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은혜, 아름다움, 매력을 상징하는 여신들로, 일반적으로 3명으로 묘사된다. 제우스와 에우리노메의 딸들인 아글라에아, 에우프로쉬네, 탈레이아가 대표적이며, 파시테아, 칼레, 카리스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올림포스 신들을 섬기는 역할을 하며, 숭배는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시작되어 그리스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카리테스는 조각과 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누드화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의 여신 - 길상천
  • 미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삼상신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삼상신 - 삼위일체
    삼위일체는 기독교에서 하느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하나의 신성을 지닌다는 교리로서, 구약성경에서 암시를 찾고 신약성경에서 구체화되었으며,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거치며 확립되어 현재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에서 핵심 교리로 받아들여지고 기독교 문화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카리스
지도 정보
일반 정보
그리스어Χάριτες
라틴어Gratiae
다른 이름그라티아이
그라티에스
그레이스
신화 속 정보
분야아름다움
매력
풍요
창의성
로마 신화그라티아이
상징장미, 미르, 주사위
부모제우스 또는 에레보스
에우리노메 또는 에우노미아 또는 에라 또는 에우리도메 또는 밤
형제자매호라이
배우자헤파이스토스
자녀에우클레이아, 에우테르페, 필로프로시네, 아글라이아
구성원
주요 구성원아글라이아
에우프로시네
탈리아
기타 구성원파시테아
칼레
에우다이모니아
안티아
에르시스
텔크시노에
페이토
에우포리아
디아
테타이스
에우리메
헤게모네
클레오파에마
코로니스
아우크소
카리테스
키모폴레아
이아소

2. 어원 및 명칭

카리스는 보통 제우스오케아노스의 딸 에우리노메의 딸들로 여겨지지만,[65] 어머니가 헤라라는 설도 있다. 다른 설에 따르면 헬리오스헤스페리스들 중 한 명인 아이글레의 딸들이거나,[66] 디오니소스아프로디테의 딸들이라고도 한다. 로마 신화에서는 그라티아('''Gratia''', 복수형 '''그라티아이''', '''Gratiae''')라고 불렸으며, 영어식 발음인 그레이스('''Grace''', 복수형 '''그레이시스''', '''Graces''')로도 알려져 있다.

카리스는 아름다운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올림포스 산 정상에서 신들의 연회 때 아폴론의 리라와 무사들의 노랫소리에 맞춰 춤을 추었다. 이들은 신들과 사람들에게 육체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우아함도 부여한다고 여겨져 미술과 기술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숭배받았다. 원래는 의 싹이 트는 활력을 나타내는 신으로 여겨졌으며, 사랑과 미의 여신이 된 후에는 아프로디테의 시종이 되었고, 그 딸이라는 설도 생겨났다.

카리스의 수는 원래 정해져 있지 않았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아글라에아("광채"), 에우프로쉬네("기쁨"), 탈레이아("꽃 피는")의 세 명이 언급되어 "삼미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서사시에서는 파시테아("만물의 여신"),[67] 칼레("미녀"),[68] 아욱소("성장")와 헤게모네("여왕"),[69] 클레테르("불리는 여자")와 파엔나("빛나는 여자"),[70] 카리스("우아")[71] 등의 이름이 언급되며, 페이토("설득")도 카리스의 한 명으로 불리기도 한다.[72]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파시테아가 등장하며, 파시테아, 칼레, 에우프로쉬네, 또는 논노스의 『디오니소스 이야기』에서는 파시테아, 페이토, 아글라에아를 카리스로 보는 설도 있다. 아테네에서는 아욱소와 헤게모네 외에 페이토를 더해 3명, 라코니아 지방에서는 클레테르와 파엔나 2명을 카리스로 여겼다. 후에 라코니아 지방의 스파르타에서는 아글라에아, 에우프로쉬네, 클레테르를 가리키게 되었다. 헤파이스토스의 아내를 카리스의 한 명으로 보는 설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아글라에아로 여겨지지만,[73] 호메로스에 따르면 단순히 카리스라는 이름이라고 한다.[71]

