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틴들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틴들 성경은 16세기 윌리엄 틴들이 라틴어 불가타 성경 등을 참고하여 영어로 번역한 성경으로, 종교 개혁 사상을 영국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틴들은 에라스무스의 그리스어-라틴어 대역 성경을 주요 자료로 사용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교리에 도전하는 번역을 시도했다. 틴들의 번역은 '교회'를 '회중'으로, '사제'를 '장로'로 번역하는 등, 가톨릭 교회의 핵심 교리에 대한 비판적인 주석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었다. 틴들은 이단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그의 성경은 후대 영어 성경 번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 표현과 어휘의 발전에 기여했다. 틴들 성경은 한국 개신교에도 영향을 미쳐 한글 성경 번역의 기반이 되었으며, 한국 사회의 근대화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5년 책 - 노예의지론
    노예의지론은 16세기 에라스뮈스와 루터 간의 논쟁 주제로, 에라스뮈스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한 반면 루터는 인간의 의지가 죄로 인해 타락하여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노예 의지론을 주장하며 종교 개혁 시기 신학적 분열을 심화시키고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25년 기독교 - 노예의지론
    노예의지론은 16세기 에라스뮈스와 루터 간의 논쟁 주제로, 에라스뮈스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한 반면 루터는 인간의 의지가 죄로 인해 타락하여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노예 의지론을 주장하며 종교 개혁 시기 신학적 분열을 심화시키고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25년 문서 - 12개조
    12개조는 16세기 독일 농민 전쟁 당시 농민들이 봉건 영주들의 억압에 저항하며 종교적,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요구한 문서로, 이후 미국 독립 선언과 프랑스 혁명에 영향을 미쳤다.
  • 1525년 문서 - 노예의지론
    노예의지론은 16세기 에라스뮈스와 루터 간의 논쟁 주제로, 에라스뮈스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한 반면 루터는 인간의 의지가 죄로 인해 타락하여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노예 의지론을 주장하며 종교 개혁 시기 신학적 분열을 심화시키고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틴들 성경
성경 번역 정보
제목틴들 성경
윌리엄 틴들의 신약성경 1526년판 사본의 요한복음 시작 부분 (영국 도서관 소장)
윌리엄 틴들의 신약성경 1526년판 사본의 요한복음 시작 부분 (William Tyndale신약성경), 영국 도서관 소장.
약칭TYN
번역 유형형식적 일치
출판 정보
신약 출판1526년
개정1534년, 1535년
성경 구절 예시
창세기 1:1-3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공허하고 비어 있으며 어둠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물 위에 움직이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더라.
요한복음 3: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그의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관련 정보
연대기원후 1522년–1535년 경
윌리엄 틴들 생몰년기원후 1494년–1536년 경

2. 역사적 배경

틴들 성경의 역사는 1522년 윌리엄 틴들마르틴 루터의 독일어 신약 성경을 접하면서 시작되었다. 틴들은 에라스무스가 편집한 그리스어-라틴어 대역 신약 성경인 노붐 인스트루멘툼 옴네를 주요 자료로 삼아 영어 번역에 착수했다.[2]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는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나, 필사 과정에서 여러 오류가 누적된 상태였다. 틴들은 에라스무스의 협력자인 런던 주교 커버트 턴스톨에게 번역 계획을 알리고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결국 틴들은 영국을 떠나 유럽 대륙에서 번역 작업을 이어갔다.[2]

2. 1. 번역 과정

틴들은 1522년 독일어 신약 성경 사본을 입수하면서 영어 성경 번역을 시작했다. 그는 에라스무스가 편집한 주석이 달린 라틴어/그리스어 텍스트를 참고했다.[2] 틴들은 런던 주교 커버트 턴스톨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결국 유럽 대륙으로 건너가 번역 작업을 계속했다.[2]

1525년 쾰른에서 신약 성경 부분 번역본이 인쇄되었지만,[3] 당국의 탄압으로 보름스로 피신해야 했다.[3] 1526년 보름스에서 페터 쇠퍼 더 영거가 신약 성경 완역본을 출판했다. 현재 런던 세인트 폴 대성당,[4] 대영 도서관,[5] 뷔르템베르크 주립 도서관에 세 개의 사본이 남아 있다.[6]

