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스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로스텐은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프리피야트강 지류인 우즈강에 면해 있다. 도시 이름은 '관목, 덤불, 숲'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드레블리아인의 신 코르스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 다양한 기원 설이 존재한다. 945년에는 이고르 대공이 드레블리아인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올가 공작 부인의 복수로 도시가 불타는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1589년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917년에는 코로스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32-1933년 홀로도모르 시기에 큰 고통을 겪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점령되어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현재는 국제 감자 팬케이크 축제가 열리는 도시로, 우크라이나 내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토미르주의 도시 - 즈뱌헬
즈뱌헬은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1795년부터 2022년까지 노보흐라드볼린스키로 불리다가 원래 이름으로 환원되었으며, 우크라이나의 시인이자 작가인 레샤 우크라인카의 출생지이다. - 지토미르주의 도시 - 오우루치
오우루치는 우크라이나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키예프 루스 시대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고 현재 재건 중이며, 향토 역사 박물관과 성 바실 교회 등의 문화 유산이 존재하고 지역 신문이 발행되며 소행성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 코로스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코로스텐 |
| 이전 명칭 | (이스코로스텐) |
| 지위 | 도시 |
| 속한 국가 | 우크라이나 |
| 속한 주 | 지토미르주 |
| 속한 구역 | 코로스텐구 |
| 속한 흐로마다 | 코로스텐 도시 흐로마다 |
| 시의회 | 코로스텐 시의회 |
| 최초 언급 | 945년 |
| 자치권 부여 | 1589년 |
| 도시 지위 획득 | 1926년 1월 1일 |
| 시장 | 볼로디미르 모스칼렌코 |
| 지리 | |
| 해발 고도 | 171m |
| 면적 | 42.31 제곱킬로미터 |
| 인구 | |
| 인구 (2022년) | 61,496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시간대 | |
| 시간대 | EET (UTC+2) |
| 서머타임 | EEST (UTC+3) |
| 행정 및 기타 정보 | |
| 우편 번호 | 01xxx–04xxx |
| 지역 번호 | +380 44 |
| FIPS 코드 | UP27 |
| 차량 번호판 | AM |
| 공식 웹사이트 | 코로스텐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프리피야트강 지류인 우즈강에 면하고 있으며, 주도 지토미르에서 87km, 수도 키이우에서 1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도시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코로스텐은 천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고대 도시로, 초기에는 동슬라브 부족인 드레블리아인의 중심지였다. 키예프 루스 시대에는 이고르 대공이 이곳에서 살해당하고, 그의 부인 올가가 잔혹한 복수를 감행하여 도시를 불태운 사건으로 유명하다. 이후 몽골의 루스 침공을 겪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 흐멜니츠키 봉기와 같은 코사크의 저항을 겪기도 했다.
3. 이름의 유래
이름은 '관목, 덤불, 숲'을 뜻하는 단어 '''코로스트'''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초기 자료에서 가끔 발견되는 형태인 ''이스코로스텐''은 아마도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전치사를 반복해서 사용한 것(예: ''iz grada iz''... '~에서 ~의 도시에서')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3]
다른 설에 따르면, 이 도시는 전체가 나무로 지어졌고, 벽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떡갈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어로 "벽의 껍질에서 온" 도시라는 뜻의 이스-코로-스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로는, 이 지역에 살았던 드레블리아인의 주요 신인 태양신 코르스(Xors)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이 지어졌다는 주장이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코르순과 코로스티셰프 같은 다른 정착지의 이름도 코르스(Xors)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4. 역사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20세기 초 철도 건설과 함께 산업 도시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이어진 내전기에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볼셰비키, 폴란드군 등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는 혼란을 겪었다. 소련 시기에는 인위적인 대기근인 홀로도모르의 피해를 입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많은 주민이 희생되고 특히 홀로코스트로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는 비극을 겪었다.
