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칸호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호발어는 마야어족 칸호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과테말라에서 사용된다. Ixcoy-Soloma 방언과 Santa Eulalia-Barillas 방언으로 나뉘지만 방언 차이는 크지 않다. 26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권설음과 방출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칸호발어는 능격 언어이며, 동사에 인칭 접두사 또는 접어가 추가된다. 위치 동사가 발달했으며, 상, 법, 부정, 의문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VSO 어순을 따르며, 분류사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OS형 언어 - 피지어
    피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멜라네시아어군 언어로, 피지의 공용어이며 라틴 문자 기반의 문자를 사용하고 동부 방언인 바우안 방언을 기초로 VOS 어순을 가지며 소유를 나타내는 문법이 발달되어 있다.
  • VOS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칸호발어
일반 정보
이름칸호발어
고유어 이름칸조발
다른 이름칸요발어
칸호발
언어 분류마야어족
언어 하위 그룹서부 마야어
칸호발어군
칸호발어파
칸호발-하칼텍어군
사용 국가멕시코
과테말라
사용 지역치아파스주
웨웨테낭고주
사용자 수과테말라 166,000명 (2015-2019년 센서스)
멕시코 사용자 수10,851명 (2020년 센서스)
민족칸호발족 208,000명 (과테말라, 2019년 센서스)
언어 코드 (ISO 639-3)kjb
언어 코드 (Glottolog)qanj1241
언어 코드 (Glottolog 이름)Qʼanjobʼal
멕시코 공용어 인정멕시코
멕시코 기관국립 토착민 언어 학회
문자로마자
언어 상태
위기 정도취약
음운 정보
IPA/qʼanxoɓal/

2. 분류

칸호발어는 마야어족의 칸호발어파에 속한다. 마야어족에는 31개의 언어가 속하며 이 중 2개는 사멸했다. 칸호발어파에는 칸호발어를 비롯해 과테말라멕시코 등지에서 쓰이는 추흐어, 아카텍어, 하칼텍어, 자칼텍어 등이 속한다. 칸호발어파는 마야어족에서 가장 보수적인 갈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여러 흥미로운 변화를 겪기도 했다.[35][5]

3. 방언

칸호발어는 Ixcoy-Soloma 방언과 Santa Eulalia-Barillas 방언으로 나뉘지만, 방언 차이는 작다. 주로 어휘가 다르지만, 음성문법은 같다고 할 수 있다.[21]

4. 음운론

칸호발어에는 26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칸호발어는 대 키체어군 및 대 마무어군과 마찬가지로 연구개 파열음을 가지고 있으며, 대 마무어군처럼 권설음도 가지고 있다.[36]

4. 1. 자음

칸호발어에는 26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 칸호발어 정서법은 다음 글자들을 사용한다: a, bʼ, ch, chʼ, d, e, h, i, j, k, kʼ, l, m, n, o, p, qʼ, r, s, t, tʼ, tx, txʼ, tz, tzʼ, u, w, x, xh, y, ʼ(성문 파열음). 이 중 chʼ, kʼ, qʼ, tʼ, txʼ, tzʼ에 들어간 글자 ‹ʼ›은 방출음을 나타낸다. 칸호발어에서 r의 분포는 제한적으로, 주로 스페인어 차용어에 나타나고 kʼarari|kʼararikjb ‘낡은 엔진 따위가 내는 소음’ 같은 의성의태어나 jeran|jerankjb ‘망가진 상태에 있는’ 같은 상태사에도 나타난다. tx, x는 혀를 입 뒤쪽으로 말아서 발음하는 권설음을 나타낸다. 칸호발어에 권설음이 나타나는 것은 맘어의 영향이라 생각된다.[36][6]

자음
colspan=2|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 /m/n /n/
파열음기본p /pʰ/t /tʰ/k /kʰ/q /qʰ/ʼ /ʔ/
방출 /tʼ/ /kʼ/
내파 /ɓ/ /ʛ̥/
파찰음기본tz /tsʰ/ch /tʃʰ/tx /tʂʰ/
방출tzʼ /tsʼ/chʼ /tʃʼ/txʼ /ʈʂʼ/
마찰음s /sʰ/xh /ʃʰ/x /ʂ/j /χ/
접근음w /v/l /l/y /j/w /w/
탄음r /ɾ/



