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위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위병은 1960년대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에서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아 조직된 청년 단체이다. 마오쩌둥은 실권파를 제거하기 위해 홍위병을 동원하여 '사구파괴' 운동을 벌였고, 홍위병은 류샤오치, 덩샤오핑 등 반대파를 공격하고 문화재를 파괴하는 등 폭력적인 행위를 자행했다. 홍위병 운동은 마오쩌둥의 통제를 벗어나 파벌 간의 갈등과 무력 투쟁으로 이어졌고, 결국 인민해방군의 개입으로 진압되었다. 이 사건은 극단적인 이념과 폭력의 위험성을 보여주며,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교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중국 -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의 주도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으로, 당내 반대 세력 제거와 마오쩌둥 사상 강화를 목적으로 홍위병을 동원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입힌 사건이다. - 문화대혁명에 관한 - 루산 회의
루산 회의는 1959년 중국 공산당이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나 펑더화이의 비판을 계기로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반대파 숙청의 장으로 변질되어, 펑더화이 등 고위 간부들이 숙청되고 중국 공산당 내부 권력 다툼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문화대혁명에 관한 - 대약진 운동
대약진 운동은 마오쩌둥 주도로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중국에서 진행된 급진적인 경제 개발 운동으로, 농업 집단화와 중공업 중심 산업화를 추진했으나 비현실적인 목표와 정책으로 대규모 기근과 인명 피해를 초래하며 중국 공산당 권위 실추와 문화대혁명의 원인이 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범죄 - 붉은 8월
붉은 8월은 1966년 중국 문화대혁명 초기에 마오쩌둥의 지지를 받은 홍위병들이 베이징에서 일으킨 대규모 학살 사태로, 수천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잔혹한 방법으로 지식인과 시민들을 박해하고 영유아까지 희생시킨 끔찍한 사건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범죄 - 광시 대학살
광시 대학살은 중국 문화 대혁명 시기 광시성에서 홍위병 파벌 싸움과 정치적 숙청으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학살 사건으로, 잔혹한 방식과 식인 행위까지 자행되었으며, 1980년대 중국 당국의 조사가 있었지만 정확한 규모와 책임 규명에는 한계가 있다.
홍위병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중국 |
창립자 | 주석 마오쩌둥 |
지도자 | 문화대혁명 소조 (1968년까지) |
충성 대상 | 마오쩌둥 (의례적인 상징적 인물) |
창립 | 1966년 |
해산 | 1968년 |
동기 | 마오쩌둥의 혁명적 이념과 중국공산당 내 그의 지위 보존 |
활동 지역 | 중국 전역, 특히 베이징 및 기타 도시 지역 |
이념 | 마오쩌둥주의 |
정치적 위치 | 극좌 |
공격 | 홍팔월 (다싱 학살, 광시 학살, 내몽골 사건, 광둥 학살, 윈난 학살, 후난 학살 포함) |
현황 | PLA에 의해 강제 진압됨 |
규모 | 1100만 ~ 1200만 명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 기타 지지자 또는 후원자 |
한자 표기 | 간체: 번체: |
로마자 표기 | 표준 중국어: Hóngwèibīng 광둥어: 한어 병음: |
![]() | |
문화대혁명 관련 | |
목표 | 마오쩌둥 사상을 지키고 중국공산당 내에서 그의 지위를 보존 |
주요 활동 | 홍팔월을 포함한 폭력적인 활동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의 광범위한 사회적 혼란 |
특징 | 마오쩌둥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과 급진적인 행동 |
영향 | 중국 사회 전체에 큰 혼란과 피해를 입힘 |
마오쩌둥주의 관련 | |
이념 | 마오쩌둥주의 |
관련 인물 | 마오쩌둥 |
주요 구호 |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혁명에는 죄가 없고 반역에는 이유가 있다 |
마오쩌둥주의적 특징 | 계속 혁명 군중 노선 반수정주의 인민전쟁론 |
역사적 배경 | |
설립 배경 |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의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됨. |
주요 사건 | 홍팔월 기간 동안의 대규모 폭력 사태 인민해방군에 의한 진압 |
해체 | 1968년, 인민해방군에 의해 강제 해산 |
2. 기원 및 배경
1950년대 인민공사 정책과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실권을 잃었던 마오쩌둥은 1965년부터 실권파에 대한 권력 탈취를 목표로 문화대혁명을 계획했다.
홍위병은 홍오류(紅五類)(노동자, 빈농·하층중농, 혁명간부, 혁명군인, 혁명열사, 그리고 그 자녀)만이 가입할 수 있었다. 반대로 지주, 부호, 반동분자, 악질분자, 우파분자, 그리고 그 자녀는 흑오류(黑五類)로 분류되어 출신만으로도 공격 대상이 되었다. 부모가 흑오류임을 고발·규탄하여 홍위병이 된 경우도 있었으나, 이는 드문 경우였다.
