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력편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력 편향은 항공기, 로켓 등의 추진 장치에서 발생하는 추력의 방향을 제어하여 기체의 운동 범위를 확대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주로 군용기에 적용되어 왔으며, 수직 이착륙기 개발 과정에서 실용화되었다. 추력 편향은 배기 노즐이나 패들의 방향을 제어하거나, 짐벌 엔진, 반응성 유체 분사, 보조 추력기, 배기 베인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된다. 이 기술은 항공기의 기동성을 높이고, 미사일의 사거리를 줄이는 데 기여하며, 비행선에도 적용된다. 추력 편향은 4세대 제트 전투기의 핵심 요소이며, 스텔스성과 연비가 중요한 전익기의 자세 제어에도 효과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행선 - 기구 (비행체)
    기구는 주변 대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이용해 부력을 얻어 하늘을 나는 비행체로, 무인 열기구에서 시작하여 유인 열기구 시대를 거쳐 쇠퇴 후 레저 스포츠로 부활했으며, 현재는 기상 관측, 광고,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열기구, 가스 기구, 로지에 기구 등이 있다.
  • 비행선 - 계류탑
    계류탑은 비행선을 지상에 고정하고 관리하는 구조물로, 고정식 고층 탑과 이동식 저층 탑으로 나뉘며, 20세기 기술 발전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실내외 비행선 운용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엔진 - 실린더 헤드
    실린더 헤드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을 밀폐하고 밸브와 점화 플러그 등을 지지하며, 연소실 형상과 흡배기 포트 설계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주고 냉각 시스템으로 열을 제거하며, 밸브 트레인 구성 방식에 따라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달라지고 재료는 주철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변화해왔으며 엔진 형식에 따라 개수가 달라지는 엔진의 핵심 부품이다.
  • 엔진 - 제트 엔진
    제트 엔진은 가스 터빈을 사용하여 추력을 얻는 항공기 추진 시스템으로, 터보제트 엔진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연료 효율과 소음 감소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추력편향
개요
유형군사 기술
적용 분야탄도학
항공 공학
작동 원리
정의엔진 또는 모터에서 추력 방향을 제어하는 능력
목적항공기의 방향 제어
미사일의 방향 제어
로켓의 방향 제어
사용 예시
항공기수직 이착륙 항공기
미사일공대공 미사일 (예: R-73)
로켓인공위성 발사 로켓
기술적 측면
제어 방식짐벌 (Gimbal): 엔진을 회전시켜 추력 방향 변경
베인 (Vane): 배기 흐름 내에 베인을 삽입하여 추력 방향 변경
추가 정보
관련 용어추력 편향 제어 (Thrust Vector Control, TVC)

2. 개념

고정익기의 추진 장치는 프로펠러, 왕복엔진, 제트엔진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엔진은 진행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체는 통상 들어 올려지는 부력의 대부분을 주익에서 얻고, 기체의 자세 제어는 꼬리날개의 방향타와 주 날개의 '보조날개'라는 움직이는 날개를 조작하여 조종한다. 하지만, 기체가 어느 정도의 속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양력과 항력이 발생하지 않고, 크기·방향·작용점을 유연하게 변경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추진기에서 생성되는 힘을 자세 제어와 부양력 생성에도 이용하여 항공기의 운동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1]

프로펠러 (동력은 왕복 엔진 또는 터보프롭 엔진) 또는 제트 엔진과 같은 고정익기의 추진 장치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출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체를 부상시키는 양력의 대부분은 주익에서 얻고, 기체의 자세 제어 (모멘트 제어)는 미익의 타(舵)나 주익의 보조익과 같은 가동익을 조작하여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체가 어느 정도의 속도를 가져야 가동익에 양력이나 항력이 발생하며, 또한 그 크기·방향과 작용점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도 어렵다. 그래서 추진 장치가 만들어내는 힘을 자세 제어 및 부양력 생성에도 활용하여, 항공기의 운동 범위를 더욱 넓히려는 것이 추력 편향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생각이다. 단거리 이착륙기에서는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배기의 방향을 바꾸는 어퍼 서페이스 블로잉과 같은 예도 있다.[2]

3. 역사

추력편향 개념은 항공기 제작 초기부터 존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직이착륙기(VTOL) 개발 과정에서 실용화 단계에 도달했다.[37] 초기에는 틸트 로터나 해리어처럼 프로펠러나 제트 분사 방향을 90도 정도 회전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시 해리어의 배기 노즐.


