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 서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서사시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한 장편 서사시들을 지칭하며,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산스크리트어의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 타밀어의 실라파티카람, 메이테이어의 캄바 토이비 세이랭 등이 있다. 이 서사시들은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각 언어별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문학 - 판차탄트라
    《판차탄트라》는 의인화된 동물들이 등장하여 삶의 처세술을 보여주는 고대 인도 우화집으로, 6세기경 서방 세계에 널리 알려지면서 동서양 설화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와 저술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비슈누샤르마가 왕자들을 위해 썼다는 설이 있다.
  • 인도 문학 - 라마야나
    라마야나는 고대 인도의 서사시로 라마 왕자의 여정을 중심으로 이상적인 인물과 관계의 의무를 묘사하며,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변형되어 전승되고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의 예술,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인도 서사시
개요
유형서사시
하위 유형인도 문학
언어산스크리트어
다양한 프라크리트어
타밀어
기타 인도아리아어
드라비다어
국가인도
네팔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태국
주요 작품
산스크리트 서사시마하바라타
라마야나
타밀 서사시실라파티카람
마니메칼라이
시바카 친타마니
발라이야파티
쿤달라케시
칸나다 서사시아디푸라나 (팜파)
비크라마르주나 비자야
텔루구 서사시안드라 마하바라탐
랑가나타 라마야남
힌디어 서사시라마차리타마나사
아삼어 서사시키르탄-고샤
오디아 서사시마하바라타 (사랄라 다사)
빌랑카 라마야나
말라얄람 서사시라마차리탐
마라티 서사시바바르카함
구자라트 서사시크리슈나 차리트라
싱할라 서사시라마야나 (쿠마라다사)
추가 정보
영향인도 문학
동남아시아 문학
티베트 문학
인도네시아 문학
크메르 문학
말레이시아 문학
관련 주제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2. 인도 서사시

인도 서사시는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하여 발전한 서사시 문학 장르를 총칭하는 말이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대표적인 인도 서사시
이미지길이 (행)원제로마자 표기문자적 의미원어기원저자장르비고
쿠룩셰트라 전투
100,000 연(200,000 행)महाभारतम्|마하바라탐sa마하바라타위대한 바라타산스크리트어인도 아대륙비야사산스크리트 문학, 힌두교[2]
51,820 행 (나나크 프라카쉬 포함 60,000행)ਗੁਰਪ੍ਰਤਾਪ ਸੂਰਜ ਗ੍ਰੰਥ|구르프라탑 수라지 그란트br구르 프라탑 수라지 그란트구루의 영광의 태양과 같은 탁월함브라지 바샤카이탈의 시크 왕국마하카비 산토크 싱브라지 문학, 시크교 문학
라마의 카반다 공격
24,000 연 (48,000 행)रामायणम्|라마야남sa라마야나라마의 여정 또는 라마의 진보산스크리트어인도 아대륙발미키산스크리트 문학, 힌두교[4]
캄바의 카오(황소) 포획
39,000 행ꯈꯝꯕ ꯊꯣꯏꯕꯤ ꯁꯩꯔꯦꯡ|캄바 토이비 세이랭mni캄바 토이비 세이랭캄바와 토이비에 관한 시메이테이어 (공식적으로 "마니푸리어"라고 불림)마니푸르 왕국히잠 아강할모이라의 화신 서사시, 메이테이 문학[5][6][7]
바가바드 기타
21,507ఆంధ్ర మహాభారతం|안드라 마하바라탐te안드라 마하바라탐텔루구의 위대한 바라탐텔루구어동 찰루키아카비트라얌텔루구 문학, 힌두교
칸나키 여신
5,730சிலப்பதிகாரம்|실라파티카람ta실라파티카람발찌의 이야기타밀어타밀라캄일랑고 아디갈상감 문학
4,861மணிமேகலை|마니메갈라이ta마니메갈라이보석 벨트, 보석의 허리띠타밀어타밀라캄치탈라이 차타나르상감 문학, 불교
시바카 신타마니
3,145சீவக சிந்தாமணி|시바카 신타마니ta시바카 신타마니지바카, 엄청난 보석타밀어타밀라캄티루타카데바르상감 문학, 자이나교


2. 1. 산스크리트 서사시

인도 문화는 서사시와 문학이 풍부한 문학 전통에 쉽게 적응했다. 고대 산스크리트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함께 이티하사(작가가 직접 목격한 이야기) 또는 마하카비야("위대한 작품")를 구성하며, 이는 힌두교 경전의 정경이다.[2] 서사시 형식은 우세했으며, 아주 최근까지 힌두 문학 작품에서 시는 선호되는 형식으로 남아 있었다. 푸라나스는 인도의 많은 힌두교 신과 여신들의 시 형식의 역사에 대한 방대한 컬렉션으로, 이 전통을 따랐다. 이티하사와 푸라나스는 아타르바 베다[26]에 언급되어 있으며 ''다섯 번째 베다''라고 불린다.[27]