베이징의 홍위병은 『마오쩌둥어록』을 들고 "사구파괴(낡은 사상·문화·풍속·습관의 타파)"를 외치며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을 대표로 하는 실권파, 반혁명분자를 공격했다. 인민복이 아닌 청바지를 입은 젊은이들을 "서구적"이라며 옷을 찢거나, 귀중한 문화재를 파괴하고, 폭행을 가해 많은 사상자를 냈다. 사람을 창문에서 던지거나, 방사성 물질이 있는 방에 감금하는 사례도 있었다.
장제스는 마오쩌둥이 중국공산당 관리 및 당원, 중국공산주의청년단 회원, 심지어 노동자, 농민, 군인에 대한 신뢰를 잃었고, 학생들에게 신뢰를 두고 홍위병을 이용하여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6] 또한 장제스는 마오쩌둥이 마오이즘을 명분으로 지식이 풍부하고 기여도가 높은 중국공산당 관리 및 당원과 중국공산주의청년단 회원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고, 홍위병이 그들을 대체하여 당을 계승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17]
2. 1. 문화대혁명의 발발


중국에서 처음으로 자신들을 "적위대"라고 부른 학생들은 칭화대학교 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이었는데, 1966년 5월 25일부터 6월 2일 사이에 발표된 두 장의 대자보에 서명하면서 그 이름을 얻었다.[7] 이들은 연극 ''해뢰 파면''에 대한 비판이 정치적 문제이며 더 많은 관심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장청지가 칭화 중학교에서, 니위안즈가 베이징대학교에서 이끌었던 이 학생들은 칭화대학교와 베이징대학교 행정부에 지식인 엘리티즘과 자본가 계급적 성향이 있다고 비난했다.[8] 초기 적위대 대부분은 소위 "오적" 출신이었다.[9][10]
적위대는 학교 행정부와 다른 학생들로부터 반혁명분자와 급진주의자로 비판받았고, 원명원 폐허에서 비밀리에 만나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은 적위대의 선언문을 전국 라디오 방송으로 방송하고 ''인민일보''에 게재하도록 명령했다. 이로 인해 적위대는 정치적 정당성을 얻었고, 중국 전역에서 학생 단체들이 빠르게 나타나기 시작했다.[11] 1966년 8월 말까지 거의 모든 중국 도시와 대다수의 군(郡)에서 적위대 활동이 있었고,[12] 1966년 10월까지 85%의 군에서 지역 적위대 활동이 있었다.[12]
류샤오치는 1966년 6월 초에 중국공산당 작업반을 파견하여, 당이 이 운동을 통제하려 했다. 이 작업반은 장춘차오가 이끌었는데, 경쟁 적위대 그룹들이 이 작업반에 의해 결성되어 권력층의 공격을 지식인들에게 돌렸다.[11] 또한 이 당이 지원하는 반란 그룹은 전직 지주와 자본주의자의 자녀를 포함하여 '나쁜' 계급 출신의 학생들을 공격했다.[11]
마오쩌둥은 이 작업반이 문화대혁명의 진행을 방해하고 있다고 우려하여 천보타, 장칭, 강생 등을 파견하여 적위대에 합류시켜 작업반과 싸우도록 했다.[8] 1966년 7월, 마오쩌둥은 남은 작업반의 해체를 명령하고 그들의 '50일간의 백색 테러'를 비난했다.[13] 그러자 적위대는 당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조직할 수 있게 되었고, 몇 주 안에 마오쩌둥 지지자들의 격려로 중국의 거의 모든 학교에 적위대 그룹이 나타났다.[14]
마오쩌둥은 류샤오치를 약화시키려는 희망과, 중국 청소년들에게 혁명적인 이상을 심어주고자 적위대 활동을 지지했다.[15]
2. 2. 초기 홍위병 조직
1966년 5월, 칭화대학교 부속중학교 학생들이 처음으로 "홍위병"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조직되었다.[7] 장청지(Zhang Chengzhi)는 칭화 중학교에서,[8] 니위안즈(Nie Yuanzi)는 베이징대학교에서[8] 학생들을 이끌었으며, 이들은 원래 칭화대학교와 베이징대학교 행정부에 대한 건설적 비판을 목적으로 대자보를 작성했다.[8] 이들은 학교 행정부가 지식인 엘리티즘과 자본가 계급적 성향을 보인다고 비난했다.[8] 초기 홍위병 대부분은 소위 "오적" 출신이었다.[9][10]홍위병은 학교 행정부와 다른 학생들로부터 반혁명분자와 급진주의자로 비판받았고, 원명원 폐허에서 비밀리에 모임을 가졌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 주석은 홍위병의 선언문을 전국 라디오 방송으로 방송하고 ''인민일보''에 게재하도록 명령하여 홍위병에게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했다.[11] 이로 인해 중국 전역에서 학생 단체들이 빠르게 조직되었다.[11]
2. 3. 마오쩌둥의 지지와 홍위병 운동의 확산
마오쩌둥은 1966년 5월 29일 칭화대학 부속중학교 학생들이 결성한 홍위병을 적극 지지했다. 红卫兵|훙웨이빙중국어이라는 명칭은 당시 칭화대학교 부속중학교 학생이었던 장청즈(張承志)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8] 마오쩌둥은 홍위병의 선언문을 전국 라디오 방송으로 방송하고 ''인민일보''에 게재하도록 지시하여 이들에게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했다.[11]1966년 8월 1일, 마오쩌둥은 칭화대학교 부속중학교 홍위병에게 서한을 보내 "조반유리(造反有理)"(조반에야말로 이치가 있다)라며 지지를 표명했다.[69] 8월 12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는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에 관한 결정"을 발표, 혁명적 청소년이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실권파"를 공격하는 것을 옹호하여 홍위병 운동은 당에 의해 공인되었다.