카리스고대 그리스어라틴어이름의 의미
아글라에아ΑγλαιαelAglaiala광채
에우프로쉬네
또는 에우티미아
Ευφροσυνηel
Ευθυμιαel
Euphrosynela
Euthymiala
기쁨
유쾌함
탈레이아
또는 탈리아
Θάλειαel
Θαλιαel
Thaleiala
Thaliala
꽃 피는
파시테아ΠασιθεαelPasitheala만물의 여신
칼레
또는 칼레이스
Καληel
Καλλειςel
Calela
Calleisla
미녀
카리스ΧάριςelCharisla우아
클레테르ΚληταelCletala불리는 여자
파엔나ΦαενναelPhaennala빛나는 여자
아욱소ΑυξωelAuxola성장
헤게모네ἩγεμονηelHegemonela여왕
페이토ΠειθώelPeithola설득


2. 1. 어원

카리테스와 관련된 여신의 이름과 수는 다양했지만, 보통 3명이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아글라에, 에우프로시네, 탈리아로 나열된다.[1] 헤시오도스가 제시한 이름 외에 다른 이름으로는 다미아("대지의 어머니"), 아욱세시아("봄의 성장"), 클레타("유명한"), 파에나("밝은"), 헤게모네("지도자"), 페이토("설득"), 파레고로스("위로"), 파시테아("휴식"), 카리스("은총"), 칼레("아름다움") 등이 있다. 고대 도기화에는 안테이아("꽃"), 에우다이모니아("행복"), 에우튀미아("좋은 기분"), 에우튀키아("행운"), 파이디아("놀이"), 판다이시아("연회"), 판니키스("축제")와 같은 이름들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카리테스를 오락과 축제의 수호신으로 칭한다.

파우사니아스는 ''그리스 안내기''(9권 35.1–7)에서 그리스 본토와 이오니아의 여러 지역에서 발전한 카리테스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설명했다.

논노스는 세 명의 이름을 파시테아, 페이토, 아글라에로 제시한다.[4] 소스트라투스는 파시테아, 칼레("아름다움"), 에우프로시네로 이름을 제시한다.[5][6] 파시테아는 탈리아, 칼레는 아글라에를 가리키며, 에우프로시네는 변동 없이 유지된다.[7] 스파르타에서는 클레타와 파에나만 계산되었다.[8]

2. 2. 명칭

카리테스와 관련된 여신의 이름과 수는 다양했지만, 보통 3명이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카리테스는 아글라에, 에우프로시네, 탈리아로 나열된다.[11] 헤시오도스가 제시한 이름 외에 다른 이름으로는 다미아("대지의 어머니"), 아욱세시아("봄의 성장"), 클레타("유명한"), 파에나("밝은"), 헤게모네("지도자"), 페이토("설득"), 파레고로스("위로"), 파시테아("휴식"), 카리스("은총"), 칼레("아름다움") 등이 있다. 또한 고대 도기화에는 안테이아("꽃"), 에우다이모니아("행복"), 에우튀미아("좋은 기분"), 에우튀키아("행운"), 파이디아("놀이"), 판다이시아("연회"), 판니키스("축제")와 같은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카리테스를 오락과 축제의 수호신으로 칭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자신의 ''그리스 안내기''에서 그리스 본토와 이오니아의 여러 지역에서 발전한 카리테스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설명했다. 보이오티아인들은 에테오클레스가 카리테스에게 처음으로 제물을 바친 사람이었다고 말하며, 그가 카리테스의 수를 3명으로 정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가 그들에게 어떤 이름을 부여했는지에 대한 전통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 라케다이몬인들은 카리테스가 두 명이며, 타이게테의 아들 라케다이몬이 그들을 세웠고, 그들에게 클레타("소리" 또는 "유명한")와 파에나("빛" 또는 "밝은")라는 이름을 부여했다고 말한다. 아테네인들은 오랫동안 아욱소("증가" 또는 "성장")와 헤게모네("지도자" 또는 "여왕") 두 명의 카리테스를 숭배하다가 헤르메시아낙스가 페이토("설득")를 세 번째 여신으로 추가했다.[12] 오르코메노스의 에테오클레스로부터 세 명의 카리테스에게 기도하는 관습을 배웠다고 한다. 델로스인들을 위해 아폴론의 상을 만든 디오니소스의 아들 안젤리온과 테크타우스는 그의 손에 세 명의 카리테스를 놓았다. 또한 아테네에서는 아크로폴리스 입구 앞에 세 명의 카리테스가 있으며, 그들 곁에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개되지 않는 신비가 거행된다. 팜포스는 카리테스에 대해 처음 노래한 사람이지만, 그의 시는 그들의 수나 이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호메로스는 카리테스 중 한 명을 헤파이스토스의 아내로 만들고 그녀에게 카리스("은총")라는 이름을 부여한다. 그는 또한 잠이 파시테아("환각")의 연인이었다고 말한다. 헤시오도스는 ''신통기''에서 세 명의 카리테스가 제우스와 에우뤼노메의 딸이며, 그들에게 아글라에, 에우프로시네, 사랑스러운 탈리아라는 이름을 부여한다고 말한다. 오노마크리토스의 시도 이 설명에 동의한다. 안티마쿠스는 카리테스의 수나 이름을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이 아이글레와 태양의 딸이라고 말한다. 서정 시인 헤르메시아낙스는 설득 또한 카리테스 중 한 명으로 만든다.[9]

