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냉전 종식 후 동유럽의 안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1994년 시작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NATO와 비회원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여 민주주의를 장려하고 국제 안보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fP는 군사 훈련, 정보 교환, 평화 유지 활동 참여 등을 통해 운영되며, NATO 가입을 위한 잠재적 경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현재 아르메니아, 오스트리아, 아제르바이잔 등 18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핀란드, 스웨덴 등 여러 국가가 PfP를 거쳐 NATO에 가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 - 휴전
휴전은 전쟁 당사국 간 전투 중단을 위한 법적 합의로, 국제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영구적이지 않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등의 국제적 승인을 거치기도 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 평화 - 정전 (군사)
정전은 전쟁이나 무력 분쟁에서 적대 행위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합의로, 평화 협상의 전제 조건이나 인도적 지원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분쟁의 근본적인 해결 없이 재전쟁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 국제 관계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국제 관계 - 지역 강국
지역 강국은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세계적인 규모의 능력은 갖추지 못한 국가를 의미하며, 경제력, 군사력, 인구, 정치력 등을 갖추고 지역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 |
---|---|
개요 | |
유형 | 국제 기구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창설 | 1994년 |
목적 | 유럽의 안보 증진 |
회원국 | 20개국 |
역사 | |
설립 배경 | 냉전 종식 후 NATO와 동유럽 국가 간의 협력 증진 필요성 대두 |
주요 활동 | 군사 훈련, 위기 관리, 재난 구호, 과학 협력 등 |
레거시 | |
결과 | 참여국들이 NATO와 협력하여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했다. |
진화 | |
발전 | NATO 가입을 희망하는 국가들에게 가입 전 단계로 활용되었다. |
현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의 미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2. 역사적 배경
냉전 종식 이후 유럽의 안보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991년 북대서양 협력 이사회(NACC)가 설립되었지만, 여러 한계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가 등장했다.
PfP는 1993년 미국의 제안으로 처음 논의되었고, 1994년 나토 정상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7] 기밀 해제된 미국 국무부 기록에 따르면,[8]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에게 PfP가 "나토 가입으로 이어지는 길"이며 "유럽을 동쪽으로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 또 다른 선을 긋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9] 1994년 9월 클린턴은 옐친에게 나토가 확대될 것이지만, 시한은 없다고 말했다.[10][11]
하지만 당시 옐친은 독립 국가 연합을 포괄하는 러시아 세력권을 주장했다.[12] 안드레이 코지레프 러시아 외무 장관에 따르면, 1993년 옐친은 PfP가 나토 가입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믿었지만, 러시아 대외 정보국 국장인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이것이 나토 확장의 시작이라고 경고했다. 옐친은 1994년 6월 22일 러시아의 PfP 가입을 승인했지만, 나토가 1994년 12월 PfP가 가입의 길이라고 선언한 후 배신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1995년 초 그는 나토 확장에 반대하는 것으로 러시아의 정책을 변경했다.[13]
1994년 PfP 창설 이후, 구 동구권 국가들을 포함한 여러 국가가 PfP에 참여했다. 몰타는 1995년 4월 26일에 PfP 가입국이 되었으나,[46] 완전 중립 정책을 유지하기 위해 1996년 10월에 탈퇴했다.[47] 그러나 2008년 4월 3일, 부쿠레슈티 NATO 정상 회의에서 몰타의 PfP 복귀가 인정되었다.[48] 2006년 리가 NATO 정상 회담에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세르비아가 PfP 가입을 신청했고,[49] 2006년 12월 14일에 가입했다.[51][50] 2023년 4월 4일 핀란드는 NATO에 가입했다.