어두의 성문 파열음은 정서법상으로는 표기되지 않지만, 칸호발어에서는 2인칭 단수(A형)의 접사가 추가됨으로써 성문 파열음의 유무가 음운적으로 대립한다.[22] 이 때문에 정서법상 h를 더하여 성문 파열음이 없음을 나타낸다.[23]


  • on|onkjb /ʔon/ "아보카도"
  • hon|honkjb /on/ "너의 아보카도" < ha-on|ha-onkjb /aʔon/

4. 2. 모음

칸호발어의 모음은 '''a, e, i, o, u'''의 5개이다. 모음의 길고 짧음(장단)에 따른 의미 변화는 없다.[21] 모음 체계는 다음 표와 같다.


4. 3. 강세

칸호발어의 강세는 어강세와 문강세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단어는 첫 음절에 강세(어강세)를 받는다. 그러나 절이나 구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문강세)를 받는다. 문강세가 적용되는 단어에는 어강세가 놓이지 않는다.[24] 예를 들어, 문장 내에서 중간에 오는 단어는 첫 음절에 강세를 받지만, 문장의 가장 마지막에 오는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5. 문법

칸호발어는 마야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능격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동사에는 능격(A형)과 절대격(B형)을 나타내는 인칭접사가 붙으며, 이를 통해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한다. 3인칭의 경우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지 않지만, 1인칭 복수에서는 듣는 이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포괄형과 제외형을 구분하는 접사가 쓰이기도 한다. 명사에 능격 접두사(A형)를 붙여 소유 관계를 나타내며, 관계 명사에도 이 접두사가 사용된다.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뉘며, 이는 특정 접미사를 통해 구분된다. 상과 법은 인칭 접두사 앞이나 동사 뒤, 또는 양쪽에 붙는 접사를 통해 표현되며, 완료/불완전상과 가능·권유·희망·명령의 네 가지 법을 나타낸다.[25]

칸호발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위치 동사(positional verb)가 매우 발달했다는 점이다. 500개가 넘는 위치 동사 어근이 존재하며, 이는 주로 사물의 상태나 자세(예: 서 있는, 앉아 있는, 평평한 등)를 묘사한다. 이 어근들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특정 파생 접사와 결합하여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 등으로 활용된다.[26]
감정어(의태어)의 어근 중 상당수는 위치 동사 어근과 형태가 같지만, 다른 종류의 접미사가 붙어 소리나 느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26]

칸호발어에는 명사를 분류하는 분류사 체계가 존재한다.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앞에는 성별(남성, 여성), 재질(돌, 금속 등) 등을 나타내는 14종류의 분류사가 붙을 수 있다. 이 분류사들은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쓰여 대명사와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숫자를 셀 때 사람, 동물, 무생물을 구분하는 수 분류 접미사가 사용되며, 위치 동사에서 유래하여 사물의 형상(긴 것, 원반형의 것 등)을 나타내는 분류사도 있다.[27]

다른 많은 언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것과 달리, 칸호발어에서는 형용사와 그 뒤에 오는 명사가 합쳐져 하나의 복합어처럼 기능한다. 예를 들어, 명사에 붙어야 할 인칭 접두사가 형용사 앞에 오는 현상은 이들이 하나의 단위를 이룬다는 것을 보여준다.[28]

여러 동사가 연속적으로 나타나 하나의 서술어 역할을 하는 복합 서술어 구조가 발달해 있다.[29]

칸호발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는 맘어와 같이 VSO형(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30]

5. 1. 동사

모든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칸호발어는 모든 동사를 본질적으로 ''자동사''(하나의 논항만 필요) 또는 ''타동사''(두 개의 논항 필요)로 분류한다.[7] 칸호발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A형) 접사를,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절대격(B형) 접사를 취한다. 3인칭은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 않는다.[25]

능격 접사는 두 세트가 있는데, 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어근과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어근에 따라 다른 세트가 사용된다.