논노스는 그들의 세 이름을 파시테아, 페이토, 아글라에로 제시한다.[13] 소스트라투스는 파시테아, 칼레("아름다움"), 에우프로시네로 이름을 제시한다.[14][15] 파시테아는 탈리아를, 칼레는 아글라에를, 에우프로시네는 변동 없이 유지된다.[16] 스파르타에서는 클레타와 파에나만 계산되었다.[17]

원래 카리스의 인원은 정해져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제우스와 에우리노메의 딸들로서 아글라에아("광채"), 에우프로쉬네("기쁨"), 탈레이아("꽃 피는")의 세 명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서사시에서는 파시테아("만물의 여신")[67], 칼레("미녀")[68], 아욱소("성장")와 헤게모네("여왕")[69], 클레테르("불리는 여자")와 파엔나("빛나는 여자")[70], 카리스("우아")[71] 등의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 또한 페이토("설득")도 카리스의 한 명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72]

파시테아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파시테아, 칼레, 에우프로시네의 3명을, 또는 논노스의 『디오니소스 이야기』에서는 파시테아, 페이토, 아글라에아의 3명을 카리스로 보는 설도 있다. 또한 아테네에서는 아욱소와 헤게모네의 2명 외에 페이토도 더한 3명을, 라코니아 지방에서는 클레테르와 파엔나의 2명을 카리스로 여겼다. 후에 라코니아 지방의 스파르타에서는 아글라에아, 에우프로쉬네, 클레테르의 3명을 가리키게 되었다. 또한 헤파이스토스의 아내를 카리스의 한 명으로 보는 설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것은 아글라에아로 여겨지지만[73], 호메로스에 따르면 단순히 카리스라는 이름이라고 한다.[71]

확인된 카리스들은 아래 표와 같다.

카리스고대 그리스어라틴어이름의 의미
아글라에아ΑγλαιαelAglaiala광채
에우프로쉬네
또는 에우티미아
Ευφροσυνη
Ευθυμιαel
Euphrosyne
Euthymiala
기쁨
유쾌함
탈레이아
또는 탈리아
Θάλεια
Θαλιαel
Thaleia
Thaliala
꽃 피는
파시테아ΠασιθεαelPasitheala만물의 여신
칼레
또는 칼레이스
Καλη
Καλλειςel
Cale
Calleisla
미녀
카리스ΧάριςelCharisla우아
클레테르ΚληταelCletala불리는 여자
파엔나ΦαενναelPhaennala빛나는 여자
아욱소ΑυξωelAuxola성장
헤게모네ἩγεμονηelHegemonela여왕
페이토ΠειθώelPeithola설득


3. 신화 속 역할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카리테스는 제우스에우리노메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서는 이들이 디오니소스아프로디테 또는 헬리오스와 바다의 요정 아이글레의 딸들이라고도 한다.[74] 이들은 주로 세 명으로 묘사되며, 그 이름은 각각 에우프로시네, 아글라에아, 탈리아이다. 호메로스에서는 파시테아, 칼레가 언급되며,[75] 아프로디테를 수행하는 시녀들로 묘사된다.[76]