2. 1. 냉전 종식과 안보 환경 변화
냉전 종식 이후, 북대서양 협력 이사회(NACC)는 동유럽의 안보 문제에 주목하기 위해 1991년에 설립되었다.[4] NACC는 나토와 동유럽 군사 관계자들 간의 산업 및 군사 관련 외교 관계 형성을 목표로 했다.[5] NACC는 연례 각료 회담과 나토의 정치, 경제, 군사 위원회의 동서부 대표 간 정기적인 협의를 개최하여 동유럽과 서유럽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지역의 안정에 기여하고자 했다.그러나 NACC는 지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36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정치적 분쟁을 겪기도 했으며, 이는 NACC의 활동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았다.[6] 1993년까지 여러 동유럽 국가들은 NACC에 대한 신뢰를 잃었고, 체코슬로바키아 분할과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와 같은 신생 국가의 등장은 밀란 크냐슈코 슬로바키아 외무 장관이 나토와의 협력을 촉진하는 안보 체계 구축을 촉구하게 만들었다.[6] 결국 NACC 회원국들은 나토 동맹 가입을 더욱 압박하고 대체 프로그램을 형성하게 되었다.[5]
2. 2. 북대서양 협력 이사회 (NACC)의 설립과 한계
냉전 종식 이후, 북대서양 협력 이사회(NACC)는 동유럽의 안보 문제에 주목하고자 1991년에 설립되었다.[4] NACC는 1991년 11월 로마 정상 회담에서 발표되었는데, 이는 옛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 동맹국들을 유럽 안보 체계에 통합하려는 나토의 첫 시도였다. 나토와 동유럽 군사 관계자들 간의 산업 및 군사 관련 외교 관계 형성을 목표로 하였다.[5]1991년부터 NACC는 연례 각료 회담과 나토의 정치, 경제, 군사 위원회에서 동서부 대표 간의 정기적인 협의를 개최했다. 이러한 회담은 동유럽과 서유럽 간의 관계를 강화하여 지역의 정치적, 군사적 안정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사회는 지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36개 회원국을 포함했고, 때로는 회원국 간 정치적 분쟁도 있었다. 이는 결국 NACC의 주요 임무 수행에 제약을 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1993년까지 여러 동유럽 국가들은 NACC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분할과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 등 새로운 국가의 등장은 밀란 크냐슈코 슬로바키아 외무 장관이 나토와의 모든 수준에서 협력을 촉진하는 안보 체계 구축을 촉구하게 만들었다.[6] NACC가 빠르게 변화하는 지역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단점은, NACC 회원국들이 나토 동맹 가입을 더욱 압박하고 대체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결과로 이어졌다.[5]
2. 3.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PfP)의 등장
냉전 종식 이후 안보 문제 속에서, 북대서양 협력 이사회(NACC)는 동유럽의 안보 문제에 주목하기 위해 1991년에 설립되었다.[4] NACC는 옛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 동맹국들을 유럽 안보 체계에 통합하려는 나토의 첫 번째 시도였다.[5] 그러나 이사회는 지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36개 회원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때로는 서로 정치적 분쟁을 겪기도 했다. 이는 NACC의 주요 임무에 대한 활동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았다. 1993년까지, 여러 동유럽 국가들은 NACC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6] NACC가 빠르게 변화하는 지역 사건에 대처하는 데 있어 부적절하다는 단점은, NACC 회원국들이 나토 동맹 가입을 더욱 압박하고 대체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결과를 가져왔다.[5]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1993년 10월 20일부터 21일까지 독일 트라베뮌데에서 열린 나토 국방부 장관 회의에서 미국의 제안으로 처음 논의되었으며, 1994년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정상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7] PfP는 북대서양 이사회(NAC)를 통해 NATO에 의해 설립되었다.[5][14] 빌 클린턴은 이 동반자 관계가 소련의 일부였던 국가들을 포함해 동유럽 국가들과 심지어 러시아 자체도 "유럽의 가장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7]
PfP 기본 문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협력 분야를 제시했다.[16]
- 국가 방위 절차 및 예산 절차의 투명성 보장
- 국방력이 민주적인 방식으로 통제되도록 허용
- 유엔 또는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의 관할 하에 국가들은 헌법적 행동과 작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준비성을 유지해야 함
- NATO 및 기타 관련 국가들과의 협력적인 군사 관계 구축을 통해 평화 유지 및 수색 구조와 같은 인도주의적 임무를 제공하는 국가의 능력 강화
- 장기적으로 NATO 회원국과 협력할 수 있는 군대 구축
- 참여 국가의 안보, 영토 또는 주권에 대한 위협이 감지될 경우 NATO와 협의하고 보고
1994년, 구 동구권 붕괴 직후에 창설되었다. 이후 알바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의 14개국이 NATO에 가입했다.
