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출신의 군인이자 혁명가로, 미국 독립 전쟁과 코시치우슈코 봉기에 참여했다. 그는 1746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태어나 귀족 가문에서 성장했으며, 바르샤바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미국 독립 전쟁에 공병 대령으로 참전하여 요새 건설 및 전략 수립에 기여했으며,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1794년에는 조국 폴란드로 돌아와 코시치우슈코 봉기를 이끌었으나 실패하여 러시아에 투옥되었다. 석방 후에는 망명 생활을 하다가 1817년 스위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폴란드로 이장되었다. 그는 폴란드, 미국 등에서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지명과 기념물이 전 세계에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으로, 소련 원수와 폴란드 원수를 역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고 대숙청 시기에 수감되었다가 복권되어 독소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폴란드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는 폴란드의 축구 감독으로, 폴란드 클럽 팀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하며 엑스트라클라사 우승과 2022년 FIFA 월드컵 토너먼트 진출을 이끌었다.
  • 벨라루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올가 코르부트
    올가 코르부트는 혁신적인 기술과 매력적인 연기로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소비에트 연방의 체조 선수로, 그녀의 이름을 딴 '코르부트 플립' 기술로 체조 기술 혁신과 스포츠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은퇴 후 코치 및 미국 이민 후 명예의 전당 헌액, 성폭력 피해 폭로 등의 활동을 했다.
  • 벨라루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비탈리 셰르보
    벨라루스 체조 선수 비탈리 셰르보는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립 국가 연합 대표로 6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최다관왕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고, 2009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폴란드의 장군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1년 계엄령을 선포하여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총리, 당 제1서기, 폴란드 최초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1989년 원탁회의를 통해 폴란드의 민주화를 이끌었으나 계엄령 선포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장군 -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 시기 폴란드 독립을 위해 폴란드 군단을 조직하여 헌신했으며, 폴란드 국가에 언급되고 프랑스 파리 개선문에도 이름이 새겨져 있다.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2. 어린 시절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는 1746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귀족 가문인 슐라흐타 집안에서 태어났다.[14] 그는 어린 시절 류베슈프에서 잠시 교육을 받았으나 가정 형편으로 마치지 못했고, 이후 바르샤바의 왕립 군사 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14][28]

2. 1. 출생과 가문

메레초프슈치즈나 영지


1761년, 15세의 코시치우슈코


코시치우슈코는 1746년 2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보이보데십에 있는 메레초프슈치즈나 영지의 영주 집안에서 태어났다.[11][10] 그의 정확한 생일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2월 4일[11] 또는 2월 12일로 추정된다.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의 장교였던 루드빅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와 그의 아내 테클라 라톰스키 사이에서 슐라흐타 집안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14] 코시치우슈코 가문은 ''Roch III 문장''을 사용했다.[15]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가 태어날 당시, 그의 가문은 31개의 농민 가족이 경작하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소규모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21][16]

코시치우슈코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안제이, 타데우시, 보나벤투라''라는 세례명을 받았다.[17][18][19][20] 그의 부계 가족은 민족적으로 루테니아인이었으며[21], 그 조상은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의 대공이었던 지그문트 1세의 조신 콘스탄티 피오도로비치 코시치우슈코이다.[22] 그의 모계 가족인 라톰스키 집안 또한 루테니아인이었다.[23]

바르샤바의 카지미에르 궁전, 코시치우슈코가 왕립 군사 학교에 다녔던 곳


현대 벨라루스인 작가들은 그의 루테니아적 혹은 리투아니아적 유산을 벨라루스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코시치우슈코는 자신을 ''Litvin''으로 설명한 적이 있는데, 이 단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주민을 의미했다. 현대 벨라루스인 작가들은 '벨라루스인'이라는 단어가 나오기 이전에 ''Litvin''을 벨라루스인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해석한다.[27] 그러나 코시치우슈코는 벨라루스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의 가족은 16세기 이전에 폴란드화되었다.[24] 당시 대부분의 폴란드-리투아니아 귀족들과 마찬가지로, 코시치우슈코 가문은 폴란드어를 사용하고 폴란드 문화에 익숙했다.[25]

1755년에 코시치우슈코는 류베슈프에 있는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지만, 1758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가정의 경제적 문제로 인해 졸업하지 못했다. 폴란드의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는 군 장교와 정부 관료를 교육시키기 위해 왕립 군사 학교(현재 바르샤바 대학교)를 설립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차르토리스키 가문의 후원 덕분에 1765년 12월 18일 왕립 군사 학교에 등록할 수 있었다. 학교는 군사학과 자유과를 강조했고,[28] 1766년 12월 20일 졸업한 후에는 호론지(현재의 소위와 유사)로 진급했다. 그는 학교에 계속 남아 조교로 있었고, 1768년 즈음에는 대위로 진급했다.[14]

2. 2. 유년기 교육



코시치우슈코는 1746년 2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근처 메레초프슈치즈나 영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정확한 생일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2월 4일 또는 2월 12일로 추정된다.

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의 장교였던 루드빅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와 그의 아내 테클라 라톰스키 사이에서 슐라흐타 집안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코시치우슈코 가문은 ''Roch III coat of arms'' 문장을 사용했다.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가 태어날 당시, 그의 가문은 31개의 농민 가족들이 경작하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코시치우슈코는 로마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안제이, 타데우시, 보나벤투라'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그의 부계 가족은 민족적으로 리투아니아-루테니아인이었으며, 모계 가족인 라톰스키 집안 또한 루테니아인이었다.

현대 벨라루스 작가들은 그의 루테니아인적 혹은 리투아니아적 유산을 벨라루스적인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코시치우슈코는 자신을 ''Litvin''으로 설명한 적이 있는데, 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출신임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현대 벨라루스 작가들은 이 단어가 "벨라루스인"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전에 벨라루스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코시치우슈코는 벨라루스어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그의 가족은 16세기 이전에 폴란드화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폴란드-리투아니아 귀족들처럼, 코시치우슈코 가문은 폴란드어를 사용하고 폴란드 문화에 익숙했다.

1755년 코시치우슈코는 Lyubeshiv에 있는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지만, 1758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졸업하지 못했다. 폴란드의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는 군 장교와 정부 관료를 양성하기 위해 왕립 군사 학교(현재 바르샤바 대학교)를 설립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차르토리스키 가문의 후원 덕분에 1765년 12월 18일 이 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학교는 군사학과 자유과 교육을 강조했으며, 코시치우슈코는 1766년 12월 20일 졸업 후 기수(현재의 중위와 유사한 계급)로 진급했다. 그는 졸업 후에도 학교에 남아 조교로 활동했고, 1768년경에는 대위로 진급했다.

3. 미국 독립 전쟁 참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미국 독립 전쟁 소식을 접한 코시치우슈코는 자유인권의 대의에 공감하여 1776년 미국으로 건너갔다.[14][30]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에게 공학 기술을 인정받아 추천을 받았고,[35] 제2차 대륙 회의로부터 대륙군 공병 대령으로 임명되었다.[14][37]

코시치우슈코는 전쟁 기간 동안 뛰어난 공병 기술을 발휘하여 미국의 승리에 기여했다. 필라델피아 방어를 위한 델라웨어강 요새화,[36] 새러토가 전투 승리의 발판이 된 베미스 고지 요새화,[14] 허드슨강 방어의 핵심인 웨스트포인트 요새 구축 등 북부 전선에서 활약했다.[45][46] 이후 1780년부터는 남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너새니얼 그린 장군 휘하에서 수석 공병으로서 강 도하 작전 지원, 진지 구축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5] 그는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 호브커크 힐 전투, 나인티식스 포위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52][53][54] 전쟁 말기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 근교에서 소규모 부대를 지휘하기도 했다.[56]

1783년 전쟁이 끝나자 미국 의회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미국 육군 준장으로 진급시키고 미국 시민권과 토지를 약속했으며,[61][62] 조지 워싱턴 장군 또한 그에게 감사를 표하며 신시내티 협회 회원으로 받아들였다.[45][64] 코시치우슈코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외국인 출신 장교로서 자유를 위한 투쟁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3. 1. 미국으로 건너가다

1774년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로 돌아왔다. 하지만 그가 없는 사이 프로이센, 러시아, 오스트리아 3국에 의한 제1차 폴란드 분할(1772년)이 일어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크게 약화된 상태였다. 특히 코시치우슈코 가족이 살던 리투아니아 지역은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돌아온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 육군이 거의 와해되었고, 형이 가문의 재산을 대부분 탕진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폴란드에서 그는 부유한 귀족 헤트만 유제프 소스노프스키의 딸 루드비카 소스노프스카(Ludwika Sosnowskapol)와 사랑에 빠졌으나, 코시치우슈코의 재정적 기반이 약하다는 이유로 루드비카의 아버지가 반대하여 둘은 헤어졌다. 이에 상심한 코시치우슈코는 평생 결혼하지 않았다.[14]

당시 폴란드 육군에서 장교가 되려면 돈으로 임관 사령을 사야 했지만, 코시치우슈코에게는 그럴 자금이 부족했다. 폴란드에서 미래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한 그는 미국 독립 전쟁 소식을 듣고 미국으로 건너가 대륙 회의로부터 장교 임관을 받기로 결심했다. 이는 불의한 통치에 저항하는 이들을 돕고자 하는 그의 신념과도 맞았다. 과거 폴란드 육군에서 복무했고 이후 미국에서 군 경력을 쌓은 찰스 헨리 리가 코시치우슈코가 대륙육군에 합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인권 옹호자였던 코시치우슈코는 미국의 대의에 공감하여, 1776년 6월 다른 외국인 장교들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으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혁명을 지지했던 프랑스인 피에르 보마르셰의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14][30] 필라델피아에 도착한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을 만나 추천서 대신 공학 실력을 증명하겠다고 제안했고, 기하학 시험에서 뛰어난 성적을 보여 프랭클린의 추천을 받았다.[35] 1776년 8월 30일, 코시치우슈코는 펜실베이니아 주 의사당에서 제2차 대륙 회의에 지원서를 제출했고, 다음 날 대륙군 공병 대령으로 임명되었다.[14]