1530년에는 안트베르펜에서 메르텐 데 카이저가 모세 오경 번역본을 출판했다.[7] 이듬해에는 요나서 번역본이, 1534년에는 창세기 개정판이 출판되었다. 틴들은 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기 등 구약 성경의 다른 부분도 번역했지만, 생전에 출판되지는 못했다.[7] 이 작품들은 틴들 사후 존 로저스에게 넘어갔다.

틴들은 신약 성경 번역을 위해 에라스무스의 주석이 달린 라틴어/그리스어 신약 성경 세 번째 판(1522년), 공인 본문으로 불리는 그리스어 성경, 루터의 독일어 번역본, 불가타를 참조했다.[7] 모세 오경 번역에는 히브리어 모세 오경, 다어 성경, 칠십인역 등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2. 2. 번역 자료

틴들은 신약 성경을 번역할 때 에라스무스의 주석이 달린 라틴어/그리스어 신약 성경 제3판(1522년)을 참조했는데, 이 그리스어 성경은 종종 공인 본문이라고 불린다. 또한 루터의 독일어 번역본불가타도 참고했다.[7] 일부 학자들은 틴들이 위클리프 성경을 번역 자료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추측하는데, 이는 그의 초기 근대 영어가 르네상스 이전의 중세 영어를 반영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7]

틴들이 모세 오경 번역에 사용한 자료는 확실하지 않다. 학자들은 틴들이 히브리어 모세 오경이나 다어 성경에서 파생된 판본을 사용했으며, 칠십인역을 참조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2. 3. 가톨릭 교회의 반응

틴들의 번역과 논쟁적인 서적들은 영국에서 가톨릭 당국에 의해 비난받고 금지되었다. 특히 당국이 결함이 있다고 여긴 1526년 초판 신약성경의 거의 모든 사본은 커스버트 턴스톨 주교에 의해 구매되어 소각되었다. 토마스 모어는 틴들이 반성직주의와 이단적 견해를 조장하기 위해 고대 텍스트를 의도적으로 잘못 번역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교회", "사제", "참회하다", "자선" 등의 용어 번역이 문제가 되었는데, 틴들은 이 단어들을 "회중", "장로"(1534년 개정판에서 "장로"로 변경), "회개", "사랑"으로 번역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핵심 교리에 도전했다.

2. 4. 체포와 처형

1535년, 틴들은 플랑드르(브라반트)에서 한 영국인에게 배신당해 현지 당국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가톨릭 신학자 야코부스 라토무스와 틴들은 1년 반 가까이 개인적인 저술을 통해 서로를 설득하려 했다.[1] 하지만 이는 실패했고, 1536년 틴들은 루터교 옹호 혐의로 이단으로 선언되고 성직을 박탈당했다. 틴들은 교회의 보호를 자발적으로 벗어났기에, 합스부르크 시민 당국은 그를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고 시신을 불태우도록 선고했다.[2] 틴들은 성경을 번역하거나 출판했기 때문이 아니라, 브라반트에서는 범죄가 아니었지만, 가톨릭 국가들이 선동적이거나 평화를 위협한다고 여긴 루터교적 견해를 널리 퍼뜨렸기 때문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1]

2. 5. 잉글랜드의 금지 조치

1543년, 잉글랜드 의회는 헨리 8세의 ''참된 종교 증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틴들의 번역본을 소지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마르틴 루터의 작품을 번역한 틴들의 "서문과 주석"을 잘라내거나 지우도록 했다.[1]

3. 가톨릭 교리에 대한 도전

틴들의 성경 번역본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적인 주석이 포함되어 있었다.[1]

런던 대영 도서관에 있는 틴들 신약성서


틴들은 성경 번역을 통해 당시 가톨릭 교회의 교리에 여러 방식으로 도전했다. 가톨릭 교회는 오랫동안 유일한 참된 교회는 가톨릭 교회라고 선언했으며, '교회'라는 단어는 가톨릭 교회에만 사용될 수 있었다.[1] 당시 영국에는 다른 조직화된 종교가 없었기 때문이다.