3. 목적 및 주요 활동
1993년 10월 20일부터 10월 21일까지 독일 트라페뮌데에서 열린 NATO 국방부 장관 회담에서 미국이 동유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 for Peace, PfP)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7] 이는 국제 안보 체제에서 러시아를 배제하고 싶지 않았던 레 A. 스핀 미국 국방부 장관에 의해 설계되었다.[14]
PfP는 국가들이 민주주의를 건설하고 국제 안보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NATO 동맹에 속하지 않은 중부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14][15] 1994년 1월 10일부터 1월 11일까지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북대서양 이사회(NAC)를 통해 NATO에 의해 설립되었다.[5][14] 빌 클린턴은 이 동반자 관계가 소련의 일부였던 국가들을 포함해 동유럽 국가들과 심지어 러시아도 "유럽의 가장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7]
PfP 기본 문서는 6가지 협력 분야를 제시했다.[16]
- 국가 방위 절차 및 예산 절차의 투명성 보장
- 국방력의 민주적 통제
- 유엔 또는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 관할 하의 헌법적 행동 및 작전 기여 능력 유지
- 평화 유지, 수색 구조 등 인도주의적 임무 제공 능력 강화
- 장기적으로 NATO 회원국과 협력 가능한 군대 구축
- 안보 위협 시 NATO와 협의 및 보고
또한 참여 국가들은 NATO 본부와 SHAPE 근처에 위치한 동반자 조정 셀에 사무실을 제공받았다.[7] 이 계획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협력에 대한 특전을 받았지만, NATO 동맹의 정식 회원보다는 적었다.[15] NATO와 빌 클린턴 행정부는 기존의 NATO 회원국은 이 계획 비용에 최소한의 기여만 필요하며, PfP 회원국이 프로그램 비용의 대부분을 부담해야 한다고 발표했다.[14]
PfP는 유럽 내 비NATO 회원국으로의 NATO 확대에 대한 결정을 지연시키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되기도 하며,[7] 군사 협력을 통해 동유럽 국가들을 민주 국가로 변화시켜 유럽 연합 창설을 준비하려는 서방의 책략으로 인식되기도 했다.[15] 1994년 10월 중순까지 22개 국가가 PfP에 참여했다.[14]
3. 1. 목적
1993년 10월 20일부터 10월 21일까지 독일 트라페뮌데에서 열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국방부 장관 회담에서 미국은 동유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 for Peace, PfP)를 제안했다.[7] 이 계획은 국제 안보 체제에서 러시아를 배제하고 싶지 않았던 레 A. 스핀 미국 국방부 장관이 설계했다.[14]PfP는 주로 국가들이 민주주의를 건설하고 국제 안보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시작되었다.[14] 또한 NATO 동맹에 속하지 않은 중부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15] 1994년 1월 10일부터 1월 11일까지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PfP는 북대서양 이사회(NAC)를 통해 NATO에 의해 설립되었다.[5][14] 빌 클린턴은 이 동반자 관계가 소련의 일부였던 국가들을 포함해 동유럽 국가들과 심지어 러시아 자체도 "유럽의 가장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7]
PfP 기본 문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협력 분야를 제시했다.[16]
- 국가 방위 절차 및 예산 절차의 투명성 보장
- 국방력이 민주적인 방식으로 통제되도록 허용
- 유엔 또는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의 관할 하에 국가들은 헌법적 행동과 작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준비성을 유지해야 함
- NATO 및 기타 관련 국가들과의 협력적인 군사 관계 구축을 통해 평화 유지 및 수색 구조와 같은 인도주의적 임무를 제공하는 국가의 능력 강화가 주요 목표
- 장기적으로 NATO 회원국과 협력할 수 있는 군대 구축
- 참여 국가의 안보, 영토 또는 주권에 대한 위협이 감지될 경우 NATO와 협의하고 보고
3. 2. 주요 활동
1993년 10월 20일부터 21일까지 독일 트라페뮌데에서 열린 NATO 국방부 장관 회담에서 미국은 동유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 for Peace, PfP)를 제안했다.[7] 이는 러시아를 국제 안보 체제에서 배제하지 않으려 했던 레 A. 스핀 미국 국방부 장관이 설계했다.[14] PfP는 국가들이 민주주의를 건설하고 국제 안보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14] NATO 동맹에 속하지 않은 중부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15]1994년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PfP는 북대서양 이사회(NAC)를 통해 NATO에 의해 설립되었다.[5][14] 빌 클린턴은 이 동반자 관계가 소련의 일부였던 국가들을 포함해 동유럽 국가들과 심지어 러시아도 "유럽의 가장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7]
PfP 기본 문서는 다음과 같은 6가지 협력 분야를 제시했다.[16]