전후 복구를 거쳐 도시가 재건되었으나,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방사능 낙진 피해를 입었다.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는 소련 시대의 잔재인 레닌 동상이 철거되는 등 변화를 맞이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다시 전쟁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4. 1. 초기 역사
코로스텐은 천 년 전에 건국된 도시로, 고대 슬라브 부족인 드레블리아인의 수도였다.[3] 이후 키예프 루스에 통합되었다.[3]
4. 2. 키예프 루스 시대

945년,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였던 이고르는 드레블리아인에게서 공물을 징수하려다 이스코로스텐에서 살해당했다. 당시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레오 디아코노스는 이고르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들[드레블리아인]은 두 그루의 자작나무를 공작의 발에 구부려 그의 다리에 묶었다. 그런 다음 나무를 다시 펴서 공작의 몸을 찢어 버렸다."[4] ''원초 연대기''는 이고르가 한 달에 두 번이나 공물을 거두려 하는 등 지나친 탐욕을 부렸기 때문에 죽음을 맞이했다고 지적한다.
이고르의 아내인 올가는 어린 아들 스뱌토슬라프를 대신하여 통치에 나섰다.[5] 그녀는 남편을 죽인 드레블리아인에게 복수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스코로스텐으로 쳐들어갔다. 1년 동안 도시를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하자, 올가는 계략을 꾸몄다. 그녀는 드레블리아인에게 "왜 계속 버티는가? 다른 모든 도시는 이미 항복하고 공물을 바쳐 평화롭게 농사를 짓고 있는데, 너희만 굶주리려 하는가?"라는 메시지를 보냈다.[6] 드레블리아인들은 공물을 바치겠지만 올가의 복수가 두렵다고 답했다. 올가는 이미 사절단 살해와 연회에서의 복수로 충분하다며 안심시킨 뒤, 작은 요구를 했다. "집집마다 비둘기 세 마리와 참새 세 마리씩만 보내시오."[6] 드레블리아인들은 작은 대가로 포위가 풀릴 것이라 기대하며 기꺼이 새들을 바쳤다.
올가는 병사들에게 새들의 발에 유황 조각을 천으로 묶어 불을 붙인 뒤 풀어주라고 명령했다. 해가 지자 새들은 도시 안의 자신들의 둥지로 날아갔고, 이로 인해 도시 전체가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였다. ''원초 연대기''는 "불타지 않는 집이 없었고, 모든 집이 한꺼번에 불탔기 때문에 불을 끌 수도 없었다"고 기록했다.[6] 불타는 도시를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올가의 병사들이 붙잡아 일부는 죽이고 나머지는 노예로 삼았다. 살아남은 사람들에게는 무거운 공물을 부과했다. 이 사건 이후 올가는 공물 징수 제도(''폴류디에'')를 개혁했는데, 이는 동유럽 역사상 최초의 법적 개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968년에는 유목 민족인 페체네그족이 루스의 외곽 지역을 공격한 뒤 이스코로스텐을 포위하기도 했다.[7]
4. 3. 중세 시대
1097년 루스 분할 이후, 이스코로스텐은 키예프 공의 관할하에 남았다. 1240년 12월, 바투 칸이 이끄는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이스코로스텐 지역의 많은 도시와 정착지가 약탈당하고 불탔다. 1243년부터 몽골 제국의 서부 지역인 킵차크 칸국이 통치했다.[8] 1362년(또는 1363년) 청수 전투에서 타타르족을 상대로 승리한 후,[9]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는 이 지역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합병했다.[10] 이후 그는 충성스러운 봉사의 대가로 브랅스크 출신의 자신의 기사 테레하에게 이 지역을 하사했다. 1385년 크레보 연합이 결성된 후, 이 지역은 폴란드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11]
4. 4. 근세 시대

1586년, 폴란드의 유력 가문 출신인 프로코프 므제비츠키가 테레흐 가문의 상속녀와 결혼하면서 이스코로스텐의 소유주가 되었다. 그는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를 설득하여, 당시 작은 성곽 도시에 불과했던 이스코로스텐이 도시로서의 지위를 인정받도록 노력했다. 그 결과 1589년 5월 22일, 지그문트 3세는 이스코로스텐시에 첫 번째 헌장을 수여했다.
