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팜팡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팜팡안족은 필리핀 팜팡가 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 팜팡가 주는 카팜팡안족의 전통적인 고향이며, 타를락 주, 바탄 주, 누에바에시하 주, 불라칸 주 등 인접 지역과 메트로 마닐라, 민다나오, 미국, 캐나다 등지에도 분포한다. 카팜팡안어는 이들의 고유 언어이며, 팜팡가 요리는 필리핀 요리의 한 축을 담당하며, 시시그, 카레카레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기독교를 주로 믿으며, 다양한 문화 축제를 통해 고유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카팜팡안족은 정치,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팜팡안족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필리핀 제9대 대통령인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은 가난한 가정 출신 법률가로, 하원 의원과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며 경제 개발과 부패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상하원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에게 패배했으며, 그의 딸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또한 필리핀 대통령을 역임했다. - 카팜팡안족 - 힐다 코로넬
힐다 코로넬은 1970년 영화 《산티아고!》로 데뷔하여 《빛의 발톱 속 마닐라》, 《인시앙》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필리핀 영화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메트로 마닐라 영화제 여우주연상과 여우조연상, 필리핀 영화 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조연상, 가와드 우리안 시상식 최우수 여우조연상 등을 수상한 필리핀의 배우이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카팜팡안족 | |
---|---|
기본 정보 | |
민족 명칭 | 카팜팡안족 |
로마자 표기 | Taung Kapampangan |
인구 (2020년) | 3,209,738명 (필리핀 인구의 3%) |
주요 거주 지역 | 필리핀 센트럴 루손 메트로 마닐라 미국 캐나다 전 세계 |
언어 | 카팜팡안어 타갈로그어 영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주류) 개신교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 포함) (소수) 이슬람 (소수) 불교 (소수) 애니미즘 (아리야 (소수)) |
관련 민족 | 팡가시난족 삼발족 타갈로그족 일로카노족 비콜라노족 기타 필리핀 민족 오스트로네시아인 |
인물 | |
주요 인물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코라손 아키노 |
2. 분포
카팜팡안족은 팜팡가 주를 중심으로 필리핀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불라칸 주, 바탄 주, 누에바에시하 주, 오로라 주, 타를락 주 등 팜팡가 주에서 분할된 지역에도 거주하고 있다.
타를락 주에서는 타를락 시, 밤반, 카파스, 콘셉시온 등에 거주하며, 빅토리아, 라파스에도 상당수가 살고 있다. 바탄 주에서는 디날루피한과 에르모사, 아부카이의 마바탕, 사말의 칼라기만 바랑가이 등에서 발견된다. 누에바에시하 주 카비아오 남부 지역과 불라칸 주 서부 지역, 톤도를 포함한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도 카팜팡안족 거주지가 존재한다.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 등지로 이주한 카팜팡안족은 카가얀데오로, 다바오 시, 제너럴산토스 등에서 '아구만'이라는 단체를 결성했다.[3][4][5][6][7] 미국과 캐나다의 '아구만'은 카팜팡안어와 문화 부흥에 힘쓰고 있으며, 캘리포니아 지부에서는 관련 활동 기금을 모금하기도 했다.
2. 1. 팜팡가 주
주인 팜팡가 주는 카팜팡안족의 전통적인 고향이다. 한때 톤도[3]에서 중앙 루손의 나머지 지역까지 뻗어있는 광대한 지역을 차지했던 팜팡가 주에서 불라칸 주, 바탄 주, 누에바에시하 주, 오로라 주, 타를락 주가 분할되었다.[4][5][6][7] 그 결과, 카팜팡안족은 현재 작은 팜팡가 주의 정치적 경계를 넘어선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타를락 주에서는 타를락 시와 밤반, 카파스, 콘셉시온의 토착민들이 카팜팡안족이며, 빅토리아, 라파스에는 상당수의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 바탄 주에서는 디날루피한과 에르모사의 자치구, 그리고 아부카이의 마바탕과 사말의 칼라기만 바랑가이에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 카팜팡안족은 누에바에시하 주의 카비아오 남부 지역과 불라칸 주의 서부 지역 전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카팜팡안족의 거주지는 마닐라의 톤도와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지역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카팜팡안족은 또한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로 이주하여 카가얀데오로, 다바오 시, 제너럴산토스에 '아구만'이라는 강력한 카팜팡안족 단체를 형성했다. 미국과 캐나다에 기반을 둔 '아구만'은 카팜팡안어와 문화 부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단체는 캘리포니아와 팜팡가에서 카팜팡안어와 문화를 장려하고 자선 및 문화 프로젝트를 위한 기금을 모금했다.
