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왕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왕퇴는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 위치한 한나라 시대 무덤군으로, 1970년대 초 대규모 발굴을 통해 1호, 2호, 3호 무덤이 발견되었다. 이 무덤들은 묘주인 이창(2호묘), 그의 부인(1호묘), 아들(3호묘)의 가족묘로, 수혈식 목곽묘 구조를 갖는다. 특히 1호묘에서 발견된 미라 상태의 여성 시신은 2100년 이상 보존되어 의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또한, 3,000여 점에 달하는 칠기, 비단, 백서 등 다양한 부장품은 당시의 사회, 문화,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특히 백서에는 고대 철학, 역사, 의학 관련 문헌들이 포함되어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문화 - 낙랑군의 문화
낙랑군의 문화는 기원전 128년부터 313년까지 한반도에 존재했던 낙랑군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중국 문명을 전파하고 한자, 유교, 법률, 행정 제도 등을 전래하여 한반도와 일본 고대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1972년 발굴 - 리아체 청동상
리아체 청동상은 1972년 이탈리아 리아체 해안에서 발견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조각 두 구로, 초기 양식에서 초기 고전 양식으로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발견 경위와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논쟁이 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되었다. - 1972년 발굴 - 에마르
에마르는 고대 시리아의 도시로, 유프라테스 강 교역의 요충지였으며 청동기 시대에 에블라, 마리, 히타이트의 영향을 받아 히타이트 변경 지역 아스타타의 주요 도시였으나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멸망 후 로마 제국 시대에 재건되었지만 폐허가 되었고, 1970년대부터 발굴이 진행되어 설형 문자 점토판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 창사시의 건축물 - 창사 황화 국제공항
창사 황화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사에 위치하며 1989년 개항하여 2016년 중국 내 여객 처리량 13위를 기록한 국제공항이다. - 창사시의 건축물 -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은 중국 후난성 창사에 위치한 6만 명 수용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축구 경기와 콘서트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개최되며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경기 장소로 사용된다.
마왕퇴 | |
---|---|
개요 | |
![]()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사시 |
좌표 | 28°11′49″N 113°01′23″E |
역사 | |
시대 | 한나라 |
조성 시기 | 기원전 2세기 초 |
발견 | 1972년 ~ 1974년 |
특징 | |
종류 | 무덤 |
중요도 | 제1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중요 발견 |
내용물 | 신추(辛追)의 미라 비단 그림 각종 생활용품 의약 서적 병서 |
추가 정보 | |
관리 기관 | 후난성 박물관 |
개방 여부 | 일반에 공개 |
관련 유적 | 장사 |
2. 발굴 경위
1971년 말, 마왕퇴 인근 주민이 동쪽 언덕에서 묘갱을 발견하였고,[12] 1972년 1월부터 후난성박물관과 중국과학원 고고연구소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학자들이 모여 대규모 발굴을 시작했다.[12][9][11] 출토된 관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여성의 시신이 발견되자, 수많은 매스컴이 이를 앞다투어 보도하였고, 주은래 총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서한 여시"(전한의 여성 유체) 발견에 큰 관심을 가졌다.[13][14][15] 이 소식은 해외에도 널리 알려졌다.[12]
마왕퇴 한묘는 1호묘, 2호묘, 3호묘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봉분, 묘도, 묘갱, 곽실을 갖춘 수혈식 목곽묘이다. 묘실은 목탄층과 백고토층으로 밀폐되어 시신과 부장품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았다.