카리테스는 다른 올림포스 신들, 특히 잔치와 춤에 참석하는 것이 주요 신화적 역할이었다.[18] 아프로디테안키세스를 유혹하기 전 파포스에서 아프로디테를 목욕시키고 향유를 발랐으며, 아프로디테가 아레스와의 불륜이 발각되어 올림포스를 떠난 후에도 그녀를 보살폈다.[19] 또한, 아프로디테의 페플로스를 짜거나 물들였다고 한다.[20] 페이토와 함께 판도라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목걸이를 선물하기도 했다.[21]

핀다로스는 카리테스가 올림포스 신들을 위해 잔치와 춤을 준비했다고 말했다.[22] 아프로디테, 헤베, 하르모니아와 함께 아폴론의 탄생을 축하하는 춤을 추었고,[23] 종종 아폴론 및 무사들과 함께 춤추고 노래하는 것으로 언급되었다.[24] 핀다로스는 또한 그들을 고대 미니아스의 수호자이자 오르코메노스의 여왕으로서, 아폴론 곁에 그들의 왕좌가 있다고 언급했다.[22]

카리테스는 헤라와 연관되어 있으며, 일부 고대 작가들은 그녀를 카리테스의 유모로 언급했다.[25] 일리아스에서, 헤라는 제우스를 속여 트로이 전쟁으로부터 그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힙노스에게 파시테아와 결혼하도록 주선하겠다고 제안하는데, 파시테아는 젊은 카리테스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26]

카리테스 중 한 명은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의 아내 역할을 했다. 헤시오도스는 헤파이스토스의 아내를 아글라에아라고 칭했다.[3] 일리아스에서는 그녀가 카리스라고 불리며, 테티스를 맞이하여 테티스가 헤파이스토스에게 그녀의 아들 아킬레우스를 위한 갑옷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할 수 있게 한다.[27]

4. 숭배

카리테스 숭배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그들의 이름은 펠라스고이어, 즉 그리스 이전의 기원에서 유래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에 의해 그리스로 전해진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29] 그들의 숭배 목적은 요정의 숭배와 유사하며, 주로 다산과 자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특히 샘과 강과 관련이 있다.[29] 카리테스 숭배의 가장 초기의 중심지 중 하나는 키클라데스 제도였으며, 여기에는 파로스 섬도 포함되며, 기원전 6세기에 산토리니 섬에서 카리테스 숭배에 대한 비문 증거가 있다.[1][29] 학자들은 의식에서 화환과 피리가 없다는 점을 들어 그들을 다산과 관련된 지하 신으로 해석해 왔다. 음악과 화환의 부재에 대한 원인론적 설명은 미노스와 관련된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파로스 섬에서 카리테스에게 제물을 바치고 있었는데, 아들이 아테네에서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슬픔에 잠겨 음악을 중단하고 화환을 찢었다고 한다.[1] 그러나 춤은 그들의 숭배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디오니소스아르테미스의 숭배와 유사하다.[29]

안토니오 카노바의 ''세 여신'', 에르미타주 미술관 소장


카리테스가 다른 신들의 성소에서 가장 흔하게 묘사되었지만, 그리스에는 그들에게 전적으로 헌정된 사원이 최소 4개 있었다. 그들의 가장 중요한 사원으로 여겨지는 사원은 보이오티아의 오르코메노스에 있었는데, 그들의 숭배가 여기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에르미오니, 스파르타, 엘리스에도 카리테스 사원이 있었다.[30] 라코니아의 티아사 강 근처 아미클라이에는 스파르타의 고대 왕 라케다이몬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카리테스 사원이 있었다.[31]

제임스 프라디에의 ''Les Trois Grâces'', 1831년. 루브르 박물관.


오르코메노스에서 여신들은 매우 오래된 부지에 세 개의 돌로 숭배를 받았는데, 이는 에로스헤라클레스에 대한 다른 보이오티아 숭배와 유사하다.[1] 지역 강인 케피소스와 아키달리아(또는 아르가피아) 샘은 세 여신에게 신성했다. 오르코메노스는 습지인 코파이스 평원 때문에 농업이 번성한 도시였으며, 카리테스에게 수확물의 일부가 바쳐졌다.[1] 스트라보는 오르코메노스에서의 그들의 숭배 기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숭배에서 카리테스는 특히 아폴론과 관련이 있으며 델로스 섬에서 그의 숭배와 연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연결은 다른 아폴론 숭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29] 고전 시대와 그 이후에 카리테스는 시민 문제와 관련하여 아프로디테와 연관되었다.[29]

카리테스를 기리는 축제가 있었는데, 이를 ''카리시아''(Χαρίσια)라고 불렀다. 이 축제 기간 동안 밤새 춤을 추고, 마지막에는 밤새 깨어 있던 사람들에게 케이크가 주어졌다.[33]

5. 예술 작품

이들 삼미의 여신은 수많은 예술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

기원전 5세기 초,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소크라테스가 조각했다고 여겨지지만, 이는 가능성이 낮음.


