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강은 하천법에 따라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되며, 국토교통부 장관, 시장, 도지사 등이 관리한다. 국가하천은 국토 보전 및 국민 경제에 중요한 하천으로, 유역 면적, 댐, 도시 통과 여부 등을 기준으로 지정된다. 주요 하천으로는 압록강, 두만강, 낙동강, 한강 등이 있으며, 각 하천은 황해, 동해, 남해로 흐른다. 대한민국 하천법 제25조에 따라 하천관리청은 10년 단위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홍수 피해는 소하천에서 주로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강 - 례성강
  • 한국의 지리에 관한 목록 - 한국의 국립공원
    한국의 국립공원은 한반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국민들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보호 구역으로, 백두산, 묘향산 등 빼어난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자랑하는 여러 국립공원들이 있으며 지속 가능한 보존과 관리를 통해 자연 유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국의 강
지도
일반 정보
위치동아시아, 한반도
발원지백두산 (추정)
주요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수문학적 정보
수계압록강 수계
두만강 수계
대동강 수계
한강 수계
낙동강 수계
금강 수계
섬진강 수계
영산강 수계
강 목록
주요 강압록강
두만강
대동강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2. 하천 구분

대한민국에서 하천은 하천법에 따라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정비법에 의한 소하천으로 구분된다.[2] 국가하천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방하천은 시장 또는 도지사가, 소하천은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자치구 구청장이 지정한다.

2. 1. 국가하천

국가하천은 국토보전상 또는 대한민국 국민 경제상 중요한 하천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여 관리한다. 국가하천 지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2]

  • 유역면적 합계가 200km2 이상인 하천
  • 다목적댐의 하류 및 저수지로 인한 배수영향이 미치는 상류의 하천
  • 유역면적 합계가 50km2 이상 200km2 미만이며,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하천
  •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를 지나거나 범람구역 안의 인구가 1만명 이상인 지역을 지나는 하천
  • 다목적댐, 하구둑 등 저수량 5000000m3 이상의 저류지를 갖추고 국가적 물 이용이 이루어지는 하천
  • 상수원보호구역, 국립공원,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문화재보호구역, 생태·습지보호지역을 지나는 하천
  • 범람으로 인한 피해, 하천시설 또는 하천공작물의 안전도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하천


하천법 7조 2항 4호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하천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해당한다.[2]

  • '수자원의 조사, 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홍수 위험지도 및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른 재해지도
  • 최근 10년 간 홍수피해 이력 및 규모

2. 2. 지방하천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서 시장 또는 도지사가 그 명칭과 구간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하천을 말한다.[2]

지방하천을 지정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2]

  • 국가하천과 연결될 경우 국가하천의 종점과 지방하천의 기점이 일치해야 한다.
  • 지방하천이 다른 지방하천과 연접할 경우 연접하는 다른 지방하천의 기점과 종점이 일치해야 한다.
  • 하나의 하천을 2개 이상의 명칭으로 지정할 수 없다.
  • 공유수면의 매립 등으로 해안선이 변경될 경우 하천의 종점이 변경된다.
  • 기존 지방하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경우 지방하천의 효력을 잃게 된다.

2. 3. 소하천

소하천은 국가하천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지 않은 하천으로, 일시적이지 않은 유수(流水)가 있거나 있을 것이 예상되는 구역을 말한다. 평균 하천 폭이 2m 이상이고 시점에서 종점까지 전체 길이가 500m 이상인 하천이다.[2] 소하천은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과 달리 하천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소하천만을 다루는 소하천정비법을 따른다. 소하천의 지정은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자치구 구청장이 할 수 있으며, 만약 기존 소하천을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지방하천으로 지정할 경우 소하천의 효력을 잃게 된다.