- 국가 방위 절차 및 예산 절차의 투명성 보장
- 국방력이 민주적인 방식으로 통제되도록 허용
- 유엔 또는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의 관할 하에 국가들은 헌법적 행동과 작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준비성을 유지해야 함
- NATO 및 기타 관련 국가들과의 협력적인 군사 관계 구축을 통해 평화 유지 및 수색 구조와 같은 인도주의적 임무를 제공하는 국가의 능력 강화가 주요 목표
- 장기적으로 NATO 회원국과 협력할 수 있는 군대 구축
- 참여 국가의 안보, 영토 또는 주권에 대한 위협이 감지될 경우 NATO와 협의하고 보고
또한 국가들은 NATO 본부와 SHAPE 근처에 위치한 동반자 조정 셀에 사무실을 제공받을 것을 약속받았다.[7] 이 계획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협력에 대한 특전을 받게 되었지만, NATO 동맹의 정식 회원이었던 국가들보다는 적었다.[15] NATO와 빌 클린턴 행정부는 기존의 NATO 회원국은 이 계획 비용에 최소한의 기여만 필요하며, PfP 회원국이 프로그램 비용의 대부분을 부담해야 한다고 발표했다.[14]
PfP는 유럽 내 비NATO 회원국으로의 NATO 확대에 대한 결정을 지연시키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되기도 하며,[7] 군사 협력을 통해 동유럽 국가들을 민주 국가로 변화시켜 유럽 연합 창설을 준비하려는 서방의 책략으로 인식되기도 했다.[15] 1994년 10월 중순까지 22개 국가가 PfP에 참여했다.[14]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전문 군사 교육으로 구성된 NATO 회원국과 PfP 회원국 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해 왔으며, 그 목적은 "유럽-대서양 지역 및 그 외 지역의 평화와 안보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과 훈련은 주로 중앙아시아와 남캅카스에 집중되어 있다.
4. 회원국
]]
]]
1995년 4월 26일, 몰타는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회원이 되었다가 중립성 유지를 위해 1996년 10월 27일 탈퇴했다.[18] 2008년 3월 20일, 몰타는 PfP 회원 자격을 재개하기로 결정했고,[19] 이는 2008년 4월 3일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NATO에 의해 수락되었다.[20] 2006년 11월 29일 리가에서 열린 NATO 정상 회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세르비아가 PfP에 가입하도록 초청받았고,[21] 그 해 12월 14일 가입했다.[22]
벨라루스와 러시아는 PfP에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벨라루스는 2021년 11월에 중단되었다.[23][24]
PfP 회원국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현재 회원국''': 회원국 목록
- '''이전 회원국''' (NATO 확대를 통해 NATO 정식 회원국이 됨): 이전 회원국 목록
- '''가입 희망국'''
- 키프로스: 유럽 연합 회원이지만, 키프로스 분쟁 등의 문제로 가입이 보류 중이다.
- 코소보: 코소보 보안군의 코소보군 창설 등 가입 조건 충족이 필요하다.
4. 1. 현재 회원국
현재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25]
국가 |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 가입일 | 비고 |
---|---|---|
하야스탄/Հայաստանhy 아르메니아 | 1994년 10월 5일 | CSTO 회원국 |
외스터라이히/Österreichde 오스트리아 | 1995년 2월 10일 | EU 회원국 |
아제르바이잔/Azərbaycanaz 아제르바이잔 | 1994년 5월 4일 | GUAM 회원국 |
벨라루스/Беларусьbe 벨라루스 | 1995년 1월 11일 | CSTO 회원국, 2021년 11월에 가입이 중단됨.[23][24] |
보스나 이 헤르체고비나/Bosna i Hercegovinabs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06년 12월 14일 | |
사카르트벨로/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ka 조지아 | 1994년 3월 23일 | GUAM 회원국 |
에이레/Éirega 아일랜드 | 1999년 12월 1일 | EU 회원국 |
카자흐스탄/Қазақстанkk 카자흐스탄 | 1994년 5월 27일 | CSTO 회원국 |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станky 키르기스스탄 | 1994년 6월 1일 | CSTO 회원국 |
몰타/Malta몰타어 몰타 | 1995년 4월 26일[17] | EU 회원국, 1996년 10월 27일에 탈퇴,[18] 2008년 3월 20일에 회원 자격을 재활성화,[19] 2008년 4월 3일에 NATO에 의해 수락됨.[20] |
레푸블리카 몰도바/Republica Moldovaro 몰도바 | 1994년 3월 16일 | GUAM 회원국 |
로시야/Россияru 러시아 | 1994년 6월 22일 | CSTO 회원국, 현재 가입이 중단된 상태. |
스르비야/Србијаsr 세르비아 | 2006년 12월 14일 | CSTO 옵서버 |
슈바이츠/Schweizde, 쉬스/Suisse프랑스어, 스비체라/Svizzerait, 스비즈라/Svizrarm 스위스 | 1996년 12월 11일 | |
토지키스톤/Тоҷикистонtg 타지키스탄 | 2002년 2월 20일 | CSTO 회원국 |