왼쪽


폼페이프레스코화 (1세기경).


보티첼리.


카리테스는 지난 2천 년 동안 "닫힌 대칭적 그룹"으로 얽힌 누드로 묘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는 후대의 발전이다. 고대 그리스와 고전 그리스의 묘사에서 그들은 섬세하게 옷을 입었고,[1][18] 보통 춤추는 사람처럼 한 줄로 나타난다. 반대로 기원전 3세기의 시인 칼리마코스와 에우포리온은 세 여신을 누드로 묘사했다.[18]

이 여신들의 가장 초기의 묘사는 기원전 7~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테르모스의 아폴론 신전에서 발견되었다.[29] 그러나 카리테스는 헤르메스나 디오니소스라고 해석되는 남성 인물이 있는 상태에서 춤을 추는 두 명의 여성 인물을 묘사한 미케네 금제 인장 반지에서 묘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 기원전 5세기 초 파로스 식민지 타소스의 부조에서 발견된 또 다른 초기 카리테스 묘사는 카리테스를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또는 페이토와 함께 묘사했는데, 이는 구시가의 입구를 나타냈다.[29] 부조 반대편에는 아르테미스가 배경에 님프들과 함께 아폴론에게 왕관을 씌워주는 모습이 나타난다. 아크로폴리스 입구에는 카리테스와 헤르메스의 유명한 고전 시대 부조가 있었으며, 조각가가 소크라테스라는 대중적인 믿음이 있었지만, 이는 매우 가능성이 낮다.[1]

케네스 클라크는 서로 얽힌 팔을 한 채 안쪽을 향하는 세 카리테스의 "복잡한" 포즈를 "고대 미술의 마지막 아름다운 발명 중 하나"라고 묘사한다. 그는 인물 비율에 근거하여 기원전 1세기에 발명되었다고 생각했으며, 고대에서 살아남은 많은 유물 중 "고품질"은 없다고 언급했다.[34] 다양한 각도에서 보이는 세 명의 누드 여성 인물을 묘사하는 데 있어 예술가들이 자신의 기술을 보여줄 기회는 이 주제의 지속적인 인기의 요인이 되었다.

카리테스에 대한 가장 초기 로마 시대 묘사 중 하나는 기원전 40년경 보스코레알레의 벽화로, 아프로디테에로스, 디오니소스아리아드네가 함께 묘사되었다.[18] 이 그룹은 또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파우스티나 소의 사이의 결합을 상징하기 위해 소수의 동전에 나타났을 수 있으며, 다른 동전에서는 유노 또는 베누스의 손에 묘사되었다.[18] 카리테스는 로마 석관의 흔한 주제였으며, 여러 거울에 묘사되었다.[18]

2세기 CE의 안내서 저자 파우사니아스는 카리테스 묘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클라크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세 여신의 나체는 도덕적인 비난에서 자유로웠고, 그 결과 15세기에 이교도적인 아름다움이 처음으로 나타날 수 있는 주제를 제공했다"고 썼다.[35]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의 주요 모델이었던 대리석으로 된 그리스-로마 시대 조각상은 피콜로미니 도서관에 있다가 현재는 시에나 대성당에 전시되어 있다.

라파엘의 ''세 여신'', 1504–1505.


카리테스는 산드로 보티첼리의 그림 ''프리마베라''에서 다른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 라파엘로 또한 현재 콩데 미술관(프랑스 샹티이)에 있는 작은 그림에 그들을 묘사했다. 다른 예술적 묘사들 중, 그들은 안토니오 카노바베르텔 토르발센의 유명한 조각의 주제이다. 대부분의 조각은 닫힌 그룹 포즈의 변형을 사용한다.

