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폰타그로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타그로사는 브라질 파라나 주에 위치한 도시로, 1703년부터 히우그란지두술에서 출발하는 여행의 휴식 지점으로 사용되었다. 폰타그로사라는 지명은 멀리서 보이는 언덕에서 유래되었으며, 1855년에 시로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 철도 개통으로 도시가 발전했고, 20세기 초에는 예르바 마테와 목재가 주요 경제 원천이었다. 현재는 파라나 주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농업, 산업, 상업 및 서비스 부문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빌라 벨랴 주립 공원과 부라코 두 파드레가 있다.

2. 역사

역사학자 파울루 에두아르두 디아스 지 멜루(Paulo Eduardo Dias de Mello)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유럽인들의 활동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소로카바 박람회를 향해 상품을 가지고 여행하던 ''트로페이루스''(tropeiros, 마부)에 관한 것이다. 폰타그로사는 1703년부터 히우그란지두술을 출발하는 장거리 여행의 휴식 지점으로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소금으로만 보존된 육류인 샤르케(charque)가 거래되었다. 다른 정착지 지리와는 달리, 폰타그로사는 사람이 거주하는 곳이 아니었으며, 원주민들은 북쪽 지역을 점유하고 있었고, 이후 아메리카 유럽 식민화로 파라나 주 레세르바와 같은 유럽 정착민들과의 갈등이 발생했지만, 이는 해당 도시의 도시 지역 외에서 일어났다. 또 다른 버전(반드시 모순되는 것은 아님)에 따르면, 이 지역의 농부들이 두 마리의 비둘기를 날려 보내고, 이 새들이 착륙하는 지점을 성 안나 예배당을 건설하여 ''프레게시아''(freguesia, 교구)의 시작으로 삼았다고 한다.[17]

== 어원 ==

데브레가 묘사한 풍경으로, 1820년 옛 마을이 뒤편에 보이며, 드넓은 목초지 앞에 숲으로 둘러싸인 높은 언덕이 눈에 띈다.


폰타그로사라는 지명은 캄푸스 제라이스 지역으로 가는 길에 멀리서 보이는 언덕과 관련이 있다.[14] 이 지명은 뚜렷한 높이와 덤불 숲으로 덮여 있어 넓은 목초지 풍경 속에서 두드러져 보이는 높은 언덕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 몰이꾼들은 그 위치를 언급하기 위해 "폰타 그로사" 근처라고 말하곤 했다. 농장주에게 자신의 농장을 세울 장소를 말하는 감독의 말("저기 ''폰타 그로사''에")이나, 정착을 위해 토지 소유자가 땅을 양도한 후에 이름이 지어졌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

폰타 그로사는 미겔 다 호차 페레이라 카르발하이스의 농장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곳을 농업에 적합한 토지로 선택했다. 이 농장은 카스트루 방향으로 아직 존재한다.[14] 1871년에 이 도시는 피탕구이로 불리기도 했지만, 다음 해에 원래의 이름을 되찾았다. 폰타 그로사는 포르투갈어에서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 때문에 악의적인 유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5] 어쨌든, 이 이름은 식생과 지역 지형의 특징을 묘사한다.[16]

== 식민지 개척 이전 ==

16세기부터 스페인 탐험대가 파라과이아순시온까지 산타 카타리나 해안을 요구하며 캄푸스 제라이스(Campos Gerais)를 횡단했다.[21] 이후에는 주로 원주민을 사냥하기 위한 17세기 반데이란테스로 인해 잇달아 이동했다.[21] 알레히오 가르시아와 같은 포르투갈 반데이란테스는 1525년에 지나갔고, 5년 후 페로 로보와 프란시스코 차베스가 지나갔다. 1541년에는 스페인인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지나갔는데, 그는 멀지 않은 곳에 사는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다. 또한, 이베리아인이 아닌 울리히 슈미델도 지나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스페인 용병으로 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현재의 상파울루 해안에서 파라과이 원주민 20명과 스페인 용병으로 복무하는 다른 독일 용병 4명을 데려왔다.[18]

짐을 운반하기 위해 노새와 당나귀를 사용하던 사람들인 ''트로페이루스''(tropeiros,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마부라고 불림)는 이 지역을 통로로 사용했다.[19] 초원의 풍경은 노새가 지나가기에 적합했고, 나중에는 소 사육에도 적합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일부 전직 ''트로페이루스''가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 이 새로운 농장에서 생산된 많은 제품은 마부들이 사용하는 동물들의 먹이로 사용되었다. 다른 마부들은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물품 운송이 중단되어 손실을 입게 되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20] ''트로페이루스''는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둑 근처에 정착하는 것을 선호했다.[18]

이 새로운 농부들은 무역의 필요성을 야기했고, 이는 마을의 창설로 이어졌다. 또한, ''프레게지아''라고 불리는 정착지도 있었다. 후자는 폰타그로사와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을 묘사하기 위해 원래 사용된 단어이다.[20]

폰타그로사시의 건립으로 이어진 점유 및 식민지화 목적의 실제 토지 소유는 180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마부들이 이 지역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기 시작한 지 약 1세기 이상 지난 후였다.

== 식민지 시대 ==

16세기부터 스페인 탐험대가 파라과이아순시온까지 산타 카타리나 해안을 요구하며 캄푸스 제라이스(Campos Gerais)를 횡단했다.[21] 이후에는 주로 원주민을 사냥하기 위한 17세기 반데이란테스로 인해 잇달아 이동했다.[21] 알레히오 가르시아와 같은 포르투갈 반데이란테스는 1525년에 지나갔고, 5년 후 페로 로보와 프란시스코 차베스가 지나갔다. 1541년에는 스페인인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지나갔는데, 그는 멀지 않은 곳에 사는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다. 또한, 이베리아인이 아닌 울리히 슈미델도 지나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스페인 용병으로 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현재의 상파울루 해안에서 파라과이 원주민 20명과 스페인 용병으로 복무하는 다른 독일 용병 4명을 데려왔다.[18]

짐을 운반하기 위해 노새와 당나귀를 사용하던 사람들인 ''트로페이루스''(tropeiros,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마부라고 불림)는 이 지역을 통로로 사용했다.[19] 초원의 풍경은 노새가 지나가기에 적합했고, 나중에는 소 사육에도 적합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일부 전직 ''트로페이루스''가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 이 새로운 농장에서 생산된 많은 제품은 마부들이 사용하는 동물들의 먹이로 사용되었다. 다른 마부들은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물품 운송이 중단되어 손실을 입게 되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20] ''트로페이루스''는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둑 근처에 정착하는 것을 선호했다.[18]

이 새로운 농부들은 무역의 필요성을 야기했고, 이는 마을의 창설로 이어졌다. 또한, ''프레게지아''라고 불리는 정착지도 있었다. 후자는 폰타그로사와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을 묘사하기 위해 원래 사용된 단어이다.[20]

폰타그로사시의 건립으로 이어진 점유 및 식민지화 목적의 실제 토지 소유는 180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마부들이 이 지역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기 시작한 지 약 1세기 이상 지난 후였다.

== 정착의 시작 ==

폰타그로사 정착은 카스트루의 빌라 노바 관할권 아래에서 시작되었다.[21] 최초 정착민들은 상파울루 주 출신 농부들로, 풍부한 자연 목초지와 캄푸스 제라이스의 아름다움에 이끌려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 주변에 정착했다. 얼마 후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산타 바르바라 농장이라 불리는 토지 사용권을 얻었으나, 1813년 상파울루 주 임시 주지사 D. 마테우스 아브레우 페레이라가 반데이란치스인 아타나질두 핀투 마르틴스 중위에게 이 땅을 기증했다. 베네딕토회는 항의했지만, 결국 아타나질두의 소유가 되었다.[21]

트로페이로는 20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이후 사령관 호세 고에스 이 모라이스 등 명문가들이 이타라레 강 좌안과 치바지 강 사이 영토를 요구했고,[20] 예수회에 영토 일부를 기증하여 산타 바르바라 두 피탄기 예배당을 세우고 교구를 설립했다.[21] 그러나 주요 도로 변경으로 도시 성장이 정체되었다.[18] 이 시기 대규모 가축 목장이 등장하며 들판이 체계적으로 점유되었다. 소위 미구엘 다 로샤 페레이라 카르발랴이스가 설립한 봉 수세수 농장은 오늘날 폰타 그로사 시가지 경계를 포함했다.[21]

1750년 마드리드 조약 체결 전 폰타 그로사는 이론적으로 스페인 제국 일부였으나, 스페인은 실질적 통제력이 거의 없었다.[22] 예수회 선교단이 건설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은 스페인 정부 통제 하에 1727년부터 캄푸스 제라이스의 트로페이로와 여행객들의 기도 장소로 사용되었다. 노예제 폐지 이후에도 교리 교육과 노예 제도는 지속되지 않았다.[23]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 위치 변경 전에 정착이 시작될 곳


오늘날 대성당 자리에는 트로페이로들이 세운 여관과 십자가가 세워진 무화과나무가 있었고, 군대와 여행객들의 휴식 지점이었다. 예수회가 건설한 "카사 드 텔라스"에서는 성사와 종교 축제가 열렸다. "카사 드 텔라스" 주변에 첫 번째 오두막이 나타났다.[21] 초기 정착민들은 카스트루에서 벗어나 교회론적, 민사 문제 해결을 원했다. 새로운 정착지 위치 선정에는 비둘기가 사용되었는데, 비둘기는 시가, 깃발, 문장 등에 등장하는 지방 정부 상징이다.[14] 폰타 그로사의 초기 이름으로 에스트렐라가 언급되기도 한다.[21]

== 도시의 발전 ==

폰타 그로사는 1750년 마드리드 조약 체결 이전에는 이론적으로 스페인 제국의 영토였으나, 스페인의 실질적인 지배는 거의 미치지 못했다.[22] 예수회 선교단이 건설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은 스페인 정부의 통제를 받았으며, 1727년부터 세스마리아 기증을 통해 캄푸스 제라이스의 트로페이로와 여행객들의 기도 장소로 사용되었다.[23] 노예제 폐지 이후에는 교리 교육과 노예 제도가 지속되지 않았다.[23]

트로페이로들은 대성당이 있는 곳에 여관을 세웠고, 그 옆에는 수백 년 된 무화과나무와 십자가가 있어 군대와 여행객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예수회는 지역 주민과의 관계를 위해 "카사 드 텔라스"를 건설하여 성사와 종교 축제를 열었고, 그 주변에 첫 번째 오두막이 나타나 예배당과 휴식 장소로 사용되었다.[21]

도밍고스 테이셰이라 로보, 안토니오 다 로샤 카르발랴이스, 베네디토 마리아노 페르난데스 리바스는 정착지에 법적 구분을 부여하고자 했으며, 카르발랴이스는 자신의 감독관에게 보아 비스타 겨울 농장에서 새로운 정착지를 찾도록 명령했다. 선택된 장소는 현재 보아 비스타 교외였으나, 위치에 대한 의견 차이로 흰색 비둘기가 하룻밤을 묵는 곳을 정착지로 결정하기로 했고, 비둘기는 트로페이로들의 목장 십자가에 내려앉아 폰타 그로사의 정착이 시작되었다.[21]

이 이야기는 민간 전승에 존재하며, 비둘기는 시가, 깃발, 문장 등에 등장하는 지방 정부의 상징이다.[14] 폰타 그로사의 초기 이름으로 에스트렐라가 언급되기도 한다.[21]

1800년 이후 폰타 그로사는 도시가 되기 전까지 주로 자급자족 농부들이 거주하는 농업 환경이었다. 소를 관리하는 곳인 ''Criatório''와 동물의 휴식 기간인 ''invernagem''이 교역을 촉진했고, 농부는 다시 ''tropeiro''가 되었다. 농업은 비효율적이었고, 도시화 과정은 느렸다.[20]

1823년 9월 15일, 브라질 제국의 허가를 통해 에스트렐라의 ''프레게시아''가 설립되었고, 1855년 폰타그로사 시가 설립되어 카스트로 시에서 분할되었다. 1862년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며, 1871년에는 피탕기로 개칭되었다가 1872년 다시 폰타 그로사로 변경되었다. 1876년에는 코마르카의 소재지가 되었다.[21]

1878년, 아우구스토 리바스의 주도로 러시아 제국에서 이주해 온 독일계 주민의 대규모 정착이 시작되었고,[24] 이는 페드루 2세 황제의 방문 2년 후였다.[25] 19세기 중반까지 2,300명의 독일계 주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으며, 철도의 도착은 슬라브인, 이탈리아인 등 다른 이민자 집단의 유입을 촉진했다.[18]



1894년 쿠리치바-폰타그로사 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시는 큰 발전을 경험했고,[27] 2년 후에는 상파울루-히우그란데두술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철도는 도시의 현대화와 20세기의 성장에 중요했다.[28] 브라질 공화국 초기에는 예르바 마테와 목재가 주요 경제 원천이 되었다.[18]

1904년에는 전기 조명 시스템과 상하수도 시스템이 완공되었고, 건국 100주년이 기념되었다.[21] 1930년, 제툴리우 바르가스와 그의 군대가 기차역에 도착하여 15년 동안 공화국에 머물렀다.[29] 1950년대까지 폰타그로사는 철도, 예르바 마테 가공 공장, 가죽 및 목재 가공, 도자기 공방으로 인해 파라나 주 내륙의 주요 도시였으나, 론드리나마링가 등 북부 지역 도시들이 커피 경제에 의해 성장하면서 변화했다.[28]

1970년대는 폰타그로사의 산업 시대를 시작했으며, 1990년에는 물류 및 생산 (경제학) 회사를 유치하는 등 3차 부문이 확장되었다.[30] 폰타그로사는 파라나 주 정치의 위대한 인물들의 출생지이며, "파라나의 시민 수도"로 알려져 있다.[21]

== 20세기 이후 ==

1823년 9월 15일, 브라질 제국의 허가를 통해 에스트렐라의 ''프레게시아''가 설립되었고, 1855년 4월 7일 폰타그로사 시가 설립되었다.[21] 1862년 3월 24일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며, 1876년 4월 18일 코마르카의 소재지가 되었다.[21]

1878년, 아우구스토 리바스의 주도로 러시아 제국에서 이주해 온 독일계 주민의 대규모 정착이 시작되었다.[24] 페드루 2세 황제는 도밍고스 페레이라 핀토 소령의 저택에 머물렀으며, 그에게 구아라우나 남작의 칭호를 수여했다.[25] 19세기 중반까지 2,300명의 독일계 주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으며, 이는 철도 도착으로 촉진되었다. 철도는 슬라브인, 이탈리아인, 서남아시아 출신 사람들도 이 도시로 오게 했다.[18]

1894년 쿠리치바-폰타그로사 철도가 개통되고,[27] 2년 후 상파울루-히우그란데두술 철도 건설이 시작되면서 도시는 크게 발전했다.[28] 철도 사무실과 작업장이 설치되어 기차 정비를 맡았다. 고속도로 건설로 지리 전략적 이점을 얻어 도시-교차로로 여겨졌다.[28]

브라질 공화국 초기에는 예르바 마테와 목재가 주요 경제 원천이었다.[18] 1904년, 에르네스토 기마라에스 빌레라 시장 시절 전기 조명 시스템이 개통되었고, 테오도로 바티스타 로사스 시장 때 상하수도 시스템이 완공되었다.[21]

1930년 10월 17일, 제툴리우 바르가스와 그의 군대가 기차역에 도착했다.[29] 제툴리우는 도시 거리를 걸으며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다.[21] 1950년대까지 폰타그로사는 철도, 예르바 마테 가공 공장, 가죽 및 목재 가공, 도자기 공방 등으로 파라나 주 내륙의 주요 도시였다.[28]

1970년대는 폰타그로사의 산업 시대가 시작되었고, 1990년에는 물류 및 생산 (경제학) 회사를 유치하며 3차 부문을 확장했다.[30] 폰타그로사는 "파라나의 시민 수도"로 알려져 있다.[21]

2. 1. 어원



폰타그로사라는 지명은 캄푸스 제라이스 지역으로 가는 길에 멀리서 보이는 언덕과 관련이 있다.[14] 이 지명은 뚜렷한 높이와 덤불 숲으로 덮여 있어 넓은 목초지 풍경 속에서 두드러져 보이는 높은 언덕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 몰이꾼들은 그 위치를 언급하기 위해 "폰타 그로사" 근처라고 말하곤 했다. 농장주에게 자신의 농장을 세울 장소를 말하는 감독의 말("저기 ''폰타 그로사''에")이나, 정착을 위해 토지 소유자가 땅을 양도한 후에 이름이 지어졌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

폰타 그로사는 미겔 다 호차 페레이라 카르발하이스의 농장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곳을 농업에 적합한 토지로 선택했다. 이 농장은 카스트루 방향으로 아직 존재한다.[14] 1871년에 이 도시는 피탕구이로 불리기도 했지만, 다음 해에 원래의 이름을 되찾았다. 폰타 그로사는 포르투갈어에서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 때문에 악의적인 유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5] 어쨌든, 이 이름은 식생과 지역 지형의 특징을 묘사한다.[16]

2. 2. 식민지 개척 이전

16세기부터 스페인 탐험대가 파라과이아순시온까지 산타 카타리나 해안을 요구하며 캄푸스 제라이스(Campos Gerais)를 횡단했다.[21] 이후에는 주로 원주민을 사냥하기 위한 17세기 반데이란테스로 인해 잇달아 이동했다.[21] 알레히오 가르시아와 같은 포르투갈 반데이란테스는 1525년에 지나갔고, 5년 후 페로 로보와 프란시스코 차베스가 지나갔다. 1541년에는 스페인인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지나갔는데, 그는 멀지 않은 곳에 사는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다. 또한, 이베리아인이 아닌 울리히 슈미델도 지나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스페인 용병으로 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현재의 상파울루 해안에서 파라과이 원주민 20명과 스페인 용병으로 복무하는 다른 독일 용병 4명을 데려왔다.[18]

짐을 운반하기 위해 노새와 당나귀를 사용하던 사람들인 ''트로페이루스''(tropeiros,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마부라고 불림)는 이 지역을 통로로 사용했다.[19] 초원의 풍경은 노새가 지나가기에 적합했고, 나중에는 소 사육에도 적합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일부 전직 ''트로페이루스''가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 이 새로운 농장에서 생산된 많은 제품은 마부들이 사용하는 동물들의 먹이로 사용되었다. 다른 마부들은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물품 운송이 중단되어 손실을 입게 되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20] ''트로페이루스''는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둑 근처에 정착하는 것을 선호했다.[18]

이 새로운 농부들은 무역의 필요성을 야기했고, 이는 마을의 창설로 이어졌다. 또한, ''프레게지아''라고 불리는 정착지도 있었다. 후자는 폰타그로사(Ponta Grossa)와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을 묘사하기 위해 원래 사용된 단어이다.[20]

폰타그로사시의 건립으로 이어진 점유 및 식민지화 목적의 실제 토지 소유는 180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마부들이 이 지역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기 시작한 지 약 1세기 이상 지난 후였다.

