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가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가 지방은 필리핀 민다나오 섬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칼라간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5년 공화국 법 7901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북아구산, 남아구산, 북수리가오, 남수리가오, 디나가트 제도 등 5개 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1995년 이후 사회 경제 개발을 목표로 하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로마 가톨릭이 지배적인 종교이다. 카라가는 필리핀에서 빈곤율이 높은 지역 중 하나이며, 농업, 어업, 임업이 주요 경제 부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서핑으로 유명한 시아르가오, 다양한 섬, 동굴, 습지 등이 있다.
카라가라는 명칭은 칼라간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칼라간족은 다바오 지역과 카라가 일부 지역 원주민으로, 칼라간어를 사용하는 만사칸어군의 하위 집단(비사야족과 관련)이다. '카라가'라는 이름은 원주민 애니미즘 아니토 종교에서 "영혼" 또는 "정신"을 의미하는 ''kalag''에서 유래된 ''kalagan''(문자 그대로 "[강한] 정신")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나운" 또는 "용감한"을 의미한다. 따라서 1622년의 ''Provincia de Caraga''는 ''region de gente animosa'', 즉 "정신 넘치는 사람들 지역"이라고 불렸다.Provincia de Caraga|카라가 주esregion de gente animosa|정신 넘치는 사람들 지역es
카라가 지방의 역사는 식민지 이전 시대, 스페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시대로 구분된다.
카라가 지방은 민다나오 북동부에 위치하며 북위 8°00'에서 10°30', 동경 125°15'에서 126°30'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는 보홀해, 남쪽으로는 제11지역의 다바오델노르테주, 다바오데오로주, 다바오오리엔탈주가 있다. 서쪽으로는 제10지역의 부키드논주와 미사미스오리엔탈주, 동쪽으로는 태평양의 필리핀해와 접한다.
2. 어원
3. 역사
각 시대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식민지 이전 시대
식민지 시대 이전, 현재의 북아구산 주와 부투안 지역은 부투안 라자국이 다스렸다. 이 나라는 카라가 전체, 민다나오 북부 일부, 보홀 서부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부투안은 현재 인도네시아 몰루카스 제도에 있는 테르나테 술탄국과 분쟁을 겪었다. 테르나테인들은 부투안을 공격하고 약탈했지만, 부투안은 항상 우위를 점했다. 부투안은 세부 라자국과 우호적인 관계였으며, 금세공과 조선술로 유명한 강력한 힌두교 국가였다. 주민들은 발랑가이라는 거대한 배를 사용했다. 이 금 세공품과 거대한 배의 유물은 필리핀 국립 박물관 등에서 보존되어 있다.[5] 부투안은 참파 왕국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술루 해와 남중국해를 건너 무역을 했다.
부투안 라자국이 번성하는 동안, 카라가 내륙 지역의 토착 루마드인들은 자유롭게 자신들만의 고도로 발달된 민주 사회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연, 의학, 신화, 전쟁에 대한 지식으로 유명했다. 중국 상인들이 부투안에 들어오면서 중-부투안 무역이 활발해졌고, 두 나라는 중국과의 더 나은 무역을 위해 경쟁했다. 그러나 부투안은 테르나테의 공격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비사야의 "베니스"로 불린 보홀의 다피탄 케다투안 역시 테르나테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라자 시아위와 라자 쿨람보 등 수리가오논족과 부투안논족의 귀족들은 1521년 마젤란 원정대에 의해 리마사와 섬에서 만났다.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그들을 문신을 하고 금 장신구로 치장한 모습으로 묘사했으며, 수리가오 지역을 "칼라간"으로 기록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항해했던 "발랑가이"(''발랑가이'') 전함에 대해서도 묘사했다.[5]