능격 접두사
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어근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 어근
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hin-ko-w-j-
2인칭ha-he-h-hey-
3인칭s-/Ø-s-/Ø-y-y-



예시:

X-Ø-inmaqʼ naq winaq.

(해석: 완료상-절대격3인칭단수-능격1인칭단수-때리다 분류사:남성 남자)

'내가 그 남자를 때렸다.'[7]

능격 접사는 소유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되며, 명사에 A형 접두사를 붙여 소유 구문을 만든다.[25]

예시:

'''w-'''aqan

(해석: 능격1인칭단수-발)

'내 발'

'''s-'''qʼab

(해석: 능격3인칭단수-손)

'그의/그녀의 손'

절대격 접사에는 한 세트만 있으며, 두 가지 변형(다른 단어에 붙는 형태와 독립적인 형태)이 있다. 3인칭 절대격 접사는 Ø로, 표시되지 않는다.

절대격 접사
앞의 소리에 부착될 때앞의 소리에 부착되지 않을 때
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in-onhinhon
2인칭-ach-exhachhex
3인칭-Ø...(hebʼ)ØØ...(hebʼ)



예시:

X-'''in''' way-i.

(해석: 완료상-절대격1인칭단수 자다-상태)

'나는 잤다.'[7]

1인칭 복수에서는 포괄형(듣는 사람 포함)과 제외형(듣는 사람 제외)을 구별하기 위한 접어가 추가되기도 한다.[25]

일반적으로 동사는 능격 또는 절대격으로 분류되어 각자의 대명사 접사를 취하지만, 동사가 진행형이 되는 경우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변경된다.

예시 (불완전상):

Ch'''-in''' kuy-w-i.

(해석: 불완전상-절대격1인칭단수 공부하다-접미사-상태)

'나는 공부한다'.[8]

예시 (진행형):

Ipan '''hin'''-kuy-w-i.

(해석: 진행형 능격1인칭단수-공부하다-접미사-상태)

'나는 공부하고 있다'.[9]

상과 법을 나타내는 접사 또는 접어는 인칭 접두사 앞이나 동사 뒤, 또는 양쪽에 붙어 완료상과 불완전상, 가능·권유·희망·명령의 4가지 법을 나타낸다. 자동사와 타동사는 접미사로 구별된다.[25]

칸호발어의 특징 중 하나는 위치 동사(positional verb)가 매우 발달했다는 점으로, 500개가 넘는 어근을 가진다. 위치 동사의 어근에는 lek('서 있는'), chot('앉아 있는'), pan('평평한'), jop('눈부신') 등이 있으며, 보통 CVC(자음-모음-자음) 형태의 단음절이다. 이 어근은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an(형용사화), -ay(자동사화), -bʼaj(타동사화) 등의 파생 접사를 붙여 사용한다.[26]
감정어(의태어)의 어근은 대부분 위치 동사와 겹친다. 예를 들어, chʼobʼ는 위치 동사로는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감정어로는 '여는 소리'를 나타낸다. 그러나 위치 동사와는 다른 접미사가 붙는다.[26]
분류사에는 구체 명사에 붙는 14종류(naq '남자', ix '여자', chʼen '돌이나 금속' 등)가 있다. 이 분류사는 명사를 생략하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대명사 역할을 한다. 이와 별도로, 수사 뒤에 붙는 3종류의 수 분류 접미사(-wan '사람', -kʼon '동물', -ebʼ '무생물')와, 형상을 나타내는 위치 동사에서 유래한 분류사(jilan '긴 것', suyan '원반형의 것' 등)가 있다.[27] 관계 명사에도 A형(능격) 접두사가 붙는다.[25]

다른 언어에서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것과 달리, 칸호발어에서는 형용사와 뒤따르는 명사가 하나의 복합어를 이룬다. 명사에 붙는 인칭 접두사가 형용사 앞에 놓이는 등의 현상을 통해 하나의 단어임을 알 수 있다.[28]

여러 동사를 겹쳐서 만든 복합적 서술어가 발달했다.[29]

칸호발어는 맘어와 마찬가지로 VSO형(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가진 언어이다.[30]

5. 2. 상 (Aspect)

칸호발어에서 상(행위의 완료 여부)은 시제보다 더 중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발화에서 행위가 미완료인지, 완료되었는지, 또는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경우는 '비현실' 또는 비실현법으로 간주되며, 사건은 아직 생각이나 상상의 영역에 머물러 있음을 의미한다.