1966년 8월 18일, 천안문 광장에서 약 100만 명의 홍위병이 집회를 시작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26일까지 8차례의 집회가 열렸다.[69] 마오쩌둥은 천안문 광장에서 1000만 명의 홍위병과 회견을 가졌고, 홍위병 운동은 전국으로 확대되었다.[69] 1966년 8월 말까지 거의 모든 중국 도시와 대다수의 군(郡)에서 홍위병 활동이 있었으며,[12] 1966년 10월까지 85%의 군(郡)에서 지역 홍위병 활동이 있었다.[12]
마오쩌둥은 류샤오치 등 당내 반대파를 견제하고, 청소년들에게 혁명 정신을 고취하려는 목적 등으로 홍위병 운동을 지원했다.[15] 그러나 홍위병 운동은 파벌로 분열되어 대규모 무력 투쟁(무투)을 반복하게 되면서 마오쩌둥도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
3. 홍위병의 활동과 폭력
홍위병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마오쩌둥의 권력 투쟁 도구로 활용되어, 실권파 타도에 앞장섰다. 이들은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수백만에서 수천만 명에 이르는 사망자와 실종자 중 일부 학살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4][78][73]
홍위병은 중난하이, 자금성 등 주요 시설에는 출입이 제한되었지만, 장칭과 린뱌오의 지원 아래 인민해방군 병영을 약탈하는 등 과격한 행동을 보였다. 이들은 공장과 생산 시설에도 진입했으나, 노동자와 농민들의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다.[38]
홍위병 운동은 내부 분열로 인해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급진적인 학생들은 보수적인 홍위병과 충돌했고, 베이징 지도부는 이들을 억제하는 동시에 격려하는 모순된 정책을 펼쳐 혼란을 가중시켰다.[1] 문화대혁명그룹은 비폭력을 촉구했지만, 인민해방군은 홍위병의 활동을 지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1]
1966년 말, 문화대혁명그룹은 홍위병이 정치적 부담이 되었다고 판단했다. '자본주의 추종자'에 대한 운동은 무정부 상태를 초래했고, 홍위병의 무규율과 파벌주의는 그들을 정치적으로 위험하게 만들었다.[39] 결국 1967년, 학생 운동 해산 결정이 내려졌다.
1966년 8월 1일, 마오쩌둥은 칭화대학교 홍위병들에게 서한을 보내 지지를 표명했다.[18] 이후 8월 18일 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 마오쩌둥은 홍위병 1000만 명과 회견하며 이들의 활동을 공개적으로 격려했다. 이 과정에서 쑹빈빈이 마오쩌둥에게 "홍위병" 완장을 채워주기도 했다.[18] 홍위병 운동은 전국으로 확대되었지만, 파벌 간 무력 투쟁(무투)이 반복되면서 마오쩌둥조차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69]
1967년 2월, 중국공산당 정부는 인민해방군을 투입하여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71] 9월 5일, 마오쩌둥은 인민해방군에게 질서 회복을 명령했고,[72] 인민해방군과 홍위병 간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는 많은 홍위병이 처형되기도 했다.[73]
1968년부터 1969년까지 마오쩌둥은 지식청년 상하향운동을 전개하여 홍위병 잔당을 농촌으로 추방했다.[74] 약 1600만 명의 학생이 농촌과 변방으로 보내졌고,[75][76] 가혹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학생이 사망했다.[77]
1978년 8월 19일, 중공 중앙은 홍위병 조직 해체를 전국에 전달했다.[78]
3. 1. '사구파괴' 운동
1966년 8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1차 확대회의에서 '16개 조항'이 승인되어 문화대혁명의 목표와 학생들의 역할이 명시되었다. 문화대혁명그룹은 홍위병에게 중국 사회의 '사대부(四舊)'(낡은 사상, 낡은 문화, 낡은 풍속, 낡은 습관)를 공격하라고 지시했다.[22] 홍위병은 '사구파괴' 운동을 통해 낡은 책과 예술품을 파괴하고, 박물관을 약탈했으며, 거리를 혁명적인 이름으로 바꾸고 마오쩌둥의 그림과 어록으로 장식했다.[22] 베이징의 많은 사찰, 신사 등이 공격받았다.[23]
1966년 11월, 베이징사범대학 출신 홍위병들은 탄후란(譚厚蘭)의 지휘 아래 공자묘를 공격했다.[24][25] 76대 연성공의 시신은 무덤에서 꺼내져 묘지가 훼손되는 동안 궁전 앞 나무에 알몸으로 매달렸다.[26] 명나라 만력제의 능도 파괴되었으며, 만력제와 황후의 시신, 유물들이 훼손되었다.[27] 공자묘 공격으로만 6,618개가 넘는 역사적 유물이 파괴되었다.[27]
개인 소유물도 표적이 되어, 종교 서적과 조각상은 압수되어 불태워졌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물건들은 훼손되었는데, 예를 들어 진나라 두루마리는 글씨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었고, 석조와 목조는 얼굴과 글자가 파내어졌다.[28]
3. 2. 지식인과 반대파 탄압