카지미에시 보이니아코프스키의 1790년경 초상화


1780년 10월, 코시치우슈코는 버지니아를 거쳐 남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게이츠 장군에게 합류했다.[45] 그러나 게이츠 장군이 캠든 전투(1780년 8월 16일)에서 크게 패배하자, 대륙 회의는 워싱턴의 추천을 받아 너새니얼 그린 소장을 새로운 남부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50] 1780년 12월 3일 그린이 지휘권을 인수했을 때, 코시치우슈코는 수석 공병으로 계속 활동하며 게이츠와 그린 모두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45]

남부 전선에서 코시치우슈코는 군용 바토 제작, 야영지 선정, 도하 지점 정찰, 진지 요새화, 정보 연락망 구축 등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그의 활약은 특히 "댄 강으로의 경주"에서 빛을 발했다. 1781년 1월과 2월, 영국군 사령관 콘월리스 장군이 그린의 부대를 험난한 지형을 가로질러 약 321.87km나 추격했을 때, 코시치우슈코가 준비한 바토와 정확한 강 정찰 정보 덕분에 대륙군은 야드킨 강과 댄 강을 포함한 여러 강을 무사히 건널 수 있었다.[45] 배가 없던 콘월리스는 불어난 댄 강을 건너지 못하고 추격을 포기, 노스캐롤라이나로 후퇴했다. 대륙군은 코시치우슈코가 미리 요새화된 보급 기지를 마련해 둔 할리팩스 남쪽에서 재정비할 수 있었다.[51]

코시치우슈코는 그린 장군이 콘월리스와 맞서 싸울 장소로 길포드 코트하우스를 선정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이 전투에서 미국군은 전술적으로는 패배했지만, 콘월리스 군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혀 사실상 전투력을 무력화시켰고, 이를 통해 남부 전선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했다.[52] 1781년 봄, 그린 장군이 사우스캐롤라이나 탈환 작전을 시작하자 코시치우슈코는 다시 본대에 합류했다. 그는 4월 25일 호브커크 힐 전투에 참전했으며,[53] 5월 22일부터 6월 18일까지 나인티식스의 영국군 요새인 스타 요새(Star Forteng)를 포위하는 나인티식스 포위전을 지휘했다. 이 포위전은 실패로 끝났고, 코시치우슈코는 자신이 구축하던 참호로 돌격해 온 영국군의 총검에 찔려 복무 중 유일한 부상을 입었다.[54]

이후 코시치우슈코는 노스캐롤라이나의 미군 기지를 요새화하는 작업을 도왔고,[55] 전쟁 마지막 해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 인근에서 영국군 보급 부대를 기습하는 등 여러 소규모 작전에 참여했다. 그의 친구인 존 로런스 대령이 전사한 후에는 로런스가 관리하던 정보망을 넘겨받아 운영했다. 그는 두 개의 기병대와 보병 부대를 지휘했으며, 그의 마지막 전투 지휘는 1782년 11월 14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제임스 섬에서 벌어진 제임스 섬 전투였다. 이 전투에서 그의 부대는 패배했고 코시치우슈코 자신도 목숨을 잃을 뻔했다.[56] 한 달 뒤, 그는 영국군이 철수한 찰스턴을 탈환하는 대륙군 부대의 일원으로 도시에 입성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찰스턴에 머물렀으며, 1783년 4월 23일에는 파리 조약 체결을 기념하는 불꽃놀이 행사를 주관했다.[58]

3. 2. 대륙군 복무

미국 독립 전쟁 소식을 접한 코시치우슈코는 혁명적 열망을 품고 미국의 대의에 공감하여 인권 옹호자로서 1776년 6월 다른 외국 장교들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으로 향했다. 이는 아마도 미국 혁명 지지자인 프랑스인 피에르 보마르셰의 도움을 받았을 것이다.[14][30] 카리브해에서 난파 사고를 겪은 후 필라델피아에 도착한 그는 인쇄소에서 벤저민 프랭클린을 만났다. 추천서 대신 공학 시험을 자청했고, 기하학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프랭클린의 추천을 얻었다.[35] 1776년 8월 30일, 코시치우슈코는 독립 기념관에서 제2차 대륙 회의에 지원서를 제출했고, 다음날 대륙군에 배속되었다.[14]

코시치우슈코가 강화한 클린턴 요새. 뒷배경의 동상은 그를 기리고 있다.


코시치우슈코의 첫 임무는 델라웨어강의 제방을 보호하고 필라델피아로 향하는 영국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뉴저지주 폴스보로의 포트 빌링스포트에 요새를 건설하는 것이었다.[36] 그는 처음에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개인적인 고용인으로서 자원봉사자로 일했지만, 1776년 10월 18일, 의회는 그를 대륙군 공병 대령으로 임명했다.[37]

1777년 봄, 코시치우슈코는 북부군에 배속되어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의 지휘 아래 1777년 5월 캐나다-미국 국경에 도착했다. 이후 타이컨더로가 요새에 배치되어 북미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로 여겨지던 곳의 방어를 검토했다.[14][38] 그는 요새를 내려다보는 높은 지점인 슈가 로프에 포대를 건설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38] 그의 신중한 제안은 동료 기술자들의 동의를 얻었으나, 주둔군 사령관인 아서 세인트 클레어 준장은 이를 거절했다.[14][38]

이는 전술적 실수로 드러났다. 존 버고인 소장 휘하의 영국군이 1777년 7월 도착했을 때, 버고인은 코시치우슈코가 경고한 대로 언덕에 포병을 배치했다.[38] 영국군이 고지를 장악하자, 미군은 타이컨더로가 포위전에서 거의 교전 없이 요새를 포기해야 했다.[38] 영국 선봉대는 수적으로 열세하고 지친 대륙군을 바짝 추격하며 남쪽으로 도주했다. 필립 스카일러 소장은 코시치우슈코에게 적을 지연시켜 부대와의 거리를 벌리도록 명령했다.[39] 코시치우슈코는 나무를 베고, 개울을 막고, 다리와 제방을 파괴하는 공병 전술을 사용했다.[39] 거대한 보급 행렬에 발이 묶인 영국군은 진격이 늦춰졌고, 이는 미군이 허드슨강을 안전하게 건너 철수할 시간을 벌어주었다.[39]

게이츠는 코시치우슈코에게 양군 사이의 지역을 조사하여 가장 방어에 유리한 위치를 선정하고 요새화하도록 지시했다. 새러토가 근처, 허드슨강이 내려다보이는 베미스 하이츠에서 적합한 지점을 찾은 코시치우슈코는 강력하고 거의 난공불락인 방어 체계를 구축했다. 그의 판단력과 세심한 작업은 새러토가 전투에서 영국군의 공격을 좌절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고,[14] 게이츠는 1777년 10월 16일 그곳에서 버고인 군대의 항복을 받아냈다.[40] 이 패배로 영국군은 큰 타격을 입었고, 전쟁의 흐름은 미국에 유리하게 바뀌었다.[41] 새러토가에서의 코시치우슈코의 공적은 게이츠로부터 큰 칭찬을 받았으며, 게이츠는 훗날 친구인 벤자민 러시 박사에게 "캠페인의 위대한 전술가들은 젊은 폴란드 공병이 내 야영지를 선택할 만큼 능숙했던 언덕과 숲이었다"고 말했다.[14]

1777년 어느 시점, 코시치우슈코는 폴로네즈를 작곡하여 쳄발로 악보를 만들었다.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라이놀드 수호돌스키가 가사를 붙인 이 곡은 훗날 1830년 11월 봉기 당시 폴란드 애국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42] 이 무렵,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부관인 아그리파 헐을 배정받았고, 그를 동등한 존재이자 친구로 대했다.[43]

1778년 3월, 코시치우슈코는 웨스트포인트에 도착하여 2년 이상 머물며[44] 요새를 강화하고 방어 시설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45][46] 이 요새는 훗날 미국 장군 베네딕트 아놀드가 반역했을 때 영국에 넘기려 했던 바로 그곳이었다.[47] 코시치우슈코가 웨스트포인트를 요새화한 직후인 1780년 8월, 조지 워싱턴 장군은 코시치우슈코의 남부군 전투 임무 전출 요청을 승인했다. 코시치우슈코의 웨스트포인트 요새는 당시 혁신적인 것으로 널리 칭찬받았다.[48][49]

1780년 10월, 코시치우슈코는 버지니아 시골 지역을 거쳐 남쪽으로 이동한 후,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그의 전 지휘관이었던 게이츠 장군에게 보고했다.[45] 1780년 8월 16일 캠든 전투에서 게이츠가 참패하자, 대륙 회의는 워싱턴의 추천을 받아 너새니얼 그린 소장을 남부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50] 1780년 12월 3일 그린이 공식적으로 지휘권을 인수했을 때, 그는 코시치우슈코를 수석 기술자로 유지했으며, 게이츠와 그린 모두로부터 칭찬을 받았다.[45]

이 작전 기간 동안 코시치우슈코는 바토(평저선)를 건설하고, 야영지 위치를 선정하고, 강 도하 지점을 정찰하고, 진지를 요새화하고, 정보 연락망을 개발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의 많은 기여는 남부군의 궤멸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1781년 1월과 2월, 영국군 장군 찰스 콘월리스가 약 321.87km의 험난한 오지를 가로질러 그린을 추격했던 "댄 강으로의 경주" 동안 그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그린의 전술, 코시치우슈코가 만든 바토, 그리고 본대보다 앞서 강을 정확히 정찰한 덕분에 대륙군은 야드킨 강과 댄 강을 포함한 여러 강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었다.[45] 배가 없고 불어난 댄 강을 건널 방법을 찾지 못한 콘월리스는 추격을 포기하고 노스캐롤라이나로 후퇴했다. 대륙군은 할리팩스 남쪽에서 재집결했는데, 코시치우슈코는 이전에 그린의 요청에 따라 그곳에 요새화된 창고를 설치해 두었다.[51]

