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는 1120년 체링겐 가문에 의해 자유 시장 도시로 설립된 독일의 도시이다. 지중해와 북해, 라인강과 도나우강 사이의 교역로에 위치하며, 프라이부르크 대성당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1457년 알베르트-루드비히 대학교가 설립되었고, 1520년 종교 개혁에 참여하지 않고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가 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겪었으나, 중세 시대 계획에 따라 재건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통해 "생태 도시"로 알려져 있다. 정치적으로 녹색당의 거점이며, 자전거 타기 및 대중교통 이용이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이부르크 - 바덴바덴과 프라이부르크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바덴바덴과 프라이부르크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은 1946년 독일 바덴바덴에서 창단되어 2016년 해체된 교향악단으로, 현대 음악에 집중하며 도나우에싱엔 음악제의 상주 악단으로 활동했고, 윤이상 등 한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연주하며 한국 현대 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공국
    슈바벤 공국은 알레만니족 영역에 기반하여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다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공작위를 차지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 공국으로 존속했으나 콘라딘 사망 후 해체, 여러 영지로 분열되어 현재는 바이에른 슈바벤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동맹
    슈바벤 동맹은 1488년 프리드리히 3세의 요청과 베르톨트의 지지하에 제국 평화 유지, 바이에른 공작 견제, 스위스 연방 방어를 목적으로 설립된 제후 동맹이었으나 종교 개혁으로 쇠퇴하여 1534년 해산되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유서 깊은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성, 아름다운 구시가지, 낭만주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적인 문화 관광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독일어 이름Freiburg im Breisgau
알레만어 이름Friburg im Brisgau
프랑스어 이름Fribourg-en-Brisgau
위치바덴뷔르템베르크주
행정 구역프라이부르크 현
도시 등급
고도278m
면적153.07km²
우편 번호79098–79117
지역 번호0761, 07664, 07665
차량 번호FR
지방 자치체 코드08 3 11 000
하위 구역41개 구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인구230,241명 (2018년 기준)
인구 밀도1,500명/km²
메트로폴리탄 지역 인구656,753명 (오버라인)
도시 지역 인구354,500명
정치
시장마르틴 호른
소속 정당무소속
시장 임기2018–2026년
이미지 정보
프라이부르크 대성당
프라이부르크 대성당
프라이부르크 베히레
프라이부르크 베히레
슈바벤 문
슈바벤 문
역사적인 상인 회관
역사적인 상인 회관
항공 뷰
항공 뷰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문장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문장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깃발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 깃발

2. 역사

프라이부르크는 1120년 체링겐 가문의 콘라트와 베르톨트 3세 공작에 의해 자유 시장 도시로 설립되었다.[6] 이 도시는 지중해북해 지역, 라인강과 도나우강 사이의 교역로 교차점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다. 1200년경 인구는 약 6,000명이었다. 베르톨트 5세 통치하에 프라이부르크 대성당을 건설하기 시작했다.[6] 1218년 베르톨트 5세가 사망하자 우라흐의 에기노 5세 백작이 프라이부르크 백작의 칭호를 받았다.[6]

13세기 말, 프라이부르크 시민과 프라이부르크 백작 에기노 2세 사이에 불화가 있었다. 1366년 백작은 도시를 점령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시민들은 1368년에 독립을 사들였다. 도시는 합스부르크가의 보호를 받았다. 샤우인슬란트 산의 은광은 중요한 자본 원천이었다. 1377년 프라이부르크, 바젤, 콜마르, 브라이자흐는 ''게노센샤프트 데 라펜페니히스'' (라펜페니히 집단)라는 통화 동맹을 맺었다. 14세기 말에 은맥이 줄어들었다.

1457년, 알베르트-루드비히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520년, 프라이부르크는 종교 개혁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1536년, 마녀 혐의에 대한 믿음은 최초의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다. 1564년에는 흑사병으로 인해 마녀 사냥이 확대되었다.

프라이부르크 시청 ''(Rathaus)''


17, 18, 19세기는 프라이부르크에게 격동의 시기였다. 30년 전쟁이 시작된 1618년에는 인구가 10,000~14,000명이었지만, 1648년에 전쟁이 끝났을 때는 2,000명만 남았다.[10] 1644년 8월에는 프라이부르크 전투가 벌어졌다.[11]

1648년과 1805년 사이, 프랑스의 점령하에 있지 않았을 때, 이곳은 오스트리아의 행정 본부였다. 1805년,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827년 프라이부르크 대교구가 설립되면서 가톨릭 대주교의 소재지가 되었다.

프라이부르크에 있는 옛 도시 문 중 하나인 마르틴 문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라이부르크는 심하게 폭격을 받았다. 1940년 5월 10일 프라이부르크 폭격에서 독일 공군 항공기는 실수로 프라이부르크에 폭탄을 투하하여 57명이 사망했다.[12] 1944년 11월 27일, 영국 공군 폭격 사령부의 공습 (타이거피시 작전)으로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전쟁 후, 중세 시대의 계획에 따라 재건되었다.

1940년 10월 22일, 프라이부르크의 유대인들은 구르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1942년 7월 18일, 남은 유대인들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14] 1945년 4월 21일 프랑스군에 점령되었고, 곧 프랑스 점령 구역으로 할당되었다. 1945년 12월 프라이부르크는 바덴의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 프랑스군은 1991년까지 주둔했다. 구 프랑스군 기지 부지에는 1990년대 후반에 보방이 건설되었다.

프라이부르크 인구 변화[8][9]
연도인구
13859,000
162010,000
187124,668
190061,504
191083,324
191987,946
192590,475
193399,122
1939110,110
1950109,717
1961145,016
1970162,222
1987178,672
2001208,294
2011209,628
2022233,040


2. 1. 중세

체링겐 가문의 콘라트와 베르톨트 3세 공작이 1120년에 프라이부르크를 자유 시장 도시로 설립하였다.[6] 프라이부르크라는 이름은 "자유 도시"를 의미한다. ''Frei''는 "자유"를, ''Burg''는 자치권을 가진 도시나 마을을 의미하며,[7] "요새화된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따라서 프라이부르크는 "자유 시민의 요새화된 도시"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도시는 지중해북해 지역, 라인강과 도나우강 사이의 교역로 교차점에 전략적으로 위치했다. 1200년경 프라이부르크의 인구는 약 6,000명이었다. 베르톨트 5세 통치하에 프라이부르크는 구 교구 교회 부지에 프라이부르크 대성당을 건설하기 시작했다.[6]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시작하여 주로 고딕 건축 양식으로 1513년에 완공되었다. 1218년 베르톨트 5세가 사망하자 우라흐의 에기노 5세 백작이 에기노 1세 폰 프라이부르크로 프라이부르크 백작의 칭호를 받았다.[6]

13세기 말, 프라이부르크 시민과 프라이부르크 백작 에기노 2세 사이에 불화가 있었다. 에기노 2세는 세금을 인상하고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려 했고, 이에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은 슐로스베르크 언덕 꼭대기에 있는 백작의 성을 파괴하기 위해 투석기를 사용했다. 격분한 백작은 매제인 스트라스부르크 대주교 리히텐베르크의 콘라드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주교는 군대를 이끌고 프라이부르크로 진군했다.