2. 2. 타를락 주
타를락 주에서는 타를락 시와 밤반, 카파스, 콘셉시온의 토착민들이 카팜팡안족이며, 빅토리아, 라파스에는 상당수의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4][5][6][7]2. 3. 바탄 주
바탄 주에서는 디날루피한과 에르모사의 자치구, 그리고 아부카이의 마바탕과 사말의 칼라기만 바랑가이에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4][5][6][7]2. 4. 누에바에시하 주
주인 팜팡가 주에서 분할된 누에바에시하 주의 카비아오 남부 지역에서 카팜팡안족을 볼 수 있다.[4][5][6][7]2. 5. 불라칸 주
팜팡가 주에서 분할된 불라칸 주의 서부 지역 전역에서 카팜팡안족을 발견할 수 있다.[4][5][6][7]2. 6. 기타 지역
타를락 주에서는 타를락 시와 밤반, 카파스, 콘셉시온의 토착민들이 카팜팡안족이며, 빅토리아, 라파스에는 상당수의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 바탄 주에서는 디날루피한과 에르모사의 자치구, 그리고 아부카이의 마바탕과 사말의 칼라기만 바랑가이에 카팜팡안족이 거주하고 있다. 카팜팡안족은 누에바에시하 주의 카비아오 남부 지역과 불라칸 주의 서부 지역 전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카팜팡안족의 거주지는 마닐라의 톤도와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지역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카팜팡안족은 또한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로 이주하여 카가얀데오로, 다바오 시, 제너럴 산토스에 ''아구만''이라는 강력한 카팜팡안족 단체를 형성했다.[3][4][5][6][7] 미국과 캐나다에 기반을 둔 ''아구만''은 카팜팡안어와 문화 부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단체는 캘리포니아와 팜팡가에서 카팜팡안어와 문화를 장려하고 자선 및 문화 프로젝트를 위한 기금을 모금했다.3. 언어
카팜팡안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중앙 루손 어군에 속하는 카팜팡안어를 사용하며, 그 외에도 정착 지역에 따라 삼발어, 팡가시난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등 다양한 언어를 구사한다.
3. 1. 카팜팡안어
카팜팡안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중앙 루손 어군에 속하는 카팜팡안어를 사용한다. 또한, 그들이 정착하고 성장한 지역의 다른 민족 집단 환경 내에서 삼발어, 팡가시난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모두 중앙 루손에 위치)와 같은 다른 언어들도 구사한다. 민다나오에 정착한 카팜팡안족은 모국어 외에도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타갈로그어와 다양한 민다나오 토착 언어를 구사한다. 하지만 그들의 후손들(특히 민다나오에서 태어난 신세대)은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타갈로그어 및 다양한 민다나오 토착 언어만 사용하며, 카팜팡안어 구사 능력은 다양하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3. 2. 기타 언어
카팜팡안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중앙루손어군에 속하는 카팜팡안어를 사용한다. 또한, 그들이 정착하고 성장한 지역의 다른 민족 집단 환경 내에서 삼발어, 팡가시난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모두 중앙 루손에 위치)와 같은 다른 언어들도 구사한다. 민다나오에 정착한 카팜팡안족은 모국어 외에도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타갈로그어와 다양한 민다나오 토착 언어를 구사한다. 하지만 그들의 후손들(특히 민다나오에서 태어난 신세대)은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타갈로그어 및 다양한 민다나오 토착 언어만 사용하며, 카팜팡안어 구사 능력은 다양하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4. 역사
캄팡간족은 필리핀 역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1571년 타리크 술레이만이 이끄는 마카베베 출신 캄팡간족은 방쿠사이 해협 전투에서 스페인에 맞서 싸웠다.[16] 그러나 이후 스페인은 식민지를 네덜란드로부터 방어하는 데 캄팡간족에 의존했다. 당시 "카스티야인 1명과 캄팡간족 3명"은 "카스티야인 4명"으로 간주될 정도로 캄팡간족은 용감하게 복무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캄팡간족에게 배신자라는 고정관념을 안겨주기도 했다.[16]
1640년 네덜란드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캄팡간족은 마닐라의 스페인 전용 아카데미와 대학교에서 스페인인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 이는 세바스티안 우르타도 데 코르쿠에라 총독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4]
1757년 1월 11일, 팜팡가와 마리벨레스의 "코레히미엔토"에 속한 영토에서 바탄주가 설립되면서, 타갈로그족은 바탄 동쪽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캄팡간족과 동화되었다. 당시 캄팡간족은 아에타족과 함께 팜팡가 인근 마을로 밀려났다. 1762년 마닐라의 영국 점령 당시, 마닐라의 많은 타갈로그 난민들이 불라칸과 이웃 누에바에시하로 피신했고, 캄팡간 정착민들은 그들을 환영했다. 캄팡간족은 토지를 팔거나 타갈로그족과 결혼하여 동화되었고, 이로 인해 불라칸과 누에바에시하는 타갈로그족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17] 아우로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여, 캄팡간족은 타갈로그족 정착민에게 동화되었다.[18][19][5][20][21] [22]
1896년 캄팡간족은 필리핀 혁명을 주도한 주요 민족 집단 중 하나였지만, 마카베베의 캄팡간족은 혁명군에 맞서 스페인 수비대를 격렬하게 방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은 앙헬레스의 클라크 비행장을 공격하며 팜팡가를 침략했다. 1942년 팜팡가주에 진입한 일본군에 의해 점령이 시작되었다. 많은 캄팡간족은 필리핀 연방 육군 제31보병사단에서 훈련받은 군인으로 USAFFE에 합류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1942년 바탄 전투 이후, 많은 캄팡간족 병사들은 바탄 죽음의 행진에 참여했다.
많은 캄팡간족이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저항군에 합류하여 게릴라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필리핀 연방 육군 및 경찰과 함께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중앙 루손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4. 1. 고대 시대


팜팡가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물은 칸다바에서 발견된 5000년 된 돌 도끼이다. 이는 배를 만드는 데 사용된 도구라고 한다. 기원전 1500년경의 토기 및 교역품도 칸다바와 포락에서 발견되었다.[8] 캄팡간족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었다.