틴들은 가톨릭 미사와 그 희생적 본질을 훼손하고, 만인 사제설을 지지했으며, 루터와 같은 개혁가들의 견해를 따라 성사적 참회에 이의를 제기했다.

틴들의 번역은 기독교인의 구원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견해와 달랐다.[9] 가톨릭 교회는 구원이 자선, 믿음, 소망으로 살고 교회의 7성사에 참여함으로써 은총의 상태를 유지하는 신자들에게 주어진다고 믿었다.[9] 반면 틴들은 모든 사람이 성경에 접근하여 직접 읽을 수 있기를 원했으며, 그의 번역과 주석에는 개신교적 믿음이 분명히 드러났다.

틴들 성경이 가톨릭 교회에 제기한 가장 큰 도전은 "쟁기를 모는 소년이 당시 성직자들보다 더 많은 성경을 알게 하려는" 것이었다.[10] (\쟁기 소년 비유 참조). 틴들은 성경 접근과 해석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훼손하려 했으며, 사람과 하나님 사이의 중재자로서 로마 가톨릭 사제는 필요하지 않다고 여겼다.

3. 1. '교회'의 재정의

틴들은 그리스어 'ἐκκλησία|에클레시아grc'를 '교회' 대신 '회중'으로 번역했다.[1] 이는 가톨릭 교회의 위계질서를 부정하고, 모든 신자가 동등하다는 종교개혁 사상을 반영한 것이었다.[1] 당시 가톨릭 교회는 자신들만이 유일한 참된 교회라고 주장했고, '교회'라는 단어는 가톨릭 교회에만 쓸 수 있었다.[1] 그러나 일부 급진 개혁가들은 참된 교회는 '보이지 않는 교회'이며, 참된 기독교인들이 모여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하는 곳이라고 주장했다.[2] 틴들의 번역은 이러한 개혁가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3]

틴들의 '회중' 번역은 평신도성직자가 별개의 계급이라는 가톨릭 교리와 서품 성사 교리에 정면으로 배치되었다.[4] 만약 참된 교회가 일반 신자, 즉 회중으로 정의된다면, 성직자들이 일반 신자와 다른 계급에 속한다는 가톨릭 교회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게 되기 때문이었다.[4]

3. 2. '사제' 직분의 문제

틴들은 그리스어 '프레스비테로스(πρεσβύτερος)'를 '사제' 대신 '장로'로 번역하여, 가톨릭 교회의 사제 직분과 성사의 권위에 도전했다.[4] 가톨릭 교회에서 사제의 역할은 미사에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희생으로 바치고, 축복하고, 다른 종교 의식을 집행하며, 사람들에게 성경을 읽고 설명하며, 다른 성사들을 집행하는 것이었다.[5] 이러한 점에서 사제는 일반 신자들과 구별되었다.[5]

그러나 많은 종교 개혁 운동에서 장로 그룹이 교회를 이끌고 가톨릭 사제를 대신했다.[6] 이 장로들은 일반 신자들과 별개의 계급이 아니었고, 그들 중에서 선택되었다.[6] 많은 개혁가들은 만인 사제설을 믿었는데, 이는 모든 기독교인이 사제이며, 성경을 읽고 해석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6] 틴들의 번역은 가톨릭 성직 권위에 대한 성경적 근거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6]

3. 3. '참회'와 '회개'

틴들은 그리스어 '메타노에이테(μετανοεῖτε)'를 '참회하다' 대신 '회개하다'로 번역하여, 가톨릭 교회의 고해성사 교리에 도전하고 오직 믿음을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4] 이는 성사적 참회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던 루터와 같은 개혁가들의 견해를 뒷받침했다.[4] 틴들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사람이 구원받는다고 믿었다.[8]

틴들의 번역은 회개한 사람이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받은 후에도 여전히 죄에 대해 참회를 해야 한다는 믿음에 도전했다.[9] 틴들의 신약성서 번역본과 다른 개신교 개혁가들에 따르면, 신자는 진실한 마음으로 회개할 수 있으며, 하나님은 어떤 공식적인 보상에 대한 의지 없이 용서하실 것이다.[9]

4. 틴들 성경의 유산

틴들 성경은 영어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 작가에 따르면 틴들은 "셰익스피어존 번연보다 우리 언어를 형성하고 풍요롭게 만든 사람"이라고 한다.