프라이부르크의 오래된 전설에 따르면, 1299년 7월 29일 하우리라는 정육점이 스트라스부르크 주교를 칼로 찔러 죽였다고 한다. 이후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은 1368년까지 프라이부르크 백작에게 매년 은 300마르크를 배상해야 했다. 1366년 프라이부르크 백작은 도시를 점령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시민들은 영주들에게 질려 1368년에 독립을 사들였다. 도시는 합스부르크가의 보호를 받았고, 합스부르크가는 도시에 상당한 자유를 허용했다. 젬파흐 전투 (1386)에서 도시 귀족 대부분이 사망했다. 귀족 가문 슈네블린은 길드 회원들이 반란을 일으킬 때까지 도시를 통제했다. 길드는 1389년까지 귀족보다 더 강력해졌다.

샤우인슬란트 산의 은광은 프라이부르크의 중요한 자본 원천이었다. 이 은으로 프라이부르크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고, 1327년에는 자체 동전인 ''라펜페니히''를 주조했다. 1377년 프라이부르크, 바젤, 콜마르, 브라이자흐는 ''게노센샤프트 데 라펜페니히스'' (라펜페니히 집단)라는 통화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도시 간의 상업을 촉진했으며 16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13세기와 14세기 사이에 프라이부르크에는 8,000~9,000명이 살았고, 30개의 교회와 수도원이 있었다. 14세기 말에 은맥이 줄어들었고, 1460년에는 약 6,000명만이 프라이부르크의 방어벽 안에 살았다.

대학 도시인 프라이부르크는 광업에서 예술과 과학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1457년, 오스트리아의 섭정인 알브레히트 6세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인 알베르트-루드비히 대학교를 설립했다.

2. 2. 근세

1457년, 오스트리아의 섭정인 알브레히트 6세는 알베르트-루드비히 대학교를 설립했는데, 이 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이다.[6] 1498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프라이부르크에서 제국 의회를 개최했다.

1520년, 프라이부르크 시는 당시 가장 진보적인 것으로 널리 알려진 일련의 법률 개혁을 비준했다. 이 개혁은 도시 전통과 고대 로마법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특히 민사 소송법, 처벌, 도시 헌법과 관련된 부분에서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프라이부르크는 종교 개혁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바젤이 종교 개혁을 받아들인 후 에라스무스가 이곳으로 이주했다.

프라이부르크 대성당 중세 대성당


1536년, 프라이부르크 대성당의 건설이 완료되었다.[6]

1536년, 마녀 혐의에 대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믿음은 도시 최초의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다. 1564년에는 2,000명의 지역 주민(도시 인구의 25%)이 사망한 흑사병과 같은 재앙에 대한 희생양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1599년에 정점에 달한 마녀 사냥의 확대로 이어졌다. 옛 도시 벽에 있는 명판은 화형이 집행된 장소를 표시한다.

17세기와 18세기는 프라이부르크에게 격동의 시기였다. 30년 전쟁이 시작된 1618년에는 인구가 10,000~14,000명이었지만, 1648년에 전쟁이 끝났을 때는 2,000명만 남았다.[10] 1632년에는 스웨덴 군대가 프라이부르크를 점령했다.

1644년 8월에는 프라이부르크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는 사상자 비율로 볼 때 30년 전쟁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고 한다.[11] 이 전투에서 신성 로마 제국-바이에른 연합군이 프라이부르크를 점령했고, 이후 프랑스-바이마르 연합 부대와 전투를 벌였다.

1679년, 네이메헌 조약으로 프라이부르크는 프랑스에 양도되었다. 1713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후, 프랑스는 프라이부르크를 다시 점령했다. 1744년, 제2차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프랑스군은 프라이부르크의 요새 시설을 파괴했다.

2. 3. 근대

17세기, 18세기, 19세기는 프라이부르크에게 격동의 시기였다. 30년 전쟁이 시작된 1618년에는 인구가 10,000~14,000명이었지만, 1648년에 전쟁이 끝났을 때는 2,000명만 남았다.[10] 1644년 8월에는 프라이부르크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는 사상자 비율로 볼 때 전쟁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고 한다.[11]

1648년과 1805년 사이, 도시가 프랑스의 점령하에 있지 않았을 때, 이곳은 독일 남서부의 합스부르크 영토인 오스트리아의 행정 본부였다. 1805년, 이 도시는 브라이스가우와 오르테나우 지역과 함께 바덴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827년 프라이부르크 대교구가 설립되면서 프라이부르크는 가톨릭 대주교의 소재지가 되었다.

프라이부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심하게 폭격을 받았다. 1940년 5월 10일 프라이부르크 폭격에서 독일 공군의 항공기는 실수로 철도역 근처의 프라이부르크에 약 60개의 폭탄을 투하하여 57명이 사망했는데, 그중 대부분은 민간인이었고 22명의 어린이가 포함되었다.[12] 이는 독일 관영 통신에 의해 서방 연합국의 공격으로 보도되었고, 이에 대한 보복이 위협받았다. 프라이부르크 경찰 사령관은 나중에 폭탄이 독일 것이라는 것을 밝혀냈지만, 전체 이야기는 여러 해가 지난 후에야 발표되었다.[13] 1944년 11월 27일, 300대 이상의 폭격기가 참여한 영국 공군 폭격 사령부의 공습 (타이거피시 작전)으로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뮌스터는 경미한 손상만 입었다. 전쟁 후, 이 도시는 중세 시대의 계획에 따라 재건되었다.

1940년 10월 22일, 나치 가울라이터인 로베르트 하인리히 바그너는 바덴의 모든 유대인과 프라이부르크의 유대인 350명을 추방하라고 명령했다. 그들은 프랑스 남부의 구르 수용소로 추방되었고,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1942년 7월 18일, 남은 바덴과 프라이부르크 유대인들은 독일 점령 폴란드의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거의 모두 살해되었다.[14] 1938년 11월 9일 크리스탈나흐트로 알려진 포그롬 기간에 불타버린 도시의 원래 유대교 회당 부지에는 대리석 '발자취' 형태로 살아있는 기념관이 세워졌다. 이 기념관은 분수이며 원래 건물과 멸망한 유대인 공동체를 기념하는 청동 명판이 포함되어 있다. 프라이부르크의 포장도로에는 이전 거주지 밖에 황동판 형태로 개별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물이 있다. 도시에는 신티족과 로마니족을 위한 수용소가 있었다 (''로마니 홀로코스트'' 참조).[15]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4월 21일 프랑스군에 점령되었고, 프라이부르크는 곧 프랑스 점령 구역으로 할당되었다.[14] 1945년 12월 프라이부르크는 1952년 바덴-뷔르템베르크로 병합된 바덴의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14] 프랑스군은 1991년 마지막 프랑스군 사단이 도시를 떠나 독일을 떠날 때까지 프라이부르크에 주둔했다.

구 프랑스군 기지 부지에는 1990년대 후반에 "지속 가능한 모델 지구"로 5,000명을 위한 새로운 지역인 보방이 건설되었다. 태양광 발전은 이 작은 커뮤니티의 많은 가구에 전기를 공급한다.

1945년부터 1952년 4월 25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가 설립될 때까지 바덴 주의 주도였다.

3. 정치

1832년부터 프라이부르크 시의 수반은 시장(Bürgermeister)이라는 호칭을 사용했으며, 1875년부터는 대도시 시장을 의미하는 오버뷔어거마이스터(Oberbürgermeister)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프라이부르크 시장은 시 참사회 의장을 겸하며 의결권을 갖는다.

1962년에는 사회민주주의자 오이겐 카이델(Eugen Keidel)이 프라이부르크 최초로 시장에 선출되었다. 1982년에는 같은 당 소속 롤프 뵈메(Rolf Böhme)가 시장직을 이어받았고, 2002년까지 재임했다. 그 후 프라이부르크는 녹색당의 주요 거점이 되었으며,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시장을 역임한 디터 잘로몬은 인구 10만 명 이상 도시에서 최초의 녹색당 소속 시장이었다.

