한 해군 기지를 잃게 되었다.[29] 카를 5세는 1535년 신성 동맹을 결성하여 튀니스를 점령했지만, 하이레딘 바르바로사가 이끄는 오스만 해군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신성 동맹에 승리하였다.

1565년 몰타 포위전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로 이동한 후에도 오스만 함대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1565년, 슐레이만 1세는 몰타를 공격했으나, 세인트엘모 요새를 함락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결국 몰타 점령에는 실패하였다.

레판토 해전


1571년, 세림 2세가 이끄는 오스만 해군은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에게 패배하였다. 이 전투는 오스만 제국에게 큰 타격을 주었지만, 베네치아는 1573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해야 했다.

4. 2. 오스만 제국의 해양 확장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들어 해군력을 빠르게 강화하기 시작했다. 14세기까지만 해도 소규모 해군만 보유했던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수백 척의 함선을 보유하며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키고 베네치아제노바 같은 이탈리아 공화국의 해상 세력에 도전했다. 1480년, 오스만 제국은 성 요한 기사단의 거점인 로도스섬을 공격했으나(로도스 공방전) 실패했다. 하지만 1522년 로도스 공방전에서 승리하여 기독교 세력의 중요한 해군 기지를 잃게 만들었다.

1522년 로도스 공방전


이에 카를 5세는 1535년 6만 명의 병력으로 신성 동맹을 결성하여 오스만 제국의 튀니스를 공격했다. 하이레딘 바르바로사의 함대가 제노바 함대에 패배한 후, 카를 5세의 군대는 튀니스 주민 3만 명을 학살했다.[29] 그러나 이 전투는 완전한 성공은 아니었는데, 많은 신성 동맹 병사들이 이질에 걸렸기 때문이다. 바르바로사의 함대 대부분은 북아프리카에 없었고, 오스만 제국은 1538년 프레베자 해전에서 신성 동맹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1541년 카를 5세는 알제를 공격하기 위해 원정을 감행했지만, 안드레아 도리아의 함대가 폭풍을 만나 많은 배를 잃었고, 예니체리의 공격으로 카를 5세는 결국 철수했다.

로도스섬을 잃었음에도 키프로스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로 이동하자, 오스만 제국은 이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오스만 함대는 이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남부 유럽과 이탈리아 주변의 여러 지역을 공격했다. 1565년, 슐레이만 1세는 몰타 공방전을 벌였으나, 세인트엘모 요새를 함락시키는 데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몰타 점령에 실패했다.

1566년 슐레이만 1세가 사망하고 세림 2세가 권력을 잡았다. 그는 베네치아로부터 키프로스를 탈취하기 위한 원정대를 조직했다. 1571년 키프로스를 점령했지만,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에게 패배했다. 신성 동맹은 유럽의 군사력을 모아 오스만 제국에 타격을 입혔지만, 키프로스를 탈환하는 데는 실패했다. 결국 베네치아는 1573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5. 오스만 제국과 동남아시아

술레이만 1세 치세 말기, 오스만 제국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3개 대륙에 걸쳐 광대한 영토를 가졌으며, 지중해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는 강력한 해군력을 보유한 유럽 정치의 중요한 세력이었다.[30][31]

당시 합스부르크 왕가의 펠리페 2세가 이끄는 이베리아 연합 아래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통합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이들과 종교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칼리프 칭호를 가진 오스만 제국과 기독교 세력인 이베리아 연합은 지중해[32]인도양[33]에서 충돌했다. 이베리아 세력은 아프리카를 돌아 인도로 가는 항로를 개척하며 오스만 제국 및 지역 무슬림 동맹국들과 전쟁을 벌였고, 라틴 아메리카를 거쳐 필리핀을 기독교화하여 동쪽의 무슬림들을 공격했다.[34]

이에 오스만 제국은 동남아시아의 아체 술탄국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35][36] 1500년대 루손(Luzones) 사람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활동하며 오스만 제국과 포르투갈 양쪽에서 일자리를 찾았다.[37] 오스만 제국은 아체 술탄국 지원에 집중했고,[40] 포르투갈은 말라카를 정복했다.[38][39] 오스만 제국의 아체 원정 이후, 오스만 사령관 헤레딤 마파메데는 루손 출신 필리핀인 사페투 디라자에게 아체 술탄국의 아루(수마트라 북동부) 수비를 맡겼다.[43] 루손 사람들은 포르투갈에 맞서 말라카 재정복 시도에도 참여했으나 실패했다.[44]