최근에는 제트 전투기의 운동성 향상을 위해 배기 노즐과 배기 패들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는 4세대 제트 전투기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며, 전익기의 자세 제어 방법으로도 효과적이다. 기체의 상하 방향으로 추력편향을 사용하면 피칭(pitching, 기수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좌우로 사용하면 요잉(yawing, 기수의 좌우 이동)도 가능하다. 수직 꼬리 날개가 없는 실험기 X-36은 요잉에 추력편향을 사용했다.

엔진 포드를 위로 향해 상승하는 비행선

4. 실용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직이착륙기(VTOL) 개발을 통해 군용기에서 추력편향 기술이 실용화되기 시작했다. 이착륙 시에는 추력을 기체 상승에 사용하고, 수평 비행 시에는 추력을 전방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37]

이러한 기체들은 틸트 로터나 해리어처럼 프로펠러나 제트 분사 방향을 90도 정도 회전시켜 추력 방향을 바꾼다.

최근 제트 전투기들은 배기 노즐과 배기 패들의 방향을 제어하여 추력 편향을 구현, 기동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제4세대 제트 전투기'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이다. 전익기의 경우, 기체 상하좌우 방향으로 추력 편향을 사용하여 자세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수직 꼬리날개가 없는 실험기 X-36은 요잉(yawing, 기수의 좌우 이동)에 추력 편향을 사용한다.

비행선의 경우, 상승을 돕기 위해 상하로 가동하는 엔진 포드를 갖추고 있다.

5. 방법

일반적으로 로켓 노즐의 추력 벡터의 작용선은 차량의 질량 중심을 통과하여 질량 중심에 대해 순 토크가 0으로 생성된다. 추력 벡터 제어(TVC)는 추진 시스템이 추력을 생성할 때만 가능하다. 비행의 다른 단계에서는 자세 및 비행 경로 제어를 위해 별도의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추력 편향은 다음 네 가지 기본 수단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5][6]


  • 짐벌 엔진 또는 노즐
  • 반응성 유체 분사
  • 보조 "버니어" 추력기
  • 배기 베인 (제트 베인)


버니어 엔진은 자체 터보펌프가 없고 한 축으로 짐벌될 수 있는 작은 보조 연소실로, 추력 편향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지만 반작용 제어 시스템 추력기와는 다르다.

일부 소형 대기권 내 전술 미사일은 비행 제어면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기계식 베인을 사용하여 로켓 모터 배기를 한쪽으로 편향시킨다.

추력 편향은 비행선의 제어 메커니즘으로도 사용되는데, 1912년에 처음 비행한 영국 육군 비행선 ''델타''가 초기 적용 사례이다.[15]

현재 연구 중인 유체 추력 편향 (FTV)은 2차 유체역학 주입을 통해 추력을 전환한다.[18]

5. 1. 로켓 및 탄도 미사일

모멘트는 서로 다른 추력 편향 각도에 의해 생성됨


노즐 작동에 의해 추력이 벡터화되면서 로켓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로켓 및 탄도 미사일에서 추력편향을 달성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다:[5][6]

  • 짐벌 엔진 또는 노즐: 엔진 또는 노즐 전체를 움직여 추력 방향을 변경한다.
  • 반응성 유체 분사: 액체를 배기 흐름에 주입하여 추력 방향을 변경한다.
  • 보조 "버니어" 추력기: 작은 보조 엔진을 사용하여 추력 방향을 미세 조정한다.
  • 배기 베인 (제트 베인): 엔진 배기 흐름에 베인을 배치하여 추력을 편향시킨다.


액체 로켓의 경우, 대부분 짐벌 방식을 사용하여 추력 편향을 달성한다. 이는 타이탄 II의 1단계 쌍발 모터처럼 전체 연소실과 외부 엔진 벨을 움직이거나, 연료 펌프 및 산화제 펌프를 포함한 전체 엔진 조립체를 움직이는 것을 포함한다. 새턴 V우주왕복선은 짐벌 엔진을 사용했다.