2. 3. 식민지 시대

16세기부터 스페인 탐험대가 파라과이아순시온까지 산타 카타리나 해안을 요구하며 캄푸스 제라이스(Campos Gerais)를 횡단했다.[21] 이후에는 주로 원주민을 사냥하기 위한 17세기 반데이란테스로 인해 잇달아 이동했다.[21] 알레히오 가르시아와 같은 포르투갈 반데이란테스는 1525년에 지나갔고, 5년 후 페로 로보와 프란시스코 차베스가 지나갔다. 1541년에는 스페인인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지나갔는데, 그는 멀지 않은 곳에 사는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다. 또한, 이베리아인이 아닌 울리히 슈미델도 지나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스페인 용병으로 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현재의 상파울루 해안에서 파라과이 원주민 20명과 스페인 용병으로 복무하는 다른 독일 용병 4명을 데려왔다.[18]

짐을 운반하기 위해 노새와 당나귀를 사용하던 사람들인 ''트로페이루스''(tropeiros,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마부라고 불림)는 이 지역을 통로로 사용했다.[19] 초원의 풍경은 노새가 지나가기에 적합했고, 나중에는 소 사육에도 적합하게 되었다.

나중에는 일부 전직 ''트로페이루스''가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 이 새로운 농장에서 생산된 많은 제품은 마부들이 사용하는 동물들의 먹이로 사용되었다. 다른 마부들은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물품 운송이 중단되어 손실을 입게 되자 정착하여 농사를 시작했다.[20] ''트로페이루스''는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둑 근처에 정착하는 것을 선호했다.[18]

이 새로운 농부들은 무역의 필요성을 야기했고, 이는 마을의 창설로 이어졌다. 또한, ''프레게지아''라고 불리는 정착지도 있었다. 후자는 폰타그로사와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을 묘사하기 위해 원래 사용된 단어이다.[20]

폰타그로사시의 건립으로 이어진 점유 및 식민지화 목적의 실제 토지 소유는 180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마부들이 이 지역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기 시작한 지 약 1세기 이상 지난 후였다.

2. 4. 정착의 시작

폰타그로사 정착은 카스트루의 빌라 노바 관할권 아래에서 시작되었다.[21] 최초 정착민들은 상파울루 주 출신 농부들로, 풍부한 자연 목초지와 캄푸스 제라이스의 아름다움에 이끌려 베르데 강과 피탕기 강 주변에 정착했다. 얼마 후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산타 바르바라 농장이라 불리는 토지 사용권을 얻었으나, 1813년 상파울루 주 임시 주지사 D. 마테우스 아브레우 페레이라가 반데이란치스인 아타나질두 핀투 마르틴스 중위에게 이 땅을 기증했다. 베네딕토회는 항의했지만, 결국 아타나질두의 소유가 되었다.[21]

이후 사령관 호세 고에스 이 모라이스 등 명문가들이 이타라레 강 좌안과 치바지 강 사이 영토를 요구했고,[20] 예수회에 영토 일부를 기증하여 산타 바르바라 두 피탄기 예배당을 세우고 교구를 설립했다.[21] 그러나 주요 도로 변경으로 도시 성장이 정체되었다.[18] 이 시기 대규모 가축 목장이 등장하며 들판이 체계적으로 점유되었다. 소위 미구엘 다 로샤 페레이라 카르발랴이스가 설립한 봉 수세수 농장은 오늘날 폰타 그로사 시가지 경계를 포함했다.[21]

1750년 마드리드 조약 체결 전 폰타 그로사는 이론적으로 스페인 제국 일부였으나, 스페인은 실질적 통제력이 거의 없었다.[22] 예수회 선교단이 건설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은 스페인 정부 통제 하에 1727년부터 캄푸스 제라이스의 트로페이로와 여행객들의 기도 장소로 사용되었다. 노예제 폐지 이후에도 교리 교육과 노예 제도는 지속되지 않았다.[23]

오늘날 대성당 자리에는 트로페이로들이 세운 여관과 십자가가 세워진 무화과나무가 있었고, 군대와 여행객들의 휴식 지점이었다. 예수회가 건설한 "카사 드 텔라스"에서는 성사와 종교 축제가 열렸다. "카사 드 텔라스" 주변에 첫 번째 오두막이 나타났다.[21] 초기 정착민들은 카스트루에서 벗어나 교회론적, 민사 문제 해결을 원했다. 새로운 정착지 위치 선정에는 비둘기가 사용되었는데, 비둘기는 시가, 깃발, 문장 등에 등장하는 지방 정부 상징이다.[14] 폰타 그로사의 초기 이름으로 에스트렐라가 언급되기도 한다.[21]

2. 5. 도시의 발전

폰타 그로사는 1750년 마드리드 조약 체결 이전에는 이론적으로 스페인 제국의 영토였으나, 스페인의 실질적인 지배는 거의 미치지 못했다.[22] 예수회 선교단이 건설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은 스페인 정부의 통제를 받았으며, 1727년부터 세스마리아 기증을 통해 캄푸스 제라이스의 트로페이로와 여행객들의 기도 장소로 사용되었다.[23] 노예제 폐지 이후에는 교리 교육과 노예 제도가 지속되지 않았다.[23]

트로페이로들은 대성당이 있는 곳에 여관을 세웠고, 그 옆에는 수백 년 된 무화과나무와 십자가가 있어 군대와 여행객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예수회는 지역 주민과의 관계를 위해 "카사 드 텔라스"를 건설하여 성사와 종교 축제를 열었고, 그 주변에 첫 번째 오두막이 나타나 예배당과 휴식 장소로 사용되었다.[21]

도밍고스 테이셰이라 로보, 안토니오 다 로샤 카르발랴이스, 베네디토 마리아노 페르난데스 리바스는 정착지에 법적 구분을 부여하고자 했으며, 카르발랴이스는 자신의 감독관에게 보아 비스타 겨울 농장에서 새로운 정착지를 찾도록 명령했다. 선택된 장소는 현재 보아 비스타 교외였으나, 위치에 대한 의견 차이로 흰색 비둘기가 하룻밤을 묵는 곳을 정착지로 결정하기로 했고, 비둘기는 트로페이로들의 목장 십자가에 내려앉아 폰타 그로사의 정착이 시작되었다.[21]

이 이야기는 민간 전승에 존재하며, 비둘기는 시가, 깃발, 문장 등에 등장하는 지방 정부의 상징이다.[14] 폰타 그로사의 초기 이름으로 에스트렐라가 언급되기도 한다.[21]

1800년 이후 폰타 그로사는 도시가 되기 전까지 주로 자급자족 농부들이 거주하는 농업 환경이었다. 소를 관리하는 곳인 ''Criatório''와 동물의 휴식 기간인 ''invernagem''이 교역을 촉진했고, 농부는 다시 ''tropeiro''가 되었다. 농업은 비효율적이었고, 도시화 과정은 느렸다.[20]

1823년 9월 15일, 브라질 제국의 허가를 통해 에스트렐라의 ''프레게시아''가 설립되었고, 1855년 폰타그로사 시가 설립되어 카스트로 시에서 분할되었다. 1862년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며, 1871년에는 피탕기로 개칭되었다가 1872년 다시 폰타 그로사로 변경되었다. 1876년에는 코마르카의 소재지가 되었다.[21]

1878년, 아우구스토 리바스의 주도로 러시아 제국에서 이주해 온 독일계 주민의 대규모 정착이 시작되었고,[24] 이는 페드루 2세 황제의 방문 2년 후였다.[25] 19세기 중반까지 2,300명의 독일계 주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으며, 철도의 도착은 슬라브인, 이탈리아인 등 다른 이민자 집단의 유입을 촉진했다.[18]

1894년 쿠리치바-폰타그로사 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시는 큰 발전을 경험했고,[27] 2년 후에는 상파울루-히우그란데두술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철도는 도시의 현대화와 20세기의 성장에 중요했다.[28] 브라질 공화국 초기에는 예르바 마테와 목재가 주요 경제 원천이 되었다.[18]

1904년에는 전기 조명 시스템과 상하수도 시스템이 완공되었고, 건국 100주년이 기념되었다.[21] 1930년, 제툴리우 바르가스와 그의 군대가 기차역에 도착하여 15년 동안 공화국에 머물렀다.[29] 1950년대까지 폰타그로사는 철도, 예르바 마테 가공 공장, 가죽 및 목재 가공, 도자기 공방으로 인해 파라나 주 내륙의 주요 도시였으나, 론드리나마링가 등 북부 지역 도시들이 커피 경제에 의해 성장하면서 변화했다.[28]

1970년대는 폰타그로사의 산업 시대를 시작했으며, 1990년에는 물류 및 생산 (경제학) 회사를 유치하는 등 3차 부문이 확장되었다.[30] 폰타그로사는 파라나 주 정치의 위대한 인물들의 출생지이며, "파라나의 시민 수도"로 알려져 있다.[21]

2. 6. 20세기 이후

1823년 9월 15일, 브라질 제국의 허가를 통해 에스트렐라의 ''프레게시아''가 설립되었고, 1855년 4월 7일 폰타그로사 시가 설립되었다.[21] 1862년 3월 24일에는 시로 승격되었으며, 1876년 4월 18일 코마르카의 소재지가 되었다.[21]

1878년, 아우구스토 리바스의 주도로 러시아 제국에서 이주해 온 독일계 주민의 대규모 정착이 시작되었다.[24] 페드루 2세 황제는 도밍고스 페레이라 핀토 소령의 저택에 머물렀으며, 그에게 구아라우나 남작의 칭호를 수여했다.[25] 19세기 중반까지 2,300명의 독일계 주민이 이 지역에 도착했으며, 이는 철도 도착으로 촉진되었다. 철도는 슬라브인, 이탈리아인, 서남아시아 출신 사람들도 이 도시로 오게 했다.[18]

1894년 쿠리치바-폰타그로사 철도가 개통되고,[27] 2년 후 상파울루-히우그란데두술 철도 건설이 시작되면서 도시는 크게 발전했다.[28] 철도 사무실과 작업장이 설치되어 기차 정비를 맡았다. 고속도로 건설로 지리 전략적 이점을 얻어 도시-교차로로 여겨졌다.[28]

브라질 공화국 초기에는 예르바 마테와 목재가 주요 경제 원천이었다.[18] 1904년, 에르네스토 기마라에스 빌레라 시장 시절 전기 조명 시스템이 개통되었고, 테오도로 바티스타 로사스 시장 때 상하수도 시스템이 완공되었다.[21]

1930년 10월 17일, 제툴리우 바르가스와 그의 군대가 기차역에 도착했다.[29] 제툴리우는 도시 거리를 걸으며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다.[21] 1950년대까지 폰타그로사는 철도, 예르바 마테 가공 공장, 가죽 및 목재 가공, 도자기 공방 등으로 파라나 주 내륙의 주요 도시였다.[28]

1970년대는 폰타그로사의 산업 시대가 시작되었고, 1990년에는 물류 및 생산 (경제학) 회사를 유치하며 3차 부문을 확장했다.[30] 폰타그로사는 "파라나의 시민 수도"로 알려져 있다.[21]

3. 지리

폰타그로사는 파라나 제2 고원(폰타그로사 고원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데본 언덕''에 의해 제한됨)에 위치하며, 위도는 25º09'S, 경도는 50º16'W이다.[32] 파라나 주의 주도에서 시내까지는 114km이다. 이 도시에는 16개의 구역이 있으며, 도시 지역의 면적은 172.41 km2이다.[32] 지형은 매우 울퉁불퉁하며 도시 지역 내에 수많은 계곡이 있다.[33] 브라질 남부의 주요 도로 및 철도 교차로로 여겨진다. 주의 북쪽으로 연결되는 BR-376 연방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BR-277을 통해 주 서쪽에서 동쪽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쿠리치바와 이과수 폭포도 포함된다. 같은 고속도로는 남쪽 방향으로 BR-376을 재개하여 산타 카타리나 주로 갈 수 있다.[34]

평균 급여는 브라질 최저 임금의 2.7배로, 파라나 주에서 만족스러운 위치에 있다. 정규 고용 인구는 99,317명으로, 인구의 거의 1/3에 해당하며, 이 비율보다 약간 더 많은 인구가 국가에서 규정한 최저 임금의 절반을 받는 근로자 수이다. 학교 취학률은 98.2%이다. 1인당 GDP(2015년)는 R$34,941.59이다. HDI는 2010년 기준으로 0.763이다. 영아 사망률은 출생 천 명당 11건으로, 주 통계치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 하수 처리율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파이프와 관련하여 81.3%이다. 또한 대부분의 파라나 주 도시와 비교하여 도시 녹화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2] 역사적이고 식물 지리적 지역화를 위해, 이 도시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캄푸스 제라이스 두 파라나('파라나의 일반 들판')에 위치해 있다.[35] IBGE의 공식 지역화에 따르면, 이 도시는 파라나의 중동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 정착지의 이름과 동일한 중간 및 소지역에 위치해 있다.[36]

폰타그로사는 전체적으로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일부 경우 시내 중심가에서 90k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북쪽으로는 카스트루와 카람베이, 티바지가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파우메이라와 테이셰이라 소아레스가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는 캄포 라르고 시가 있으며, 서쪽으로는 이피랑가가 있다.[33]

== 기후 ==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폰타그로사는 온화하거나 따뜻한 여름을 보이는 브라질 남부의 고원 지형에 전형적인 ''Cfb'' 기후로, 일반적으로 아열대 고지대로 분류된다.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고도와 결합된 강력한 해양의 영향을 받는다.[37][38] 연평균 기온은 17.5 °C이다. 위도에 비해 겨울은 추우나, 진정한 해양성 기후와 마찬가지로 온대로 간주될 만큼 일반적으로 온화하다. 겨울(7월) 평균 기온은 13.7 °C에서 여름(1월) 평균 기온은 21.4 °C로, 비교적 낮은 평균 기온을 보인다.[39] USDA내한성에 따르면, 이 도시는 거의 대부분 구역 9b에 속하며, 이는 플로리다 중부와 동일한 구역으로, 다른 아열대 종 중에서 소나무 속의 성장을 허용한다.[40][41] 다양한 계곡은 서로 다른 온도와 습도를 가진 미기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며, 열섬 현상은 도심과 산타 파울라에서 발생할 수 있다.[42]

폰타그로사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벚나무는 아열대 기후에서 생존할 수 있다.


