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로촌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촌족은 중국 북동부의 소수 민족으로, "순록을 키우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지닌다.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문자가 없어 기원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부족하다. 과거에는 몽골, 러시아 등 주변 민족과의 교류가 있었으며, 특히 일본 제국 점령기에는 아편 배포, 생체 실험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주로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와 헤이룽장성 등에 분포하며, 샤머니즘을 믿는 전통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쇠퇴하였다. 오로첸어 사용 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며, 현대에는 문화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여진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여진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오로촌족
기본 정보
다른 이름엘룬춘족, 오로촌, 오로첸
언어오로첸어, 중국어
종교샤머니즘, 티베트 불교
관련 민족에벤족, 에벤키족, 기타 퉁구스족
인구 통계
총 인구약 8,689명 (추정)
거주 지역중국: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중국 내 인구8,259명
민족 명칭
오로첸어ɔrɔtʃeen
중국어 간체鄂伦春族
중국어 정체鄂倫春族
한어 병음Èlúnchūnzú
몽골어Orčun
러시아어Ороченъ
만주어Oroncon
추가 정보
러시아어 참고러시아에서는 오로촌족을 에벤키족의 일부로 간주하지만, 중국에서는 별개의 민족으로 간주한다.
어원'오로촌'이라는 이름은 에벤키어로 순록을 의미하는 '오론'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2. 역사

오로촌족은 문자가 없어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할 수 없었다. 다른 종족의 문헌 기록도 매우 적어, 오로촌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통일된 학설이 없다.[24]

몽고비사에서는 외흥안령 산맥에 거주하는 종족을 ‘숲속의 백성'이라고 칭하였다. 대명일통지에는 "북산(北山)에 야인(野人)이 있는데 사슴을 타고 다닌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오로촌족과 어웡키족 등 순록을 이용하는 종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삼성정략(東三省政略)》에는 "오로촌은 실제로 소론(索倫, ᠰᠣᠯᠣᠨ|Solonmnc)의 한 부족으로 그 종족은 모두 흥안령 산중에 흩어져 있으며 수렵을 위주로 하는데, 원대에는 숲속의 백성이라 칭했으며 청초에는 수중인(樹中人) 또는 사록부(使鹿部)라고 불렸다."라는 기록이 있다. 청나라 사료에는 오로촌, 어웡키, 다우르를 소론부(索倫部)[25], 사록부(使鹿部), 타생부(打牲部)로 통칭한 기록이 있다.[26]

오로첸족 샤먼 의상


오로첸 여성, 사할린, 1903


오로첸 남성, 러시아 극동, 1900


17세기 러시아 제국흑룡강 유역을 침략하면서, 일부 오로촌족은 대흥안령과 소흥안령 근처 지역으로 이동했다.

만주국 시대에 일본 관동군은 오로촌족에게 아편을 배포하고 생체 실험을 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4][5][6][7][8] 오로촌족은 러시아어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소 정보 수집 임무에 동원되었고, 마약 중독이 확산되었다.[27] 일본은 오로촌족에게 전쟁에 참여하도록 강요하여 인구 감소를 초래했다.[10] 알리허에서 오로촌 사냥꾼이 일본군 2명을 살해한 후, 일본군은 오로촌족 40명을 독살하기도 했다.[9]

만주에서 일본이 축출된 후, 오로촌족은 중국 공산주의자들로부터 반혁명분자로 의심받아 박해를 받았다. 특히 1966년부터 1976년까지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일부 오로촌족은 심한 심문과 공개적인 굴욕, 구타를 견뎌야 했으며, 이로 인해 일부는 자살했다.[11]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오로촌족은 문자가 없어 자체적인 역사 기록이 부족하며, 다른 종족의 문헌 기록도 드물어 그 기원에 대한 통일된 학설은 없다.[24]

《몽고비사》에는 외흥안령 산맥에 거주하는 종족을 '숲속의 백성'이라고 칭하였다. 《대명일통지》에는 "북산(北山)에 야인이 있는데 사슴을 타고 다닌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대략 오로촌족과 어웡키족 등 순록을 이용하는 종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삼성정략(東三省政略)》에는 "오로촌은 실제로 소론(索倫, ᠰᠣᠯᠣᠨ|Solonmnc)의 한 부족으로 그 종족은 모두 흥안령 산중에 흩어져 있으며 수렵을 위주로 하는데, 원대에는 숲속의 백성이라 칭했으며 청초에는 수중인(樹中人) 또는 사록부(使鹿部)라고 불렸다."라는 기록이 있다. 청나라 사료에는 오로촌, 어웡키, 다우르를 소론부(索倫部)[25], 사록부(使鹿部), 타생부(打牲部)로 통칭한 기록이 있다.[26]