1649년, 우크라이나 전역을 휩쓴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게라스키가 이끄는 코사크 부대가 이스코로스텐을 포위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코사크는 폴란드 수비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점령했지만, 이 과정에서 도시의 요새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1654년, 자포로지예 코사크의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페레야슬라프 라다를 통해 러시아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와 우크라이나를 러시아의 보호 아래 두는 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이스코로스텐 주변 지역은 1667년부터 1795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토로 남아 있었다.
1768년에는 막심 잘리зня크와 이반 혼타가 이끈 자포로지예 코사크 및 우만 코사크 봉기와 연계하여, 우크라이나 하이담카 지도자 이반 본다렌코가 코로스텐을 공격하여 자신의 세력권에 포함시키려 했다. 하지만 이 봉기는 결국 진압되었고, 본다렌코의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4. 5. 러시아 제국 시대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12] 이스코로스텐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볼린주의 오브루치 구에 속하는 이스코로스텐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오랫동안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는 지방 소도시로 남아 있었다. 1902년 417km 길이의 키예프-코벨 철도가 건설되면서 도시는 주요 철도 분기점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09년에는 도자 공장이 문을 열면서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1917년에는 도시 이름을 코로스텐으로 변경했다.
4. 6. 내전 시대
1917년 6월 10일, 우크라이나 중앙 평의회는 전 우크라이나 군사 회의에서 첫 번째 유니버설을 통해 러시아 공화국의 일부로서 자치권을 선언했다.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이 선포된 후, 볼셰비키 군대가 키예프를 점령하자 정부와 의회는 키예프를 떠나야 했다.
1917년 11월, 코로스텐에는 소비에트 당국이 세워졌으나, 곧 진격해 온 오스트리아-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13] 독일군은 1918년 11월까지 우크라이나에 머물렀다.
우크라이나 중앙 평의회는 1918년 2월 14일부터 15일, 그리고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코로스텐에 머물렀다. 2월 25일에는 중앙 라다의 결의에 따라 트리주브, 즉 성 볼로디미르의 삼지창이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공식 문장으로 채택되었다. 1918년 2월 14일부터 27일 사이에 UPR 육군 부대가 여러 차례 코로스텐에 주둔했다.
1918년 2월에는 붉은 군대가, 3월에는 독일 제국 군대가 코로스텐을 점령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우크라이나 군대가 도시를 다시 장악했다. 그러나 1919년 2월에 붉은 군대가 다시 통제권을 확보했고, 8월에는 시몬 펫류라의 군대와 데니킨의 군대가 번갈아 가며 점령하는 혼란이 이어졌다. 1919년 12월, 소비에트 세력이 다시 도시를 장악했다.[14] 1920년 키예프 공세 직전에는 코로스텐이 폴란드 군대와 소비에트 군대 사이의 전선에 위치하게 되었다. 1921년 2월 27일, 시몬 펫류라 휘하의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하이다마츠키 키시, 콘스탄틴 프리소브스키가 이끄는 별도의 자포리자 분견대, 예브헨 코노발레츠가 지휘하는 시치 소총병 부대가 볼셰비키 군대로부터 키예프를 탈환하기 위해 코로스텐을 거쳐 키예프로 향했다.
1921년 11월 7일, 11월 기습 공격 작전 중, 유리 튜튜니크가 이끄는 UPR 반군 군대의 볼린 그룹이 코로스텐을 점령하려 시도했다. 당시 코로스텐은 모스크바 군대 제44 소총 사단의 제132 여단 제395 소총 연대 부대가 점령하고 있었다. 반격 초기에는 우크라이나 군대가 기습적으로 코로스텐을 공격하여 기차역을 점령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각 부대 간의 연계 부족과 수적으로 우세한 소비에트 부대의 압박으로 인해 UPR 군대는 이러한 우위를 지키지 못하고 도시에서 후퇴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볼로디미르 스테파니신 대위가 전사했으며, 이반 렘볼로비치, 세멘 크마라-하르첸코, 미콜라 토빌레비치 등은 그들의 행동으로 훈장을 받았다.
