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워크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워크림은 우유 크림을 발효시켜 만들거나, 저온살균 크림에 산 생성 박테리아 배양을 더해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유제품이다. 상업적 사워크림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캐나다 식품 규정에 따라 제조되며, 유지방 함량, 총 산도, 첨가물 등에 대한 기준이 있다. 사워크림은 틱소트로피 거동을 보이는 유변학적 특성을 가지며, 샐러드 드레싱, 빵, 케이크, 감자 토핑 등 다양한 요리에 조미료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서구식 식문화의 확산과 함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냉장 보관이 필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요리 - 보르시
보르시는 슬라브 조어에서 유래된 수프로, 동유럽에서 널리 즐겨 먹으며, 비트, 양파, 당근, 고기 등을 넣어 끓여 만들고 사워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 슬라브 요리 - 양배추말이
양배추말이는 다진 고기, 견과류, 쌀 등을 양배추 잎이나 포도 잎으로 감싼 요리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굽거나 삶아 소스와 함께 먹는다. - 크림 - 크렘 프레슈
크렘 프레슈는 프랑스어로 "신선한 크림"을 뜻하는 발효 크림으로, 농후한 형태와 액체 형태로 나뉘며, 진한 생크림에 스타터 배양액을 첨가하여 만들고, 풍부한 풍미로 프랑스 요리에 다양하게 활용되며 사워크림 등과 유사한 제품이다. - 크림 - 크림 (음식)
크림은 우유에서 분리한 지방 성분으로, 유지방 함량, 열처리 방식, 휘핑 여부에 따라 생크림, 휘핑 크림, 사워크림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요리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 발효 식품 - 치즈
치즈는 동물의 젖을 굳혀서 만든 유제품으로, 숙성 기간, 질감,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칼슘, 단백질 등 영양소를 제공한다. - 발효 식품 - 우스터셔 소스
우스터셔 소스는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상업화된 소스로, 몰트 식초, 주정 식초, 당밀, 설탕, 소금, 멸치, 타마린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소스 문화가 발달했다.
사워크림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발효 유제품 |
주재료 | 크림 |
영양 정보 (100g 기준) | |
에너지 | 854kJ (204kcal) |
탄수화물 | 3.4g |
지방 | 19g |
단백질 | 2.8g |
활용 | |
용도 | 소스 토핑 제빵 재료 |
2. 전통적인 제조법
전통적으로 사워크림은 우유 위에 뜬 크림을 적당한 온도에서 발효시켜 만들었다. 산 생성 박테리아 배양으로 파스퇴르 저온살균 크림을 발효시켜 만들 수도 있다.[2]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박테리아는 크림을 걸쭉하게 만들고 산성도를 높였는데, 이는 자연스러운 보존 방법이었다.[3]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정에 따르면, 상업적으로 생산된 사워크림은 증량제를 첨가하기 전 유지방 함량이 18% 이상이어야 하며, 최종 제품에는 14.4% 이상의 유지방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총 산도는 0.5% 이상이어야 한다.[4] 우유 및 유청 고형분, 버터밀크, 전분(1% 이하), 소금, 송아지, 염소 또는 양의 네 번째 위에서 추출한 수용액에서 유래한 레닛(우수 제조 관행에 부합하는 양)[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캐나다 식품 규정에 따르면, 사워크림에 사용되는 유화제, 겔화제, 안정제 및 증점제는 알긴산염, 로커스트 빈 검(캐롭콩 검), 카라기난, 젤라틴, 구아 검, 펙틴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0.5% 이하),[2] 모노글리세리드,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조합(0.3% 이하), 그리고 이인산나트륨(0.05% 이하)[2]이다.
사워크림은 물리화학적으로 독특한 특성을 지닌 유제품이다.
생크림으로 만든 사워크림은 16~21%의 지방을 함유하며, 유산균에 의한 독특한 맛을 가진다. 사워크림에는 젤라틴, 레닛, 채소 효소 등의 첨가 성분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라이트 사워크림은 일반 사워크림에 비해 지방 함량이 40% 적으며, 생크림과 우유를 섞어서 만든다. 무지방 사워크림은 옥수수 전분,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 검 등의 증점제로 농도를 높인다.