"댄 강으로의 경주" 동안 코시치우슈코는 그린이 결국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콘월리스와 싸우기 위해 선택한 장소를 선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비록 전술적으로는 패배했지만, 이 전투에서 미군은 콘월리스 군대의 전투력을 거의 소진시켜 남부 전선에서 영구적인 전략적 우위를 확보했다.[52] 1781년 봄, 그린이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재정복하기 시작하자 코시치우슈코를 남부군 본대에 다시 합류시켰다. 1781년 후반기에 대륙군과 남부 민병대 연합군은 영국군을 오지에서 해안 항구로 점차 몰아냈고, 4월 25일 코시치우슈코는 호브커크 힐 전투에 참여했다.[53] 나인티식스에서는 5월 22일부터 6월 18일까지 스타 요새 포위전을 지휘했다. 이 실패한 포위전 중, 그가 건설하던 접근 참호에 대한 요새 수비대의 공격으로 총검에 찔려 7년간의 복무 중 유일한 부상을 입었다.[54]

이후 코시치우슈코는 노스캐롤라이나에 있는 미군 기지를 요새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55] 전쟁 마지막 해에는 찰스턴 근처에서 영국군 식량 조달 부대를 괴롭히는 등 여러 소규모 작전에 참여했다. 그의 친구 존 로런스 대령이 사망한 후, 코시치우슈코는 이 작전에 참여하여 로런스의 정보망을 인수했다. 그는 두 개의 기병대와 보병 부대를 지휘했으며, 그의 마지막 전장 지휘는 1782년 11월 14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제임스 섬에서 벌어진 제임스 섬 전투였다. 이 전투에서 그의 소규모 부대가 패주하면서 그는 거의 목숨을 잃을 뻔했다.[56] 한 달 후, 그는 영국군이 철수한 찰스턴을 재점령한 대륙군 병사들 중 한 명이었다. 코시치우슈코는 전쟁의 남은 기간을 그곳에서 보냈으며, 1783년 4월 23일에는 그 달 초 파리 조약 서명을 기념하는 불꽃놀이를 감독했다.[58]

7년간 봉급을 받지 못했던 코시치우슈코는 1783년 5월 말 밀린 봉급을 받기로 결정했다.[59] 그해 그는 미국 의회의 요청으로 7월 4일 프린스턴에서 열린 기념행사의 불꽃놀이를 감독했다.[60] 1783년 10월 13일, 의회는 그를 준장으로 진급시켰지만, 여전히 밀린 봉급은 지급되지 않았다. 이는 다른 많은 장교와 병사들도 마찬가지였다.[61] 봉급을 기다리는 동안 유럽으로 돌아갈 여비를 마련할 수 없었던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계 유대인 은행가 하임 솔로몬에게 빌린 돈으로 생활했다. 결국 그는 1784년 1월 1일에 지급될 12280USD의 6% 이자율 증서와, 미국에 정착할 경우 500acre의 토지를 받을 권리를 받았다.[62]

1783-84년 겨울 동안 그의 전 사령관인 그린 장군은 코시치우슈코를 자신의 저택에 머물도록 초대했다.[63] 그는 신시내티 협회[45][64] 와 1785년 미국 철학회의 회원이 되었다.[65] 혁명 기간 동안 코시치우슈코는 "이유 없이 나를 뽑지 말고, 명예 없이 나를 넣지 말라"는 문구가 새겨진 낡은 스페인 검을 차고 다녔다고 전해진다.[66]

3. 3. 미국의 영예

비르투티 밀리타리 차림의 코시치우슈코 (신시내티 사회 훈장을 달고 있다.)


1783년 10월 파리 조약으로 미국 독립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나자, 대륙 회의는 코시치우슈코의 공헌에 감사를 표하며 그를 미국 육군 준장으로 진급시켰다.[61] 또한 미국 시민권을 부여하고, 만약 그가 미국에 정착할 경우 오하이오의 토지 500acre를 주기로 약속했다.[62]

조지 워싱턴 장군 또한 코시치우슈코에게 개인적인 감사를 표하며 단검과 두 자루의 권총, 그리고 고풍스러운 카메오 반지를 선물했다. 워싱턴은 그를 독립 전쟁 장교들을 위한 모임인 신시내티 협회의 회원으로 환영했다.[45][64] 이 협회는 공화정 로마의 영웅 킨키나투스의 이름을 딴 것이었다.

그러나 코시치우슈코는 7년간의 복무 기간 동안 봉급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많은 다른 장교나 병사들처럼 그 역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유럽으로 돌아갈 여비조차 부족하여 폴란드계 유대인 은행가 하임 솔로몬에게 돈을 빌려 생활해야 했다.[62] 결국 1784년 1월 1일, 그는 6%의 이자가 붙는 12280USD 상당의 증서를 받게 되었다.[62] 코시치우슈코는 이 돈을 미국 내 흑인 노예들을 사서 해방시키는 데 사용하겠다는 인도적인 뜻을 밝히기도 했다.

미국에서의 그의 명성은 높아, 1783년 7월 4일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열린 기념행사의 불꽃놀이를 감독해 달라는 의회의 요청을 받기도 했다.[60] 1785년에는 학문적 명성이 높은 미국 철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5] 혁명 기간 동안 그는 "Nec temere, nec timide|네크 테메레, 네크 티미데la" (이유 없이 나를 뽑지 말고, 명예 없이 나를 넣지 말라)라는 문구가 새겨진 검을 차고 다녔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일화이다.[66]

1796년 러시아 감옥에서 석방된 후, 코시치우슈코는 1797년 미국을 다시 방문했다. 그는 미국 전역에서 영웅으로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이때 대륙 회의는 그에게 밀린 봉급을 실제로 지급했다.

4. 폴란드 귀국과 정치 활동

미국 독립 전쟁 참전 후 1784년 폴란드로 귀국했으나, 당시 폴란드의 복잡한 정치 상황과 후원자 차르토리츠키 가문과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군 복귀는 순탄치 않았다.[45] 그는 시에흐노비체에 정착하여 영지를 경영하며 농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려 노력했지만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45][68]

1788년부터 시작된 대 세임(4년 의회) 시기에 군대 증강과 개혁 논의가 활발해지자, 코시치우슈코는 1789년 소장으로 군에 복귀할 기회를 얻었다.[45][71] 그는 군 복무와 동시에 휴고 코와타이 등 개혁파 인사들과 교류하며 폴란드의 개혁 방향에 대해 고민했고, 특히 농민과 유대인의 완전한 시민권 보장을 주장하며 국가 방위에 이들의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고 역설했다.[73][74] 1791년 5월 3일 헌법 제정을 지지했지만, 군주제 유지와 소외 계층 문제 해결 미흡에는 아쉬움을 표했다.[75]

그러나 개혁에 반발한 보수 귀족들의 타르고비차 연맹 결성과 러시아의 군사 개입으로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이 발발했다.[76] 코시치우슈코는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국왕의 항복으로 전쟁은 패배로 끝났고, 그는 큰 실망감 속에 망명을 선택했다.[79][86] 망명지인 라이프치히 등지에서 다른 애국지사들과 함께 봉기를 계획하며 프랑스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실질적인 도움을 얻지는 못했다.[88][90] 1793년 프로이센과 러시아에 의한 제2차 폴란드 분할은 폴란드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91][92] 이러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코시치우슈코는 외세의 압제에 맞서 직접 봉기를 이끌기로 결심하고, 1794년 3월 크라쿠프로 향했다.[88]

4.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위기

1792년 요제프 그라시의 초상화


1784년 7월 15일, 미국 독립 전쟁 참전 후 봉급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로 출발하여 8월 26일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의 후원자였던 차르토리츠키 가문과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사이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그는 연방군에서 다시 임관하지 못했다. 결국 그는 시에흐노비체라는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45] 그의 형제 요제프가 가문의 재산을 거의 잃었지만, 누이 안나의 도움으로 코시치우슈코는 토지의 일부를 확보할 수 있었다.[67] 그는 자신의 영지에서 남성 농민들의 역(영주를 위한 의무 노동)을 주 이틀로 제한하고 여성 농민은 역에서 완전히 면제하는 등 농민의 부담을 덜어주려 노력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영지의 수익성을 악화시켰고, 그는 빚을 지게 되었다.[45] 미국 정부가 약속했던 군 복무에 대한 지연된 봉급과 이자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재정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68] 이 시기 코시치우슈코는 휴고 코와타이와 같은 자유주의적 개혁가들과 교류했으며, 코와타이는 그에게 야기엘로니안 대학교 강사직을 제안했지만 코시치우슈코는 거절했다.[69]

1788년부터 1792년까지 열린 대 세임은 연방의 국경 방어를 위한 군대 증강 계획을 포함한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를 군 복무 복귀의 기회로 보고 바르샤바에서 정치 토론에 참여하며 미국식 민병대 창설 제안서를 작성하기도 했다.[45][70] 군대 증강에 대한 정치적 요구가 커지고 코시치우슈코의 정치적 지지자들이 영향력을 얻으면서, 그는 1789년 10월 12일 소장으로 왕실 임명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기대와 달리 폴란드 왕국군에 배속되었다.[45][71]