부장품인 칠기에 "태후가"(軑侯家), 봉니에 "태후가승"(軑侯家丞)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혜제 때 열후에 책봉되었던 태후가와 관련된 여성의 무덤으로 추정되었다.[12]
1973년 11월부터는 서쪽 언덕(2호묘)에 대한 발굴이 재개되었다.[11] 2호묘는 도굴된 흔적이 있었지만,[16] 남아 있던 부장품 중에서 "이창"(利蒼)이라고 새겨진 옥인과 "태후지인"(軑侯之印), "장사승상"(長沙丞相)이라고 새겨진 동인이 발견되었다.[10] 이러한 부장품들과 봉분이 두 개 나란히 있는 비익총(부부를 함께 장사 지낸 무덤)이라는 점[10] 등으로 미루어, 2호묘는 초대 태후인 이창, 1호묘는 그의 부인으로 확정되었다.[18]
3호묘는 1호묘 남쪽에 있었으며, 도굴 흔적은 없었고 남성의 유골만 남아 있었다. 이 남성은 이창 부부의 아들로 추정되었다.[18] 3호묘의 부장품 중에서는 특히 백서(帛書)가 중요한 문헌학적 발견으로 평가받는다.[19]
발굴 조사는 1974년 1월에 완료되었다.[11][9]
3. 무덤 구조
세 무덤 모두 봉분, 북쪽의 경사진 묘도, 남북으로 긴 장방형[25] 묘갱(무덤 구덩이), 그 바닥에 목판으로 만든 곽실(관곽)로 구성된다.[26]
원래 높이 4~5m 자연 구릉에서,[22] 묘갱 아래쪽 절반을 7~8m 정도 수직으로 파고,[22][26] 1층씩 판축하여 묘갱 위쪽 절반과 묘도를 만들었다.[22][26]
묘갱 구조는 세 무덤 모두 기본적으로 같으며,[22] 묘구(最上部)는 사방 모두 계단식(1호묘는 4단, 2호묘와 3호묘는 3단)이고, 묘저(墓底)까지 점차 좁아지는 통 모양이다.[28][26] 묘구와 묘저 크기, 깊이는 아래 표와 같다.[26] (단위: 미터)rowspan="2" | 묘구 묘저 길이 너비 길이 너비 깊이 1호묘 20.0 17.9 7.6 6.7 16.0 2호묘 11.5 8.95 7.25 5.95 8.0 3호묘 16.3 15.45 5.8 5.0 10.7
묘갱 북쪽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골짜기 모양으로 파서[25] 묘도를 만들었다. 묘도 안쪽 끝은 곽정(槨頂)과 같거나 약간 높고, 바깥쪽은 묘구 부근 높이까지 오르막이다.[26] 2호묘와 3호묘 묘도에는 높이 1m 정도 꿇어앉은 인형이 마주 보도록 놓여 있었는데,[26][29] 나무 골조에 끈을 감고 풀과 짚을 섞은 청고토로 만들었다.[28][29]
묘갱 바닥 중앙에 거대한 목판으로 곽실(관곽, 목곽)을 만들었다.[26] 받침목 3개 위에 이중 바닥판을 놓고,[30] 목판을 井자 모양[24]으로 조합하여 곽(棺 외곽 시설)을 만들고, 관실 및 곁상자(부장품 보관)로 하였다.[26][30] 덮개판과 이중 뚜껑판으로 덮었다.[30]
1호묘 곽실은 6.73m×4.9m×2.8m이고,[30][31] 총 52m3 소나무 목재가 사용되었다.[30] 가장 큰 목판(70매[32] 중)은 4.84m×1.52m×0.26m로 곽 측판에 사용되었다.[24] 도끼, 손도끼, 끌만으로[13] 걸이맞춤, 촉과 촉구멍, 촉못 등 접합 방법으로 조립했다.[30] (금속제 못, 톱, 대패 사용 흔적 없음[13][32])
곽 위아래·사방에는 두께 0.4m~0.5m, 무게 5ton 목탄층, 그 바깥쪽에는 두께 1m~1.3m 백고토(백토, 카올리나이트)층을 만들었다.[31][28][26][33] 백고토는 점도가 높고 투수성이 매우 낮아[28] 목탄층과 함께 내부 밀폐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31][28] 매장 후 흙을 메워 다지고 높은 봉분을 축조했다.[22]