5. 1. 오스만-아체 관계

술레이만 1세 통치 말기, 오스만 제국은 약 877888mi2에 달하는 영토를 가지며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3개 대륙에 걸쳐 있었다.[30] 또한 제국은 지중해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는 강력한 해군력을 갖추게 되었다.[31] 이 시기에 오스만 제국은 유럽 정치권에서 중요한 세력이었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펠리페 2세가 이끄는 이베리아 연합 아래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통합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다대륙 종교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전 세계 무슬림의 지도자를 의미하는 칼리프 칭호를 가진 오스만 제국과 기독교 십자군의 지도자였던 이베리아 세력은 지중해[32]인도양[33]에서 전면적인 충돌을 벌였다. 이베리아 세력은 아프리카를 돌아 인도에 도달하는 항로를 개척하면서 오스만 제국과 그 지역의 무슬림 동맹국들과 전쟁을 벌였고, 새롭게 기독교화된 라틴 아메리카를 거쳐 후안 데 살세도가 이끄는 원정대를 태평양으로 파견하여 부분적으로 무슬림화된 필리핀을 기독교화하고 이곳을 거점으로 동쪽의 무슬림들을 공격했다.[34]

이에 오스만 제국은 동남아시아의 가장 동쪽에 있는 속국이자 영토인 아체 술탄국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35][36] 17세기 동안 오스만 칼리프국과 이베리아 연합 간의 격렬한 세계적 분쟁은 양측 모두 인구, 기술, 경제 수준이 비슷했기 때문에 교착 상태에 머물렀다.

5. 2. 필리핀에서의 갈등

1598년 스페인의 필립 2세 국왕 치하 이베리아 연합


1500년대, 루손(Luzones) 사람들은 필리핀 루손 출신으로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무역 및 군사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과 포르투갈 양측 모두에서 활동했다.[37] 당시 오스만 제국은 동남아시아 술탄국에 대한 지원을 아체 술탄국에 집중했고,[40] 포르투갈은 말라카를 정복했다.[38][39]

1521년,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가문에 의한 필리핀(루손 포함) 정복이 시작되었다. 1565년,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멕시코에서 도착하여 세부에 최초의 유럽인 정착촌을 건설하면서 유럽의 식민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571년, 스페인은 마닐라 왕국을 공격하여 해방시켰고, 톤도 왕국을 병합하여 마닐라를 스페인 동인도의 수도로 삼았다.

마닐라가 스페인에 함락되면서, 무슬림 세력, 특히 브루나이, 오스만 제국, 아체에게는 큰 타격이었다. 이전까지 무슬림 도시 국가였던 마닐라는 이제 동남아시아의 여러 술탄국을 상대로 하는 기독교 세력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이다.

스페인과 브루나이 간의 긴장은 고조되었고, 이는 결국 카스티야 전쟁과 스페인-모로 전쟁으로 이어졌다. 당시 유럽과 세계 여러 지역은 단일 국교가 지배하는 종교적 열정의 시대였다. 스페인의 국교는 로마 가톨릭이었기에, 유대인과 무슬림 같은 다른 종교 신자들은 강제로 개종해야 했다.

1576년, 마닐라의 스페인 총독 프란시스코 데 산데는 브루나이의 사이풀 리잘 술탄에게 기독교 전파를 허가해 줄 것과 필리핀에서 브루나이의 이슬람 전파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사이풀 리잘 술탄은 이를 거부했고, 스페인은 1578년에 전쟁을 선포했다.

1578년 3월, 스페인 함대가 브루나이를 향해 출발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스페인은 1578년 4월 16일, 브루나이의 수도 코타 바투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61] 그러나 스페인군은 콜레라 또는 이질로 큰 피해를 보았고,[62][63] 72일 만에 마닐라로 돌아갔다.[63] 이후 스페인과 브루나이 사이에는 평화로운 관계가 회복되었다.