4. 1. 영어에 미친 영향

성경 번역 과정에서 틴들은 영어에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냈으며, 토머스 모어는 이것이 "민간어" 번역에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8] 많은 단어가 이후 킹 제임스 성경에 사용되었다.

개별 단어 외에도, 틴들은 많은 친숙한 구절을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주장되는 많은 표현들은 중세 영어 성경 번역본이나 독일어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오늘날 사람들이 인용하는 많은 인기 있는 구절과 성경 구절은 틴들의 언어로 되어 있다. 그 예로 마태복음 5장 9절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가 있다. "peacemaker(화평하게 하는 자)"와 같은 게르만어 복합어는 틴들 산문의 특징이며, 현대 영어보다 중세 영어 단어 형성 원리를 따른다.

틴들이 만들어낸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 유월절(유대교 명절인 페사흐 또는 페사)
  • 속죄양
  • 속죄
  • 때때로 '하나됨'이라는 단어의 결합으로, 그리스도의 사역을 묘사하여 하나님과 사람들 사이의 좋은 관계, 즉 화해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틴들에게 돌려지기도 한다.[8] 하지만 이 단어는 틴들의 번역 이전에 최소 1513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10]
  • 자비의 보좌
  • 루터의 독일어 ''Gnadenstuhl''의 직역이다.


다음은 틴들 성경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구절들이다.

  • 영원히 살아 있고 지속되는 하나님의 말씀
  • 빛이 있으라
  • 위클리프 1382: ''Liyt be maad''
  • 현 권력자
  • 그 일이 일어났다
  • 시대의 징조
  • 더러운 이득
  • 세상에 맞추어 자신을 만들지 말라
  • 주기도문에서 ''죄''의 사용[7]


다음은 때때로 틴들에게 귀속되지만 매우 유사한 선례를 가진 구절들이다.

  • 눈 깜짝할 사이에
  • ''양심의 가책'' c.1340: ''In þe space of a twynkellyng of ane eghe.''
  • 내 형제를 지키는 자
  • 위클리프 1382: ''the kepere of my brothir''
  • 비판하지 말라, 그리하면 너희도 비판받지 않으리라
  • 불가타: ''Nolite judicare, ut non judicemini''
  • 두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 위클리프 1382: ''knocke ye, and it schal be openyd to you''
  • 찰나의 시간
  • 위클리프 1382: ''a moment of [https://textusreceptusbibles.com/Wycliffe/42/4 tyme]''
  • 찾으라, 그리하면 찾을 것이다
  • 위클리프 1382: ''seke ye, and ye schulen fynde''
  • 구하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어질 것이다
  • 위클리프 1382: ''Axe ye, and it schal be ȝovun to you''
  • 세상의 소금
  • 위클리프 1382: ''salt of the erthe''
  • 그들 스스로의 법
  • 위클리프 1382: ''lawe to hem silf''
  • 심령은 원하지만 육신은 약하다
  • 루터의 마태복음 26:41 번역: ''der Geist ist willig, aber das Fleisch ist schwach''
  • 위클리프 1382: ''for the spirit is redi, but the fleisch is sijk'' (영은 준비되었으나, 육신은 병들었다).
  • 살고, 움직이고, 존재한다
  • 위클리프 1382: ''lyven, and moven, and ben''