3월 8일은 일본에서 '사워크림의 날'이며, 일본에서 처음으로 '사워크림' 개발에 착수한 유제품 제조업체가 제정하였다.
3. 상업적 생산
사워크림은 완전히 발효되지 않으며, 많은 유제품과 마찬가지로 개봉 전후 모두 냉장 보관해야 한다. 캐나다 규정에 따르면, ''Rhizomucor miehei'' (Cooney and Emerson) from ''Mucor pusillus Lindt'' 순수 배양 발효 공정 또는 Aspergillus oryzae RET-1 (pBoel777)에서 유래한 우유 응고 효소를 우수 제조 관행에 부합하는 양으로 사워크림 생산 공정에 첨가할 수 있다.[2] 사워크림에는 용기에 유통기한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것이 "판매기한", "최적소비기한" 또는 "사용기한" 중 어느 것인지는 현지 규정에 따라 다르다. 냉장 보관된 개봉하지 않은 사워크림은 "판매기한" 이후 1~2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개봉 후에는 냉장 보관된 사워크림은 일반적으로 7~10일 동안 보관할 수 있다.[5]
생크림으로 만들어지는 사워크림은 16~21%의 지방을 함유하며, 유산균에 의한 독특한 맛을 가진다. 사워크림에는 젤라틴, 레닛, 채소 효소 등의 첨가 성분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라이트 사워크림은 일반 사워크림에 비해 지방 함량이 40% 적으며, 생크림과 우유를 섞어서 만든다. 무지방 사워크림은 옥수수 전분,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 검 등의 증점제로 농도를 높인다.
3월 8일은 일본에서 '사워크림의 날'이며, 일본에서 처음으로 '사워크림' 개발에 착수한 유제품 제조업체가 제정하였다.
4. 물리화학적 특성
크림을 70°C 이상으로 가열하면 유청 단백질이 변성된다. 변성된 유청 단백질은 지방구와 결합하여 제품의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사워크림의 질감에 영향을 미친다.[12][16] 유청 단백질의 변성은 크림 내 가교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7]
크림에 스타터 배양균을 접종하고 박테리아가 락토스를 젖산으로 전환하기 시작하면 pH가 점차 감소한다. 이 과정에서 인산 칼슘이 용해되며 pH가 급격히 떨어진다. 발효 과정에서 pH는 약 6.5에서 4.6으로 낮아지는데, 이는 카제인 미셀에 변화를 일으킨다. 카제인 단백질은 열에는 안정적이지만, 산성 조건에서는 불안정하다. pH 6.5에서 카제인 미셀은 음전하로 인해 서로 밀어내지만,[18] pH가 감소하면서 제타 전위가 감소하여 서로 접근하고 응집한다. 헨리 방정식을 통해 콜로이드 분산액에서 전기운동 전위를 계산할 수 있다.[19] pH 4.6 부근에서 카제인 미셀은 등전점(pI)에 도달하여 침전된다. 가열 과정에서 변성된 유청 단백질도 불용성이 되어 카제인과 함께 침전된다.[9][12][20]
카제인 미셀의 겔화 및 응집에는 수소 결합, 소수성 상호 작용, 정전기적 인력, 반데르발스 힘 등이 관여한다.[21] 이러한 상호 작용은 pH, 온도,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22] 등전점에서 카제인 미셀의 순 전하는 0이 되고 정전기적 반발력은 최소화된다.[23] 우유의 제타 전위 차이는 이온 강도 차이, 즉 칼슘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24] 카제인 미셀의 정전기적 반발력은 우유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주요 요인이다. pH 4.0~4.5에서 카제인 미셀은 응집되어 침전된다.[25] 열처리 및 변성된 유청 단백질이 카제인 미셀을 덮으면 미셀의 등전점은 β-락토글로불린의 등전점(약 pH 5.3)으로 상승한다.[26]
사워크림은 틱소트로피 거동을 보이는 유체이다. 즉, 힘을 가하면 점도가 감소하고,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점도로 돌아온다. 상온에서 사워크림의 점도는 100,000 cP (물의 점도는 20 °C에서 1 cP)이다.[27] 이러한 틱소트로피 특성은 사워크림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4. 1. 성분
가공 사워크림에는 A등급 유청, 변성 식품 전분, 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아검, 카라기난, 황산칼슘, 소르빈산칼륨, 로커스트빈검 등의 첨가물과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다.[7]
생크림으로 만드는 사워크림은 16~21%의 지방을 함유하며, 유산균에 의한 독특한 맛을 가진다. 사워크림에는 젤라틴, 레닛, 채소 효소 등의 첨가 성분을 포함하기도 한다.