국립 기상 연구소(INMET)의 1961년부터 1973년 2월 28일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폰타그로사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967년 6월 9일에 −5.7 °C였으며, 최고 기온은 1968년 11월 3일에 34.7 °C였다.[43] 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강수량은 1966년 2월 13일에 130.5 mm였다.[44] 최저 상대 습도는 1967년 6월 9일 오후에 14%로 기록되었다.[46][47] 서리는 연간 약 5회 발생하며,[38] 눈은 20년 동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때로는 간격이 2년이 될 수도 있다.[50]

8월과 7월은 차갑고 건조한 극지방 기단의 이동으로 인해 가장 건조한 달이다. 1월과 2월은 열대 대서양에서 유입되는 습기와 뜨거운 시기에 증발하여 짧고 빠른 대기 대류 강우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장 습한 달이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공기의 상대 습도는 항상 높다. 계절에 따라 일조 시간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59][33] 토네이도와 사이클론은 드물며, 2010년 12월 19일에 아마추어 비디오에서 토네이도의 존재가 감지되었다.[51] 안개는 흔한 겨울 현상으로, 사고와 항공편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다.[52][53][54][55][5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8.128.127.224.522.420.820.822.724.124.626.627.224.8
평균 최저 기온 (°C)17.017.316.112.99.98.98.49.812.013.414.615.813.0
평균 강수량 (mm)181.7185.2148.499.475.9124.677.162.8123.9154.5118.5164.71517.1



== 생태 ==

폰타그로사는 생태학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다. 기후, 토양학, 지질 구조에 따라 구성과 이 다르며, 생물군계는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33] 북아메리카 대초원과 유사한 들판 식생이 나타나는데, 나무는 드물고 사초과와 초본 식물이 주를 이룬다. 때로는 관목이 섞여 있으며, 1996년에는 22,800ha의 면적을 차지했다.[33][60] 이러한 들판은 도시 및 농촌 환경의 사암층에서 기원하며,[60] 가축 방목, 개간, 농업 등의 영향을 받는다.[61] 들판은 더 작은 고도 진동 지역이나 '데보니아 단애' 근처의 열악한 토양에서 주로 나타난다.[33][60] 식물 군락은 건조한 들판과 더러운 들판으로 나뉘며, 습한 지역에 적응한 종을 가진 습한 들판도 존재한다.[33]

NDVI 2017년 겨울 말 가뭄 동안 도시 지역


바랑 두 히우 브랑쿠, '아라우카리아 앙구스티폴리아' 잔재가 있는 더욱 푸른 중앙 광장


아라우카리아 습윤림의 고유 식물도 총 23,500ha 면적에서 발견되며,[33]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자연 생태계를 이룬다. 플라이스토세까지는 건조한 기후가 지배적이었으나, 지질 시대 말에 기후가 습해지면서 섬모 또는 갤러리 숲 형태로 나타났다.[63] 카라-카라 강이나 올라리아 아로요 근처,[60] 보카 다 론다 및 차카라 단타스와 같은 시립 보호 구역에서[62] 이러한 숲을 볼 수 있다. 과라기 지구에는 가장 큰 숲 지역 중 하나가 있다.[33] 화재는 숲의 확장을 억제하는 요인 중 하나였다.[63] '아라우카리아 앙구스티폴리아'가 우세하지만, 임부이아, 계피 종류, 몬졸레이루, 삼나무, 구아비로바, 브라보 소나무 등 다른 수목 종도 발견된다.[33] 1950년대까지 벌목과 목재 사용으로 야생림이 급격히 감소했으나, 이후 ''소나무 엘리오티''와 같은 외래종 대체 및 숲 복원 정책이 시행되었다.[61] 아라우카리아는 극도로 습한 지역의 갤러리 숲에서 자주 나타나지만, 이타이아코카 지구에서는 대서양 숲의 영향으로 토착 침엽수의 양이 감소하고 사포페마와 임부이아가 증가한다.[33]

== 지질 ==

폰타그로사시는 파라나 분지에 위치하며, 고생대 시대의 변성암화성암으로 구성된 지하 기반암을 가지고 있다. 예외적으로 선캄브리아기의 Cunhaporanga 화강암 복합체의 화성암은 주(state)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퇴적 분지에 속하지 않는다.[65] 지형은 완만하게 물결치며(거칠긴 하지만) 눈에 띄는 언덕과 지점을 보여준다. Furnas와 파괴적인 지형은 정치적 경계 내에 존재한다. Tibagi와 같은 강은 경사를 따라 흐르는 반면, Pitangui와 같은 다른 강은 제2 고원을 향해 가파른 지형 사이의 깊은 계곡을 가로지른다. 북동쪽으로 고도는 1800미터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는 데본기 절벽으로 알려진 지형적 단층의 통과로 설명된다.[68]

데본기 사암은 지질학적 기질의 기초를 형성하며, 그 위에는 Itararé Group의 석탄기 사암이 있다. 각 단위는 남아메리카 판과 아프리카 판의 분리 홈으로 인해 맥암과 중생대 암상에 의해 교차되며, 여기서 파단이 시작되었다.[68] 폰타그로사 및 Furnas 형성의 사암셰일 형태(실트스톤 또는 점토) 구조를 가지며, Serra Geral 형성의 현무암의 결과로 퇴적되었다. 강과 광물 화합물에서 하류로 흐르는 퇴적물은 신생대 퇴적의 원인이 된다.[69]

빌라 벨랴 공원의 사암, 신비롭게 "잃어버린 돌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도시의 유적을 연상시킨다


빌라 벨랴 공원의 사암은 파괴적인 지형의 예로, 곤드와나 초대륙 시대에 기원한다. 석탄기에는 더 남쪽 위도에서 빙하로 덮여 있었으며, 풍경은 여러 매장 및 침식 과정 후에 형성되었다. 다양한 형태는 빗물, 태양 에너지의 작용, 온도 변화 및 암석에 대한 생명체의 활동(불연속성 및 전단대)의 결과이다.[70]

폰타그로사 단층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깎인 구조대로, 암석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했다. 푸르나스 지질 단위는 파쇄되고 카르스트화된 대수층을 가지고 있으며, 수질이 좋다. 이타라레군 또한 대수층을 가지고 있지만, 푸르나스가 일반적으로 더 낮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어 품질이 낮다. 폰타그로사층은 물을 잘 저장하지만 흐르기 어렵고, 도시 환경에 위치하여 오염에 취약하다. 푸르나스의 카르스트 지형은 산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71][72][73][74]

폰타그로사의 이름을 딴 이 아치는 파라나 분지 동쪽 경계의 지각 융기부에 위치해 있으며, 약 1억 3천만 년 전,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되면서 형성되었다. 이 아치는 북서-남동 방향을 가지며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반려암 암맥이 아치 근처에 평행 다발로 나타나며, 이러한 균열은 세 번째 고원 현무암 유출의 원인이 된다. 지형 역시 아치의 결과로, 퇴적 분지의 가장자리에 오래된 암석이 노출된다.[75] 여러 개의 평행 단층, 대수층, 그리고 자기 정렬이 폰타그로사 아치의 방향을 따른다.[76] 생성된 암맥들은 동시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100년 동안의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77] 시내를 관통하는 일부 강과 캄푸스 제라이스 지역의 배수는 협곡, 암벽 및 폭포를 동반하며, 이는 형태 구조적 통제를 보여준다.[78]

== 수문 ==

폰타그로사를 덮고 있는 주요 유역은 티바지 강(원래 원주민 명칭 "티바지")이며, 파라나파네마 강의 지류이고[33], 파라나 강과 연결되어 있다. 티바지는 시 전체 면적의 6.5%를 차지하며,[79] 그 지류로는 피탕기 강이 있는데, 그 강변은 다시 베르데, 카라-카라, 보투콰라로 나뉜다.[80] 좌안에는 주요 수계가 없다.[81] 또한 시에는 도시 지역보다 고도가 훨씬 낮은 함몰지형의 캄푸스 제라이스 공원 내에 리베이라 강이 발원하며, 이는 제1 플라날투(쿠리치바 고원)에 위치해 있다.[80][82]

이 지역은 전체 지역을 덮는 티바지 강 외에 비교적 작은 유역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개 시설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습윤함을 유지하면서 주요 환경 유량으로 빠르게 이동한다.[33] 이 지역의 일부 강은 구조적 통제의 영향을 받는다. 많은 경우 단층, 균열, 암맥이 폰타그로사 아치(NW-SE 방향)의 방향을 따른다. 또한 이들 강의 경로는 수력 발전소 건설에 유리한 높은 고도 기울기를 동반하며, 피탕기 강과 같이 일부 댐이 작동하고 있다.[83]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배수 패턴은 방사형이다.[84]

피탕기 강


피탕기 강은 시에서 가장 중요한 강 중 하나로, 1939년에 댐이 건설되어 알라가두스 댐이 만들어졌다. 이 댐은 강에서 직접 물을 끌어와 도시의 식수 공급을 담당한다. 하지만 퇴적과 부영양화와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85] 농업, 산업 폐수 처리 및 교통 흐름이 강기슭 숲 대신에 존재하면서 염화물, 인, 알칼리 등의 수질 화학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86]

시에는 총 12개의 유역이 있다. 론다, 올라리아스, 필랑 드 페드라, 라제아두 그란데, 산타 테레자, 카라-카라, 프랑셀리나, 산타 모니카, 그란데 아로요, 타쿠아리, 콜로니아 아델라이드 및 게르투데스가 그것이다.[80] 이 중 4개의 하천이 도시 구역에서 발원하여 도시의 통합을 위해 매립 및 수로화되었다. 이들의 역사적 중요성은 인정받았지만, 오늘날 일부 수계는 지역 주민들에게 "하수"로 취급받고 있다. 마두레이라의 하천과 같은 다른 하천은 목욕 장소로 사용되었다.[87] 급속한 도시화와 효율적인 공공 정책 부재로 인해, 특히 1980년대에 여러 하천이 불법 주택으로 점유되었다. 이로 인해 파라나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독특한 특성이었던 시의 대기 질이 악화되었다.[88]

3. 1.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폰타그로사는 온화하거나 따뜻한 여름을 보이는 브라질 남부의 고원 지형에 전형적인 ''Cfb'' 기후로, 일반적으로 아열대 고지대로 분류된다.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고도와 결합된 강력한 해양의 영향을 받는다.[37][38] 연평균 기온은 17.5 °C이다. 위도에 비해 겨울은 추우나, 진정한 해양성 기후와 마찬가지로 온대로 간주될 만큼 일반적으로 온화하다. 겨울(7월) 평균 기온은 13.7 °C에서 여름(1월) 평균 기온은 21.4 °C로, 비교적 낮은 평균 기온을 보인다.[39] USDA내한성에 따르면, 이 도시는 거의 대부분 구역 9b에 속하며, 이는 플로리다 중부와 동일한 구역으로, 다른 아열대 종 중에서 소나무 속의 성장을 허용한다.[40][41] 다양한 계곡은 서로 다른 온도와 습도를 가진 미기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며, 열섬 현상은 도심과 산타 파울라에서 발생할 수 있다.[42]

국립 기상 연구소(INMET)의 1961년부터 1973년 2월 28일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폰타그로사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967년 6월 9일에 −5.7 °C였으며, 최고 기온은 1968년 11월 3일에 34.7 °C였다.[43] 24시간 동안 가장 많은 강수량은 1966년 2월 13일에 130.5 mm였다.[44] 최저 상대 습도는 1967년 6월 9일 오후에 14%로 기록되었다.[46][47] 서리는 연간 약 5회 발생하며,[38] 눈은 20년 동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때로는 간격이 2년이 될 수도 있다.[50]

8월과 7월은 차갑고 건조한 극지방 기단의 이동으로 인해 가장 건조한 달이다. 1월과 2월은 열대 대서양에서 유입되는 습기와 뜨거운 시기에 증발하여 짧고 빠른 대기 대류 강우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장 습한 달이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공기의 상대 습도는 항상 높다. 계절에 따라 일조 시간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59][33] 토네이도와 사이클론은 드물며, 2010년 12월 19일에 아마추어 비디오에서 토네이도의 존재가 감지되었다.[51] 안개는 흔한 겨울 현상으로, 사고와 항공편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다.[52][53][54][55][5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8.128.127.224.522.420.820.822.724.124.626.627.224.8
평균 최저 기온 (°C)17.017.316.112.99.98.98.49.812.013.414.615.813.0
평균 강수량 (mm)181.7185.2148.499.475.9124.677.162.8123.9154.5118.5164.71517.1


3. 2. 생태

폰타그로사는 생태학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다. 기후, 토양학, 지질 구조에 따라 구성과 이 다르며, 생물군계는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33] 북아메리카 대초원과 유사한 들판 식생이 나타나는데, 나무는 드물고 사초과와 초본 식물이 주를 이룬다. 때로는 관목이 섞여 있으며, 1996년에는 22,800ha의 면적을 차지했다.[33][60] 이러한 들판은 도시 및 농촌 환경의 사암층에서 기원하며,[60] 가축 방목, 개간, 농업 등의 영향을 받는다.[61] 들판은 더 작은 고도 진동 지역이나 '데보니아 단애' 근처의 열악한 토양에서 주로 나타난다.[33][60] 식물 군락은 건조한 들판과 더러운 들판으로 나뉘며, 습한 지역에 적응한 종을 가진 습한 들판도 존재한다.[33]

아라우카리아 습윤림의 고유 식물도 총 23,500ha 면적에서 발견되며,[33]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자연 생태계를 이룬다. 플라이스토세까지는 건조한 기후가 지배적이었으나, 지질 시대 말에 기후가 습해지면서 섬모 또는 갤러리 숲 형태로 나타났다.[63] 카라-카라 강이나 올라리아 아로요 근처,[60] 보카 다 론다 및 차카라 단타스와 같은 시립 보호 구역에서[62] 이러한 숲을 볼 수 있다. 과라기 지구에는 가장 큰 숲 지역 중 하나가 있다.[33] 화재는 숲의 확장을 억제하는 요인 중 하나였다.[63] '아라우카리아 앙구스티폴리아'가 우세하지만, 임부이아, 계피 종류, 몬졸레이루, 삼나무, 구아비로바, 브라보 소나무 등 다른 수목 종도 발견된다.[33] 1950년대까지 벌목과 목재 사용으로 야생림이 급격히 감소했으나, 이후 ''소나무 엘리오티''와 같은 외래종 대체 및 숲 복원 정책이 시행되었다.[61] 아라우카리아는 극도로 습한 지역의 갤러리 숲에서 자주 나타나지만, 이타이아코카 지구에서는 대서양 숲의 영향으로 토착 침엽수의 양이 감소하고 사포페마와 임부이아가 증가한다.[33]

3. 3. 지질

폰타그로사시는 파라나 분지에 위치하며, 고생대 시대의 변성암화성암으로 구성된 지하 기반암을 가지고 있다. 예외적으로 선캄브리아기의 Cunhaporanga 화강암 복합체의 화성암은 주(state)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퇴적 분지에 속하지 않는다.[65] 지형은 완만하게 물결치며(거칠긴 하지만) 눈에 띄는 언덕과 지점을 보여준다. Furnas와 파괴적인 지형은 정치적 경계 내에 존재한다. Tibagi와 같은 강은 경사를 따라 흐르는 반면, Pitangui와 같은 다른 강은 제2 고원을 향해 가파른 지형 사이의 깊은 계곡을 가로지른다. 북동쪽으로 고도는 1800미터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는 데본기 절벽으로 알려진 지형적 단층의 통과로 설명된다.[68]

데본기 사암은 지질학적 기질의 기초를 형성하며, 그 위에는 Itararé Group의 석탄기 사암이 있다. 각 단위는 남아메리카 판과 아프리카 판의 분리 홈으로 인해 맥암과 중생대 암상에 의해 교차되며, 여기서 파단이 시작되었다.[68] 폰타그로사 및 Furnas 형성의 사암셰일 형태(실트스톤 또는 점토) 구조를 가지며, Serra Geral 형성의 현무암의 결과로 퇴적되었다. 강과 광물 화합물에서 하류로 흐르는 퇴적물은 신생대 퇴적의 원인이 된다.[69]

빌라 벨랴 공원의 사암은 파괴적인 지형의 예로, 곤드와나 초대륙 시대에 기원한다. 석탄기에는 더 남쪽 위도에서 빙하로 덮여 있었으며, 풍경은 여러 매장 및 침식 과정 후에 형성되었다. 다양한 형태는 빗물, 태양 에너지의 작용, 온도 변화 및 암석에 대한 생명체의 활동(불연속성 및 전단대)의 결과이다.[70]

폰타그로사 단층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깎인 구조대로, 암석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했다. 푸르나스 지질 단위는 파쇄되고 카르스트화된 대수층을 가지고 있으며, 수질이 좋다. 이타라레군 또한 대수층을 가지고 있지만, 푸르나스가 일반적으로 더 낮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어 품질이 낮다. 폰타그로사층은 물을 잘 저장하지만 흐르기 어렵고, 도시 환경에 위치하여 오염에 취약하다. 푸르나스의 카르스트 지형은 산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71][72][73][74]