이 텍스트들의 언어인 ''서사시 산스크리트어''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의 가장 초기 단계로, 슈라우타 수트라에서 발견되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최신 단계를 따른다. "인도에서 가장 초기의 서사시의 흔적"으로 여겨지는 후기 베다 시인 ''수파르나크야나''는 ''마하바라타''에 포함된 가루다의 확장된 전설의 더 오래되고 짧은 전조이다.[28][29]

불교 시인 아슈바고샤는 두 개의 서사시와 한 편의 드라마를 썼다. 그는 1~2세기에 살았다. 그는 부처의 전기인 부다차리타를 썼다. 그의 두 번째 서사시는 순다라난다라고 불리며 부처의 남동생인 난다의 개종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가 쓴 연극은 샤리푸트라프라카라나라고 불리지만, 이 연극의 조각 몇 개만 남아 있다.

유명한 시인이자 극작가인 칼리다사 또한 두 편의 서사시를 썼다. ''라구밤샤''(''라구 왕조'')와 ''쿠마라삼바바''(''쿠마라 카르티케야의 탄생'')이다. 다른 고전 산스크리트 서사시로는 마가의 ''시수팔바다''(''시수팔라의 살해''), 바라비의 ''키라타르주니야''(''아르주나와 산의 남자''), 스리하르샤의 ''나이샤다차리타''(''니샤다 왕자의 모험'')와 바티의 ''바티카비야''(''바티의 시'')가 있다.

대표적인 산스크리트 서사시
이미지길이 (행)원제로마자 표기문자적 의미원어기원저자장르비고
100,000 연(200,000 행)महाभारतम्|마하바라탐sa마하바라타위대한 바라타산스크리트어인도 아대륙비야사산스크리트 문학, 힌두교[2]
24,000 연 (48,000 행)रामायणम्|라마야남sa라마야나라마의 여정 또는 라마의 진보산스크리트어인도 아대륙발미키산스크리트 문학, 힌두교[4]


2. 2. 힌디어 서사시

현대 힌디어 문학에서 자이샨카르 프라사드의 ''카마야니''는 서사시의 지위를 얻었다. ''카마야니''의 이야기는 사타파타 브라흐마나에 처음 언급된 대중적인 신화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대홍수에 대한 이야기이며, 이 서사시의 중심 인물은 마누(남성)와 슈라다(여성)이다. 마누는 인간 정신을 나타내며, 슈라다는 사랑을 나타낸다. 또 다른 여성 인물은 이다로, 이성을 나타낸다. 일부 비평가들은 ''카마야니''의 세 주요 인물들이 인간의 삶에서 지식, 행동, 욕망의 통합을 상징한다고 추측한다. 이는 인간에게 운명이 아닌 "카르마"에 기반한 삶을 살도록 영감을 준다.

''카마야니'' 외에도, 마이틸리 샤란 굽타의 ''사케타''(1932), 람다리 싱 '딘카르'의 ''쿠룩셰트라''(1946), ''라슈미라티''(1952) 및 ''우르바시''(1961)도 서사시의 지위를 얻었다.

마찬가지로, 크란트 M. L. 베르마의 ''Lalita Ke Aansoo''[8](1978)[9]랄 바하두르 샤스트리의 아내 랄리타 샤스트리를 통해 그의 죽음에 대한 비극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10]

2. 3. 칸나다어 서사시

칸나다어 서사시는 주로 자이나교 종교 문학과 링가야트교 문학으로 구성된다. 853년 아사가는 18개의 칸토로 구성된 서사시 ''Vardhaman Charitra''를 저술했다.[11] 이는 자이나교의 24번째이자 마지막 티르탄카라인 마하비라의 첫 번째 산스크리트어 전기이며, 칼리다사의 서사시 ''쿠마라스밤바바''의 칸나다어 버전인 ''Karnataka Kumarasambhava Kavya''는 유실되었다.[12]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시인은 팜파(902-975년)로, 칸나다어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 중 한 명이다. 그의 ''Vikramarjuna Vijaya''(일명 ''Pampabharatha'')와 Ādi purāṇa는 오늘날까지도 고전으로 칭송받고 있다. ''Vikramarjuna Vijaya''는 마하바라타를 각색한 작품이며, 칸나다어로 된 최초의 각색 작품이다. 인간적인 성향과 그의 글의 위엄있는 스타일로 유명한 팜파는 칸나다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작가 중 한 명이며, "첫 번째 시인"이라는 뜻의 ''아디카비''로 알려져 있다. 칸나다어에는 브라만 전통을 기반으로 한 작품 외에도 자이나교 전통을 기반으로 한 라마야나마하바라타가 있다.