17세기 중엽 이전에는 주로 바이칼호 동부, 아무르강(흑룡강) 북부, 사할린섬 일대에 분포하였다. 그중 실카강, 제야강, 뇨만강, 암군강 유역과 사할린 섬은 모두 오로촌족의 거주지였다. 특히 제야강과 뇨만강 일대가 비교적 집중적인 거주지였다.[35]

문헌 기록에 따르면, "암군강, 뇨만강 내지 제야강은 흑룡강과 환강(擐江) 좌우에서 합류하는데 거주민은 모두 오론촌(俄樂春, ᠣᡵᠣᠨᠴᠣᠨ|Oronconmnc), 키러르(奇勒爾, ᡴᡳᠯᡝᡵ|Kilermnc), 비랄(畢喇爾, ᠪᡳᡵᠠᠯ|Biralmnc)에 속하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실카강에서 동쪽의 녈위이하(涅威爾河)의 흑룡강 북쪽 일대는 주로 오로촌족의 활동 지역이며, 호마이하(呼瑪爾河)에 이르러 제야강과 뇨만강에 이르는 곳은 비랄인의 활동 지역이다.[35]

비랄인의 족칭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제야강 지류인 비랄하 유역에 거주하여 얻은 이름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뇨만강을 부레야강이라고도 하는데, '부레야'는 오로촌어로 강이라는 뜻인 비라가 변한 것으로 비랄인은 부레야라는 말에서 기원하였다는 것이다. 암군하는 키러르인이 활동했던 지역이다. 사료에 "키러르는 키렁(奇楞, ᡴᡳᠯᡝᠩ|Kilengmnc)이라고도 하며 닝구타 동북으로 2천 리에 있다...우수리강 입구부터 혼동강 남쪽에 이르며 동으로는 바닷가에 이른다."라는 기록이 있다. 흑룡강 하류에서 사할린 섬에 이르는 곳은 만혼(滿琿) 사람의 활동 지역이다. 사할린 섬의 아당길산(阿當吉山)은 섬의 약간 남쪽에 있는데 산의 남쪽은 오로촌인의 거주지이다.[35]

2. 2. 러시아와의 관계

17세기 중엽 제정 러시아가 흑룡강 유역을 침략하면서 오로촌족의 생활에 큰 변화가 생겼다. 이로 인해 일부 오로촌족은 흑룡강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러시아에서는 현지에 남은 오로촌족과 에벤키족을 통칭하여 에벤키(Эвенкиru)라 불렀다.[35]

아무르강 유역이나 사할린에서는 에벤키족이나 윌타족(오로코족)을 '오로촌'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7]

2. 3. 만주국 시대와 일본

만주국 시대에 일본 관동군은 오로촌족에게 아편을 배포하고 생체 실험을 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4][5][6][7][8] 오로촌족은 러시아어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소 정보 수집 임무에 동원되었고, 마약 중독이 확산되었다.[27]

일본은 오로촌족에게 전쟁에 참여하도록 강요하여 인구 감소를 초래했다.[10] 알리허에서 오로촌 사냥꾼이 일본군 2명을 살해한 후, 일본군은 오로촌족 40명을 독살하기도 했다.[9]

2. 4.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만주에서 일본이 축출된 후, 오로촌족은 중국 공산주의자들로부터 반혁명분자로 의심받아 박해를 받았다. 특히 1966년부터 1976년까지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일부 오로촌족은 중국 공산당 당국의 심한 심문, 공개적인 굴욕과 구타를 견뎌야 했으며, 이로 인해 일부는 자살했다.[11]

2. 5. 이와마 노리오와 오로촌족

1943년 만몽 개척 청소년 의용군으로 만주에 건너간 야마나시현 출신 이와마 노리오는 시베리아 억류, 중국 인민 해방군 입대를 거쳐 교역 마차 호송 중 오로촌족에게 습격당해 포로가 되었지만, 일본인이라는 이유로 목숨을 건졌다. 그는 오로촌족과 생활하며 오로촌족 여성을 아내로 맞이하여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20][21] 1996년 이와마 노리오는 오로촌족 아내와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영주 귀국했다.[21]

3. 문화

오로촌족은 족외혼을 따르며, 서로 다른 씨족 구성원 간의 결혼만 허용된다.