폰타그로사의 이름을 딴 이 아치는 파라나 분지 동쪽 경계의 지각 융기부에 위치해 있으며, 약 1억 3천만 년 전,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되면서 형성되었다. 이 아치는 북서-남동 방향을 가지며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반려암 암맥이 아치 근처에 평행 다발로 나타나며, 이러한 균열은 세 번째 고원 현무암 유출의 원인이 된다. 지형 역시 아치의 결과로, 퇴적 분지의 가장자리에 오래된 암석이 노출된다.[75] 여러 개의 평행 단층, 대수층, 그리고 자기 정렬이 폰타그로사 아치의 방향을 따른다.[76] 생성된 암맥들은 동시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100년 동안의 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77] 시내를 관통하는 일부 강과 캄푸스 제라이스 지역의 배수는 협곡, 암벽 및 폭포를 동반하며, 이는 형태 구조적 통제를 보여준다.[78]

3. 4. 수문

폰타그로사를 덮고 있는 주요 유역은 티바지 강(원래 원주민 명칭 "티바지")이며, 파라나파네마 강의 지류이고[33], 파라나 강과 연결되어 있다. 티바지는 시 전체 면적의 6.5%를 차지하며,[79] 그 지류로는 피탕기 강이 있는데, 그 강변은 다시 베르데, 카라-카라, 보투콰라로 나뉜다.[80] 좌안에는 주요 수계가 없다.[81] 또한 시에는 도시 지역보다 고도가 훨씬 낮은 함몰지형의 캄푸스 제라이스 공원 내에 리베이라 강이 발원하며, 이는 제1 플라날투(쿠리치바 고원)에 위치해 있다.[80][82]

이 지역은 전체 지역을 덮는 티바지 강 외에 비교적 작은 유역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개 시설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습윤함을 유지하면서 주요 환경 유량으로 빠르게 이동한다.[33] 이 지역의 일부 강은 구조적 통제의 영향을 받는다. 많은 경우 단층, 균열, 암맥이 폰타그로사 아치(NW-SE 방향)의 방향을 따른다. 또한 이들 강의 경로는 수력 발전소 건설에 유리한 높은 고도 기울기를 동반하며, 피탕기 강과 같이 일부 댐이 작동하고 있다.[83]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배수 패턴은 방사형이다.[84]

피탕기 강은 시에서 가장 중요한 강 중 하나로, 1939년에 댐이 건설되어 알라가두스 댐이 만들어졌다. 이 댐은 강에서 직접 물을 끌어와 도시의 식수 공급을 담당한다. 하지만 퇴적과 부영양화와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85] 농업, 산업 폐수 처리 및 교통 흐름이 강기슭 숲 대신에 존재하면서 염화물, 인, 알칼리 등의 수질 화학 성분에 영향을 미친다.[86]

시에는 총 12개의 유역이 있다. 론다, 올라리아스, 필랑 드 페드라, 라제아두 그란데, 산타 테레자, 카라-카라, 프랑셀리나, 산타 모니카, 그란데 아로요, 타쿠아리, 콜로니아 아델라이드 및 게르투데스가 그것이다.[80] 이 중 4개의 하천이 도시 구역에서 발원하여 도시의 통합을 위해 매립 및 수로화되었다. 이들의 역사적 중요성은 인정받았지만, 오늘날 일부 수계는 지역 주민들에게 "하수"로 취급받고 있다. 마두레이라의 하천과 같은 다른 하천은 목욕 장소로 사용되었다.[87] 급속한 도시화와 효율적인 공공 정책 부재로 인해, 특히 1980년대에 여러 하천이 불법 주택으로 점유되었다. 이로 인해 파라나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독특한 특성이었던 시의 대기 질이 악화되었다.[88]

4. 인구

폰타그로사 인구 변화[191][193][192]
연도인구
18241,330
18352,250
18423,200
18706,490
18904,774
19008,335
192020,171
194029,360
195042,875
196077,803
1970112,253
1980171,818
1990246,738
2000266,552
2010311,611
2018*348,043
2020*355,336
* 인구 추정치.[2]



São José Cemetery, where Barão de Guaraúna and Corina Portugal are buried.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폰타그로사의 인구는 311,611명, 인구 밀도는 150.72명/km2였다.[2] 2018년 추정치는 348,043명으로 파라나 주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았다.[2] IPARDES의 2030년 추정치는 381,051명으로 109.48% 증가했지만, 이 시뮬레이션에서는 상조제두스피냐이스가 폰타그로사를 제치고 파라나 주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되면서 폰타그로사는 다섯 번째로 밀려날 것으로 예상된다.[90]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지리적 조건은 인구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가축 사육과 월동에서 마테차와 목재 생산, 그리고 서비스 부문까지 영향을 미쳤다.[91]

폰타그로사는 17세기 후반부터 빠르게 성장했지만, 예수회는 그보다 한 세기 전에 이미 정착했다. 천연 목초지 덕분에 비아마웅 군대의 사육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853년 ''프레게시아''에는 3,033명(남성 1,652명, 여성 1,381명)이 거주했다. 1877년, 제국의 명령에 따라 이 도시는 브라질 남부의 다른 도시들처럼 폴란드인, 독일인,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 이탈리아인 등 이민자들을 받아들여 문화적 용광로를 형성하고 인구를 증가시켰다. 인구 증가는 철도 건설과 함께 같은 세기 말에도 계속되었다. 철도 완공으로 다른 지역과의 연결성이 강화되었다. 1890년에는 4,774명이 거주했으며, 인구는 유바라나스와 오피시나의 철도 지구에 집중되어 기본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폰타그로사는 브라질 남부와 남동부에서 나타나는 도시화의 역사적 맥락 속에 있다.[93] 철도 건설은 ''트로페이리즘''의 쇠퇴를 야기했다. 다른 자치단체에서 온 많은 사람들이 선로 유지 보수를 위해 폰타그로사에서 일하게 되었다. 또한 다른 브라질 주에서 온 학사 학위를 가진 엘리트 구성원들이 늘어나면서 학력 수준도 향상되었다.[92] 1940년에는 파라나에서 두 번째로 큰 인구 집단을 형성했으나, 이후 10년 동안 그 지위를 잃었다. 1957년 재편입된 과라기(1940년에 파우메이라에 병합됨)는 새로운 인구 통계 균형을 가져왔다.[93]

1969년 시루 마르틴스 정부의 재정적 인센티브로 새로운 산업들이 들어서면서 공장 "붐"이 일어났다. 1980년대에는 운송망이 확장되었고, 철도는 유바라나스에 위치하게 되면서 더 나은 인프라와 함께 운송망과 주변 지역의 성장을 이끌었다. 이후 10년 동안 다른 부문에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과라기는 도시화된 환경에 더 가깝지만, 다른 지구는 주로 농업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다.[93] 폰타그로사는 1970년대에 주로 도시화되어 인구의 52.9%가 도시 지역에 거주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사이에 농촌 인구는 28.2%에서 20.2%로 감소했는데, 이는 기계화된 농업으로 설명되며, 노동력은 도시로 이동했다(1960년대까지는 증가만 했다). "''들판의 공주''"는 2000년대 초에 97.5%의 도시화율을 기록했다. 논란이 되는 점 중 하나는 20세기 마지막 수십 년 동안, 특히 1989년 이후 급속한 도시화와 부동산 투기로 인해 토지 "부족"(20%가 유휴 상태)이 발생하고 뒤따른 격렬한 침체였다. 2004년에는 58,730명이 불안정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며, 종종 보존 구역이 되어야 하는 곳에 건물이 있는 도시 개울 근처에 거주하며, 이전 또는 이주 거부에 대한 비효율적인 정책이 있었다.[94][95]

2040년까지 인구는 46만 명에 달할 수 있으며, 이는 2019년에 등록된 인구보다 31%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3.4%, 예상 주 평균보다 11% 높은 수치이다.[13]

폰타그로사는 브라질 남부 지역과 마찬가지로 인구 변동을 겪고 있으며, 가장 많은 인구가 어린이 연령대에 있지 않고 성인기에 최고점에 도달하지 않은 상황으로, 미래의 추세를 보여준다. 노인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의 비율이 더 높다. 65세 이상 인구는 21,416명(2010년, 고령화 지수 6.87%)이다. 현재, 2010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가장 큰 연령대는 15세에서 24세 사이로, 청소년과 청년층이 우세하여 인구 피라미드가 이전 20년의 피라미드 모양 대신 "벌집" 모양을 띠고 있다. 5–9세(이전)와 10–14세(이후)와 같이 연령대와 관련하여 더 높은 성장을 보이는 다른 단계도 있다. 그러나 80세 이상 인구는 1세 인구와 크게 다르지 않다(4,109명 대 4,376명). 30세 이상에서는 여성의 우세가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이 7세에만 손실을 보는 유아-청소년기와는 반대되는 현상이다. 전체적으로 여성(51.43%)이 160,249명으로 우세하며, 이는 1991년과 유사한 비율이다. 남성은 여성 총 인구보다 9,000명 적은 151,362명(48.57%)이었다. 지난 10년 동안 재정 문제에 대한 청소년 의존도는 절반 이하로 감소했으며, 1991년에는 60%였다.[130][131]

=== 인종 구성 ===

폰타그로사의 인종 구성은 2010년, 2000년, 1991년 인구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보였다.[96][97][99]

인종 구성201020001991
백인78.66%85.16%81.28%
갈색 (혼혈)18%11.57%16.57%
아프리카계 브라질인2.7%2.51%1.64%
아시아계 브라질인0.48%0.2%0.37%
원주민0.17%0.23%0.07%
미신고n/a0.31%0.08%



1990년 인구 조사는 다음 해로 연기되었는데, IBGE는 직원 부족과 불완전한 실현 조건을 이유로 들었다.[98]

상파울루 지역(현재 주)의 1824년 기록에 따르면 백인이 75.1%였으며, 파르도(4.8%)와 자유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0.1%)이 소수를 차지하여 총 80%였다. 성 안나 교구의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백인이 92.52%, 파르도가 6.66%, 아프리카계 브라질인이 0.82%였다. 원주민의 수는 평가되지 않았다. 같은 해, 노예 중 아프리카계 브라질인이 76.52%, 파르도가 23.48%였다. 그러나 매매로 인해 수치가 바뀔 수 있었다. 지도에 원주민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832년부터이며, 1% 미만으로 변동했다.[101]

유럽 식민지화와 다른 지역만큼 많지 않은 노예 제도의 역사로 인해, 심지어 파라나에서도 인구는 주로 백인이다. 신고된 흑인 인구는 카스카벨, 포스 두 이구아수, 상조제두스피냐이스와 같이 인구가 더 적은 도시에 비해 적다. 동시에 백인 수도 이 도시에서 더 적지만, "들판의 공주"와 관련하여 총 인구 수에서 네 번째를 차지하는 비율과 비례한다. 원주민 인구는 인구가 더 많은 마링가보다 크며, 폰타그로사는 주의 두 개의 가장 큰 도시 다음이다. 황색 인구는 파라나의 5대 도시 앞에서 인구 비율이 가장 적으며, 10만에서 20만 명 사이의 도시에 가까운 값을 가지며, 특히 주의 북부에서 일부 파라나의 도시에 의해 능가된다.[102]

자가 보고된 백인 인구는 시 중심부(91.3%)가 가장 높고 시 남부인 카라-카라(72.6%)가 가장 낮다.[100] 흑인 인구는 폰타그로사와 파우메이라의 경계 사이인 산타 크루스와 수틸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곳에서 해안과 첫 번째 고원에서 온 킬롬볼라 난민이다.[103][104]

=== 이민 ===

폰타그로사의 인구 이동은 근접성과 흐름의 지리적 논리를 따랐다.[105] 1823년에서 1879년 사이 폰타그로사 주민 중 상파울루에서 온 사람이 462명(13.5%)으로 가장 많았고, 파라나의 여러 도시에서 온 사람들도 305명(8.9%) 있었다.[105] 파라나 주 내에서는 카스트루가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가장 큰 기여를 했으며, 캄포 라르고, 파우메이라, 라파 등이 그 뒤를 이었다.[105] 히우그란지두술에서도 "트로페이리즘"의 영향으로 파수 푼두, 바카리아 등지에서 사람들이 유입되었다.[105] 최근에는 1990년에서 2010년 사이 중부 지역 중심지로의 흐름 역학의 결과로 주간 이주민을 받아들였다.[106]



19세기와 20세기에는 러시아인, 독일인, 폴란드인, 오스트리아인이 가장 큰 이민자 그룹을 형성했다.[107] 1889년에서 1920년 사이 산타나 등기소의 민사 등기부에 따르면, 이들 국가 출신 신랑이 가장 많았는데, 폴란드인 257명, 독일인 102명, 오스트리아인 64명이었다.[107] 1870년부터 제국은 선진 농업 기술 도입, 인구 감소 지역 문제 해결, 마테차 생산 증가, 노예 노동력 대체, 그리고 기본적인 식량 문제 해결[22][108][109] 등을 위해 유럽 이민을 장려했다.[108][109] 이민자들은 폰타그로사를 프랑스식 "진보"로 만들겠다는 이상을 가지고 유입되었다.[92] 1878년에는 볼가 강 유역의 러시아-독일인 2,831명이 폰타그로사 최초의 옥타비오 식민지에 정착했다.[108][109] 이들은 수확 실패로 인해 더 비옥한 땅을 찾아 이동했고, 소나무 매듭을 이용한 석탄 생산에서 대안을 찾았다.[108][109] 테우타-브라질인 엔히키 틸렌은 안타르티카 양조장의 이사가 되었고, 이탈리아인 에우제니오 보키는 비누 공장 사업가로 활동했다.[108][109] 돔 페드루 2세는 폰타그로사 동부와 북동부의 열악한 토지에 대한 불만을 들었다.[108][109] 구아라우나, 구아라우니냐, 타콰리, 리우 베르데 등 여러 식민지가 옥타비오 식민지와 함께 975명의 인구를 폰타그로사 시 및 인근 지역에 추가했다.[22]

1885년에서 1886년 사이 폰타그로사에 이민 협회가 설립되었고, 연방 정부는 이민 장려와 철도 건설을 담당했다.[108][109] 철도는 상업 발전에 중요했다.[108][109] 19세기 말에는 시리아인들이 도착하여 도로 건설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농업 및 잡화 생산에 참여했다.[108][109] 우바라나스, 도나 루이자, 론다와 같은 지역은 이민자들에 의해 형성되었다.[108][109] 시리아인-레바논인, 유대인, 그리스인은 지역 상업에 중요했으며,[110] 아랍인은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11] 이민자들은 맞춤 양복부터 정육점, 산업 활동에 이르기까지 여러 상업 시설과 서비스를 창출하며 폰타그로사의 사회적 행위자로 부상했다.[92]

폰타그로사는 카스피해 인근 볼가강 하류와 유사한 생물 기후 조건 때문에 선택되었다.[112] 독일 이민자들은 슈트라센도르프를 건설했고,[112] 일부는 도나 프란시스카 식민지에서 재이민했다.[113] 옌스 얀센은 1877년 콜로니아 모에마에서 살다가 폰타그로사로 왔다.[114] 타바레스 바스토스는 종교적 이유로 분리되었다.[114] 알프레도 하인슬러는 볼가 독일인을 지원했고, 1927년 이민 100주년을 기념했다.[115] 모에마, 타바레스 바스토스, 콘차스/우바이야, 도나 루이자 등 여러 식민지가 형성되었고,[116] 가족 농장과 가축 사육이 기반이었다.[115] 많은 이민자들이 도시로 이주했고, 목공 기술은 인정받았다.[92] 실패로 인해 브라질 공화국에는 615가구 중 323가구만 남았고, 돔 페드루 2세는 캄푸스 제라이스의 열악한 토양에 대한 반향을 겪었다.[117] 볼가 독일인은 민족 관습을 유지하도록 격려받았다.[118] 1917년 폰타그로사에는 84명의 독일인이 등록되어 쿠리치바 다음으로 큰 독일인 공동체였다.[119]

폴란드인들은 1878년 독일인들이 떠난 "콜로니아 모에마"에 정착했다.[110] 타르노프에서 온 약 26가구(84명)는 쿠리치바 수도권에서 대기하다가 이 민족 집단의 첫 번째 구성원이 되었다.[110] 1891년 1월에는 더 많은 폴란드인 집단이 도착했다.[110] 폰타그로사 시에 있는 타콰리 식민지(125명), 구아라우나(140명) 등이 그 예이다.[110] 폴란드인들의 유산으로는 예수 성심 교회, 램브레킨, 폴란드 르네상스 협회(1934년에 지어진 댄스 클럽)가 있다.[122] 2017년 폴란드 클럽은 철거 위기에 처했으나 개혁이 결정되었다.[123][125] 캄포스 제라이스 박물관은 2012년에 전통, 민속 춤, 첫 번째 이민자들의 요소, 폴란드 건축을 전시했다.[126] ''피산키'', ''비티난키'', 오플라테크 등도 있었다.[127] 폰타그로사에는 ''소비르즈드르잘 브 파라니''("파라나의 성가신 사람들")가 있었다.[128]