4. 2. 후대 영어 성경에 미친 영향

틴들 성경은 이후 영어 성경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539년 대역 성경은 틴들 성경을 상당 부분 차용했으며, 이는 영어 성경 최초의 공인 번역본이었다.[7] 1940년대 개정 표준역 번역자들은 틴들의 번역본(1537년 매튜 성경 포함)이 대역 성경(1539년), 제네바 성경(1560년), 감독 성경(1568년), 두에-랭스 성경(1582~1609년), 킹 제임스 성경(1611년) 번역에 영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다. 특히 킹 제임스 성경에 대해서는 "어떤 출처에서든, 대중의 사용으로 검증된 적절한 표현을 유지했으며, 특히 신약에서 틴들에게 가장 많은 빚을 졌다"고 평가했다.[7]

조안 브리지먼은 ''컨템포러리 리뷰''에서 "틴들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책(킹 제임스 성경)의 번역가로 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권위있는 킹 제임스 성경이 학식 있는 교회 위원회의 작품처럼 보이지만, 대부분 틴들의 번역을 약간 수정하여 베낀 것이다"라고 언급했다.[7] 킹 제임스 성경의 약 90%(틴들이 번역한 부분)가 틴들의 작품에서 가져온 것이며, 텍스트의 3분의 1은 틴들의 표현 그대로 사용되었다고 한다.[7]

그러나 리처드 마스덴과 같은 역사가들은 많은 성경 언어가 단순하여 번역가에게 변형의 여지가 거의 없었고,[7] 틴들 자신이 백지 상태에서부터 작업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7]

이후 개정 표준역, 새 미국 표준 성경, 영어 표준역 등 많은 영어 번역본이 틴들 성경에서 영감을 받았다. 리빙 바이블과 같은 의역본조차도 틴들의 속담 같은 쟁기꾼에게 성경을 이해시키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13]

틴들 성경은 종교 개혁을 꺼렸던 잉글랜드에 종교 개혁 사상을 전파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틴들은 자신의 작품에 마르틴 루터의 주석을 많이 포함시켜,[7] 잉글랜드 사람들이 루터의 사상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했다. 당시 잉글랜드에서는 루터의 작품이 금지되어 있었다.[7] 윌리엄 몰던이 틴들 성경을 읽기 위해 글을 배웠다는 이야기는 틴들 성경 사용에 대한 격렬한 반대를 보여준다.[7]

4. 3. 종교개혁 사상의 전파

틴들 성경은 종교 개혁 운동을 받아들이기를 꺼려했던 잉글랜드에 종교 개혁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틴들은 자신의 번역본에 마르틴 루터의 주석 다수를 포함시켜,[13] 잉글랜드 사람들이 잉글랜드에서 금지되었던 루터의 말과 사상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5. 논란

틴들 성경은 번역 과정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영국 가톨릭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과 지식인들은 틴들이 도입한 일부 단어와 구절에 불만을 표했다. 틴들은 에라스무스를 인용하며, 그리스어 신약성경이 전통적인 해석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특히 논란이 된 것은 틴들이 그리스어 'ekklesia'(εκκλησίαel)를 "교회"가 아닌 "회중"으로 번역한 것이었다.[11] 이는 교회의 위계질서를 약화시키고, 각 회중의 신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틴들은 신약성경에서 páskha|πάσχαgrc를 번역할 때 위클리프의 'pask' 대신 ''ester''를 사용했다. 그러나 구약성경을 번역하면서 ''ester''가 시대착오적임을 깨닫고 ''passover''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토마스 모어는 틴들 성경에서 오류를 찾는 것은 바다에서 물을 찾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고, 틴들의 번역서 ''기독교인의 복종''에는 약 천 개의 잘못된 번역이 있다고 주장했다. 런던의 주교 튜스톨은 틴들의 성경에 2,000개 이상의 오류가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틴들은 자신의 번역이 "성경의 의미와 정신의 의미를 해석"하려는 의도였다고 밝혔다.[12]

틴들은 번역 과정에서 에라스무스의 1522년 그리스어 신약성경을 참고했다. 그는 그리스어 뒤에 히브리어 관용어가 자주 나타난다고 지적했다.[12] 틴들 협회는 틴들의 번역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문에 충실하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틴들의 번역은 라틴어 불가타루터의 1521년 9월 신약성경도 참고했다.

