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센 (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이센은 발트해 동남부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 지명으로, 구 프로이센인들이 거주했던 곳이다. 튜튼 기사단이 13세기에 이 지역을 정복한 후 독일화가 진행되었고, 1525년에는 프로이센 공국으로, 1701년에는 프로이센 왕국으로 발전했다. 1829년 동프로이센과 서프로이센이 합병되어 프로이센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와 소련에 분할되었다. 현재는 폴란드, 리투아니아,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걸쳐 있으며, 칼리닌그라드, 올슈틴, 클라이페다 등이 주요 도시이다. 역사적, 민족 문화적 지역에 따라 포메자니아, 바르미아, 마주리아 등으로 세분되며, 말보르크 성, 쿠로니아 사구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지리 - 클라이페다
클라이페다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리투아니아의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리투아니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문화, 교육, 경제 중심지이다. - 프로이센의 지리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 리투아니아의 역사적 지역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 리투아니아의 역사적 지역 - 볼히니아
볼히니아는 동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우크라이나 북서부, 폴란드, 벨라루스 일부에 걸쳐 있으며, 슬라브족의 거주지였고, 키예프 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러시아 제국, 폴란드, 소련, 독일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일부이다. - 폴란드의 역사적 지역 - 포메렐리아
포메렐리아는 '바다 옆'을 뜻하는 폴란드어 'Pomorze'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폴란드인, 독일인, 카슈브인 등 여러 민족과 문화, 가톨릭, 루터교, 유대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던 지역이다. - 폴란드의 역사적 지역 - 실레시아
실레시아는 폴란드, 체코, 독일에 걸쳐 있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오데르강 상류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풍부한 지하자원과 석탄 생산을 기반으로 광업과 공업이 발달했고, 폴란드 왕국, 보헤미아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프로이센 왕국 등의 지배를 거치며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프로이센 (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명칭 | 프루시아 |
원어 명칭 | Prūsa (고대 프러시아어) |
기타 명칭 | Prusy (폴란드어) Prūsija (리투아니아어) Пруссия (러시아어, Prussiya) Preußen (독일어) Pruthenia, Borussia (라틴어) |
역사 | |
시대 | 중세 ~ 근세 |
주요 사건 | 1200년경: 프로이센족 거주 프로이센 십자군: 튜ートン 기사단의 정복 및 기독교화 13세기: 프로이센 공국 형성 |
위치 | |
현재 국가 | 폴란드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리투아니아 |
언어 | |
사용 언어 | 고대 프로이센어 독일어 폴란드어 |
추가 정보 | |
관련 부족 | 프로이센족 |
2. 역사
중세 시대 이 지역 주민들은 바이에른 지리학자의 짧은 텍스트에서 ''브루지''라고 불렸으며, 이후 고대 프로이센인으로 불렸다. 이들은 997년부터 폴란드인 공국의 정복 시도에 반복적으로 저항했다.[4] 1230년대, 고대 프로이센인과 인접한 쿠로니아인, 리보니아인의 영토는 튜턴 기사단 국가로 통일되었다. 이후 프로이센 (1701–1947)은 이 지역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튜턴 기사단은 폴란드로부터 포메렐리아를 병합했다. 1308~1310년에 포메렐리아를 획득한 후, 독일어에서 ''프로이센''이라는 용어는 비스툴라 서쪽 지역(비스툴라/동부 포메라니아)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지만, 발트 프로이센인이 아닌 슬라브계 폴란드인들이 거주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는 러시아-스웨덴 대홍수를 이용하여 1660년에 프로이센 공국을 폴란드로부터 분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령과 합병하여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형성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이센 왕국이 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및 러시아와 동맹을 맺어 폴란드의 왕립 프로이센 영토를 침공, 병합 및 분할했다. 포메렐리아 및 말보르크 지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이 대폴란드 북부 지역(포젠 대공국에서 분리)과 함께 서프로이센 지방을 형성했고, 바르미아는 동프로이센에 할당되었으며, 서프로이센과 동프로이센은 모두 독일 연방 밖에 남아 있었다.
동프로이센(원래 프로이센)과 병합된 폴란드 영토는 서프로이센 지방으로 변모했으며, 1829년에 단일 프로이센 지방을 형성하기 위해 합병되어 독일 연방 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866년 독일 통일 중 북독일 연방 창설 전까지 이 상태가 유지되었다.[5] 1878년, 합병된 영토는 다시 동프로이센과 서프로이센으로 분할되었다.
동프로이센, 서프로이센, 포젠 지방, 드라이헴 스타로스트보는 1866년 북독일 연방 형성과 함께 독일에 병합되었고, 독일화, 독일 정착, 반가톨릭 운동(문화 투쟁), 폴란드인 참정권 박탈 및 토지 몰수의 대상이 되었다.