=== 종교 ===

폰타그로사의 주요 정착민은 최초의 정착과 농장 설립 당시 이베리아인과 브라질의 다른 지역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주요 종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이다.[133] 이는 도시의 설립 방식(본당의 위치와 가톨릭교의 수호성인과 관련된 정착지)에도 반영된다.[133] 18세기에 스페인 예수회가 설립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이 캄푸스 제라이스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기 때문에 "들판의 공주"의 역사와도 관련이 있다.[133] 칙령은 성 안나에게 헌신했다.[133] 가톨릭 전통에서 예수의 할머니로 알려진 그녀는 폰타그로사의 수호성인이며, 종교의 강한 영향으로 7월 26일은 시의 공휴일이다.[133] 예배당은 1823년에 ''트로페이루스''의 이전 쉼터에 세워졌으며, 이곳이 마을의 시작을 알리는 곳이다.[133] 종교 유산에 속하는 다른 건물로는 무염시태 교회("우바라나스의 작은 교회")와 예수 성심 교회("폴란드인의 교회")가 있다.[133] 종교 축제는 매년 성령 강림 축제와 성 안나 축제와 같이 열린다.[133] 이 도시에는 부활 수도원과 성경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133]

1929년 12월 16일, 폰타그로사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추기경 엔리케 가스파리가 1930년 2월 23일에 취임했다.[134] 안토니오 마자르토 주교는 신학교수도회수녀와 같은 종교인 양성을 위한 공간을 마련했다.[134] 2003년 9월 5일부터 세르지우 아르투르 브라스키 주교가 폰타그로사 교구의 주교이다.[135]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9,678명이 자신을 로마 가톨릭교도로 식별했다(67.29%).[136] 두 번째로 큰 집단은 일반적으로 74,842명의 신도를 가진 복음주의 교회이다(24.02%).[136] 1,000명 이상의 신자를 가진 소수 종교로는 강령주의 (2.35%),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0.89%), 여호와의 증인 (0.48%) 및 기타 기독교 종교가 합산되었다(0.47%).[136] 수백 명의 사람들이 불교 (0.10%), 움반다 (0.04%), 신비주의 (0.06%), 교황 계층에 복종하지 않는 가톨릭 교회 (0.14%) 및 새로운 동방 종교 전체 (0.04%)를 따른다.[136] 무종교인 수는 시의 주요 비기독교 종교 신자 수보다 많다.[136] 그들은 어떤 신념의 기관과도 관계가 없다고 선언하는 11,422명 (3.67%)인데, 그 중 10분의 1이 조금 넘는 사람들만이 무신론자 (0.29%) 또는 불가지론자 (0.06%)로 식별한다.[136] 두 개 이상의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0.32%에 달하고, 모르는 사람은 0.04%이다.[136] 일반적으로 기독교로 분류되는 종교는 286,414명으로 시 인구의 91.91%를 차지한다.[136] 다른 종교는 4.41%의 값을 더한다.[136]

폰타그로사 종교 (2010년 인구 조사)[132]
종교백분율(%)
기독교91.9
무종교3.7
강령주의2.4
다중 종교 또는 기타0.7



기독교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포르투갈어: ''Semana de Oração pela Unidade Cristã'')과 같은 기독교 종교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행사가 있었다.[137] 에큐메니컬 화해 프로젝트로, 기관 간의 성경적 상징을 포함한다.[137] 시의 교구는 BR-376을 지나 빌라 벨랴 공원을 보고, 길쭉한 원뿔 모양의 구조물을 보는 사람들에게 눈에 띄는 은둔처를 재활성화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138] 제랄두 펠란다 주교가 설계하여 1983년 7월 25일에 성지가 되었다.[138] 이는 종교 관광 프로젝트에 포함된다.[138] 정기적인 미사와 모임, 피정, 행사 등이 개최되어야 한다.[138] 그러나 이는 주의 관련 환경 기관의 기술 분석에 넘어갔다.[138] 2018년 10월 첫째 주 동안, 30만 헤알(77,800달러)의 예산으로 은둔처 개축이 승인되었으며, 지역 관광 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9년에 종교 관광을 위해 재개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139][140] 성지는 197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140]

4. 1. 인종 구성

폰타그로사의 인종 구성은 2010년, 2000년, 1991년 인구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보였다.[96][97][99]

인종 구성201020001991
백인78.66%85.16%81.28%
갈색 (혼혈)18%11.57%16.57%
아프리카계 브라질인2.7%2.51%1.64%
아시아계 브라질인0.48%0.2%0.37%
원주민0.17%0.23%0.07%
미신고n/a0.31%0.08%



1990년 인구 조사는 이듬해로 연기되었으며, IBGE는 직원 부족과 실현 조건이 불완전해 보인다고 밝혔다.[98]

상파울루 지역(현재 주)의 1824년 기록에 따르면 백인이 75.1%였으며, 파르도(4.8%)와 자유 아프리카계 브라질인 (0.1%)이 소수를 차지하여 총 80%에 달했다. 성 안나 교구의 역사적 데이터에 따르면 백인이 92.52%, 파르도가 6.66%, 아프리카계 브라질인이 0.82%였다. 원주민의 수는 평가되지 않았다. 같은 해, 노예 중 아프리카계 브라질인이 76.52%, 파르도가 23.48%였다. 그러나 매매로 인해 수치가 변경될 수 있다. 지도에 원주민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832년부터이며, 1% 미만으로 변동했다.[101]

유럽 식민지화와 다른 지역만큼 많지 않은 노예 제도의 역사로 인해, 심지어 파라나에서도 인구는 주로 백인이다. 신고된 흑인 인구는 카스카벨, 포스 두 이구아수, 상조제두스피냐이스와 같이 인구가 더 적은 도시에 비해 적다. 동시에 백인 수도 이 도시에서 더 적지만, "들판의 공주"와 관련하여 총 인구 수에서 네 번째를 차지하는 비율과 비례한다. 원주민 인구는 인구가 더 많은 마링가보다 크며, 폰타그로사는 주의 두 개의 가장 큰 도시 다음이다. 황색 인구는 파라나의 5대 도시 앞에서 인구 비율이 가장 적으며, 10만에서 20만 명 사이의 도시에 가까운 값을 가지며, 특히 주의 북부에서 일부 파라나의 도시에 의해 능가된다.[102]

자가 보고된 백인 인구는 시 중심부(91.3%)가 가장 높고 시 남부인 카라-카라(72.6%)가 가장 낮다.[100] 흑인 인구는 폰타그로사와 파우메이라의 경계 사이인 산타 크루스와 수틸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곳에서 해안과 첫 번째 고원에서 온 킬롬볼라 난민이다.[103][104]

4. 2. 이민

폰타그로사의 인구 이동은 근접성과 흐름의 지리적 논리를 따랐다.[105] 1823년에서 1879년 사이 폰타그로사 주민 중 상파울루에서 온 사람이 462명(13.5%)으로 가장 많았고, 파라나의 여러 도시에서 온 사람들도 305명(8.9%) 있었다.[105] 파라나 주 내에서는 카스트루가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가장 큰 기여를 했으며, 캄포 라르고, 파우메이라, 라파 등이 그 뒤를 이었다.[105] 히우그란지두술에서도 "트로페이리즘"의 영향으로 파수 푼두, 바카리아 등지에서 사람들이 유입되었다.[105] 최근에는 1990년에서 2010년 사이 중부 지역 중심지로의 흐름 역학의 결과로 주간 이주민을 받아들였다.[106]

19세기와 20세기에는 러시아인, 독일인, 폴란드인, 오스트리아인이 가장 큰 이민자 그룹을 형성했다.[107] 1889년에서 1920년 사이 산타나 등기소의 민사 등기부에 따르면, 이들 국가 출신 신랑이 가장 많았는데, 폴란드인 257명, 독일인 102명, 오스트리아인 64명이었다.[107] 1870년부터 제국은 선진 농업 기술 도입과 인구 감소 지역 문제 해결, 마테차 생산 증가, 노예 노동력 대체, 그리고 기본적인 식량 문제 해결[22][108][109] 등을 위해 유럽 이민을 장려했다.[108][109] 이민자들은 폰타그로사를 프랑스식 "진보"로 만들겠다는 이상을 가지고 유입되었다.[92] 1878년에는 볼가 강 유역의 러시아-독일인 2,831명이 폰타그로사 최초의 옥타비오 식민지에 정착했다.[108][109] 이들은 수확 실패로 인해 더 비옥한 땅을 찾아 이동했고, 소나무 매듭을 이용한 석탄 생산에서 대안을 찾았다.[108][109] 테우타-브라질인 엔히키 틸렌은 안타르티카 양조장의 이사가 되었고, 이탈리아인 에우제니오 보키는 비누 공장 사업가로 활동했다.[108][109] 돔 페드루 2세는 폰타그로사 동부와 북동부의 열악한 토지에 대한 불만을 들었다.[108][109] 구아라우나, 구아라우니냐, 타콰리, 리우 베르데 등 여러 식민지가 옥타비오 식민지와 함께 975명의 인구를 폰타그로사 시 및 인근 지역에 추가했다.[22]

1885년에서 1886년 사이 폰타그로사에 이민 협회가 설립되었고, 연방 정부는 이민 장려와 철도 건설을 담당했다.[108][109] 철도는 상업 발전에 중요했다.[108][109] 19세기 말에는 시리아인들이 도착하여 도로 건설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농업 및 잡화 생산에 참여했다.[108][109] 우바라나스, 도나 루이자, 론다와 같은 지역은 이민자들에 의해 형성되었다.[108][109] 시리아인-레바논인, 유대인, 그리스인은 지역 상업에 중요했으며,[110] 아랍인은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11] 이민자들은 맞춤 양복부터 정육점, 산업 활동에 이르기까지 여러 상업 시설과 서비스를 창출하며 폰타그로사의 사회적 행위자로 부상했다.[92]

폰타그로사는 카스피해 인근 볼가강 하류와 유사한 생물 기후 조건 때문에 선택되었다.[112] 독일 이민자들은 슈트라센도르프를 건설했고,[112] 일부는 도나 프란시스카 식민지에서 재이민했다.[113] 옌스 얀센은 1877년 콜로니아 모에마에서 살다가 폰타그로사로 왔다.[114] 타바레스 바스토스는 종교적 이유로 분리되었다.[114] 알프레도 하인슬러는 볼가 독일인을 지원했고, 1927년 이민 100주년을 기념했다.[115] 모에마, 타바레스 바스토스, 콘차스/우바이야, 도나 루이자 등 여러 식민지가 형성되었고,[116] 가족 농장과 가축 사육이 기반이었다.[115] 많은 이민자들이 도시로 이주했고, 목공 기술은 인정받았다.[92] 실패로 인해 브라질 공화국에는 615가구 중 323가구만 남았고, 돔 페드루 2세는 캄푸스 제라이스의 열악한 토양에 대한 반향을 겪었다.[117] 볼가 독일인은 민족 관습을 유지하도록 격려받았다.[118] 1917년 폰타그로사에는 84명의 독일인이 등록되어 쿠리치바 다음으로 큰 독일인 공동체였다.[119]

폴란드인들은 1878년 독일인들이 떠난 "콜로니아 모에마"에 정착했다.[110] 타르노프에서 온 약 26가구(84명)는 쿠리치바 수도권에서 대기하다가 이 민족 집단의 첫 번째 구성원이 되었다.[110] 1891년 1월에는 더 많은 폴란드인 집단이 도착했다.[110] 폰타그로사 시에 있는 타콰리 식민지(125명), 구아라우나(140명) 등이 그 예이다.[110] 폴란드인들의 유산으로는 예수 성심 교회, 램브레킨, 폴란드 르네상스 협회(1934년에 지어진 댄스 클럽)가 있다.[122] 2017년 폴란드 클럽은 철거 위기에 처했으나 개혁이 결정되었다.[123][125] 캄포스 제라이스 박물관은 2012년에 전통, 민속 춤, 첫 번째 이민자들의 요소, 폴란드 건축을 전시했다.[126] ''피산키'', ''비티난키'', 오플라테크 등도 있었다.[127] 폰타그로사에는 ''소비르즈드르잘 브 파라니''("파라나의 성가신 사람들")가 있었다.[128]

4. 3. 종교

폰타그로사의 주요 정착민은 최초의 정착과 농장 설립 당시 이베리아인과 브라질의 다른 지역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주요 종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이다.[133] 이는 도시의 설립 방식(본당의 위치와 가톨릭교의 수호성인과 관련된 정착지)에도 반영된다.[133] 18세기에 스페인 예수회가 설립한 산타 바르바라 예배당이 캄푸스 제라이스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기 때문에 "들판의 공주"의 역사와도 관련이 있다.[133] 칙령은 성 안나에게 헌신했다.[133] 가톨릭 전통에서 예수의 할머니로 알려진 그녀는 폰타그로사의 수호성인이며, 종교의 강한 영향으로 7월 26일은 시의 공휴일이다.[133] 예배당은 1823년에 ''트로페이루스''의 이전 쉼터에 세워졌으며, 이곳이 마을의 시작을 알리는 곳이다.[133] 종교 유산에 속하는 다른 건물로는 무염시태 교회("우바라나스의 작은 교회")와 예수 성심 교회("폴란드인의 교회")가 있다.[133] 종교 축제는 매년 성령 강림 축제와 성 안나 축제와 같이 열린다.[133] 이 도시에는 부활 수도원과 성경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133]

1929년 12월 16일, 폰타그로사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추기경 엔리케 가스파리가 1930년 2월 23일에 취임했다.[134] 안토니오 마자르토 주교는 신학교수도회수녀와 같은 종교인 양성을 위한 공간을 마련했다.[134] 2003년 9월 5일부터 세르지우 아르투르 브라스키 주교가 폰타그로사 교구의 주교이다.[135]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9,678명이 자신을 로마 가톨릭교도로 식별했다(67.29%).[136] 두 번째로 큰 집단은 일반적으로 74,842명의 신도를 가진 복음주의 교회이다(24.02%).[136] 1,000명 이상의 신자를 가진 소수 종교로는 강령주의 (2.35%),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0.89%), 여호와의 증인 (0.48%) 및 기타 기독교 종교가 합산되었다(0.47%).[136] 수백 명의 사람들이 불교 (0.10%), 움반다 (0.04%), 신비주의 (0.06%), 교황 계층에 복종하지 않는 가톨릭 교회 (0.14%) 및 새로운 동방 종교 전체 (0.04%)를 따른다.[136] 무종교인 수는 시의 주요 비기독교 종교 신자 수보다 많다.[136] 그들은 어떤 신념의 기관과도 관계가 없다고 선언하는 11,422명 (3.67%)인데, 그 중 10분의 1이 조금 넘는 사람들만이 무신론자 (0.29%) 또는 불가지론자 (0.06%)로 식별한다.[136] 두 개 이상의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0.32%에 달하고, 모르는 사람은 0.04%이다.[136] 일반적으로 기독교로 분류되는 종교는 286,414명으로 시 인구의 91.91%를 차지한다.[136] 다른 종교는 4.41%의 값을 더한다.[136]

폰타그로사 종교 (2010년 인구 조사)[132]
종교백분율(%)
기독교91.9
무종교3.7
강령주의2.4
다중 종교 또는 기타0.7



기독교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포르투갈어: ''Semana de Oração pela Unidade Cristã'')과 같은 기독교 종교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행사가 있었다.[137] 에큐메니컬 화해 프로젝트로, 기관 간의 성경적 상징을 포함한다.[137] 시의 교구는 BR-376을 지나 빌라 벨랴 공원을 보고, 길쭉한 원뿔 모양의 구조물을 보는 사람들에게 눈에 띄는 은둔처를 재활성화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138] 제랄두 펠란다 주교가 설계하여 1983년 7월 25일에 성지가 되었다.[138] 이는 종교 관광 프로젝트에 포함된다.[138] 정기적인 미사와 모임, 피정, 행사 등이 개최되어야 한다.[138] 그러나 이는 주의 관련 환경 기관의 기술 분석에 넘어갔다.[138] 2018년 10월 첫째 주 동안, 30만 헤알(77,800달러)의 예산으로 은둔처 개축이 승인되었으며, 지역 관광 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9년에 종교 관광을 위해 재개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139][140] 성지는 197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140]

5. 경제

폰타그로사는 파라나주의 주요 경제 동력 중 하나이다. 폰타그로사의 경제는 항상 농업과 연결되어 있었다. 19세기 말 10년 동안 당시 작은 마을에 도약이 있었는데, 이는 철도 개통 시기였다.[141] 마테차, 대두, 목재, 곡물 등 이 지역에서 재배되던 제품들이 현재 이 시에서 가공되어 산업화의 첫 물결에 진입하고 있다. 팔라디움 쇼핑 센터와 같은 물류 회사 및 쇼핑 센터의 설치는 특히 무역 측면에서 경제를 더욱 강화시켰다.[141]

