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파티딜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파티딜세린(PS)은 인지질의 일종으로,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며 뇌 기능과 세포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육류와 생선에 함유되어 있으며, 콩 레시틴에도 비교적 많이 들어있다. 보충제의 형태로도 섭취할 수 있으며, 기억력 및 인지 기능 개선, 운동 능력 향상, ADHD 증상 완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S 보충제는 소의 뇌에서 추출되었으나, 광우병 위험으로 인해 콩 유래 제품이 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지질 -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세포막의 주요 인지질로서 동물세포에서 심장 기능, 지단백질 분비, 혈액 응고, 아난다마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세균에서는 막 인지질의 음전하 중화, 막 단백질 구조 형성, 다약물 수송체 기능에 필수적이며, 식품 내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 유발 및 혈관 질환,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연구된다. - 인지질 -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은 콜린, 글리세로인산,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의 일종으로, 세포막 구성, 효소 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하며,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치매 치료 효과는 불분명하고 동맥경화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막생물학 -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세포막의 주요 인지질로서 동물세포에서 심장 기능, 지단백질 분비, 혈액 응고, 아난다마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세균에서는 막 인지질의 음전하 중화, 막 단백질 구조 형성, 다약물 수송체 기능에 필수적이며, 식품 내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 유발 및 혈관 질환,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연구된다. - 막생물학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포스파티딜세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 분자 구조 | |
![]() | |
| 식별 | |
| CAS 등록번호 | 1446756-47-3 |
| DrugBank | DB00144 |
| ChEBI | 18303 |
| KEGG | C02737 |
| UNII | 394XK0IH40 |
| ChemSpider ID | 해당 없음 |
| 성질 | |
| 겉모습 | 해당 없음 |
| 밀도 | 해당 없음 |
| 녹는점 | 해당 없음 |
| 끓는점 | 해당 없음 |
| 위험성 | |
| 주요 위험 | 해당 없음 |
| 인화점 | 해당 없음 |
| 자연 발화점 | 해당 없음 |
2. 구조
포스파티딜세린은 인지질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로인지질에 속한다. 이 분자는 글리세롤의 1번과 2번 탄소에 두 개의 지방산이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되고, 3번 탄소에는 세린이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통해 붙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51][4]
포스파티딜세린(PS)은 인간 대뇌 피질 인지질의 13~15%를 차지하는 주요 산성 인지질 종류이다.[54] 세포막에서 PS는 주로 세포질 쪽에 위치하며, 몇 가지 주요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에 필요한 단백질 도킹 부위의 일부를 형성한다.[55][56][57][58][59]
일반적인 서양 식단에서 하루 평균 포스파티딜세린 섭취량은 130mg으로 추정된다.[61] 포스파티딜세린은 육류와 생선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소의 뇌나 닭 심장, 간, 신장과 같은 내장에 많이 들어있다. 반면, 유제품이나 채소에는 일반적으로 소량만 함유되어 있는데, 흰 강낭콩과 대두 레시틴은 예외이다. 포스파티딜세린은 대두 레시틴에서 전체 인지질의 약 3%를 차지한다.[62]
초기에는 포스파티딜세린 보충제를 소의 뇌피질에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소해면상뇌증(속칭 "광우병")과 같은 전염성 질병의 전이 위험 가능성 때문에, 대두에서 유래한 레시틴을 이용한 보충제가 대안으로 부상하였다.[19] 일부 제조업체는 원료 생산원으로 대두 레시틴 대신 해바라기 레시틴을 사용하기도 한다.[23]
식물에서 추출한 포스파티딜세린과 동물에서 추출한 포스파티딜세린은 지방산의 조성이 서로 다르다.[52][5]
3. 생체 내 역할
PS가 관여하는 대표적인 신호 전달 경로에는 Akt, 단백질인산화효소 C(PKC), Raf-1 신호 전달 경로가 있다. 이 경로들은 신경 세포의 생존, 신경돌기 성장, 그리고 시냅스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경 세포의 원형질막에서 PS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이러한 중요한 신호 전달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54][55][56][57][58][59]
또한, PS는 세포자멸사(Apoptosis)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포가 죽음을 맞이하는 세포자멸사 과정 동안, PS는 원래 위치인 세포막 안쪽 층에서 바깥쪽 층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바깥쪽으로 노출된 PS는 식세포에게 '나를 제거해달라'는 신호로 작용하여, 죽어가는 세포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다.[9]