6. 전쟁의 기술적 측면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초기, 오스트리아는 경제적, 재정적 어려움을 겪어 '터키세(Türken Steuer)'를 도입해야 했다. 카를 5세와 푸거 가문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의 수입으로는 5,000명의 용병을 두 달 동안만 고용할 수 있었다.[12] 반면, 헝가리 왕국은 전쟁으로 황폐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나 보헤미아 왕국보다 경제적으로 더 중요했으며, 페르디난트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14][15]

최초의 터키식 화승총은 15세기에 헝가리식 화승총 "Szakállas puska"에서 유래한 "Şakaloz"라고 불린다.[16]

6. 1. 서유럽 기독교 군대의 기술적 우위

오스만 제국예니체리는 16세기 초부터 전투에서 화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서유럽 기독교 군대에 비해 휴대용 화기 사용은 훨씬 늦게 확산되었다. 바퀴식 권총은 헝가리 왕국과 서유럽 기독교 군대가 수십 년 동안 사용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1543년 세케슈페헤르바르 공성전까지 오스만 군인들에게는 생소했다. 1594년 보고서에 따르면, 오스만 군인들은 아직 권총을 채택하지 않았다.[17]

1602년, 그랜드 베지어는 헝가리 전선에서 기독교 군대의 화력 우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 "야전이나 공성전에서 우리는 곤란한 지경에 처해 있습니다. 적군의 대부분이 머스켓으로 무장한 보병인 반면, 우리 군대의 대부분은 기병이며, 머스켓 사용에 능숙한 전문가는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18]

1637년 알비세 포스카리니(베네치아의 콘스탄티노플 주재 대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예니체리 중에서도 아르케뷰스 사용법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19]

6. 2. 군사 전략 및 전술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간의 전쟁에서 양측은 각자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군사 전략과 전술을 활용했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경제적,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방어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했다. 페르디난트 1세는 '터키세(Türken Steuer)'를 도입하고, 카를 5세와 푸거 가문 등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군사력을 유지하려 했다.[12] 헝가리 왕국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중요한 수입원이었기에, 헝가리 지역 방어는 매우 중요했다.[14][15]

오스만 제국은 술레이만 1세 시기에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전략을 펼쳤다. 1529년에는 약 12만 명의 대군을 파견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을 압박했다.[13] 그러나 셀림 2세와 무라드 3세 시대에는 내부 문제와 해상에서의 패배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1593년 시삭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큰 패배를 당했고, 이후 예니체리들의 반란 등으로 인해 베슈프렘 외에는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594년, 오스만 제국의 대베지르 시난 파샤는 대규모 군대를 소집하여 반격에 나섰지만, 오스트리아는 코마르노 요새를 지켜내며 겨울 동안 버텼다. 1595년에는 기독교 연합군이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다뉴브 강을 따라 진격했으며, 왈라키아 공작 용감한 미하이는 오스만 제국 깊숙이 공격하여 여러 요새를 점령하고 아드리아노플(에디르네)까지 도달했다.[65][66][67]

1596년, 메흐메트 3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진격하여 에게르를 함락시켰고,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전투 후 예니체리들에 대한 부적절한 처우는 반란을 야기했다.

1597년, 오스트리아는 남쪽으로 진격하여 파파, 타타, 죄르(라압), 베슈프렘을 점령하며 반격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했지만, 1605년에는 헝가리 귀족들이 친튀르크 봉신 공을 트란실바니아의 지도자로 선출하면서 전쟁은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1683년, 오스만 제국은 을 포위했지만, 오스트리아는 폴란드 등과의 동맹을 통해 방어에 성공했다. 1686년에는 신성 동맹군부다를 탈환했고, 1687년 모하치 제2차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대패했다. 1697년 젠타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오스만 제국은 칼로비츠 조약을 통해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했다.

7. 전쟁의 영향 및 결과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은 유럽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1566년 슐레이만 대제 사후 오스만 제국이 점차 쇠퇴하면서 유럽의 세력 균형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레판토 해전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해상 패배를 당하고,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 등이 반기를 들면서 오스만 제국의 군사적 상황은 악화되었다. 시삭 전투에서의 대패와 예니체리들의 반란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심화시켰다.[65][66][67]

기술적 열세 또한 오스만 제국의 발목을 잡았다. 1594년 대규모 군대를 소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란 공성전을 포기하고 라압을 상실했으며, 코마르노 요새만이 오스만 군의 진격을 저지할 수 있었다. 1595년 기독교 연합군이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다뉴브 강을 따라 남진하자, 용감한 미하이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원정을 시작하여 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까지 진격했다.