튀르크메니스탄/Türkmenistantk 투르크메니스탄 | 1994년 5월 10일 | |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uk 우크라이나 | 1994년 2월 8일 | GUAM 회원국 |
오즈베키스톤/Oʻzbekistonuz 우즈베키스탄 | 1994년 7월 13일 |
4. 2. 이전 회원국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의 이전 회원국이었던 16개국(알바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에스토니아, 핀란드,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은 이후 NATO 확대를 통해 NATO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25]
국가 | PfP 가입 | NATO 정식 회원국 가입 |
---|---|---|
폴란드 | 1994년 2월 2일 | 1999년 3월 12일 |
헝가리 | 1994년 2월 8일 | |
체코 | 1994년 3월 10일 | |
루마니아 | 1994년 1월 26일 | 2004년 3월 29일 |
리투아니아 | 1994년 1월 27일 | |
에스토니아 | 1994년 2월 3일 | |
슬로바키아 | 1994년 2월 9일 | |
라트비아 | 1994년 2월 14일 | |
불가리아 | ||
슬로베니아 | 1994년 3월 30일 | |
알바니아 | 1994년 2월 23일 | 2009년 4월 1일 |
크로아티아 | 2000년 5월 25일 | |
몬테네그로 | 2006년 12월 14일 | 2017년 6월 5일 |
북마케도니아 | 1995년 11월 15일 | 2020년 3월 27일 |
핀란드 | 1994년 5월 9일 | 2023년 4월 4일 |
스웨덴 | 2024년 3월 7일 |
4. 3. 가입 희망국
키프로스는 유럽 연합 회원국 중 유일하게 NATO 회원국도 아니고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프로그램 회원국도 아니다.[26] 2011년 2월, 키프로스 의회는 PfP 가입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지만, 디미트리스 흐리스토피아스 대통령은 키프로스 분쟁 해결 협상과 섬의 비무장화를 방해할 것이라며 거부했다.[27][28] NATO 정회원국인 튀르키예는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 키프로스의 NATO 관련 시도에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29] 2013년 키프로스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니코스 아나스타시아데스는 취임 직후 PfP 프로그램 가입을 신청할 의향을 밝혔으나, 그의 외무 장관인 니코스 크리스토둘리데스는 키프로스의 외교 관계를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 (CSDP) 틀 내에 두는 것을 선호하며, NATO 또는 PfP 가입을 일축했다.[30]2023년 키프로스 대통령 선거 이후, 아나스타시아데스의 외무 장관이었던 크리스토둘리데스가 대통령이 되었다. 2024년 11월, 크리스토둘리데스는 이전 입장을 뒤집고 키프로스와 NATO 관계를 심화시키고 결국 NATO 확대를 통해 정회원으로 가입하려는 계획을 밝혔다. 계획의 첫 번째 단계로 키프로스는 NATO 관련 준비 조직 가입을 추진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NATO 회원국인 튀르키예와의 키프로스 분쟁 해결과 유럽 연합-튀르키예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31][32][33][34]
코소보는 PfP 가입을 정부의 전술적, 전략적 목표로 설명했다.[35] 코소보는 2012년 7월 PfP 프로그램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그리스,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등 4개 나토 회원국은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아 프로그램 참여를 막을 수 있다고 위협했다.[36][37] 가입 자격을 얻으려면 코소보 보안군으로부터 코소보군이 창설되어야 한다.[38]
5. 평가 및 전망
탈냉전 시대에 평화 유지 작전에 기여할 기회는 균등하게 분배되었지만, 스웨덴, 핀란드, 아일랜드와 같은 중립국의 지위는 감소했다. 중립국들은 현재 국제 정치의 단극 체제에서 군사적 중립성을 재고해야 했다. 1997년 6월, NATO 고위 관계자는 NATO와 더 긴밀히 협력하고 궁극적으로 동맹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러시아와 협력 관계를 위한 틀을 제공했지만, NATO 회원국 가입은 포함하지 않았다. 아일랜드와 오스트리아는 PfP가 위기 관리에 기여했음에도 여전히 NATO 회원국이 아니다.[40]
2001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PfP 국가 26개국 중 9개국에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 참여를 허가했다. 2002년 2002년 프라하 정상회의에서 개별 동반자 행동 계획(IPAP)을 시작했다.[41] IPAP의 목표는 PfP 회원국에게 NATO 가입 의무 없이 "개혁 목표 설정"에 대한 NATO의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2003년, 동맹은 카불에 국제 안보 지원군(ISAF) 본부를 설립하고 임무의 전략적 지휘, 통제, 조정을 맡았다. 이후 ISAF 작전은 47개국, 약 12만 명 병력으로 확대되었다.[41]
2004년 이스탄불 정상회의에서 이스탄불 협력 구상이 시작되어 걸프 협력 회의 6개국이 포함되었다. NATO는 전 세계의 파트너 구상도 수립했다.[41]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PfP에 영향을 미쳤다.[42]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남오세티야 츠힌발리의 러시아 군사 기지에 대한 조지아 공격을 "러시아의 9.11 테러"라고 언급했다. PfP 참여로 수립된 조지아 훈련 및 장비 프로그램 확장은 모스크바에서 우려를 샀다.[41][42]