2018년 시장 선거에서는 무소속 마르틴 호른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는 이전에는 사회민주당(SPD) 소속이었으나, 출마 전 탈당했고, 자유민주당(FDP)의 지지를 받았다.[26]

후보정당1차 투표2차 투표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bgcolor=white|마르틴 호른무소속 (SPD, FDP)30,06734.738,90744.2
bgcolor=white|디터 잘로몬동맹 90/녹색당27,09431.327,01430.7
bgcolor=#4D8E8A|모니카 슈타인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 (LiSSt/Junges/UFF)22,72626.221,23724.1
bgcolor=white|안톤 베링거무소속3,2443.77960.9
bgcolor=white|슈테판 베르메터무소속2,2522.6사퇴
bgcolor=white|만프레트 크뢰버무소속 (녹색당)1,2401.4사퇴
기타700.1450.1
유효 투표86,69399.587,99999.8
무효 투표4250.51950.2
총 투표87,118100.088,194100.0
선거인 수/투표율170,79351.0170,41951.8
출처: 프라이부르크 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html 1차 투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2.html 2차 투표])



프라이부르크 시의회는 시장과 함께 도시를 운영한다. 2024년 6월 9일 실시된 시의회 선거에서는 녹색당이 23.8%의 득표율로 12석을 차지하여 제1당이 되었다.

정당득표율의석증감
bgcolor=#90EE90|동맹 90/녹색당23.8%12-1
bgcolor=#F08080|사회민주당12.5%60
bgcolor=#ADD8E6|기독교민주연합12.0%60
bgcolor=#05636D|좌파 목록 – 연대 도시7.7%4+1
bgcolor=#BDB76B|자유 유권자 바덴-뷔르템베르크7.0%30
bgcolor=#ADD8E6|독일을 위한 대안4.5%20
bgcolor=#FFFF00|자유민주당4.4%20
bgcolor=#7B68EE|볼트3.8%2New
bgcolor=#89C832|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3.6%2-1
bgcolor=#E17B29|젊은 프라이부르크3.3%20
bgcolor=#E50069|도시 프라이부르크2.9%10
bgcolor=#1E3B4E|문화 목록 프라이부르크2.6%10
bgcolor=#E13134|독립 여성 프라이부르크2.5%10
bgcolor=#00A657|살기 좋은 프라이부르크2.4%1-1
bgcolor=#FFD700|Die PARTEI2.4%10
참여와 포용을 위한 목록1.8%10
bgcolor=#17376F|프라이부르크 시민1.2%10
프라이부르크를 위해0.8%00
SPITZ0.7%0New
bgcolor=#C0C0C0|독일 아나키스트 포고 당0.2%0New
총 의석100.0%48±0
출처: [https://wahlergebnisse.komm.one/lb/produktion/wahltermin-20240609/08311000/praesentation/ergebnis.html?wahl_id=1959&stimmentyp=0&id=ebene_-7575_id_12506 프라이부르크 시]


3. 1. 개요

프라이부르크는 "생태 도시"로 알려져 있다.[24] 1995년 6월, 프라이부르크 시의회는 시 소유 토지에 "저에너지 건물"만 건설을 허용하고, 모든 신축 건물은 특정 저에너지 사양을 준수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보방과 리젤펠트 지역은 1990년대 후반 지속 가능성의 원칙에 따라 개발 및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또한 연방 방사선 방호청(Bundesamt für Strahlenschutz)의 지부와 태양광 산업 및 연구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은 자전거 타기재활용에 대한 애정으로 독일에서 유명하다.[24] 프라이부르크는 국제 기구들, 특히 ICLEI – 지속 가능한 지방 정부, 국제 태양 에너지 학회, 그리고 시 시장 재단의 본부이다.[25]

정치적으로는, 동맹 90/녹색당의 오랜 거점이며, 1990년대 이후 꾸준한 성공을 거두었고, 2004년부터 시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이 되었다. 수년 동안, 그들은 다른 어떤 주요 도시보다 프라이부르크에서 더 강력한 성과를 거두었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시장을 역임한 전 시장 디터 잘로몬은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서 그러한 직책을 맡은 최초의 녹색당원이었다. 가톨릭 보수 성향이었던 프라이부르크에서는 1962년 사회민주주의자인 유진 카이델(Eugen Keidel)가 최초로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1982년 같은 당 동료인 롤프 뵈메(Rolf Böhme)가 후임 시장직을 맡았고, 이후 2002년에 퇴임하였다.

프라이부르크 시장 마르틴 호른


2018년 시장 선거 2차 투표 결과


프라이부르크의 현 시장은 2018년부터 마르틴 호른이다. 그는 이전에 사회민주당 (SPD)의 당원이었지만, 시장 출마 전에 탈당했다. 선거에서 그는 사회민주당과 자유민주당 (FDP)의 지지를 받았다.[26]

2018년 시장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1차 투표2차 투표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bgcolor=#FFFFFF|마르틴 호른무소속 (SPD, FDP)30,06734.738,90744.2
bgcolor=#6BBD44|디터 잘로몬동맹 90/녹색당27,09431.327,01430.7
bgcolor=#4D8E8A|모니카 슈타인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 (LiSSt/Junges/UFF)22,72626.221,23724.1
bgcolor=#FFFFFF|안톤 베링거무소속3,2443.77960.9
bgcolor=#FFFFFF|슈테판 베르메터무소속2,2522.6사퇴
bgcolor=#FFFFFF|만프레트 크뢰버무소속 (녹색당)1,2401.4사퇴
기타700.1450.1
유효 투표86,69399.587,99999.8
무효 투표4250.51950.2
총 투표87,118100.088,194100.0
선거인 수/투표율170,79351.0170,41951.8
출처: 프라이부르크 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html 1차 투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2.html 2차 투표])



2024년 6월 9일에 실시된 프라이부르크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득표수득표율증감의석증감
bgcolor=#6BBD44|동맹 90/녹색당(Grüne)1,204,97823.82.7121
bgcolor=#EB001F|사회민주당(SPD)635,00012.50.260
bgcolor=#000000|기독교민주연합(CDU)608,47712.00.260
bgcolor=#05636D|좌파 목록 – 연대 도시 (LiSSt)391,6727.70.841
bgcolor=#808080|자유 유권자 바덴-뷔르템베르크 (FW)356,8077.01.530
bgcolor=#009EE0|독일을 위한 대안(AfD)230,1454.50.920
bgcolor=#FFED00|자유민주당(FDP)222,2864.40.620
bgcolor=#4B0082|볼트(Volt)189,9693.8New2New
bgcolor=#89C832|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 (GAF)181,5903.62.921
bgcolor=#E17B29|젊은 프라이부르크 (Junges)164,8373.30.520
bgcolor=#E50069|도시 프라이부르크 (UFR)147,0912.90.110
bgcolor=#1E3B4E|문화 목록 프라이부르크 (KULT)131,8562.60.410
bgcolor=#E13134|독립 여성 프라이부르크 (UFF)127,4302.50.610
bgcolor=#00A657|살기 좋은 프라이부르크 (FL)119,1342.42.111
bgcolor=#C8102E|Die PARTEI120,1872.40.310
참여와 포용을 위한 목록 (LTI)89,4871.80.410
bgcolor=#17376F|프라이부르크 시민 (BFF)62,1391.20.710
프라이부르크를 위해 (FFR)38,4700.80.200
SPITZ34,1320.7New0New
bgcolor=#808080|독일 아나키스트 포고 당(APPD)8,7880.2New0New
유효 투표5,064,475100.048±0
무효 투표2,5012.2
총 투표수115,265100.0
선거인 수/투표율172,39466.94.1
출처: [https://wahlergebnisse.komm.one/lb/produktion/wahltermin-20240609/08311000/praesentation/ergebnis.html?wahl_id=1959&stimmentyp=0&id=ebene_-7575_id_12506 프라이부르크 시]



알베르트 루드비히 대학교


프라이부르크는 학문과 연구의 중심지로, 요한 에크, 막스 베버, 에드문트 후설, 마르틴 하이데거,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 서구 문화의 저명한 인물들이 이곳에서 거주하고, 일하고, 가르쳤다. 이 도시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대학 중 하나인 알베르트 루드비히 대학교와 의료 센터가 있다.