메흐메트 3세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진격하여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예니체리들의 불만을 사 반란을 겪었다. 1597년 오스트리아는 반격에 성공했고, 1605년 헝가리 귀족들은 친튀르크 봉신 공을 트란실바니아의 지도자로 선출하면서 전쟁은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거대 튀르크 전쟁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휘말렸다. 1716년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선전포고했지만, 페트로바라딘 전투와 1717년 벨그라드 공성전에서 대패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테메슈바르 바나트, 세르비아, 올테니아를 획득했다. 1737년 오스트리아는 러시아와 함께 오스만 제국에 다시 전쟁을 선포했지만, 그로츠카 전투에서 패배하고 벨그라드 조약을 통해 세르비아와 왈라키아에서의 정복을 무효화당했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88년-1791년)은 시스토바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오스트리아는 소규모 영토 확장에 그쳤다.

이후 100년 동안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는 다른 유럽 열강들에 비해 쇠퇴했다. 특히 오스만 제국은 발칸반도에서 민족주의 운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867년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형성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이점을 누리지 못했다. 유럽 기술을 따라잡으려는 오스만 제국의 노력은 계몽주의와 평등주의 사상을 유입시켜 전통적인 밀레트 제도와 충돌을 일으켰고, 결국 오스만 제국은 1878년 보스니아 점령을 막지 못했다.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사이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해 자주권을 잃고 분할되는 아픔을 겪었다. 무라드 3세 치세 동안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에 대한 봉신 관계를 거부하고, 1593년 시삭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가 대패하면서 헝가리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65] 1595년 기독교 연합군이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용감한 미하이가 이끄는 왈라키아 군대가 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까지 진격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은 크게 약화되었다.[66][67] 메흐메트 3세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진격하여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예니체리들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1683년 부다 포위전 실패 이후, 1686년 신성 동맹군이 부다를 탈환하고, 1687년 모하치 제2차 전투와 1697년 젠타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가 대패하면서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게 되었다. 특히 젠타 전투는 헝가리인들에게 잊을 수 없는 패배로, 이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7. 1. 유럽 세력 균형의 변화

1566년 슐레이만 대제 사후 오스만 제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셀림 2세는 키프로스를 점령했지만, 레판토 해전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해상에서 패배했다. 그의 후계자 무라드 3세는 향락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했고,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오스트리아와 다시 전쟁을 벌였다.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면서 군사적 상황은 악화되었다. 시삭 전투에서 오스만 군은 대패했고, 예니체리들은 겨울 작전을 거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65][66][67]

기술적 열세 또한 오스만 제국의 발목을 잡았다. 1594년 대규모 군대를 소집한 오스만 제국은 그란 공성전을 포기하고 라압을 상실했다. 코마르노 요새가 오스만 군의 진격을 저지한 것이 오스트리아에게는 유일한 위안이었다.

1595년, 기독교 연합군은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다뉴브 강을 따라 남진했다. 왈라키아 공작 용감한 미하이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원정을 시작하여 여러 성을 정복하고, 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까지 진격했다.

왈라키아에서의 패배와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계속된 충돌에 놀란 술탄 메흐메트 3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진격했다. 1596년 에게르가 함락되었고,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오스만 군이 승리했다. 그러나 메흐메트 3세는 예니체리들의 불만을 사 반란을 겪었다.

1597년 오스트리아는 파파, 타타, 라압 (죄르), 베슈프렘을 점령하며 반격했고, 튀르크 구원군은 그로스바르다인에서 패배했다. 1605년, 헝가리 귀족들은 친튀르크 봉신 공을 트란실바니아의 지도자로 선출했고, 전쟁은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거대 튀르크 전쟁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휘말렸다. 1716년,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선전포고했지만, 페트로바라딘 전투에서 대패하고 사보이아의 외젠에게 1717년 벨그라드 공성전에서 벨그라드를 빼앗겼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테메슈바르 바나트, 세르비아, 올테니아를 획득했다.