폰타그로사의 주요 쇼핑 센터인 팔라디움 쇼핑몰 내부


1인당 GDP 측면에서 34,941.59 헤알로 6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아라우카리아 및 상 조제 두스 핀아이스와 같은 경제적 요충지 도시와 비교했을 때 사회적 불평등을 보여준다.[14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값은 벨루오리존치와 근접하며, 이는 불평등이 아직 가장 심각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심지어 남중부 외곽의 다른 도시와 비교해 볼 때 더욱 그렇다. 창출된 부 측면에서 2015년에는 산업이 도시에서 5위를 차지했으며, 서비스(6위)와 농업 부문(17위)을 앞섰고, 총 균형은 부문의 합계에서 7위를 차지했다.[142] 전국 순위에서 도시 기준으로 100대 경제 규모에 속하며(72위).[142] 2015년 GDP는 10,289,960.68 헤알이었다.[142] 2017년에는 6.6조 헤알이었다.[143] 2018년에는 테트라 팩과 마데로의 성장이 있었고, 암베브의 설치도 있었다.[143] 같은 해에 무역 및 서비스는 7위로 떨어졌으며, 폰타그로사 경제 개발 위원회(CDEPG)를 통해 이 부문을 육성하려는 의도가 있다.[144] 폰타그로사는 캄푸스 제라이스 GDP의 56%를 차지하며, 이는 주로 부가가치세(VAT) 때문이다.[145]

1910년에서 1920년 사이에 폰타그로사는 주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갖게 되었다. 경제의 침체는 1940년에 나타났으며, 1929년의 위기에도 이 도시는 스스로를 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삼림 벌채의 희생자였으며, 토착 식물뿐만 아니라 부에노스아이레스와 런던에 판매된 파라나의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이 시는 기계화, 자본 집중, 생산 요소 및 작업의 분업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폰타그로사의 산업 지구는 동부 파라나에 대한 개발 프로젝트를 쿠리치바와 공유해야 했지만, 실제로는 산업을 파라나의 수도에 집중시키고 농업과 관련된 공장을 내륙에 남겨두었다.[146] 산업 지구는 1971년 도시 남부의 카라-카라 인근에 조성되었다. 시청은 산업에 소유권을 부여한다. 1970년대 말 폰타그로사는 대두의 주요 농업 산업 가공 중심지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1987년까지는 보투콰라 산업 지구로 불렸지만, 그해부터 키로 마르틴 시장 산업 지구가 되었다. 1992년에는 계획된 공동체가 BR-376의 쿠리치바 방향 오른쪽 강변 대부분을 산업 구역으로 지정했다. 2001년과 2007년 사이에 산업이 차지하는 면적이 54.43% 증가했다.[147]

2010년과 2015년 사이에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정규직이 상당히 증가했다. 34,650개에서 39,261개로 13.3% 증가했다. 무역 부문에서만 2010년과 2017년 사이에 15.6% 증가했으며, 정규직은 각각 20,199개에서 23,353개로 증가했다.[148]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1,137개의 일자리가 생겼다. 2016년 6월과 2017년 6월 사이의 수치는 이 수치의 3분의 1도 안 된다. 서비스 부문이 특히 두드러지며, 제조업 다음으로 40개 이상의 산업이 증가했다.[149]

현재 폰타그로사는 파라나주에서 수출입 규모가 다섯 번째로 큰 도시이며, 수억 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수출은 2018년 대비 136.5% 증가했고, 수입은 19.4% 증가하여 긍정적인 무역 수지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이 시로 수출되는 제품의 80.9%가 중국과 유럽으로 향한다. 같은 비율로 생산의 결과인 대두가 국제 흐름을 주도하며, 콩 가루, 비분쇄 곡물 또는 순수 오일 형태로 수출된다. 수입의 37.3%는 기계, 전기 재료 등에서 발생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차량 부품 및 액세서리 수입이 증가했다. 개별적으로 고려할 때, 유럽 국가는 중국 구매자보다 폰타그로사 시민의 주요 파트너이다. 최근 메르코수르와 유럽 연합 간의 파트너십이 강화되었으며, 이는 구스타보 리바스 네토 폰타그로사 농촌 연합 회장에 따르면 세계 경제의 1/4을 차지한다.[150]

5. 1. 산업

2006년 파라나시데 시립 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폰타그로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매업이지만 소매업 사업체 수가 훨씬 더 많다.[151] 폰타그로사는 파라나 주에서 두 번째로 큰 산업 중심지로 여겨지며, 이 지역의 자본 이동은 2018년 기준 118억 헤알에 달한다.[151] 캄푸스 제라이스 GDP의 50% 이상이 폰타그로사에서 나오며, 시의 수입 균형은 거의 50억 헤알이다.

폰타그로사 시의 경제 활동 분포 (2006년)[151]
부문총 사업체 수관련 협회 참여율(%)
산업6100.5
소매업33540.54
도매2050.68
서비스7310.55



2014년 이후의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폰타그로사는 텔레마코 보르바와 자구아리아이바를 포함하여 총 1693개의 변환 산업만 가지고 있었다. 2018년까지 이 도시에는 7061개의 산업이 있었으며, 61%의 참여는 다섯 번째로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같은 지역의 다른 도시에 비해 더 큰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엔트로카멘토의 역할, 쿠리치바와의 근접성, 그리고 파라나과 항구가 주의 더 큰 내륙 공원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은 강력한 제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2017년 폰타그로사에서만 56개의 수출 회사가 있었으며, 이 지역 전체에 159개의 공장이 있다. 벙게 리미티드(Bunge)는 이 도시에 설치되어 파라나 주에서 네 번째로 큰 수출업체였다. 2017년 자료에 따르면, 폰타그로사는 아라우카리아, 론드리나, 카스카벨 및 이구아수 폭포와 같은 도시보다 앞선 주에서 네 번째로 큰 수출업체(10억 5천만 헤알)이다. 동시에, 그것은 다섯 번째로 큰 수입업체(2억 8천 3백 2십만 헤알)이다. 루이 드레퓌스 컴퍼니(Louis Dreyfus Company), 카길(Cargill) 농업, 벙게 리미티드(Bunge Foods), BIOSEV (루이 드레퓌스 컴퍼니(Louis Dreyfus Company)), 테트라 팩 브라질, COFCO 그룹(COFCO Brazil) 및 중국식품 유한공사(COFCO Internacional), 루이지애나-퍼시픽(LP Brazil), 크라운 홀딩스(Crown Embalagens), 마키타(Makita) 공구, 콘티넨탈 AG(Continental of the Brazil), 하이네켄 및 메르지오날 TCS 양조장은 5천만 헤알 이상을 수출하며 때로는 1억 헤알을 넘기도 하는 회사들로, 총 3억 3천만 헤알에 달한다.

5. 2. 농업

폰타그로사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세계 콩의 수도" (포르투갈어: ''Capital Mundial da Soja'')로 여겨졌다.[157] 1971년과 1980년 사이에는 산브라(Sanbra)가 주최한 콩 여왕 선발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157] 이 대회는 콩을 경제적 잠재력과 생산성을 가진 작물로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158] 슈샤 메네겔은 유명해지기 전 콩 여왕 후보로 이 대회에 참여했다.[159]

2015년 빌손 힐렘베르크는 아들 앨리슨 힐렘베르크와 함께 생산성 극대화 챌린지를 통해 헥타르당 142포대의 콩을 수확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그해 브라질에서 가장 많은 유지작물 생산 기록이다. 평균 생산량은 40~60 포대이다. 힐렘베르크 가족은 헥타르당 179 포대라는 세계 기록을 깨고 싶다고 밝혔다.[160] 2017년과 2019년 사이, 매 작물당 200만 톤 이상의 콩이 생산되었다. 콩은 와 기름과 같은 파생 상품으로도 가공되며,[161] 폰타그로스 제품은 2018년 기준 31억 4천만 달러 규모로 해외로 수출되었으며, 주요 목적지는 중국이었다. 콩 가공은 벙기(Bunge), 카길, 니데라, 루이 드레퓌스(Louis Dreyfus) 및 코프코(Cofco)의 5개 회사에 집중되어 있다.[162]

주요 작물은 땅콩, 쌀, 강낭콩, 카사바, 옥수수 및 콩이다.[141] 가족 농장은 파라나 기술 지원 및 농촌 확대 연구소(EMATER)에서 기술 지원, 묘목 및 종자 기증 등의 지원을 받는다.[163] 소규모 농산물은 공립학교,[164] ''Feira Verde'' (녹색 박람회),[165]대대[166] 등에 공급된다. ''Feira Verde''는 재활용품을 음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2019년에는 18명의 생산자가 참여했다.[165] 폰타그로사 시에는 ''콘차스 벨하스 생태 농업 가족 협회''가 있으며, 이 협회는 연방 정부 프로그램에 따라 식품을 구매하여 교육 기관에 배포한다. 2008년 우바이아 지역에서 설립되었으며, 2010년과 2015년 사이에 854명의 농부가 프로그램에 참여했다.[167]

5. 3. 상업 및 서비스

2006년 파라나시데 시립 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폰타그로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매업이지만 소매업 사업체 수가 훨씬 더 많다.[151]

폰타그로사 시의 경제 활동 분포 (2006년)[151]
부문총 사업체 수관련 협회 참여율(%)
산업6100.5
소매업33540.54
도매2050.68
서비스7310.55



상업 및 서비스 부문은 자체적인 특성으로 인해 가장 많은 노동력을 차지하며, 폰타그로사만의 가치만 고려하더라도 캄푸스 제라이스 VAT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주로 상업 및 차량 수리 때문).[151] 2000년 IPARDES 데이터에 따르면 시의 상업 및 서비스 활동의 역동성이 낮아 다른 주의 중소 도시에 비해 부가가치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더 강력한 2차 산업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대도시와 비교해도 그러하다. 1998년에는 지역 최대 규모의 무역 회사 4개만이 있었고, 이는 과세되는 가치가 낮은 원인이 되었다.[146]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4년에는 무역 및 수리 서비스가 전체 사업 구조의 55.83%를 차지했다. 도시화 정도에 따라 이 부문은 인근 자치구보다 규모가 큰 농업보다 더 두드러진다.[168] 폰타그로사는 이미 5,300개의 상업 및 서비스 분야에서 5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141] 3차 산업의 공식 일자리 점유율은 2001년에 67.2%에 달했으며, 1940년대부터 이 수치는 증가해 왔지만 1980년대에는 산업의 빠른 확장에 따른 감소가 있었지만 20세기 말에 노동자 편입으로 다시 성장했다.[169]

6. 관광

폰타그로사 엽서, 빌라 벨랴 컵(Taça de Vila Velhapt).


폰타그로사에는 여러 관광 명소가 있지만,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은 빌라 벨랴 주립공원이다. 출장이 도시 방문객의 대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170] 관광 측면에서 이 도시는 파라나주의 캄푸스 제라이스 지역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마케팅 & 관광 잡지는 빌라 벨랴, 파드르 구멍, 독일인 정착지, 성 안나 대성당, 아바디아 다 헤수레이상 등을 마케팅과 관련하여 자연, 역사, 문화 및 종교 관광을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명소로 꼽고 있다. 2018년 TripAdivisor 평가에서 카스카벨, 파라나과와 함께 파라나주의 세 번째 관광 계층 그룹에 속했다.[171] 폰타그로사 시청은 7개의 자연 명소, 11개의 종교 명소, 11개의 기념물, 3개의 박물관 및 16개의 기타 건물(도서관, 폐쇄된 기차역, 역사 및 문화 유적 포함)을 목록으로 작성했다.[172] 시에는 2011년부터 이 지역 사회가 정치적 경계 내의 관광 명소를 방문하도록 하는 "Conhecendo PG"(Knowing PG영어, PG알기) 프로젝트가 있으며, 폰타그로사 주립 대학교의 시 관광 비서, 관광 부서 및 VCG 버스 회사가 주최한다. 이 방문에는 명소의 보존과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학자들이 동행한다.[173][174]

2011년에 폰타그로사가 파라나 주에서 네 번째로 관광 유치 시로 선언되었지만, 공식적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몇 가지 장애물은 대부분 장소의 기반 시설 및 접근성이며, 더 나아가 더 큰 마케팅의 필요성이 있다.[175]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해에 이 도시는 주요 관광 행사 중 하나인 브라질 국제 관광 교환(Brite)에 처음으로 참여했다.[176] 아직 완전히 개발되지 않았지만, 농촌 관광은 지난 세기에 성장해 왔다. 2001년부터 주로 방문객을 맞이하기 시작한 농촌 생산자들의 자격이 주어졌으며, 와이너리, 치즈 제조, 텃밭 및 젤리, 보존 식품, 식민지 커피, 설탕 절임 사탕 제조, 수확, 자연 명소 접근 등이 가능해졌다.[177]

== 빌라 벨랴 주립공원 ==

빌라 벨랴 주립 공원은 1953년 10월 12일에 설립되었으며, 1966년 1월 18일에 파라나 주의 역사 및 예술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78][179][180] 2002년과 2004년 사이에는 재활성화를 위해 폐쇄되었다. BR-376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폰타 그로사에서 약 28km, 쿠리치바에서 84km 떨어져 있다. 이 공원은 브라질 법에 따라 보존 구역으로, 파라나 환경 연구소에서 관리한다.

"Furna 1"으로 알려진 파노라마 엘리베이터가 있는 Furna


대부분의 경로는 산책로를 통해 방문이 이루어진다. 관광객의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은 침식과 풍화로 인해 형성된 노출된 사암의 특징(종종 물체를 닮음)이다. 이들은 3억 6천만 년 전 석탄기 시대에 모래 퇴적물에 형성되었으며, 주된 원인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물의 작용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지역에는 "분화구와 유사한 함몰"인 furnas도 있으며, 이 장소에는 6개의 furnas가 있지만 그 중 2개만 방문이 가능하다. 그 중 하나에는 파노라마 엘리베이터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공원에는 Lagoa Dourada가 있는데, 이 또한 계곡으로, 범람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Guabiroba 강에서 유입된 물질로 인해 매립되었다. Lagoa Tarumã에서 일어나는 일과 유사하다. 이름은 이 장소에 존재하는 광물 운모에 햇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붙여졌다.[178][179][180]

2020년 2월 19일, 주지사 라틴요 주니어 (PSD)의 승인을 받아 공원 인프라에 대한 민간 사업이 허가되었다. Eco Parques do Brasil S/A는 30년 동안 사업을 진행하게 되지만, 환경 자원 관리는 계속 공공으로 유지될 것이다.[181] 나무 오르기, 자전거 타기 및 짚라인과 같은 활동이 구현되어야 한다. 티켓 판매, 유지 보수, 모니터링 및 필요한 모든 지원은 입찰에서 승리한 회사의 의무 중 하나이다.[182] 그러나 일부 교수와 연구자들은 관리가 공공 부문에만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83] 하지만 가능한 한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면서, 위치에 적응하는 한, 가시성과 방문객 측면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184]

== 부라코 두 파드레 ==

부라쿠 두 파드레는 빌라 벨랴 주립공원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푸르나(furna)로, 지하 침식에 의해 형성되며, 사암 광물의 용해와 단층 및 균열의 방향이 특징 형성에 기여한다.[185][186] 폰타그로사 시내에서 24km 떨어진 알바로 셰퍼 소유의 사유지에 위치해 있으며, 빌라 벨랴 보호 구역과 비교적 가깝다.[185][186][187][188] 접근은 PR-513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타이아코카와 연결되지만 도로의 일부는 포장되지 않았다.[185][187][188]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20세기 후반에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높고 한적한 고원에 위치해 있어 종교인들이 수련을 위해 사용했고, 따라서 신성과의 가장 친밀하고 개인적인 접촉을 위한 장소로 여겨졌다.[185][187][188] 이 명소는 캄포스 제라이스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데본 절벽의 완전 보호 구역과 마찬가지로, 관찰, 산책로 걷기, 수영과 같은 공공 이용이 가능하다.[185][188] 내부에는 폰타 그로사 아치에 의해 제어되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케브라-페드라 강을 통해 25m 높이의 폭포가 있다.[185][186] 상류 50m 지점에는 또 다른 작은 푸르나가 있다.[185]

2010년대 중반에 산책로와 접근 도로를 유지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187][188] 화장실, 나무 산책로, 그리고 동식물에 대한 주의를 알리는 여러 안내문과 음식 섭취 장소가 재정비되었다.[189] 물건 절도, 기물 파손, 소음 문제도 있었다.[189]

6. 1. 빌라 벨랴 주립공원

빌라 벨랴 주립 공원은 1953년 10월 12일에 설립되었으며, 1966년 1월 18일에 파라나 주의 역사 및 예술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78][179][180] 2002년과 2004년 사이에는 재활성화를 위해 폐쇄되었다. BR-376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폰타 그로사에서 약 28km, 쿠리치바에서 84km 떨어져 있다. 이 공원은 브라질 법에 따라 보존 구역으로, 파라나 환경 연구소에서 관리한다.