칼라베라스 빅 트리 주립공원에 있는 세 그루의 나무는 카리테스를 따라 "세 여신"이라고 불린다.[36]

참조

[1] 서적 Ancient Greek Cults https://archive.org/[...] Routledge
[2]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3]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4]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5] 문서 Orphic Hymn https://archive.org/[...]
[6] 문서 Compendium of Greek Theology
[7] 문서 Dionysiaca https://topostext.or[...]
[8] 문서 Dionysiaca
[9]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0] 문서 Rape of Helen https://penelope.uch[...]
[11] 문서 Theogony http://data.perseus.[...] Gantz
[12] 서적 A manual of classical mythology; or, A companion to the Greek and Latin poets, designed chiefly to explain words, phrases and epithets, from the fables and traditions to which they refer
[13] 문서 Dionysiaca https://www.loebclas[...] Keightley
[14] 서적 Greek Mythography in the Roman World
[15] 간행물 The Red Dragon: The National Magazine of Wales, Volume 11
[16] 서적 Ancient Greek Beliefs
[17] 웹사이트 Graces, The
[18] 논문 The Three Graces on a Roman Relief Mirror 1988
[19] 문서 Homeric Hymn 5 to Aphrodite https://www.perseus.[...]
[20]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21] 문서 Works and Days https://www.perseus.[...]
[22] 문서 Olympian Ode 14 https://www.perseus.[...]
[23] 문서 Homeric Hymn 3 to Pythian Apollo https://www.perseus.[...]
[24]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25] 문서 Rape of Helen https://www.loebclas[...]
[26]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27]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28] 서적 Homer's Odyssey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Aphrodite and Eros: The Development of Greek Erotic Mythology https://archive.org/[...] Routledge
[30]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31]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32] 문서 Geography https://www.perseus.[...]
[33]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Charisia https://www.perseus.[...]
[34] 문서
[35] 문서
[36] 웹사이트 "The Three Graces", Calveras Big Tree State Park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37]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38] 문서 "Mosaico de las tres gracias"
[39]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40] 웹사이트 Man surprising Sleeping Venus and Graces http://www.wga.hu/ht[...] Wga.hu 2010-03-16
[41]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42] 웹사이트 detail of ''Primavera'' http://www.wga.hu/cg[...] Wga.hu 2010-03-16
[43] 논문 Marie Bracquemond https://www.jstor.or[...] 1984-1985
[44] 웹사이트 The Three Graces Dancing by Canova, Antonio http://www.wga.hu/cg[...] Wga.hu 2010-03-16
[45]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46]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47] 웹사이트 Correggio. Three Graces. - Olga's Gallery http://www.abcgaller[...] Abcgallery.com 2010-03-16
[48]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49]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50]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51]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52] 문서 "Three Graces at Chenonceau"
[53] 웹사이트 Allegory of Good Government http://www.wga.hu/ht[...] Wga.hu 2010-03-16
[54]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55] 웹사이트 ImageBase http://search3.famsf[...] Search3.famsf.org:8080 2010-03-16
[56] 문서 "Monument du coeur d'Henri II"
[57] 웹사이트 Three Graces by Pontormo, Jacopo http://www.wga.hu/ht[...] Wga.hu 2010-03-16
[58] 웹사이트 Les Trois Grâces by James Pradier https://commons.wiki[...]
[59] 웹사이트 "Les Trois Grâces" http://cartelfr.louv[...] 2011-09-05
[60] 웹사이트 Rubens: The Three Graces http://www.artchive.[...] Artchive.com 2010-03-16
[61] 웹사이트 Raphael. The Three Graces.- Olga's Gallery http://www.abcgaller[...] Abcgallery.com 2010-03-16
[62] 웹사이트 Three Graces - MODERN STILL LIFE – Annuk's Official Website http://annuk.art/por[...] 2022-01-11
[63] 웹사이트 "Allegory of April" http://www.wga.hu/fr[...] Wga.hu 2010-03-16
[64] 웹사이트 "Three Graces" http://www.npg.si.ed[...] 2010-03-16
[65] 서적
[66] 문서
[67] 서적 イーリアス
[68]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69] 문서
[70] 문서
[71] 서적 イーリアス
[72] 서적 パウサニアス
[73] 서적 ヘーシオドス
[74] 서적 신통기
[75] 서적 일리아스
[76] 서적 오딧세이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