1737년, 오스트리아는 러시아와 함께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지만, 1739년 그로츠카 전투에서 패배했다. 벨그라드 조약으로 세르비아와 왈라키아에서의 정복은 무효화되었고, 오스트리아는 여러 영토를 오스만 제국에 할양했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88년-1791년)은 시스토바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오스트리아는 소규모 영토 확장에 그쳤다.

이후 100년 동안,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는 다른 유럽 열강들에 비해 쇠퇴했다. 특히 오스만 제국은 발칸반도에서 민족주의 운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867년,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형성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이점을 누리지 못했다.

유럽 기술을 따라잡으려는 오스만 제국의 노력은 계몽주의와 평등주의 사상을 유입시켜 전통적인 밀레트 제도와 충돌을 일으켰다. 결국 오스만 제국은 1878년 보스니아 점령을 막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와 다른 열강들은 이집트의 반란에 맞서 오스만 왕조의 붕괴를 막는 데 도움을 주었다(1840년 동방 위기).

7. 2. 헝가리의 운명

무라드 3세 치세 동안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전쟁에서 초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에 대한 봉신 관계를 거부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593년 시삭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는 크로아티아 군대에게 대패했다.[65] 이에 시난 파샤가 이끄는 대규모 오스만 군대가 반격에 나섰으나, 그란 공성전을 포기하고 라압을 상실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595년, 기독교 연합군은 에스터곰을 탈환하고 다뉴브 강을 따라 남진했다. 용감한 미하이가 이끄는 왈라키아 군대는 지우르지우, 브러일라, 허르쇼바, 실리스트라 등 다뉴브 강 하류의 여러 성을 점령하고, 니코폴리스, 킬리아 요새를 점령했으며, 심지어 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까지 진격했다.[66][67]

이러한 상황에 위협을 느낀 메흐메트 3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진격했다. 1596년 에게르를 함락시키고, 케레슈테스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군대를 격파했다. 그러나 메흐메트 3세의 미숙한 지휘는 예니체리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결국 반란으로 이어졌다.

오스트리아는 1597년 공세를 재개하여 파파, 타타, 라압 (죄르), 베슈프렘을 점령하고, 튀르크 구원군을 격파했다. 1605년, 헝가리 귀족들은 친튀르크 성향의 지도자를 선출했고, 결국 지트바토로크 조약을 통해 전쟁은 종결되었다.

1683년 부다 포위전 실패 이후, 1686년 신성 동맹군은 부다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1687년 모하치 제2차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는 대패했고, 1697년 젠타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칼로비츠 조약을 체결하여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지배권을 오스트리아에 넘겨주게 되었다.

이 시기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사이에서 끊임없이 전쟁터가 되면서 자주권을 잃고 분할되는 아픔을 겪었다. 특히 젠타 전투는 헝가리인들에게 잊을 수 없는 패배로, 이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7. 3. 오스만 제국의 쇠퇴

19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러시아에 비해 힘이 약해졌다. 오스만 제국은 오스트리아보다 중공업이 더 부족했고,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의 힘은 더 빠르게 쇠퇴했다. 발칸반도에서는 독립을 요구하는 민족주의 운동이 거세지면서 군사력이 약했던 오스만 제국은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1867년,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 타협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수립하고 주요 민족 집단의 반란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이점을 누리지 못했다.[1]

1878년 사라예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에 저항하는 보스니아계 무슬림의 모습.


유럽의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오스만 제국은 장교와 지식인들을 해외로 유학 보냈지만, 이들은 계몽주의와 평등주의 사상을 가지고 돌아와 오스만 제국에 역효과를 낳았다. 이러한 사상은 터키 중심의 전제적인 밀레트 제도와 충돌했다. 그 결과, 오스만 제국의 힘은 오스트리아보다 빠르게 쇠퇴했고, 1878년 보스니아 점령을 막지 못하고 1908년에는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1]

오스트리아와 다른 강대국(영국, 프로이센, 러시아)은 반란을 일으킨 이집트에 맞서 오스만 왕조가 초기에 붕괴되는 것을 막았다(1840년 동방 위기). 영국, 오스트리아, 오스만 함대는 시리아와 알렉산드리아의 항구를 공격했고, 연합군은 아크르를 함락시켜 이집트가 중동 전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포기하게 만들었다.[1]