대부분의 경로는 산책로를 통해 방문이 이루어진다. 관광객의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은 침식과 풍화로 인해 형성된 노출된 사암의 특징(종종 물체를 닮음)이다. 이들은 3억 6천만 년 전 석탄기 시대에 모래 퇴적물에 형성되었으며, 주된 원인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물의 작용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지역에는 "분화구와 유사한 함몰"인 furnas도 있으며, 이 장소에는 6개의 furnas가 있지만 그 중 2개만 방문이 가능하다. 그 중 하나에는 파노라마 엘리베이터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공원에는 Lagoa Dourada가 있는데, 이 또한 계곡으로, 범람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Guabiroba 강에서 유입된 물질로 인해 매립되었다. Lagoa Tarumã에서 일어나는 일과 유사하다. 이름은 이 장소에 존재하는 광물 운모에 햇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붙여졌다.[178][179][180]

2020년 2월 19일, 주지사 라틴요 주니어 (PSD)의 승인을 받아 공원 인프라에 대한 민간 사업이 허가되었다. Eco Parques do Brasil S/A는 30년 동안 사업을 진행하게 되지만, 환경 자원 관리는 계속 공공으로 유지될 것이다.[181] 나무 오르기, 자전거 타기 및 짚라인과 같은 활동이 구현되어야 한다. 티켓 판매, 유지 보수, 모니터링 및 필요한 모든 지원은 입찰에서 승리한 회사의 의무 중 하나이다.[182] 그러나 일부 교수와 연구자들은 관리가 공공 부문에만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83] 하지만 가능한 한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면서, 위치에 적응하는 한, 가시성과 방문객 측면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다.[184]

6. 2. 부라코 두 파드레



부라쿠 두 파드레는 빌라 벨랴 주립공원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푸르나(furna)로, 지하 침식에 의해 형성되며, 사암 광물의 용해와 단층 및 균열의 방향이 특징 형성에 기여한다.[185][186] 폰타그로사 시내에서 24km 떨어진 알바로 셰퍼 소유의 사유지에 위치해 있으며, 빌라 벨랴 보호 구역과 비교적 가깝다.[185][186][187][188] 접근은 PR-513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타이아코카와 연결되지만 도로의 일부는 포장되지 않았다.[185][187][188]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20세기 후반에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높고 한적한 고원에 위치해 있어 종교인들이 수련을 위해 사용했고, 따라서 신성과의 가장 친밀하고 개인적인 접촉을 위한 장소로 여겨졌다.[185][187][188] 이 명소는 캄포스 제라이스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데본 절벽의 완전 보호 구역과 마찬가지로, 관찰, 산책로 걷기, 수영과 같은 공공 이용이 가능하다.[185][188] 내부에는 폰타 그로사 아치에 의해 제어되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케브라-페드라 강을 통해 25m 높이의 폭포가 있다.[185][186] 상류 50m 지점에는 또 다른 작은 푸르나가 있다.[185]

2010년대 중반에 산책로와 접근 도로를 유지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187][188] 화장실, 나무 산책로, 그리고 동식물에 대한 주의를 알리는 여러 안내문과 음식 섭취 장소가 재정비되었다.[189] 물건 절도, 기물 파손, 소음 문제도 있었다.[189]

6. 3. 상 조르지 강 협곡과 폭포

7. 문화

씨네 테아트로 오페라(Cine Teatro Opera). 이 곳은 전국 아마추어 연극 축제 뿐만 아니라 연극 행사도 개최한다.


폰타 그로사에는 3개의 극장, 영화관, 미술관, 시각 예술 및 음악 전시회와 행사를 위한 공간이 있다. 폰타 그로사 주립 대학교(UEPG)는 시각 예술 및 음악 전공을 제공한다. 또한 이 도시에는 폰타 그로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파울리모 마틴스 음악 학교도 있다.

박물관

  • 캄푸스 게라이스 박물관
  • 에포크 박물관
  • 이집트 박물관
  • 카사 다 메모리아 파라나


극장

  • 오페라 극장
  • 마리스타 극장
  • 팍스 극장


영화관

  • 멀티플렉스 팔라디움
  • 시네마 루미에르

7. 1. 박물관

7. 2. 극장

8. 교육

폰타그로사에는 두 개의 공립 대학이 있다. 폰타그로사 주립 대학교(UEPG)와 파라나 연방 기술 대학교(UTFPR)가 있으며, 두 기관 모두 브라질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지역에서 학부 및 대학원생을 유치하고 있다. 또한 파쿨다데스 우니앙, 파쿨다데스 산타 아멜리아 e 산타나, 센트로 데 엔시노 수페리올 도스 캄포스 제라이스 및 센트로 우니베르시타리오 캄포스 데 안드라데의 캠퍼스와 같은 사립 대학도 있다.

9. 스포츠

지역 축구팀은 오페라리우 페호비아리우 에스포르치 클루비이다.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폰타그로사 에스포르치 클루비도 있었다.

10. 행정

1931년 12월 5일, 폰타그로사는 콩차스 구를 인수했다.[31] 1936년과 이듬해의 서신에서 이타이아코카가 또 다른 구로 나타났으며, 1938년 3월 31일에는 세라도로 개칭되었다가[31] 같은 해 10월 20일에 이전 이름으로 돌아갔다.[31] 1943년 12월 30일, 콩차스는 우바이아로 알려지게 되었다.[31] 1957년 9월 11일, 멸망한 앙트르 히오스라는 자치구였던 과라지 구가 파우메이라에 편입되었다.[31] 1962년 3월 13일(주 법률 제4,556호)에 피리키토스 구가 설립되어 21세기까지 구로 남아있다.[31] 오늘날, 본부를 포함해 총 4개 구가 존재한다.[31]