언어학자 R. 데이비드 조크는 타갈로그족이 카라가 또는 동비사야 지역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는 언어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타갈로그족의 기원과 선사 시대를 추적했다. 타갈로그어는 중앙 필리핀어군으로 분류되며, 비사야어군, 만사칸어군, 비콜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라자 시아위와 라자 쿨람보, 각각 수리가오논족과 부투안논족의 귀족들은 1521년 마젤란 원정대에 의해 리마사와 섬(통치자들의 사냥터)에서 만났다.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그들을 문신을 하고 금 장신구로 치장한 모습으로 묘사했다. 피가페타는 또한 수리가오 지역의 이름을 "칼라간"으로 기록했으며, 그들이 항해했던 "발랑가이"(''발랑가이'') 전함에 대해서도 묘사했다.[5]
스페인 사람들이 돌아와 테르나테 술탄국과의 긴장으로 이미 약해진 부투안 라자국을 정복했을 때, 조선술과 금세공 전통은 근절되었고, 해안 부투안과 내륙의 루마드 간의 관계는 덜 알려지게 되었다. 내륙의 루마드들은 또한 기독교로 개종하여 자연 숭배에 대한 그들의 전통이 일부 쇠퇴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카라가에 대한 미래의 공격을 막기 위해 테르나테 술탄국을 공격했고, 훨씬 강력한 화력으로 성공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카라가를 완전히 장악하면서, 그들의 지배와 영토 통제를 극대화하기 위해 스페인 모델의 중심지를 건설하기 시작했고, 이 또한 성공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미국이 그들을 물리칠 때까지 이 나라를 지배했고, 이로 인해 전체 군도가 미국의 손에 넘어갔다.
스페인 사람들이 "카라간"이라고 불렀던 "칼라간어"는 수리가오의 두 개 주, 다바오 오리엔탈 북부, 그리고 미사미스 오리엔탈 동부에서 사용되었다. 1635년, 카라가는 스페인 군인 45명과 멕시코에서 온 가정 구성원들로 강화되었고, 1670년에는 81명의 군인, 1672년에는 또 다른 81명의 군인이 추가되었다.[6] 1700년대 말까지, 카라가에는 멕시코 군인 부대의 보호를 받는 3,497 가구의 원주민 가족이 있었다.[7]
3. 3. 미국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라자 시아위와 라자 쿨람보, 각각 수리가오논족과 부투안논족의 귀족들은 1521년 마젤란 원정대에 의해 리마사와 섬(통치자들의 사냥터)에서 만났다.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그들을 문신을 하고 금 장신구로 치장한 모습으로 묘사했다. 피가페타는 또한 수리가오 지역의 이름을 "칼라간"으로 기록했으며, 그들이 항해했던 "발랑가이"(''발랑가이'') 전함에 대해서도 묘사했다.[5]
언어학자 R. 데이비드 조크는 타갈로그족이 카라가 또는 동비사야 지역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는 언어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타갈로그족의 기원과 선사 시대를 추적했다. 타갈로그어는 중앙 필리핀어군으로 분류되며, 비사야어군, 만사칸어군, 비콜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스페인 사람들이 돌아와 테르나테 술탄국과의 긴장으로 이미 약해진 부투안 라자국을 정복했을 때, 조선술과 금세공 전통은 근절되었고, 해안 부투안과 내륙의 루마드 간의 관계는 덜 알려지게 되었다. 내륙의 루마드들은 또한 기독교로 개종하여 자연 숭배에 대한 그들의 전통이 일부 쇠퇴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카라가에 대한 미래의 공격을 막기 위해 테르나테 술탄국을 공격했고, 훨씬 강력한 화력으로 성공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카라가를 완전히 장악하면서, 그들의 지배와 영토 통제를 극대화하기 위해 스페인 모델의 중심지를 건설하기 시작했고, 이 또한 성공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미국이 그들을 물리칠 때까지 이 나라를 지배했고, 이로 인해 전체 군도가 미국의 손에 넘어갔다.
