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향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향교는 조선 태조 1년(1392년)에 건립된 이후 여러 차례의 중건과 이전을 거쳐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다. 향교는 유생 교육과 문묘 제례를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했으며, 갑오개혁 이후 학교로서의 기능은 사라졌으나 일제강점기에도 존속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보물 제1902호로 지정된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 계성사, 전사청, 행단정, 공부자동상 등이 있다. 오늘날 제주향교는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활용되며, 지역 사회의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 연북정
연북정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조선시대 정자로, 원래 응추정이라 불렸으나 1403년에 북쪽 임금을 그리워한다는 의미의 연북정으로 개칭되었으며, 망루 역할도 겸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독특한 구조와 제주도 주택과 유사한 건축 양식을 보인다. - 제주시의 문화유산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제주시의 문화유산 - 차귀도
차귀도는 제주도 서쪽 해안에 있는 죽도와 와도 두 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다양한 아열대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양 동식물의 보고이며,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제주향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제주향교 |
한자 표기 | 濟州鄕校 |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 298번지 |
지정 종류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 |
지정일 | 1971년 8월 26일 |
문화재 지정 면적 | 해당사항 없음 |
소유자 | 해당사항 없음 |
관리자 | 해당사항 없음 |
시대 | 해당사항 없음 |
건축물 수 | 5동 |
참고 자료 | 해당사항 없음 |
2. 연혁
조선 태조 원년(1392년) 수도 한양에 성균관이 건립된 후, 전국적인 향교 설치 교지에 따라 제주에도 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태조실록》 태조 3년(1394) 3월 27일 도평의사사의 상소에서는 제주에 학교가 설치되지 않아 자제들이 벼슬하지 못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태종실록》에 따르면 태종 18년 당시 제주 유생은 2백여 명이었고, 같은 해 4월 11일 예조는 제주에서의 문선왕석전제 및 한라산제 의식 절목을 조정에 보고하여, 제주향교의 문묘가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7일 뒤 제주목사의 요청으로 제주향교와 정의향교, 대정향교에 교수관이 추가 파견되었다.
세종 17년 최해산에 의해 제주향교가 중건되었고,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예기》, 《주역》, 《춘추》, 《성리대전》 등의 책이 각 두 건씩, 《소학》 10건씩이 하사되었다.
세조 12년(1466년) 봄, 제주목사(겸 절제사) 이유(李由)가 판관(判官) 이인충(李仁忠)과 의논하여 크게 수리하였으며, 주자의 백록동규(白鹿洞規)를 향교의 교칙으로 내걸고 유생들을 가르쳤다. 중종 12년(1517년)에는 제주목사 문계창(文繼昌)이 제주에서 벌어진 기근과 역병을 보고하면서 전라도의 미곡 및 당약재(唐藥材) 지원과 함께, 향교의 책이 오래되어 너덜너덜해졌으므로 《효경》 · 《소학》 및 사서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중종 31년(1536년) 제주목사 심연원이 향교의 명륜당을 개축하였다.
선조 15년(1582년) 제주목사 김태정이 가락천 동쪽의 고령전으로 이전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인구 감소와 군역 문제로, 선조 33년(1600년) 제주목사 성윤문(成允文)은 향교 교생을 모아 학문을 시험하여 군역에 충당하기도 했다.
현종 9년(1668년) 제주목사 이인이 향교를 예전의 자리로 다시 옮겼으며, 경종 4년(1724년) 향교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들이 소실되자 제주목사 신유익은 다시 가락천 동쪽의 예전 자리로 이전하였다. 영조 17년(1754년) 목사 조명집이 향교의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순조 27년(1827년) 제주목사 이행교가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한편 영조 때의 제주향교는 한양의 성균관과 같은 대설위(大說位)로서의 규모와 기능으로 성장해 있었고, 영조 50년(1774년) 제주 유생들이 서울의 성균관과 같은 계성사를 제주향교에도 지어줄 것을 연명으로 순찰어사에게 청원하기도 했으며, 이는 80년이 지난 철종 5년(1854년)에야 결실을 보게 되었다.
갑오개혁 이후 향교의 학교로서의 기능은 사라졌다. 일제강점기 일본 총독부는 제주의 향교를 없애려 했지만 유생들의 반대로 끝내 향교를 없애지 못했다. 1925년 7월 12일 제주 지역 유지 20명 등은 제주향교에서 제주축구단을 조직하였다.