시정부는 시장과 시장 비서실로 구성된 행정부와 시의회로 대표되는 입법부로 구성된다. 현 시장(임기 2021–2024)은 엘리자베스 슈미트(PSD)이다.[190] 폰타그로사 시는 4년 임기로 선출된 14명(또는 15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icroregion of Ponta Grossa https://www.cidade-b[...] 2018-08-30
[2] 웹사이트 IBGE https://cidades.ibge[...]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2019-04-29
[3] 웹사이트 IBGE https://cidades.ibge[...]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2018-08-30
[4] 웹사이트 Ponta Grossa passa de 350 mil habitantes, aponta IBGE https://arede.info/p[...] 2020-04-29
[5] 뉴스 Ponta Grossa, a princesa dos Campos Gerais, comemora 193 anos na quinta http://g1.globo.com/[...] 2018-08-30
[6] 논문 Sedimentação quaternária no espaço urbano de Ponta Grossa, Pr https://www.research[...] 2003-01-01
[7] 논문 Expansão Urbana e Desigualdade Socioespacial: Uma Análise da Cidade de Ponta Grossa (Pr) 2011-11-03
[8] 웹사이트 Unforgettable places to visit in Paraná https://www.bonde.co[...] 2017-08-23
[9] 뉴스 Ponta Grossa e sua natureza caprichosa {{!}} Arquivo Tribuna, Viagem e Turismo {{!}} Tribuna PR – Paraná Online https://www.tribunap[...] 2018-08-30
[10] 간행물 Campos Gerais Path 2017
[11] 뉴스 Ponta Grossa é indústria http://www.revistaid[...] 2018-08-30
[12] 뉴스 PG tem o 2º maior PIB industrial do interior do PR http://m.arede.info/[...] 2018-08-30
[13] 웹사이트 Economia de PG cresce acima da média nacional https://arede.info/p[...] 2020-04-29
[14] 웹사이트 Origem do Nome http://www.pontagros[...] 2018-08-30
[15] 웹사이트 Por que a cidade de Ponta Grossa tem esse nome? {{!}} Blog do Curioso, por Marcelo Duarte https://guiadoscurio[...] 2018-08-30
[16] 웹사이트 Tourism Booklet https://www.pontagro[...] Coordination of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Program for the Tourism Sector of Ponta Grossa 2018-09-04
[17] 뉴스 Historiador conta sobre a origem de Ponta Grossa http://m.arede.info/[...] 2018-09-02
[18] 웹사이트 História de Ponta Grossa {{!}} The Cities https://www.thecitie[...] 2018-09-03
[19] 웹사이트 Você sabe o que são tropeiros e a sua importância? {{!}} Conceito Sertanejo http://www.conceitos[...] 2018-09-03
[20] 웹사이트 História da Cidade http://www.pontagros[...] 2018-09-03
[21] 서적 O Paraná e seus municípios Maringá: Memória Brasileira Publish Company 1996
[22] 학위논문 Introdução à história da arquitetura de Ponta Grossa / PR: as casas de madeira – 1920 a 1950 http://www.teses.usp[...] Universidade de Sao Paulo Sistema Integrado de Bibliotecas – SIBiUSP 2007-03-22
[23] 웹사이트 MEMÓRIA E HISTÓRIA: CAPELA SANTA BÁRBARA DO PITANGUI http://www.histedbr.[...] 2018-09-11
[24] 웹사이트 Foreigners in the Settlement http://www.diocesepo[...] 2018-09-02
[25] 웹사이트 SIGEP – Sitio 029 – VILA VELHA http://vsites.unb.br[...] Geological and Palaeontological Sites of Brazil 2018-09-02
[26] 웹사이트 Estação Saudade https://www.thecitie[...] 2019-08-20
[27] 웹사이트 Professional Railway School Cel. Tibúrcio Cavalcanti de Ponta Grossa (1940–1973) A Model of Education Professional http://www.histedbr.[...] Campinas State University 2018-09-02
[28] 웹사이트 Ponta Grossa: History and Historiography in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Crossroads. http://www.cih2015.e[...] 2018-09-03
[29] 뉴스 Paraná on the route of the revolutionaries https://www.gazetado[...] 2018-09-02
[30] 웹사이트 Ponta Grossa, a "Princesa dos Campos" – Notícias – Fiep – Nosso Sistema http://www.fiepr.org[...] 2018-09-04
[31] 웹사이트 History of Ponta Grossa https://cidades.ibge[...] Brazilian Institute of Geography and Statistics 2018-09-03
[32] 논문 Espaços Livres Em Ponta Grossa-Pr: Mapeamento e Quantificação 2016-05-14
[33] 웹사이트 Environmental Aspects https://www.pontagro[...]
[34] 웹사이트 Localização http://www.pontagros[...] 2018-08-30
[35] 웹사이트 Você conhece a história da região dos Campos Gerais? https://www.diariodo[...] 2018-09-01
[36] 웹사이트 Regional Readings: Geographical Meso-Regions of Paraná http://www.ipardes.g[...] IPARDES/Government of Paraná 2018-09-01
[37] 웹사이트 class_clim – Instituto Agronômico do Paraná http://www.iapar.br/[...] 2018-08-30
[38] 웹사이트 Classclim_apresentacao – Instituto Agronômico do Paraná http://www.iapar.br/[...] 2018-08-30
[39] 웹사이트 Clima: Ponta Grossa: Climograma, Temperatura e Tabela climática Ponta Grossa - Climate-Data.org https://pt.climate-d[...] 2018-08-31
[40] 웹사이트 Plant Hardness – South America https://davisla.file[...]
[41] 웹사이트 Mapeamento Dos Plantios Florestais do Estado do Paraná – Pinus e Eucalptus http://www.florestas[...]
[42] 간행물 Clima urbano em Ponta Grossa – PR: uma abordagem da dinâmica climática em cidade média subtropical brasileira http://www.teses.usp[...] Universidade de Sao Paulo Sistema Integrado de Bibliotecas 2009-11-26
[43] 웹사이트 Historic Serie of the Ponta Grossa (minimum temperaure) http://www.inmet.gov[...] 2018-08-30
[44] 웹사이트 Historic Serie (maximum temperature) http://www.inmet.gov[...]
[45] 웹사이트 Serie Historic – Precipitation (mm) http://www.inmet.gov[...] 2018-08-30
[46] 웹사이트 Serie Historic – Humidity http://www.inmet.gov[...] 2018-08-30
[47] 문서 O dia começou com neve em Ponta Grossa – G1 Paraná – Paraná TV 1ª Edição – Vídeos – Catálogo de Vídeos http://g1.globo.com/[...] 2018-08-31
[48] 웹사이트 Snow of 1975: a pleasant surprise http://www.bemparana[...] 2018-08-30
[49] 뉴스 Onda de frio de Julho/1981 http://meteobrasil.c[...] 2018-08-31
[50] 저널 A neve em Palmas/PR: da reconstituição histórica à abordagem dinâmica https://repositorio.[...] 2018-09-16
[51] 뉴스 Tornado atinge Ponta Grossa (PR) http://g1.globo.com/[...] 2018-09-25
[52] 뉴스 Ponta Grossa amanhece com neblina intensa http://m.arede.info/[...] 2018-09-25
[53] 웹사이트 Neblina pode ter sido causa de acidente na Souza Naves https://www.diariodo[...] 2018-09-25
[54] 뉴스 Nevoeiro impediu que Alok pousasse para fazer show http://m.arede.info/[...] 2018-09-25
[55] 뉴스 Neblina provoca engavetamento e mortes no Paraná – Brasil – Estadão https://brasil.estad[...] 2018-09-25
[56] 웹사이트 Nevoeiro desfalca XXXperience e TribalTech; entenda o caso https://www.phouse.c[...] 2018-09-24
[57] 웹사이트 Atlas climático da Região Sul do Brasil: Estados do Paraná, Santa Catarina e Rio Grande do Sul. https://ainfo.cnptia[...] EMBRAPA 2024-05-25
[58] 웹사이트 Medias_Historicas - Ponta Grossa https://www.idrparan[...] IDR-Paraná 2024-05-25
[59] 웹사이트 Normais Climatológicas do Brasil 1961–1990 http://www.inmet.gov[...] Instituto Nacional de Meteorologia 2015-07-04
[60]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al heritage of the Campos Gerais of Paraná http://www.uepg.br/n[...] 2018-09-04
[61] 저널 A política ambiental para a região dos Campos Gerais do Paraná 2009-10-03
[62] 저널 Unidades de Conservação da Região Dos Campos Gerais, Paraná http://177.101.17.12[...] 2001
[63] 문서 Solos, Clima e Vegetação da Região de Campos Gerais https://www.research[...] Embrapa Solos 2018-09-04
[64] 웹사이트 Atlas Geomorfológico do Paraná http://www.mineropar[...]
[65] 웹사이트 Geodiversity of Ponta Grossa – Base for Tourism and Education http://files.geocult[...] 2018-09-02
[66] 저널 Caracterização Dos Indicadores Geomorfológicos Na Bacia Hidrográfica do Rio Verde, Ponta Grossa – Pr 2017-09-01
[67] 웹사이트 Folha de Ponta Grossa – Diretoria de Geologia (Mineropar) – Instituto de Terras, Cartografia e Geologia do Paraná http://www.mineropar[...] 2018-09-02
[68] 웹사이트 Structural Analysis of Machine Dames Eocretaceos of South-South Brazil http://www.teses.usp[...] University of Sao Paulo 2018-09-02
[69] 저널 Geomorfologia da quadrícula de Ponta Grossa, PR – uma ênfase aos recursos geotecnológicos utilizados http://www.periodico[...] 2010-12-23
[70] 웹사이트 Parque Estadual Vila Velha – Diretoria de Geologia (Mineropar) – Instituto de Terras, Cartografia e Geologia do Paraná http://www.mineropar[...] 2018-09-02
[71] 논문 Sandstone dissolution landforms in the Furnas Formation, southern Brazil 2007
[72] 논문 Água Subterrânea No Gráben de Ponta Grossa, Pr 2015-10-13
[73] 웹사이트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nta Grossa, PR http://www.pitangui.[...] UEPG Geography Week
[74] 웹사이트 Quality of Underground Water in the Ponta Grossa (PR) Graben Region http://www.pitangui.[...] UEPG Geography Week 2018-09-07
[75] 웹사이트 Dicionário Histórico e Geográfico dos Campos Gerais: Arco de Ponta Grossa http://www.uepg.br/d[...] 2018-10-07
[76] 논문 Arcabouço e evolução estrutural do arco de Ponta Grossa no grupo Sao Bento (mesozóico) : implicações na hidrodinâmica do sistema aqüífero guarani e na migração de hidrocarbonetos na Bacia do Paraná https://acervodigita[...] 2002
[77] 논문 Episódios Intrusivos No Arco de Ponta Grossa, Determinados Através de um Estudo Paleomagnético http://www.ppegeo.ig[...] 2017-08-03
[78] 웹사이트 Lineamentos Estruturais da Borda Oriental da Bacia Sedimentar do Paraná: Um Estudo Entre Carambeí e Ponta Grossa, Nos Campos Gerais do Paraná http://www.periodico[...] 2018-10-07
[79] 웹사이트 Drainage basin of the Paraná http://www.meioambie[...] 2018-08-31
[80] 웹사이트 Águas de Ponta Grossa {{!}} The Cities https://www.thecitie[...] 2018-08-31
[81] 웹사이트 Environmental Aspects https://www.pontagro[...] Master Plan of Ponta Grossa 2018-08-31
[82] 서적 Almanaque Brasil Socioambiental https://books.google[...] Instituto Socioambiental 2008
[83] 논문 Relevo e hidrografia dos Campos Gerais http://ri.uepg.br/ri[...] 2007
[84] 논문 Análise do programa de despoluição ambiental da bacia hidrográfica do Arroio Olarias do município de Ponta Grossa – PR http://www.uel.br/re[...] 2010-12-15
[85] 논문 A Paisagem do Rio Pitangui Em Seu Curso Superior, No Primeiro Planalto Paranaense https://www.research[...] 2012-03-28
[86] 웹사이트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supply water in the Pitangui, Paraná http://sec.sbq.org.b[...] Department of Chemistry, State University of Ponta Grossa 2018-08-31
[87] 논문 Políticas públicas e arroios urbanos em Ponta Grossa/Paraná uma análise a partir dos planos diretores http://tede2.uepg.br[...] 2010-06-17
[88] 논문 A Ocupação Irregular da Bacia do Arroio da Ronda, Em Ponta Grossa – PR, Como Fator de Influêmcoa Mas Suas Características Ambientais https://www.research[...] 2018-09-02
[89] 웹사이트 Paraná 1990– Projeção da População http://www.ipardes.g[...]
[90] 웹사이트 PROJEÇÃO DA POPULAÇÃO TOTAL DOS MUNICÍPIOS DO PARANÁ PARA O PERÍODO 2016-2030 - ALGUNS RESULTADOS http://www.ipardes.p[...] 2018-09-05
[91] 웹사이트 A populaçao de Ponta Grossa a partir do Registro Civil – 1889–1920 https://www.acervodi[...] 2012-08-28
[92] 논문 De Colonos Desejados a Moradores Indesejados: Um Estudo Sobre a Identidade e Sociabilidade Entre Imigrantes (Ponta Grossa-Pr, Final do Século Xix) 2011
[93] 웹사이트 Demographic growth and living conditions in the city of Ponta Grossa (PR): aspects of unequal urbanization http://livros01.livr[...] Postgraduate Program in Applied Social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Ponta Grossa.
[94] 웹사이트 O Processo de Favelização Na Cidade de Ponta Grossa (PR): Notas Sobre a Dinâmica Recente (1989–2004) https://www.research[...] 2006-08-01
[95] 웹사이트 The Irregular Occupation of the Ronda Little Stream Basin, in Ponta Grossa – PR, As Factor of Influence in Its Ambient Characteristids http://www2.fct.unes[...] II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rarian Geography – Jornada Ariovaldo Umbelino de Oliveira 2018-09-05
[96] 웹사이트 Tabela 2094: População residente por cor ou raça e religião https://sidra.ibge.g[...] 2018-09-24
[97] 웹사이트 Tabela 2094: População residente por cor ou raça e religião https://sidra.ibge.g[...] 2018-09-24
[98] 서적 Shades of Citizenship: Race and the Census in Modern Politics https://books.google[...]
[99] 웹사이트 Tabela 136: População residente, por cor ou raça https://sidra.ibge.g[...] 2018-09-25
[100] 웹사이트 Dados do IBGE indicam: Quantos e como somos? https://www.diariodo[...] 2018-09-24
[101] 서적 Ponta Grossa: um século de vida Kugler Artes Gráficas
[102] 웹사이트 População residente por cor ou raça – As 20 maiores do Paraná http://www.direito.m[...] Ministério Público do Paraná
[103] 웹사이트 População negra e quilombola do Paraná http://www.itcg.pr.g[...] Instituto de Terras, Cartografia e Geociências do Paraná 2018-09-24
[104] 웹사이트 Sutil e Santa Cruz http://www.afrodesce[...] 2018-09-24
[105] 서적 Ponta Grossa: um século de vida Kugler Artes Gráficas
[106] 간행물 A Mobilidade da Populaçao Paranaense a Partir da Reestruturação Produtiva (1970 a 2010) http://www.uel.br/re[...] 2013-02-15
[107] 서적 Ponta Grossa: um século de vida Kugler Artes Gráficas
[108] 웹사이트 Imigração em Ponta Grossa https://www.thecitie[...] 2018-09-11
[109] 웹사이트 O processo pedagógico e a formação do imigrante alemão nas colônias de Bom Jardim do Sul e Witmarsum (Paraná) http://www.dominiopu[...] UEPG 2018-09-11
[110] 웹사이트 Czytelnia. Jezyk portugalski.: Imigrantes polonesês em Ponta Grossa. F. Kuiut. http://czytelniabras[...] 2018-09-11
[111] 웹사이트 A Imigração Árabe Em Foz do Iguaçu: Conservando Sua Cultura Atravsé de Suas Instituições Representativas https://www.ucs.br/s[...]
[112] 웹사이트 Russos-alemães do Volga http://www.uepg.br/d[...] Dicionário Histórico e Geográfico dos Campos Gerais 2018-09-14
[113] 웹사이트 Constituição e Instalação da Colônia Terra Nova: Educação do Imigrante Alemão http://www.histedbr.[...]
[114] 서적 Os alemães no Paraná : livro do centenário Editora UEPG 2008
[115] 웹사이트 Memória da Colonização de Imigrantes Alemães Em Ponta Grossa: Colônia Eurídice – Chapada http://www.diaadiaed[...]
[116] 웹사이트 Migration {{!}} Volga German Institute https://vgi.fairfiel[...] 2018-09-14
[117] 웹사이트 A presença do Imperador e o fracassso da colonização https://www.diariodo[...] 2018-09-14
[118] 웹사이트 Estudo científico sobre Imigração Alemã – por Rodrigo Eidam * {{!}} Brasil Alemanha http://www.brasilale[...] 2018-09-14
[119] 웹사이트 O censo dos alemães do Paraná em 1917 https://www.degruyte[...]
[120] 웹사이트 Roteiros Turísticos https://www3.uepg.br[...] UEPG 2020-04-29
[121] 웹사이트 Igreja Sagrado Coração de Jesus http://www.pontagros[...] Prefeitura Municipal de Ponta Grossa 2020-04-30
[122] 웹사이트 Imigração polonesa tem exposição dia 19 https://www.diariodo[...] 2018-09-11
[123] 웹사이트 Antigo clube polonês de PG passará por obras de restauração https://www.diariodo[...] 2018-09-29
[124] 웹사이트 Sociedade Polonesa tenta impugnar tombamento do Clube Renascença http://www.portalcom[...] 2018-09-29
[125] 뉴스 Clube polonês corre risco de demolição? https://www.gazetado[...] 2018-09-29
[126] 웹사이트 Boletim http://boletim.museu[...] 2018-09-29
[127] 웹사이트 Imigração polonesa tem exposição dia 19 https://www.diariodo[...] 2018-09-29
[128] 간행물 Os periódicos polono-brasileiros: historiografia, fontes e temas de pesquisa http://www.unicap.br[...] 2016-12-31
[129] 문서 Distribuição da população por sexo, segundo os grupos de idade Ponta Grossa (PR) https://censo2010.ib[...] IBGE 2018-09-20
[130] 웹사이트 Caderno Estatístico – Município de Ponta Grossa http://www.ipardes.g[...] 2018-09-20
[131] 웹사이트 Ponta Grossa, PR – Demografia http://www.atlasbras[...]
[132] 웹사이트 Censo – Amostra – Religião https://cidades.ibge[...] IBGE 2019-08-20
[133] 웹사이트 Religião em Ponta Grossa {{!}} The Cities https://www.thecitie[...] 2018-10-06
[134] 웹사이트 História {{!}}Diocese Ponta Grossa http://diocesepontag[...] 2018-10-06
[135] 웹사이트 Dom Sergio http://diocesepontag[...] 2018-10-06
[136] 웹사이트 Amostra – Religião https://cidades.ibge[...] 2018-10-06
[137] 웹사이트 Semana de Oração une cristãos de diferentes religiões https://www.diariodo[...] 2018-10-06
[138] 웹사이트 Diocese de Ponta Grossa estuda reativar ermida de Vila Velha http://www.centralcu[...] 2018-10-06
[139] 문서 300000 BRL for USD https://www.converso[...] Conversor de Moedas 2018-10-06
[140] 웹사이트 IAP autoriza obras de restauro em santuário https://www.diariodo[...] 2018-10-06
[141] 웹사이트 Economia em Ponta Grossa {{!}} The Cities https://www.thecitie[...] 2018-11-16
[142] 웹사이트 PIB a preços correntes https://cidades.ibge[...]
[143] 뉴스 Indústria, comércio e agro geram R$8,34 bi em riquezas http://d.arede.info/[...] 2018-11-16
[144] 웹사이트 Conselho prepara ações para desenvolver a economia de PG https://www.diariodo[...] Diário dos Campos 2019-08-15
[145] 웹사이트 Campos Gerais industrial: Onde se produz e a economia cresce! https://g1.globo.com[...] 2019-08-15
[146] 논문 Desenvolvimento industrial em Ponta Grossa (PR): avaliação e perspectivas https://repositorio.[...] 2018-11-16
[147] 웹사이트 A Repercussão da Legislação Na Dinâmica do USO da Terra Na Bacia do Rio Cará-Cará, POnta Grossa – PR, No Período de 1980 a 2007 http://tede2.uepg.br[...]
[148] 웹사이트 Comportamento do Emprego Formal Na Região Dos Campos Gerais No Período Entre 2010 e 2015 http://sites.uepg.br[...] Conversando com a Extensão 2015
[149] 웹사이트 Em 1 ano, Ponta Grossa gera 1.137 postos de trabalho https://www.diariodo[...] 2018-11-16
[150] 웹사이트 Exportações de Ponta Grossa mais do que dobraram neste ano https://www.diariodo[...] Diário dos Campos 2019-08-15
[151] 웹사이트 Socioeconomic Aspects https://iplan.pontag[...] Prefeitura Municipal de Ponta Grossa 2019-08-15
[152] 뉴스 Campos Gerais industrial: Onde se produz e a economia cresce! https://g1.globo.com[...] 2018-11-16
[153] 뉴스 Região tem mais de 150 empresas exportadoras http://d.arede.info/[...] 2018-11-16
[154] 웹사이트 PG é 4° lugar no ranking dos exportadores do PR http://www.diariodos[...] 2018-11-16
[155] 웹사이트 Ponta Grossa é destaque nacional em diversos segmentos http://pontagrossa.p[...] 2018-11-16
[156] 뉴스 Quatro empresas de PG exportam mais de R$330 mi http://d.arede.info/[...] 2018-11-16
[157] 서적 o processo de relacoes publicas. hebe wey. summus editorial. https://books.google[...] Summus Editorial 1986
[158] 논문 Concurso Rainha da soja: atos e gestos da beleza feminina em Ponta Grossa, Paraná (década de 1970) http://www.revistas2[...] 2008-03-08
[159] 뉴스 Jornal da Manhã – Xuxa Meneghel fala sobre sua vida e empreendimento http://m.jornaldaman[...] 2018-11-16
[160] 웹사이트 Ponta-grossense conquista título de maior produtor de soja do Brasil http://pontagrossa.p[...] 2018-11-16
[161] 웹사이트 Você sabe qual é a região que mais produz soja no Paraná? https://canalrural.u[...] 2019-08-15
[162] 뉴스 Complexo soja de PG exporta R$3,14 bilhões em produtos http://d.arede.info/[...] 2018-11-16
[163] 웹사이트 Prefeitura firma parceria com Emater para fomentar produção agrícola familiar https://www.pontagro[...] Prefeitura Municipal de ponta Grossa 2019-08-15
[164] 웹사이트 PG investirá até R$2,4 milhões na agricultura familiar https://www.diariodo[...] Diário dos Campos 2019-08-15
[165] 웹사이트 Fornecimento para o Feira Verde incentiva pequenos agricultores a ampliarem seus cultivos https://www.diariodo[...] Diário dos Campos 2019-08-15
[166] 웹사이트 Exército em Ponta Grossa vai adquirir quase 1,3 milhão em produtos da agricultura familiar http://mds.gov.br/ar[...] Ministério da Cidadania 2019-08-15
[167] 논문 Avaliação do Programa de Aquisição de Alimentos (PAA) No Fortalecimento da Agricultura Familiar Em Ponta Grossa – PR http://tede2.uepg.br[...] 2017-08-24
[168] 논문 Perfil Sócio-Econômico de Ponta Grossa 2007
[169] 논문 Espaço e Desigualdades: Mapeamento e Análise da Dinâmica de Exclusão/Inclusão Social Na Cidade de Ponta Grossa (PR) http://tede2.uepg.br[...] 2008-03-03
[170] 웹사이트 Ponta Grossa https://viagemeturis[...] 2020-04-29
[171] 논문 A regionalização do turismo no Estado do Paraná sob a perspectiva do marketing https://revistas.fac[...] 2019-09-06
[172] 웹사이트 Atrativos Turísticos http://www.pontagros[...] Prefeitura Municipal de Ponta Grossa 2020-04-29
[173] 논문 A valorização dos atrativos religiosos tangíveis e intangíveis do Município de Ponta Grossa – PR por meio do projeto de extensão conhecendo PG http://dspace.unila.[...] 2017
[174] 웹사이트 Setur retoma atividades do projeto Conhecendo PG http://www.pontagros[...] Prefeitura Municipal de Ponta Grossa 2020-04-29
[175] 논문 Indutor turístico: O caso de Ponta Grossa, Paraná http://festivaldasca[...] 2015-06
[176] 웹사이트 PG é quarto indutor do Paraná https://www.diariodo[...] Diário dos Campos 2011-05-27
[177] 간행물 Riscos e Potencialidades da Atividade de Turismo Rural na Microrregião de Ponta Grossa http://tede2.uepg.br[...] 2013-03-04
[178] 간행물 Vila Velha State Park http://festivaldasca[...] 2008-06
[179] 간행물 Vila Velha State Park: An Analysis Based on Community Input http://www.bibliotec[...] GMPE Biblioteca 2011-07
[180] 웹사이트 Análise da Opinião da Comunidade Pontagrossense Sobre o Parque Estadual de Vila Veelha (PR) https://www2.uepg.br[...] State University of Ponta Grossa 2018-11-13
[181] 웹사이트 Governo formaliza concessão do Parque Estadual de Vila Velha http://www.aen.pr.go[...]
[182] 웹사이트 Vencedora da concessão de Vila Velha diz que parque terá tirolesa, arvorismo e campo de desafios https://g1.globo.com[...] 2019-11-07
[183] 웹사이트 Quatro empresas disputam concessão da Vila Velha https://periodico.si[...] Períodico UEPG 2018-05-10
[184] 웹사이트 Concessão de Vila Velha será modelo para parques estaduais do Paraná https://www.folhadel[...] 2019-08-12
[185] 웹사이트 Parque Estadual de Vila Velha e Buraco do Padre em Ponta Grossa/PR http://www.anppas.or[...] 2020-04-30
[186] 문서 Furna do Buraco do Padre, Formação Furnas, PR – Feições de erosão subterrânea em arenitos devonianos da Bacia do Paraná http://sigep.cprm.go[...] 2005
[187] 간행물 Análise Dos Impactos Ambientais Relacionados Ao USO Público Na Furna Do Buraco Do Padre, Parque Nacional Dos Campos Gerais (PR) https://www.icmbio.g[...] 2019-02-13
[188] 문서 Formas Simbólicas e a Constituição Espacial da Furna "Buraco do Padre" Em Ponta Grossa – PR http://www.cavernas.[...] 2012
[189] 웹사이트 Mais seguro, paraíso perto de Curitiba tem cachoeira de 30 metros https://www.gazetado[...]
[190] 웹사이트 Prefeitura: Elizabeth Schmidt e secretários municipais tomam posse https://www.pontagro[...] 2021-04-18
[191] 웹인용 IBGE https://cidades.ibge[...]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2018-12-03
[192] 웹인용 Demographic growth and living conditions in the city of Ponta Grossa (PR): aspects of unequal urbanization http://livros01.livr[...] Postgraduate Program in Applied Social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Ponta Grossa|UEPG]].
[193] 웹인용 Paraná 1990– Projeção da População http://www.ipardes.g[...]
[194] 웹인용 NORMAIS CLIMATOLÓGICAS DO BRASIL 1961-1990 http://www.inmet.gov[...] Instituto Nacional de Meteorologia 2015-07-04
[195] 저널 인용 A neve em Palmas/PR: da reconstituição histórica à abordagem dinâmica https://repositorio.[...] 2004
[196] 웹인용 IAPAR weather station (02550024), 1954-2001 http://www.iapar.br/[...] Instituto Nacional de Meteorologia 2018-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