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허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러시아 아무르주의 블라고베셴스크와 아무르강을 경계로 마주하고 있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군대가 주둔했던 곳으로, 1980년 시로 승격되었다. 헤이허는 블라고베셴스크와 함께 자유 무역 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202번 국도, 블라고베셴스크-헤이허 대교, 헤이허 아이후이 공항 등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주요 관광지로는 아무르강, 우다롄츠 호, 아이훈 역사전시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무단장시 무단장시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발해 유적과 청나라 시대 거점, 만주국 시대 일본 군사 및 산업 중심지로서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는 국경 무역과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치치하얼시 치치하얼시는 헤이룽장성 서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우르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군사적 요충지이자 중공업 도시로서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헤이허는 과거 아이훈(ᠠᡳᡥᡡᠨ|아이훈mnc, 중국어: 瑷珲) 또는 아이군으로 불렸으며, 헤이룽장성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 중 하나이다.[2]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2]청나라 때는 아무르 강 유역의 중요한 군사 및 행정 중심지였다. 초기에는 현재 위치에서 남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에 아이훈이라는 도시가 있었으며,[3]1683년부터 1690년까지는 헤이룽장성의 성도이기도 했다.[5] 이후 아이훈은 새로운 위치로 이전되었고, 만주어로는 '''사갈리엔 울라 호톤'''(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 ᡥᠣᡨᠣᠨ|사할리얀 울라 호톤mnc), 중국어로는 '''헤이룽장청'''(黑龍江城) 등으로 불렸다.[8]
1858년 이곳에서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사이에 아이훈 조약이 체결되어 아무르 강 북쪽 땅이 러시아에 넘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제국주의 열강의 압력 속에서 청나라의 국력이 약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신해 혁명 이후 중화민국 시기에는 아이훈 현이 설치되었고, 만주국 시기에는 헤이허 성의 일부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80년 헤이허 시가 설립되었으며,[10]1993년 지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초기 역사
헤이허 지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정착하기 시작한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2] 치치하얼, 이란, 아청, 후란과 함께 헤이룽장성에서 가장 오래된 5개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초기에는 현지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1650년대 중반에는 아무르 강 유역의 원주민인 두처족이 현재 도시 위치에서 남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오늘날의 아이후이 구)에 마을을 세웠다.[2][3] 이 마을은 '아이훈', '헤이룽장', '사갈리엔 울라' 등으로 불렸는데, 뒤의 두 이름은 각각 중국어와 만주어로 아무르 강을 뜻하는 "검은 용 강"이라는 의미이다.
청나라 시대에 헤이허는 전략적 요충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650년대에 두처족이 청나라에 의해 숭가리 강 또는 후르카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두처족의 마을은 비워진 것으로 추정된다.[2] 그러나 1683년부터 1685년 사이, 만주족은 알바진에 있던 러시아 요새에 대한 군사 작전을 위해 이 지역을 다시 기지로 활용했다.[4]1683년에는 이곳에 아이훈(瑷珲)이라는 이름의 도시가 세워졌고, 1690년까지 헤이룽장성의 성도(군사 총독 주둔지) 역할을 했다.[5] 이후 성도는 넨장(머르겐)으로 옮겨졌다.
1706년 프랑스 지도에 아무르 강변의 주요 도시 'Aigou'(아이군)로 표시된 모습
1685년 또는 1686년, 알바진을 점령한 청나라 총독은 아이훈을 원래 위치에서 약 3마일 하류의 아무르 강 오른쪽 강둑(남서쪽)으로 옮겼다.[6][7] 새로운 위치는 다우르족 족장 톨가의 옛 마을 터였다.[6] 이 도시는 만주어 이름인 '''사갈리엔 울라 호톤'''(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 ᡥᠣᡨᠣᠨ|사할리얀 울라 호톤mnc)과 중국어 이름인 '''헤이룽장청'''(黑龍江城)으로 알려졌으며, 두 이름 모두 "검은 강의 도시"라는 뜻이다.[8] 이후 총독부는 치치하얼로 이전했지만, 아이훈은 부도통(푸두통)의 주둔지로 남아 헤이룽장성 내 아무르 강 유역의 넓은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 역할을 유지했다.[5]
1709년경, 예수회 선교사 장 바티스트 레지, 피에르 자르투, 자비에 에렌베르트 프리델리 등이 중국 전역 지리 조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이훈을 방문했으며, 이곳을 아무르 강 유역을 통제하는 만주족의 중요 거점으로 기록했다.[9]
1854년 아이군 앞바다에 정박한 러시아 아무르 총독 무라비요프의 함대
1858년, 아이훈에서는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사이에 아이훈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아무르 강 북쪽(좌안)의 광대한 영토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하게 되었다. 이는 제국주의 열강의 압력에 직면한 청나라의 국력 약화를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이다.