4. 7. Interwar period
1926년, 코로스텐은 도시 지위를 받았다.[15] 같은 해 10월, 당국의 허가와 OGPU의 감독 아래 코로스텐에서 볼린 주의 랍비 회의가 열렸는데, 이는 사실상 전 우크라이나, 그리고 일부 전 연방의 성격을 띠었고, 무신론적 선전에 대항하는 칙령을 채택했다.[16]
이 도시는 인위적인 기근인 1932-1933년 홀로도모르로 고통받았다. 2008년, 홀로도모르 학살 국립 박물관은 우크라이나에서 1932-1933년 홀로도모르 희생자 추모 국립 기념관을 출판했다. 지토미르 지역.[17] 역사 기록에 따르면 1932-1933년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2,288명 이상이 사망했다.
1936년, 이 도시의 인구는 28,000명이었고, 도자기 공장, 금속 가공 공장 "옥탸브르스카야 쿠즈니차", 자동차 수리점, 20kW 용량의 시립 발전소가 운영되었다.[18]
4. 8. 제2차 세계 대전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 나치 독일의 남부 집단군 소속 제62 보병 사단(제6군 산하 제17 군단)이 코로스텐으로 진격했다.[19] 소련군은 키이우로 향하는 중요한 철도 요충지인 코로스텐을 중화기를 동원해 방어하려 했다.[20] 당시 제6군 사령관이었던 폰 라이헤나우 원수는 "철도 분기점은... 소련군에 의해 필사적으로 방어되었으며, 격렬한 전투 끝에 함락되었다"고 보고했다.[19]
1941년 8월 초, 소련군이 키이우 북동쪽으로 후퇴하면서 독일 제6군이 코로스텐에 진입했다. 코로스텐은 1941년 8월 7일부터 1943년 12월 28일까지 독일군의 점령 하에 있었다. 점령 기간 동안 도시는 심하게 파괴되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고통받았다. 특히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자행되었다.[22][23][24] (자세한 내용은 홀로코스트 섹션 참조)
1943년 11월 17일, 키이우 공세 중 소련군 제60군이 잠시 도시를 탈환했으나[21], 독일군의 강력한 반격으로 후퇴해야 했다. 코로스텐은 1943년 12월 28일, 지토미르-베르디체프 공세 과정에서 푸호프 중장이 지휘하는 소련 제13군에 의해 최종적으로 해방되었다.
4. 8. 1. 홀로코스트
1939년 코로스텐의 유대인 인구는 10,991명으로, 전체 인구의 36%를 차지했다.[25] 1941년 8월 10일, 나치 독일의 국방군이 도시에 진입한 지 3일 만에[26] 유대인 53명이 체포되어 도시에서 총살당했다. 독일 군정은 우크라이나 보조 경찰과 함께 시 정부를 구성했다.[27] 이 우크라이나 보조 경찰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되었으며, 유대인 박해와 학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8월 20일에는 160명의 유대인 민간인이 추가로 총살되었고, 8월 27일에는 238명이 처형되었다. 1941년 9월 10일에는 약 1,000명의 유대인 남성, 여성, 어린이가 학살당하는 비극이 발생했다.[28]
1941년 10월 말, 군정에서 독일 민간 행정부로 권력이 이양되었다. 코로스텐은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내 지토미르 일반 지구에 속한 게비트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점령 직후 코로스텐에는 유대인 거주 지역, 즉 개방형 게토가 설치되었다. 1941년부터 1942년까지 총 6,000명 이상의 코로스텐 유대인이 살해당했다.[29] 이러한 학살은 코로스텐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중부의 다른 지역에서도 연이어 자행되었다.[30]
4. 9. 1945년 이후
전쟁 이후 대규모 재건 사업이 진행되었다. 1971년에는 시민들을 위해 600석 규모의 클럽이 건설되었다.[31]
1986년 4월 26일, 인근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4호 원자로의 격납 용기가 파손되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했다. 약 90km 떨어진 코로스텐은 이 사고로 인해 상당한 방사성 낙진 피해를 입었다. 1986년 5월, 이 도시는 "자발적 재정착 보장 구역"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자유 시장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위기로 도시의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4. 10. 독립 이후