  • 미완료상 (Incompletive Aspect): `Ch(i)`는 어떤 시점에서 사건이 불완전하거나 진행 중임을 나타낸다.
  • 예시: `'''Chi'''-Ø toj naq unin bʼay y-atut-al kuy-oj.` ('그 소년은 학교에 간다.')[10]
  • `Chi`: 미완료상 (INC)
  • `-Ø`: 3인칭 단수 절대격 (A3S)
  • `toj`: 가다
  • `naq unin`: 소년 (남성 분류사 + 아이)
  • `bʼay y-atut-al kuy-oj`: 학교에 (~로 + 그의 집 + 공부의 명사화)

  • 완료상 (Completive Aspect): `Max` 또는 `x-` (두 형태 모두 자유 변이로 사용됨)는 사건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 예시 1: `'''Max'''-ex mulnaj-i.` ('너희들은 일했다.')[11]
  • `Max`: 완료상 (COM)
  • `-ex`: 2인칭 복수 절대격 (A2P)
  • `mulnaj`: 일하다
  • `-i`: 상태 (STAT)
  • 예시 2: `'''X'''-Ø way-i.` ('그/그녀는 잠들었다.')[12]
  • `X`: 완료상 (COM)
  • `-Ø`: 3인칭 단수 절대격 (A3S)
  • `way`: 자다
  • `-i`: 상태 (STAT)

  • 비실현법 (Irrealis Mood): 접두사 `hoq-`와 접미사 `-oq`는 언급된 사건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지만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만 있는 '비현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 예시: `'''Hoq'''-Ø saqch-'''oq''' heb'.` ('그들은 놀 것이다.')[13]
  • `Hoq- ... -oq`: 비실현법 (미래)
  • `-Ø`: 3인칭 단수 절대격 (A3S)
  • `saqch`: 놀다
  • `heb'`: 3인칭 복수 (A3P)

5. 3. 부정

부정어는 ''kʼam''과 ''manaq'' 두 가지가 있다.

  • '''Kʼam''' chi-Ø y-oche-j.
  • * 분석: 부정사 INC-A3S E3S-원하다-SFX
  • * 의미: '그/그녀는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14]

  • '''Manaq''' ix chi-Ø toj kuy-oj.
  • * 분석: 부정사 그녀 INC-A3S 가다 배우다-NOM
  • * 의미: '공부하러 가는 사람은 그녀가 아니다.'[15]

5. 4. 의문문

질문은 평서문의 문법 구조에 상승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Ch-Ø-oche-j cha-ch kanal-w-i w-etoq?'' ('저와 함께 춤을 추시겠어요?')[16]

또한, 질문 입자인 ''mi''도 있다.

:''Watxʼ '''mi''' ha-kul?'' ('배가 괜찮으세요?') (영어의 'How are you?'와 같이 일반적인 인사말로 사용된다.)

5. 5. 접사 (Affixation)

칸호발어에는 접두사접미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접사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aj-`: 행위자 또는 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접두사이다. 예를 들어, ''ajtzʼibʼ''는 '작가' (< ''tzʼibʼ'' '쓰다'), ''ajbʼe''는 '영적 지도자' (< ''bʼe'' '길')를 의미한다.
  • `-bʼal`: 어떤 일이 일어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tzombʼal''은 '시장' (< ''tzon'' '사다')을 뜻한다.
  • `-al`, `-alil`, `-il`: 형용사, 부사, 숫자, 타동사 어근 및 명사로부터 추상 명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syalixhal''은 '그/그녀의 작음' (< ''yalixh'' '작은')을 의미하고, ''swinaqil''는 '남편' (< ''winaq'' '남자')을 의미한다.
  • `-kʼulal`: 자동사, 형용사, 기타 명사 등에서 명사를 파생하는 데 사용되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watxkʼulal''은 '친밀함'을 의미한다.
  • `-oj`: 동사를 명사로 바꾸는 명사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kuyoj''는 '공부' (< ''kuy'' '공부하다')를 의미한다.