8. 제1차 세계 대전과 오스만-합스부르크 동맹

전쟁이 끝날 무렵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권력 균형을 바꾸었다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라는 공통의 위협과 독일이라는 공통의 동맹국을 통해 관계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독일이 러시아에 대항하여 자국을 방어할 수 있도록 산업화를 지원해주기를 바랐다. 한편, 러시아는 "반터키 전쟁"을 추진하여 크림반도와 코카서스에서 튀르크인들을 몰아냈다. 독일은 공통의 문화와 언어,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관대하게 부과된 조건을 통해 오스트리아에 접근했다. 오스트리아는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희생시켜 자국 국경으로 진출하는 것을 경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과거의 두 적국은 프랑스, 러시아, 영국에 맞서는 동맹국이 되었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생제르맹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분할을 받아들여 항복했고, 오스만 제국도 세브르 조약에 따라 항복했다.[1]

8. 1. 동맹의 배경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관계는 러시아라는 공통의 위협과, 차르의 위협에 맞선 독일이라는 공통의 동맹국을 찾으면서 개선되기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독일이 러시아에 대항하여 자국을 방어할 수 있도록 산업화를 지원해주기를 바랐다. 러시아는 "반터키 전쟁"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크림반도와 코카서스에서 튀르크인들을 몰아냈다. 한편, 독일 제국은 공통의 문화와 언어, 그리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관대하게 부과된 조건을 통해 오스트리아에 접근했다. 오스트리아는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희생시켜 자국 국경으로 진출하는 것을 경계했다. 따라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몇 년 동안 두 이전의 적국은 프랑스, 러시아, 영국에 맞서 동맹국이 되었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생제르맹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분할을 받아들여 항복했고, 오스만 제국도 세브르 조약에 따라 항복했다.[1]

8. 2. 전쟁의 결과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관계는 러시아라는 공통의 위협과, 러시아 차르의 위협에 맞설 수 있는 독일이라는 공통의 동맹국을 발견하면서 개선되기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독일이 러시아에 대항하여 자국을 방어할 수 있도록 산업화를 지원해주기를 바랐다. 러시아는 "반터키 전쟁"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크림반도와 코카서스에서 튀르크인들을 몰아냈다. 한편, 독일 제국은 공통의 문화와 언어, 그리고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관대하게 부과된 조건을 통해 오스트리아에 접근했다. 오스트리아는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희생시켜 자국 국경으로 진출하는 것을 서두르지 않았다. 따라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몇 년 동안 과거의 두 적국은 프랑스, 러시아, 영국에 맞서는 동맹국이 되었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생제르맹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분할을 받아들여 항복했고, 오스만 제국도 세브르 조약에 따라 항복했다.