베르사유 조약 이후, 서프로이센의 독일어 사용 지역 서쪽과 동쪽 가장자리만 독일의 일부로 남아 포젠-서프로이센 잔여 지방의 일부를 형성했으며, 대부분은 재건된 폴란드 국가에 할당되었다.
지알도보 주변 동프로이센의 작은 부분만 폴란드로 이전되었고, 클라이페다 지역은 국제 연맹 감독 하의 자유 도시를 형성, 클라이페다 봉기에 따라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지만 1939년 독일에 의해 탈환되었다. 대부분(전체 바르미아와 대부분의 마주리아 포함)은 프로이센 왕국의 후계자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구성원인 프로이센 자유국 내에 남아 있었으며, 1920년 동프로이센 국민투표에 따랐다.[6]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독일어 사용 주민들의 대피 및 추방과 함께 소비에트 군대에 의해 정복된 이후, 프로이센 지역은 북부 폴란드(바르미아-마주리아 보이보드십 대부분, 비스툴라 동쪽 포메라니아 보이보드십 4개 군),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월경지, 남서부 리투아니아(전 클라이페다 지역) 사이에 분할되었다.[7][1]
2. 1. 고대 프로이센
기원전 4천년기에 인도유럽어족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처음 도착했으며, 발트해 지역에서는 사템 발토슬라브어족 분파로 분화되어 궁극적으로 발트족이 발트어족 화자가 되었다.[7] 발트족은 기원전 1천년기 말에 서부 발트족과 동부 발트족으로 분화되었을 것이다. 이 지역에는 서부 발트족의 조상인 구 프로이센인, 수도비아인/요트빙기안인, 스칼비아인, 나드루비아인, 쿠로니아인이 거주했으며, 동부 발트족은 현재의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벨라루스에 정착했다.[7][8][9]그리스 탐험가 피테아스 (기원전 4세기)는 이 영토를 '멘테노몬'으로, 주민들을 '구토네스'(아마도 고트족을 지칭하는 '튜튼족'의 이웃)로 언급했을 수 있다.[10][11] 비스툴라강 동쪽의 강은 '구탈루스'라고 불렸는데, 이는 아마도 네만강, 우나, 또는 프레골랴강에 해당할 것이다. 서기 98년 타키투스는 발트해() 근처에 살고 있는 부족 중 하나를 ''아에스티족''과 호박 채집자로 묘사했다.[12]
바이킹은 7세기와 8세기에 발트해 남동부 해안으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트루소와 카우프와 같은 프로이센의 가장 큰 무역 중심지는 많은 노르드인들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센인들은 발트해를 무역로로 사용하여, 트루소에서 비르카 (현재의 스웨덴)까지 자주 여행했다.[13]
바이킹 시대 말에 덴마크 왕들의 아들인 블루투스 하랄과 크누트 대왕은 프로이센을 상대로 여러 원정을 시작했다. 그들은 트루소와 카우프를 포함한 프로이센의 많은 지역을 파괴했지만, 인구를 완전히 지배하는 데 실패했다. 이 지역의 바이킹 (바랑기아인)의 존재는 "지배적이지 않았고, 제국주의적이지도 않았다."[14][1]
시몬 그루나우가 기록한 전설에 따르면, "프로이센(Prussia)"이라는 이름은 6세기에 살았던 전설적인 왕 비데부토의 형제이자 프로이센의 수석 사제인 프로테노(또는 브루테노)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프로이센 지역과 그에 상응하는 부족들은 비데부토의 아들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예를 들어, 수도비아는 비데부토의 아들 수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올드 프로이센인들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는데, 올드 프로이센어는 발트어군의 서부 분파에 속했다. 올드 프로이센어 또는 관련 서부 발트 방언은 중세 초기에 마조비아와 심지어 벨라루스까지 동남쪽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인구는 10세기 이전에 아마도 슬라브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15]
이 지역은 8세기의 바이에른 지리학자의 지도에서 "브루스"로, ''다고메 이우덱스''에서는 "브루체/프루체/프르제"로 확인된다. 브레멘의 아담은 1072년에 프로이센인들을 "프루소스/프루치"라고 언급했으며,[16], 갈루스 아노니무스는 1113년에 그의 ''게스타 프린키품 폴로노룸''에서 "프로이센"을 언급한다. 13세기 전반기에 프로이센의 크리스티안 주교는 훨씬 이전 시대의 역사를 기록했다. 신 라틴어로 이 지역은 "보루시아"라고 불리며, 그 주민들은 "보루시"라고 불렸다.[17]
10세기에 서슬라브족의 기독교화 이후, 폴란드족의 국가가 수립되었고 발트족을 정복하고 침례를 주려는 첫 시도가 있었다.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는 997년에 군사 및 기독교화 임무를 띠고 프라하의 아달베르트를 파견했다. 아달베르트는 무장 경호원과 함께 프로이센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다. 그는 997년에 프로이센 이교도 사제에 의해 살해되었다.[18]
1015년, 볼레스와프는 다시 군인들을 파견하여 단기적인 성공을 거두어 일부 프로이센 국경 지역으로부터 정기적인 조공을 받았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폴란드 통치자들은 1147년, 1161–1166년, 그리고 13세기 초 여러 차례 이 지역에 침략을 보냈다. 이는 프로이센인들에 의해 격퇴되었지만, 헬름노 땅은 그들의 잦은 습격에 노출되었다.[20]
2. 2. 튜튼 기사단과 프로이센 십자군