연간 12,000 즈워티의 봉급을 받게 되면서 그의 재정적 어려움이 해소되었다. 1790년 2월 브워츠와베크에서 임무를 시작했고, 여름에는 부크강과 비스툴라강 사이 지역의 부대를 지휘했으며, 8월에는 볼히니아로 이동하여 스타로콘스탄티노프와 미엔지보르제 근처에 주둔했다.[45] 국왕의 조카이자 상관인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공은 코시치우슈코의 경험을 높이 사 그를 부관으로 삼고, 부재 시 지휘권을 맡기기도 했다.[72]

코시치우슈코가 무공 훈장을 착용하고 그 아래에 신시내티 협회의 독수리 깃발을 착용한 모습


한편, 코시치우슈코는 휴고 코와타이, 율리안 우르신 님체비치 등 정치 개혁가들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73] 그는 농민과 유대인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쟁 발발 시 그들이 국가 방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74] 애국당을 중심으로 한 개혁 세력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 헌법을 긍정적인 진전으로 평가했지만, 군주제를 유지하고 농민과 유대인 등 소외된 계층의 처우 개선에 미흡하다는 점에는 실망감을 느꼈다.[75]

연방의 개혁 움직임은 주변 강대국들의 경계심을 자극했다. 헌법 채택 1년 후인 1792년 5월 14일, 개혁에 반대하는 보수 귀족들은 타르고비차 연맹을 결성하고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에게 헌법 폐지를 위한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나흘 뒤인 5월 18일, 10만 명의 러시아군이 폴란드 국경을 넘어 바르샤바를 향해 진격하면서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이 시작되었다.[76] 코시치우슈코는 이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가 항복하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단 한 번의 전투에서도 패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792년 9월 중순, 그는 조국을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망명 초기, 그는 시에니아와의 차르토리스키 가문 영지, 르비우, 자모시치, 푸와비 등지를 거쳐 많은 폴란드 망명객들이 모여 있던 라이프치히에 정착했다.[79][87] 라이프치히에서 그는 이그나치 포토츠키, 휴고 코와타이 등 다른 망명 지도자들과 함께 러시아 지배에 맞선 봉기를 계획하기 시작했다.[88] 그의 명성은 봉기 계획에 큰 힘이 되었다.[89]

1793년 초, 코시치우슈코는 봉기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을 얻기 위해 파리로 갔으나, 프랑스 혁명 정부는 구체적인 약속 없이 말뿐인 지지만 보냈다. 그는 프랑스가 자국의 이익 외에는 폴란드 문제에 큰 관심이 없다고 판단했으며, 당시 프랑스 혁명 내부의 권력 다툼과 공포 정치의 심화에 실망했다.[88][90]

같은 해 1월 23일, 프로이센러시아제2차 폴란드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이 분할은 6월에 강압적으로 소집된 그로드노 세임에서 비준되었고, 1791년 5월 3일 헌법은 폐지되었다.[91][92] 이로써 폴란드는 영토가 약 200000km2로 줄어들고 인구는 약 400만 명에 불과한 작은 나라로 전락했다.[93][91] 이는 자신들의 특권 유지를 위해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했던 타르고비차 연맹에게도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결과였다.[92][94]

1793년 8월, 코시치우슈코는 라이프치히로 돌아왔다. 그는 세 분할 강대국에 맞선 봉기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우려했지만, 봉기를 조속히 시작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았다.[95] 9월에는 비밀리에 폴란드 국경을 넘어 국내 상황을 살피고 유제프 보지츠키 장군 등 동조 세력과 접촉했다. 그러나 준비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폴란드 내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어, 러시아와 프로이센은 폴란드군에게 추가적인 해산을 강요하고 남은 병력을 러시아군에 편입시키려 했다. 1794년 3월, 러시아 비밀경찰이 바르샤바에서 혁명가들을 색출하고 주요 인사들을 체포하기 시작하자, 코시치우슈코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계획보다 앞당겨 봉기를 결심했다. 그는 1794년 3월 15일, 크라쿠프로 향했다.[88]

4. 2. 4년 의회와 5월 3일 헌법



1784년 7월 15일,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로 출발하여 8월 26일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의 후원자였던 차르토리츠키 가문과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 사이의 갈등 때문에 연방군에 복귀하지 못했다. 그는 시에흐노비체라는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45] 형 요제프가 잘못된 투자로 가산을 거의 잃었지만, 누이 안나의 도움으로 코시치우슈코는 토지 일부를 확보할 수 있었다.[67] 그는 농민들의 의무 노동인 역을 남성의 경우 주 이틀로 제한하고 여성은 완전히 면제해주었으나, 이로 인해 영지는 곧 수익을 내지 못하게 되었고 그는 빚을 지기 시작했다.[45] 미국 정부가 약속했던 7년간의 군 복무에 대한 지연 이자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정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68] 코시치우슈코는 휴고 코와타이와 같은 자유주의 활동가들과 교류했으며, 코와타이는 그에게 크라쿠프의 야기엘로니안 대학교 강사직을 제안했으나 코시치우슈코는 거절했다.[69]

1788년부터 1792년까지 열린 대 세임(4년 의회)은 연방의 국경 방어를 위한 군대 증강 계획을 포함한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를 군 복무 복귀의 기회로 보고 바르샤바에서 시간을 보내며 정치 토론에 참여했다. 그는 미국식 모델을 본뜬 민병대 창설 제안서를 작성하기도 했다.[45][70] 군대 증강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커지고 코시치우슈코의 정치적 동맹자들이 영향력을 얻으면서, 그는 다시 임관을 신청했고 1789년 10월 12일 소장으로 임명되었다.[45][71]

그는 연간 1.2만폴란드 즈워티의 봉급을 받게 되어 재정적 어려움에서 벗어났다. 1790년 2월 1일 브워츠와베크에서 임무를 시작했으며, 같은 해 여름에는 부크강과 비스툴라강 사이 지역에서 보병 및 기병 부대를 지휘했다. 8월에는 볼히니아로 배치되어 스타로콘스탄티노프와 미엔지보르제 근처에 주둔했다.[45] 국왕의 조카인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공은 코시치우슈코의 경험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부관으로 삼고, 자리를 비울 때 지휘권을 맡겼다.[72]

한편, 코시치우슈코는 휴고 코와타이, 율리안 우르신 님체비치 등 정치 개혁가들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73] 그는 농민과 유대인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쟁 발발 시 그들이 국가 방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74] 애국당을 중심으로 한 개혁 세력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통과시키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 헌법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했지만, 군주제를 유지하고 농민과 유대인 등 소외 계층의 상황 개선에 미흡하다는 점에는 실망감을 표했다.[75]

그러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은 주변 강대국들의 경계심을 자극했다. 헌법 채택 1년 후인 1792년 5월 14일, 보수적인 귀족들은 타르고비차 연맹을 결성하고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 여제에게 헌법 폐지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나흘 뒤인 1792년 5월 18일, 10만 명의 러시아군이 폴란드 국경을 넘어 바르샤바를 향해 진격하면서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이 시작되었다.[76]

4. 3.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



1788년부터 1792년까지 열린 대 세임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국경 방어를 위한 군대 증강 계획을 포함한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를 군 복무 복귀의 기회로 여겼고, 바르샤바에서 정치 토론에 참여하며 미국식 민병대 창설 제안서를 작성하기도 했다.[45][70] 군대 증강에 대한 정치적 요구가 커지고 코시치우슈코의 정치적 동맹자들이 국왕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그는 1789년 10월 12일 소장으로 왕실 임명을 받았다.[45][71]

연간 1.2만폴란드 즈워티의 봉급을 받게 되면서 재정적 어려움에서 벗어난 코시치우슈코는[71] 1790년 8월 볼히니아에 배치되어 스타로콘스탄티노프와 미엔지보르제 인근에 주둔했다.[45] 국왕의 조카인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공은 코시치우슈코의 경험을 높이 사 그를 부사령관으로 삼고, 자신이 자리를 비울 때 지휘권을 맡겼다.[72]

이 시기 코시치우슈코는 휴고 코와타이, 율리안 우르신 님체비치 등 정치 개혁가들과 더욱 가까워졌다.[73] 그는 농민과 유대인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쟁 발발 시 그들이 폴란드 방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74] 애국당 중심의 개혁 세력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통과시키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코시치우슈코는 이 헌법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단계로 평가했지만, 군주제를 유지하고 농민과 유대인 등 소외 계층의 상황 개선에 미흡하다는 점에는 실망감을 나타냈다.[75]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개혁은 주변 강대국들에게 자국 영향력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헌법 채택 1년 후인 1792년 5월 14일, 보수적인 귀족들은 타르고비차 연맹을 결성하고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 여제에게 헌법 폐지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나흘 뒤인 1792년 5월 18일, 10만 명의 러시아군이 폴란드 국경을 넘어 바르샤바로 진격하면서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이 시작되었다.[76]

전쟁 중 코시치우슈코는 포니아토프스키 공 휘하에서 활약했으나,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는 결국 러시아에 항복했다. 단 한 번의 전투에서도 패배하지 않았던 코시치우슈코에게 국왕의 항복은 큰 충격이었고, 그는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했다.[79][86]

5. 코시치우슈코 봉기

1793년 프로이센러시아에 의한 제2차 폴란드 분할 이후 폴란드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러시아와 프로이센은 폴란드 군대의 해산을 강요하고 바르샤바에서 애국적인 정치인과 군인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88] 이러한 외세의 압제와 조국의 위기 속에서 망명 중이던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는 봉기를 결심하고 1794년 3월 15일 크라쿠프로 향했다.[88]

1794년 3월 24일, 코시치우슈코는 크라쿠프 중앙 광장에서 러시아 점령에 맞선 봉기를 공식 선언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군대의 최고사령관(Naczelnikpol) 직책을 맡아 봉기를 이끌었다.[88][96] 봉기군은 초기 라클라비체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며 폴란드 민중에게 희망을 주었으나,[88] 곧 프로이센까지 개입하면서 수적, 군사적으로 압도적인 외세 연합군에 맞서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했다.[97]