고체 로켓 추진제 탄도 미사일의 경우에는 전기 액추에이터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로켓의 로켓 노즐만 편향시키기도 한다. 노즐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볼 조인트 또는 유연한 밀봉을 통해 미사일에 부착되며, 후자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토크와 더 높은 전력 구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트라이던트 C4D5 시스템은 유압식 구동 노즐을 통해 제어된다. STS SRB는 짐벌 노즐을 사용했다.[7]

미니트맨 II와 미국 해군의 초기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은 액체 분사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로켓 노즐은 고정되어 있지만, 미사일 후미에 장착된 분사기를 통해 유체를 배기 흐름에 주입하여 추력을 편향시킨다. 액체를 미사일의 한쪽 면에만 분사하면 해당 면의 배기 플룸이 변경되어 추력이 달라지므로 비대칭적인 순 힘이 발생한다.

아틀라스와 R-7 미사일, 그리고 R-7에서 파생된 소유즈 로켓은 여러 개의 버니어 엔진을 사용했다. 이들은 자체 터보펌프가 없고 한 축으로 짐벌될 수 있는 작은 보조 연소실이다. 그러나 복잡성과 무게 때문에 새로운 설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V-2는 흑연 배기 베인과 공기역학적 베인을 사용했으며, 레드스톤 역시 V-2에서 파생되어 이를 사용했다. 배기 베인 (제트 베인)은 엔진의 어떤 부품도 움직이지 않고 추력을 편향시킬 수 있지만, 로켓의 효율을 감소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코펜하겐 서브오비탈스의 사파이어와 넥소 로켓은 제트 베인을 사용한 현대적인 예시이다. 제트 베인은 용융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능동적으로 냉각되어야 한다.

5. 2. 전술 미사일 및 소형 발사체

V-2 로켓 엔진 노즐에 장착된 흑연 배기 베인


로켓 엔진에서 추력 편향을 하는 초기 방법 중 하나는 엔진 배기 흐름에 베인(vane)을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기 베인 또는 제트 베인은 엔진의 어떤 부품도 움직이지 않고 추력을 편향시킬 수 있지만, 로켓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노즐 짐벌링과 달리 단일 엔진만으로 롤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V-2는 흑연 배기 베인과 공기역학적 베인을 사용했으며, 레드스톤 역시 V-2에서 파생되어 이를 사용했다. 제트 베인은 용융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능동적으로 냉각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상당한 침식을 겪게 된다. 이는 제트 베인의 비효율성과 결합되어 새로운 로켓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부 소형 대기권 내 전술 미사일인 AIM-9X 사이드와인더는 비행 제어면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기계식 베인을 사용하여 로켓 모터 배기를 한쪽으로 편향시킨다.

기계식 베인을 사용하여 미사일 로켓 모터의 배기를 편향시키면 미사일은 발사 직후(미사일이 고속에 도달하기 전, 천천히 움직일 때)에도 자체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이는 미사일이 저속으로 움직이더라도 로켓 모터의 배기가 기계식 베인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력 편향은 미사일의 최소 사거리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ryx 및 PARS 3 LR과 같은 대전차 미사일은 이러한 이유로 추력 편향을 사용한다.[8]

추력 편향을 사용하는 기타 투사체는 다음과 같다.

미사일/발사체설명
9M330[9]
Strix 박격포탄종말 궤도 수정을 위해 12개의 중간 측면 추력 로켓을 사용한다.[8]
AAD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Astra (미사일)[10]
Akash (미사일)[11]
BrahMos[12]
QRSAM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MPATGM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AAM-5
Barak 8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A-Darter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ASRAAM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R-73 (미사일)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HQ-9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PL-10 (ASR)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MICA (미사일)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PARS 3 LR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IRIS-T
Aster 미사일 계열"PIF-PAF"라고 불리는 공기역학적 제어와 직접 추력 벡터 제어를 결합한다.
AIM-9X핀이 움직일 때 움직이는 배기구 내에 4개의 제트 베인을 사용한다.
9M96E가스 역학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최대 35km 고도에서 20g 이상의 힘으로 기동할 수 있어 비전략 탄도 미사일 교전이 가능하다.[13]
9K720 Iskander전체 비행 동안 가스 역학 및 공기역학적 제어면으로 제어된다.
동풍 하위 클래스/JL-2/JL-3 탄도 미사일추력 벡터 제어 장착 추정[14]


5. 3. 항공기

전통적인 방식으로 배열된 로터, 수직으로 배열된 로터, 헬리콥터처럼 수평으로 배열된 로터가 있는 항공기 그림
V-22 오스프리의 틸트로터. 이 엔진은 이륙 후 90° 회전한다.