10세기에 서슬라브족의 기독교화 이후, 폴란드족의 국가가 수립되었고 발트족을 정복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려는 첫 시도가 있었다.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는 997년에 군사 및 기독교화 임무를 띠고 프라하의 아달베르트를 파견했다. 아달베르트는 무장 경호원과 함께 프로이센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으나, 997년에 프로이센 이교도 사제에게 살해되었다.[18] 1015년, 볼레스와프는 다시 군대를 파견하여 단기적인 성공을 거두어 일부 프로이센 국경 지역으로부터 정기적인 조공을 받았지만, 이 역시 오래가지 못했다. 폴란드 통치자들은 1147년, 1161–1166년, 그리고 13세기 초 여러 차례 이 지역에 침략을 보냈으나, 프로이센인들에게 격퇴되었다. 다만, 헬름노 땅은 잦은 습격에 노출되었다.[20]13세기 초, 마조비아의 콘라트는 북방 십자군을 소집하여 수년 동안 프로이센을 정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주교 올리바의 크리스티안은 구 프로이센의 습격으로부터 마조비아를 방어하기 위해 도브르진 기사단을 설립했으나, 기사단은 수가 적어 프로이센과의 전투에서 효과적이지 못했다. 크리스티안은 루바바 지역에서만 프로이센을 굴복시키고 개종시켰다. 이에 교황은 추가적인 십자군 소집을 승인했다.
결국 콘라트 공작은 1226년에 헝가리의 언드라시 2세에 의해 전년도에 트란실바니아에 자체 국가를 건설하려다 축출된 튜튼 기사단을 초청했다.[19] 기사단은 헬름노를 봉토로 받는 대가로 프로이센 주민들과 싸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프로이센은 프로이센 십자군 동안 튜튼 기사단에 의해 정복되었고, 독일화 과정을 시작하는 그들의 독일 기사단령 내에서 통치되었다.[20] 주교 크리스티안은 기사단에 의해 자신의 자치권이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문제에 직면했고, 로마 교황청에 중재를 요청했다. 1243년, 교황 특사 모데나의 윌리엄은 기사단령의 프로이센 영토를 4개의 교구로 나누었는데, 이로 인해 주교들은 교구 영토의 약 3분의 1에 대한 세속적 통치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 쿨름 (헬름노) 교구 (헬름노와 루바바 지역)
- 포메사니아 교구 (포메사니아)
- 바르미아 교구 (국가)/ 바르미아 로마 가톨릭 대교구 (교회 관할 구역)
- 삼비아 교구 (삼비아)
위 교구들은 모두 리가 대주교 관할 하의 보좌 주교였다. 크리스티안은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지만 분할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슐레유프의 시토 수도원으로 은퇴했고, 분쟁이 해결되기 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쾨니히스베르크(현대 칼리닌그라드)시는 1255년에 설립되었고, 1340년에는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프로이센을 북해와 발트해를 잇는 유럽 무역 네트워크에 연결했다.[21]
2. 3. 프로이센 공국과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1525년, 독일 기사단 국가의 마지막 독일 기사단장인 알브레히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방계 출신으로,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여 직위를 사임하고 "프로이센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마르틴 루터의 중재로 프로이센 공국은 최초의 개신교 국가가 되었으며, 폴란드의 봉신이 되었다. 오늘날 칼리닌그라드인 쾨니히스베르크는 1544년 쾨니히스베르크 알베르티나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지배적인 독일인 문화뿐만 아니라 번성하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공동체를 위한 학습과 인쇄의 중심지가 되었다.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프로이센어로 된 최초의 루터교 서적이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되었다.[31]프로이센 공국의 통치는 1618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통치하는 호엔촐레른 가문으로 넘어갔고, 폴란드에 대한 공국의 주권은 1657년 벨라우 조약으로 종식되었다. 특히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폴란드로부터 지역 분리에 대한 강한 반대가 있었다.[32] 쾨니히스베르크 시는 폴란드에 대한 도시와 지역의 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동맹을 결성했다.[32] 그러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그의 군대는 도시에 들어가 선제후에 반대하는 도시 지도자 히에로니무스 로트를 납치하여 투옥했다.[32] 1663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에 의해 강요된 도시 시민들은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같은 의식에서 여전히 폴란드에 충성을 맹세했다.[32]
신성 로마 제국 밖에 프로이센 공국이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프리드리히 1세는 1701년 공국을 왕국으로 승격시켜, 역사적 프로이센의 일부만을 포함했기 때문에 자신을 ''프로이센의 왕''이라고 칭했으며, ''프로이센의 왕''이라는 칭호는 여전히 폴란드 군주가 가지고 있었다.[33] 리투아니아 소(小)지방으로 알려진 지역에서는 리투아니아 문화가 번성했고, 쿠르슈스 침과 비슬라 석호 부근 해안에서는 쿠르셰니에키가 살았다.