신해 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수립되면서, 아이훈은 새로 설치된 아이훈 현의 현청 소재지가 되었다.
헤이허의 옛 이름인 아이훈(ᠠᡳᡥᡡᠨ ᡥᠣᡨᠣᠨmnc, aihūn hoton, 아이훈 성)은 만주어로 '수달'(aihū)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청나라 초기 행정 구획이 설치될 당시, 러시아 세력의 남하에 대응하여 1683년(강희 22년) 흑룡강 좌안의 구 아이훈성에 흑룡강장군 관청을 설치했다. 이후 1685년에는 흑룡강 우안의 신 아이훈성(현재의 아이후이진)으로 이전했고, 1690년에는 다시 넨장(머르겐)으로 이전했다. 신 아이훈성에는 아이훈 부도통이 남아 현재의 헤이허시 일대를 관할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흑하도(黑河道)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
2. 2. 아이훈 조약과 근대
헤이허는 과거 아이훈(ᠠᡳᡥᡡᠨ|아이훈mnc, 중국어: 瑷珲) 또는 아이군으로 불렸으며, 치치하얼, 이란, 아청, 후란과 함께 헤이룽장성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다.[2] 헤이허 지역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정착했다.[2] 이후 이 지역은 여러 부족의 터전이 되었다. 청나라 시대에 헤이허는 헤이룽장성에 파견된 군대가 처음 주둔한 곳이었다.
오늘날 헤이허의 전신인 아이훈은 1650년대 중반 아무르 계곡의 원주민 두처족이 세운 마을이었다.[2] 이 마을은 현재 헤이허 시가지에서 남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오늘날의 아이후이 구)에 있었으며,[3] 아이군, 헤이룽장 또는 사갈리엔 울라로 알려졌다. 두 이름 모두 "검은 용 강"을 의미하며, 각각 중국어와 만주어로 아무르 강을 뜻한다.
1650년대에 두처족이 청나라에 의해 숭가리 강 또는 후르카 지역으로 이주된 후, 두처족의 마을은 비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683년부터 1685년 사이, 청나라는 알바진의 러시아 요새를 공격하기 위한 작전 기지로 이 지역을 다시 사용했다.[4] 아이훈은 1683년부터 1690년까지 헤이룽장성의 성도(군사 총독 주둔지)였으나, 이후 성도는 넨장(머르겐)으로 옮겨졌다.[5]1685년 또는 1686년, 알바진을 점령한 후 청나라 총독은 아이훈 마을을 원래 위치에서 약 3마일 하류인 아무르 강 우안(남서쪽)의 새로운 장소로 이전했다.[6][7] 이 새로운 장소는 다우르족 족장 톨가의 옛 마을이 있던 곳이었다.[6] 이 도시는 주로 만주어 이름인 '''사갈리엔 울라 호톤'''(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 ᡥᠣᡨᠣᠨ|사할리얀 울라 호톤mnc)과 중국어 이름인 '''헤이룽장청'''(黑龍江城)으로 알려졌는데, 두 이름 모두 "검은 강의 도시"라는 의미이다.[8] 이후 총독부는 치치하얼로 이전되었지만, 아이훈은 부도통(푸두퉁)의 주둔지로 남아 헤이룽장성 내 아무르 강 유역의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5]
아이훈은 1709년경 예수회 선교사 장 바티스트 레지, 피에르 자르투, 자비에 에렌베르트 프리델리가 중국 전역 지리 조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방문했으며, 이들은 아이훈을 아무르 강 유역을 통제하는 만주족의 중요 거점으로 기록했다.[9]
1858년, 아이훈에서는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사이에 국경 조약인 아이훈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아무르 강 좌안의 광대한 영토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다. 이는 당시 청나라의 약세와 러시아의 동진 정책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신해 혁명 이후 1912년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아이훈은 새로 설치된 아이훈 현의 현청 소재지가 되었고, 헤이룽장성 헤이허 도의 관할 하에 놓였다. 1934년 12월 1일,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헤이허 성이 설치되었다.