2023년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NATO의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에 남아있는 유일한 참가국이다.[43]
5. 1. 긍정적 평가
오스트리아는 1996년에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참여를 강화했다. 이들은 유엔, NATO,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권한 아래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준비 태세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오스트리아의 PfP 기여 중 중요한 부분은 민간 비상 계획으로, 1997년에는 이 분야 모든 PfP 활동의 30%가 오스트리아에서 이루어졌다. 같은 해 오스트리아는 NATO/PfP 프로그램의 틀 안에서 713명이 참여하는 14개의 평화 유지 작전을 포함하여 227개의 활동에 참여했다.[40]냉전 종식 이후 평화 유지 작전에 기여할 기회가 균등하게 분배되었지만, 스웨덴, 핀란드, 아일랜드와 같은 중립국의 지위는 오히려 감소했다. 이에 따라 중립국들은 현재의 국제 정치적 단극 체제에서 군사적 중립성을 유지하는 것을 다시 생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1997년 6월, 한 고위 NATO 관계자는 더 넓은 역할을 통해 NATO와 더 긴밀히 협력하고 궁극적으로 동맹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PfP는 러시아와의 협력 관계를 위한 틀을 제공하지만, NATO 회원국 가입을 포함하지는 않았다. PfP가 평화 유지 작전과 같은 위기 관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와 오스트리아는 여전히 NATO 회원국이 아니다.[40]
5. 2. 한계 및 과제
탈냉전 시대에 평화 유지 작전에 기여할 기회는 균등하게 분배되었지만, 스웨덴, 핀란드, 아일랜드 같은 중립국의 지위는 오히려 감소했다. 이들 중립국은 현재 국제 정치의 단극 체제에서 군사적 중립성을 유지해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1997년 6월, 한 고위 NATO 관계자는 더 큰 역할을 통해 NATO와 긴밀히 협력하고, 궁극적으로는 동맹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러시아와 협력 관계를 맺기 위한 틀을 제공하지만, NATO 회원국 가입은 포함하지 않았다. PfP가 평화 유지 작전과 같은 위기 관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음에도, 아일랜드와 오스트리아는 여전히 NATO 회원국이 아니다.[40]2001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PfP 국가 26개국 중 9개국에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 참여를 허가했다. 2002년 NATO는 2002년 프라하 정상회의에서 개별 동반자 행동 계획(IPAP)을 시작했다.[41] IPAP는 PfP 회원국에게 NATO 가입 의무 없이 "개혁 목표 설정"에 대한 NATO의 지원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41]
2003년, NATO는 임무의 전략적 지휘, 통제, 조정을 맡았고 카불에 국제 안보 지원군(ISAF) 본부를 설립했다. 이후 ISAF 작전은 47개국, 약 12만 명의 병력으로 확대되었다.[41]
2004년 이스탄불 정상회의에서는 이스탄불 협력 구상이 시작되었고, 걸프 협력 회의 6개국이 포함되었다. 또한, NATO는 덜 공식적인 전 세계의 파트너 구상도 수립했다.[41]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42]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남오세티야 수도 츠힌발리의 러시아 군사 기지에 대한 조지아의 공격을 "러시아의 9.11 테러"라고 언급했다.[42] PfP 참여 맥락에서 수립된 양자 조지아 훈련 및 장비 프로그램의 확장은 모스크바에서 우려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41][42]
2023년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NATO의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에 남아있는 유일한 참가국이다.[43]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는 회원국의 계속되는 변화로 인해 예산에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이 프로그램을 위해 책정된 평균 연간 웨일스 이니셔티브 펀딩(WIF)은 1996 회계 연도부터 2005 회계 연도까지 4300만달러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 참여 국가 수가 감소하면서 연간 자금 지원은 2006 회계 연도부터 2010 회계 연도까지 2900만달러로 삭감되었다.[41] 또 다른 요인으로는 NATO 가입을 희망하는 회원국들 사이에서 WIF 자금 배분이 감소한 것을 들 수 있다.[41]
5. 3. 미래 전망