고(古) 프로이센어는 1700년경에 대부분 사라졌다. 마지막 사용자는 1709년부터 1711년까지 프로이센을 휩쓴 페스트와 기근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34] 1724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이 지역 동부에 있는 리투아니아 소(小)지방에 폴란드인, 사모기티아인, 유대인의 정착을 금지하고, 이 지역의 민족 구성을 바꾸기 위해 독일인 식민지화를 시작했다.[35]
2. 4.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
1525년, 독일 기사단의 마지막 독일 기사단장인 알브레히트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방계 출신으로,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여 직위를 사임하고 "프로이센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마르틴 루터의 중재로 프로이센 공국은 최초의 개신교 국가가 되었으며, 폴란드의 봉신이 되었다. 오늘날 칼리닌그라드인 쾨니히스베르크는 1544년 쾨니히스베르크 알베르티나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지배적인 독일인 문화뿐만 아니라 번성하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공동체를 위한 학습과 인쇄의 중심지가 되었다.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프로이센어로 된 최초의 루터교 서적이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되었다.[31]1618년, 프로이센 공국의 통치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통치하던 호엔촐레른 가문으로 넘어갔고, 폴란드에 대한 공국의 주권은 1657년 벨라우 조약으로 종식되었다. 특히 쾨니히스베르크에서는 폴란드로부터의 지역 분리에 대한 강한 반대가 있었다.[32] 쾨니히스베르크 시는 폴란드에 대한 도시와 지역의 주권을 유지하기 위해 동맹을 결성했지만,[32]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그의 군대는 도시에 들어가 선제후에 반대하는 도시 지도자 히에로니무스 로트를 납치하여 투옥했다.[32] 1663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에게 강요당한 도시 시민들은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같은 의식에서 여전히 폴란드에 충성을 맹세했다.[32]
신성 로마 제국 밖에 프로이센 공국이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프리드리히 1세는 1701년 공국을 왕국으로 승격시켜 자신을 ''프로이센의 왕''이라고 칭했다. ''프로이센의 왕''이라는 칭호는 여전히 폴란드 군주가 가지고 있었다.[33] 리투아니아 소(小)지방에서는 리투아니아 문화가 번성했고, 쿠르슈스 침과 비슬라 석호 부근 해안에서는 쿠르셰니에키가 살았다.
고(古) 프로이센어는 1700년경에 대부분 사라졌다. 마지막 사용자는 1709년부터 1711년까지 프로이센을 휩쓴 페스트와 기근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34] 1724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리투아니아 소(小)지방에 폴란드인, 사모기티아인, 유대인의 정착을 금지하고, 독일인 식민지화를 시작했다.[35]
동프로이센 (원래의 프로이센)과 합병된 폴란드 영토는 서프로이센으로 바뀌었고, 1829년 하나의 프로이센을 형성하기 위해 병합되었으며, 1866년 독일 연방이 창설될 때까지 독일 연방 밖에 남아있는 왕국의 일부였다. 병합된 영토는 1878년 동프로이센과 서프로이센으로 다시 분할되었다.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메멜란트를 제외한 동프로이센은 레기루스베지르크 베스트프로이센(원래 프로이센 영토를 포함하는 옛 서프로이센의 유일한 부분)을 추가하여 프로이센 자유국 내에 남게 되었으며, 프로이센 왕국의 계승자이자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구성 부분이었다. 이는 1920년 동프로이센 국민투표 이후였다.[6] 프로이센 자유국의 민주 정부는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의 결과로 제거되었으며, 이는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을 용이하게 했다. 1933년 3월 독일 연방 선거에서 마지막 전쟁 전 독일 선거에서 동프로이센 주민들은 압도적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에 투표했다.