문화대혁명 시기, 문화에 대한 공격은 곧 사람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다. '16개 조항'에서 무력이 아닌 설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이끌어야 한다고 했지만, 권력을 가진 관리들과 '부르주아 계층'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격렬한 비난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폭력을 당했다.[22] 1966년 8월 22일, 중앙 지시로 홍위병 활동에 대한 경찰 개입이 중단되었고,[30] 이에 반대한 경찰들은 "반혁명분자"로 낙인찍혔다. 마오쩌둥은 반란을 칭찬하며 홍위병의 행동을 사실상 승인했고, 그들의 폭력은 더욱 심해졌다.[31]중앙 관리들이 폭력 행위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면서 중국의 공공 안전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33] 전국 경찰청장 시에푸지는 홍위병이 "나쁜 사람들"을 때려 죽여도 "별일 아니다"라고 말했고,[32] 경찰은 이 발언을 홍위병에게 전달하여 그들의 행동을 부추겼다.[32] 약 2주 만에 베이징 서부 지역에서만 약 100명의 교사, 학교 관계자, 교육받은 간부들이 폭력으로 사망했고, 부상자 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33]
이 운동의 가장 끔찍한 측면 중 하나는 수많은 고문, 살인, 공개적 굴욕 사건이었다. '투쟁'의 대상이 된 많은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자살했다. 1966년 8월과 9월, 베이징에서만 1,772명이 살해되었고, 상하이에서는 9월에 문화대혁명과 관련된 자살 704건, 사망 534건이 발생했다. 우한에서는 같은 기간에 자살 62건, 살인 32건이 발생했다.[34]
지식인들은 이러한 공격의 주요 대상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대학교 강의와 같은 공식 직책에서 쫓겨나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마당 청소, 담벼락 건설, 화장실 청소"와 같은 육체노동에 배정되어 과거의 "실수"를 반성하도록 강요받았다.[35] 1966년 10월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홍위병은 이미 2만 2천 명의 '반혁명분자'를 체포했다.[36]
홍위병은 또한 권력 있는 자리에 있는 '자본주의 추종자'(소위 '우익' 사상을 가진 자)를 제거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수색은 중국 공산당 최고위층까지 미쳤고, 류샤오치, 덩샤오핑, 펑더화이와 같은 많은 고위 당 간부들이 홍위병에게 구두 및 신체적 공격을 받았다.[37] 류샤오치는 대약진 운동 이후 마오쩌둥의 자리를 이어 국가주석(중국 대통령)이 된 이후 특히 표적이 되었다. 마오쩌둥은 책임을 인정하는 표시로 자신의 직책에서 물러났지만, 류샤오치가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 자리를 맡은 것에 분노했다.
홍위병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실권파 타도에 맹위를 떨쳤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사망자, 실종자(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른다고 알려짐)의 일부 학살에 가담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또한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을 받았다. 그중 한 명인 펑더화이도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고, 그로 인해 사망했다.
3. 3. 붉은 8월 (Red August)
1966년 8월 1일, 마오쩌둥(毛澤東)은 칭화대학교(淸華大學) 홍위병들에게 서한을 보내 개인적인 지지와 지원을 표명했다.[18] 베이징(北京)에서 '붉은 8월'이 진행되는 동안, 마오쩌둥은 8월 18일 천안문 광장(天安門廣場)에서 열린 대규모 정치 집회에서 이 운동을 공개적으로 격려했다. 마오쩌둥은 홍위병들이 선호하던 올리브색 군복을 입고 천안문에 나타났는데, 이는 그가 여러 해 동안 입지 않았던 옷이었다.[18] 그는 1,500명의 홍위병들을 직접 맞이하고 아래에 있는 80만 명의 홍위병들과 구경꾼들에게 손을 흔들었다.[18]이 집회는 천보다(陳伯達)가 주도했고, 린뱌오(林彪)는 기조연설을 했다.[18] 녜위안쯔(聶元梓)가 이끄는 홍위병 지도자들도 연설을 했다.[18] 쑹빈빈(宋彬彬)이라는 고등학생 홍위병 지도자는 6시간 동안 서 있던 주석에게 "홍위병"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붉은 완장을 채워주었다.[18] 8.18 집회로 알려진 이 집회는 1966년 가을 천안문에서 주석이 홍위병들에게 한 여덟 차례의 접견 중 첫 번째였다. 이 집회는 홍위병들이 문화대혁명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참여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신호였다.[19]
8월 31일에 열린 두 번째 집회는 캉성(康生)이 주도했고, 린뱌오 원수도 붉은 완장을 착용했다. 마지막 집회는 1966년 11월 26일에 열렸다. 주석은 총 1,100만~1,200만 명의 홍위병들을 맞이했는데, 그 대부분은 먼 곳에서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왔다.[18][20] 여기에는 1966년 국경절(國慶節)에 열린 집회도 포함되는데, 이 집회에는 일반적인 민군 퍼레이드도 포함되었다.