프라이부르크 대성당: 프라이부르크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3. 2. 시장

1832년부터 프라이부르크 시의 수반은 시장(Bürgermeister)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으며, 1875년 이후에는 대도시의 시장을 의미하는 오버뷔어거마이스터(Oberbürgermeister)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프라이부르크 시장은 시 참사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의장을 겸한다.

현재(2018년 기준) 프라이부르크의 시장은 무소속 마르틴 호른이다. 그는 이전에 사회민주당(SPD)의 당원이었지만, 시장 출마 전에 탈당했다. 선거에서 그는 사회민주당과 자유민주당(FDP)의 지지를 받았다.[26]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시장을 역임한 전임 시장 디터 잘로몬은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서 시장직을 맡은 최초의 녹색당원이었다.

2018년 시장 선거는 4월 22일에 치러졌고, 5월 6일에 결선 투표가 진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1차 투표2차 투표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bgcolor=white|마르틴 호른무소속 (SPD, FDP)30,06734.738,90744.2
bgcolor=white|디터 잘로몬동맹 90/녹색당27,09431.327,01430.7
bgcolor=#4D8E8A|모니카 슈타인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 (LiSSt/Junges/UFF)22,72626.221,23724.1
bgcolor=white|안톤 베링거무소속3,2443.77960.9
bgcolor=white|슈테판 베르메터무소속2,2522.6사퇴
bgcolor=white|만프레트 크뢰버무소속 (녹색당)1,2401.4사퇴
기타700.1450.1
유효 투표86,69399.587,99999.8
무효 투표4250.51950.2
총 투표87,118100.088,194100.0
선거인 수/투표율170,79351.0170,41951.8
출처: 프라이부르크 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html 1차 투표], [https://fritz.freiburg.de/wahl/app/bw2018-2.html 2차 투표])


3. 3. 시의회

프라이부르크 시의회는 시장과 함께 도시를 통치한다. 2024년 6월 9일에 가장 최근의 시의회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득표율의석증감
bgcolor=#90EE90|동맹 90/녹색당23.8%12-1
bgcolor=#F08080|사회민주당12.5%60
bgcolor=#ADD8E6|기독교민주연합12.0%60
bgcolor=#05636D|좌파 목록 – 연대 도시7.7%4+1
bgcolor=#BDB76B|자유 유권자 바덴-뷔르템베르크7.0%30
bgcolor=#ADD8E6|독일을 위한 대안4.5%20
bgcolor=#FFFF00|자유민주당4.4%20
bgcolor=#7B68EE|볼트3.8%2New
bgcolor=#89C832|녹색 대안 프라이부르크3.6%2-1
bgcolor=#E17B29|젊은 프라이부르크3.3%20
bgcolor=#E50069|도시 프라이부르크2.9%10
bgcolor=#1E3B4E|문화 목록 프라이부르크2.6%10
bgcolor=#E13134|독립 여성 프라이부르크2.5%10
bgcolor=#00A657|살기 좋은 프라이부르크2.4%1-1
bgcolor=#FFD700|Die PARTEI2.4%10
참여와 포용을 위한 목록1.8%10
bgcolor=#17376F|프라이부르크 시민1.2%10
프라이부르크를 위해0.8%00
SPITZ0.7%0New
bgcolor=#C0C0C0|독일 아나키스트 포고 당0.2%0New
총 의석100.0%48±0
출처: [https://wahlergebnisse.komm.one/lb/produktion/wahltermin-20240609/08311000/praesentation/ergebnis.html?wahl_id=1959&stimmentyp=0&id=ebene_-7575_id_12506 프라이부르크 시]


4. 경제 및 기반 시설

프라이부르크는 시내 중심부에 자동차 통행이 금지된 대규모 보행자 전용 구역을 갖추고 있다. 시에서 운영하는 VAG 프라이부르크가 운영하는 광범위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그 중심은 프라이부르크 트램 네트워크이고, 버스 노선이 이를 보조한다. 트램 네트워크는 저렴한 요금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무제한으로 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 인기가 높다. 콘서트, 스포츠 경기 또는 기타 행사 티켓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트램 네트워크는 매우 광범위하여 인구의 70%가 7~8분마다 트램이 운행하는 트램 정류장에서 500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철도 노선에 위치하며, 프라이부르크 하우프트반호프에서 독일 및 기타 유럽 도시로 가는 빠르고 빈번한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제공된다. 동쪽으로 슈바르츠발트, 서쪽으로 브라이자흐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 있으며, 브라이스가우 S반이 운행한다. 브라이자흐로 가는 노선은 1945년 브라이자흐의 라인강 위 철도 교량이 파괴되어 복구되지 않아 끊어진 프라이부르크-콜마르 국제 철도의 잔여 구간이다.

A5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프라이부르크는 독일과 스위스 국경 근처, 프라이부르크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프랑스에 있는 유로에어포트 바젤-뮐루즈-프라이부르크가 운행하며, 카를스루에/바덴-바덴 공항은 프라이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가장 가까운 대형 국제 공항으로는 취리히(130km), 슈투트가르트(200km), 프랑크푸르트/마인(260km)이 있다. 메세, 프라이부르크 지구에 있는 작은 비행장인 인근 플루크플라츠 프라이부르크는 상업 운송은 없지만 개인 항공에 사용된다.

BlaBlaCar와 같은 차량 공유 웹사이트는 프라이부르크 주민들 사이에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져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교통 투자는 자전거, 보행자 및 대중교통 이용의 큰 증가로 이어졌으며, 자동차 여행이 통행 시간의 2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 교통

프라이부르크는 시내 중심부에 자동차 통행이 금지된 대규모 보행자 전용 구역이 있고, VAG 프라이부르크가 운영하는 광범위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시스템의 중심은 프라이부르크 트램 네트워크이며, 버스가 이를 보조한다. 트램 네트워크는 저렴한 요금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여 인기가 높다. 콘서트, 스포츠 경기, 기타 행사 티켓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트램 네트워크는 매우 광범위하여 인구의 70%가 7~8분마다 트램이 운행하는 트램 정류장에서 500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철도 노선에 위치하며, 프라이부르크 하우프트반호프에서 독일 및 기타 유럽 도시로 가는 빠르고 빈번한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제공된다. 동쪽으로는 슈바르츠발트, 서쪽으로는 브라이자흐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 있으며, 브라이스가우 S반이 운행한다. 브라이자흐로 가는 노선은 1945년 브라이자흐의 라인강 위 철도 교량이 파괴되어 복구되지 않아 끊어진 프라이부르크-콜마르 국제 철도의 잔여 구간이다.