4. 생합성
포스파티딜세린의 생합성 경로는 생물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장균과 같은 세균에서는 아미노산인 세린의 하이드록실 작용기가 사이티딘 일인산(CMP)을 친핵성 공격하여 치환하는 방식으로 포스파티딜세린이 형성된다.[6] 이때 CMP는 포스파티딜세린 합성효소에 의해 CDP-다이아실글리세롤로부터 만들어지며,[6] 또는 세린과 CDP(시티딘 이인산)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파티딘산이 축합하여 생합성되기도 한다.[25] 생성된 포스파티딜세린은 포스파티딜세린 탈카복실화효소에 의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가 부산물로 생성된다.[6] 효모 역시 세균과 유사한 경로를 통해 포스파티딜세린을 합성한다.[6]
반면, 포유류에서는 소포체에서 칼슘(Ca2+) 의존적인 염기 교환 반응을 통해 포스파티딜세린이 합성된다. 이 반응에서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나 포스파티딜콜린이 세린과 반응하여 포스파티딜세린을 생성하고, 각각 에탄올아민이나 콜린을 방출한다. 이 과정은 포스파티딜세린 합성효소 1(PSS1) 또는 포스파티딜세린 합성효소 2(PSS2)에 의해 촉진된다.[6][26] 반대로 포스파티딜세린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나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전환될 수도 있지만, 동물에서 포스파티딜세린으로부터 포스파티딜콜린을 생성하는 경로는 주로 간에서만 일어난다.[7][26]
5. 식품원
아래는 다양한 식품의 100g당 포스파티딜세린 함량이다.[47]식품 ! 함량 (mg/100g) 대두 레시틴 5900 [48] 소 뇌 713 고등어 480 닭 심장 414 청어 360 뱀장어 335 내장 (평균값) 305 돼지의 비장 239 돼지의 신장 218 참치 194 뼈를 제거한 껍질 달린 닭 다리살 134 닭 간 123 흰 강낭콩 107 말조개 87 껍질 달린 닭 가슴살 85 숭어 76 송아지 고기 72 쇠고기 69 돼지고기 57 돼지의 간 50 껍질 또는 뼈가 붙은 칠면조 다리살 50 껍질을 제거한 칠면조 가슴살 45 가재 40 갑오징어 31 대서양대구 28 멸치 25 통 보리 20 유럽 메로 17 정어리 16 송어 14 현미 3 당근 2 양의 젖 2 우유 (전지, 지방 3.5%) 1 감자 1
6. 보충
6. 1. 건강 관련 주장
포스파티딜세린(PS)은 인지 기능 개선, 기억력 향상,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건강 효능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8]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주요 규제 기관들의 평가도 엇갈린다.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포스파티딜세린 섭취와 노인의 기억 및 인지 기능, 정신 건강, 스트레스 감소 및 기억력 향상 사이에 인과 관계를 확립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52][5] EFSA는 특히 소의 뇌 피질에서 유래한 포스파티딜세린과 대두 등 식물성 원료에서 유래한 포스파티딜세린은 서로 다른 물질이며 생물학적 활성도 다를 수 있어, 특정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52][5] 초기 연구에서는 소의 뇌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을 정제했으나, 광우병에 대한 우려로 현재 시판되는 제품은 주로 양배추나 대두와 같은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다.[27]
반면, 미국 FDA는 포스파티딜세린에 대해 '제한적 건강 강조 표시(qualified health claim)' 지위를 부여했다. 이에 따라 제품 라벨에 "포스파티딜세린 섭취는 고령자의 치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포스파티딜세린 섭취는 고령자의 인지 기능 장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는 반드시 "극히 제한적이고 예비적인 과학 연구가 포스파티딜세린이 고령자의 인지 기능 장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FDA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립니다"라는 면책 조항과 함께 명시해야 한다.[31]
이 외에도 운동선수의 수행 능력 향상[33][34][35]이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증상 개선[41][42][43] 등에 대한 예비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이 역시 명확한 과학적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
6. 1. 1. 인지 기능
포스파티딜세린(PS)은 기억력, 학습 능력, 집중력 향상에 대한 잠재력으로 연구되어 왔다.[8]
2003년 5월 FDA는 포스파티딜세린에 '제한적 건강 강조 표시(qualified health claim)' 지위를 부여했다. 이에 따라 제품 라벨에 "포스파티딜세린 섭취는 노인의 치매 및 인지 기능 장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게 되었으나, 반드시 "매우 제한적이고 예비적인 과학적 연구가 포스파티딜세린이 노인의 인지 기능 장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FDA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립니다"라는 면책 조항을 함께 명시해야 한다.[64][65][13][14][31] FDA는 포스파티딜세린과 인지 기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 사이에서 아직 과학적 합의가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64][13]
반면, 유럽 식품 안전청(EFSA) 패널은 포스파티딜세린 섭취와 "노인의 기억력 및 인지 기능", "정신 건강/인지 기능", "스트레스 감소 및 기억력 향상" 사이에 인과 관계를 확립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5] 이는 소의 뇌 피질에서 유래한 포스파티딜세린과 대두를 기반으로 한 포스파티딜세린이 서로 다른 물질이며, 따라서 서로 다른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5]
