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휴전은 전쟁이나 분쟁 당사자 간의 전투를 종식시키는 법적 합의를 의미한다. 국제법상 휴전은 잠정 협정의 성격을 가지며, 평화 조약과 같은 영구적인 성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휴전은 1918년 11월 11일의 제1차 세계 대전 휴전 협정,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 등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며, 유엔은 휴전 결의를 통해 분쟁 해결에 기여한다. 휴전 협정은 항복과는 달리 양측의 주권을 유지하며, 무조건 항복과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전 - 무드로스 휴전 협정
    무드로스 휴전 협정은 1918년 10월 30일 연합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체결되어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하고 아나톨리아 반도 외 영토 할양 및 해협 통제권을 넘겨주게 되었으며, 이는 터키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어 오스만 제국 멸망과 터키 공화국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 휴전 - 카시빌레 휴전
    카시빌레 휴전은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하기 위해 체결된 비밀 휴전 협정이며, 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혼란에 빠지고 독일군에 점령당했으며,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평화 - 정전 (군사)
    정전은 전쟁이나 무력 분쟁에서 적대 행위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합의로, 평화 협상의 전제 조건이나 인도적 지원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분쟁의 근본적인 해결 없이 재전쟁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 평화 - 평화공존론
    평화공존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공존 가능성을 제시하며, 핵전쟁의 위협과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미국과 소련 간의 긴장 완화를 시도했다.
  • 전쟁 - 시가전
    시가전은 도시나 마을과 같은 시가지에서 벌어지는 전투로, 복잡한 지형과 민간인 때문에 개활지 전투와 다른 전술 및 전략이 필요하며, 방어에 유리하고 공격 측 화력 사용이 제한되는 특징을 가진다.
  • 전쟁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휴전
지도
기본 정보
유형법적 합의
목적전쟁 행위 또는 무력 충돌 중단
관련정전 협정
평화 조약
역사
사용 시기전쟁 중 또는 전쟁 직후
무력 충돌 해결
법적 측면
법적 구속력국제법상 구속력
법적 중요성전투 행위 중단
평화 협상 시작
특징
범위일시적 또는 영구적
전체 또는 부분적
조항포로 교환
점령 지역 철수
비무장 지대 설정
휴전 감시 기구 설치
추가 요소정치적, 외교적, 경제적 조치 포함 가능
비교
휴전 협정 vs 정전 협정휴전 협정은 전투 중단 합의
정전 협정은 전쟁의 법적 종료 의미
휴전 협정 vs 평화 조약휴전 협정은 임시 조치
평화 조약은 전쟁의 공식적 종료 및 장기적인 관계 설정
기타
중요성전쟁 당사국 간의 대화 및 협상 시작
더 큰 갈등 확산 방지
관련 문서
관련 문서정전 협정
평화 조약
무력 충돌
외교
국제법

2. 국제법

국제법상 휴전은 전쟁이나 분쟁의 교전 당사국 간의 전투를 종식시키는 법적 합의(종종 문서 형태)이다.[3] 1899년 헤이그 협약에서는 "휴전의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면" 당사국은 적절한 통보를 통해 원하는 대로 전투를 재개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제36조). 이는 당사국이 특정 기간이 끝난 후에만 전투를 재개할 수 있는 "기간이 정해진" 휴전과는 대조적이다. 교전 당사국이 휴전 기간에 대한 종료 날짜 없이 "이 휴전으로 전투가 완전히 종식된다"고 말하는 경우, 언제든지 전투 재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휴전 기간은 고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 휴전 협정은 "정전과 휴전"을 요구하며, "최종 평화적 해결이 달성될 때까지 한국에서 모든 적대 행위와 모든 무력 행위의 완전한 중단을 보장하는 휴전을 수립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4]

3. 역사

역사적으로 다양한 휴전 사례가 존재한다.