3. 하천기본계획

대한민국 하천법 제25조에 따라 하천관리청은 자신이 관할하는 하천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10년 단위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1] 이 계획에는 하천 이용, 자연친화적 관리, 보전에 필요한 기본사항들이 포함된다.[1]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하천기본계획의 목표
  • 하천 개황(槪況) 관련 사항
  • * 유역 특성 등 일반 현황
  • * 강우ㆍ기상 등 자연 조건
  • * 하천 수질 및 생태
  • * 수해 및 가뭄 피해 현황
  • * 하천수 이용 현황
  • * 하천 유역 지형ㆍ지물 파악을 위한 측량기준점 관련 사항
  • 제방ㆍ댐ㆍ저류지ㆍ홍수조절지ㆍ방수로 등 홍수방어시설의 홍수방어계획
  • 토지이용계획 등에 따른 홍수방어계획
  • 홍수방어계획의 연차별 시행 방안
  • 하천공사 시행 관련 사항
  • * 기본홍수량(제방ㆍ댐ㆍ저류지ㆍ홍수조절지ㆍ방수로 등 홍수방어시설의 홍수조절계획을 반영하지 않은 자연 상태의 홍수량) 및 홍수량 배분 관련 사항
  • * 계획홍수량
  • * 계획홍수위
  • * 계획하폭 및 그 경계
  • * 하도(河道)와 유황(流況) 개선
  • 하천구역 및 홍수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관련 사항
  • 자연친화적 하천 조성 관련 사항
  • 법 제84조 제1항에 따른 폐천부지 등의 보전 및 활용 관련 사항
  • 그 밖에 하천 환경 보전과 적절한 이용 관련 사항

4. 홍수

2020년 8월 기준으로, 전국 홍수 피해의 98%는 소하천에서 발생했다. 지방하천 및 소하천은 정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홍수 피해에 취약하다. 특히 지방하천은 지방정부가 관리하는데, 예산 부족으로 정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3]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지방하천 정비율은 48.07%였다.[3] 2018-2019년 수해를 입은 하천 중 98.4%는 지방하천이었다. 같은 날짜를 기준으로 국가하천 정비율은 81.41%였다.[4][3]

5. 주요 하천

한국의 하천은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주요 하천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주요 하천
순위하천명길이(km)
1압록강790
2두만강521
3낙동강525
4한강497.5
5대동강450.3
6금강327
7섬진강212
8임진강273
9북한강482
10청천강217
11남강193.7
12한탄강136
13금호강116
14영산강116
15황강111
16만경강98
17소양강
18홍천강
19남한강
20동진강51

5. 1. 길이 순

한국의 강 길이 순
순위하천명길이(km)비고
1압록강790중국과의 국경. 상류는 백두산에 위치.
2두만강521중국, 러시아와의 국경. 상류는 백두산에 위치.
3낙동강525
4한강497.5남한강을 합한 길이.
5대동강450.3
6금강327
7섬진강212
8임진강273북한에 걸쳐 흐름. 문록의 역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과 조선다툼인 임진강 전투가 일어남.
9북한강482북한에 걸쳐 흐름.
10청천강217
11남강193.7낙동강 지류.
12한탄강136임진강의 지류.
13금호강116낙동강 지류.
14영산강116
15황강111낙동강 지류.
16만경강98
17소양강북한강의 지류.
18홍천강
19남한강
20동진강51

5. 2. 흐르는 방향별 하천

한국의 하천은 흐르는 방향에 따라 크게 동해, 황해, 남해로 흐르는 강과 만주 방향으로 흐르는 강으로 나눌 수 있다.

동해는 동해안의 지형적 특성상 급경사를 이루며 짧고 빠르게 흐르는 하천이 많다. 관성천, 금야강, 남강, 남대천, 두만강, 북대천, 성천강, 수성천, 신명천, 어랑천, 어물천, 방방천, 오십천, 왕피천, 외황강 등이 대표적이다.

황해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길고 넓게 흐르는 하천이 발달했다. 금강, 대동강, 보통강, 합장강, 남강, 예성강, 재령강, 동진강, 만경강, 발안천, 안성천, 압록강, 영산강, 황룡강, 임진강, 청천강, 대령강, 한강 등이 황해로 흐른다.

남해는 다도해의 영향으로 복잡한 해안선을 따라 다양한 크기의 하천이 흐른다. 남강, 경호강, 밀양강, 서낙동강, 영강, 황강, 섬진강, 보성강 등이 대표적이다.