무덤 형식과 부장품은 대부분 초 양식이다.[34] 1호묘는 일곽사관, 2호묘는 일곽이관, 3호묘는 일곽삼관이었다.[26] 1호묘는 상태가 가장 좋아 수혈목곽목관묘 원형을 거의 완벽히 유지했다.[32] 1호묘와 2호묘 봉분 높이는 5~6m, 3호묘 봉분은 1호묘 아래에 묻혀 2~3m 정도 남았다.[26]
3. 1. 1호묘
1호묘는 동쪽에 위치하며, 심근경색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은 50대 여성 신장후이(辛追)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었다. 그녀의 미라는 매우 잘 보존되어 있었는데, 연구자들의 부검 결과 설탕과 고기가 많은 식단으로 인해 관상동맥 질환을 앓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그녀의 위에서는 멜론 씨앗이 발견되어 사망 직전에 멜론을 먹었음을 알 수 있었다.[3] 신장후이는 다른 두 무덤의 매장자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신장후이의 무덤은 세 무덤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았다. 완벽한 화장품 세트, 칠기, 그림이 그려진 정교한 비단 의복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관은 초나라의 관습과 신앙에 따라 칠해졌으며, 소용돌이치는 구름, 신비로운 동물, 용이 얽혀 있는 모습이었다. 시신은 여러 겹의 비단 천으로 단단히 묶여 있었고, 저승, 지상, 천상을 묘사하고 중국 신화 속 인물들과 신장후이가 그려진 T자형 태피스트리로 덮여 있었다. 또한 다양한 운동을 보여주는 비단 그림이 발견되었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태극권의 전신이라고 추정한다.
마왕퇴에서 가장 유명한 유물 중 하나는 1호묘의 관 위에 걸쳐져 있던 T자형 비단 장례용 깃발이다. 이 깃발은 서한 시대 중국의 우주와 사후 세계에 대한 개념을 묘사하고 있다. T자형 채색 비단 의복에서 T의 윗부분(수평 부분)은 하늘, 아랫부분(수직 부분)은 지하 세계, 가운데 부분(수직 부분의 윗부분)은 땅을 나타낸다. 하늘에는 여와와 항아 같은 중국 신들과 두루미(불멸을 상징) 같은 도교 상징물이 묘사되어 있다. 하늘과 땅 사이에는 신장후이를 천국으로 인도하기 위해 파견된 천사들이, 그 아래에는 신장후이의 가족이 천국으로 가는 여정을 돕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지하 세계에는 두 마리의 거대한 바다 뱀이 얽혀 있다.
매장자는 이창(利蒼)의 아내인 신추이(辛追)이다. 매장 방식은 앙와(仰臥) 확장장(伸展葬)이며,[35] 관 내부는 약 80L의 무색 투명한 액체로 가득 차 있었고, 시신은 그 액체에 잠겨 있었다.[36] (이 액체는 출토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초콜릿색으로 변색되었다.[36])
시신은 두 벌의 속옷[35][13]을 포함한 18벌의 비단(絹)과 삼(麻)[13][36] 수의를 입고, 9개의 띠로 묶은 후[36], 두 벌의 솜(真綿)[36] 금의(衾衣, 시신을 덮는 긴 옷)[13]가 덮여져 총 20벌의 의복으로 싸여 있었다.[35][13][36] 얼굴에는 진한 팥죽색의 비단 손수건(ハンカチ)이 덮여 있었고, 양팔과 양발은 비단 띠로 묶여 있었으며, 푸른 비단 신발(靴)을 신고 있었다.[36]
관은 네 겹으로, 모두 오동나무(梓) 판자를 사용했고,[30] 걸이접합(掛け継ぎ) 방식과 촉과 촉구멍, 촉못 등의 접합 방법으로 조립되었다.[30] 네 개의 관 모두 내벽에는 붉은 칠(漆)이 칠해져 있지만,[30] 외벽의 장식은 다음과 같다.