1945년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만주국이 붕괴한 후, 11월 19일 헤이허 지구 행정변사처가 설치되어 처음에는 눈장성 관할이었으나, 12월 14일 헤이룽장성으로 이관되었다. 1946년 9월 7일 헤이허 전구가 성립되었고, 이듬해 헤이룽장성과 눈장성이 합병되어 흑눈성으로 이관되었다. 1947년 2월 7일 헤이허 전구는 제5전구로 개칭되었으나, 흑눈성 해체에 따라 9월 17일 다시 헤이허 전구로 개편되었다.
1967년 4월에는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헤이허 지구 혁명위원회로 개칭되었으나, 1979년 2월 8일 헤이허 지구 행정공서로 다시 개편되었다. 1980년 11월 15일, 헤이허 시가 설립되어 베이안, 우다롄츠 등 2개의 현급시와 넨장, 쑨우, 쑨커 등 3개의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기존의 아이후이 현은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통합되었다.[10]1993년 2월 8일, 헤이허 지구는 지급시인 헤이허 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3. 현대
신해 혁명 이후 아이군은 중화민국 시기 새로 설치된 아이군 현의 현청 소재지가 되었으며, 흑하도의 관할 아래에 놓였다. 만주국이 성립된 후인 1934년 12월 1일에는 흑하성이 설치되었다.
만주국 붕괴 후, 1945년 11월 19일 흑하 지구 행정변사처가 설치되어 처음에는 눈장성의 관할이었으나, 같은 해 12월 14일 흑룡강성으로 이관되었다. 1946년 9월 7일에는 흑하 전구가 성립되었고, 이듬해 흑룡강성과 눈장성이 합병되어 흑눈성이 설치되자 그 관할로 편입되었다. 1947년 2월 7일 흑하 전구는 제5전구로 개칭되었으나, 같은 해 9월 17일 흑눈성이 해체되면서 다시 흑하 전구로 개편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1967년 4월에 흑하 지구 혁명위원회로 개칭되기도 했으나, 1979년 2월 8일 다시 흑하 지구 행정공서로 개편되었다. 1980년 11월 15일, 현재의 헤이허 시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당시 베이안, 우다롄츠 두 개의 현급시와 넨장, 쑨우, 쑨커 세 개의 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아이후이 현은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통합되었다.[10] 이후 1993년 2월 8일, 흑하 지구가 지급시인 헤이허 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행정 체계에 이르고 있다.
3. 지리
헤이룽장성 북부에 위치하며, 아무르강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강 건너편으로는 러시아아무르주의 주도인 블라고베시첸스크와 마주보고 있다.[20] 관할 면적은 54390km2에 달하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4° 45'에서 129° 18' 사이, 북위 47° 42'에서 51° 03' 사이에 걸쳐 있다.
국내에서는 북쪽으로 다싱안링 지구, 남동쪽으로 이춘시, 남쪽으로 수이화시, 남서쪽으로 치치하얼시, 서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의 후룬베이얼시와 접한다. 국제적으로는 아무르강을 경계로 러시아와 접하는데, 이 국경은 1858년 아이훈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확정되었다. 그 이전, 넬친스크 조약에 따라 아무르강 북쪽 지역은 중국 제국의 영토였다.
3. 1. 헤이허-텅충 선
헤이허 시에서 서남부 국경의 윈난 성 바오산 시 텅충 시까지 지도상에 그은 선을 '''헤이허-텅충 선'''이라고 칭하며, 중국 인구 분포의 극단적인 편중을 나타내는 선으로 여겨진다.
헤이허 시는 헤이룽 강 연안, 헤이룽장 성 북부에 위치하며, 358km에 달하는 국경을 통해 하위 행정 구역인 아이후이 구, 쑨우 현, 쉰커 현이 각각 러시아와 접한다. 아이후이 구의 맞은편은 러시아 극동 지역 제3의 도시이자 아무르주 주도인 블라고베시첸스크로, 그 거리는 불과 750m이다.