만주 방향으로 흐르는 강은 삼도백하와 백두천이 있으며, 이들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른다.[5][6]

번호하천명한글 표기길이(km)비고
1한탄강한탄강136임진강의 지류
2임진강임진강273북한에 걸쳐 흐름, 임진왜란 때 임진강 전투 발생
3소양강소양강북한강의 지류
4홍천강홍천강
5북한강북한강482북한에 걸쳐 흐름
6한강한강497.5남한강 합한 길이
7남한강남한강
8금강금강327
9만경강만경강98
10동진강동진강51
11영산강영산강116
12섬진강섬진강212
13낙동강낙동강525
14금호강금호강116낙동강 지류
15황강황강111낙동강 지류
16남강남강193.7낙동강 지류
1압록강압록강790중국과의 국경, 상류는 백두산
2두만강두만강521중국, 러시아와의 국경, 상류는 압록강과 같음
3대동강대동강450.3
4청천강청천강217
5북한강북한강482한국에 걸쳐 흐름
6임진강임진강273한국에 걸쳐 흐름, 임진왜란 때 임진강 전투 발생


5. 2. 1. 황해로 흐르는 강


  • 금강
  • 대동강
  • 보통강
  • 합장강
  • 남강
  • 예성강
  • * 한다리내
  • ** 정자천
  • * 루천
  • * 오조천
  • 재령강
  • 동진강
  • 만경강
  • 발안천
  • 안성천
  • 압록강
  • * 아이허 강(Ai River (Dandong)) (중국 측에서 압록강으로 합류)
  • * 안핑 강(Anping River) (중국 측에서 압록강으로 합류)
  • * 푸시 강(Pushi River) (중국 측에서 압록강으로 합류)
  • * 훈강(渾江)(Tongjia River) (중국 측에서 압록강으로 합류)
  • * 위수린 강(Yushulin River) (중국 측에서 압록강으로 합류)
  • 영산강
  • 황룡강
  • 임진강
  • * 문산천
  • * 설마천
  • * 사미천
  • ** 지거천
  • ** 신천
  • * 강화천
  • ** 산내천
  • * 한탄강
  • ** 영평천

포천천
노곡천

  • ** 목현천
  • ** 직리천
  • ** 고산천
  • ** 능원천
  • ** 초하천
  • ** 신대천
  • ** 금어천
  • ** 대대천
  • ** 양지천
  • ** 금학천
  • * 능원천
  • * 양지천
  • * 운학천
  • * 공릉천
  • ** 청룡두천
  • ** 사포교천
  • ** 고산천
  • ** 원당천
  • ** 대자천
  • ** 벽제천
  • ** 석현천
  • * 나진포천
  • ** 대보하천
  • ** 계양천
  • * 남한강
  • ** 가정천
  • ** 복포천
  • ** 사탄천
  • ** 양근천
  • ** 도곡천
  • ** 흑천

연수천
용문천
부안천

  • ** 용담천
  • ** 복하천

신둔천
중리천
장암천
원두천
동산천
관리천

  • ** 양화천

매유천
서양화천
* 초지천
** 도리천
동양화천
* 가남본두천
* 안금천
한천
소양천
금당천
연양천
* 점봉천
청미천
* 금곡천
* 관한천
* 나래천
* 차평천
* 석원천
* 죽산천
** 용설천
* 방초천
부평천
궁촌천
서곡천
* 매지천
원주천
옥산천
전천
* 하수남천
계천
* 대관대천

  • ** 복미천
  • ** 환산천
  • ** 앙성천
  • ** 한포천
  • ** 영덕천

원곡천
송강천
충주천
요도천
* 비산천
석문동천
음성천
동진천
* 성황천
쌍천

  • ** 제천천 (일명 주포천)

원서천
팔송천

  • ** 단양천
  • ** 죽령천

남조천
* 올산천

  • ** 대가천
  • ** 어상천
  • ** 사이원천

사지원천
서강
쌍용청
무도천
주천강
* 송한천
* 황둔천
* 운학천
* 강림천
계촌천

  • ** 동강 (남한강의 동쪽 지류)

석항천
지장천
창리천
조양강 (동강의 상류 구간 이름)
* 용탄천
* 어천
* 오대천
* 골지천 (조양강의 상류 구간 이름)
** 송천
** 임계천
*** 임계천(북)
*** 임계천(남)
외방천
* 불당골천

  • ** 조종천
  • ** 양구서천

한전천
청리천
중방대천
* 명성천
두미천
양덕원천
골지천
성동천
덕치천
군업천
성산천
화양강
* 내촌천
승안천
화악천
만천천
율문천
* 무지골천
지내천
내린천
* 가리산천
덕산천
북천
인북천