크기는 외관이 2.95m×1.5m×1.44m[30], 내관이 2.02m×0.69m×0.63m이며,[32] 네 개의 관이 틈 없이 겹쳐지도록 만들어졌다.[24]
부장품은 모두 변상(辺箱) 안에 놓여 있었고,[30] 1,400점에 달했다.[15] "첩 신추이(妾辛追)"라고 읽어야 할 綬(수)가 달린 인장(印章)이 발견되어, 매장자는 이창의 아내이고 성명은 신추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11][16]
3. 1. 1. 의학적 소견
병리해부(病理解剖) 결과, 시신은 외형뿐만 아니라 내장(内臓) 각 기관, 심지어 섬유성 결합조직(結合組織), 근육(筋肉) 조직, 연골(軟骨), 혈관(血管)[17] 등 미세 조직[14]에 이르기까지 생전 상태에 가까운 양호한 보존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36][14][13][35]
신추이의 나이는 50세 전후[13][11][35][17]였다. 키는 154.5cm[15][17], 체중은 34.3kg[17], ABO식 혈액형(ABO式血液型)은 A형[15], 출산(出産) 경험이 있었다.[36] 피부(皮膚) 표면은 갈색 황색이었지만 (현재는 검은색으로 변색) [17] 피부 조직은 아직 습윤[17]하고 탄력성을 유지하고 있었다.[12][15][17] 머리카락(頭髪)은 성기지만 흰 머리는 없었고,[17] 광택이 남아 있었으며,[36] 약간 힘을 주고 당겨도 빠지지 않았다.[36][17] 안구(眼球)가 약간 돌출되어 있었고, 오른쪽 고막(鼓膜)에 구멍이 뚫려 있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감각기관(感覚器)에 이상은 없었다.[17] 치아(歯)는 16개가 남아 있었다.[17] 사지는 관절(関節)을 움직일 수 있었고, 골격(骨格)은 말단까지 거의 완전했으며, 뇌(脳)는 1/3이 위축되어 있었다.[17] 피하지방(皮下脂肪)이 여러 곳에 보여 비만(肥満), 즉 약간 통통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7]
생전에 많은 질병(疾病)에 걸렸다는 것도 밝혀졌다.[35][14] 구체적으로는 관상동맥(冠動脈)성 심장병(心臓病)[14](심근경색(心筋梗塞)), 다발성 담석증(胆石症)[14][33], 전신성 동맥경화증(動脈粥状硬化症)[14][17], 혈흡충증(住血吸虫症) (혈흡충병)[14] 등 여러 기생충병(寄生虫病)[17][33], 추간판헤르니아(椎間板ヘルニア)[33], 담낭(胆嚢)의 기형(奇形) (선천적 기형)[17], 오른팔 골절(骨折)[17]이 확인되었다.
위(胃)에서 참외 씨앗이 138개 나왔기 때문에[15][36][17] 사망 시기는 여름(夏)[15] 식후 2~3시간 후[17]로 추정된다. 영양 상태가 좋았고 장기간 병상에 있었던 흔적도 보이지 않으므로,[17] 담석증의 통증이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발작을 유발하여 급사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장 유력하다.[35][17] 그 외에도 연단술(錬丹術) 복용에 의한 수은중독(水銀中毒)·납중독(鉛中毒)·비소 중독이 사인이 되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17]
'''습시(湿屍)'''
시신은 "습시(湿屍)"라고 불리는 특이한 보존 상태였다.[24] 2100년 이상이라는 시대의 오래됨과 그 양호한 보존 상태는 세계의 시체(死体) 보존 사례 중에서도 매우 드문 것이며,[14][35] 의학적으로도 높은 연구 가치를 지닌다.[13]
시신이 양호하게 보존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지중 깊이 매장되어 있었다.[35][33] (도굴 갱도가 있었지만, 묘실에 도달하지 못했다.[15])