초기 연구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을 소의 뇌에서 정제했으나, 광우병에 대한 우려로 현재 시판되는 제품은 주로 양배추나 대두와 같은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다.[27] 일부 연구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의 효과가 식물성인지 동물성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제안하며, FDA의 성명 역시 특히 대두에서 유래한 제품에 적용된다.[64][70][71][72][73][13][19][20][21][22] 쥐를 이용한 예비 연구에서는 일부 행동 시험에서 대두 유래 제품이 소 유래 제품과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29][30]
보다 최근의 연구 검토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 섭취와 인지 기능 장애 감소 사이의 관계가 더 강할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으나,[68][15][16] 그 작용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66][67][17] 특히 2020년에 발표된 3건의 임상 시험에 대한 검토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이 경도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69][18]
그러나 종합적으로 볼 때, 포스파티딜세린 보충이 노인 및 인지 기능 저하가 있는 개인의 인지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8]
6. 1. 2. 스포츠 영양
사이클링, 웨이트 트레이닝, 골프, 지구력 운전과 같은 운동을 하는 선수들에게 포스파티딜세린(PS)은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구체적으로 인지 기능 향상[32], 수행 능력 개선[33][34][35], 스트레스에 대한 내분비 반응 조절[36][37], 근육 손상 감소[38], 운동 후 통증 완화 및 행복감 증진[39] 등이 보고되었다.
특히 PS는 운동으로 인해 증가하는 코르티솔 농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격렬한 운동으로 인한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36][37]。 이러한 효과는 섭취 용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 연구에서는 10일 동안 매일 800mg 또는 600mg의 PS를 섭취했을 때 코르티솔 증가가 억제되었지만, 400mg의 낮은 용량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32]。
따라서 PS 보충은 운동선수에게 이상적인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고, 과도한 훈련(오버 트레이닝)이나 스트레칭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체 기능 저하를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36]。 최근 연구에서는 PS가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젊은이들의 기분을 개선하고[40], 골프 선수의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티오프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결과도 발표되었다[35]。
6. 1.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최초의 예비 연구에서는 PS 보충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를 가진 아이들에게 유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41][42]. 이후 진행된 추적 연구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뒷받침되었는데, 해당 연구에서는 하루 200mg의 PS를 2개월 동안 보충한 아이들에게서 ADHD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43].
6. 2. 안전성
초기 포스파티딜세린 보충제는 소의 뇌 피질에서 추출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소해면상뇌병증(속칭 광우병)과 같은 전염성 질병이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 때문에, 대두에서 유래한 포스파티딜세린 보충제가 대안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70][19] 콩에서 유래한 포스파티딜세린(S-PS)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로 인정받았다.[44] 2002년에 발표된 안전성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의 경우 하루에 200mg씩 세 번, 총 600mg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한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74][23][44]
다만 대두 유래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여, 일부 포스파티딜세린 제조업체에서는 원료 생산 시 대두 레시틴 대신 해바라기 레시틴을 사용하기도 한다.[70]
한편, 포스파티딜세린은 마우스 실험에서 특이적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45][46]
참조
[1]
논문
Transport of Phosphatidylserine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Site of Phosphatidylserine Decarboxylase2 in Yeast
2015
[2]
논문
The TIM and TAM families of phosphatidylserine receptors mediate dengue virus entry
2012-10
[3]
논문
Phosphatidylserine and the human brain
http://dx.doi.org/10[...]