캄팡간족은 삼발족 및 시나우나 (문자 그대로 "처음부터 온 사람들")과 함께 루손 남부에서 기원했으며, 그곳에서 이주하는 타갈로그 정착민과 접촉했는데, 캄팡간족과 타갈로그족 사이의 접촉이 가장 활발했다.[9] 이후, 최초의 정착민들은 북쪽으로 이동했다. 캄팡간족은 현대의 톤도, 나보타스, 불라칸, 누에바에시하, 아우로라, 팜팡가, 타를락 남부, 바탄 동쪽으로 이동했고,[5][10][11] 삼발족은 현대의 잠발레스주로 이동하여[12] 아에타를 몰아냈다. 루손 남부, 특히 카비테에서 온 타갈로그족은 바탄의 일부 지역으로 이주했다. 아에타족은 16세기 말까지 산악 지역으로 밀려났다. 캄팡간족은 아우로라에 아에타족 및 부그칼롯과 함께 정착했다.
말라카 술탄국이 해상 실크로드에서 가장 큰 중계 무역항으로 성장하면서 그 문화적 영향력이 해양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점진적으로 확산되었다. 말레이어는 무역의 지역 공통어가 되었고 캄팡간족, 타갈로그족 및 기타 필리핀 해안 민족을 포함한 많은 정치 체제들이 이슬람 말레이 관습과 통치를 다양한 정도로 수용했다. 브루나이 민간 전설에 따르면, 1500년경 술탄 볼키아가 톤도의 중국 무역에 대한 지역 중계 무역항 독점을 깨기 위해 성공적인 북쪽 원정을 시작했고, 파시그 삼각주 건너편에 마닐라(셀루롱?)를 설립하여 그의 후손들이 위성국으로 통치하게 했다.[13] 그 후, 브루나이의 영향력은 마닐라만을 중심으로, 현재의 바탄가스와 해안 민도로 주변으로 확산되었고, 브루나이와 말라카에 기반을 둔 성장하는 해외 캄팡간-타갈로그 인구가 상인, 선원, 조선공, 용병, 총독, 노예 등 다양한 직업으로 활동하며 무역 및 정치적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14][15]
4.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캄팡간족은 필리핀 역사에서 역동적이지만 상반된 역할을 해왔다. 1571년, 스페인 지배로부터 루손 제국을 처음으로 방어한 것은 이전 무슬림이었던 마카베베의 캄팡간족이었다.[16] 그러나 스페인이 식민지를 네덜란드로부터 방어하는 데 의존한 것도 캄팡간족이었다. 당시 "카스티야인 1명과 캄팡간족 3명"은 식민지 군대에서 용감하게 복무하는 한 "카스티야인 4명"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행동은 그들에게 개인적인 부와 자아 도취를 위해 배신자라는 고정관념을 안겨주었다.[16]
1640년 네덜란드와의 성공적인 전투 이후, 캄팡간족만이 마닐라에 있는 스페인 전용 아카데미와 대학교에서 스페인인과 나란히 공부할 수 있었으며, 이는 총독 세바스티안 우르타도 데 코르쿠에라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4] 1896년, 캄팡간족은 스페인에 맞선 필리핀 혁명을 추진하고 부추긴 주요 민족 집단 중 하나였다. 그러나 혁명가들에 맞서 마지막 스페인 수비대를 격렬하게 방어한 것은 마카베베의 캄팡간족이었다.
4. 3.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지 시대
캄팡간족은 필리핀 역사에서 역동적이지만 상반된 역할을 해왔다. 1571년, 스페인 지배로부터 루손 제국을 처음으로 방어한 것은 이전 무슬림이었던 마카베베의 캄팡간족이었다.[16] 그러나 스페인이 식민지를 네덜란드로부터 방어하는 데 의존한 것도 캄팡간족이었다. 당시 "카스티야인 1명과 캄팡간족 3명"은 식민지 군대에서 용감하게 복무하는 한 "카스티야인 4명"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행동은 그들에게 개인적인 부와 자아도취를 위해 배신자라는 고정관념을 안겨주었고, 이는 필리핀 전역에서 나타났다.[16]
1640년 네덜란드와의 성공적인 전투 이후, 캄팡간족만이 마닐라에 있는 스페인 전용 아카데미와 대학교에서 스페인인과 나란히 공부할 수 있었다. 이는 총독 세바스티안 우르타도 데 코르쿠에라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4]
1757년 1월 11일 팜팡가와 마리벨레스의 "코레히미엔토"에 속한 영토에서 바탄주가 설립되었을 때, 타갈로그족은 바탄 동쪽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캄팡간족은 타갈로그족과 동화되었다. 당시 캄팡간족은 아에타족과 함께 팜팡가 인근 마을로 밀려났다.
1762년 마닐라의 영국 점령이 발생했을 때, 마닐라에서 온 많은 타갈로그 난민들이 불라칸과 이웃 누에바에시하로 피신했고, 원래의 캄팡간 정착민들이 그들을 환영했다. 불라칸과 누에바에시하는 스페인인들이 도착했을 때 캄팡간족이 토착민이었다. 캄팡간족의 대다수는 새로 도착한 타갈로그 정착민들에게 토지를 팔았고, 다른 사람들은 타갈로그족과 결혼하여 동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불라칸과 누에바에시하는 타갈로그족이 지배하게 되었다.[17]
현대의 아우로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는데, 이곳은 타갈로그와 일로코스 지방 출신의 정착민들이 재정착했으며, 코르디예라와 이사벨라 출신의 다른 정착민들과 아에타족 및 부그칼롯과 결혼하여 캄팡간족이 타갈로그 정착민에게 동화되었다.[18][19][5][20][21] [22]
1896년, 캄팡간족은 스페인에 맞선 필리핀 혁명을 추진하고 부추긴 주요 민족 집단 중 하나였다. 그러나 혁명가들에 맞서 마지막 스페인 수비대를 격렬하게 방어한 것은 마카베베의 캄팡간족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은 팜팡가의 주요 주를 침략하여 1941년 12월 8일 팜팡가 앙헬레스의 클라크 비행장에 있는 미국 공군 기지를 공격했다. 이후 일본군은 1942년 팜팡가주에 진입하여 일본 점령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많은 캄팡간족이 침략에서 살아남아 필리핀 연방 육군 제31보병사단에서 공식적으로 훈련을 받은 요새 군인 그룹에 합류했다. USAFFE는 1941년 7월 26일 팜팡가에 주둔했으며, 1942년 4월 9일까지 일본에 항복했다.