시바코티아차르야는 산문체로 글을 쓴 최초의 작가였다. 그의 작품 Vaddaradhane는 9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리 폰나(939-966년) 또한 같은 시대의 중요한 작가이며, 그의 대표작은 ''Shanti Purana''이다. 이 시대의 또 다른 주요 작가로는 란나(949-?년)가 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자이나교 종교 작품인 ''Ajita Tirthankara Purana''와 Gada Yuddha이다. ''Gada Yuddha''는 쿠룩셰트라 전투의 마지막 날을 배경으로 마하바라타의 이야기를 회상을 통해 전달한다. 이 시대의 시는 구조적으로 서정적 산문이 삽입된 ''참푸'' 스타일이다.

''Siribhoovalaya''는 자이나교 승려인 쿠무덴두 무니가 쓴 다국어 칸나다 문학의 독특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칸나다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3] 칸나다 시의 ''Sangathya'' 운율이 사용되었으며, 1에서 64까지의 숫자를 사용하고 729(27×27)개의 정사각형 틀에 다양한 패턴(''반다'')을 사용하여 18개의 스크립트와 700개 이상의 언어를 나타낸다.[14] 사용된 패턴에는 ''Chakrabandha'', ''Hamsabandha'', ''Varapadmabandha'', ''Sagarabandha'', ''Sarasabandha'', ''Kruanchabandha'', ''Mayurabandha'', ''Ramapadabandha'', ''Nakhabandha'' 등이 있다. 이러한 패턴이 식별되고 해독되면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이 작품은 고대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보다 거의 6배나 큰 약 600,000개의 구절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Prabhulingaleele'', ''Basava purana'', ''Channabasavapurana'', ''Basavarajavijaya''는 링가야트교 서사시 중 일부이다.

2. 4. 메이테이어 서사시

메이테이어(공식 명칭: 마니푸리어)는 인도 북동부의 고대 캉레이팍(초기 마니푸르)에서 유래된 고대 시노-티베트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는 푸야에 고대 메이테이 문자로 기록된 풍부한 서사시를 가지고 있다.[15]

마니푸르의 로크탁 호수 주변 모이라앙에서는 두 신성한 연인의 일곱 화신 서사시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들의 이야기는 산문과 운문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발라드 버전은 고대부터 페나(악기)를 연주하는 음유 시인들이 불렀다.[16]

모든 메이테이 서사시 중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여겨지는 ''캄바 토이비 세이렌''(캄바와 토이비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함)은 마니푸르의 국가 서사시로 간주된다.[17][18][19] 이 서사시는 약 39,000개의 운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20][5][21] 15개의 챕터(Pandup|판둡mni)와 92개의 섹션(Taangkak|탕칵mni)으로 나뉜다. 모이라의 화신 서사시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부분이기도 한 이 서사시는 고아인 남자 쿠만 캄바와 당시 모이라앙의 공주 토이비의 전설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이 전설은 오랫동안 메이테이 발라드 가수들의 노래로 전해져 왔으나, 1940년 히잠 아강할에 의해 비로소 운문 형식으로 정리되었다.[22]

메이테이어로 "해를 쏘다"를 의미하는 ''누밋 카파''는 기원전 1세기의 메이테이 서사시이다. 이 작품은 밤을 만들기 위해 하늘에 떠 있는 두 개의 빛나는 중 하나를 쏘는 영웅 ''콰이 눙젠 피바''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23]

''오우리''는 종교적 주제를 다룬 음악 서사시집으로, 33년 국왕 농다 라렌 파캉바 통치 시대에 유래되었다.[24] 이 외에도 히잠 아강할의 ''싱겔 인두'', 닐라비르 샤르마의 ''콩줌 티르타'', 고쿨 샤스트리의 ''칭고이 바루니'', A. 도렌드라지트의 ''칸사 바다'', 칭강밤 칼라찬드의 ''바수데바 마하카비야'' 등 다양한 서사시가 존재한다.

중세 시대에는 마하바라타라마야나 같은 산스크리트어 서사시도 메이테이어로 번역되었다. ''메그나드 바드 카비야'', ''바가바드 기타'', ''아슈타캄'' 등이 대표적인 번역 서사시 작품이다.