칸호발어는 마야어족의 다른 언어처럼 능격 언어이다. 동사에는 A형(능격)과 B형(절대격)의 인칭접두사 또는 접어가 붙는다. 3인칭은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 않는다. 1인칭 복수에서는 포괄형과 제외형을 구별하기 위한 접어가 추가되기도 한다. 명사에 A형 접두사를 붙여 소유 구문을 만들 수 있으며, 관계 명사에도 A형 접두사가 붙는다. 자동사와 타동사는 접미사로 구별된다. 상과 법을 나타내는 접사 또는 접어는 인칭 접두사 앞이나 동사 뒤, 또는 양쪽에 위치하여 완전상과 불완전상, 그리고 가능·권유·희망·명령의 4가지 법을 나타낸다[25]

위치 동사(positional) 어근에는 `-an`(형용사화), `-ay`(자동사화), `-bʼaj`(타동사화) 등의 파생 접사를 붙여 사용한다[26]。 감정어(의태어)의 어근에도 위치 동사와는 다른 접미사가 붙는다[26]

수사의 뒤에는 3종류의 수 분류 접미사가 붙는다: `-wan`(사람), `-kʼon`(동물), `-ebʼ`(무생물)[27]

5. 6. 어순

칸호발어는 고정된 어순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동사-주어-목적어 (VSO) 어순을 따른다. 이 기본 어순에서 벗어나는 모든 변화는 초점, 부정, 의문, 관계화 등과 같은 화용론적 또는 통사론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는 칸호발어의 능격-절대격 패턴과 관련이 있는데, 능격 접사에 의해 상호 참조되는 논항(일반적으로 타동사의 주어)은 초점화나 부정 등의 이유로 동사 앞으로 이동하기 전에 절대격 형태가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일부 문장에서는 주어-동사(SV) 또는 목적어-동사-주어 (OVS) 어순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주어-동사-목적어(SVO), 주어-목적어-동사(SOV), 목적어-주어-동사(OSV) 어순은 칸호발어에서는 불가능하며, 실제 사용된 예시도 발견되지 않았다. 유일한 예외는 재귀 구문과 재귀 소유 구문으로, 이 경우 재귀를 나타내는 ERG-bʼa (명사) 또는 재귀 소유를 나타내는 ERG-명사가 동사 바로 뒤에 위치한다.[17] 칸호발어는 마야어족맘어와 마찬가지로 VSO형 언어이다.[30]

5. 7. 분류사 (Classifiers)

칸호발어의 일부 명사는 특정 분류사를 사용해야 한다. 주요 분류사는 다음과 같다:

  • '''noʼ''': 동물
  • '''teʼ''': 나무 또는 목재
  • '''ix''': 여성
  • '''naq''': 남성
  • '''chʼen''': 돌 또는 금속
  • '''xim''': 옥수수
  • '''an''': 식물


예시는 다음과 같다:

  • '''noʼ''' jun chej: (분류사:동물) 말 - '그 말'
  • '''teʼ''' na: (분류사:나무) 집 - '그 집'
  • '''ix''' unin: (분류사:여성) 아이 - '그 소녀'
  • '''naq''' unin: (분류사:남성) 아이 - '그 소년'
  • '''chʼen''' tumin: (분류사:금속) 돈 - '그 돈'
  • '''an''' kaq: (분류사:식물) 꽃 - '그 꽃'


칸호발어에는 구체 명사에 붙는 14종류의 분류사(예: naq '남자', ix '여자', chʼen '돌이나 금속' 등)가 있다. 이 분류사들은 명사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어 대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이와 별도로, 수사 뒤에 붙는 3가지 종류의 수 분류 접미사가 있다: -wan(사람), -kʼon(동물), -ebʼ(무생물). 또한, 위치 동사에서 유래하여 형상을 나타내는 분류사(예: jilan '긴 것', suyan '원반형의 것' 등)도 존재한다[27].