결정적으로 1794년 10월 10일 마체요비체 전투에서 코시치우슈코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러시아군에 포로로 잡히면서 봉기는 지도자를 잃고 급격히 동력을 상실했다.[100] 이후 러시아 군대는 프라가 전투에서 바르샤바 시민들을 잔혹하게 학살하며 봉기를 완전히 진압했다.[101] 코시치우슈코 봉기의 실패는 1795년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3국에 의한 제3차 폴란드 분할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고, 이로써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지도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이후 123년간 주권을 상실하게 되었다.[102]

5. 1. 봉기 준비와 발발



국왕의 항복은 단 한 번의 전투도 패하지 않았던 코시치우슈코에게 큰 충격이었다. 그는 1792년 9월 중순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10월 초 바르샤바를 떠났다. 그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시에니아와에 있는 차르토리스키 가문의 영지로 갔는데, 그곳에는 불만을 품은 많은 이들이 모여 있었다. 11월 중순에는 르비우에서 2주를 보냈고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의 존재만으로도 유명 지휘관을 보려는 군중이 모여들었다. 이자벨라 차르토리스카는 그와 자신의 딸 조피아의 결혼을 논의하기도 했다.[79][86] 당시 러시아는 코시치우슈코가 러시아 통제 하의 영토로 돌아오면 체포할 계획이었고, 오스트리아는 르비우를 점령한 상태에서 그에게 오스트리아 군 복무를 제안했으나 그는 거절했다.[87] 오스트리아는 그를 추방하려 했지만, 그는 그 전에 르비우를 떠났다. 그는 자모시치에 있는 자모이스키 영지에 들러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치를 만난 후 푸와비로 향했다.[79][87]

코시치우슈코는 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았다. 12월 12-13일에는 크라쿠프에, 17일에는 브로츠와프에 있었고, 곧 라이프치히에 정착했다. 라이프치히에는 많은 폴란드 군인과 정치인들이 망명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다.[79] 코시치우슈코는 다른 이들과 함께 폴란드에서 러시아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를 계획하기 시작했다.[88] 이그나치 포토츠키와 휴고 코워타이를 중심으로 한 정치인들은 폴란드 내 반대 세력과 접촉을 시도했고, 1793년 봄에는 이그나치 지알린스키 등 다른 정치인과 혁명가들이 합류했다. 코워타이 등은 코시치우슈코 합류 전부터 봉기를 계획했지만, 폴란드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였던 그의 지지는 큰 힘이 되었다.[89]

1793년 1월, 코시치우슈코는 파리로 가서 계획된 봉기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을 얻으려 했다. 그는 여름까지 머물렀지만,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약속 없이 말뿐인 지지만 제공했다.[88] 코시치우슈코는 프랑스 당국이 자국의 이익 외에는 폴란드에 큰 관심이 없다고 판단했으며, 프랑스 혁명 내부의 파벌 다툼과 심화되는 공포 정치에 실망감을 느꼈다.[90]

1793년 1월 23일,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제2차 폴란드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6월에 강압적으로 소집된 그로드노 세임은 이 분할을 비준하고 1791년 5월 3일 헌법을 폐지해야 했다.[91][92] 제2차 분할로 폴란드는 약 200000km2의 작은 나라로 축소되었고 인구는 약 400만 명으로 줄었다.[93][91] 이는 타르고비차 연맹에게 큰 충격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귀족의 특권을 지킨다고 생각했지만, 러시아 차르에게 도움을 요청한 결과가 조국을 더욱 약화시키고 축소시킬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92][94]

1793년 8월, 코시치우슈코는 세 분할 강대국에 맞선 봉기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지만, 라이프치히로 돌아와 가능한 한 빨리 봉기를 시작하라는 요구를 받았다.[95] 9월에는 폴란드 국경을 몰래 넘어 직접 상황을 살피고, 폴란드 잔여군 내에서 유제프 보지츠키 장군 등 동조하는 고위 장교들을 만났다. 준비가 더디게 진행되자 그는 1794년 2월에 돌아올 계획으로 이탈리아로 떠났다. 그러나 폴란드 상황은 급변했다. 러시아와 프로이센 정부는 폴란드에 군대 해산을 다시 강요했고, 축소된 부대는 러시아 군대에 편입될 예정이었다. 1794년 3월, 차르의 요원들이 바르샤바에서 혁명가들을 적발하고 저명한 폴란드 정치인과 군 지휘관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코시치우슈코는 계획보다 일찍 봉기를 실행할 수밖에 없었고, 1794년 3월 15일 크라쿠프로 출발했다.[88]

마테이코의 ''라클라비체 전투'' 그림. 코시치우슈코와 농민 낫을 든 병사들.


러시아 수비대가 크라쿠프를 떠났다는 소식을 들은 코시치우슈코는 1794년 3월 23일 밤 도시에 들어갔다. 다음 날 아침, 크라쿠프 중앙 광장에서 그는 봉기를 공식 선언했다.[88]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 점령에 맞서 싸우는 폴란드-리투아니아 군대의 최고사령관(''나첼니크'') 칭호를 받았다.[96]

코시치우슈코는 정규군 약 4,000명과 신병 약 2,000명을 모아 총 6,000여 명의 군대를 이끌고 바르샤바로 진격했다.[88] 러시아는 예상보다 빨리 대응 군대를 조직했지만, 코시치우슈코는 1794년 4월 4일 라클라비체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 전투에서 그는 농민 지원병(낫을 든 병사)의 보병 돌격을 직접 지휘하여 전세를 뒤집었다. 그러나 이 승리는 전략적으로 큰 의미는 없었고, 러시아군은 곧 코시치우슈코를 크라쿠프로 후퇴시켰다. 포와니에츠 근처에서 그는 증원군을 받고 다른 봉기 지도자들(코웡타이, 포토츠키)과 만났다. 이곳에서 그는 봉기의 주요 정치 선언인 포와니에츠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농노에게 시민의 권리가 있으며 그들의 노동 의무(부역)를 줄여준다고 명시했다.[97] 한편, 러시아는 코시치우슈코의 생포에 현상금을 내걸었다.[98]

1794년 6월, 프로이센이 러시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고, 6월 6일 코시치우슈코는 슈체코치니 전투에서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에게 패배했다.[97] 6월 말부터 몇 주 동안 그는 봉기군이 통제하던 바르샤바를 방어했다. 6월 28일, 바르샤바의 봉기군 일부가 폭도로 변해 이그나치 마살스키 주교 등 6명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어제 바르샤바에서 일어난 일은 내 마음을 쓴맛과 슬픔으로 채웠다"고 쓰며 이를 공개적으로 질책했고, 더 이상의 사적 처형(린치)을 막는 데 성공했다.[99]

9월 6일 아침, 대폴란드에서 진행 중이던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프로이센 군대가 철수하면서 바르샤바 포위전은 해제되었다. 그러나 10월 10일, 코시치우슈코는 새로운 러시아 공세에 맞서 싸우던 중 마체요비체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러시아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 투옥되었다.[100] 코시치우슈코의 체포 직후 봉기는 사실상 끝났고, 프라가 전투에서 러시아 군대가 바르샤바 주민 약 20,000명을 학살하면서[101] 완전히 진압되었다. 이어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인해 주권 국가로서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이후 123년 동안 지도상에서 사라지게 되었다.[102]

5. 2. 주요 전투와 좌절



1792년 폴란드-러시아 전쟁에서 국왕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타르고비차 연맹에 항복한 것은, 전쟁 중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던 코시치우슈코에게 큰 충격이었다. 1792년 9월 중순, 그는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10월 초 바르샤바를 나섰다. 먼저 동쪽으로 시에니아와에 있는 차르토리스키 가문의 영지로 향했는데, 그곳에는 불만을 품은 여러 인물들이 모여 있었다. 11월 중순에는 르비우에서 2주를 보내며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전쟁 영웅으로서 그의 존재는 많은 군중을 끌어모았고, 이자벨라 차르토리스카는 그와 자신의 딸 조피아 차르토리스카와의 결혼을 논의하기도 했다.[79][86] 러시아는 그가 러시아 통제 하의 영토로 돌아오면 체포할 계획이었고, 르비우를 점령한 오스트리아는 그에게 오스트리아 군 복무를 제안했으나 그는 거절했다.[87] 오스트리아는 그를 추방하려 했지만, 그는 그 전에 르비우를 떠났다. 그는 자모시치의 자모이스키 가문 영지에 들러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치를 만난 후 푸와비로 이동했다.[79][87]

코시치우슈코는 푸와비에 오래 머물지 않았다. 12월 12-13일에는 크라쿠프에, 17일에는 브로츠와프에 있었으며, 곧 라이프치히에 정착했다. 라이프치히에는 많은 폴란드 군인과 정치인들이 망명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다.[79] 그곳에서 코시치우슈코와 다른 망명자들은 폴란드 내 러시아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를 계획하기 시작했다.[88] 이그나치 포토츠키와 휴고 코웡타이를 중심으로 한 정치인들은 폴란드 내 반대 세력과 접촉했고, 1793년 봄에는 이그나치 지알린스키 등 다른 정치인과 혁명가들이 합류했다. 코웡타이 등은 코시치우슈코 합류 전부터 봉기를 계획했지만, 폴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 중 하나였던 그의 지지는 큰 힘이 되었다.[89]

1793년 1월, 코시치우슈코는 파리로 가서 계획된 봉기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을 얻으려 했다. 그는 여름까지 머물렀지만, 프랑스 혁명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었음에도 프랑스는 구체적인 약속 없이 말로만 지원을 표명했다.[88] 코시치우슈코는 프랑스가 자국의 이익 외에는 폴란드 문제에 큰 관심이 없다고 판단했고, 프랑스 혁명 내부의 파벌 싸움과 심화되는 공포 정치에 실망했다.[90]