1975년에는 제주도향교재단 소유의 북제주군 구좌면 한동리 서동마을 면적 3ha의 땅이 재단측의 재단매각 경쟁입찰 실시로 3백 년 가까이 살아온 고향 마을을 떠날 처지에 놓인 주민들이 재단측에 마을 주민들의 현 실정을 인정해 일반경매를 중지하고 적정 시세로 주민들에게 양도해주거나 현재와 같은 대지 평당 9원씩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살아갈 수 있게 해줄 것을 호소하였다. 2월 27일에 실시된 해당 마을의 토지매각 일반경쟁 입찰에는 제주향교 전 재단이사장 김 모씨 한 명만이 응하여 유찰되었고, 재단측은 3월 초순에 재입찰을 강행하였다. 한편 제주도 감사과는 3월 5일 해당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에 나서서, 당시 향교재단 이사장 강두환이 제주도 문화공보실에 재산 매각을 승인 신청한 것을 도에서는 주민 동의와 향후 대책 등에 대한 세밀한 검토 없이 승인했음이 밝혀져, 승인 경위를 조사한 한편으로 이승택 당시 제주도지사가 제주향교재단에 대한 경매를 보류하고 현지 주민들에게는 적정가격으로 매도하도록 조치중임을 언론에 밝히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낼 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주향교 인근 제주제일고등학교 후정에는 처음 향교가 세워졌을 때에 세운 근학비(勤學碑)도 있었으며, 한국에 단 하나밖에 없는 근학비로써 중요한 가치가 있었지만 비바람에 글자는 마모되어 단 하나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고 1968년 1월 24일자 경향신문은 보도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조선 초기)
조선 태조 원년(1392년)에 수도 한양에 성균관이 건립되고, 백성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전국에 향교를 설치하라는 교지가 내려짐에 따라 제주도에도 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태조실록》에는 1394년 제주에 교수관(敎授官)을 두어 토관 자제들을 교육하고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주자는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의 상소가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세종 17년(1435년)에 향교가 지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태종실록》에 따르면 1418년 당시 이미 제주의 유생(儒生) 수는 2백여 명이었고, 예조(禮曺)에서 제주에서의 문선왕석전제(文宣王釋奠祭) 의식과 한라산제(漢拏山祭) 의식에 대한 절목을 조정에 올린 기록이 있어, 향교의 중심 건물인 문묘가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제주의 석전제는 각 도의 계수관(界首官)의 예에 따르고, 한라산제는 나주 금성산(錦城山)의 예에 따라 여러 사전(祀典)에 기재하고 봄가을에 제사 지내도록 하였다. 1418년 4월 18일에는 제주목사의 요청으로 제주향교와 정의(旌義) · 대정(大靜) 두 향교에 교수관을 추가로 파견하였다.
1435년, 안무사 최해산에 의해 제주향교가 중건되었고, 유학 서적들이 하사되었다. 1466년에는 제주목사 이유(李由)가 향교를 수리하고 주자(朱子)의 백록동규(白鹿洞規)를 교칙으로 삼아 유생들을 가르쳤다. 1517년에는 제주목사 문계창(文繼昌)이 서적 지원을 요청했고, 1536년에는 제주목사 심연원이 향교의 명륜당을 개축하였다.
2. 2. 초기 역사 (1392년 ~ 15세기)
조선 태조 원년(1392년) 수도 한양에 성균관이 건립된 후, 전국적인 향교 설치 교지에 따라 제주에도 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태조실록》 태조 3년(1394) 3월 27일 도평의사사의 상소에서는 제주에 학교가 설치되지 않아 자제들이 벼슬하지 못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태종실록》에 따르면 태종 18년 당시 제주 유생은 2백여 명이었고, 같은 해 4월 11일 예조는 제주에서의 문선왕석전제 및 한라산제 의식 절목을 조정에 보고하여, 제주향교의 문묘가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7일 뒤 제주목사의 요청으로 제주향교와 정의향교, 대정향교에 교수관이 추가 파견되었다.
세종 17년 최해산에 의해 제주향교가 중건되었고,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예기》, 《주역》, 《춘추》, 《성리대전》 등의 책이 각 두 건씩, 《소학》 10건씩이 하사되었다.
2. 3. 중건과 이전 (15세기 ~ 19세기)
세조 12년(1466년) 봄, 제주목사(겸 절제사) 이유(李由)가 판관(判官) 이인충(李仁忠)과 의논하여 크게 수리하였으며, 주자의 백록동규(白鹿洞規)를 향교의 교칙으로 내걸고 유생들을 가르쳤다. 중종 12년(1517년)에는 제주목사 문계창(文繼昌)이 제주에서 벌어진 기근과 역병을 보고하면서 전라도의 미곡 및 당약재(唐藥材) 지원과 함께, 향교의 책이 오래되어 너덜너덜해졌으므로 《효경》 · 《소학》 및 사서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중종 31년(1536년) 제주목사 심연원이 향교의 명륜당을 개축하였다.선조 15년(1582년) 제주목사 김태정이 가락천 동쪽의 고령전으로 이전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인구 감소와 군역 문제로, 선조 33년(1600년) 제주목사 성윤문(成允文)은 향교 교생을 모아 학문을 시험하여 군역에 충당하기도 했다.