현재 운용 중인 대부분의 추력 편향 항공기는 배기 스트림을 편향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터보팬노즐 또는 베인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항공기 중심선에 대해 최대 90도까지 추력을 편향시킬 수 있는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항공기가 VTOL 작동을 위해 추력 편향을 사용하는 경우, 엔진은 일반 비행이 아닌 수직 상승을 위해 크기를 정해야 하며, 이는 중량 증가의 원인이 된다. 애프터버닝은 통합하기 어렵고, 매우 뜨거운 배기가 활주로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착륙 추력 편향에는 비실용적이다. 애프터버닝이 없으면 초음속 비행 속도에 도달하기 어렵다.

틸트로터 항공기는 회전하는 터보프롭 엔진 나셀을 통해 추력 편향을 한다. 이 설계의 기계적 복잡성은 매우 까다로운데, 내부 부품의 뒤틀림과 엔진 간의 구동축 동력 전달이 포함된다. 현재 틸트로터 설계의 대부분은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로터를 특징으로 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영국 육군 비행선 ''델타''(Delta), 회전 프로펠러 장착


추력 편향은 비행선의 제어 메커니즘으로도 사용된다. 초기 적용 사례는 1912년에 처음 비행한 영국 육군 비행선 ''델타''였다.[15]

현재 연구 중인 유체 추력 편향 (FTV)은 2차 유체역학 주입을 통해 추력을 전환한다.[18] 테스트에 따르면 제트 엔진 배기 스트림에 강제로 주입된 공기는 추력을 최대 15도까지 편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노즐은 질량과 비용이 낮고, 관성 (더 빠르고 강력한 제어 응답), 복잡성 (기계적으로 더 단순하고, 움직이는 부품 또는 표면이 적거나 없음, 유지 보수 감소) 면에서 유리하다.

2차원 추력 편향의 예로는 호커 시들리 해리어와 AV-8B 해리어 II 기종에 사용된 롤스로이스 페가수스 엔진이 있다.

추력 편향 노즐을 사용하여 이륙하는 영국 해군 F-35B.


록히드 마틴 F-35 라이트닝 II는 초음속 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의 애프터버닝 터보팬(프랫 & 휘트니 F135)을 사용하지만, 미국 해병대, 영국 공군, 영국 해군, 이탈리아 해군의 공동 사용을 위해 개발된 F-35B 기종은 착륙 시 엔진에서 클러치를 통해 구동되는 수직으로 장착된 저압 샤프트 구동 원격 팬도 통합하고 있다.

수호이 Su-30MKI는 힌두스탄 항공 유한회사에서 라이선스 하에 인도에서 생산되었으며 인도 공군에서 운용 중이다. TVC는 이 항공기의 기동성을 높여준다. Su-30MKI는 2개의 알-31FP 애프터버닝 터보팬 엔진으로 구동된다. MKI의 TVC 노즐은 엔진 종축에서 32도 바깥쪽으로 (즉, 수평면에서) 장착되며 수직면에서 ±15도 편향될 수 있다. 이는 코르크 마개 효과를 생성하여 항공기의 선회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28]

몇몇 컴퓨터 연구에서는 보잉 727보잉 747과 같은 기존 여객기에 추력 편향을 추가하여 치명적인 고장을 방지하고 있다.[29]

  • 벨 모델 65
  • 벨 X-14
  • 벨 보잉 V-22 오스프리
  • 보잉 X-32[31]
  • 도르니에 Do 31
  • EWR VJ 101
  • 해리어—추력 편향을 통해 VTOL 능력을 갖춘 세계 최초의 실용 전투기

해리어 점프 제트

5. 4. 노즐

두 위치에 있는 굴절식 노즐 그림. 첫 번째는 직선이고 두 번째는 90도 구부러져 있음.
제트 엔진 추력 편향 노즐

  • '''3 베어링 회전 덕트 노즐 (3BSD)'''[20]: 엔진 배기 덕트의 세 개의 각진 세그먼트가 덕트 중심선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노즐 추력 축 피치 및 요를 생성한다.[25]
  • '''2차원 수렴-발산 (2-D C-D)''': 피치 전용 제어를 갖춘 전투기의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 초음속 노즐.