A5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독일과 스위스 국경 근처, 프라이부르크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프랑스에 있는 유로에어포트 바젤-뮐루즈-프라이부르크가 운행하며, 카를스루에/바덴-바덴 공항은 프라이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가장 가까운 대형 국제 공항으로는 취리히(130km), 슈투트가르트(200km), 프랑크푸르트/마인( 260km)이 있다. 메세, 프라이부르크 지구에 있는 작은 비행장인 인근 플루크플라츠 프라이부르크는 상업 운송은 없지만 개인 항공에 사용된다.

BlaBlaCar와 같은 차량 공유 웹사이트는 프라이부르크 주민들 사이에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져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교통 투자는 자전거, 보행자 및 대중교통 이용의 큰 증가로 이어졌으며, 자동차 여행이 통행 시간의 2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 1. 개요

비슷한 규모의 다른 도시들과 비교했을 때 프라이부르크 시내 교통량에서 자가용 차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적은 편이다. 반면에 자전거 교통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다. 프라이부르크의 도로, 자전거 길, 보행자 도로망은 1290킬로미터에 달한다.

프라이부르크에는 시내 중심부에 자동차 통행이 금지된 대규모 보행자 전용 구역이 있다. 시에서 운영하는 VAG 프라이부르크가 운영하는 광범위한 대중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시스템의 중추는 프라이부르크 트램 네트워크이고 버스가 이를 보조한다. 트램 네트워크는 저렴한 요금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무제한으로 교통 이용이 가능하여 매우 인기가 높다. 콘서트, 스포츠 또는 기타 행사의 티켓은 대중 교통 이용에도 유효하다. 트램 네트워크는 매우 광범위하여 인구의 70%가 7~8분마다 트램이 운행하는 트램 정류장에서 500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철도 노선에 있으며, 프라이부르크 하우프트반호프에서 주요 독일 및 기타 유럽 도시로 가는 빈번하고 빠른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제공된다. 다른 철도 노선은 동쪽으로 슈바르츠발트, 서쪽으로 브라이자흐까지 연결되며 브라이스가우 S반이 운행한다. 브라이자흐로 가는 노선은 1945년 브라이자흐의 라인강 위 철도 교량이 파괴되어 복구되지 않아 끊어진 프라이부르크-콜마르 국제 철도의 잔여 구간이다.

이 도시는 A5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프라이부르크는 독일과 스위스 국경 근처, 프라이부르크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프랑스에 있는 유로에어포트 바젤-뮐루즈-프라이부르크가 운행하며, 카를스루에/바덴-바덴 공항은 프라이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가장 가까운 대형 국제 공항으로는 취리히(130km), 슈투트가르트(200km), 프랑크푸르트/마인(260km)이 있다. 메세, 프라이부르크 지구에 있는 작은 비행장인 인근 플루크플라츠 프라이부르크는 상업 운송은 없지만 개인 항공에 사용된다.

BlaBlaCar와 같은 차량 공유 웹사이트는 프라이부르크 주민들 사이에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져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교통 투자는 자전거, 보행자 및 대중 교통 이용의 큰 증가로 이어졌으며, 자동차 여행이 통행 시간의 2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1945년 4월 프랑스에 점령된 프라이부르크에서는 10월에 샤를 드 골 장군이 전승 퍼레이드를 거행했다.[1] 독일 분할 점령에 따라 프라이부르크는 1946년 새로 생긴 바덴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주 수상에는 프라이부르크 출신인 레오 보레프가 취임했다.[1] 주 의회는 역사적인 상관에서 열리는 동안 콜롬비 궁전에 거주했다.[1] 1951년 주민투표 이후 대다수의 주민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남바덴 지역을 영역으로 하는 바덴 주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 통합되었다.[1]

1960년대 후반 학생 운동의 열기는 프라이부르크에서도 나타났다. 1970년대 카이저슈툴의 농가에 의해 빌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 운동이 벌어졌을 때, 학생 운동 속에서 성숙된 시민의 정치 의식을 상징하듯 많은 프라이부르크 시민들이 이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1] 이러한 사건의 결과로 프라이부르크에서는 자치주의의 분위기와 녹색당에 대한 강한 지지 경향이 자리 잡게 되었다.[1] 프라이부르크는 새롭게 설립된 녹색당의 거점이 되었고, 독일의 환경 수도로 불리게 되었다.[1] 학술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환경을 지향하는 분위기 속에서 프라이부르크는 환경 도시로서의 주도적인 지위를 얻게 되었으며,[1] 2010년 상하이 엑스포에 '그린 시티'로 출전했다.[1]

프라이부르크는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학과 연구 기관이 많이 자리 잡고 있어 국제 회의, 박람회, 대규모 집회 등의 개최지로 인기 있는 도시 중 하나이다.[1] 콘체르트하우스 프라이부르크와 메세 프라이부르크가 자주 사용된다.[1] 국제적인 도시 관광이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1]

1986년 프라이부르크 시는 제7회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정원 박람회의 개최지가 되었으며, 이는 도시 서부 개발에 큰 의미를 지녔다.[1] 에코 스테이션도 이에 따라 개설되었다.[1] 인구의 현저한 증가로 인해 오래된 주택지의 재개발과 새로운 주택지의 건설이 필요하게 되었으며,[1] 1992년 독일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군이 철수하면서, 한때 보방(슈라게터) 주둔지였던 부지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보방 지구로 개발되었다.[1] 1993년에는 이어서 리젤펠트 지구의 개발이 시작되었다.[1]

1996년 시의 인구가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그중 약 3만 명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및 다른 4개의 대학 학생이다.[1]

프라이부르크는 대교구와 독일 카리타스 연맹을 비롯한 교회 조직이 위치하고 있어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1] 프라이부르크 대주교 로베르트 졸리치는 독일 주교 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1] 1978년 프라이부르크에서 제85회 독일 가톨릭 회의가 열렸고, 마더 테레사도 이에 참여했다.[1] 2011년 9월 24일과 25일에는 로마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독일 방문 일정 중 프라이부르크를 방문했다.[1] 교황은 프라이부르크 공항에서 유겐트비길을 축하한 후 2011년 9월 25일에 10만 명 이상의 신자 앞에서 성찬식을 거행했으며,[1] 학대 피해자를 만나고 헬무트 콜 전 총리, 헌법 재판소 판사 및 독일 가톨릭 위원회 위원장과 회담을 가졌고, 콘체르트하우스 프라이부르크에서 1500명의 초청객 앞에서 교회론 강연을 했다.[1]

오버라인 삼국 도시권 안에 위치한 도시로서, 또한 스트라스부르의 인근 도시로서, 프라이부르크라는 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유럽에 가지는 의미는 더욱 커지고 있다.[1] 프라이부르크에는 다른 유럽 국가의 영사관 및 총영사관이 위치하고 있다.[1] 프라이부르크 행정관구, 시 행정,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및 기타 많은 기관은 인접국인 프랑스스위스와의 긴밀한 연계 하에 운영되고 있다.[1] 17세기 말(1677년 - 1697년)에는 프랑스 왕국에 속했고,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프랑스 점령군의 대규모 주둔지 소재지였던 도시로서, 프라이부르크는 인접국과의 관계를 솔선해서 맺는 역할을 예전부터 해왔다.[1] 특히 프랑스의 뮐루즈 및 콜마르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며,[1] 프랑스인은 프라이부르크 경제권에서 노동력으로서, 또한 고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 프랑스와 스위스 양국과의 문화면과 정치면에서의 관계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프랑스 문화 센터(CCF) 콘라트 슈뢰더와 대학교의 프랑스 센터이다.[1] 2001년과 2010년에는 프라이부르크 시에서 독일-프랑스 정상 및 각료에 의한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1] 스위스 내 인접 도시인 바젤과의 사이에도 에라스무스나 바젤러 호프로 대표되는 것처럼 옛날부터 깊은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1]

4. 1. 2. 자전거 교통

2016년 프라이부르크의 전체 교통 발생량 중 자전거 교통 비중은 34%로, 비슷한 크기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매우 높았다.[33] 프라이부르크의 교통 정책은 자전거 타기를 장려하고 촉진하는 데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자전거가 일상적인 교통 수단으로 크게 확산되면서 프라이부르크의 교통 정책은 여러 곳에서 모범 사례로 꼽힌다.