자작나무 껍질은 가죽과 함께 오로촌족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원자재이다. 아기 요람에서 배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용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 에벤키족, 오로촌족, 나나이족은 순록 사육과 관련하여 자작나무 껍질을 함께 사용했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를 "자작나무 껍질" 문화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1]

오로촌족은 현재 중국에서 교육 수준이 높은 민족 중 하나이다.[2] 대학 교육을 받은 오로촌족은 23.3%이며, 이는 중국 러시아인, 중국 타타르인, 나나이족보다는 적다.[2] 초등학교 교육 이하를 받은 오로촌족은 19.2%로, 한국인, 중국 러시아인, 나나이족보다 높다.[2]

3. 1. 생업

오로촌족의 대표적인 생업은 육류, 내장, 를 식용 또는 음용하고, 가죽을 얻기 위한 짐승 사냥이다.[17][18] 사냥 대상은 만주사슴(바루크, 미국산 사슴의 아종), 노루, 만주엘크사슴(타록·낙타사슴, 말코손바닥사슴의 아종) 등 사슴류와 다람쥐, 족제비, 늑대, 멧돼지, 스라소니, 등이다. 순록을 사육하며 이동 생활을 했으며,[17][18] 싱안링 지역에서는 기마 습관이 있는데, 사냥 시 이동과 짐 운반 수단으로 을 사용한 것은 몽골족의 영향으로 보인다.[17]

3. 2. 주거

오로촌족의 전통적인 주거는 '시렌주'라고 불리는 원뿔형 천막이다.[17] 시렌주는 20~30개의 소나무 막대기로 만들어지며, 여름에는 자작나무 껍질로, 겨울에는 사슴 가죽으로 덮는다. 보통 지름이 약 6미터, 높이가 5미터 정도이며, 중앙에는 부엌이자 조명 역할을 하는 불이 놓여 있다.[17]

하지만 현재는 정착 생활이 진행되어, 일상적으로는 인근의 한족이나 러시아인과 유사한 주거에서 생활한다.[17] 숙박을 동반하는 사냥 시에만 산과 들에서 임시로 시렌주를 설치한다. 에벤키족도 이와 같은 천막식 주거를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다.[17]

3. 3. 언어

오로촌어는 퉁구스어족 북퉁구스어파 어웡키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모음은 혀의 위치에 따라 음과 양으로 나뉘며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문자는 없다.[30]

오로첸어는 북부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에벤키어와 매우 유사하여 두 언어 사용자는 서로의 언어를 70% 정도 이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로첸어는 문자가 없지만, 대부분의 오로촌족은 중국어를 읽고 쓸 수 있으며, 일부는 다우르어도 구사할 수 있다.

오로촌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1980년대 말 조사에서는 오로촌족의 51%만이 오로촌어를 사용하며, 취락구의 생활용어는 여전히 오로촌어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1] 2000년 조사에서는 오로촌 자치기의 7개 오로촌족 거주 마을인 오리온 마을에서 오로촌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40% 미만으로, 이들 대부분이 30대 이상이었다. 오로촌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은 40%가 넘었으며, 10세 미만에서는 94%가 오로촌어를 전혀 몰랐다.[31] 2007년 조사에서는 오로촌족 내의 통용되는 교류 언어가 중국어로 바뀌었고, 오로촌어는 50대 이상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특허 언어'가 되었다.[32]

3. 4. 종교

1950년대 초까지 오로촌족의 주요 종교는 샤머니즘이었다. 마지막 샤먼인 멍진푸(추온나수안)는 2000년에 사망하여 샤머니즘 전통은 거의 사라졌다.[33][34] 전통적으로 동물, 특히 호랑이를 숭배했으며, 그들을 혈육으로 여겼다. 호랑이는 그들에게 '우타치'(노인)로, 곰은 '아마하'(삼촌)로 불렸다.

오로첸족의 마지막 무당인 추온나수안(1927–2000). 1994년 7월 리처드 놀이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시베리아)의 국경인 아무르강 근처 만주에서 촬영했다.


1952년 여름, 중국 공산당 간부들은 오로촌족 지도자들에게 "미신"을 버리고 모든 종교적 관습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이 부족 지도자들은 추온나수안(멍진푸)과 자오 리벤이었으며, 강력한 무당이기도 했다. "정령을 보내고" 다시 돌아오지 않도록 간청하는 특별한 공동체 의식은 바이인나와 시바잔에서 3일 밤 동안 열렸다.