- 묘실이 견고하게 건설되어 여러 겹의 관곽에 의해 보호되고 있었다.[35]
- 관곽이 목탄(木炭)층과 백고니(白膏泥)층에 싸여 밀폐되어 있었다.[35] 1호묘에 구멍을 뚫었을 때, 가스 분출(화동자(火洞子), 포톤츠(フォトンツ))이 발생했는데, 이것은 확실히 내부가 밀폐되어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33]
- 내부 밀폐로 저온 및 산소 결핍 상태가 유지되었다.[35]
- 피하지방이 남성보다 많았고, 지방(脂肪)이 발효(発酵) 분해되어 발생한 가스가 묘실에 가득 찼다. 결과적으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세균(細菌) 발생을 막았다.[33]
- 칠, 목탄, 백고니, 주사(辰砂)(붉은색), 향료(香料)가 방부(防腐)에 도움이 되었다.[33]
- 시신이 잠겨 있던 액체에는 주사(辰砂)가 포함되어 방부 역할을 했다.[15]
3. 2. 2호묘
2호묘는 장사국 초대 승상 리창의 무덤이다.[9][19][22][32] 무덤에서는 "이창", "대후지인", "장사승상" 등의 인장이 발견되어 무덤의 주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3. 3. 3호묘
3호묘는 이창 부부의 아들로 추정되는 30대 남성의 무덤으로, 1호묘와 유사한 비단 명칭 현판과 비단에 그려진 세 장의 지도(지형도, 군사 지도, 행정 구역 지도)가 발견되었다.[39] 이 지도에는 후난성, 광둥성, 광시 지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한나라와 남월의 정치적 경계를 보여준다. 발견 당시 이 지도들은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지도였으나, 1986년 기원전 4세기에 제작된 진나라 지도가 발견되면서 그 기록이 갱신되었다.3호묘에서는 다량의 고전 문헌이 발견되었다. 이 무덤에는 금성, 목성, 수성, 화성, 토성의 궤도를 정확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혜성을 설명하는 천문학 관련 글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마왕퇴에서 발견된 ''역경''[5]과 ''도덕경''[6]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백 년 앞선 것이다. 또한, 풍부한 황로도가 도가 문헌과 ''전국책'' 사본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외에도 ''도인''( 기공) 운동을 묘사한 그림을 포함한 다양한 의학 서적과 ''춘추사유''와 같은 역사 서적도 발견되었다.
부장품은 3,000점에 달하며, 대부분 곁상자에 담겨 있었다.[38] 종류는 칠기, 직물, 토기, 죽기, 목기, 목용, 악기, 무기, 농축산물, 식품, 조롱박, 약초, 죽간, 인장, 백서(帛書) 등이다.[35] 이들은 당시 수공업 기술, 문화, 사회생활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14] 역사학, 고고학, 문학, 철학, 신화학, 음악, 의학, 농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에 기여한다.[16]
백화(帛画)1호묘와 3호묘 내관 뚜껑판에는 형태와 내용이 거의 같은 백화가 걸려 있었다.[39] 모두 T자형 단층(一重) 비단으로 만들어졌으며,[13] 상단에는 대나무 막대가 꿰어져 있고,[40] 매달기 위한 비단 끈과 T자 네 귀퉁이에 술이 달려 있었다.[40][41] 당시 장송의례에 필수적인 정번(旌幡, 피장자 이름 등을 적은 깃발)이었을 것이다.[41] 3호묘의 백화는 길이 233cm이다.[39]