1942년 바탄 전투 이후, USAFFE 제31보병사단의 일부 캄팡간족 병사들은 일본군과 4년간 전투를 벌였다. 1942년 4월 9일 바탄이 함락된 후, USAFFE 제31사단의 많은 캄팡간족 병사들은 일본군에게 항복한 후 바탄 죽음의 행진에 참여하여 마리벨레스, 바탄에서 카파스, 타를락으로 이동했다.
많은 캄팡간족이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저항의 게릴라 저항군에 합류했다. 많은 캄팡간족 게릴라와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단체들은 일본 점령 기간 동안 3년 이상 반란을 벌였으며,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중앙 루손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팜팡가에 주둔한 필리핀 연방 육군과 진입하는 필리핀 경찰 제3경찰 연대의 지역 부대를 돕는 등 팜팡가의 주요 주에서 연합군과 함께 싸웠다.
4. 4. 제2차 세계 대전과 독립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일본군은 1941년 12월 8일 팜팡가 앙헬레스의 클라크 비행장에 있는 미국 공군 기지를 공격하며 팜팡가의 주요 주를 침략했다. 이후 1942년 팜팡가주에 진입하여 일본 점령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6] 많은 캄팡간족은 침략에서 살아남아 필리핀 연방 육군 제31보병사단에서 공식 훈련을 받은 요새 군인 그룹에 합류했다. USAFFE는 1941년 7월 26일 팜팡가에 주둔했으며, 1942년 4월 9일까지 일본에 항복했다. 1942년 바탄 전투 이후, USAFFE 제31보병사단의 일부 캄팡간족 병사들은 일본군과 4년간 전투를 벌였다. 바탄이 함락된 1942년 4월 9일, USAFFE 제31사단의 많은 캄팡간족 병사들은 일본군에 항복하고 마리벨레스, 바탄에서 카파스, 타를락까지 바탄 죽음의 행진에 참여했다.
많은 캄팡간족이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저항의 게릴라 저항군에 합류했다. 많은 캄팡간족 게릴라와 후크발라합 공산주의 단체들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중앙 루손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팜팡가에 주둔한 필리핀 연방 육군 및 필리핀 경찰 제3경찰 연대의 지역 부대를 돕는 등, 팜팡가의 주요 주에서 연합군과 함께 싸우며 3년 이상 일본 점령에 맞서 반란을 벌였다.
5. 문화
많은 카팜팡안족 축제는 카팜팡안족에게 특이한 토속적인 풍미를 보여준다. 사스무안에서는 산타 루시아 연회를 동반한 거리 춤을 볼 수 있고, 미날린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여자로 분장한 남자를 볼 수 있다.
5. 1. 요리
팜팡가 요리(''Lutung Kapampangan'')는 다른 필리핀 민족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팜팡가를 "필리핀 요리의 수도"로 칭송받게 했다. 전국적으로 주요 요리가 된 인기 있는 팜팡가 요리로는 ''시시그'', ''카레카레'', 토시노 또는 ''핀당'', 그리고 그들이 즐겨먹는 롱가니사가 있다.
다른 팜팡가 요리로는 다른 민족들이 처음에는 잘 먹지 못하는 부루(쌀에 발효시킨 생선), ''베투테 투각''(속을 채운 개구리), ''아로붕 카마루''(식초와 마늘로 볶은 털두꺼비), ''에스토파동 바라그''(매운 국물에 졸인 왕도마뱀), 시시그, ''칼데레탕 아수''(매운 개고기 수프), 시강 리엠푸, ''다기스 아 티나마''(절인 쥐), 라만 파나라 및 보보투가 있다.