6. 사용 예시

추력 편향은 주로 군용기에서 민첩성과 높은 운동성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항공기 초기부터 있었던 개념이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직 이착륙기 개발 과정에서 실용화되기 시작했다. 이착륙 시에는 추력을 이용하여 기체를 들어 올리고, 수평 비행 시에는 추력을 진행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각국에서 시제작 및 실험되었다.

최근에는 제트 전투기의 기동성 향상을 위해 배기 노즐이나 배기 패들의 방향을 제어하는 추력 편향 기술이 활용된다. 이는 4세대 이상 전투기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된다. 특히 초음속 영역에서는 방향타 등 공기역학적 기체 제어 효과가 작아, 추력 편향이 높은 기동성을 위한 필수 기능이다.

스텔스성과 연비를 고려한 전익기의 자세 제어에도 추력 편향이 유효하다. 전익기는 가동익으로 압력 중심을 이동시켜 피칭을 제어하는 경우가 많지만, 수평 꼬리 날개를 사용하는 것보다 어렵다. 기체 상하 방향으로 추력 편향을 하면 피칭 제어가 용이하며, 좌우 추력 편향으로는 요잉 제어도 가능하다. 전익기는 아니지만, 무미익 실험기 X-36은 요잉 제어에 추력 편향을 사용했다.

비행선은 상승 보조를 위해 상하 가동 엔진 포드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6. 1. 항공기

추력편향은 작은 회전반경과 높은 기동성이 요구되는 군용기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구상 자체는 항공기 제작 초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나, 실용 단계에 도달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수직이착륙기(VTOL) 개발에서였다. 이착륙 시에는 추력이 직접 기체를 들어올리고, 수평비행에는 추력을 전방으로 변경하도록 설계한 기체가 각국에서 제작, 시험되었다.[37]

이런 종류의 기체에서 추력방향의 변환은 틸트 로터와 호커 시들리 해리어와 같이 프로펠러나 제트 분사의 방향을 90도 정도 회전시키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제트 전투기의 운영성 향상을 위해 배기 노즐과 배기 패들(paddle)의 방향을 제어하여 추력편향을 실시한다. 이는 '제4세대 제트 전투기'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연비 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익기의 자세 제어 방법으로서도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기체의 상하방향에 추력편향을 사용하면 비교적 용이한 피칭(pitching; 기수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좌우로 사용하면 요잉(yawing; 기수의 좌우 이동)도 가능하다. 수직 꼬리날개가 없는 실험기 X-36은 요잉에 추력편향을 사용한다.

비행 상태 전환 도중의 V-22.


X-31에 의한 J턴 모식도. 추력 편향 능력으로 실속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이러한 기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주로 S/VTOL 성능을 추구한 기종'''

  • 해리어 시리즈: 영국 호커 시들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실용 VTOL 제트 전투기로, 미국 해병대에서도 사용되었다. 엔진(롤스로이스 페가수스)은 1기지만 배기 노즐은 4개가 있으며, 그것들을 회전시켜 추력 방향을 전환하여 수직 이착륙과 수평 비행을 실현한다.
  • Yak-38: 소련 야코블레프 설계국에서 개발된 VTOL 함재 공격기. 해리어와 달리 주 엔진 외에 리프트 엔진 2기를 갖추고 있으며, 수직 이착륙 시에는 전부 하중을 리프트 엔진이, 후부 하중을 추력 편향된 주 엔진이 지탱한다.
  • Yak-141: 소련(개발 중 붕괴, 러시아 연방으로 계승) 야코블레프 설계국에서 개발하던 VTOL 함재 전투기. Yak-38의 후계기로 개발되어 세계 최초의 초음속 VTOL기가 될 예정이었지만, 시제기 사고 및 소련 붕괴에 따른 재정난으로 개발 중단. 추력 편향 노즐 기술이 F-35B 개발에 활용되었다는 정보는 오보이다.
  • V-22: 미국 벨과 보잉이 개발하여 최초로 실용화된 틸트로터기. 주익 단부에 장착된 로터와 터보샤프트 엔진이 회전하여 추력 방향을 바꾼다. 헬리콥터 운용과 고속·장거리 순항 능력 등 고정익기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다.
  • F-35B: 미국 록히드 마틴 중심 국제 공동 개발 스텔스 다목적기. B형은 S/VTOL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Yak-141처럼 배기 덕트를 약 90°까지 굽힐 수 있다. 수직 이착륙 시에는 기체 전방 팬을 엔진에서 샤프트로 구동한다.