근대 초기에는 1537년 코펜하겐 휴전 조약으로 덴마크 전쟁이 종식되었고, 1635년 슈툼스도르프 휴전 조약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과 스웨덴 사이에 체결되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은 삼십년 전쟁과 팔십년 전쟁을 종식시킨 중요한 조약이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여러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1917년 엘진잔 휴전 협정은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사이에,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러시아 볼셰비키 정부와 중앙 연합국 사이에 체결되었다. 1918년에는 살로니카 휴전 협정(연합국-불가리아 왕국), 무드로스 휴전 협정(연합국-오스만 제국),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연합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차례로 체결되었다. 1918년 11월 11일에는 연합국과 독일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전쟁이 종식되었다. 1922년 무다니야 휴전 협정은 터키 공화국 정부와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간에 체결되었고, 그리스 왕국도 참여했다.

전간기에는 1933년 탕구 협정이 일본중화민국 사이에 체결되어 만주사변이 일단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연합국이 추축국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기 때문에 나치 독일과는 휴전 협정 없이 1945년 5월 8일 항복 문서 서명으로 종전을 맞았다. 일본은 1945년 8월 14일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조인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왕국과는 1943년 9월 3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동유럽과 북유럽의 추축국들과도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체결된 주요 휴전 협정은 다음과 같다.

체결일협정명당사국
1940년 6월 22일독불 휴전 협정나치 독일 - 프랑스 비시 정부
1940년 6월 25일불이 휴전 협정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1941년 7월 14일생장다크르 휴전 협정영국군 - 시리아 비시 프랑스군
1943년 9월 3일이탈리아와의 휴전 협정이탈리아 왕국 항복 관련
1944년 9월 12일루마니아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루마니아
1944년 9월 19일모스크바 휴전 협정소비에트 연방, 영국 - 핀란드
1944년 10월 28일불가리아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불가리아
1945년 1월 20일헝가리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중동 전쟁에서는 1949년 이스라엘과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한국 전쟁에서는 1953년 한국전쟁 휴전협정이 판문점에서 체결되었으며, 유엔군 사령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군 사령관,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이 서명했다.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평화를 위한 결집 결의 997을 수락하면서 휴전이 성립되었다. 걸프 전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687호를 이라크 정부가 수락하면서 휴전되었으나, 이라크 전쟁의 근거로 이용되기도 했다. 2023년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에서는 카타르의 중재로 2023년 11월 24일부터 12월 1일까지 일시적인 휴전이 이루어졌다.

3. 1. 근대 초기


  • 1537년 코펜하겐 휴전 조약은 백작의 싸움(Count's Feud)으로 알려진 덴마크 전쟁을 종식시켰다.
  • 1635년 슈툼스도르프 휴전 조약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과 스웨덴 사이에 체결되었다.
  •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은 삼십년 전쟁과 팔십년 전쟁을 종식시켰다.

3. 2. 제1차 세계 대전


  • 1917년 12월 5일, Armistice of Erzincan|엘진잔 휴전 협정영어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간의 휴전 협정)
  • 1918년 3월 3일, 러시아 볼셰비키 정부와 중앙 연합국 간의 휴전 협정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1918년 9월 29일, 연합국과 불가리아 왕국의 휴전 협정 (살로니카 휴전 협정). 테살로니키에서 체결
  • 1918년 10월 30일, 연합국과 오스만 제국의 휴전 협정 (무드로스 휴전 협정). 무드로스 항에서 체결
  • 1918년 11월 3일, 연합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휴전 협정 (빌라 주스티 휴전 협정). 이탈리아 빌라 주스티(Villa Giusti)에서 체결
  • 1918년 11월 11일, 연합국과 독일 (Rat der Volksbeauftragten|인민위원평의회de)의 휴전 협정. 파리 교외 콩피에뉴 숲에서 체결
  • 1922년 10월 11일, 무다니야 휴전 협정. 터키 공화국 정부 (앙카라 정부)와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간 (10월 14일 그리스 왕국도 참여)

3. 3. 전간기

1933년 5월 31일, 일본중화민국 사이에 만주사변의 휴전 협정인 탕구 협정이 체결되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은 추축국에 조건부 협상을 통한 전투 중단 대신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이 때문에 추축국 나치 독일과 연합국 간의 휴전 협상은 없었고, 독일은 1945년 5월 8일 항복 문서 서명으로 종전을 맞았다. 일본은 1945년 8월 14일 포츠담 선언 수락을 통고하고 무조건 항복했으며, 같은 해 9월 2일 항복 문서에 조인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왕국과는 1943년 9월 3일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9월 26일에 항복 문서로 변경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이 주로 전투를 벌였던 동유럽과 북유럽의 추축국들과는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다음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체결된 주요 휴전 협정 목록이다.