5. 8. 중복 (Reduplication)

어근 단어를 반복하는 중복(reduplication)은 칸호발어 어휘 형성에서 부차적인 과정이다.

  • ''pux-pux'': 동물의 배
  • ''txʼa-txʼa'': 껌

6. 어휘

칸호발어의 단어는 접사를 붙일 수 있는 어근으로 이루어진다. 전통적으로 단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 자동사타동사 동사, 입자, 그리고 위치어로 분류된다.


  • 위치어: 단독으로는 단어 역할을 할 수 없는 어근으로, 접사와 결합하여 위치나 장소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입자: 접사를 취하지 않는 단어이며, 주로 부사 역할을 한다. 의문 입자, 긍정/부정 표현, 시간 및 위치 표시어, 접속사, 전치사, 지시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장소격은 소유를 나타내는 접사가 붙은 신체 부위 용어 뒤에 명사를 놓아 만드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길가'는 '그것의-입 길'이라는 의미의 ''s-ti bʼe''로 표현하고, '산 정상'은 '그것의-머리 산'이라는 의미의 ''s-jolom witz''로 표현한다. 이와 비슷하게, 합성 명사는 소유를 나타내는 접사가 붙은 명사 뒤에 다른 명사를 놓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는 '그것의-집 공부'라는 의미의 ''y-atutal kuyoj''로 표현한다.

다음은 칸호발어의 기본적인 어휘 목록이다.

칸호발어한국어 뜻
anima사람
chʼenej바위/돌
aʼ ej물/강
ix여자
chikay할머니
mamin할아버지
ixim옥수수
kaq빨간색/뜨거운
kʼu해/날
mam아버지
mis고양이
na (또는 atut)
patej토르티야
sat kan하늘 (직역: 뱀의 눈)
son마림바
te'나무
txʼi'
txʼotxʼej
txutx어머니
unin아이
waykan
winaq남자
witz
xajaw달/달
yibʼan qʼinal지구/세계
xumak


6. 1. 수사

칸호발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20진법 체계를 사용한다.

숫자칸호발어 표기비고
1jun
2kabʼ
3oxebʼ
4kanebʼ
5oyebʼ
6waqebʼ
7uqebʼ
8waxaqebʼ
9bʼalonebʼ
10lajonebʼ
11uslukʼebʼ
12kabʼlajonebʼ
13oxlajonebʼ
14kanlajonebʼ
15holajonebʼ
16waqlajonebʼ
17uqlajonebʼ
18waxaqlajonebʼ
19balonlajonebʼ
20junkʼal1 × 20
21jun skakʼal1 + (2 × 20 시작)
22kabʼ skakʼal2 + (2 × 20 시작)
23oxebʼ skakʼal3 + (2 × 20 시작)
24kanebʼ skakʼal4 + (2 × 20 시작)
25oyeb skakʼal5 + (2 × 20 시작)
26waqebʼ skakʼal6 + (2 × 20 시작)
27uqebʼ skakʼal7 + (2 × 20 시작)
28waxaqebʼ skakʼal8 + (2 × 20 시작)
29bʼalonebʼ skakʼal9 + (2 × 20 시작)
30lajonebʼ skakʼal10 + (2 × 20 시작)
31uslukʼebʼ skakʼal11 + (2 × 20 시작)
32kabʼlajonebʼ skakʼal12 + (2 × 20 시작)
33oxlajunebʼ skakʼal13 + (2 × 20 시작)
34kanlajonebʼ skakʼal14 + (2 × 20 시작)
35holajonebʼ skakʼal15 + (2 × 20 시작)
36waqlajonebʼ skakʼal16 + (2 × 20 시작)
37uqlajonebʼ skakʼal17 + (2 × 20 시작)
38waxaqlajonebʼ skakʼal18 + (2 × 20 시작)
39balonlajunebʼ skakʼal19 + (2 × 20 시작)
40kakʼal2 × 20
60oxkʼal3 × 20
80kankʼal4 × 20
100okʼal5 × 20
120waqkʼal6 × 20
140uqkʼal7 × 20
160waxaqkʼal8 × 20
180balonlajonkʼal9 × 20
200lajunkʼal10 × 20
400junkʼalwinaq1 × 202
800kakʼalwinaq2 × 202
2000okʼalwinaq5 × 202