3. 2. 기후
헤이허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 Dwb)를 보이며, 현 남부 지역은 Dwa 기후를 보인다. 이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길고 혹독하며 바람이 많이 불지만 건조한 겨울과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으로 따뜻하고 습한 여름을 특징으로 한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월 평균 기온은 -22°C이고, 가장 더운 달인 7월은 평균 21.1°C이며, 연평균 기온은 0.92°C이다. 연 강수량의 거의 3분의 2가 6월에서 8월 사이에 집중된다. 기록된 극한 기온은 -44.5°C에서 39.3°C까지이다.[22][23][11][12][13]
2010년 기준으로 한족이 97.04%로 다수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만주족 1.51%, 다우르족 0.42%, 후이족 0.32%, 몽골족 0.30% 순이다. 이 외에도 조선족, 오로촌족, 에벤키족, 시버족, 투자족, 어뤄쓰족 등의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1]2020년 기준으로는 한족 비율이 96.95%로 2010년 대비 0.09% 하락했으며, 소수민족 비율은 3.05%로 2010년 대비 0.09% 상승했다.
오늘날 헤이허는 블라고베시첸스크와 함께 중국과 러시아 간의 자유무역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많은 중국인과 러시아인이 두 도시 간 여행 시 비자를 면제받으며 비공식적인 무역도 활발하다. 블라고베시첸스크의 일부 주민들은 생계비가 더 저렴한 헤이허에 아파트를 구입하기도 한다. 아무르강의 중주인 다이헤이허섬은 중-러 변경 무역의 기지가 되었고, 헤이허 통상구를 통해 대 러시아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시내에는 국가급 경제 개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아무르강 옆 우아니우 호수에는 만도 베이징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헤이허 동계 연구센터가 있다. 이 연구센터는 동계 혹한기 악천후 테스트를 목적으로 하며, 만도는 호수 전체를 30년간 장기 임대했다.[21] 또한 헤이허시 서쪽에는 러시아와 중국의 전력망을 연결하는 HVDC 백투백 변전소가 설치되어 750MW의 전송 용량을 갖추고 있다.
7. 교통
헤이룽강(아무르강)변
헤이허시는 러시아블라고베셴스크와 아무르강(헤이룽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중국의 국경 도시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상 러시아와의 교통 연계가 중요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주요 도시들과 연결되는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특히 국경을 넘나드는 교통 수단이 발달하였다.
헤이허는 러시아의 블라고베셴스크와 아무르강(헤이룽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어, 두 도시 간의 교통이 활발하다. 여름에는 보트를 이용하지만, 강이 어는 겨울에는 버스가 두 도시를 오간다. 얼음이 너무 얇아 버스가 다니기 어려울 때는 호버크래프트가 대체 교통수단으로 이용된다. 2019년 말에는 아무르강을 가로질러 두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2차선 블라고베셴스크-헤이허 대교가 완공되어 육상 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세계 최초의 블라고베셴스크행 국제 삭도가 2022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14][15]
[1]
웹사이트
China: Hēilóngjiā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2-02-28
[2]
웹사이트
Амурская область: История НАРОДЫ АМУРСКОЙ ЗЕМЛИ
http://www.amurobl.r[...] [3]
웹사이트
The Ancient City of Aigun
http://scenery.cultu[...] [4]
문서
Russia and China: Their Diplomatic Relations to 1728
[5]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No. 213
[6]
서적
The Russians on the Amur
https://books.google[...]
London
[7]
문서
[8]
간행물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enrichie des cartes générales et particulieres de ces pays, de la carte générale et des cartes particulieres du Thibet, & de la Corée; & ornée d'un grand nombre de figures & de vignettes gravées en tailledouce
https://archive.org/[...]
La Haye: H. Scheurleer
[9]
간행물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enrichie des cartes générales et particulieres de ces pays, de la carte générale et des cartes particulieres du Thibet, & de la Corée; & ornée d'un grand nombre de figures & de vignettes gravées en tailledouce
https://archive.org/[...]
La Haye: H. Scheurleer
[10]
웹사이트
爱辉区概况
http://www.heihe.gov[...]
Heihe People's Government
2007-06-06
[11]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12]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13]
웹사이트
黑河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12-07-12
[14]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cross-border cable car will travel from Russia to China in under 8 minutes
https://edition.cnn.[...] [15]
뉴스
Russia to China in under eight minutes: World's first cross-border cable car unveiled
https://www.abc.net.[...]
2019-07-31
[16]
문서
As of today, Krasnoyarsk City Administration has concluded protocols of intent and agreements on cooperation with the following foreign cities:
http://www.admkrsk.r[...] [17]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18]
웹사이트
黑龙江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9]
문서
地球の歩き方、大連・瀋陽・ハルビン、東北地方の自然と文化 2007/2008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hlyw.com[...]
2011-02-05
[21]
뉴스
만도, 표지판 읽고 레이더로 거리조절하는 무인車 `도전`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2-09
[22]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5
[23]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