  • ** 월송천
  • ** 지암천
  • ** 지촌천
  • ** 계성천
  • ** 화천천
  • * 서암천
  • ** 수참천
  • ** 봉성포천

가마지천
거물대천
대보하천
계양천
민락천
여의천
막계천

  • ** 창곡천
  • ** 세곡천
  • ** 상적천
  • ** 여수천
  • ** 야탑천
  • ** 분당천
  • ** 동막천

손곡천
풍덕천
봉강천 (곡교천 상류 구간 명칭)
신양천
* 화산천
수직천
서랑천
안영천
양정천
삼미천
반정천
원천리천
* 장다리천
* 우시장천
* 여천(의상천으로도 알려짐)
** 상의실천
** 성죽천
*** 절골천
** 산의천
** 아래쇠죽골천
*** 쇠죽골천
동녘쇠죽골천
* 가산천
수원천
* 문암골천
* 광교천
** 묵골천
*** 창사천
*** 창사하천
서호천
* 매산천
* 정자천(영화천으로도 알려짐)
** 송죽천
** 조원천
* 이목천
호매실천
금곡천
일월천
* 율천천
당수천
오망골천
부곡천
금천
금곡천

  • ** 천안천

매곡천
봉강천
* 용천 (강)
* 풍세천
어량천
마산천
연산천

  • * 석성천
  • ** 연화천
  • * 금천
  • ** 구룡천
  • * 은산천
  • ** 수목천

일광천

  • * 지천
  • ** 장곡천
  • ** 구룡천
  • ** 봉암천
  • ** 대치천
  • * 잉화달천
  • * 중평천
  • * 치천
  • ** 가야천
  • * 어천
  • * 유구천
  • ** 대룡천
  • * 제민천
  • * 정안천
  • * 혈저천
  • * 왕촌천
  • * 대교천
  • * 미호강
  • ** 월하천
  • ** 조천
  • ** 병천천

용두천
산방천
율천

  • ** 석화천
  • ** 성암천
  • ** 보강천
  • ** 초평천

군자천
반석천

  • ** 진잠천

화산천

  • ** 매노천
  • ** 금곡천
  • ** 두계천
  • * 주원천
  • * 회인천
  • * 소옥천 (별칭: 서화천)
  • * 보청천
  • ** 삼가천
  • ** 항건천

거현천

  • * 초강천
  • * 영동천
  • * 천내강
  • ** 봉황천
  • * 남대천
  • ** 적상천
  • * 주자천
  • * 정자천
  • * 대양천
  • 동해천(Donghaecheon)
  • 월성천(Wolseongcheon)
  • 홍촌천(Hongchoncheon)
  • * 영수천(Yeongsucheon)
  • * 운전천(Unjeoncheon)
  • 도암천(Doamcheon)
  • * 산인천(Sanincheon)
  • 강진천(Gangjincheon)
  • * 춘전천(Chunjeoncheon)
  • 탐진강
  • * 금사천(Geumsacheon)
  • * 파산천(Pasancheon)
  • * 군동천(Gundongcheon)
  • * 당산천(Dangsancheon)
  • * 금강천(Geumgangcheon)
  • ** 병영천(Byeongyeongcheon)
  • ** 학동천(Hakdongcheon)
  • ** 성전천(Seongjeoncheon)
  • ** 월산천(Wolsancheon)
  • * 부동천(Budongcheon)
  • * 내안천(Naeancheon)
  • * 부산천(Busancheon)
  • ** 금자천(Geumjacheon)
  • ** 호계천(Hogyecheon)
  • ** 월곡천(Wolgokcheon)
  • * 옴천천(Omcheoncheon)
  • ** 신월천(Sinwolcheon)

월암천(Wolamcheon)

  • ** 황곡천(Hwanggokcheon)

신덕천(Sindeokcheon)

  • * 유치천(Yuchicheon)
  • ** 한천천(Hancheoncheon)

상촌천(Sangchoncheon)