2. 5.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메멜란트를 제외한 동프로이센은 레기루스베지르크 베스트프로이센(원래 프로이센 영토를 포함하는 옛 서프로이센의 유일한 부분)을 추가하여 프로이센 자유국 내에 남게 되었다. 이는 1920년 동프로이센 국민투표 이후였다.[6] 프로이센 자유국은 프로이센 왕국의 계승자이자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구성 부분이었다. 1932년 프로이센 쿠데타의 결과로 프로이센 자유국의 민주 정부는 제거되었으며, 이는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을 용이하게 했다. 1933년 3월 독일 연방 선거에서 마지막 전쟁 전 독일 선거에서 동프로이센의 지역 주민들은 압도적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에 투표했다.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에 대한 최후 통첩 이후 클라이페다 지역은 다시 동프로이센에 통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가톨릭 바르미아인과 루터교 마주르인을 포함한 폴란드 소수 민족은 바르미아, 마주리아 및 포비슬레에서 폴란드 문화와 폴란드어를 없애려는 나치 독일 정부에 의해 박해를 받았다.[36][37] 1942년 동프로이센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은 점령된 체코슬로바키아의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 점령된 라트비아의 카이저발트 강제 수용소, 그리고 점령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민스크의 수용소를 포함한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38]
Soldau 강제 수용소와 호헨브루흐 강제 수용소는 주로 폴란드 포로를 위해 이 지역에서 운영되었으며, Stutthof 강제 수용소의 여러 부속 수용소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전쟁 포로를 위한 여러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 Stalag I-A, Stalag I-B, Stalag I-C, Stalag I-D, Stalag XX-B, Stalag Luft VI 및 Oflags 52, 53, 60, 63에는 수많은 강제 노동 부속 수용소가 있었다.[39][40][41]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 추방된 많은 폴란드인들이 이 지역에서 강제 노동으로 독일인들에게 노예가 되었다.[42] 롬족 학살과 관련하여 쾨니히스베르크에는 롬족을 위한 수용소도 있었다.[43]
폴란드 저항 운동은 이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폴란드 지하 언론 배포, 독일 무기 산업 잠입[44], 사보타주, 나치 처형, 독일 무기, 탄약 및 장비 절도[45], 독일 강제 수용소 및 감옥에 대한 데이터 밀수, 그단스크와 그디니아 항구를 통해 독일 포로 수용소를 탈출한 전쟁 포로들의 중립국 스웨덴으로의 수송 조직 등의 활동을 벌였다.[46]
1944년 소련군의 동프로이센 공세를 시작으로 독일어 사용 인구는 대피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가톨릭 바르미아인과 루터교 마주르인을 포함한 폴란드 소수 민족은 폴란드 문화와 폴란드어를 바르미아, 마주리아 및 포비슬레에서 지우려는 나치 독일 정부에 의해 박해를 받았다.[36][37] 1942년 동프로이센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은 점령된 체코슬로바키아의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 점령된 라트비아의 카이저발트 강제 수용소, 그리고 점령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민스크의 수용소를 포함한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다.[38]Soldau 강제 수용소와 호헨브루흐 강제 수용소는 주로 폴란드 포로를 위해 이 지역에서 운영되었으며, Stutthof 강제 수용소의 여러 부속 수용소와 폴란드, 벨기에,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세르비아, 이탈리아, 소련,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전쟁 포로를 위한 여러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 Stalag I-A, Stalag I-B, Stalag I-C, Stalag I-D, Stalag XX-B, Stalag Luft VI 및 Oflags 52, 53, 60 및 63에는 수많은 강제 노동 부속 수용소가 있었다.[39][40][41]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 추방된 많은 폴란드인들이 이 지역에서 강제 노동으로 독일인들에게 노예가 되었다.[42] 롬족 학살과 관련하여 쾨니히스베르크에는 롬족을 위한 수용소도 있었다.[43]
폴란드 저항 운동은 이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폴란드 지하 언론 배포, 독일 무기 산업 잠입[44], 사보타주, 나치 처형, 독일 무기, 탄약 및 장비 절도[45], 독일 강제 수용소 및 감옥에 대한 데이터 밀수, 그단스크와 그디니아 항구를 통해 독일 포로 수용소를 탈출한 전쟁 포로들의 중립국 스웨덴으로의 수송 조직 등의 활동을 벌였다.[46]
1944년 소련군의 동프로이센 공세를 시작으로 독일어 사용 인구는 대피했다.