1793년 1월 23일,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제2차 폴란드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6월 강압적으로 소집된 그로드노 세임은 이 분할을 비준하고 1791년 5월 3일 헌법을 폐지해야 했다.[91][92] 제2차 분할로 폴란드는 약 20만km2의 작은 나라로 전락했고, 인구는 약 400만 명으로 줄었다.[93][91] 이는 자신들이 귀족의 특권을 옹호한다고 생각하며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했던 타르고비차 연맹에게 큰 충격이었다. 그들의 행동이 오히려 조국을 더욱 약화시키고 축소시킬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다.[92][94]

1793년 8월, 코시치우슈코는 세 분할 강대국에 맞선 봉기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면서도 라이프치히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그는 가능한 한 빨리 봉기를 시작하라는 요구를 받았다.[95] 9월에는 폴란드 국경을 몰래 넘어 직접 상황을 살피고, 유제프 보지츠키 장군 등 폴란드 잔류군 내 동조 세력을 만났다. 준비는 더디게 진행되었고, 그는 이탈리아로 떠났다가 1794년 2월에 돌아올 계획이었다. 그러나 폴란드 상황은 급변했다. 러시아와 프로이센 정부는 폴란드에 군대 해산을 강요했고, 축소된 부대는 러시아 군대에 편입될 예정이었다. 3월에는 러시아 요원들이 바르샤바에서 혁명가들을 적발하고 주요 폴란드 정치인과 군 지휘관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 코시치우슈코는 계획보다 앞당겨 봉기를 실행할 수밖에 없었고, 1794년 3월 15일 크라쿠프로 출발했다.[88]

러시아 수비대가 크라쿠프를 떠났다는 소식을 들은 코시치우슈코는 1794년 3월 23일 밤 도시에 입성했다. 다음 날 아침, 크라쿠프 중앙 광장에서 그는 봉기를 공식 선언했다.[88]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 점령에 맞서 싸우는 폴란드-리투아니아 군대의 최고사령관(Naczelnikpol) 칭호를 받았다.[96]

코시치우슈코는 정규군 4,000명과 신병 2,000명을 포함한 약 6,000명의 병력을 모아 바르샤바로 진격했다.[88] 러시아는 예상보다 빨리 대응군을 조직했지만, 코시치우슈코는 1794년 4월 4일 라클라비체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 전투에서 그는 농민 지원병(코시니에시, kosynierzypol)의 보병 돌격을 직접 지휘하여 전세를 뒤집었다. 그러나 이 승리는 전략적으로 큰 의미는 없었고, 러시아군은 곧 코시치우슈코를 크라쿠프로 후퇴시켰다. 포와니에츠 근처에서 그는 증원군을 받고 다른 봉기 지도자들(코웡타이, 포토츠키)과 만났으며, 봉기의 주요 정치 선언인 포와니에츠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농노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그들의 노동 의무(부역)를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97] 한편, 러시아는 코시치우슈코의 생사 여부에 관계없이 그를 잡아오는 데 현상금을 걸었다.[98]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의 권한 하에 1794년에 처음으로 즐로티 지폐를 발행했다.

6월까지 프로이센은 러시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고, 1794년 6월 6일 코시치우슈코는 슈체코치니 전투에서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에게 패배했다.[97] 6월 말부터 몇 주 동안 그는 봉기군이 통제하던 바르샤바를 방어했다. 6월 28일, 바르샤바의 봉기군 일부가 폭도로 변해 이그나치 야쿠프 마살스키 주교 등 6명을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코시치우슈코는 "어제 바르샤바에서 일어난 일은 내 마음을 쓴맛과 슬픔으로 채웠다"고 쓰며 이를 공개적으로 질책했고, 더 이상의 사적 제재(린치)를 막는 데 성공했다.[99]

9월 6일 아침, 대폴란드 지역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프로이센 군대가 철수하면서 바르샤바 포위전은 해제되었다. 그러나 10월 10일, 새로운 러시아 공세에 맞서 돌격하던 코시치우슈코는 마체요비체 전투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고 러시아군에 생포되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 투옥되었다.[100] 코시치우슈코의 패배와 체포는 봉기의 구심점을 무너뜨렸고, 얼마 지나지 않아 봉기는 프라가 전투로 사실상 종결되었다. 이 전투에서 러시아 군대는 바르샤바 주민 약 20,000명을 학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01] 봉기 실패 이후 감행된 제3차 폴란드 분할로 인해 주권 국가로서의 폴란드-리투아니아는 이후 123년 동안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102]

6. 망명과 죽음

스위스 졸로투른에 있는 코시치우슈코의 마지막 저택. 그는 여기서 사망하였다.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 거대하게 축소된 조국에서 더 이상 살아갈 수 없다고 판단한 코시치우슈코는 스위스로 떠났다. 그는 졸로투른에서 스위스 대사의 동생 프란시스 사비에르 첼트너와 친구가 되어 그의 초대로 첼트너 가족과 함께 머물게 되었다.[117] 졸로투른은 쥐라산맥 기슭에 위치한 도시였다.

코시치우슈코는 첼트너 가족과 함께 살며 가족의 일원처럼 지냈다. 그는 을 타고 역사와 지리 서적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건강이 악화되고 오랜 전쟁 부상으로 고통받던 그는 1817년 10월 15일, 며칠 전 말에서 떨어져 입은 부상 후유증과 열병, 뇌졸중으로 인해 71세의 나이로 졸로투른에서 사망했다.[122]

그의 유해는 폴란드로 반환되어 크라쿠프바벨 대성당 지하 묘지에 안치되었으며,[117][124] 폴란드 국민들은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서 애도했다. 그는 유언을 통해 자신의 미국 내 재산(오하이오 대지 등)을 매각하여 그 돈으로 흑인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교육하는 데 사용하도록 했다. 이 유산의 일부는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학교(코시치우슈코 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104][116]

6. 1. 러시아 감금과 석방

1794년 10월 10일, 마체요비체 전투에서 폴란드군을 이끌고 돌격하던 코시치우슈코는 부상을 입고 러시아군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 러시아 제국에 의해 투옥되었다.[100] 이 패배 직후 코시치우슈코 봉기는 프라가 전투를 끝으로 실패했으며, 러시아 군대는 바르샤바 주민 약 20,000명을 학살했다고 당시 러시아 측 기록은 전한다.[101] 이어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이후 123년 동안 지도상에서 사라졌다.[102]

1796년 11월 17일 예카테리나 2세가 사망하면서 폴란드에 대한 러시아의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100] 어머니 예카테리나를 싫어했던 새 차르 파벨 1세는 11월 28일, 코시치우슈코에게 충성 서약을 받는 조건으로 그를 사면하고 풀어주었다. 파벨 1세는 러시아 감옥에 있는 모든 폴란드 정치범과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된 사람들을 풀어주겠다고 약속했다. 차르는 코시치우슈코에게 12000RUB를 주었지만, 코시치우슈코는 1798년 서약을 철회하면서 이 돈을 돌려주려 했다.[103]

코시치우슈코가 1797년 머물렀던 필라델피아의 집


코시치우슈코는 스웨덴 스톡홀름런던을 거쳐 미국으로 향했다. 1797년 6월 17일 브리스톨을 출발해 8월 18일 필라델피아에 도착했다.[103] 미국 대중은 그를 환영했지만, 연방주의자당이 장악한 미국 정부는 과거 그가 민주공화당과 가까웠다는 이유로 그를 의심하며 경계했다.[103]

1798년 3월, 코시치우슈코는 유럽에서 온 편지들을 받았다. 그중 한 편지의 소식에 충격을 받아, 아직 부상이 낫지 않았음에도 소파에서 벌떡 일어나 도움 없이 방 가운데까지 걸어가 앤서니 월턴 화이트 장군에게 "나는 즉시 유럽으로 돌아가야 합니다!"라고 외쳤다. 그 편지에는 폴란드 장군 얀 헤네리크 동브로프스키와 폴란드 군인들이 나폴레옹 휘하 프랑스군에서 싸우고 있으며, 코시치우슈코의 여동생이 그의 두 조카를 코시치우슈코의 이름으로 나폴레옹 부대에 보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04] 비슷한 시기, 코시치우슈코는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가 폴란드를 분할했던 프로이센에 맞서는 프랑스의 싸움에 대해 코시치우슈코의 도덕적이고 공개적인 지지를 요청한다는 소식도 들었다.[103]

가족과 조국의 상황은 코시치우슈코를 다시 유럽으로 이끌었다.[104] 그는 즉시 당시 미국 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과 상의했고, 제퍼슨은 그가 가명으로 여권을 받아 프랑스로 비밀리에 떠날 수 있도록 주선해주었다. 코시치우슈코는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 감옥에 있었던 전우 율리안 우르신 니엠체비치나 자신의 하인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들을 위한 돈만 남겨둔 채 떠났다.[105][106]

그의 출국 결정에는 다른 이유도 있었다. 프랑스와의 관계로 인해 외국인 및 반역법에 따라 추방되거나 투옥될 위험이 있었다.[107] 제퍼슨은 XYZ 사건 이후 미국과 프랑스가 전쟁 직전의 상황에 있다고 우려했고, 코시치우슈코를 비공식 특사로 여겼다. 코시치우슈코는 나중에 "제퍼슨은 내가 프랑스와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가장 효과적인 중재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나는 어떤 공식적인 권한 없이 그 임무를 받아들였다"라고 썼다.[108]