  • ** 반월천
  • ** 관동천(Gwandongcheon)
  • * 용문천(Yongmuncheon)
  • * 탐진천(Tamjincheon) (탐진강의 상류)
  • ** 봉덕천(Bongdeokcheon)
  • ** 운월천(Unwolcheon)
  • 칠량천(Chillyangcheon)
  • * 장계천(Janggyecheon)
  • * 명주천(Myeongjucheon)
  • 대구천(Daegucheon)
  • 마량천(Maryangcheon)
  • 상흥천(Sangheungcheon)
  • 대덕천(Daedeokcheon)
  • * 연정천(Yeonjeoncheon)
  • * 평촌천(Pyeongchoncheon)
  • 고읍천(Goeupcheon)
  • * 신평천(Sinpyeoncheon)
  • ** 석남천(Seongnamcheon)
  • 남상천(Namsangcheon)
  • * 모산천(Mosancheon)
  • * 석동천(Seokdongcheon)
  • * 신흥천(Sinheungcheon)
  • ** 월송천
  • 수문천(Sumuncheon)
  • * 신촌천(Sinchoncheon)
  • 봉강천(Bonggangcheon)
  • 회천천(Hoecheoncheon)
  • 화죽천(Hwajukcheon)
  • 득량천(Deungnyangcheon)
  • * 송곡천(Songgokcheon)
  • 예당천(Yedangcheon)
  • 조성천(Joseongcheon)
  • * 이내천(Inaecheon)
  • 두원천(Duwoncheon)
  • * 사정천(Sajeongcheon)
  • ** 회룡천
  • * 운대천(Undaecheon)
  • * 반산천(Bansancheon)
  • 용산천(Yongsancheon)
  • 고읍천(Goeupcheon)
  • 도화천(Dohwacheon)
  • 고흥천(Goheungcheon)
  • * 신흥천(Sinheungcheon)
  • 송산천(Songsancheon)
  • 강산천(Gangsancheon)
  • 대강천(Daegangcheon)
  • * 와우천(Waucheon)
  • ** 청송천(Cheongsongcheon)
  • * 판덕천(Pandeokcheon)
  • ** 당곡천(Danggokcheon)

쌍암천

  • ** 장월천(Jangwolcheon)
  • 벌교천(Beolgyocheon)
  • * 칠동천(Childongcheon)
  • * 낙안천(Nakancheon)
  • ** 교촌천(Gyochoncheon)

운동천

  • 동룡천(Dongnyongcheon)
  • 순천동천(Suncheondongcheon)
  • * 해룡천(Haeryongcheon)
  • * 이사천(Isacheon)
  • ** 상사천(Sangsacheon)

조곡천(Jogokcheon)

  • ** 석홍천(Seokhongcheon)

목촌천(Mokchoncheon)
* 금산천

  • ** 남정천(Namjeongcheon)
  • ** 선암사천(Seonamsacheon)
  • ** 신성천(Sinseongcheon)
  • ** 쌍암천

월내천

  • * 옥천
  • * 석현천
  • * 순천서천(Suncheonseocheon)
  • ** 운평천
  • * 평곡천
  • 평촌천(Pyeongchoncheon)
  • * 연화천
  • 화양천(Hwayangcheon)
  • 연등천(Yeondeungcheon)
  • 상암천(Sangamcheon)
  • 쌍봉천(Ssangbongcheon)
  • * 소라천(Soracheon)
  • * 주삼천(Jusamcheon)
  • 인덕천(Indeokcheon)
  • * 광양서천(Gwangyangseocheon)
  • ** 억만천(Eongmancheon)
  • ** 광양동천(Gwangyangdongcheon)

추산천(Chusancheon)
동곡천

  • ** 구상천(Gusangcheon)
  • ** 신룡천(Sinnyongcheon)
  • 수어천(Sueocheon)
  • * 옥곡천(Okgokcheon)
  • ** 정토천(Jeongtochen)
  • ** 수평천(Supyeongcheon)
  • * 웅동천(Ungdongcheon)
  • 섬진강
  • * 보성강

5. 2. 2. 동해로 흐르는 강

두왕천
남천정자천무룡천태화강여천천
명촌천
양정천
진장천
동천강
송정천
동천
척동천
무법천
국수천
대곡천
구량천
미호천
상천천
작천천
가천천하서천형산강기계천
북천회야강남창천
대북천
주남천
천곡천장안천용소천효암천화산천


5. 2. 3. 남해로 흐르는 강


월암천
신덕천
상촌천
쌍암천
운동천
조곡천
목촌천
* 금산천
월내천
추산천
동곡천

5. 2. 4. 만주 방향으로 흐르는 강

5. 3. 남북한 주요 하천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남북한의 주요 하천은 다음과 같다.