2019년에는 시내에 약 400대의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중앙역의 자전거 보관소에서만 자전거를 빌릴 수 있었다.

4. 1. 3. 대중교통

프라이부르크는 시내 중심부에 자동차 통행이 금지된 대규모 보행자 전용 구역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시에서 운영하는 VAG 프라이부르크가 운영하는 광범위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그 중심은 프라이부르크 트램 네트워크이고, 버스 노선이 이를 보조한다. 트램 네트워크는 저렴한 요금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무제한으로 교통 이용이 가능하여 매우 인기가 높다. 콘서트, 스포츠 경기 또는 기타 행사 티켓은 대중교통 이용에도 유효하다. 트램 네트워크는 매우 광범위하여 인구의 70%가 7~8분마다 트램이 운행하는 트램 정류장에서 500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는 주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철도 노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프라이부르크 하우프트반호프에서 주요 독일 및 기타 유럽 도시로 가는 빈번하고 빠른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제공된다. 다른 철도 노선은 동쪽으로 슈바르츠발트, 서쪽으로 브라이자흐까지 연결되며 브라이스가우 S반이 운행한다. 브라이자흐로 가는 노선은 1945년 브라이자흐의 라인강 위 철도 교량이 파괴되어 복구되지 않아 끊어진 프라이부르크-콜마르 국제 철도의 잔여 구간이다.

이 도시는 A5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프라이부르크는 독일과 스위스 국경 근처, 프라이부르크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프랑스에 있는 유로에어포트 바젤-뮐루즈-프라이부르크가 운행하며, 카를스루에/바덴-바덴 공항은 프라이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가장 가까운 대형 국제 공항으로는 취리히( 130km), 슈투트가르트( 200km), 프랑크푸르트/마인( 260km)이 있다. 메세, 프라이부르크 지구에 있는 작은 비행장인 인근 플루크플라츠 프라이부르크는 상업 운송은 없지만 개인 항공에 사용된다.

BlaBlaCar와 같은 차량 공유 웹사이트는 프라이부르크 주민들 사이에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교통 투자는 자전거, 보행자 및 대중교통 이용의 큰 증가로 이어졌으며, 자동차 여행이 통행 시간의 2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1. 4. 철도

프라이부르크는 주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철도 노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프라이부르크 하우프트반호프에서 독일 및 기타 유럽 도시로 가는 빠르고 빈번한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제공된다. 다른 철도 노선은 동쪽으로 슈바르츠발트, 서쪽으로 브라이자흐까지 연결되며 브라이스가우 S반이 운행한다. 브라이자흐로 가는 노선은 1945년 브라이자흐의 라인강 위 철도 교량이 파괴되어 복구되지 않아 끊어진 프라이부르크-콜마르 국제 철도의 잔여 구간이다.[35]

4. 1. 5. 도로

프라이부르크는 A5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바젤) 고속도로가 지나간다.[57] 도심은 트랜짓 몰이 정비되어 노면 전차와 버스 이용이 편리하며, 구시가지는 자가용 진입이 규제되고 업무용 차량만 진입이 허용된다.[57] 도심 순환선 주변에는 대규모 주차장이 여러 곳 정비되어 있으며, 1998년 기준으로 전체 4,000대 이상의 주차 용량을 갖추고 있다.[57]

4. 1. 6. 항공

프라이부르크는 독일과 스위스 국경 근처, 프라이부르크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프랑스에 있는 유로에어포트 바젤-뮐루즈-프라이부르크가 운행하며, 카를스루에/바덴-바덴 공항은 프라이부르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여러 항공사가 운항한다. 가장 가까운 대형 국제 공항으로는 취리히(130km), 슈투트가르트(200km), 프랑크푸르트/마인( 260km)이 있다. 메세, 프라이부르크 지구에 있는 작은 비행장인 인근 플루크플라츠 프라이부르크는 상업 운송은 없지만 개인 항공에 사용된다.

5. 생태 도시 보봉

프라이부르크 교외에 위치한 보봉(Vauban)은 프랑스, 스위스 접경 지대에 있는 교육도시다. 프라이부르크 시내로 이어지는 간선도로를 제외하고는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어 있으며, 거리 주차, 집 차고, 도로에서 차고를 잇는 진입로 등이 일반적으로 금지된다.[66][67][68] 보봉에서 거주하려면 개인 주차장을 짓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야 한다. 유료 공용 주차장이 있지만, 차 한 대당 주차비가 3700EUR이다.[66][67][68]

마을 내에서는 자전거를 이용하고, 교외로 나갈 때는 마을에서 빌려주는 차를 이용한다. 보봉의 2006년 첨단 그린도시 사례는 미국영국 등지로 퍼지고 있다.[66][67][68]

6. 인구

프라이부르크임브라이스가우의 인구 변화[69]
연도인구
13859,000
162010,000
187124,668
190061,504
191083,324
191987,946
192590,475
193399,122
1939110,110
1950109,717
1961145,016
1970162,222
1987178,672
2011209,628
2017229,636



드라이잠 강을 따라 위치한 프라이부르크 시의 현재 인구는 약 23만 명이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내에서는 슈투트가르트, 만하임, 카를스루에에 이어 4번째로 인구가 많다. 프라이부르크 시와 브라이스가우-호흐슈바르츠발트 군, 에멘딩겐 시로 구성된 프라이부르크 경제권의 인구는 총 약 63만 명이다. 프라이부르크는 약 6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오버라인 3개국 도시권의 일부이기도 하다.

7. 기후

쾨펜의 기후 분류에 따르면 프라이부르크의 기후는 온대 해양성 기후(쾨펜: ''Cfb''; 트레와르타: ''Dobk'')로 분류된다. 7월과 8월은 카를스루에와 함께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달이다. 겨울은 온화하지만 보통 밤에는 서리가 내린다. 라인 고원보다 연중 강수량이 더 많다. 이 도시는 몇 킬로미터 떨어진 화산 기원의 구릉지인 카이저슈툴과 가깝다. 카이저슈툴은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 중 하나이며, 포도 재배 지역으로 간주된다.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기상 관측소는 다음과 같은 극값을 기록했다.[18]


  • 최고 기온 40.2°C: 2003년 8월 13일.
  • 가장 따뜻한 최저 기온 26°C: 1957년 7월 5일.
  • 가장 추운 최고 기온 -13°C: 1956년 2월 2일.
  • 최저 기온 -21.6°C: 1956년 2월 10일.[17]
  • 일일 최고 강수량 80.3mm: 1994년 5월 18일.
  • 가장 강수량이 많았던 달 288.9mm: 1963년 8월.
  • 가장 강수량이 많았던 해 1224.8mm: 1965년.
  • 가장 건조했던 해 641mm: 1953년.
  • 가장 이른 강설: 1905년 10월 20일.
  • 가장 늦은 강설: 1985년 4월 28일.
  • 연간 최장 일조 시간: 2003년 2,129.4시간.
  • 연간 최단 일조 시간: 1980년 1,457.8시간.