붉은 8월 동안 많은 수의 "오흑류(五黑類)" 구성원들이 박해를 받았고 심지어 살해되기도 했다.[5] 마오쩌둥은 원래 인민해방군(人民解放軍)에게 홍위병들의 폭력에 개입하지 말라고, 모호하게 '좌파를 지지하라'고 명령했다.[15]
문화에 대한 공격은 곧 사람들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다. 무력이 아닌 설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가져와야 한다는 ‘16개 조항’의 지침을 무시하고, 권력을 가진 관리들과 ‘부르주아 계층’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맹렬히 비난을 받고 신체적 및 정신적 폭력을 당했다.[22] 1966년 8월 22일, 중앙 지시가 내려와 홍위병 활동에 대한 경찰 개입을 중단시켰다.[30] 이 지시에 반대한 경찰들은 “반혁명분자”로 낙인찍혔다. 마오쩌둥이 반란을 칭찬함으로써 홍위병의 행동을 사실상 승인했고, 그들의 폭력은 점점 더 심해졌다.[31]
중앙 관리들이 폭력적인 행위에 대한 제약을 해제함에 따라 중국의 공공 안전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33] 전국 경찰청장 셰푸즈(謝富治)는 홍위병이 “나쁜 사람들”을 때려 죽여도 “별일 아니다”라고 말했다.[32] 경찰은 셰푸즈의 발언을 홍위병에게 전달했고, 그들은 그에 따라 행동했다.[32] 약 2주 만에 베이징 서부 지역에서만 약 100명의 교사, 학교 관계자, 교육받은 간부들이 폭력으로 사망했다. 부상자 수는 “너무 많아 계산할 수 없었다.”[33]
이 운동의 가장 끔찍한 측면에는 수많은 고문, 살인 및 공개적 굴욕 사건이 포함되었다. ‘투쟁’의 표적이 된 많은 사람들은 더 이상 스트레스를 견딜 수 없어 자살했다. 1966년 8월과 9월에 베이징에서만 1,772명이 살해되었다. 상하이에서는 9월에 문화대혁명과 관련된 자살 704건, 사망 534건이 발생했다. 우한에서는 같은 기간에 자살 62건, 살인 32건이 발생했다.[34]
지식인들이 이러한 공격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대학교 강의와 같은 공식 직책에서 쫓겨나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마당 청소, 담벼락 건설, 화장실 청소"와 같은 육체노동에 배정되어 과거의 "실수"를 곱씹도록 강요받았다.[35] 1966년 10월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홍위병은 이미 2만 2천 명의 ‘반혁명분자’를 체포했다고 한다.[36]
홍위병은 또한 권력 있는 자리에 있는 ‘자본주의 도로자’(소위 ‘우익’ 사상을 가진 자)를 근절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러한 수색은 중국 공산당의 최고위층에까지 미쳤고, 류사오치(劉少奇), 덩샤오핑(鄧小平), 펑더화이(彭德懷)와 같은 많은 고위 당 간부들이 홍위병에게 구두와 신체적 공격을 받았다.[37] 류사오치는 대약진 운동 이후 마오쩌둥의 자리를 이어 국가주석(중국 대통령)이 된 이후 특히 표적이 되었다. 마오쩌둥은 책임을 인정하는 표시로 자신의 직책에서 물러났지만, 류사오치가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 자리를 맡은 것에 분노했다.