스페인 사람들이 "카라간"이라고 불렀던 "칼라간어"는 수리가오의 두 개 주, 다바오 오리엔탈 북부, 그리고 미사미스 오리엔탈 동부에서 사용되었다. 1635년, 카라가는 스페인 군인 45명과 멕시코에서 온 가정 구성원들로 강화되었고, 1670년에는 81명의 군인, 1672년에는 또 다른 81명의 군인이 추가되었다.[6] 1700년대 말까지, 카라가에는 멕시코 군인 부대의 보호를 받는 3,497 가구의 원주민 가족이 있었다.[7],[8],[6] 두 아구산 주는 나중에 수리가오의 행정 관할 하에 조직되었고, 1914년 독립적인 아구산 주가 되었다. 1960년, 수리가오는 북부와 남부로 나뉘었고,[9] 1967년 6월, 아구산도 그 뒤를 따랐다.[10] 부투안은 당시 아구산의 작은 마을이었지만, 1950년대의 벌목 붐이 이 지역으로 사업을 끌어들였다. 1950년 8월 2일, ''공화국 법 523''에 따라 부투안 시의 헌장이 승인되었다.[11]
카라가 지역 초창기에 그 주민들은 본토 아시아, 말레이인, 아랍인, 중국인, 일본인, 스페인인, 미국인에서 왔다고 한다. 비사야와 루손 주에서 온 이주민들이 나중에 이 지역에 정착했다. 그 주민들 대부분은 세부아노어를 사용하고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
1995년 2월 23일, 대통령 피델 라모스 행정부에서 공화국 법 7901을 통해 카라가 지역이 창설되었다. 카라가 지역의 창설은 동일한 이름의 스페인 주를 부활시킨 것이다. 북아구산 주, 남아구산 주 및 북수리가오 주 (구 북민다나오 지역)와 남수리가오 주 (구 남민다나오 지역)가 새롭게 창설된 지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카라가 창설의 목적은 사회 경제 개발과 공공 서비스의 제공 및 배분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4. 지리
이 지역의 총면적은 18846.97km2로, 필리핀 전체 면적의 6.3%, 민다나오 섬 면적의 18.5%를 차지한다. 아구산델수르주가 이 지역 전체 면적의 47.6%를 차지한다. 총 토지 면적 중 71.22%는 산림, 28.78%는 매매 가능한 토지이다. 주요 토지 이용은 산림이 31.36%, 농경지 및 공터가 23.98%이다.
4. 1. 지형
이 지역은 산악 지형, 평평하고 완만한 구릉지대로 특징지어진다. 산맥은 아구산 주와 수리가오 주를 가르며, 작은 산맥들은 태평양 연안을 따라 대부분의 저지대를 구분한다. 이 지역에서 가장 생산적인 농업 지역은 아구산 강 유역을 따라 위치해 있다. 잘 알려진 아구산 습지는 아구산델수르 주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호수 중 마이니트 호수가 가장 넓다. 이 호수는 수리가오델노르테 주의 알레그리아, 투보드, 마이니트, 시손, 아구산델노르테 주의 투바이, 산티아고, 자봉가, 키차라오의 8개 지방 자치 단체를 관통한다.
4. 2. 기후
카라가 지방은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제2형 기후를 보인다. 11월부터 2월까지 이 지역에서는 보통 많은 비가 내린다.
5. 행정 구역
카라가 지방은 민다나오 섬 북동부에 위치하며, 다음과 같은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
- 북아구산 주
- 남아구산 주
- 남수리가오 주
- 북수리가오 주 (시아가오 섬, 부카스 그란데 섬 포함)
- 디나가트 제도 주
부투안은 카라가 지방에 속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이지만, 북아구산 주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카라가 지방은 5개의 주, 1개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외에도 5개의 구성 도시, 67개의 지방 자치체, 1,311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
5. 1. 주
카라가 지방은 5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주/도시 | 주도 | 인구 (2020년 기준) | 면적 (km2) | 인구 밀도 (명/km2) |
---|---|---|---|---|
북아구산 주 | 카바드바란 | 387,503명 | 2730.24km2 | 140/km2 |
남아구산 주 | 프로스페리다드 | 739,367명 | 9989.52km2 | 74/km2 |
북수리가오 주 | 수리가오 | 534,636명 | 1972.93km2 | 270/km2 |
남수리가오 주 | 탄다그 | 642,255명 | 4932.7km2 | 130/km2 |
디나가트 제도 주 | 산호세 | 128,117명 | 1036.34km2 | 120/km2 |
부투안 | — | 372,910명 | 816.62km2 | 460/km2 |
- 부투안은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북아구산 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5. 2. 도시
(2020년 기준)(km2)
(명/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