5. 2. 축제
사스무안의 산타 루시아 축제에 수반되는 "거리 춤"인 ''쿠랄달'', 미날린에서 남자가 여장을 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아구만 산둑'', 토착 무슬림과 새로운 식민주의자 토착 카팜팡안 기독교인의 전투를 재현하는 바탈라 축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두 종교를 가진 토착 카팜팡안인 사이의 역사적인 전투를 재현하는 것이다. 이들은 ''우퉁-알도'' (오후)에 전투를 시작하여 ''시실림'' (일몰)에 마카베베안과 마산툴레뇨가 마산톨, 마카베베 및 루바오라고 부르는 곡조로 전투를 끝낸다.[1]칸다바의 판시나오, 만다시그, 라낭 및 파시그 지역에서 팜팡가 강물에 떠 있는 바나나 뗏목에서 음식을 제공하는 ''피스탕 다눔''은 원래 비기독교 휴일이었으나 현재는 그리스도의 세례와 일치하도록 만들어졌다. 몬순의 도래와 파종기의 시작을 환영하는 카팜팡안 새해 또는 ''바융 반와''는 세례자 요한 축제와 일치하도록 만들어졌다. 한때 강에 대한 감사의 축하 행사였던 아팔릿의 다채로운 ''아풍 이루'' 강물 행렬은 성 베드로 축제가 되었다.[1]
가장 극적인 축제는 성주간을 카팜팡안어로 표현한 ''말 아이 알도''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는 ''파시온'' 또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이야기가 고대 카팜팡안어로 불리는 ''푸니''로 알려진 임시 제단의 건립이 포함된다. 카팜팡안 ''파시온''의 멜로디는 원래 단어가 사라지고 그리스도 이야기로 대체된 전통적인 서사시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말 아이 알도''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자가 채찍질로 피를 뒤집어쓴 참회자 ''마그다라메'' 또는 ''사살리밧바트''의 행렬이다. 그들 중 일부는 성금요일마다 산 페르난도의 쿠투드 지역의 말라붙은 늪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기도 한다.[1]
5. 3. 종교
카팜팡안족은 대부분 기독교 신자이며, 그중 다수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고, 아길리파이, 감리교 신자, 말일성도 신자이다. 소수는 비기독교 종교에 속한다. 그러나 16세기에 기독교가 강요되기 전 카팜팡안족의 주된 신앙이었던 토착 오스트로네시아 애니미즘, 힌두교, 불교의 흔적이 그들의 민간 관습과 전통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소수의 카팜팡안족은 이슬람교를 믿으며, 대부분 유학이나 필리핀 남부의 모로족 이주민과의 접촉을 통해 개종한 전 기독교인들이다.[23] 16세기 초, 일부 카팜팡안족(특히 상인)은 브루나이 말레이인과의 관계 때문에 무슬림이었다.[24] 옛 카팜팡안어 사용 톤도 왕국은 무슬림 왕국으로 통치되었고,[25] 이슬람교는 카팜팡안 지역의 해안 지역에서 충분히 두드러졌기 때문에, 스페인인들은 무슬림 신앙의 실천을 보여주는 많은 징후와 브루나이와의 밀접한 관련성 때문에 그들을 "모로족"이라고 잘못 불렀다.[26]6. 저명한 카팜팡안족
카팜팡안족은 필리핀 사회의 정치, 사회 운동, 예술, 문화, 대중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하며 필리핀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분류:팜팡가족에서 저명하거나 주목할 만한 카팜팡안족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6. 1. 정치 및 사회 운동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는 필리핀 상원의원이었다. 그의 암살은 피플 파워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그는 타를락 콩셉시온에서 태어나고 자랐다.[27]코라손 코후앙코 아키노는 필리핀 대통령을 역임한 필리핀 정치인으로,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이자 아시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었다. 국제 외교계에서는 아시아 민주주의의 어머니로 여겨진다.
베니그노 S. 아키노 3세는 필리핀 공화국의 제15대 대통령이었다.
Dr. 레이 B. 아키노는 산 페르난도 시의 전 시장이자 필리핀 건강 보험의 CEO였다.
돈 후안 마카파갈은 라칸둘라의 증손자인 아라얏의 다투였다. 그는 1660년 팜팡가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여 아라얏, 칸다바, 아팔리트 원주민들에게 ''마에스트레 데 캄포 헤네랄''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필리핀에서 유일하게 ''엔코멘데로''가 된 원주민이었다.
디오스다도 팡간 마카파갈은 필리핀 공화국의 제9대 대통령이자 팜팡가 루바오 출신이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필리핀 공화국의 제14대 대통령이었다. 제9대 대통령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의 딸로, 조셉 에스트라다의 재임 기간 동안 필리핀 최초의 여성 부통령이었다.
엘머 카토는 현재 뉴욕 주재 필리핀 공화국 총영사인 필리핀 언론인이자 외교관이다. 임무 수행 2등급의 직업 외교관인 카토는 이전에 바그다드(2015–2018)와 트리폴리(2019–2021) 주재 필리핀 대사관에서 임시대리 대사 및 임무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1998년에 외교부(필리핀)(DFA)에 입사했다.[28][29][30] 그는 앙헬레스 시 출신이다.
조마르 사디는 이라크 주재 필리핀 외교관, 멘사 인터내셔널 회원, 인신매매 방지 옹호자이다.[31][32][33] 그는 앙헬레스 시 출신이다.
아르만도 빌리왕은 산 페르난도의 전 시장으로, 시의원 및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타리크 술레이만은 방쿠사이 해협 전투에서 스페인군과 싸운 마카베베 출신의 식민지 이전 무슬림 통치자였다.
프란시스코 통지오 린손은 정치인이자 의사로, 팜팡가의 고대 수도였던 빌라 데 바콜로 출신으로, 팜팡가 주지사이자 초대 상원의원이 되었다.
페드로 통지오 린손은 변호사이자 판사였다. 팜팡가의 고대 수도였던 빌라 데 바콜로 출신으로, 말롤로스 의회 (1898–1899)의 의원이자 제1 필리핀 공화국(1899–1900) 군대의 법무 총장을 역임했다.
호세 아바드 산토스는 산 페르난도 시 출신으로 필리핀 대법원의 제5대 대법원장이 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 점령 기간 동안 일본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페드로 아바드 산토스는 의사, 변호사, 마르크스주의자, 정치인이었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두 차례의 공산주의 반란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호세 아바드 산토스의 형이다.
사투르 오캄포는 국가 민주 전선의 공동 창립자이며, 정치인, 언론인, 작가이다. 또한 필리핀 국회 하원에서 바얀 무나 당의 대표이기도 하다.