동프로이센 주는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폴란드와 소련으로 분할되면서 소멸되었으며, 소련은 자국 부분을 리투아니아 SSR과 러시아 SFSR로 다시 분할했다. 폴란드에 할당된 지역은 임시 마주리아 지구로 조직되었으며, 이후 북부 지역이 기어드와비와 이와프카 마을과 함께 소련에 병합되면서 축소되었고,[47] 서쪽 지역은 그단스크 주로, 동쪽 지역은 비아위스토크 주로 이관되었으며, 마침내 1946년 올슈틴 주로 변경되었다. 클라이페다 지역은 리투아니아 SSR로 반환되었고, 러시아 SFSR에 병합된 나머지 지역은 1946년 칼리닌그라드주로 명명되었다. 전쟁 중 대피하지 못한 주민들은 포츠담 협정에 따라 추방되었으며, 폴란드계로 간주되는 포비슬란, 바르미아인, 마주리아인과 같은 폴란드 소수민족은 예외였다. 그러나 전 동프로이센의 소련 분할 지역인 리투아니아 소(小) 지역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의 상황은 달랐다. 리투아니아 SSR 정부는 소련 정책을 따라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을 독일인으로 간주했다. 1945년부터 1950년까지 약 8,000명이 DP 수용소에서 송환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집과 농장은 러시아인이나 리투아니아인이 이미 점령했기 때문에 돌려받지 못했다. 옛 클라이페다 지역에 남은 프로이센인들은 직장에서 해고되었고, 다른 차별을 받았다.[48] 소련 붕괴 후 일부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과 그 후손들은 클라이페다 지역에서 잃어버린 재산을 되찾지 못했다.[49]
정치적 실체로서의 프로이센은 1947년 2월 25일 연합 통제 위원회의 법령에 의해 폐지되었다. 이 법령은 프로이센이 초기부터 독일의 군국주의와 반동주의를 짊어진 존재였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평가와 ''회복 영토''에 대한 이념적 정당화에 따라, 프로이센이라는 지리적 명칭의 사용은 폴란드와 소련의 전후 당국에 의해 권장되지 않았다. 폴란드의 포메렐리아(그단스크 포메라니아와 셰움노 지역)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원래 이름으로 되돌아갔는데, 서프로이센이라는 이름은 폴란드에서 인공적인 독일 발명품으로 간주되었다. 동프로이센(원래 프로이센)의 경우 폴란드 당국은 포메사니아와 포게사니아의 경우 포비슬레 지칭을 권장했고, 이는 "비스툴라 평원"으로 대략 번역되며, 옛 바르미아 주교령의 경우 바르미아, 폴란드 분할 지역의 나머지 부분의 경우 마주리아로 칭했다. 칼리닌그라드주라는 명칭은 대신 소련 당국에 의해 영토의 러시아 부분에서 권장되었다. 이러한 정책은 프로이센의 유산에 거의 공감하지 않았던 폴란드인들에게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역사상 프로이센의 역사(위 참조)를 암시하기 위해 다양한 폴란드 영토를 합병하려는 수많은 시도와 그 후 인공적으로 프로이센의 일부로 이름을 변경한 데 부분적으로 기인하며, 프로이센 국가는 폴란드 분할의 주요 원동력으로 인식되었고, 이후 박해와 폴란드인 게르만화 시도가 있었으며, 강력한 반(反)폴란드 감정을 가진 프로이센 융커가 정치적으로 지배했으며,[50] 마지막으로, 독일 동프로이센 주는 폴란드어 사용 소수 민족(바르미아인, 마주리아인, 포비슬란)에 대한 박해의 지역으로 여겨졌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독일의 미개척지주의 요구로 이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사와 그에 따른 독일의 잔혹 행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비난받는, 월경지로서의 나치 정치적 거점이었다. 또한 중요한 요인은 서독이 오데르-나이세 선에 대한 전후 폴란드 서부 국경의 유효성을 거부(1972년까지 전면적, 1972-1991년 ''법적'')하여, 프로이센 지역 정체성을 상기시키거나 유지하려는 폴란드인의 시도가 폴란드 당국에 의해 쉽게 표적이 되었고, 폴란드의 미래 안보와 영토 보전을 훼손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정책은 목표를 달성했고, 현재 프로이센이라는 이름은 폴란드 공식 문서와 구어에서 거의 역사적 맥락에서만 사용되며, 왕령 프로이센, 프로이센 자유국 및 그 이전 실체((1466년 이후) 수도원 프로이센, 프로이센 공국,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및 프로이센 왕국), 전 동프로이센 주, 또는 옛 프로이센인의 영토를 언급할 때 사용되지만, 현대 지리적 지역을 언급할 때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1991년 이후 프로이센이라는 이름은 폴란드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원래 경계(그단스크 포메라니아가 있는 포메렐리아, 셰움노 및 미하워프 지역, 때로는 루바바 지역 제외)에 의해 정의된 역사적 지역에 대한 적절한 명칭으로 다시 인정받았으며, 그 결과 폴란드 과학 역사 출판물에서 이 맥락에서 사용이 증가했다.
포비슬레, 바르미아 및 마주리아는 현재 폴란드에 있으며(대부분의 바르미아-마주리아 주, 그리고 포메라니아 주의 비스툴라 강 동쪽의 4개 군), 이전 멤멜란트 또는 클라이페다 지역은 현재 리투아니아의 클라이페다 현과 타우라게 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나머지 북부 프로이센은 러시아 연방의 칼리닌그라드주 월경지를 형성한다.[51] 후자만이 유럽 연합 밖에 남아있다.
3. 지리
프로이센 지역은 현재 폴란드, 러시아, 리투아니아 3개국에 걸쳐있다.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동프로이센은 폴란드와 소련으로 분할되었고, 소련은 자국 부분을 리투아니아 SSR과 러시아 SFSR로 다시 분할했다.[1]
- 폴란드: 바르미아-마주리 주의 대부분과 포메라니아 주의 비스툴라 강 동쪽 4개 군이 프로이센 지역에 해당한다.