라이트 사워크림은 일반 사워크림보다 지방 함량이 40% 적으며, 생크림과 우유를 섞어 만든다. 무지방 사워크림은 옥수수 전분, 젤라틴, 카라기난, 구아검 등의 증점제로 농도를 높인다.
4. 2. 가공 과정
사워크림 제조는 우선 지방 함량 표준화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는 원하는 또는 법적으로 허용되는 양의 유지방이 포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워크림에 포함되어야 하는 최소 유지방 함량은 18%이다.[8] 이 제조 공정 단계에서 유청과 같은 기타 건조 재료가 크림에 첨가된다. 이 공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첨가물은 안정제로 알려진 일련의 재료이다. 사워크림에 첨가되는 일반적인 안정제는 다당류와 젤라틴을 포함하며, 변성 식품 전분, 구아검, 카라기난 등이 있다. 안정제는 더 매끄러운 질감을 제공하고, 특정 젤 구조를 생성하며, 유청 탈수 현상을 줄인다. 이는 제품의 유통 기한을 연장시킨다.[9] 탈수 현상은 사워크림 용기가 흔들리는 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다.[10] 다음 단계는 산성화이다. 유기산 (구연산 또는 시트르산나트륨)이 균질화 전에 크림에 첨가된다. 이는 스타터 배양의 대사 활동을 증가시킨다.[9] 제조업체는 균질화를 위해 짧은 시간 동안 혼합물을 가열한다.
균질화는 색상, 농도, 크리밍 안정성 및 크리미함과 관련하여 사워크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11] 균질화 과정에서 크림 내의 더 큰 지방구는 더 작은 크기의 지방구로 분해되어 시스템 내에서 균일하게 현탁될 수 있도록 한다.[11] 이 공정 단계에서 유지방구와 카제인 단백질은 서로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작은 지방구(2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형성은 제품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유청 분리가 감소하여 사워크림의 흰색이 강화된다.[12]
크림 균질화 후, 혼합물은 저온살균을 거쳐야 한다. 저온살균은 크림의 유해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한 크림의 온화한 열처리이다. 균질화된 크림은 고온 단시간(HTST) 저온살균 방법을 거친다. 이러한 유형의 저온살균에서 크림은 85°C의 고온으로 30분 동안 가열된다. 이 공정 단계는 스타터 박테리아가 번성할 수 있는 무균 매체를 만든다.[9]
저온살균 후, 혼합물은 중온성 접종에 이상적인 온도인 20˚C로 냉각된다. 그런 다음 1~2%의 활성 스타터 배양액을 접종한다. 스타터 배양은 균질화된 크림이 pH 4.5~4.8에 도달하도록 하여 발효 과정을 시작한다. 유산균(LAB)은 유당을 유산으로 발효시킨다. 다양한 LAB은 다이아세틸과 같은 질감, 향 및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13][14][15]
접종 후 크림은 포장되어 18시간 동안 발효되어 pH가 약 6.5에서 4.6으로 낮아진다. 발효 후 한 번 더 냉각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냉각 과정 후, 사워크림은 최종 용기에 포장되어 시장에 출하된다.[9]
4. 3. 물리화학적 변화
크림을 70°C 이상으로 가열하면 유청 단백질이 변성된다. 표면적 증가로 인한 상 분리를 막기 위해 지방구는 변성된 β-락토글로불린과 쉽게 결합한다. 변성된 유청 단백질(및 카제인 미셀과 결합된 유청 단백질)의 흡착은 제품의 구조적 구성 요소 수를 증가시키며, 사워크림의 조직감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현상에 기인한다.[12][16] 유청 단백질의 변성은 유청 단백질 중합체 형성으로 인해 크림 시스템 내의 가교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7]