현종 9년(1668년) 제주목사 이인이 향교를 예전의 자리로 다시 옮겼으며, 경종 4년(1724년) 향교에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들이 소실되자 제주목사 신유익은 다시 가락천 동쪽의 예전 자리로 이전하였다. 영조 17년(1754년) 목사 조명집이 향교의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순조 27년(1827년) 제주목사 이행교가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한편 영조 때의 제주향교는 한양의 성균관과 같은 대설위(大說位)로서의 규모와 기능으로 성장해 있었고, 영조 50년(1774년) 제주 유생들이 서울의 성균관과 같은 계성사를 제주향교에도 지어줄 것을 연명으로 순찰어사에게 청원하기도 했으며, 이는 80년이 지난 철종 5년(1854년)에야 결실을 보게 되었다.
2. 4. 근현대 (19세기 ~ 현재)
갑오개혁 이후 향교의 학교로서의 기능은 사라졌다. 일제강점기 일본 총독부는 제주의 향교를 없애려 했지만 유생들의 반대로 끝내 향교를 없애지 못했다. 1925년 7월 12일 제주 지역 유지 20명 등은 제주향교에서 제주축구단을 조직하였다.1975년에는 제주도향교재단 소유의 북제주군 구좌면 한동리 서동마을 면적 3ha의 땅이 재단측의 재단매각 경쟁입찰 실시로 3백 년 가까이 살아온 고향 마을을 떠날 처지에 놓인 주민들이 재단측에 마을 주민들의 현 실정을 인정해 일반경매를 중지하고 적정 시세로 주민들에게 양도해주거나 현재와 같은 대지 평당 9원씩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살아갈 수 있게 해줄 것을 호소하였다. 2월 27일에 실시된 해당 마을의 토지매각 일반경쟁 입찰에는 제주향교 전 재단이사장 김 모씨 한 명만이 응하여 유찰되었고, 재단측은 3월 초순에 재입찰을 강행하였다. 한편 제주도 감사과는 3월 5일 해당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에 나서서, 당시 향교재단 이사장 강두환이 제주도 문화공보실에 재산 매각을 승인 신청한 것을 도에서는 주민 동의와 향후 대책 등에 대한 세밀한 검토 없이 승인했음이 밝혀져, 승인 경위를 조사한 한편으로 이승택 당시 제주도지사가 제주향교재단에 대한 경매를 보류하고 현지 주민들에게는 적정가격으로 매도하도록 조치중임을 언론에 밝히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낼 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주향교 인근 제주제일고등학교 후정에는 처음 향교가 세워졌을 때에 세운 근학비(勤學碑)도 있었으며, 한국에 단 하나밖에 없는 근학비로써 중요한 가치가 있었지만 비바람에 글자는 마모되어 단 하나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고 1968년 1월 24일자 경향신문은 보도하고 있다.
3. 주요 시설
명륜당과 더불어 제주향교 내에서 중요한 건물로서 공자를 비롯해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5성(五聖)을 배향하고 다시 공자의 10명의 제자와 중국 송의 성리학자 6인, 한국의 유학자 18인의 위패 39위(位)를 모셔놓은 곳이다. 제주향교가 몇 번의 위치 이전을 거쳐 지금의 자리에 정착한 뒤, 인접한 제주중학교 부지 내에 대성전이 위치하게 되면서 대성전 또한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2016년 6월 1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02호로 지정되었다.
대성전과 더불어 제주향교 내에서 중요한 건물로서 유생들의 교육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조선 중종 11년에 개축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원래는 아름다운 건물이었다고 하나 지금의 건물은 콘크리트로 재건되어 있다.