2. 5. 아삼어 서사시

14세기 마다브 칸달리는 라마야나를 사프타칸다 라마야나라는 제목으로 번역했다. 칸달리의 라마야나는 캄반(타밀어, 12세기)과 고나 부다 레디(텔루구어: 랑가나트 라마야나무) 다음이며, 크리티바스 오자(벵골어, 15세기), 툴시다스(아와디어, 16세기), 발라람 다스(오리야어)보다 앞선다. 따라서 이는 인도 아대륙에서 라마야나인도아리아어로 번역한 최초의 사례가 된다.[25]

2. 6. 타밀어 서사시

상감 시대 이후(2세기-6세기)에는 실라파티카람(또는 실라파디카람), 마니메갈라이, 시바가 친타마니, 발라야파티, 쿤달라케시를 포함한 많은 위대한 타밀 문학 서사시가 쓰여졌다. 이 다섯 작품 중 마니메갈라이와 쿤달라케시는 불교 작품이고, 시바가 친타마니와 발라야파티는 타밀 자이나교 작품이며, 실라파티카람은 중립적인 종교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30] 이들은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까지 쓰여졌으며, 창작된 시대의 사람들의 사회, 종교, 문화, 학문적 삶에 대한 역사적 증거 역할을 한다. 시바가 친타마니는 타밀 문학에 ''비루타 파''라고 불리는 긴 구절을 도입했고, 실라파티카람은 상감 문학에서 채택된 스타일인 ''아카발'' 미터(독백)를 사용했다.

이후 촐라 왕조 시대에 캄반(12세기)은 발미키의 라마야나를 바탕으로 타밀 최고의 서사시 중 하나로 여겨지는 ''캄바 라마야남''을 썼다. 체키자르의 티루톤다트 푸라남(또는 페리야 푸라남)은 샤이바 박티 성인들의 위대한 타밀 서사시이며 타밀나두 다수 샤이바교도들의 종교 경전의 일부이다.

2. 7. 텔루구어 서사시

대부분의 텔루구어 서사시는 힌두교에 관한 것이다.

최초의 알려진 텔루구어 서사시는 카비트라얌 (11~14세기)이 쓴 안드라 마하바라탐이다.[2]

다른 주요 텔루구어 서사시로는 랑가나타 라마야나무, 바사바 푸라나, 아묵타말리야다가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 Amaresh Datta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12-05-10
[2] 웹사이트 Mahabharata {{!}} Definition, Story, Histo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4
[3] 서적 Bhai Vir Singh (1872-1957): religious and literary modernities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Indian Punjab Routledge 2023
[4] 웹사이트 Ramayana {{!}} Summary, Character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4
[5]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1911-1956, struggle for freedom : triumph and tragedy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6]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7] 서적 AKASHVANI: Vol. XL. No. 35 ( 31 AUGUST, 1975 ) https://books.google[...] All India Radio (AIR),New Delhi 1975-08-31
[8] 웹사이트 Book:Lalita Ke Ansoo on worldcat https://www.worldcat[...]
[9] 뉴스 ललिता के आँसू का विमोचन Hindustan 1978-01-12
[10] 간행물 A literary review Panchjanya (newspaper) 1980-02-24
[11] 서적 Lord Mahāvīra and his times, Lala S. L. Jain Research Seri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2] 서적 Lord Mahāvīra and his times, Lala S. L. Jain Research Seri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iribhoovalaya'', from Deccan Herald https://web.archive.[...] 2007-03-07
[14] 웹사이트 Usage of ''Saangathya'' and frame of 729, from The Hindu newspaper https://web.archive.[...] 2007-03-07
[15]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6] 서적 Northeast India: A Rea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5-11
[17] 서적 Modern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Surveys and poem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2
[18]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1911-1956, struggle for freedom : triumph and tragedy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1] 서적 AKASHVANI: Vol. XL. No. 35 ( 31 AUGUST, 1975 ) https://books.google[...] All India Radio (AIR),New Delhi 1975-08-31
[22]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3]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4] 서적 A History of Manipur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5] 서적 Rāmāyaṇa from Gangā to Brahmaputra B.R. Pub. Corp
[26] 문서 Atharva Veda 11.7.24, 15.6.4
[27] 문서 Chāndogya Upaniṣad 7.1.2,4
[28]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9] 서적 Indian Serpent-lore: Or, The Nāgas in Hindu Legend and Art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0] 문서 Datta 2004, p. 720
[3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Two) (Devraj To Jyoti), Volume 2 By Amaresh Datta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