백화는 녹색[40]으로 염색한 비단 위에 주로 광물성 안료[40]를 사용하여 화려하게[41] 그려졌다. 그림 주제는 초 지방 색채가 짙게 반영되었고,[43] 당시 초나라의 환상적이고 굴원적인 분위기를 떠올리게 한다.[44] 이 백화는 중국 고대 회화의 최고 걸작이라 할 수 있다.[16][42]
백화 상단은 천상계를 나타낸다.[39][13][41] 상단 중앙에는 인신사미(상반신은 사람, 하반신은 뱀) 신이 앉아 있는데, 뱀 부분이 붉은색이라 『산해경』의 촉룡으로 추측된다.[45] 신 오른쪽 붉은 태양 안에는 검은 새, 왼쪽 초승달 안에는 두꺼비가 그려져 있다. 이는 『회남자』의 “낮에는 난오(鸞烏)가 있고, 밤에는 독수리(毒樹)가 있다”를 그린 것이다.[45]
태양 아래 용 옆에는 8개 붉은 원이 있는데, 예(羿)가 9개 태양을 쏘아 떨어뜨렸다는 전설과 관련 있다고 생각된다.[45] 용과 얽힌 나무는 『산해경』의 부상일 것이다.[45] 초승달 아래 용 옆에는 3호묘 백화에서 날아오르는 상반신 나체 남성이 보이는데, 피장자의 승천도이다.[39][13]
용 아래 천문(천상계와 현세 경계)에는 두 관리가 마주 앉아 있고, 뒤 기둥에는 표가 붙어 있다. 이는 『초사』 "초혼"을 떠올리게 한다.[46]
현세로 들어와 천문 바로 아래 화개 위에는 한 쌍의 봉황, 아래에는 인면 기괴한 새가 날고 있다.[46] 그 아래 좌우에는 용이 그려져 있고, 아래쪽에서 벽을 관통하여 교룡이 되어 있다.[47][41] 용에 끼인 형태로 피장자 출행 장면이 그려져 있다.[39] 3호묘 백화에서는 유방이 즐겨 썼다는 죽피 관인 유씨관과 주홍색 장의를 입고 허리에 칼을 찬 남성이 소매에 손을 넣고 걷고 있으며, 주위 9명이 따르고 있다.[39]
아래 연회 그림은 피장자를 배웅하고 영혼을 인도하여 승천시키는 의미,[13] 또는 피장자가 사후세계에서 식사를 즐기는 모습이다.[48] 풍부한 음식과 술을 차린[16] 연회 자리를 두 마리 큰 물고기(바다를 상징하는 기이한 짐승[49]) 위에 선 나체 역사가 받치고 있다. 그는 『초사』 "초혼"의 토백(명계 괴물)일지도 모른다.[46][39] 주위에는 영구, 치조 등 영조가 그려져 있다.[39] 벽에서 아래 부분[47]은 지하계를 나타낸다.[39][16]
백화 명칭은 논의가 있지만,[39] 견책(부장품 목록)의 "비의(非衣)"로 생각된다.[13][42] 옷 모양이지만 옷이 아닌 정번(旌幡)이라는 의미인데,[16] "비(非)"는 한나라 때 음통으로 "비(飛)"로 해석될 수 있어, "비의(非衣)" 즉 "비의(飛衣)"로 영혼 비상, 승천을 기원한 명칭일 것이다.[13] 백화 전체 주제도 피장자의 "인혼승천"이라 할 수 있다.[41]
3호묘 내관 좌우 측판에서는 각각 다른 백화도 발견되었다.[39][50][29] 오른쪽 측판(서벽) 백화는 212×94cm 의장도로,[39][50][29]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다.[50] 화면 왼쪽 위 피장자와 같은 남성이 그려져 있고, 유씨관을 쓰고 장포를 입고 허리에 보검을 차고 있다.[29] 뒤에는 우산을 씌워주는 시종과 속관 20명 정도가 따른다.[29] 그들은 오른쪽 5단 토단을 향해 가고 있으며, 주위 차마대, 기종대, 악대는 모두 피장자를 향하고 있다.[29] 이는 아마 피장자 생전 성대한 검열 의식을 그린 것이며,[29] 차마 의장 장면에는 백 명이 넘는 인물, 수백 마리 말, 수십 대 수레가 그려져 있다.[39][50] 왼쪽 측판(동벽) 백화는 상당히 손상되어[39][50][29] 전체 모습은 알 수 없지만,[29] 두 조각 파편[39]에 따르면 가옥, 차마, 질주하는 말, 배 젓는 여성 장면 등을 그리고 있으며,[29][39] 오른쪽 측판 것과 매우 비슷하며,[39] 모두 피장자 생전 호화로운 생활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39][50][29]