루이스 타룩은 정치인이자 공산주의 혁명가였다. 그는 1942년에서 1954년 사이에 후크발라합 반군 그룹의 지도자였다.
티토 모랄레스 멘디올라는 플로리다블랑카의 전 시장이자 운영 및 민다나오 지역 부회장을 위한 필리핀 건강 (PHILHEALTH) 보험의 수석 부사장이었다.
에디 판릴리오는 필리핀에서 지방 주지사로 선출된 최초의 가톨릭 사제였다. 그는 좋은 거버넌스를 위해 캠페인을 벌이고, 후원 정치와 부패에 반대한다.
젱 구이아오는 팜팡가의 전 부지사이며, 필리핀 농구 협회의 NLEX 로드 워리어스의 프로 농구 헤드 코치이다. 구이아오는 1990년대 초 스위프트에서 헤드 코칭을 시작한 이후 네 개의 PBA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전 필리핀 농구 리그 위원이었다.
길 J. 푸얏은 1967년부터 1972년까지 필리핀 상원 의장이었다.
로젤리오 델라 로사는 20세기에 가장 인기 있는 필리핀 매티니 아이돌 중 한 명이었으며 1957년 상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또한 자신의 명성을 정치 경력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최초의 영화 배우였으며, 다른 필리핀 연예인 출신 정치인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
프란시스 "키코" 팡길리난은 상원의원이며 유명인 샤론 쿠네타의 남편이다.
랜디 데이비드는 정치 분석가, 신문 칼럼니스트,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교수이다.
호네스토 옹티오코는 제2대 발랑가 주교 (1998년 6월 18일 – 2003년 8월 28일), 제1대 큐바오 주교 (2003년 8월 28일 – 현재), 공석 사도 행정관 말롤로스 (2018년 5월 11일 – 2019년 8월 21일)였다.
6. 2. 예술 및 문화
카팜팡안족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안셀모 호르헤 파하르도 신부(Padre Anselmo Jorge Fajardo)는 카팜팡안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필리핀 언어로 쓰인 최초이자 가장 긴 운문체 로맨스인 "곤잘로 데 코르도바"를 썼다.
- 후안 크리소스토모 소토(Juan Crisostomo Soto)는 카팜팡안 작가, 혁명 지도자, 필리핀-미국 전쟁 참전 용사였다. 그는 카팜팡안 시 논쟁인 크리소탄의 아버지이자 "알랑 디오스"(신은 없다) 등 많은 사르수엘라와 극작품을 썼다.[4]
- 프란시스코 알론소 리온손(Francisco Alonso Liongson)은 스페인어로 된 뛰어난 필리핀 극작가이자 팜팡가의 스페인 극단인 시르쿨로 에스세니코의 창립 회장이었다.
- 아우렐리오 톨렌티노(Aurelio Tolentino)는 카티푸난(Katipunan)의 일원으로,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és Bonifacio)의 친구이자 카팜팡안어와 타갈로그어로 활동한 민족주의 작가였다. 그는 "카하폰, 은가욘 아트 부카스"라는 작품으로 타갈로그 드라마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4]
- 호세 가야르도(Jose Gallardo)는 20세기 후반 가장 많은 작품을 쓴 카팜팡안 작가 중 한 명이자 카팜팡안 계관 시인이다.
- 아마도 유존(Amado Yuzon)은 카팜팡안 계관 시인이자 필리핀 학자, 저널리스트, 작가였다.
- 알레한드로 T. 퀴볼로이(Alejandro T. Quiboloy)는 카팜팡안 교육자, 공무원, 작가, 개신교 목사였다.
- 빈센테 마난살라(Vicente Manansala)는 시각 예술 분야의 필리핀 국립 예술가였다.
- 이시도로 C. 소토(Isidoro C. Soto)는 팜팡가의 예술가, 장식가, 디자이너 중 한 명으로, 벳티스 교회의 천장화를 그리기도 했다.[4]
- 암베스 오캄포(Ambeth Ocampo)는 필리핀 역사학자, 학자,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다.
- 진 곤잘레스(Gene Gonzales)는 셰프, 레스토랑 경영자, 교육자, 경영 컨설턴트이자 작가로, "코시나 술리페냐: 올드 팜팡가 요리"를 썼다.
- 조일로 일라리오(Zoilo Hilario)는 아카데미양 카팜팡안을 통해 카팜팡안 문자에 ABAKADA를 도입하는 데 힘쓴 국립 언어 연구소의 회원이었다.