-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가 프로이센 지역의 북부에 해당한다.
-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지역이 프로이센 지역에 해당하며, 현재 클라이페다 현과 타우라게 현으로 나뉘어 있다.[51]
3. 1. 주요 도시
도시 | 인구 (2023) | 국가 | 행정 구역 | 역사적 하위 지역 | ||
---|---|---|---|---|---|---|
1 | 칼리닌그라드 | 489,735 | 칼리닌그라드주 | 삼비아 | ||
2 | 올슈틴 | 168,212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바르미아 | ||
3 | 클라이페다 | 158,420 | 클라이페다 군 | 리투아니아 소(小) 리투아니아 | ||
4 | 엘블롱크 | 113,567 | 바르미아-마주리 주 | 포비슬레 | ||
5 | 우크 | 60,070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6 | 소베츠크 | 38,614 | 칼리닌그라드주 | 리투아니아 소(小) 리투아니아 | ||
7 | 크비진 | 37,011 | 포메라니아 주 | 포비슬레 | ||
8 | 말보르크 | 36,938 | 포메라니아 주 | 포비슬레 | ||
9 | 체르냐홉스크 | 35,705 | 칼리닌그라드주 | 리투아니아 소(小) 리투아니아 | ||
10 | 이와바 | 32,245 | 바르미아-마주리 주 | 포비슬레 | ||
11 | 오스트루다 | 31,488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12 | 구세프 | 28,820 | 칼리닌그라드주 | 리투아니아 소(小) 리투아니아 | ||
13 | 지치코 | 27,596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14 | ![]() | 발티스크 | 27,032 | 칼리닌그라드주 | 삼비아 | |
15 | 켕트진 | 25,487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바르티아 | ||
16 | 바르토시체 | 21,682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바르티아 | ||
17 | 시치트노 | 22,081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18 | ![]() | 스베틀리 | 21,054 | 칼리닌그라드주 | 삼비아 | |
19 | 므롱고보 | 20,808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20 | 지아우도보 | 20,367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21 | 피슈 | 17,828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22 | 브라니에보 | 16,223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바르미아 | ||
23 | 실루테 | 16,200 | 클라이페다 군 | 리투아니아 소(小) 리투아니아 | ||
24 | 올레츠코 | 15,792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마주리아 | ||
25 | 리츠바르크 바르민스키 | 14,614 | 바르미아-마주리 주 | 바르미아 |
3. 2. 하위 지역
프로이센은 역사적으로 여러 하위 지역으로 나뉘었다.4. 유산
폴란드의 말보르크 성과 리투아니아, 러시아의 쿠로니아 사구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52][53] 폴란드에는 다음과 같은 9개의 폴란드의 역사 기념물이 있다.
유적명 |
---|
말보르크 성 |
크비드진 성 및 대성당 단지 |
프롬보르크의 성모 마리아 승천 및 성 안드레아 대성당 |
엘블롱크 운하 |
리츠바르크 성 |
올슈틴 성 |
그룬발트 전투 전장 |
시비엥타 리프카 성지 |
스토체크 클라슈토르니의 성모 마리아 성지 |
참조
[1]
웹사이트
MILESTONES OF BALTIC PRUSSIAN HISTORY
http://donelaitis.vd[...]
Kompiuterinės lingvistikos centras
2020-09-06
[2]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10-24
[3]
간행물
The Suiones of Tacitus
Jstor
1925
[4]
웹사이트
The Bavarian Geographer and the Old Prussians
http://www.baltistuk[...]
University of Pisa
2020-09-18
[5]
서적
German History, 1770-1866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6]
서적
A modern history of Europe : men, cultures, and societies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Archive
2020-09-06
[7]
웹사이트
The Old Prussians: the Lost Relatives of Latvians and Lithuanians
https://deepbaltic.c[...]
deep baltic
2020-09-06
[8]
웹사이트
Prussia, reg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0-09-06
[9]
간행물
The Image of the Heathen Prussians in German Literature
Jstor
1990
[10]
서적
Sledzenia Poczatkow Narodu Litewskiego I Poczatki Jego Dziejow
https://books.google[...]
Marcinowski
[11]
웹사이트
Zur Urgeschichte der Deutschen
https://book-city.de[...]
book-city
2020-09-06
[12]
웹사이트
LITHUANIAN AMBER ARTIFACTS IN THE MIDDLE OF THE FIRST MILLENNIUM AND THEIR PROVENANCE WITHIN THE LIMITS OF EASTERN BALTIC REGION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09-06
[13]
간행물
The Scandinavians in Poland: a re-evaluation of perceptions of the Vikings
2009-02-14
[14]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5]
서적
Foreword to the Past: A Cultural History of the Baltic Peopl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1-01
[16]
웹사이트
Adam of Bremen
https://referencewor[...]