6. 2. 유럽에서의 활동과 유언

1798년 3월, 코시치우슈코는 유럽에서 온 편지를 받고 미국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폴란드 장군 얀 헤네리크 동브로프스키와 폴란드 군인들이 나폴레옹 휘하에서 프랑스에서 싸우고 있으며, 그의 여동생이 두 조카를 코시치우슈코의 이름으로 나폴레옹 부대에 보냈다는 소식 때문이었다.[104] 또한 탈레랑이 프로이센에 맞선 프랑스의 투쟁에 대한 그의 지지를 구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었다.[103] 당시 미국 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XYZ 사건 이후 미국과 프랑스가 전쟁 직전에 있다고 우려하며 코시치우슈코를 비공식 특사로 여겼고, 코시치우슈코는 이 임무를 수락했다.[108] 그는 또한 외국인 및 반역법에 따라 추방되거나 투옥될 위험도 피하고자 했다.[107] 제퍼슨의 도움으로 가명 여권을 얻어 비밀리에 프랑스로 떠났다.[105][106]

램지 리처드 레이네이글의 초상화, 1817년


1798년 6월 28일 프랑스 바욘에 도착했으나,[103] 탈레랑의 계획 변경으로 그의 역할은 없어졌다.[103] 코시치우슈코는 프랑스 내 폴란드 망명자들 사이에서 정치적으로 활동하며 1799년 8월 7일 폴란드 공화주의자 협회(Towarzystwo Republikanów Polskichpol)에 가입했다.[103] 그는 프랑스를 위해 조직된 폴란드 군단의 지휘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했다.[103] 1799년 10월과 11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만났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코시치우슈코는 나폴레옹의 독재적 야망을 비판하며 그를 "프랑스 공화국의 장의사"라고 불렀고,[103] 나폴레옹은 코시치우슈코를 폴란드에서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하는 "바보"로 여겼다.[117] 코시치우슈코는 나폴레옹이 폴란드를 지속 가능한 형태로 회복시킬 의지가 없다고 판단했으며,[118] 1807년 나폴레옹이 세운 바르샤바 공국을 단지 편의상의 조치로 간주했다.[119] 이 때문에 그는 바르샤바 공국으로 이주하거나 공국 군대에 합류하지 않았다.[117] 1807년부터는 라 제네브레이 근처의 베르빌 성에 정착하여 정치와 거리를 두었다.[103]
나폴레옹 몰락 이후와 말년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코시치우슈코는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1세파리와 브라우나우 암 인에서 만났다.[117] 알렉산드르 1세는 코시치우슈코가 폴란드로 돌아와 러시아의 영향력 하에 새로운 폴란드 국가(콩그레스 폴란드) 창설을 돕기를 바랐다. 코시치우슈코는 사회 개혁과 함께 동쪽으로 다우가바와 드네프르강까지 이르는 영토 회복을 요구했다.[117] 그러나 빈 회의의 결과로 만들어질 폴란드 왕국이 이전의 바르샤바 공국보다 더 작다는 것을 알게 되자, 그는 이를 "농담"이라고 비판하며 실망감을 표했다.[120]

1817년 4월 2일,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에 있는 자신의 사유지에서 농노를 해방시키려 했으나,[117] 차르 알렉산드르 1세는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121] 건강이 악화되고 오랜 전쟁 부상으로 고통받던 그는 스위스 졸로투른에 머물렀다. 1817년 10월 15일, 며칠 전 말에서 떨어져 입은 부상 후유증과 열병, 뇌졸중으로 인해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2]
유언유언

프랑스로 떠나기 전, 코시치우슈코는 미지급된 급여를 정리하고 유언장을 작성하여 친구이자 당시 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에게 집행을 맡겼다.[103][105] 제퍼슨은 코시치우슈코를 "내가 아는 사람 중 가장 순수한 자유의 아들"이라고 평가할 정도로[109] 두 사람은 가까운 사이였다. 유언장에서 코시치우슈코는 자신의 미국 내 재산을 매각하여 그 돈으로 흑인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그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사용하도록 명시했다. 여기에는 제퍼슨 소유의 노예들도 포함될 수 있었다.[110][111]

그러나 코시치우슈코가 사망한 후, 제퍼슨은 고령(당시 77세)[112]과 유언 집행의 법적 복잡성을 이유로 집행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문제는 1856년까지 법원에서 해결되지 못했다.[113] 제퍼슨이 추천한 다른 친구 존 하트웰 코크 역시 집행을 거절했다.[112] 코시치우슈코의 미국 재산 관련 소송은 미국 대법원에 세 번이나 올라갔으며, 그가 총 네 개의 유언장을 남겼고 그중 세 개가 미국 유언장보다 나중에 작성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4]

결국, 코시치우슈코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해방과 교육을 위해 남긴 미국 내 재산은 그의 원래 의도대로 사용되지 못했다.[115] 하지만 그의 유산 일부는 1826년 뉴저지주 뉴어크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 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 '코시치우슈코 학교'로 명명되었다.[104][116]

6. 3. 죽음과 유산



말년에 코시치우슈코는 더 이상 축소된 조국에서 살아갈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위스로 향했다. 그는 졸로투른에서 스위스 대사의 동생인 프란시스 사비에르 첼트너와 친구가 되었고, 그의 초대로 첼트너 가족과 함께 머물게 되었다.[117] 그는 첼트너 가족과 함께 살며 을 타고 역사와 지리 서적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건강이 악화되고 오래된 상처로 고통받던 중, 1817년 10월 15일, 코시치우슈코는 며칠 전 말에서 떨어져 열병을 앓고 뇌졸중을 겪은 후 71세의 나이로 졸로투른에서 사망했다.[122] 그의 첫 장례식은 1817년 10월 19일 졸로투른의 옛 예수회 교회에서 거행되었다.[117][123]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분할된 폴란드 전역에서 추모 미사와 행사가 열렸다.[124]

방부 처리된 그의 시신은 졸로투른 교회 지하 묘지에 안치되었다가, 1818년 폴란드 크라쿠프로 옮겨져 4월 11일 성 플로리안 교회에 도착했다.[124] 이후 1818년 6월 22일[124](또는 1819년 6월 23일[117]) 지그문드 종의 타종과 대포 발사 속에서 폴란드 왕들과 민족 영웅들이 잠든 바벨 대성당 지하 묘지에 안치되었다.[117][124]

바벨 대성당에 있는 코시치우슈코의 석관


방부 처리 과정에서 제거된 코시치우슈코의 내부 장기는 졸로투른 근처 주흐빌의 묘지에 별도로 안치되었으며, 1820년에는 그곳에 폴란드 기념 예배당과 함께 큰 기념비가 세워졌다. 그러나 그의 심장은 다른 장기와 함께 묻히지 않고, 스위스 라퍼스빌의 폴란드 박물관에 항아리에 담겨 보관되었다.[117][124] 이 심장은 1927년 박물관 소장품과 함께 바르샤바로 옮겨져 현재 바르샤바 왕궁의 예배당에 안치되어 있다.[117][124]

코시치우슈코의 심장이 담긴 항아리
코시치우슈코의 심장, 바르샤바 왕궁


코시치우슈코는 프랑스로 떠나기 전, 토머스 제퍼슨을 집행인으로 지정하여 유언장을 작성했다.[103][105] 그는 제퍼슨과 1797년경부터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제퍼슨은 코시치우슈코를 "내가 아는 사람 중 가장 순수한 자유의 아들"이라고 칭했다.[109] 유언장에서 코시치우슈코는 자신의 미국 내 재산을 매각하여 그 돈으로 흑인 노예들(제퍼슨 소유의 노예 포함)을 해방시키고, 그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사용하도록 명시했다.[110][111]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진보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코시치우슈코 사후, 77세의 제퍼슨은 고령[112]과 유증의 법적 복잡성을 이유로 집행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고 밝혔고, 유언은 1856년까지 법적 분쟁에 휘말렸다.[113] 코시치우슈코가 작성한 네 개의 유언장 중 세 개가 미국 유언장보다 나중에 작성된 점도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114] 이 문제는 미국 대법원에 세 번이나 회부되었다. 결국 코시치우슈코가 아프리카계 미국인해방과 교육을 위해 지정한 미국 내 재산은 원래의 목적대로 사용되지 못했다.[115] 다만, 이 유산의 일부는 1826년 뉴저지주 뉴어크에 그의 이름을 딴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육 기관(코시치우슈코 학교)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104][116]

미국 워싱턴 D.C. 라파예트 공원에 있는 코시치우슈코 동상.


벨라루스 미라초우슈치나에 있는 코시치우슈코 기념비.


코시치우슈코는 폴란드, 미국, 벨라루스, 리투아니아에서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폴란드 역사가 스타니스와프 헤르스트는 그가 폴란드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폴란드인 중 한 명일 것이라고 평가했다.[117]

그를 기리는 기념물은 전 세계에 세워졌다. 대표적으로 1820년부터 1823년까지 남녀노소가 그가 싸웠던 전장의 흙을 가져와 쌓아 올린 크라쿠프의 코시치우슈코 언덕이 있다.[117][125][126] 그의 이름을 딴 다리로는 뉴욕시의 코시치우슈코 다리(1939년 건설, 2017-2019년 신규 교체)[127][129][130]와 뉴욕주 북부의 타데우스 코시치우슈코 다리(1959년)[128]가 있다. 2022년에는 뉴욕 코시치우슈코 다리에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 명판 7개가 설치되었다.[131]

그가 1796년에 머물렀던 필라델피아의 저택은 현재 타데우스 코시치우슈코 국립 기념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132] 마지막 거주지였던 스위스 졸로투른에는 코시치우슈코 박물관이 있다.[133] 1925년에는 뉴욕에 폴란드계 미국인 문화 기관인 코시치우슈코 재단이 설립되었다.[134]

군사 분야에서도 그의 이름은 기려져, 폴란드 공군의 여러 부대가 "코시치우슈코 비행대"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폴란드 해군 함선과 제1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보병 사단이 그의 이름을 땄다.[135]

코시치우슈코는 문학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스코틀랜드 작가 제인 포터의 역사 소설 ''바르샤바의 타데우스''는 큰 인기를 끌었으며,[136][137] 폴란드에서는 오페라, 희곡, 소설 등 다양한 작품이 창작되었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존 키츠 등 외국 작가들의 작품에도 등장한다.[135]