2015-06
[4]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and company
[5]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phosphatidyl serine (ID 552, 711, 734, 1632, 1927)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2010-10-01
[6]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worldcat.org/[...]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21-03-16
[7]
웹사이트
Phosphatidylcholine and Related Lipids: Structure, Occurrence, Biochemistry and Analysis
http://aocs.files.cm[...]
2017-04-20
[8]
논문
The Influence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on Cognition in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http://dx.doi.org/10[...]
2001-01
[9]
논문
Exposure of phosphatidylserine on the surface of apoptotic lymphocytes triggers specific recognition and removal by macrophages.
http://dx.doi.org/10[...]
1992-04-01
[10]
간행물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2000
[11]
논문
Soy lecithin supplementation alters macrophage phagocytosis and lymphocyte response to concanavalin A: a study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2008-12
[12]
서적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Stuttgart
[13]
웹사이트
Phosphatidylserine and Cognitive Dysfunction and Dementia (Qualified Health Claim: Final Decision Letter)
https://www.fda.gov/[...]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8-23
[14]
웹사이트
Summary of Qualified Health Claims Subject to Enforcement Discretion - Qualified Claims About Cognitive Function
https://www.fda.gov/[...]
[15]
논문
Phosphatidylserine and the human brain
2015-06
[16]
논문
Biochemical deficits and cognitive decline in brain aging: Intervention by dietary supplements
[17]
논문
Phosphatidylserine in the brain: metabolism and function
2014-10
[18]
웹사이트
Th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supplementation on memory function in older people: A review of clinical literature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https://www.ijest.or[...]
2020-09-01
[19]
웹사이트
Can phosphatidylserine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http://www.mayoclini[...]
2014-08-23
[20]
서적
Treatment of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in Anti-Aging Medical Therapeutics
Health Quest Publications
[21]
논문
The influence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on cognition in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http://arno.unimaas.[...]
2014-08-23
[22]
논문
Soybean-derived phosphatidylserine improves memory function of the elderly Japanese subjects with memory complaints
2010-11
[23]
논문
Safety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in elderly people
2002-10
[24]
논문
Mechanisms of phosphatidylserine exposure, a phagocyte recognition signal, on apoptotic T lymphocytes
[25]
웹사이트
Phosphatidylserine and related lipids
http://lipidlibrary.[...]
[26]
웹사이트
Phosphatidylcholine, structure, occurrence, biochemistry and analysis
http://lipidlibrary.[...]
2012-08-06
[27]
웹사이트
Can phosphatidylserine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http://www.mayoclini[...]
2013-03-17
[28]
웹사이트
Phosphatidylserine and Cognitive Dysfunction and Dementia (Qualified Health Claim: Final Decision Letter)
http://www.fda.gov/F[...]
2013-03-17
[29]
논문
Cognition-enhancing properties of subchronic phosphatidylserine (PS) treatment in middle-aged rats: comparison of bovine cortex PS with egg PS and soybean PS
http://linkinghub.el[...]
[30]
서적
Treatment of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in Anti-Aging Medical Therapeutics
Health Quest Publications
[31]
웹사이트
Phosphatidylserine and Cognitive Dysfunction and Dementia (Qualified Health Claim: Final Decision Letter)
http://www.fda.gov/F[...]
2012-08-06
[32]
논문
The effects of IQPLUS Focus on cognitive function, mood and endocrine response before and following acute exercise
http://www.jissn.com[...]
[33]
논문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on oxidative stress following intermittent running
[34]
논문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on exercise capacity during cycling in active males
[35]
논문
The effect of phosphatidylserine on golf performance
http://www.jissn.com[...]