백서(帛書)백서는 부장품 중 특히 가치 높다고 생각된다.[19] 3호묘 큰 직사각형 칠함(漆匣)에서 두 종류가 발견되었다.[51] 하나는 48cm 너비[39][52](일부 절반 너비[52]) 백(帛)으로, 약 10cm 너비로 끝에서 직사각형으로 접어 24cm 정도 높이로 쌓여 있었다.[52] 또 하나는 24cm 너비 백으로, 너비 2~3cm 나무 조각에 감겨 있었다.[39][52] 전자는 접힌 부분이 끊어져 있었고, 후자는 백끼리 고착되어 펼칠 수 없어 손상이 심했다.[39][52] 모두 복원과 정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52]
죽간·목독3호묘에서는 410매[41]의 견책죽간, 200매의 의서죽간(그중 10매는 목간), 7매의 목독(목찰)이 출토되었다. 죽간 길이, 형식, 서체는 1호묘 것과 완전히 같다.[39]
3호묘에서도 비단 직물이 많이 출토되었고, 보존 상태는 열악하지만 1호묘에는 없는 무늬 금도 발견되었다.[39] 또 칠맥사모(칠 칠한 얇은 비단 모자)는 특히 드물다.[39]
3호묘에서는 비파, 우, 칠현금, 여섯 구멍 피리(소, 샤쿠하치와 비슷한 세로피리)가 출토되었다.[55][51] 우·우율·금·소는 한 초 악기로는 처음 발견된 것이다.[55]
4. 부장품
마왕퇴 한묘에서는 칠기, 비단, 목간, 백서 등 3,000여 점의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1호묘에서는 50대 여성(대부인, 이름은 신장후이(辛追))의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부검 결과 심근경색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그녀의 식단은 설탕과 고기가 많았고, 관상동맥 질환을 앓고 있었다. 무덤에서는 식용 동물의 뼈, 대추, 연꽃 수프, 곡물, 밥, 고기꼬치 등이 칠기에 담겨 발견되었고, 위에서는 멜론 씨앗이 발견되어 사망 직전에 멜론을 먹었음을 알 수 있다.[3]
신장후이의 무덤에서는 화장품 세트, 칠기, 그림이 그려진 비단 의복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관은 초나라의 관습과 신앙에 따라 칠해졌고, 시신은 여러 겹의 비단 천으로 묶여 있었으며, T자형 태피스트리로 덮여 있었다.
2호묘는 대의 초대후작인 리 창(利蒼)의 매장지였으나, 도굴당했다. 3호묘는 30대 남성의 무덤으로, 비단에 적힌 군사, 의학, 천문학 원고가 들어 있었다.
특히 높이 평가받는 것은 칠기 와인잔과 화장품 상자로, 지역 칠기 산업의 장인 정신을 보여준다.
1호묘와 3호묘에서는 백화(帛畫)가 발견되어 당시의 우주관과 사후 세계관을 보여준다.
1호묘의 부장품 목록(견책)은 죽간에 예서체(일부 소전체)로 총 2,063자가 쓰여 있었으며,[54] 부식품, 조미료, 주류·곡식, 칠기·토기·화장용구·의류, 악기·죽기, 목제와 토제의 명기 순으로 배열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9][53] 견책 내용과 실제 부장품은 대부분 일치하여 부장품 명칭 확인에 유용하며,[39][53] 이를 통해 처음으로 명칭과 형태가 일치하는 한나라 시대 기물도 많다.[54]
3호묘에서는 의학서, 방중술 관련 죽간과 시종, 수레, 기병, 음식, 용기, 의복, 매장일, 봉인한 인물 등이 기록된 목독(木牘)이 발견되었다.[39]
1호묘에서는 비단옷, 장갑, 신발 등 다양한 의류와 직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소사선의(素紗襌衣)는 매우 가볍고 얇은 비단옷으로, 당시의 높은 제사 기술을 보여준다.