1933년 미국 우체국은 워싱턴 D.C. 라파예트 광장의 코시치우슈코 동상을 도안으로 한 기념 우표를 발행했으며, 폴란드에서도 그를 기리는 우표가 여러 차례 발행되었다.[138] 그의 동상은 폴란드의 크라쿠프, 우치[117]를 비롯하여 미국의 보스턴,[140] 웨스트포인트,[140] 필라델피아,[140] 디트로이트,[141] 워싱턴 D.C.,[117] 시카고,[117] 밀워키,[117] 클리블랜드[117] 등 여러 도시에 세워져 있다. 스위스 졸로투른[117]과 벨라루스 민스크[143]에도 동상이 있다. 얀 마테이코, 얀 스티카, 보이치에흐 코사크 등 많은 화가들이 그를 그림의 주제로 삼았으며, 특히 스티카와 코사크는 라클라비체 전투 100주년을 기념하여 거대한 파노라마 그림 ''라클라비체 파노라마''를 제작했다.[117] 2023년에는 웨스트포인트 동상 개조 중 기단에서 약 약 28.32L3 크기의 봉인된 납 상자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1828년 또는 1913년에 제작된 타임캡슐로 추정된다.[144][145][146]

그의 이름을 딴 지명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최고봉인 코시치우슈코 산과 그 산이 위치한 코시치우슈코 국립 공원, 알래스카의 코시치우슈코 섬, 인디애나주의 코시치우슈코 카운티 등이 있다.[117]

코시치우슈코에 대한 전기는 그의 부관이었던 율리안 우르신 니엠체비츠가 1820년에 처음 출판했으며,[147] 영어권에서는 모니카 메리 가드너(1920)와 알렉스 스토로진스키(2009)의 전기가 있다.[148]

7. 일화

코시치우슈코의 친구였던 토머스 제퍼슨은 "코시치우슈코의 덕의 결백함, 그의 마음의 친절함, 그리고 자유라는 대의에 대한 그의 진실한 헌신"에 감탄한다고 기록했다.

프랑스의 로슈포코 리앙쿠르 백작은 자신의 개인 일기에 폴란드의 영웅 코시치우슈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자유에 이보다 더 친구다운 마음을 가졌거나, 덕과 재능 면에서 더 감탄할 만한 이는 없다. 승진, 감정, 위세, 유쾌함, 무력(武力), 선함, 존경과 경의를 모두 지배하는 힘이 이 축제적이고 재미있는 남자에게 집중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참조

[1] Youtube President Komorowski Honors Kosciuszko at West Point iE11CaYUdpw
[2] 문서 Bumblauskas, 1994
[3] 웹사이트 Kościuszko Museum - The Kościuszko Museum has existed in Solothurn (Switzerland) at Gurzelngasse 12 since 1936. The Polish national hero Tadeusz Kościuszko lived and died in this house. https://www.solothur[...] A museum dedicated to the Polish military hero Tadeusz Kościuszko. 2022-06-06
[4] 서적 The Polish Americans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1997
[5] 서적 Thaddeus Kos ́ciuszko: Polish General and Patrio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2
[6] 웹사이트 2015 Programs and Events | Minsk, Belarus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http://minsk.usembas[...] 2015-11-17
[7] 서적 Memorial Exhibition Thaddeus Kosciuszko, Revered Polish and American Hero, His Patriotism, Vision, and Zeal Revealed in a Collection of Autograph Letters by Him: As Well in a Collection of Autograph Letters about Him by Prominent Lead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and Other, Also Oil Painting, Medals, Engravings, Books, Broadsides and Other Relics Being the Collection Formed by Dr.&Mrs. Alexander Kahanowicz : Exhibition from Sunday, May Fifteenth to June Eleventh, The Anderson Galleries [...], New York https://books.google[...] Anderson Galleries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27
[8] 문서 Уладзімер Арлоў «Імёны Свабоды» (Uladzimer Arloǔ "The Names of Freedom") https://docs.rferl.o[...]
[9] 논문 The American Will of Thaddeus Kosciuszko https://www.jstor.or[...] 1977
[10] 문서 Institute of World Politics, 2009
[11] 문서 Herbst, 1969
[12] 문서 Szyndler, 1994
[13] 문서 Storozynski, 2009
[14] 문서 Herbst, 1969
[15] 문서 Szyndler, 1991
[16] 문서 Storozynski, 2011
[17] 문서 Szyndler, 1991
[18] 문서 Krol, 2005
[19] 문서 Gardner, 1920
[20] 문서 Kajencki, 1998
[21] 문서 Cizauskas 1986
[22] 문서 Korzon, 1894
[23] 문서 ''Новости'' [''Novosti''], 2009
[24] 문서 100 Great Aristocrats
[25] 문서 Storozynski, 2011
[26] 웹사이트 Oczywista Nieoczywistość- jedna macierz, wiele nacji… - Jaworzno - Portal Społecznościowy - jaw.pl https://jaw.pl/2021/[...] 2021-05-15
[27] 웹사이트 Tadas Kosciuška http://www.xn--altin[...] 2023-10-02
[28] 문서 Storozynski, 2011
[29] 문서 Gardner, 1942
[30] 문서 Storozynski, 2009
[31] 문서 NPS, 2009
[32] 문서 Storozynski, 2011
[33] 문서 Makowski, 2013
[34] 문서 Storozynski, 2011
[35] 웹사이트 The Polish Patriot Who Helped Americans Beat the British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17-03-08
[36] 뉴스 Colimore
[37] 서적 Storozynski, 2011
[38] 서적 Storozynski, 2011
[39] 서적 Storozynski, 2011
[40] 서적 Afflerbach, 2012
[41] 서적 Storozynski, 2011
[42] 간행물 Anderton, 2002
[43] 서적 Storozynski, 2011
[44] 간행물 U.S.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2
[45] 서적 Herbst, 1969
[46] 서적 Storozynski, 2011
[47] 서적 Storozynski, 2011
[48] 서적 Storozynski, 2011
[49] 서적 Palmer, 1976
[50] 서적 Storozynski, 2011
[51] 서적 Storozynski, 2011
[52] 서적 Storozynski, 2011
[53] 서적 Storozynski, 2011
[54] 서적 Storozynski, 2011
[55] 서적 Storozynski, 2011
[56] 서적 Kajencki, 1998
[57] 서적 Storozynski, 2011
[58] 서적 Storozynski, 2011
[59] 서적 Storozynski, 2011
[60] 서적 Storozynski, 2011
[61] 서적 Storozynski, 2009
[62] 서적 Storozynski, 2011
[63] 서적 Storozynski, 2011
[64] 서적 Gardner, 1920
[6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0-12-14
[66] 서적 Lengel, 2017
[67] 서적 Storozynski, 2011
[68] 서적 Storozynski, 2011
[69] 서적 Storozynski, 2011
[70] 서적 Storozynski, 2011
[71] 서적 Listy Kościuszki 1790-02-07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문서 Sulkin, 1944
[107] 문서 Nash, Hodges, Russell, 2012
[108] 문서 Alexander, 1968
[109] 문서 Jefferson Foundation: T. Kosciuszko
[110]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Will of Tadeusz Kosciuszko, 5 May 1798 https://founders.arc[...]
[111] 문서 Sulkin. 1944
[112] 문서 Storozynski, 2009
[113] 문서 Nash, Hodges, Russell, 2012
[114] 문서 Yiannopoulos, 1958
[115] 문서 Storozynski, 2009
[116] 문서 Nash, Hodges, Russell, 2012
[117] 문서 Herbst, 1969
[118] 문서 Davies, 2005
[119] 문서 Davies, 2005
[120] 문서 Feliks
[121] 문서 Cizauskas, 1986
[122] 문서 Storozynski, 2011
[123] 문서 Szyndler, 1991
[124] 문서 Kościuszko Mound
[125] 문서 Nash, Hodges, Russell, 2012
[126] 웹사이트 Kościuszko's Mound – European Romanticisms in Association http://www.euromanti[...] 2020-06-19
[127] 문서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28] 문서 Capital Highways
[129] 웹사이트 First Span Of New Kosciuszko Bridge Open To Traffic http://newyork.cbslo[...] 2017-04-28
[130] 뉴스 How Do You Pronounce Kosciuszko? It Depends on Where You're From. https://www.nytimes.[...] 2017-04-28
[131] 웹사이트 Będziem Polakami https://bedziempolak[...]
[132] 문서 Kosciuszko National Memorial (.gov)
[133] 문서 Herbst, 1969
[134] 문서 The Kosciuszko Foundation, Mission and History
[135] 문서 Herbst, 1969
[136] 문서 National Identity In Thaddeus of Warsaw
[137] 문서 Looser, 2010
[138] 문서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139] 웹사이트 Pomnik Tadeusza Kościuszki odsłonięty https://warszawa.nas[...] 2022-01-18
[140] 문서 Tadeusz Kościuszko Gallery (Buffalo.edu)
[141] 웹사이트 General Kosciuszko Monument - Ethnic Layers of Detroit http://www.clas.wayn[...]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Wayne State University 2020-07-20
[142] 문서 City of Detroit web site "#Statue"
[143] 문서 Nash, Hodges, Russell, 2012 "#Nash2012"
[144] 뉴스 Ten-Hut Time Machine? West Point to Open Time Capsule Possibly Left by Cadets in the 1820s https://www.military[...] Associated Press/Military.com 2023-08-27
[145] 뉴스 A Muddy Reveal for Mysterious West Point Time Capsule From 1820s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8-28
[146] 뉴스 Coins and Medal Found in Mysterious West Point Time Capsule from 1820s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8-31
[147] 문서 Martin S. Nowak, essay, 2007 "#Nowak"
[148] 문서 Storozynski, 2009 "#Storozynski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