'''주로 비행 시 운동성 추구 기종'''

  • Su-37: 러시아 수호이 개발 전투기. Su-27M 발전형으로, 피치 방향 추력 편향 가능 노즐을 갖는다. Su-27의 높은 운동성에 카나드(전익)와 추력 편향을 조합하여 기존 항공기에서는 불가능한 기동을 실현했다.[34] Su-37 기술은 Su-30MKI 계열(인도 Su-30MKI, 알제리 , 말레이시아 Su-30MKM, 러시아 Su-30SM)에도 동일 노즐(좌우 노즐이 역 "하"자 형태로 움직임)이 탑재됨.
  • Su-57: 러시아 수호이 개발 전투기. 피치 방향 16도, 요 방향 20도 편향 가능 노즐로 높은 기동성을 실현. Su-57에서 피드백받은 Su-35에도 동일 노즐 탑재.
  • MiG-35와 MiG-29 OVT: 러시아 미그 개발 전투기. 상하 18도, 좌우 5도 2축 추력 편향 노즐. 더블 쿠르빗, 피치업 각도 80도 이상 직진(기체 복부 쪽 전진) 로우 스피드 호버링 등 곡예 비행.
  • F-15S/MTD와 F-15 ACTIVE: 맥도넬 더글러스 F-15에 카나드와 추력 편향 노즐을 장착한 실험기. S/MTD는 피치 방향, ACTIVE는 피치·요 양방향 추력 편향 가능.
  • F-22: 록히드 마틴 개발 미국 주력 전투기. 피치 방향 ±20° 편향 패들로 운동성 향상, J턴, 코브라, 쿠르빗 기동 가능.
  • X-31: 미국-독일 공동 개발, 록웰 제조 패들식 추력 편향 실험기. 3장 패들(판)로 추력 편향 노즐보다 간편하게 피치·요 방향 추력 편향.
  • F-18 HARV: NASA Langley Research Center의 고받음각 비행 연구기. X-31처럼 3장씩 총 6장 패들로 피치·요 방향 추력 편향.
  • X-36: 맥도넬 더글러스- NASA 개발 차세대 전투기 비행 기술 검증 실험기. 요 방향 추력 편향, 카나드와 스플릿 엘론 조합 운동성 검증. 28% 스케일 무인 연구기만 제작, 실기 없음.
  • X-2: 일본 방위성기술 연구 본부-미쓰비시 중공업 개발 선진 기술 실증기. X-31처럼 3장 패들로 추력 편향.[35]

6. 2. 미사일

추력편향을 사용하는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비고
철매2대한민국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AA-11 아처
S-300러시아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S-400러시아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IRIS-T
AIM-9X 사이드와인더미국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RIM-66M-5 SM-2MR IIIBKDX-3에 장착, 이전 버전에는 추력편향 없음
우주 왕복선 고체 로켓 부스터(SRB)
S-300P (SA-10)지대공 미사일
UGM-27 폴라리스핵무기 탄도 미사일
RT-23(SS-24)탄도 미사일
스윙파이어

[1]

KDX-2에 장착된 RIM-66M-4 SM-2MR IIIA는 추력편향이 없으며, KDX-3에 장착된 RIM-66M-5 SM-2MR IIIB에는 추력편향이 있다.[1]

6. 3. 비행선

체펠린 NT는 현대식 추력 편향 비행선이다.[3]

6. 4. 선박

대부분의 선박은 프로펠러가 만들어낸 물의 흐름을 타에 대거나, 아지무스 스러스터처럼 추진 장치 자체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추력 편향을 활용한다. 그러나 이는 선박의 기본적인 구조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으로 '추력 편향'이라고 특별히 지칭하지는 않는다.