- 몬 데이비드(Mon David)는 재즈 가수로, 2006년 런던 국제 재즈 콩쿠르(LIJC)에서 대상을 수상했다.[4]
- [https://web.archive.org/web/20080915035021/http://www.ncca.gov.ph/about-ncca/org-awards/gamaba/eduardo%20_mutuc.php 에두아르도 무툭]은 은상감과 엠보싱 기술을 활용한 전통 카팜팡안 예술인 "피눅푹"을 옹호한 2005년 NCCA GAMABA 국립 문화 보물 수상자이다.[4]
- 브릴란테 멘도사(Brillante Mendoza)는 키나타이(Kinatay)로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한 필리핀 영화감독이다.[4]
6. 3. 대중문화 및 스포츠
카팜팡안족은 필리핀 대통령 4명, 대법원장 3명, 상원 의장, 최초의 필리핀 추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이름 | 분야 | 출신 지역 | 비고 |
---|---|---|---|
돌피 | 배우 | 팜팡가 | "필리핀 코미디의 왕" |
빌마 산토스 | 배우, 정치인 | 타를락 주 밤반 | 필리핀 영화의 여왕, 바탕가스 주 주지사 역임 |
멜라니 마르케스 | 모델, 배우 | 마발라캇 | 1979년 미스 인터내셔널 우승 |
에프렌 "바타" 레예스 | 당구 선수 | 앙헬레스 시티 | "마법사" |
프란시스코 부스타만테 | 당구 선수 | 에프렌 레예스와 함께 세계적인 당구 듀오 | |
apl.de.ap (앨런 피네다 린도) | 가수 | 앙헬레스 시티 | 블랙 아이드 피스 멤버, "The Apl Song" 발표 |
앨런 디존 | 배우 | 팜팡가 주 산타 아나 | |
리토 라피드 | 배우, 정치인 | 팜팡가 주지사, 필리핀 상원 의원 역임 | |
조이 마르케스 | 배우, 코미디언, 정치인 | ||
아토 아구스틴 | 농구 선수 | 1992년 MVP | |
아르윈 산토스 | 농구 선수 | 루바오 | |
제페스 아길라르 | 농구 선수 | 팜팡가 주 사스무안 | |
코코 마틴 | 배우, 영화 감독, 프로듀서 | 앙 프로빈시아노 출연 | |
캘빈 아부에바 | 농구 선수 | 팜팡가 앙헬레스 시티 | "야수" |
제이슨 카스트로 | 농구 선수 | 팜팡가 주 과과 | |
게리 데이비드 | 농구 선수 | 팜팡가 주 디날루피한 | |
JC 인탈 | 농구 선수 | 팜팡가 주 미날린 | |
젱 기아오 | 농구 코치, 정치인 | NLEX 로드 워리어스 코치, 팜팡가 주 제1지구 부주지사 및 하원 의원 역임 | |
로헬리오 데 라 로사 | 배우, 정치인 | 1957년 상원의원 선출 | |
루디 페르난데스 | 배우 | 루바오 | |
로르나 톨렌티노 | 배우 | 루디 페르난데스의 아내 | |
진 가르시아 | 배우 | 앙헬레스 시티 | 팡가코 사 '요 마담 클라우디아 역 |
카를로스 바디온 | 농구 선수 | 최초의 아시아 MVP, "나쁜 녀석" | |
에드 오캄포 | 농구 선수, 코치 | 올림픽 선수 | |
마크 라피드 | 배우, 정치인 | 전 팜팡가 주지사(2004–2007) | |
헬렌 감보아 | 배우, 가수 | ||
가우덴시오 "덴시오" 카바넬라 | 복싱 선수 | 팜팡가 주 산 페르난도 | |
안젤 아퀴노 | 배우, 모델 | 타를락 | |
리자 로레나 | 배우 | 1966년 Bb. 필리피나스 대회 1위 | |
페르난도 포 주니어 | 배우, 정치인 | 2004년 대통령 선거 출마, 어머니가 칸다바 출신[34] | |
샤론 쿠네타 | 배우, 가수 | "필리핀 쇼 비즈의 메가스타", 어머니가 팜팡가 주 산타 아나 출신[35] | |
KC 콘셉시온 | 배우, 가수 | 샤론 쿠네타의 딸 | |
레아 살롱가 | 배우, 가수 | 앙헬레스 시티에서 어린 시절 보냄, 미스 사이공 킴 역 | |
주디 앤 산토스 | 배우 | 어머니가 팜팡가 주 산 페르난도 시 출신 | |
파키토 디아즈 | 배우, 감독 | 어머니가 카팜팡안 | |
레아 디존 | 모델, 가수 | 라스베이거스 | |
바네사 미닐로 | 텔레비전 연예인 | 앙헬레스 시티 클라크 공군 기지 | |
이사벨 프레이슬러 | 저널리스트, 텔레비전 진행자 | 아라스타 가문의 카팜팡안 조상은 바탄 출신[36] | |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 가수 | 이사벨 프레이슬러의 아들 | |
차벨리 이글레시아스 | 이사벨 프레이슬러의 딸 | ||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주니어 | 가수 | 이사벨 프레이슬러의 아들 | |
힐다 코로넬 | 배우 | 아버지가 미국 군인 | |
애비게일 윌리엄슨 아레나스 | 모델 | ||
프란시스코 "장고" 부스타만테 | 당구 선수 | 타를락 | |
마이키 코후앙코 자워스키 | 타를락 | 전 올림픽 선수(승마) | |
로사 로잘 | 팜팡가 주 산타 리타 | 필리핀 적십자사 지지자 | |
엘우드 페레즈 | 영화 감독 | 팜팡가 주 마발라캇[37] | |
크리스 티우 | TV 진행자 | ||
사라 게로니모 | 가수, 배우 | 아버지가 팜팡가 주 플로리다블랑카 출신 | |
리자 마에 디존 | 아역 배우, 코미디언 | ||
로사 델 로사리오 | 배우 | 어머니가 팜팡가 출신 | |
티아 메기아 | 가수 | 앙헬레스 시티 | 아메리칸 아이돌 시즌 10 참가자 |
존 프라츠 | 배우 | 어머니가 앙헬레스 시티 출신 | |
마리셀 락사 | 배우 | 아버지 토니 페레르는 60년대와 70년대 인기 배우 | |
지미 마난살라 | 농구 선수 | 올해의 신인상, 4번의 PBA 챔피언십 | |
줄리안 마난살라 | 영화 감독 | "필리핀 민족주의 영화의 아버지" | |
루이스 마르자노 | 배우 | 어머니 빌마 산토스는 타를락 주 밤반 출신 | |
밤부 마날락 | 가수 | 부모는 팜팡가 주 플로리다블랑카 출신 | |
알주르 아브레니카 | 배우 | 앙헬레스 시티 | |
크리스 아키노 | 배우, 텔레비전 연예인 | 베니그노 S. 아키노 주니어와 코라손 코후앙코 아키노의 막내딸, 베니그노 S. 아키노 3세의 여동생 | |
딤플스 로마나 | 배우, 모델 | ||
엘리 틸라오 | 셰프 | 어머니는 앙헬레스 시티, 아버지는 마카베베 출신 | |
트레이시 팀벌레이크 박사 | 유튜버 | 클라크 공군 기지 | 어머니는 카팜팡안 |
마이클 알림 | 셰프 | 산 페르난도, 앙헬레스 시티, 마발라캇 시 | 기네스북에 등재된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최초의 카팜팡안 셰프 |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5-19
[3]
간행물
Relación de las Yslas Filipinas
Blair and Robertson
[4]
서적
The Province of Pampanga and Its Towns: A.D. 1300–1965
By the author
[5]
웹사이트
Tantingco: The Kapampangan in Us
https://www.sunstar.[...]