[36]
논문
Th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on endocrine response to moderate intensity exercise
[37]
논문
Blunting by chronic phosphatidylserine administration of the stress-induced activation of the hypothalamo-pituitary-adrenal axis in healthy men
[38]
논문
The Effects of Phosphatidyl Serine on Markers of Muscular Stress in Endurance Runners [abstract]
[39]
논문
The Hormonal and Perceptiv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Administration During Two Weeks of Weight Training-Induced Over-Training
[40]
논문
The Influence of phosphatidylserine supplementation on mood and heart rate when faced with an acute stressor
[41]
논문
Effect of phosphatidylserine administration on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http://www.lipamin-p[...]
[42]
논문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blood fatty acid composition and visual sustained attention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inattention: effect of dietary n-3 fatty acids containing phospholipids
http://www.ajcn.org/[...]
[43]
논문
The effect of phosphatidylserine administration on memory and symptom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44]
논문
Safety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in elderly people
null
[45]
논문
Interaction between phosphatidylserine and the phosphatidylserine receptor inhibits immune responses in vivo
http://www.jimmunol.[...]
[46]
논문
Phosphatidylserine suppresses antigen-specific IgM production by mice orally administered sheep red blood cells
null
[47]
서적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Stuttgart
[48]
논문
Composition of Soybean Lecithin
http://fodmapliving.[...]
1981-10
[49]
저널
Transport of Phosphatidylserine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Site of Phosphatidylserine Decarboxylase2 in Yeast
2015
[50]
저널
The TIM and TAM families of phosphatidylserine receptors mediate dengue virus entry
2012-10
[51]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and company
[52]
저널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phosphatidyl serine (ID 552, 711, 734, 1632, 1927)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2010-10-01
[53]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worldcat.org/[...]
2021-03-16
[54]
저널
Docosahexaenoic acid: A positive modulator of Akt signaling in neuronal survival
https://www.ncbi.nlm[...]
2005-08-02
[55]
저널
Phosphatidylserine is a critical modulator for Akt activation
https://doi.org/10.1[...]
2011-03-14
[56]
저널
Inhibition of Neuronal Apoptosis by Docosahexaenoic Acid (22:6n-3): ROLE OF PHOSPHATIDYLSERINE IN ANTIAPOPTOTIC EFFECT *
https://www.jbc.org/[...]
2000-11-10
[57]
저널
Novel Metabolism of Docosahexaenoic Acid in Neural Cells *
https://www.jbc.org/[...]
2007-06-29
[58]
저널
Phosphatidylserine-dependent neuroprotective signaling promoted by docosahexaenoic acid
https://www.plefa.co[...]
2010-04-01
[59]
저널
Phosphatidyl-L-serine Is Necessary for Protein Kinase C's High-Affinity Interaction with Diacylglycerol-Containing Membranes
https://pubs.acs.org[...]
1994-05-01
[60]
웹인용
Phosphatidylcholine and Related Lipids: Structure, Occurrence, Biochemistry and Analysis
http://aocs.files.cm[...]
2017-04-20
[61]
간행물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Stuttgart
2000
[62]
저널
Soy lecithin supplementation alters macrophage phagocytosis and lymphocyte response to concanavalin A: a study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2008-12
[63]
서적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Stuttgart
[64]
웹인용
Phosphatidylserine and Cognitive Dysfunction and Dementia (Qualified Health Claim: Final Decision Letter)
https://www.fda.gov/[...]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8-23
[65]
웹인용
Summary of Qualified Health Claims Subject to Enforcement Discretion - Qualified Claims About Cognitive Function
https://www.fda.gov/[...]
[66]
저널
Phosphatidylserine and the human brain
2015-06
[67]
저널
Biochemical deficits and cognitive decline in brain aging: Intervention by dietary supplements
[68]
저널
Phosphatidylserine in the brain: metabolism and function
2014-10
[69]
웹인용
Th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supplementation on memory function in older people: A review of clinical literature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https://www.ijest.or[...]
2020-09-01
[70]
웹인용
Can phosphatidylserine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http://www.mayoclini[...]
2014-08-23
[71]
서적
Treatment of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Effects of Phosphatidylserine in Anti-Aging Medical Therapeutics
Health Quest Publications
[72]
저널
The influence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on cognition in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http://arno.unimaas.[...]
2014-08-23
[73]
저널
Soybean-derived phosphatidylserine improves memory function of the elderly Japanese subjects with memory complaints
2010-11
[74]
저널
Safety of soy-derived phosphatidylserine in elderly people
20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