크림에 스타터 배양균을 접종하고 박테리아가 락토스를 젖산으로 전환하기 시작하면 pH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 감소가 시작될 때 인산칼슘의 용해가 발생하여 pH가 급격히 떨어진다. 발효 과정에서 pH는 약 6.5에서 4.6으로 떨어지는데, 이러한 pH의 감소는 카제인 미셀에 물리화학적 변화를 가져온다. 카제인 단백질은 열에 안정적이지만 특정 산성 조건에서는 안정적이지 않다. 콜로이드 입자는 우유의 정상적인 pH(6.5~6.7)에서 안정적이지만, 미셀은 pH 4.6인 우유의 등전점(pI)에서 침전된다. pH 6.5에서 카제인 미셀은 미셀의 외부 층의 음전하로 인해 서로 척력을 작용한다.[18] pH가 감소하는 동안 크림의 높은 순 음전하에서 pI에 접근할 때 순 전하가 없는 상태로 제타 전위가 감소한다. 헨리 방정식 (, z: 제타 전위, Ue: 전기영동 이동도, ε: 유전율, η: 점도, f(ka): 헨리 함수)은 콜로이드 분산액에서 전기운동 전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19] 정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카제인 분자는 서로 접근하고 응집하기 시작한다. 카제인 단백질은 더 질서 정연한 시스템으로 들어가 강한 겔 구조 형성에 기여한다. 가열 공정 단계에서 변성된 유청 단백질은 이 산성 pH에서 불용성이며 카제인과 함께 침전된다.[9][12][20]
카제인 미셀의 겔화 및 응집에 관여하는 상호 작용에는 수소 결합, 소수성 상호 작용, 정전기적 인력 및 반데르발스 인력이 있다.[21] 이러한 상호 작용은 pH, 온도 및 시간에 크게 의존한다.[22] 등전점에서 카제인 미셀의 순 표면 전하는 0이며 정전기적 반발력의 최소값이 예상된다.[23] 또한, 지배적인 소수성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응집이 일어난다. 우유의 제타 전위 차이는 이온 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우유에 존재하는 칼슘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24] 우유의 안정성은 주로 카제인 미셀의 정전기적 반발력 때문입니다. 이러한 카제인 미셀은 pH 4.0~4.5에서 절대 제타 전위 값에 접근할 때 응집되어 침전된다.[25] 열처리 및 변성된 유청 단백질이 카제인 미셀을 덮고 있을 때 미셀의 등전점은 β-락토글로불린의 등전점(약 pH 5.3)으로 상승한다.[26]
4. 4. 유변학적 특성
사워크림은 시간 의존적인 틱소트로피 거동을 보인다. 틱소트로피 유체는 힘이 가해지면 점도가 감소하고, 더 이상 응력을 받지 않으면 이전 점도로 돌아온다. 상온에서 사워크림의 점도는 100,000 cP이다 (비교를 위해: 물의 점도는 20 °C에서 1 cP이다).[27] 사워크림이 보이는 틱소트로피 특성은 식품 산업에서 사워크림을 다용도 제품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5. 용도
사워크림은 음식에 곁들이는 소스로 흔히 사용되거나, 다른 재료와 섞어 찍어 먹는 소스를 만들 때 사용된다. 수프나 소스에 넣어 걸쭉하게 만들고 크리미하게 만들거나, 굽는 과정에서 우유를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수분 함량을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텍스-멕스 요리에서는 크레마 대신 나초, 타코, 부리토, 타키토에 자주 사용된다.[28] 유럽과 북아메리카 요리에서는 조미료로 사용되며, 전통적으로 구운 감자의 토핑으로 사용되며, 다진 차이브가 곁들여진다. 크리미한 샐러드 드레싱의 베이스로도 사용되며, 케이크, 쿠키, 비스킷(미국식 비스킷), 도넛, 스콘의 반죽에 넣어 굽는 요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사워크림과 유사한 크렘 프레슈가 아침 식사의 주요 재료이다.
남아메리카의 콜롬비아에서는 아히아코에 취향에 따라 곁들여 먹는다. 사워크림은 프렌치프라이나 크래커용 "양파 디프"와 같은 다양한 디프의 베이스로 사용된다.