프라이부르크는 온난하고 습윤한 온대 기후에 위치해 있지만, 장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평지는 비교적 온난하고 건조하며, 산지는 서늘하다. 평균 기온은 11.4°C로, 독일의 주요 도시 중 가장 따뜻하다. 2003년 폭염 당시에는 8월 13일에 40.2°C를 기록했는데, 이는 같은 수치가 관측된 카를스루에와 만하임과 함께 독일 관측 사상 최고치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연평균 기온은 9.7°C(1961년부터 1990년의 평균)에서 11.4°C(1981년부터 2010년의 평균)로 상승했다.

프라이부르크의 평균 연간 일조 시간은 1650시간으로, 독일의 주요 도시 중에서 최고이다. 평균 연간 강수량은 908mm로, 독일 전체 평균인 800mm보다 상당히 많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하계(5월~8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6월이 107mm로 가장 많다. 가장 적은 2월의 강수량은 50.6mm이다.

프라이부르크의 여름 기후를 특징짓는 것 중 하나는 동부에 위치한 헬렌탈 계곡에서 유래한 "헬렌탈러"라고 불리는 "바람"이다. 슈바르츠발트 고지대에서 불어 내려오는 바람이 어김없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시간대에 시내를 관통한다. 기상 전문가 요르크 카헬만과 한스 폰 루돌프의 견해에 따르면, 이 바람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차가운 바람이 아니라 푄 현상에 의한 따뜻한 바람이다. 이 바람의 영향으로, 프라이부르크는 독일에서 가장 열대야(독일에서는 20°C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는 밤을 의미)가 많은 도시가 되었다.

8. 문화 및 여가 생활

아로마니아어 문화 연합(아로마니아인 문화 단체)은 1985년 바실레 바르바에 의해 프라이부르크에서 설립되었다.[32]

8. 1. 스포츠

프라이부르크는 1978년부터 분데스리가 1부 혹은 2부에 속해 있는 축구 구단 SC 프라이부르크의 연고지이다. 프라이부르크 FC는 1907년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이후 115년 동안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 기록이 없었다. 2022년 Eisvögel USC 프라이부르크가 1. 여자 농구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며 이 기록은 깨졌다.[31]

프라이부르크에는 유로파-파크 슈타디온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SC 프라이부르크와 프라이부르크 FC 축구팀이 있다. 두 팀 모두 1978년 이후 1부 또는 2. 분데스리가에 참가하고 있다. 2016년 SC 프라이부르크는 클럽 역사상 다섯 번째로 1부 리그로 승격했다. SC 프라이부르크는 안정적인 선수 운영 정책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킴 슈토커가 1972년부터 2009년 사망할 때까지 클럽 회장을 역임했다. 볼커 핑케는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장기간 코치를 맡았으며, 그의 제안으로 클럽의 축구 학교가 설립되었다. 2004년 SC 프라이부르크는 창립 100주년을 기념했고, 2011년 12월부터 크리스티안 슈라이히가 코치를 맡고 있다. SC 프라이부르크 여자팀은 여자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여자 농구 리그에서는 Eisvögel(물총새) USC 프라이부르크가 활동하고 있다. 2005/2006 시즌 정규 리그 2위, 2006/2007 시즌 4위를 기록했다. USC 남자 팀은 2009/10 시즌 ProA(2부 분데스리가)에서 뛰었으며, 프라이부르크 남자 팀은 1998/1999년에 마지막 1부 리그 시즌을 치렀다. 2018/19 시즌 기준 남자 팀은 오버리가, 여자 팀은 지역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에는 프란츠-지겔 홀레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EHC 프라이부르크 아이스하키 팀도 있다. 2003/2004 시즌 DEL(독일 최고 아이스하키 리그)에서 뛰었으며, 2018/19 시즌에는 DEL2(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2부 분데스리가 사우스 (바덴 뷔르템베르크)에서 경쟁하는 RC 프라이부르크 럭비 연합 팀도 있으며, 홈 구장은 마르흐-훅슈테텐에 위치한 이 지역 유일의 럭비 경기장이다.

이 외에도 2001년부터 2부 분데스리가에서 뛰고 있는 FT 1844 프라이부르크 남자 배구팀과 여자 핸드볼 3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HSG 프라이부르크 여자 핸드볼 팀이 있다.

1925년부터 1984년까지 쇼인스란트 레이스가 오래된 벌목 트랙에서 열렸으며, 이 코스는 유럽 힐 클라임 챔피언십에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8. 2. 관광 명소 및 명물

프라이부르크는 아름다운 경치, 비교적 따뜻하고 화창한 기후, 그리고 검은 숲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지역 관광의 중심지이다.[16]

  • 슐로스베르크(Schlossberg): 구시가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산책로, 노르딕 워킹 코스, 도시를 조망할 수 있는 레스토랑 등이 있는 휴양지이다. 2002년에 세워진 슐로스베르크 탑(Schlossbergturm)에서는 도시 전체와 동쪽의 슈바르츠발트, 서쪽의 Vogesen 지역까지 볼 수 있다.
  • 아를레스하이머 호수(Arlesheimer See): 도시 서쪽 가장자리 무스발트(Mooswald)에 있는 자연보호구역이다.
  • 샤우인스란트(Schauinsland): 해발 1284미터 높이의 산으로, 도시 경계에 있다. 1930년에 운행을 시작한 샤우인스란트 케이블카가 있으며, 전망대 탑은 오이겐 카이델(Eugen Keidel) 전임 시장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독일에서 가장 긴 케이블카 노선은 3.6km 길이로 귄터스탈에서 ''Schauinsland''라는 인근 산까지 운행된다.[16]
  • 프라이부르크 실개천(Bächle): 구시가지 골목길 가장자리나 거리에 있는 작은 수로로, 도시의 상징물이다. 드라이잠에서 전환된 물이 끊임없이 흐르며, 여름에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누군가 실수로 ''Bächle''에 빠지거나 발을 딛으면 프라이부르거 또는 'Bobbele'와 결혼하게 된다는 말이 있다.

Bächle

  • 슈바르츠발트 슈타디온(Schwarzwald-Stadion): 분데스리가 1부 리그 소속 구단인 SC Freiburg의 홈구장이다.
  • 문덴호프(Mundenhof): 작은 동물원으로, 가족들이 아이들과 함께 즐겨 찾는 곳이다. 인근 시 소유지에서는 매년 이른 여름 다양한 음악 장르의 연주자들과 함께 하는 Zeit-Musik-Festival(ZMF)가 개최된다.
  • 전승기념비: 1876년 9군단에 봉헌된 기념물로, 1870년과 1871년 보불전쟁에서 독일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프라이부르크 역사 지구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칼 프리드리히 모에스트가 건설했다. 프라이부르크 주민들의 일상 언어에서 이 기념비는 방향 표시 또는 만남의 장소 역할을 한다.[16]
  • 아우구스티너 광장: 구시가지의 중심 광장 중 하나이다. 1921년 아우구스티너 박물관이 된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이 있던 곳으로, 현재는 프라이부르크 젊은 주민들의 인기 있는 사교 공간이다. 지역 양조장 'Feierling'이 있는 비어가르텐을 포함하여 여러 레스토랑과 바가 있다.
  • 뮌스터 광장: 구시가지 중심에 있는 프라이부르크에서 가장 큰 광장이다.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농산물 시장이 열린다. 이곳에는 1200년부터 1530년 사이에 건축되었으며 우뚝 솟은 첨탑으로 유명한 고딕 건축 양식의 민스터 대성당인 뮌스터가 있다.