2006년, 코로스텐은 국제 표준 ISO 9001:2000에 따라 품질 인증서를 받은 우크라이나 6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2014년, 시청사 바로 오른쪽에 있던 레닌 동상이 철거되었다. 이 동상은 소련 붕괴 이후에도 남아 있었으나,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철거된 552개의 레닌 기념물 중 하나가 되었다.[32] 현재는 동상이 있던 받침대만 남아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후인 2월 28일, 도시에서는 시민 보호부의 비상 회의가 열려 전기 사이렌 작동 문제 등을 논의했다.[33] 3월 5일에는 러시아군이 코로스텐에서 약 57.3km 떨어진 말린 외곽까지 진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4]
5. 도시의 상징
코로스텐 시의 깃발은 같은 폭의 두 개의 가로 줄무늬로 구성된 패널이다. 위쪽 줄무늬는 파란색이고, 아래쪽 줄무늬는 빨간색이다. 이 줄무늬들은 깃발 너비의 0.16배에 해당하는 우지 강의 상징적 이미지로 분리되어 있다. 이 강 상징 줄무늬는 도시 문장에 있는 우지 강의 색상 배율을 따르는데, 강의 중앙은 파란색(깃발 너비의 0.1배), 강둑은 금색(깃발 너비의 0.03배)이다. 깃발의 너비와 길이 비율은 2:3이다. 깃발의 파란색은 고대 도시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빨간색은 946년 올가 공주가 코로스텐을 포위했을 때 도시를 지킨 드레블리안 수비수들의 용맹함과 용기, 그리고 1941년 대조국전쟁 중 코로스텐 요새 지역 수비수들의 용기를 나타낸다.
새로운 코로스텐 시의 문장은 이전 문장의 구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도시의 옛 문장은 파란색 프랑스 방패 모양이었으며, 그 중심에는 빨간색 작은 방패가 있었다. 이 작은 방패의 주요 영역에는 짙은 빨간색 요새 벽이 그려져 있었다. 요새 벽을 배경으로 폴리시아의 자연을 상징하는 녹색 아마 줄기가 있었고, 네 개의 꽃잎을 가진 빨간색 꽃은 우지 강의 양쪽에 위치하며 서로를 보호했던 고대 정착지를 상징했다. 아마 꽃은 금색 강둑이 있는 파란색의 우지 강을 감싸고 있었다. 방패 상단에는 도시 이름 'KOROSTEN'이 쓰여 있었고, 금색 줄무늬로 중앙의 작은 방패와 구분되었다. 방패는 금색 테두리로 장식되었다.
새로운 문장은 옛 문장의 주요 구성을 대부분 유지하면서, 요새 벽 위에 파란색 아마 꽃과 파란색 필드가 추가되었다. 방패는 현대 우크라이나 도시 문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카르투슈(cartouche)로 둘러싸여 있다. 카르투슈 위에는 도시의 현대화된 황금색 삼중 탑 왕관이 장식되어 있는데, 이 왕관은 드레블리안 공국 시대에 사용된 돌담 대신 나무 벽으로 표현되어 있다. 요새 벽 위의 문장 방패의 파란색 영역에는 도시 이름이 키릴 문자로 "KOROSTEN"이라고 쓰여 있다. 방패 아래에는 "불꽃 속에서 타지 않는다"라는 모토가 새겨져 있다.
6. 경제
코로스텐 산업 단지 (KIP)는 총 면적이 246ha에 달하는 도시 내 산업 구역이다. 이 공원의 개념 설계는 체코의 디자인 회사인 DHV가 개발했다. 이 프로젝트는 KIP 부지에 첨단 기술 기업, 경공업 및 중공업 생산 기업, 즉 조립, 통합, 표면 처리, 경공업 및 전기 산업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동안 진행되며 3단계로 나뉜다.
| 단계 | 주요 내용 |
|---|---|
| 1단계 | 통신 설비 구축 (도로, 철도, 전기, 수도, 위생 시설), 중밀도 섬유판 (MDF) 보드 제조 공장 건설 및 시운전 |
| 2단계 | 중소기업 건설 및 시운전 (예정) |
| 3단계 | 물류 센터 건설 및 개발 (예정) |
2010년 10월까지 모든 통신 시설이 이미 구축되었다. 중밀도 섬유판 (MDF) 보드 제조 공장 건설은 거의 완료되었다. 이 공장은 우크라이나 최초의 MDF 보드 제조업체가 될 것이다.