2024-01-23
[6]
웹사이트
What is the Kapampangan Region?
http://marcnepo.blog[...]
[7]
웹사이트
The Language Shift from the Middle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Kapampangan Speaking Region
https://www.language[...]
[8]
웹사이트
Early Kapampangan civilization traced in Candaba
http://www.sunstar.c[...]
sunstar publication
2014-02-19
[9]
서적
Language - a doorway between human cultures : tributes to Dr. Otto Chr. Dahl on his ninetieth birthday
https://zorc.net/RDZ[...]
Novus
2024-02-14
[10]
웹사이트
What is the Kapampangan Region?
http://marcnepo.blog[...]
[11]
문서
The Language Shift from the Middle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Kapampangan Speaking Region
https://www.language[...]
[12]
웹사이트
Sambal
http://www.ncca.gov.[...]
[13]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http://www.history-c[...]
2009-02-07
[14]
서적
First voyage round the world
Filipiniana Book Guild
[15]
서적
Barangay: Sixteenth-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Conquistas de las Islas Filipinas 1565–1615
Pedro Galende, OSA: Intramuros, Manila
[17]
웹사이트
The Historical Indúng Kapampángan: Evidence from History and Place Names
https://www.sinupan.[...]
2023-11-28
[18]
웹사이트
Baler And Its People, The Aurorans
http://www.aurora.ph[...]
2018-02-21
[19]
웹사이트
Lowland Cultural Group of the Tagalogs
https://ncca.gov.ph/[...]
2020-10-04
[20]
웹사이트
What is the Kapampangan Region?
http://marcnepo.blog[...]
[21]
문서
The Language Shift from the Middle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Kapampangan Speaking Region
https://www.language[...]
[22]
간행물
The Ilongot or Ibilao of Luzon
https://books.google[...]
1910
[23]
학술지
Balik -Islam: Christian converts to Islam in the Philippines, c. 1970-98
https://www.tandfonl[...]
2023-04-08
[24]
Citation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Austronesian Transition to Islam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ANU Press
2021-06-16
[25]
서적
The Province of Pampanga and its towns (A.D. 1300–1955) with the genealogy of the rulers of central Luzon
Villanueva Books
[26]
서적
The Boxer Codex: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an Illustrated Late Sixteenth-Century Spanish Manuscript Concerning the Geography, Ethnography, Expansion and Indigenous Response
[27]
문서
Santiago
[28]
웹사이트
Former Philippine Envoy to Libya is now Consul General in New York
https://newyorkpcg.o[...]
2021-05-10
[29]
웹사이트
WATCH: INQside Look with Elmer Cato, Consul General of PH in New York
https://globalnation[...]
2021-05-10
[30]
웹사이트
Former Philippine Envoy to Libya is now Consul General in New York —
https://www.asianjou[...]
2021-05-10
[31]
웹사이트
Most OFWs from Iraq victims of trafficking
https://www.manilati[...]
2020-04-13
[32]
웹사이트
Filipino workers in Baghdad told to go on leave
https://www.bworldon[...]
2020-04-13
[33]
웹사이트
Embahada ng Pilipinas sa Baghdad, Iraq – itinampok ng Asia Times Online – Patnubay Online
http://patnubay.org/[...]
2020-04-13
[34]
웹사이트
Truly Pinoy: Da King Fernando Poe Jr.
http://www.abs-cbngl[...]
ABS CBN global
2014-02-22
[35]
웹사이트
Pampanga's Two Chartered Cities and Her Twenty Towns
http://www.andropamp[...]
2014-02-23
[36]
웹사이트
La tribu filipina de Isabel Preysler – La Razón digital
http://www.larazon.e[...]
[37]
웹사이트
PEP PROFILES: Elwood Perez and his masterpieces that gave birth to showbiz's brightest stars
http://www.pep.ph/gu[...]
Summit Media
2009-09-21
[38]
서적
1965
[39]
웹인용
Recipient of the PHS Centennial Outstanding Alumnus Award in the Field of Accountancy 2008 Recipient of the City of San Fernando, Pampanga's Outstanding Fernandino Award in the Field of Culture 2011
http://www.andropamp[...]
andropampanga
2014-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