체결일협정명당사국
1940년 6월 22일독불 휴전 협정나치 독일 - 프랑스 비시 정부
1940년 6월 25일불이 휴전 협정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1941년 7월 14일생장다크르 휴전 협정영국군 - 시리아 비시 프랑스군
1943년 9월 3일이탈리아와의 휴전 협정이탈리아 왕국 항복 관련
1944년 9월 12일루마니아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루마니아
1944년 9월 19일모스크바 휴전 협정소비에트 연방, 영국 - 핀란드
1944년 10월 28일불가리아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불가리아
1945년 1월 20일헝가리와의 휴전 협정연합국 -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


3.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제1차 중동 전쟁: 1949년 2월부터 7월까지 이스라엘이집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 한국 전쟁: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협정이 판문점에서 체결되었다. 유엔군 사령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군 사령관,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이 서명했다.
  • 제2차 중동 전쟁: 1956년 11월 8일, 평화를 위한 결집 결의 997을 수락하면서 휴전이 성립되었다.
  • 걸프 전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687호를 이라크 정부가 수락하면서 휴전이 성립되었다. 다국적군은 이 결의에 대한 이라크의 "중대한 위반 행위"를 이라크 전쟁 개전의 근거로 삼았다.
  •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2023년 11월 22일 카타르의 중재로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고, 11월 24일부터 12월 1일까지 전투가 중단되었다. 이 기간 동안 하마스에 인질로 잡혀 있던 253명 중 105명이 풀려났다.

4. 유엔의 역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창설 이래 유엔 헌장을 명분으로 세계 각지의 분쟁 당사국에 대해 자주 휴전 결의를 부과하거나, 부과하려고 해왔다. 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5개국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유엔 결의에 근거한 자원군 이상의 유엔군이 유엔 상임 안보리 5개국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편성된 적이 없어, 다른 유엔 결의와 마찬가지로 종종 실효성이 부족하다. 또한, 이 때문에 당사국 상호 간의 휴전협정이 유엔의 휴전 권고 결의보다 구속력이 높다고 비교 연구하는 견해도 있다.

5. 휴전 협정의 특징

휴전 협정은 전쟁 당사자 중 어느 한쪽이 항복하지 않아도 양측 모두에게 유리한 형태로 전쟁을 멈출 수 있게 한다. 이는 전쟁의 패자가 어떠한 조건 없이 항복하여 전쟁을 끝내는 무조건 항복과는 대조적이다.[5][6] 휴전 협정은 잠정 협정(modus vivendi)의 성격을 가지며, 합의나 비준에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리는 평화 조약과는 달리 영구적이지 않다. 1953년 7월 27일의 한국 전쟁 휴전처럼, 강화 조약 협상 없이 장기간에 걸쳐 전투 중지 상태가 지속되는 사례도 볼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Concept of a "Cooling-Off Period" https://www.cambridg[...] 1944
[2] 사전 Armistice http://dictionary.re[...]
[3] 웹사이트 Hague Convention of 1899 http://avalon.law.ya[...]
[4] 웹사이트 FindLaw: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July 27, 1953 http://news.findlaw.[...]
[5] 웹사이트 Armistic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3-03-12
[6] 회의록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en.wikisource[...] 1998-07-17
[7] 웹사이트 루마니아·연합국 휴전 협정 http://avalon.law.ya[...]
[8] 기타
[9] 웹사이트 불가리아·연합국 휴전 협정 http://avalon.law.ya[...]
[10] 웹사이트 헝가리·연합국 휴전 협정 http://avalon.law.ya[...]
[11] 웹사이트 정전·휴전·종전의 차이점? https://www.korea.kr[...]
[12] 웹사이트 휴전 70주년인가, 정전 70주년인가? https://www.chosun.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