참조

[1] 문서 null
[2] 문서 null
[3] 문서 null
[4] 문서 null
[5] 웹사이트 Victimario Histórico Militar http://remilitari.co[...]
[6] 웹사이트 Cross and Crescent http://mek.oszk.hu/0[...] 2018-08-17
[7]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Rutgers University Press 1999
[8] 논문 New Views on Ottoman History, 1453–1839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9] 서적 Reader's Guide to Military History 2001
[10] 서적 The Crusade of Varna, 1443–45 2013
[11] 서적 War and Society in East Central Europe: The fall of medieval kingdom of Hungary: Mohacs 1526–Buda 1541 1989
[12]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3]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14]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Volume 1 van Brill's Companions to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
[15] 논문 The Financial Administrative Reforms and Revenues of Ferdinand I in Hungary http://www.tti.hu/im[...] 2017-06-06
[16] 서적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www.google.c[...] MIT Press 2005
[17] 서적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5
[18]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19] 서적 The Climate of Rebellion in the Early Modern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0] 서적 Defenders of the faith: Charles V, Suleyman the Magnificent, and the battle for Europe, 1520–1536 2009
[21]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22] 서적 Salus Vienna Tua: The great siege of 1683
[23] 웹사이트 The Sultan's Raiders: The Military Role of the Crimean Tatars in the Ottoman Empire http://www.jamestown[...] 2013
[24] 서적 A History of Hungary
[25] 서적 The Ottoman Empire
[26] 서적 Ottoman Centuries Morrow Publishing 1977
[27] 논문 The Road to Szigetvár: Ferdinand I's Defense of His Hungarian Border, 1548–1566 2013
[28] 서적 The Administration of Warfare: The Ottoman Military Campaigns in Hungary, 1593–1606 VWGÖ 1988
[29]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30]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09
[31] 서적 Constantinople: city of the world's desire 1453–1924 Penguin 1997
[32] 서적 Empires of the Sea: The siege of Malta, the Battle of Lepanto and the contest for the center of the world Random House 2008
[33] 웹사이트 The Ottoman 'Discovery' of the Indian Ocean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Age of Exploration from an Islamic Perspective | History Cooperative https://historycoope[...] 2021-08-22
[34] 서적 Crusaders in the Far East: The Moro Wars in the Philippines in the Context of the Ibero-Islamic World War Jain Publishing Company 2012
[35] 서적 Turkish Public Administration: From Tradition to the Modern Age Ankara 2008
[36] 서적 Ottoman–Aceh Relations According to the Turkish Sources http://www.ari.nus.e[...] 2018-12-16
[37] 서적 Relazione del primo viaggio intorno al mondo
[38] 서적 Quest of the Dragon and Bird Clan; The Golden Age (Volume III) – Lungshanoid (Glossary)
[39] 서적 A suma oriental de Tome Pires e o livro de FranciscoRodriguez: Leitura e notas de Armando Cortesao Hakluyt Society
[40]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atlas,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https://books.google[...]
[41] 서적 The Travels of Mendes Pinto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42] 간행물 Brunei's Two (or More) Capitals Brunei Museum Journal
[43] 서적 Peregninacao Lisboa
[44] 서적 The Portuguese Missions
[45] 서적 A History of Singapore: 1819–1975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Sojourners and Settlers: Histories of Southeast China and the Chine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07-22
[47] 서적 Elusive Pirates, Pervasive Smugglers: Violence and Clandestine Trade in the Greater China Seas Hong Kong University Press
[48] 서적 Raiding, Trading, and Feasting: The Political Economy of Philippine Chiefdoms University of Hawaiì Press
[49] 서적 An Abridged Malay–English Dictionary (romanised) Macmillan and Co
[50] 서적
[5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Inc. 2020-09-11
[52] 웹사이트 Second Book of the Second Part of the Conquests of the Filipinas Islands, and Chronicle of the Religious of Our Father, St. Augustine http://www.zamboanga[...]
[53] 문서 Melchor Davalos to the King Lewis Hanke, Cuerpo de Documentos del Siglo XVI sobre los derechos de España en las Indias y las Filipinas 1585-06-20
[54] 서적 European sources for the history of the Sultanate of Brunei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Muzium Brunei 2021-07-22
[55] 서적 Annual report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1-07-22
[56] 서적
[57] 웹사이트 Letter from Francisco de Sande to Felipe II, 1578 http://www.filipinia[...] 2009-10-17
[58] 웹사이트 Letter from Fajardo to Felipe III From Manila, August 15 1620 http://www.gutenberg[...]
[5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7-22
[60]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atlas,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https://books.google[...]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웹사이트 The Historical Richness of Guerrero http://www.guerrero.[...] 2010-06-24
[65] 서적 Istoria Românilor Editura All
[66] 서적 Historia von den Empörungen, so sich im Königreich Vngarn, auch in Siebenbürgen, Moldaw, in der Bergische Walachey vnd andern örthern zugetragen haben
[67] 문서 correspondence with the Doge of Venice 1595-07-16
[68]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Facts on File
[69]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I.B. Tauris
[70] 서적 Venice, Austria, and the Turks in the Seventeenth Century Diane Publishing
[71]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Palgrave Macmillan
[72] 문서 Setton (1991)
[73]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John Murray
[74] 문서 Setton (1991)
[75] 문서 Imber (2002)
[76] 문서 Setton (1991)
[77] 문서 Setton (1991)
[78] 문서 Finkel (2006)
[79] 웹사이트 pr cikk weboldal https://www.iearn.hu[...] 2023-01-30
[80] 웹사이트 Cross and Crescent http://mek.oszk.hu/0[...]
[81]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Rutgers University Press 1999
[82] 서적 Ottoman Wars, 1700-1860: An Empire Besieged Pearson Education Ltd. 2007
[82] 저널 New Views on Ottoman History, 1453-1839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3] 서적 Reader's Guide to Military History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