예인선이나 심해 6500과 같은 심해 탐사정은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사용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Vectored thrust https://www.grc.nasa[...] 2024-08-07
[2] 웹사이트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with Vectored Thrust for Control and Continuously Variable Pitch Attitude in Hover https://technology.n[...] 2024-08-07
[3] 웹사이트 Gimbaled Thrust Interactive https://www1.grc.nas[...] 2024-08-07
[4] 웹사이트 AA-11 ARCHER R-73 http://www.fas.org/m[...] 2014-03-27
[5]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6] 서적 Space Vehicle Design
[7] 간행물 Reusable Solid Rocket Motor—Accomplishments, Lessons, and a Culture of Success https://ntrs.nasa.go[...] 2011-09-27
[8] 웹사이트 Anti-tank guided missile developments http://www.thefreeli[...] 2014-03-27
[9] 웹사이트 Combat Vehicle Tor 9A330 http://en.uos.ua/pro[...] State company "UKROBORONSERVICE" 2014-03-27
[10] 뉴스 First test of air-to-air missile Astra Mk II likely on February 18 https://www.newindia[...] 2021-05-30
[11] 뉴스 Akash Surface-to-Air Missile (SAM) System-Airforce Technology https://www.airforce[...] 2021-05-30
[12] 뉴스 Explained: From Pinaka to Astra, the new weapons DAC has approved 'for defence of borders' https://indianexpres[...] 2021-05-30
[13] 웹사이트 S-400 SA-20 Triumf https://www.fas.or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4-03-27
[14] 웹사이트 China's ballistic missile industry https://airuniversit[...] 2022-03-16
[15] 서적 Battlebags: British Airships of the First World War Wrens Park
[16] 서적 The British Airship at War Terence Dalton
[17] 웹사이트 STOCK IMAGE - A 1949 jet deflection vectored-thrust propulsion concept by www.DIOMEDIA.com http://www.diomedia.[...] 2014-11-18
[18] 간행물 Demonstration of Fluidic Throat Skewing for Thrust Vectoring in Structurally Fixed Nozzles http://scitation.aip[...] 2007-03-18
[19] 문서 Thrust Vectoring Nozzle for Modern Military Aircraft 2000-05-08
[20] 문서 F-35B Integrated Flight Propulsion Control Development 2013-08-12
[21] 서적 The X-Planes Aerofax Inc. for Orion Books
[22] 특허 Propulsion System For A Vertical And Short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23] 문서 Nozzle Selection and Design Criteria
[24] 간행물 Experimental Study of an Axisymmetric Dual Throat Fluidic Thrust Vectoring Nozzle for Supersonic Aircraft application https://ntrs.nasa.go[...]
[25] 웹사이트 F-35B Lightning II Three-Bearing Swivel Nozzle - Code One Magazine http://www.codeonema[...] 2015-02-01
[26] 특허 Variable Vectoring Nozzle For Jet Propulsion Engines
[27] 웹사이트 F-22 Raptor fact sheet. https://web.archive.[...] U.S. Air Force 2009-03
[28] 웹사이트 Air Attack - Fighters and more http://www.air-attac[...]
[29] 간행물 Future Jet Technologies
[30] 웹사이트 US7509797B2 https://patents.goog[...]
[31] 서적 Joint Strike Fighter: Boeing X-32 vs Lockheed Martin X-35 MBI
[32] 간행물 Thrust Vector Aided Maneuvering of the YF-22 Advanced Tactical Fighter Prototype https://arc.aiaa.org[...] 1994-06
[33] 웹사이트 China's J-20 stealth fighters are getting an engine upgrade, source says https://www.scmp.com[...] 2022-03-15
[34] Youtube Su-37の高い機動性がわかるビデオ http://www.aviapedia[...]
[35] 웹사이트 最新ステルス機、全部見せます-X-2、初のフル公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11-26
[36] 웹인용 AA-11 ARCHER R-73 http://www.fas.org/m[...] 2014-03-27
[37] 문서 넓은 의미로 보면, 헬리콥터도 추력편향에 속한다.
[38] 기사 Su-37-video-from-sukhoi-presentation http://www.aviapedia[...]
[39] 간행물 X-36 계획의 프로젝트 책임자의 슬라이드(영어) http://www.aiaa.org/[...] 2006-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