7. 교통

코로스텐은 우크라이나 북부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로, 철도와 도로망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7. 1. 철도
코로스텐은 코벨-키이우 철도 및 켈멘지-칼린카비치 철도 노선의 중요한 철도 분기점이다.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 및 지역 수도로 연결되는 철도망을 갖추고 있으며, 인접한 벨라루스와의 국경 간 연결도 제공한다. 기차역과 선로는 우크라이나 철도의 일부인 남서부 철도(PZZ)에 속한다.2020년 7월 기준으로 이 역은 전철화된[35] 간선 구간에서 키이우를 오가는 단일 노선(각 방향으로 한 편씩)을 운행하며,[36] 지토미르행 환승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서우크라이나에서 키이우로 향하는 거의 모든 열차가 코로스텐을 통과한다.
코로스텐에서 출발하는 주요 교외 열차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출발지 | 경유지 | 종착지 |
|---|---|---|
| 코로스텐 | 말린 | 키이우 |
| 코로스텐 | 즈비야헬 | 셰페티우카 |
| 코로스텐 | 지토미르, 베르디치우, 코자틴 | 빈니차 |
| 코로스텐 | 루히니, 빌로코로비치 | 올레우스크 |
| 코로스텐 | 오브루치, 베레제스트 | 비스투포비치 |
| 코로스텐 | 오브루치 | 벨리드니키 |
또한, 철도역과 버스 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위와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정기 버스 노선도 있다.[37]
7. 2. 도로
M21 / E583 간선 도로는 도시 북쪽을 지나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서부로 횡단한다.다른 주요 도로로는 M07 / E373 도로가 있으며, 이 도로는 루마니아의 로만과 지토미르 (빈니차 경유)를 연결한다.
8. 인물
-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9. 인구
코로스텐의 인구는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89년에 7만 명을 넘어섰으나,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1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민의 대다수는 우크라이나인이며, 러시아인, 폴란드인 등 다양한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9. 1. 인구 통계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 기준으로 코로스텐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9. 2. 인구 변화 추이
wikitext
9. 3. 모국어 분포
wikitext
10. 감자 팬케이크 축제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시립 공원에서는 국제 감자 팬케이크(деруни|데룬uk, 로마자 표기 ''deruny'') 축제가 열린다.
축제 기간에는 "감자 팬케이크 트라이애슬론" 대회가 개최된다. 이 트라이애슬론은 다음과 같은 세부 경연으로 구성된다.
- 감자 팬케이크 파워리프팅: 감자 팬케이크로 가득 찬 무거운 항아리 두 개를 들고 스쿼트를 한다.
- 감자 팬케이크 던지기 (목표물): 5m 거리에서 사워크림이 담긴 그릇에 감자 팬케이크를 던져 넣는다.
- 감자 팬케이크 던지기 (사람): 5m 거리에서 다른 참가자에게 감자 팬케이크를 던진다.
또한, 축제 현장에서는 감자 팬케이크 학교가 열려 숙련된 요리사들이 방문객들에게 감자 팬케이크 만드는 법을 가르쳐준다.
축제의 가장 중요한 행사는 최고의 맛을 가진 감자 팬케이크를 뽑는 경쟁이다. 심사위원단이 우승자를 선정하며, 소정의 흐리우냐를 내면 누구나 시식자 자격으로 심사위원단에 참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경쟁, 전시회, 전통적인 폴레시아 지역 음료 시음, 민속 음악 앙상블 공연 등이 축제 기간 동안 함께 진행된다.
2010년 9월 25일에는 제3회 축제가 열렸다.
11. 자매 도시
코로스텐은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41]
| 도시명 | 국가 | 체결 연도 |
|---|---|---|
| 스비틀로보드스크 | -- 우크라이나 | 2005년 |
| 아네니 노이 | -- 몰도바 | 2006년 |
| 크라시니크 | -- 폴란드 | 2007년 |
| 슬로비안스크 | -- 우크라이나 | 2014년 |
| 부르주 | -- 프랑스 | 2022년 |
| 볼로디미르 | -- 우크라이나 |
12. 갤러리
참조
[1]
서적
Big Encyclopedic Dictionary
Soviet Encyclopedia
1991
[2]
웹사이트
http://korosten.osp-[...]