철종 5년(1854년)에 지어진 건물로서 5성(五聖)의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그 이전에 이미 제주 판관을 지낸 김영업(1784~1835), 신상흠(愼尙欽, 1794~1874) 등이 제주향교의 위상에 걸맞게 계성사를 세울 것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고사징(1806~1865)의 상소가 영의정 김좌근에 의해 철종에게 보고되어, 지금의 계성사가 세워지게 되었다. 2012년 계성사 건립 당시의 상량문 원본과 함께 새로 발견된 제주 유생들의 등장(等狀)[1]에서 이미 영조 50년(1774년) 제주 유생들이 성균관에 계성사가 있듯 제주향교에도 계성사를 지어 공자, 안자, 증자, 맹자, 자사의 아버지들을 모셔야 한다고 호소했고, 당시 제주의 순무어사였던 홍상성이 "서울에 올라가 임금에게 보고해서 처리하겠다"고 회답한 내용이 확인되어, 건립 자체는 이미 예전부터 건의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향교의 제사 업무를 맡아보고 제찬을 마련하며 또한 제관들이 입재하여 유숙하던 곳이다.
행단은 주로 은행나무, 또는 살구나무 또는 앵두나무가 있는 단이란 뜻도 있는데, 공자가 제자들과 예악을 논하고 학문을 가르쳤던 곳이 은행나무 아래였다는 데에서 공자의 사당이나 유학을 가르치는 학교에는 대개 은행나무를 심어 행단이라 불렀으며, 행단이라는 이름 자체가 유교 학당을 지칭하는 명사로 쓰이기도 했다. 제주향교에서 행단정은 그러한 유교적 소양을 가르치던 학교이자 공자를 제향하는 사당으로서의 제주향교를 상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대성전과 계성사 중간에 세워져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최초로 세워진 공자의 동상으로서 당시 성균관부관장이었던 박중훈이 고증하고 조각가 문정화가 제작하였다.
3. 1. 대성전 (보물 제1902호)
명륜당과 더불어 제주향교 내에서 중요한 건물로서 공자를 비롯해 안자, 증자, 자사, 맹자의 5성(五聖)을 배향하고 다시 공자의 10명의 제자와 중국 송의 성리학자 6인, 한국의 유학자 18인의 위패 39위(位)를 모셔놓은 곳이다. 제주향교가 몇 번의 위치 이전을 거쳐 지금의 자리에 정착한 뒤, 인접한 제주중학교 부지 내에 대성전이 위치하게 되면서 대성전 또한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2016년 6월 1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02호로 지정되었다.3. 2. 명륜당
대성전과 더불어 제주향교 내에서 중요한 건물로서 유생들의 교육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조선 중종 11년에 개축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원래는 아름다운 건물이었다고 하나 지금의 건물은 콘크리트로 재건되어 있다.3. 3. 계성사
철종 5년(1854년)에 지어진 건물로서 5성(五聖)의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1] 그 이전에 이미 제주 판관을 지낸 김영업(1784~1835), 신상흠(愼尙欽, 1794~1874) 등이 제주향교의 위상에 걸맞게 계성사를 세울 것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 이후 고사징(1806~1865)의 상소가 영의정 김좌근에 의해 철종에게 보고되어, 지금의 계성사가 세워지게 되었다.[1] 2012년 계성사 건립 당시의 상량문 원본과 함께 새로 발견된 제주 유생들의 등장(等狀)에서 이미 영조 50년(1774년) 제주 유생들이 성균관에 계성사가 있듯 제주향교에도 계성사를 지어 공자, 안자, 증자, 맹자, 자사의 아버지들을 모셔야 한다고 호소했고, 당시 제주의 순무어사였던 홍상성이 "서울에 올라가 임금에게 보고해서 처리하겠다"고 회답한 내용이 확인되어, 건립 자체는 이미 예전부터 건의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3. 4. 전사청
향교의 제사 업무를 맡아보고 제찬을 마련하며 또한 제관들이 입재하여 유숙하던 곳이다.3. 5. 행단정
행단은 주로 은행나무, 또는 살구나무 또는 앵두나무가 있는 단이란 뜻도 있는데, 공자가 제자들과 예악을 논하고 학문을 가르쳤던 곳이 은행나무 아래였다는 데에서 공자의 사당이나 유학을 가르치는 학교에는 대개 은행나무를 심어 행단이라 불렀으며, 행단이라는 이름 자체가 유교 학당을 지칭하는 명사로 쓰이기도 했다. 제주향교에서 행단정은 그러한 유교적 소양을 가르치던 학교이자 공자를 제향하는 사당으로서의 제주향교를 상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3. 6. 공부자동상
대성전과 계성사 중간에 세워져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최초로 세워진 공자의 동상으로서 당시 성균관부관장이었던 박중훈이 고증하고 조각가 문정화가 제작하였다.4. 한국 유교 문화에서의 의의
4. 1. 유교 교육의 중심지
4. 2. 지역 사회 통합의 구심점
4. 3.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
5. 21세기 제주향교의 과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