추온나수안(孟金福|멍진푸중국어)은 1952년 공산주의자들이 이 지역에서 그러한 "미신"을 금지하기 전에 자신의 기술을 사용한 마지막 생존 무당이었다. 그의 삶, 입문 질병, 샤먼으로서의 훈련은 온라인으로도 제공되는 출판된 기사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13][14] 1952년 7월 3일 밤 동안, 여러 개별 공동체에서 오로촌족은 정령에게 영원히 떠나달라고 간청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변형된 의식 상태에서 청각(정령의 노래) 및 시각적 정신 이미지를 증거하고 강화한 것은 추온나수안의 샤머니즘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그가 '부니'라고 부르는 하계로의 의식 여행을 한 번만 수행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하계 또는 죽은 자의 땅을 의미하는 이 용어는 거의 한 세기 전에 수집된 시베리아의 나나이족 무당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15] 조상 정령에게 희생을 바치는 행위는 여전히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애니미즘에 대한 민속 심리학적 믿음이 존재한다.

3. 5. 성명

오로촌족의 씨족은 오로촌어로 '무쿤'이라고 하며, 무쿤이 있기 위해서는 먼저 성이 있어야 한다. 성은 오로촌어로 '하라'라고 한다. 오로촌인의 하라는 모두 의미를 담고 있다. 일부 하라에서는 작은 성씨가 파생되었는데, '어떠어떠한 첸(淺)'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커르터이르는 후대에 나단첸(那旦淺), 콩가이다첸(空改達淺), 처처이르(車車依爾淺) 등의 성씨가 파생되었다.[28] 바이이르는 후대에 부러기이르첸(布勳吉依爾淺), 조룬첸(昭倫淺), 오룬첸(放倫淺), 차라방커첸(查拉邦克淺), 우용나첸(烏永那淺) 등이 파생되었다.[28] 이들 작은 성씨는 기본적으로 그에 대한 해석과 기원 전설이 있다.[28] 작은 성씨의 첸이 독립적인 무쿤으로 성립하게 되면 작은 성씨는 본 씨족의 진정한 성씨가 된다.[29]

3. 6. 기타

오로촌족은 족외혼을 따르며, 서로 다른 씨족 구성원 간의 결혼만 허용된다.

자작나무 껍질은 가죽과 함께 오로촌족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원자재로, 아기 요람에서 배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용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 에벤키족, 오로촌족, 나나이족은 순록 사육과 관련하여 자작나무 껍질을 함께 사용했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를 "자작나무 껍질" 문화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1]

오로촌족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교육 수준이 높은 민족 중 하나이다.[2] 오로촌족의 23.3%가 대학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중국 러시아인, 중국 타타르인, 나나이족보다 적은 수치이다.[2] 반면, 초등학교 교육 이하를 받은 오로촌족은 19.2%로, 한국인, 중국 러시아인, 나나이족보다 높다.[2]

4. 분포

청 제국 초기 문헌에 따르면, 17세기 중엽 이전 오로촌족은 주로 바이칼호 동부, 아무르강(흑룡강) 북부, 사할린섬 일대에 분포하였다. 실카강, 제야강, 뇨만강, 암군강 유역과 사할린섬은 오로촌족의 주요 거주지였다.[35]

17세기 중엽 러시아 제국이 흑룡강 유역을 침략하면서 오로촌족 일부는 흑룡강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대흥안령과 소흥안령 일대에서 유렵 생활을 하였고, 다섯 개 지역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후마하 유역의 쿠마르첸, 슌비라하, 쿠르빈하, 우윤하, 자인하 유역의 비랄첸, 아리하 유역의 아리첸, 도부쿠르하 유역의 도부쿠르첸, 투하 유역의 투첸 등이었다. 청 제국은 이들의 활동 지역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로(路)로 구분하였고, 후에 아리로와 도부쿠르로를 합쳐 아리부쿠르로라 하였다.[35]

현재 오로촌족은 주로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의 오로촌 자치기, 자란툰 시, 흑룡강성 다싱안링 지역의 타허 현, 후마 현, 헤이허 시 후이 구, 쉰커 현, 이춘 시의 자인 현 등지에 거주한다.[35]

5. 현대의 오로촌족

현대에 들어 오로촌족은 오로촌 자치기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오로촌 자치기에는 관광 및 문화 활동을 위한 박물관이 설립되었다.[16]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C2가 61.3%, O2가 19.4%이다.[22]

홋카이도아바시리시에서 열리는 "오로촌 불꽃 축제"는 와진(야마토 민족)에 의한 관광 행사로, 오로촌족의 전통과는 무관하다. 라면고추 등으로 맵게 맛을 낸 "오로촌 라멘"이라는 상품이나 메뉴, 라멘 가게가 있지만[23], "오로촌 불꽃 축제"에서 연상된 명칭이다.