탈냉전 시대에 평화 유지 작전에 기여할 기회가 균등하게 분배되었지만, 스웨덴, 핀란드, 아일랜드 같은 중립국의 지위는 오히려 감소했다. 이들 중립국은 현재 국제 정치의 단극 체제 속에서 군사적 중립성을 유지해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40] 1997년 6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한 고위 관계자는 더 넓은 역할을 통해 NATO와 긴밀히 협력하고, 궁극적으로는 NATO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는 러시아와 협력 관계를 맺기 위한 틀을 제공했지만, NATO 회원국 가입을 포함하지는 않았다. PfP가 평화 유지 작전과 같은 위기 관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음에도, 아일랜드와 오스트리아는 여전히 NATO 회원이 아니다.[40]2001년, NATO는 PfP 26개국 중 9개국에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 참여를 허가했다. 2002년 2002년 프라하 정상회의에서 NATO는 개별 동반자 행동 계획(IPAP)을 시작했다.[41] IPAP는 PfP 회원국에게 NATO 가입 의무 없이 "개혁 목표 설정"에 대한 NATO의 지원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41]
2003년, NATO는 임무의 전략적 지휘, 통제, 조정을 맡았고 카불에 국제 안보 지원군(ISAF) 본부를 설립했다. 이후 ISAF 작전은 47개국, 약 12만 명의 병력으로 확대되었다.[41]
2004년 이스탄불 정상회의에서 이스탄불 협력 구상이 시작되었고, 걸프 협력 회의 6개국이 포함되었다. 이 회의에서 NATO는 덜 공식적인 전 세계의 파트너 구상도 수립했다.[41]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42]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남오세티야 수도 츠힌발리의 러시아 군사 기지에 대한 조지아의 공격을 "러시아의 9.11 테러"라고 언급했다.[42] PfP 참여를 통해 만들어진 양자 조지아 훈련 및 장비 프로그램의 확장은 모스크바에서 우려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41][42]
2023년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NATO의 회원 가입 행동 계획(MAP)에 남아있는 유일한 참가국이다.[43]
참조
[1]
웹사이트
Partner countries
http://www.nato.int/[...]
2009-12-03
[2]
웹사이트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me
http://www.nato.int/[...]
NATO
[3]
서적
Tasks for NATO II: improve the partnership for peace
http://worldcat.org/[...]
[4]
서적
NATO in the Post-Cold War Era
Palgrave Macmillan US
2022-03-18
[5]
서적
Partnership for Peace: Stabilizing the East
http://worldcat.org/[...]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1994
[6]
간행물
Romancing NATO: Partnership for peace and East European stability
http://dx.doi.org/10[...]
1994-12
[7]
간행물
Partnership for Peace and beyond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95-04
[8]
웹사이트
The President's Meeting with Czech Leaders
https://nsarchive2.g[...]
William J. Clinton Presidential Library
1994-01-11
[9]
웹사이트
NATO Expansion: What Yeltsin Heard
https://nsarchive.gw[...]
2019-04-06
[10]
웹사이트
Promises Made, Promises Broken? What Yeltsin Was Told About NATO in 1993 and Why It Matters
https://warontherock[...]
War on the Rocks
2019-11-22
[11]
웹사이트
Background Briefing
https://clintonwhite[...]
Clinton White House
1994-09-21
[12]
뉴스
Yeltsin Claims Russian Sphere of Influence
https://www.washingt[...]
1994-09-27
[13]
서적
Russia and NATO Enlargement: An Insider's Account
https://transatlanti[...]
[14]
서적
Partnership for peace
http://worldcat.org/[...]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Library of Congress
1994
[15]
간행물
Partnership for Peace: A Personal View from NATO
1994-07-04
[16]
웹사이트
Partnership for Peace: Framework Document issued by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participating in the Meeting of the North Atlantic Council
https://www.nato.int[...]
NATO
2022-03-18
[17]
웹사이트
Secretary General's Council Welcoming Remarks, Visit by Maltese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Foreign Affairs, Professor Guido de Marco, Wednesday, April 26, 1995
http://www.nato.int/[...]