3. 4. 청두 홍위병 사건
1967년 당시 중국의 대도시에는 인구가 넘쳐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중국 정부는 대도시의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키고 아이들을 훌륭한 공산당원으로 만든다는 명목으로 홍위병 양성소로 보냈다. 홍위병 양성소는 강제 노동 수용소에 비할 정도로 생활 조건이 매우 열악했고 소년들은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 심지어는 아이들을 상대로 톱밥을 주원료로 한 섬유소 식품에 관한 실험이 행해지기도 했다.[80]이 무렵 마오쩌둥의 공식적인 후계자이자 홍위병의 책임자였던 린뱌오가 마오쩌둥의 총애를 잃게 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공산당 간부들은 홍위병들에게 폭동을 부추겼다. 모택동주의라는 명분으로 모택동의 병영을 탈출하고 교관들을 구타하는 행위가 벌어졌다.[80]
병영을 뛰쳐나온 소년 홍위병들은 부패한 권력에 맞서 모택동주의의 복음을 전파한다는 명목을 내걸고 전국으로 흩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몰래 국경을 넘어 인도 땅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비밀 루트에 대한 헛소문이 퍼져 소년 홍위병들은 기차역으로 몰려가서 서쪽으로 떠났다. 그러나 서쪽으로 가는 모든 기차들의 종착역은 청두였다. 그리하여 산악 도시 청두에 수천 명의 소년병이 갑자기 들이닥치게 된 일련의 사건들을 청두의 홍위병 사건이라고 한다. 1970년대 초반에 들어 전국적으로 이들의 수는 100만이 훌쩍 넘게 되었다. 이들의 횡포는 도를 지나쳤고 후에 중앙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80]
4. 홍위병의 분열과 파벌 갈등
홍위병 운동은 초기부터 파벌로 분열되어 대규모 무력 투쟁(무투)을 반복하면서 마오쩌둥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각 파벌은 "자신들이 더 혁명적이다"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른 그룹보다 더 과격한 운동에 매달리거나, 적대 파벌을 "반혁명적"이라고 공격했다.[70] 심지어 마오쩌둥의 아버지가 부농이었다는 것을 비판하는 벽보까지 등장하여, 마오쩌둥조차 홍위병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무투의 결과,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충칭(重慶)의 문혁묘군(文革墓群)은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무투 희생자 집단 묘지이다.[70]
홍위병은 중난하이, 자금성, 핵개발 관련 군사 시설 침입을 시도했고, 마오쩌둥의 경호를 담당하는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경위국 중앙경위단(8341부대)이 이를 저지했다.[70]
4. 1. 봉황파와 조반파
홍위병은 크게 봉황파(보수파)와 조반파(혁명파)로 나뉘었다. 1966년 당시 처음 북경대학, 청화대학에서 조직된 홍위병과 중국 고위 관료 자녀 출신의 홍위병은 대부분 봉황파에 속했으며, 조반파는 노동자, 농민 자녀들의 비중이 높았다. 이들 중 초반에 과격한 폭력성을 보였던 그룹은 봉황파였으며,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과 믿음을 강조하고 마오쩌둥의 반대파를 테러하거나 공산주의적 문화를 주장하며 문화재 파괴를 주도했다.[79] 조반파는 단순한 마오쩌둥 숭배보다는 마오쩌둥 사상에 입각한 농촌 지역의 문화대혁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70년대에 들어서 4인방이 봉황파를 고위 간부가 키워낸 철부지라 비판하고 조반파를 공식적으로 지지하면서 홍위병의 상당수를 차지했다.[79] 이들은 중국 대지진에서의 봉사 활동과 하방운동에서의 농촌 근대화로 초반 봉황파 홍위병에 대한 인민들의 좋지 않았던 이미지를 개선했지만, 마오쩌둥 반대파에 대한 탄압과 극단성은 사라지지 않았다.[79]4. 2. 파벌 간 무력 충돌
1966년 홍위병은 크게 봉황파(보수파)와 조반파(혁명파)로 나뉘었다. 봉황파는 주로 중국 고위 관료 자녀 출신으로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고 반대파를 탄압하며 문화재 파괴를 주도했다. 반면 조반파는 노동자와 농민 자녀 비중이 높았으며, 마오쩌둥 사상에 입각한 농촌 지역의 문화대혁명 운동을 전개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 4인방이 조반파를 공식 지지하면서 조반파가 홍위병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되었다.[79]홍위병은 내부 분파가 심화되어 서로 유혈 충돌을 일으키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이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 공안의 통제력은 상실되었다.[79] 각 파벌은 자신들이 더 혁명적임을 증명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과격한 행동을 일삼았고, 심지어 상대 파벌을 "반혁명적"이라고 공격했다. 이러한 무력 투쟁의 결과,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70] 이러한 충돌은 종종 폭력적이었으며, 경쟁 집단들은 돌격 소총과 폭발물을 획득하고 강제 투옥과 광범위한 고문을 사용하기도 했다.[15]
마오는 자신의 발언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군대를 빠르게 형성했다. 모든 집단은 마오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고 그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일한다고 주장했지만, 문화대혁명 내내 끊임없이 언어적, 물리적 충돌을 벌였다. 이는 근본적인 정치적 기반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5. 인민해방군의 개입과 홍위병 운동의 종식
1966년부터 1968년까지 홍위병은 실권파 타도에 맹위를 떨쳤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사망, 실종자(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른다고 알려짐) 학살에 일부 가담했다고도 알려져 있다.[74][78][7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을 받았는데, 팽더화이도 체포되어 고문을 당해 사망했다.