Brill
2020-09-06
[17]
서적
Myth in Indo-European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문서
The 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Company
[1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Impact of the Crusades on the Near Eas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
서적
Geschichte der preussischen Historiographie von P.v. Dusburg bis auf K. Schütz: oder, Nachweisung und Kritik gedruckten und ungedruckten Chroniken zur Geschichte Preussens unter der Herrschaft des deutschen Ordens
https://books.google[...]
Hertz
[21]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Privileges Granted to German Merchants at Novgorod, 1229
http://www.fordham.e[...]
Fordham
2020-09-06
[22]
서적
Places of Fighting for Lithuania's Freedom: in the expanse of Nemunas, Vistula and Dauguva Rivers
http://www.tb.lt/Lei[...]
General Jonas Žemaitis Military Academy of Lithuania
2021-05-19
[23]
웹사이트
Prūsų kraujo paveldėtojai
https://alkas.lt/201[...]
2010-10-14
[24]
문서
Matthew Kuefler, The Boswell Thesis: Essays on Christianity, Social Tolerance, and Homosexuality
https://books.google[...]
[25]
서적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6]
서적
Urban Societies in East-Central Europe, 1500–1700
Ashgate Publishing
[27]
서적
The Other Prussia: Royal Prussia, Poland and Liberty, 1569-17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2-24
[28]
서적
History of Frederick the Great: Comprehending a Complete History of the Silesian Campaigns and the Seven Years' War
https://archive.org/[...]
Henry G. Bohn
[29]
문서
James Boswell, The Scots Magazine
[30]
뉴스
Eastern Voters Block Merger With Berlin
https://apnews.com/a[...]
2022-01-04
[31]
웹사이트
Das litauische Siedlungsgebiet in Ostpreussen; Angaben zur Bevölkerungsstatistik
http://www.liuterona[...]
LIETUVOS EVANGELIKŲ LIUTERONŲ
2020-09-06
[32]
간행물
Polityka miasta Królewca wobec Polski w latach 1525–1701
[33]
서적
Brandenburg-Prussia, 1466-1806: The Rise of a Composite State
https://abdn.pure.el[...]
University of Aberdeen
2020-09-06
[34]
서적
Dictionary of Revived Prussian
http://donelaitis.vd[...]
Institut Européen des Minorités Ethniques Dispersées
2006
[35]
서적
O ludności polskiej w Prusiech niegdyś krzyżackich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36]
서적
Warmia
Olsztyn
[37]
서적
Historia Warmii i Mazur
Olsztyn
[38]
서적
The Fall of Hitler's Fortress City: The Battle for Königsberg, 1945
Casemate
[39]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40]
서적
Stalag XX B: historia nieopowiedziana
Muzeum Miasta Malborka
2021
[41]
서적
Stalag XX B: historia nieopowiedziana
Muzeum Miasta Malborka
2021
[42]
서적
Wysiedlenia ludności polskiej z okupowanych ziem polskich włączonych do III Rzeszy w latach 1939-1945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43]
웹사이트
Lager für Sinti und Roma Königsberg
https://www.bundesar[...]
2024-01-17
[44]
서적
Polskie Państwo Podziemne na Pomorzu w latach 1939–1945
IPN
[45]
간행물
Pogranicze Prus Wschodnich i Polski w działaniach polskiej konspiracji w latach II wojny światowej
[46]
간행물
Organizacja sieci przerzutów drogą morską z Polski do Szwecji w latach okupacji hitlerowskiej (1939–1945)
[47]
간행물
Kwestia podziału Prus Wschodnich w okresie II wojny światowej
https://rcin.org.pl/[...]
[48]
간행물
Trys knygos apie lietuvininkų tragediją
http://ausis.gf.vu.l[...]
[49]
웹사이트
Tries knygos apie lietuvininkų tragediją
http://ausis.gf.vu.l[...]
2007-03-31
[50]
웹사이트
MENTALNOS´C´ PRUSKA, MIESZCZAN´ SKA, PROTESTANCKA CZY KAPITALISTYCZNA? PRUSY 1806-1871
https://iz.poznan.pl[...]
2022-03-05
[51]
서적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776-1949: Multilateral, 1931-1945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State
[52]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0 kwietnia 2018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Lidzbark Warmiński - zamek biskupów warmińskich".
[53]
법률
Rozporządz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19 grudnia 2022 r. w sprawie uznania za pomnik historii "Stoczek Klasztorny - Sanktuarium Matki Pokoju"
[54]
웹인용
MILESTONES OF BALTIC PRUSSIAN HISTORY
http://donelaitis.vd[...]
Kompiuterinės lingvistikos centras
2020-09-06
[55]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10-24
[56]
저널
The Suiones of Tacitus
Jstor
1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