1995-04-26
[18]
뉴스
New Malta Chief Focuses on Neutrality
https://query.nytime[...]
1996-11-12
[19]
웹사이트
Malta reactivates Partnership for Peace membership
http://www.di-ve.com[...]
DI-VE
2008-04-03
[20]
웹사이트
Malta re-engages in the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me
http://www.nato.int/[...]
2008-04-03
[21]
웹사이트
Alliance offers partnership to Bosnia and Herzegovina, Montenegro and Serbia
http://www.nato.int/[...]
2006-11-29
[22]
뉴스
Serbia inducted into NATO
http://www.serbianna[...]
2006-12-14
[23]
웹사이트
The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me
https://www.sto.nato[...]
[24]
URL
https://www.nato.int[...]
2024-08
[25]
웹사이트
Signatures of Partnership for Peace Framework Document
http://www.nato.int/[...]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2006-10-05
[26]
웹사이트
NATO membership for Cyprus. Yes, Cyprus
https://www.atlantic[...]
Atlantic Council
2019-04-01
[27]
웹사이트
Cypriot parliament votes to join NATO's Partnership for Peace
http://setimes.com/c[...]
SETimes
2011-02-25
[28]
웹사이트
Cyprus – Vouli Antiprosopon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13-02-24
[29]
웹사이트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NATO, Many Walls
https://www.nytimes.[...]
2012-11-24
[30]
뉴스
Cyprus dismisses reports on NATO scenarios
https://knews.kathim[...]
2018-06-05
[31]
웹사이트
Βήμα βήμα προς το ΝΑΤΟ η Κύπρος
https://www.kathimer[...]
Kathimerini
2024-11-24
[32]
뉴스
Cyprus moves closer to NATO, talks begin on permanent U.S. military presence
https://knews.kathim[...]
2024-11-25
[33]
웹사이트
Christodoulides: Once everything is in place, we want Cyprus to become a NATO member
https://en.protothem[...]
Proto Thema
2024-11-28
[34]
웹사이트
Cyprus could become a member of NATO when conditions permit, the country’s president says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4-11-28
[35]
웹사이트
Hoxhaj në Lituani, merr përkrahje për MSA-në dhe vizat (Video)
http://www.mfa-ks.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Kosovo
2014-04-03
[36]
웹사이트
Kosovo seeks to join international organisations
http://www.turkishwe[...]
Turkish Weekly
2012-07-19
[37]
웹사이트
Kosovo looking to join the Adriatic Charter
http://www.setimes.c[...]
2013-11-11
[38]
웹사이트
Prioritetet e reja të Politikës së Jashtme të Kosovës
http://www.mfa-ks.n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Kosovo
[39]
웹사이트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Archived)
https://www.nato.int[...]
NATO
2020-09-17
[40]
서적
Ireland and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1960-2000.
http://worldcat.org/[...]
Taylor and Francis
2014
[41]
간행물
GAO Report on NATO Enlargement: Albania and Croatia
2009
[42]
간행물
The Georgia Crisis: Implications for the Partnership for Peace
2008
[43]
웹사이트
Membership Action Plan (MAP)
https://www.nato.int[...]
NATO
2022-10-05
[44]
간행물
A Special Relationship: U.S. and NATO Engagement with the Partnership for Peace to Build Partner Capacity Through Education
2012
[45]
뉴스
Bosnia and Herzegovina, Montenegro and Serbia join NATO Partnership for Peace
http://www.nato.int/[...]
北大西洋条約機構
2006-12-14
[46]
뉴스
Secretary General's Council Welcoming Remarks, Visit by Maltese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Foreign Affairs
http://www.nato.int/[...]
北大西洋条約機構
1995-04-26
[47]
뉴스
Malta: History, Geography, Government, and Culture - Infoplease.com
http://www.nato.int/[...]
Pearson Education
1995-04-26
[48]
뉴스
Malta re-engages in the Partnership for Peace Programme
http://www.nato.int/[...]
北大西洋条約機構
2008-04-03
[49]
뉴스
Alliance offers partnership to Bosnia and Herzegovina, Montenegro and Serbia
http://www.nato.int/[...]
北大西洋条約機構
2006-11-29
[50]
뉴스
Serbia inducted into NATO
http://www.serbianna[...]
Associated Press
2006-12-14
[51]
뉴스
Signatures of Partnership for Peace Framework Document
http://www.nato.int/[...]
北大西洋条約機構
2006-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