마오쩌둥에게 권력 투쟁에 이용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74][78][73] 홍위병 운동은 파벌 분열과 대규모 무력 투쟁(무투)으로 마오쩌둥도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 각 파벌은 "자신들이 더 혁명적이다"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른 그룹보다 더 과격한 운동에 매달리거나, 적대 파벌을 "반혁명적이다"라고 공격했다. 마오쩌둥의 아버지가 부농이었다는 비판 벽보까지 등장하여, 마오쩌둥조차 홍위병을 통제할 수 없음이 명백해졌다. 무투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충칭의 문혁묘군은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무투 희생자 집단 묘지이다), 홍위병은 중난하이, 자금성, 핵개발 관련 군사 시설 침입을 시도했고,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경위국 중앙경위단(8341부대)이 이를 저지했다.[70]
1967년 2월, 중국공산당 정부는 인민해방군을 투입하여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고,[71] 같은 해 9월 5일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마오쩌둥은 인민해방군에게 질서 회복을 명령했다.[72]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는 인민해방군이 많은 홍위병을 처형했다.[73]
5. 1. 인민해방군의 개입
1967년 2월, 중국 중앙 정부는 문화대혁명 현장에서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54] 인민해방군은 2월과 3월에 쓰촨, 안후이, 후난, 푸젠, 후베이 성에서 과격한 홍위병 집단을 강제로 진압했다. 학생들은 학교로 돌아갈 것을 명령받았고, 학생들의 과격 행위는 '반혁명적'으로 규정되어 금지되었다.[55]1967년 9월 5일, 마오쩌둥, 문화혁명 그룹, 국무원, 인민해방군 중앙군사위원회는 인민해방군에게 중국의 질서를 회복하고 혼란을 종식시킬 것을 지시했다.[56] 이후 인민해방군은 전국적인 홍위병 운동을 진압했다. 예를 들어, 후난 성의 홍위병 집단 연합인 성무련(省武聯)은 현지 인민해방군 부대와 충돌했고, 1968년 상반기에 강제로 해산되었다.[57] 동시에 인민해방군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홍위병을 대량 처형하기도 했다.[57]
1968년 여름, 마오쩌둥은 홍위병 지도자들과의 면담에서 홍위병 진압 명령에 자신이 직접 책임이 있음을 알렸다.[15]
5. 2. 하방 운동과 홍위병 운동의 종식
1968년부터 1969년까지 마오쩌둥은 광신적인 홍위병 잔당을 추방하기 위해 지식청년 상하향운동(知識青年上下鄉運動)을 전개했다.[74] 이는 농촌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약 1600만 명의 학생들을 농촌과 변방으로 보내는 것이었다.[75][76] 이 운동은 도시 학생들을 농촌으로 보내 홍위병에 의해 촉발된 학생들의 광신주의를 완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1968년 12월 22일, 마오쩌둥은 "우리에게도 두 손이 있다. 도시에서 게으르게 지내지 말자"라는 글을 인민일보에 게재하도록 지시하며, "지식 청년들은 농촌으로 가서 농촌의 가난 속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60]그러나 많은 학생들은 가혹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망했다.[77] 권력 투쟁에 이용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74][78][73] 1967년 2월, 중국공산당 정부는 인민해방군을 투입하여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고,[71] 같은 해 9월 5일, 마오쩌둥은 인민해방군에게 질서 회복을 명령했다.[72] 인민해방군과 홍위병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는 인민해방군이 많은 홍위병을 처형했다.[73]
문화대혁명 종결 후인 1978년 8월 19일, 중국 공산당 중앙은 홍위병 조직의 해체를 전국에 전달했다.[78]
6. 홍위병 운동에 대한 평가와 비판
홍위병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실권파 타도에 앞장섰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르는 사망자, 실종자의 일부 학살에 가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74][78][73]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팽더화이를 포함한 정치가나 지식인들이 탄압을 받고 고문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마오쩌둥에게 권력 투쟁에 이용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74][78][73]
6. 1. 부정적 평가 (국제 사회 및 한국의 중도진보적 관점)
1966년부터 1968년까지 홍위병은 실권파 타도에 맹위를 떨쳤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르는 사망자, 실종자들의 일부 학살에 가담했다고도 알려져 있다.[74][78][73]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을 받았다. 그중 한 명인 팽더화이는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사망했다.
마오쩌둥에게 권력 투쟁에 이용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최종 소멸되었다.[74][78][73]
7.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홍위병 운동은 한국 사회에 극단주의와 폭력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민주적 절차와 가치의 중요성, 권력 감시와 비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7. 1. 극단주의와 폭력의 위험성 경고
홍위병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실권파 타도에 맹위를 떨쳤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사망자, 실종자(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른다고 알려짐)의 일부 학살에 가담했다고도 알려져 있다.[74][78][73]
또한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을 받았다. 그중 한 명인 팽더화이도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고, 그로 인해 사망했다.