1520–21년의 역사적인 상인 회관

  • 역사 상인 회관(''Historisches Kaufhaus''): 프라이부르크의 ''뮌스터 광장'' 남쪽에 있는 고딕 건축 양식의 건물이다. 1520년과 1530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한때 이 지역의 금융 중심지였다. 건물 정면은 조각상과 4명의 합스부르크 황제의 문장으로 장식되어 있다.
  • 알테스 라트하우스(구 시청): 1559년에 완공되었으며 칠해진 정면을 가지고 있다.
  • "구 시나고그 광장"(Platz der alten Synagoge): 유서 깊은 구시가지 외곽에 있는 더 중요한 광장 중 하나이다. 이 광장은 1938년 수정의 밤de에 파괴될 때까지 시나고그가 있던 곳이었다.
  • Zum Roten Bären: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호텔로, 슈바벤 문 근처의 ''Oberlinden''에 있다.
  • 고고학 콜롬비스슐뢰슬레 박물관
  • 귄터탈 아보리움(Arboretum Freiburg-Günterstal): 귄터탈 교외에 위치한 수목원
  • 프라이부르크 식물원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도서관: 새롭게 개조된 도서관은 현대적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 고래의 집(The Whale House): 다리오 아르젠토의 1977년 공포 영화 ''서스페리아''에서 영화의 주요 배경인 무용 아카데미로 사용되었다.
  • 녹지
  • 프라이부르크 바반: 지속 가능한 친환경 공동체
  • 자갈 모자이크
  • 키프펠젠 성


대성당과 "베히레"라고 불리는 수로(둘 다 프라이부르크의 상징)가 있는 구시가지에는 연간 3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9. 자매 도시

국가도시체결 년도
--브장송1959년
--인스브루크1963년
--파도바1967년
--길포드1979년
--매디슨1987년
--마쓰야마시1988년
--리비우1989년
--그라나다1991년
--이스파한2000년
--수원시자료 없음



프라이부르크 정보 센터 내에는 자매 도시인 마쓰야마 인포메이션이 설치되어 일본인 직원이 상주하고 있었으나, 2008년 3월 현재 활동을 중단했다.

참조

[1] 뉴스 Oberbürgermeisterwahl Freiburg im Breisgau 2018 https://www.staatsan[...] Staatsanzeiger
[2] 웹사이트 Freiburg (Baden-Württemberg, Urban Agglomerations, Germany)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Location,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3-01-26
[3] 웹사이트 Metropolitan areas https://stats.oecd.o[...] 2020-08-14
[4] 웹사이트 Baden http://www.wein.de/1[...] 2008-01-01
[5] 문서 Temperature extremes
[6] 웹사이트 Stadt Freiburg im Breisgau: History http://www.freiburg.[...] www.freiburg.de (Stadt Freiburg im Breisgau) 2009-04-11
[7] 웹사이트 borough https://ahdiction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9-09-13
[8] 문서 Link
[9] 웹사이트 Germany: States and Major Cities https://citypopulati[...]
[10] 웹사이트 The Thirty Years War http://www.freiburg-[...] 2020-05-28
[11]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Thirty Years' War, 1618–1648, by Samuel Rawson Gardiner. https://www.gutenber[...] 2020-05-28
[12] 서적 Invasion 1940 Constable & Robinson
[13] 서적 Blitzkrieg William Collins 2014
[14] 간행물 The Encyclopedia of Jewish life Before and During the Holocaust New York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Lager für Sinti und Roma Freiburg im Breisgau https://www.bundesar[...] 2024-01-09
[16] 웹사이트 Erlebniswelt Schlossberg http://www.freiburg.[...] Stadt Freiburg 2011-02-13
[17]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https://www.wetterze[...] DWD 2024-10-27
[18] 웹사이트 Monatsauswertung http://sklima.de/dat[...] SKlima 2024-10-27
[19] 웹사이트 Freiburg/Breisgau historic weather averages http://www.weatheron[...] weatheronline.de 2014-06-22
[20] 웹사이트 Freiburg/Breisgau historic extremes http://www.meteociel[...] Meteociel.fr 2015-11-06
[21] 웹사이트 Freiburg/Breisgau uv index https://www.weather-[...] weather-atlas 2020-01-18
[22] 웹사이트 Freiburg/Breisgau sunshine hours https://www.wetterdi[...] wetterdienst.de
[23] 문서 Statistisches_Jahrbuch_2020.pdf
[24] 웹사이트 Freiburg, Germany: is this the greenest city in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08-03-23
[25] 웹사이트 City Mayors: About City Mayors http://www.citymayor[...] 2016-03-17
[26] 웹사이트 OB-Wahl Freiburg 2018 – Martin Horn – Kandidat https://www.ob-wahl-[...] 2018-03-11
[27] 웹사이트 European Union https://www.iesabroa[...] 2012-04-27
[28] 웹사이트 Lawyer Freiburg http://www.pohl-sitz[...] 2014-11-28
[29] 웹사이트 Freiburg – Environmental Studies & Sustainability https://www.iesabroa[...] 2023-11-09
[30] 웹사이트 Freiburg – Language & Area Studies https://www.iesabroa[...] 2023-11-09
[31] 뉴스 Freiburg feiert Basketball-Meisterinnen der Eisvögel USC Freiburg https://www.swr.de/s[...] Südwestrundfunk 2022-05-04
[32] 뉴스 "Lali Vasili a stat 20 de zile pe pământ după moarte" https://evz.ro/lali-[...] 2010-10-04
[33] 웹사이트 Kunst in Freiburg e.V. https://www.kunst-in[...]
[34] 웹사이트 Impressum https://www.biennale[...]
[35]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freiburg[...] Freiburg im Breisgau
[36] 웹사이트 www.nouripour.de – Herzlich willkommen! http://www.nouripour[...] 2005-12-19
[37] 간행물 Desiderius_Erasmus
[38] 간행물 Berthold_Schwarz
[39] 간행물 Martin_Waldseemüller
[40] 간행물 Auffenberg,_Joseph,_Baron_von
[41] 간행물 Aloysius_Bellecius
[42] 간행물 Rotteck,_Karl_von
[43]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44] 간행물 Furtwängler,_Adolf
[45]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46]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47]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48]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49] Youtube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08-27
[50] 웹사이트 Statistisches Landesamt Baden-Württemberg - Landesinformationssystem (LIS) http://www.statistik[...] Statistisches Landesamt Baden-Württemberg, Stuttgart 2009-04-27
[51]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52] 서적 徹底紹介「環境首都」フライブルク 中央法規出版 1997-05
[53]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54]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55]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1989
[56] 서적 都市と農民――中世のヨーロッパ 至誠堂 1973
[57] URL http://www.german-co[...]
[58] 문서 에라스무스
[59] 문서 파우스트
[60]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1983
[61]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LexMA 1995
[62]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63] 서적 戦うハプスブルク家-近代の序章としての三十年戦争 講談社 1985-12
[64]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65] 문서 파우스트
[66] 뉴스 독일 차 없는 마을 살맛 나요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05-13
[67] 뉴스 해외판 자동차 없는 도시 만들기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9-05-17
[68] 뉴스 녹색실험에 성공한 독일 바우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5-12
[69] Link Link
[70] 웹인용 Freiburg/Breisgau historic weather averages http://www.weatheron[...] weatheronline.de 2014-06-22
[71] 웹인용 Freiburg/Breisgau historic extremes http://www.meteociel[...] Meteociel.fr 2015-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