5. 1. 문화 부흥 노력

오로촌 자치기에는 관광 및 문화 활동을 위한 박물관이 설립되었다.[16]

5. 2. 유전자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C2가 61.3%, O2가 19.4%이다.[22]

5. 3. 오해와 논란

홋카이도아바시리시에서 열리는 "오로촌 불꽃 축제"는 와진(야마토 민족)에 의한 관광 행사로, 오로촌족의 전통과는 무관하다. 한때 아바시리에 거주하는 위르타와 니브흐의 협력을 얻기도 했지만, 그들의 전통 문화를 존중하는 내용이 아니었기 때문에 곧 참가를 거부하게 되었다[23]."오로촌"이라는 단어가 북방 여러 민족의 막연한 호칭으로 사용되던 시기의 잔재로, 현재도 어감 때문에 "오로촌"이라는 호칭이 사용되지만, 오로촌족에게 불꽃 축제라는 습속은 없다.

된장 라면고추 등으로 맵게 맛을 낸 "오로촌 라멘"이라는 상품이나 메뉴, 라멘 가게가 있지만[23], "오로촌 불꽃 축제"에서 연상된 명칭이다. "오로촌"이 아이누어로 "용감"이라는 의미라는 설명도 있지만, 아이누어에는 그러한 어휘가 없고 근거 없는 설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Oroqen ethnic minority http://www.china.org[...] 2018-04-20
[2] 뉴스 Saving one of China's smallest ethnic minority groups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1-03-06
[3] 간행물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понятия орочены-оленеводы у 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х этносов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https://euroasia-sci[...]
[4] 백과사전 Oroqen http://www.encyclope[...] 2018-05-23
[5] 웹사이트 The Oroqen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2005-06-21
[6] 웹사이트 The Oroqen ethnic minority http://ee.china-emba[...] 2004-05-17
[7] 웹사이트 OROQEN http://factsanddetai[...] 2018-06-04
[8] 웹사이트 China's ethnic minorities https://www.chinains[...] 2010-01-27
[9]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chu-Tungus Studies, Bonn, August 28-September 1, 2000: Trends in Tungusic and Siberia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0]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chu-Tungus Studies, Bonn, August 28-September 1, 2000: Trends in Tungusic and Siberia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2] 웹사이트 中国2010年人口普查资料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7-09
[13] 저널 Chuonnasuan (Meng Jin Fu). The Last Shaman of the Oroqen of Northeast China https://web.archive.[...] 2007-08-31
[14] 간행물 The last shaman of the Oroqen people of northeast China https://www.research[...]
[15] 서적 The Rite Technique of the Siberian Shaman (FF Communications No. 220) Helsinki: Suomalainen Tiedeakatemia
[16] 웹사이트 Preserving the Oroqen Culture https://www.iias.asi[...]
[17] 문서 萩原(1988)p.428
[18]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小項目事典1』「オロチョン人」(1972)p.716
[19] 문서 中生(2000)pp.192-196
[20] 문서 坂本『されど故郷忘じがたく』(1988)
[21] 문서 坂本『祖国まで 岩間典夫の半世紀』(1996)
[22] 웹사이트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http://www.genetics.[...]
[23] 문서 『ゲンダーヌ―ある北方少数民族のドラマ』(1978)
[24] 서적 최후의 수렵민 어룬춘족 동북아역사재단
[25] 문서 牛素嫻(2006), 清初的「索倫」諸部
[26] 서적 최후의 수렵민 어룬춘족 동북아역사재단
[27] 문서 中生勝美「オロチョン族をアヘン漬けにした日本軍」
[28] 서적 최후의 수렵민 어룬춘족 동북아역사재단
[29] 서적 최후의 수렵민 어룬춘족 동북아역사재단
[30] 백과사전 鄂伦春语、鄂伦春族、通古斯语支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31] 간행물 鄂伦春语使用现状分析
[32] 간행물 关于鄂伦春语濒危现象的探讨
[33] 저널 Chuonnasuan (Meng Jin Fu). The Last Shaman of the Oroqen of Northeast China http://www.desales.e[...]
[34] 간행물 The last shaman of the Oroqen people of northeast China https://www.research[...]
[35] 서적 최후의 수렵민 어룬춘족 동북아역사재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