마오쩌둥에게 권력 투쟁에 이용할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최종적으로 소멸되었다.[74][78][73]
7. 2. 민주적 절차와 가치의 중요성 강조
홍위병 운동은 민주적 절차와 가치를 무시하고 대중 동원에만 의존하는 정치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운동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중국에서 실권파 타도에 앞장섰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수백만에서 수천만 명에 이르는 사망자와 실종자 발생에 일부 책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74][78][73]마오쩌둥에게 이용 가치를 잃은 홍위병은 하방과 중국인민해방군의 탄압으로 결국 소멸되었다.[74][78][73] 이 과정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팽더화이를 포함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받고 고문으로 사망하는 등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이 무시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한국 사회는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확고히 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성숙한 시민 의식을 함양해야 한다.
7. 3. 권력 감시와 비판의 중요성
홍위병 운동 당시 마오쩌둥과 그 추종 세력에 대한 무비판적인 숭배는 비극을 초래했다. 1966년부터 1968년까지 홍위병은 실권파 타도에 맹위를 떨쳤으며, 문화대혁명 기간 중 발생한 사망자, 실종자(수백만 명에서 수천만 명에 이른다고 알려짐)의 일부 학살에 가담했다고도 알려져 있다.[74][78][73] 또한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탄압을 받았다. 그중 한 명인 팽더화이도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고, 그로 인해 사망했다.한국 사회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게을리하지 않고, 건강한 비판 정신을 유지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Meisner
[2]
서적
Teiwes
[3]
서적
China's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Master Narratives and Post-Mao Counternarrativ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4]
웹사이트
Student Attacks Against Teachers: The Revolution of 1966
http://ywang.uchicag[...]
2001-03-05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0-07-10
[6]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ttps://archive.org/[...]
The Belknap Press
[7]
서적
Chesneaux
[8]
서적
Turbulent Decade: A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12-03
[9]
서적
Dynamics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in the Countryside: Shaanxi, 1966–1971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2021-05-17
[10]
서적
Educated Youth and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1-05-17
[11]
서적
Meisner
[12]
서적
Agents of disorder : inside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www.worldcat[...]
2019
[13]
서적
Meisner
[14]
서적
Meisner
[15]
서적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W. W. Norton
2004
[16]
웹사이트
中華民國五十五年國慶日前夕告中共黨人書
http://www.ccfd.org.[...]
中正文教基金會 (Chungcheng Cultural and Educational Foundation)
1966-10-09
[17]
웹사이트
中華民國五十五年國慶日前夕告中共黨人書
http://www.ccfd.org.[...]
中正文教基金會 (Chungcheng Cultural and Educational Foundation)
1966-10-09
[18]
웹사이트
毛主席八次接见红卫兵的组织工作
https://web.archive.[...]
2011-04-07
[19]
서적
Van der Sprenkel
[20]
서적
Meisner
[21]
뉴스
China's Reluctant Emperor
https://www.nytimes.[...]
2011-09-07
[22]
서적
Meisner
[23]
서적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s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Tourism in China: destination, cultures and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5]
뉴스
Asiaweek article
https://books.google[...]
1984-01-03
[26]
뉴스
Children of Confucius
http://archive.spect[...]
2003-04-05
[27]
웹사이트
Burn, loot and pillage! Destruction of antiques during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www.antique-c[...]
2013-02-10
[28]
웹사이트
I Was a Teenage Red Guard
https://newint.org/f[...]
1987-04-05
[29]
서적
Spider Eater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MacFarquhar & Schoenhals
[32]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MacFarquhar & Schoenhals
[35]
서적
Howard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1]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2]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3]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4]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5]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6]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7]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8]
학술지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1-01-01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01-01
[52]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01-01
[53]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01-01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China human development report 1999: transition and the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Industrialization of Rural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When Huai Flowers Bloom
[61]
서적
Sovereign Funds: How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Finances its Global Ambition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Hidden cemetery tells Cultural Revolution story that Chinese leaders won't
https://www.mcclatch[...]
2013-09-25
[63]
웹사이트
Red Guards cemetery reveals scars yet to heal
http://www.chinadail[...]
2010-04-08
[64]
학술지
Grieving at Chongqing's Red Guard Graveyard: In the Name of Life Itself
https://www.jstor.or[...]
China Journal, The
[65]
서적
China's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Master Narratives and Post-Mao Counternarratives
Rowman & Littlefield
2002-09-03
[66]
웹사이트
恐怖的“红八月”
http://www.yhcqw.com[...]
2020-12-25
[67]
웹사이트
“文革”中的暴力与大屠杀
https://ww2.usc.cuhk[...]
香港中文大学
2020-12-25
[68]
서적
Zhang Chengzhi: Not Like Other Writers
M. E. Sharpe
[69]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01
[70]
서적
Mao's China and After: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Since 1949
Free Press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When Huai Flowers Bloom
[75]
서적
Industrialization of Rural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China human development report 1999: transition and th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77]
웹사이트
Up to the mountains, down to the villages (1968)
http://chineseposter[...]
2019-10-20
[78]
웹사이트
红卫兵的历史
http://news.ifeng.co[...]
2008-04-22
[79]
서적
문화대혁명: 중국 현대사의 트라우마
[80]
서적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열린책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진도 사건 ‘암살대원’ 보수단체 자문 부실…모순된 주장에 ‘암살대’ 설명 못 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