7. 사용되는 약어


  • ABS: 추상화사
  • A1S: 1인칭 단수 절대격
  • A2P: 2인칭 복수 절대격
  • A2S: 2인칭 단수 절대격
  • A3: 3인칭 절대격
  • A3P: 3인칭 복수 절대격
  • A3S: 3인칭 단수 절대격
  • CL: 분류사
  • COM: 완료
  • E1S: 1인칭 단수 능격
  • E2S: 2인칭 단수 능격
  • E3S: 3인칭 단수 능격
  • INC: 불완료
  • INT: 의문
  • IRR: 비현실
  • NEG: 부정
  • NZR: 명사화사
  • PL: 복수
  • PROG: 진행
  • SFX: 접미사
  • STAT: 상태

참조

[1]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2] 문서 Other variant names include ''Santa Eulalia Kanjobal'', ''Kanhobal'', ''Qanjobal'', ''Conob'', and ''Eastern Kanjobal''.
[3] 문서 Centered around the ''municipio'' of [[Santa Eulalia, Huehuetenango|Santa Eulalia]]; owing to recent emigrations there are communities of Qʼanjobʼal speakers in the United States (see Gordon (2005).
[4] 웹사이트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Q'anjob'al https://www.inali.go[...]
[5] 논문 Robertson (1992), p.154.
[6] 논문 Robertson (1992), p.58.
[7] 논문 Robertson (1992), p.50.
[8]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76.
[9]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76.
[10]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154.
[11]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78.
[12] 간행물 OKMA (2000), p.77.
[13]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76.
[14]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205.
[15]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203.
[16] 간행물 Comunidad Lingüística Qʼanjobʼal (2005), p.202.
[17] 서적 The Family of Complex Predicates in Qʼanjobʼal (Maya); Their Syntax and Meaning
[18] 논문 Mateo Toledo (2017) p.533
[19] 서적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en riesgo de desparación https://site.inali.g[...] INALI
[20] 논문 Law (2017) pp.116-117
[21] 논문 Mateo Toledo (2017) p.534
[22] 논문 Mateo Toledo (2017) pp.535-536
[23] 논문 Aissen et al. (2017) p.10
[24] 논문 Mateo Toledo (2017) pp.536-537
[25] 논문 Mateo Toledo (2017) pp.538-540
[26] 논문 Mateo Toledo (2017) pp.542-543
[27] 논문 Mateo Toledo (2017) pp.545-546
[28] 논문 Mateo Toledo (2017) p.545
[29] 논문 Mateo Toledo (2017) pp.559-563
[30] 논문 Mateo Toledo (2017) p.546
[31] 웹사이트 Qʼanjobʼal https://www.ethnolog[...]
[32] 간행물 México: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http://site.inali.go[...] INALI
[33] 문서 다른 이름으로는 ‘산타에율랄리아 칸호발어’(Santa Eulalia Kanjobal), ‘Kanhobal’, ‘Qanjobal’, ‘코노브어’(Conob), ‘동부 칸호발어’(Eastern Kanjobal) 따위가 있다.
[34] 문서 웨웨테낭고주 산타에울랄리아군을 중심으로 모여 살고 있다. 최근 이민으로 인해 [[미국]]에도 칸호발어 사용자 공동체가 생겨났다(Gordon (2005) 참고).
[35] 논문 Robertson (1992), p.154.
[36] 서적 Robertson (1992), p.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