남북한 주요 하천
순번이름한글한자길이(km)비고
1한탄강한탄강漢灘江136임진강의 지류
2임진강임진강臨津江273북한에 걸쳐 흐름. 임진왜란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과 조선다툼인 임진강 전투가 일어난 곳.
3소양강소양강昭陽江북한강의 지류
4홍천강홍천강洪川江
5북한강북한강北漢江482북한에 걸쳐 흐름.
6한강한강漢江497.5남한강을 합한 길이.
7남한강남한강南漢江
8금강금강錦江327
9만경강만경강萬頃江98
10동진강동진강東津江51
11영산강영산강榮山江116
12섬진강섬진강蟾津江212
13낙동강낙동강洛東江525
14금호강금호강琴湖江116낙동강 지류
15황강황강黃江111낙동강 지류
16남강남강南江193.7낙동강 지류
17압록강압록강鴨綠江790중국과의 국경. 백두산에서 발원.
18두만강두만강豆滿江521중국, 러시아와의 국경. 백두산에서 발원.
19대동강대동강大同江450.3
20청천강청천강淸川江217
21재령강재령강載寧江
22장자강장자강長者江
23長津江|장진강중국어장진강
24호천강호천강
25금야강금야강
26오랑강오랑강
27피류강피류강
28보통강보통강
29례성강례성강
30성천강|성천강중국어성천강
31대령강대령강


6. 한반도의 주요 하천 지리 정보

한반도에는 여러 주요 하천들이 흐르고 있으며, 이들은 지형, 경제, 역사 등 다양한 측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하천들의 지리 정보를 표를 통해 알아본다.

한반도의 주요 하천
번호이름한글한자길이(km)비고
1한탄강한탄강漢灘江136임진강의 지류
2임진강임진강臨津江273북한에 걸쳐 흐름, 임진왜란 시기 임진강 전투 발생
3소양강소양강昭陽江북한강의 지류
4홍천강홍천강洪川江
5북한강북한강北漢江482북한에 걸쳐 흐름
6한강한강漢江497.5남한강 합류 기준
7남한강남한강南漢江
8금강금강錦江327
9만경강만경강萬頃江98
10동진강동진강東津江51
11영산강영산강榮山江116
12섬진강섬진강蟾津江212
13낙동강낙동강洛東江525
14금호강금호강琴湖江116낙동강 지류
15황강황강黃江111낙동강 지류
16남강남강南江193.7낙동강 지류
-압록강압록강鴨綠江790중국과의 국경, 백두산에서 발원
-두만강두만강豆滿江521중국, 러시아와의 국경, 백두산에서 발원
-대동강대동강大同江450.3
-청천강청천강淸川江217



표에 언급된 하천 외에도 태화강, 형산강, 삽교천(곡교천, 무한천이 지류) 등이 있다.

6. 1. 황해 (서해) 유입 하천

압록강, 대령강, 청천강, 대동강, 재령강, 예성강, 임진강, 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등이 황해(서해)로 유입된다.[5][6]

황해(서해) 유입 하천
이름지류
압록강
대령강청천강
대동강보통강
합장강
남강 (평안남도)
재령강
예성강한다리내 (정자천)
루천
오조천
금강미호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황룡강

6. 1. 1. 한강 수계

한강 수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지류 하천들이 포함된다.

한강 수계 주요 하천
이름한자비고
한강漢江
임진강臨津江
안양천安養川
중랑천中浪川
청계천淸溪川
탄천炭川
양재천良才川
분당천盆唐川
북한강北漢江
남한강南漢江
경안천京安川
동강東江


6. 2. 동해 (일본해) 유입 하천

6. 3. 남해 (대한해협) 유입 하천

참조

[1] 서적 수문학 구미서관 2018
[2] 웹인용 소하천정비법 시행령 http://www.law.go.kr[...] 2019-09-16
[3]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8-12-31
[4] 뉴스 550㎜ 물폭탄에 멀쩡 산청군의 ‘치수평천하’ http://www.cnews.co.[...] 건설경제신문 2020-08-17
[5] 웹사이트 http://weekly.khan.c[...]
[6] 웹인용 백두산총서(수문) 109페이지 http://pds.nktech.ne[...] 2018-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