[3]
문서
Geograficheskie nazvaniya mira
Russkie slovari
1998
[4]
웹사이트
Korosten (Iskorosten): A small town with a great history
http://www.geocities[...]
geocities.com
2014-02-16
[5]
서적
A History of Women in Russ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6]
문서
Primary Chronicle
[7]
웹사이트
The Pechenegs
http://www.geocities[...]
2009-10-27
[8]
문서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9]
서적
The Mongols and the Black Sea Trade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Brill
[10]
서적
The History of Lithuania Before 1795
Lithuanian Institute of History
[11]
간행물
1385 m. rugpjūčio 14 d. Krėvos aktas
Žara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land
http://www.kasprzyk.[...]
2020-07-01
[13]
문서
Ukrainian Soviet Encyclopedia
Ukrainian Soviet Encyclopedia
1981
[14]
서적
Studies in Contemporary Jewry: The Jews and the European Crisis, 1914–192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Big Encyclopedic Dictionary
Soviet Encyclopedia
1991
[16]
웹사이트
Коростень
https://ru.wikipedia[...]
2023-07-07
[17]
웹사이트
National Book of Remembrance of the Victims of the Holodomor of 1932-1933 in Ukraine. Zhytomyr region. — Zhytomyr: «Polissia», 2008. — 1116 pp.
https://holodomormus[...]
2023-04-17
[18]
문서
Great Soviet Encyclopedia
Soviet Encyclopedia
1937
[19]
서적
Vernichtungskrieg: Verbrechen der Wehrmacht 1941-1944
Zweitausendeins
[20]
문서
Wehrmacht Combat Reports: The Russian Front
[21]
문서
The Eastern Front 1943-1944: The War in the East and on the Neighbouring Fronts
[22]
웹사이트
The Holocaust and [German] Colonialism in Ukraine: A Case Study
http://www.ushmm.org[...]
The Center for Advanced Holocaust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4-12-07
[23]
문서
The Fallacy of Race and the Shoah
[24]
문서
Messages of Murder: A Study of the Reports of the Einsatzgruppen of the Security Police and the Security Service, 1941–1943.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2023-02-23
[25]
웹사이트
Korosten
https://collections.[...]
[26]
웹사이트
Korosten
https://collections.[...]
[27]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Ukraine —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https://www.ushmm.or[...]
[28]
웹사이트
Korosten
https://collections.[...]
[29]
웹사이트
Korosten
https://collections.[...]
[30]
서적
Ukrainischen Miliz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5-07-17
[31]
문서
Yearbook of the Great Soviet Encyclopedia, 1972
Soviet Encyclopedia
1972
[32]
뉴스
Від ленінізму до ленінопаду
https://www.radiosvo[...]
2017-05-17
[33]
웹사이트
Meeting on the operation of electric sirens
https://korosten-rad[...]
2022-03-05
[34]
웹사이트
Ukrainian boy's first train journey is escape from war
http://www.euronews.[...]
2023-07-07
[35]
웹사이트
Mobility and transport
https://ec.europa.eu[...]
2023-10-26
[36]
웹사이트
Mobility and transport
https://ec.europa.eu[...]
2023-10-26
[37]
간행물
Транспортне сполучення
«Тріада С»
[38]
웹사이트
Банк даних Державної служби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http://database.ukrc[...]
[39]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40]
보고서
Chyselnist' nayavnoho naselennya Ukrayiny na 1 sichnya 2018 roku
http://database.ukrc[...]
2018-06-11
[41]
웹사이트
Міста-партнери
http://korosten-rada[...]
Korosten
2020-03-30
[42]
웹사이트
Коростень: Візитівка міста
http://korosten.osp-[...]
[43]
사전
ИСКОРОСТЕНЬ
http://dic.academic.[...]
Большо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44]
서적
ルポチェルノブイリ28年目の子どもたち ウクライナの取り組みに学ぶ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