5. 1. 새로운 단어와 구절에 대한 논란

영국 가톨릭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과 지식인들은 틴들이 도입한 일부 단어와 구절에 불만을 표했다. 예를 들어 "감독자"는 "주교"로, "장로"는 "사제"로, "사랑"은 "자선"으로 이해되었다. 틴들은 에라스무스를 인용하며, 그리스어 신약성경이 전통적인 해석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특히 논란이 된 것은 틴들이 그리스어 'ekklesia'(εκκλησίαel)를 "교회"가 아닌 "회중"으로 번역한 것이었다.[11] 이는 "교회가 이 땅에서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 성경적이지 않은 주장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번역은 교회의 위계질서를 약화시키고, 각 회중의 신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틴들은 신약성경에서 páskha|πάσχαgrc를 번역할 때 위클리프의 'pask' 대신 ''ester''를 사용했다. 그러나 구약성경을 번역하면서 ''ester''가 시대착오적임을 깨닫고 ''passover''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이 단어는 이후 성경 번역본들에 채택되어 신약성경에서도 ''ester''를 대체했다.

틴들은 번역 오류로 고발당하기도 했다. 토마스 모어는 틴들 성경에서 오류를 찾는 것은 바다에서 물을 찾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고, 틴들의 번역서 ''기독교인의 복종''에는 약 천 개의 잘못된 번역이 있다고 주장했다. 런던의 주교 튜스톨은 틴들의 성경에 2,000개 이상의 오류가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틴들은 자신의 번역이 "성경의 의미와 정신의 의미를 해석"하려는 의도였다고 밝혔다.[12]

5. 2. 번역 오류 논란

토마스 모어는 틴들 성경(초판)에 오류가 많다고 비판했다. 그는 틴들 성경에서 오류를 찾는 것은 바다에서 물을 찾는 것과 같다고 했으며, 틴들의 번역서 ''기독교인의 복종''에는 약 천 개의 잘못된 번역이 있다고 주장했다.[12] 런던 주교 턴스톨 또한 틴들의 1525/1526년 성경에 2,000개 이상의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 틴들은 1525년 번역본 ''서문''에서 성경 내용이나 의미를 의도적으로 변경하거나 왜곡한 적이 없으며, "성경의 의미와 정신의 의미를 해석"하려 했다고 반박했다.

틴들은 번역 과정에서 에라스뮈스의 1522년 그리스어 신약성경을 참고했다. 그는 1534년 신약성경 서문("독자에게 보내는 WT")에서 그리스어 시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그리스어 뒤에 히브리어 관용어가 자주 나타난다고 지적했다.[12] 틴들 협회는 틴들의 번역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문에 충실하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Mombert의 ''윌리엄 틴들의 모세오경 다섯 권'' 서문은 틴들의 오경이 히브리어 원본을 번역한 것임을 보여준다. 틴들의 번역은 라틴어 불가타루터의 1521년 9월 신약성경도 참고했다.

참조

[1] 논문 Emergence of the Tyndale–King James Version tradition in English Bible translation 2022-09-13
[2] 문서 British Library online catalog of sacred books
[3]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collection item https://www.bl.uk/co[...]
[4] 웹사이트 St Paul's Cathedral https://www.stpauls.[...]
[5]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Collection Item https://www.bl.uk/co[...]
[6] 웹사이트 The Hide and Seek Bible https://www.wlb-stut[...]
[7] 논문 "'In the Twinkling of an Eye': The English of Scripture before Tyndale" http://digital.libra[...] 2000
[8] 서적 Dictionary of the Bible Mercer University Press
[9] 서적 OED
[10] 서적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1] 서적 Believer's Study Bible Thomas Nelson
[12] 웹사이트 Tyndale's New Testament (Young.152) http://cudl.lib.cam.[...] 2016-07-19
[13] 웹사이트 The Bible in the Renaissance – William Tyndale http://users.ox.ac.u[...] Oxford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