우크라이나 요리와 러시아 요리에서는 스메타나가 보르시치나 다른 수프에 곁들여지며, 피로히의 양념이며, 비프 스트로가노프 등의 요리에 사용된다. 텍스-멕스 요리에서는 나초스, 부리토, 과카몰리에서 크렘 프레슈의 대체재로 사용된다.[29] 헝가리 요리에서는 소스의 재료나 햄이 들어간 크레이프의 레시피에 사용된다. 발효 버터의 원료로 사용되며, 동유럽에서는 과자에도 이용된다.
5. 1. 한국에서의 활용
사워크림은 북미와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미료이다. 사워크림은 크림이 들어간 샐러드 드레싱의 기본 재료로 사용되며, 빵, 케이크, 쿠키, 미국식 비스켓, 스콘 등을 만들 때에도 첨가된다. 구운 감자 위에 잘게 썬 골파와 차가운 사워크림을 얹는 것은 전통적인 토핑으로 여겨진다."사워크림과 양파"는 감자칩의 인기있는 풍미이다. 사워크림은 감자칩이나 크래커 등에 찍어 먹는 소스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요리에서 사워크림은 보르시나 다른 종류의 수프에 첨가되며, 피로슈키의 양념으로 사용된다.
6. 보관
사워크림은 완전히 발효되지 않았기 때문에 냉장 보관해야 한다. 다른 유제품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이 표시되어 판매되지만, 기한이 "판매 기한", "품질 유지 기한", "소비 기한" 중 어느 것인지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사워크림 표면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지만, 치즈와 달리 표면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sour cream. Sour cream for cooking recipes
http://homecooking.a[...]
Homecooking.about.com
2010-06-14
[2]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Food and Drug Regulations
http://laws.justice.[...]
2019-06-03
[3]
웹사이트
Sour Cream
http://www.bonappeti[...]
Bon Appétit
2007-12-17
[4]
웹사이트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https://www.accessda[...]
[5]
웹사이트
How Long Does Sour Cream Last?
http://www.eatbydate[...]
Eat by Date
[6]
뉴스
Sour Cream - Daisy Brand
http://daisybrand.co[...]
[7]
웹사이트
Cultured Sour Cream (16 oz.) - Kemps
http://www.kemps.com[...]
[8]
특허
Sour cream dairy product
[9]
서적
Food Process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Ltd.
[10]
웹사이트
Syneresis - Cheese Science Toolkit
http://www.cheesesci[...]
[11]
학술지
Homogenisation in the dairy process - conventional processes and novel techniques
2011-01-01
[12]
서적
Handbook of Food Products Manufacturing
John Wiley & Sons, Inc
[13]
서적
Handbook of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technology
http://www.crcnetbas[...]
Marcel Dekker
2004-01-01
[14]
특허
Process of making sour cream type products and cream cheese
[15]
뉴스
FERMENTED MILK PRODUCTS
http://www.dairyproc[...]
2015-05-13
[16]
서적
Handbook of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Techn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03-19
[17]
학술지
Cultured dairy products: an overview of their gelation and texture properties
2004-05-01
[18]
학술지
Casein micelle structure: a concise review
http://rdo.psu.ac.th[...]
[19]
웹사이트
Zeta Potential Theory
https://www.research[...]
[20]
학술지
Protein, casein, and micellar salts in milk: Current content and historical perspectives
[21]
학술지
Effect of SDS on Acid Milk Coagulability
2001-05-01
[22]
학술지
Effect of a low temperature step during ferment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at-free yogurt
[23]
학술지
Casein Interactions: Casting Light on the Black Boxes, the Structure in Dairy Products
[24]
학술지
Buffalo vs. cow milk fat globules: Size distribution, zeta-potential, compositions in total fatty acids and in polar lipids from the milk fat globule membrane
[25]
학술지
ζ-Potentials of casein micelles from reconstituted skim milk heated at 120 °C
[26]
학술지
Acid-induced gelation of heat-treated milk studied by diffusing wave spectroscopy
[27]
웹사이트
Understanding Uncured Adhesive Viscosity and Rheology
http://www.permabond[...]
2013-05-14
[28]
웹사이트
Cook's Thesaurus: Cultured Milk Products
http://www.foodsubs.[...]
Foodsubs.com
[29]
웹사이트
Cook's Thesaurus: Cultured Milk Products
http://www.foodsu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