4. 1. 백화(帛畫)
1호묘와 3호묘의 내관 뚜껑판에서는 T자형 비단 그림(백화)이 발견되었다. 이 깃발들은 서한 시대 중국의 우주와 사후 세계에 대한 개념을 묘사하고 있다.[4]1호묘의 T자형 비단 장례용 깃발은 "이름 깃발"이라고 불리며, 사망자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T자형 채색 비단 의복에서 T의 윗부분 수평 부분은 하늘을, 수직 부분 아랫부분은 지하 세계를 나타낸다. 가운데 부분(수직 부분의 윗부분)은 현세를 나타낸다. 하늘에는 여와와 항아와 같은 중국 신들과 두루미(불멸을 상징)와 같은 도교 상징물이 묘사되어 있다. 하늘과 현세 사이에는 대부인을 천국으로 인도하기 위해 파견된 천사들이 있다. 그 아래에는 대부인의 가족이 천국으로 가는 여정을 돕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지하 세계는 두 마리의 거대한 바다 뱀이 얽혀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4]
4. 2. 백서(帛書)
3호묘에서 발견된 갑서는 전국 시대부터 전한 초기까지 정치, 군사, 사상,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많은 일서와 미지의 계통의 텍스트가 발견되어 학술적 가치가 높다.[57][19][62]갑서의 대부분은 주사로 너비 0.7-0.8센티미터의 격자를 그린 후 먹으로 쓰여 있지만,[52] 격자가 없는 것도 일부 있다.[19] 글씨체는 전서와 예서가 있으며, 전서 사본은 기원전 196년(고조 11년) 경, 예서 사본은 기원전 180년(문제 초년) 경에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19] 서예의 기교적인 수준 차이로 보아, 동일 인물이 한꺼번에 쓴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19]
내용은 12만 자가 넘으며,[35][51] 복원·정리 결과, 대략 28편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되었다.[51][57] 이들은 『한서』예문지의 도서 분류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19]
- 육예 - 『주역』, 『상복도』, 『춘추사어』, 『전국종횡가서』
- 제자 - 『노자』갑본, 『구주도』, 『황제서』, 『노자』을본
- 병서 - 『형덕』갑본, 『형덕』을본, 『형덕』병본
- 술수 - 『오성점』, 『천문기상잡점』, 『식법』, 『예서음양오행』, 『목인점』, 『부록』, 『신도』, 『축성도』, 『원침도』, 『상마경』
- 방술 - 『오십이병방』, 『태산도』, 『양생도』, 『잡료방』, 『도인도』
- 지도 - 『장사국남부도』, 『주군도』
『주역』과 『노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대의 일서이며,[57] 전해 내려오는 책에 대해서도 편명이나 글자에 차이가 많아,[62] 역사학, 철학, 문자학, 훈고학, 음운학 등 여러 방면에 많은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19][62] 또 고대사의 기록은 옛 문헌을 비교하고 검토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다.[19]
이하, 주요한 갑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주역』'''
- 『주역육십사괘』 - 『역경』의 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하편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62] 전래 텍스트·제서에 인용된 금문 텍스트·고문 텍스트·왕필본과 대조하면, 괘명·괘서·효사가 다르다.[63] 괘서의 구성 원리가 단순하고, 상당히 이른 시기의 텍스트로 보인다.[62][63]
- 『계사전』 - 금본 『계사전』과 일치하는 기술이 많지만, 장절의 순서나 문자에 차이점도 보이며, 금본 『설괘전』의 앞 세 절이 추가되어 있다.[63]
- 권후일서오편 - 『요』, 『무화』, 『소력』, 『이삼자문』, 『역지의』의 5편으로, 괘사와 효사가 상징하는 의미에 대해 공자와 제자가 논의하는 모습을 적는다.[64]
'''『춘추사어』'''
16장으로 구성되며, 노의 은공 시해 사건부터 진의 지씨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춘추 시대 고사 이야기를 다룬다.[65][66] 인물의 발언 기록에 중점을 두고, 한 장에 하나의 주제를 다루며, 국사나 편년체의 체재는 취하지 않는다.[66] 내용 대부분은 『춘추』삼전과 『국어』에 나오지만, 자구의 차이가 있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사항도 일부 포함된다.[65]
'''『전국종횡가서』'''
27장으로 구성되며, 그중 11장은 전국 시대 종횡가들의 언설집으로,[67] 현존하는 『전국책』과 『사기』에도 거의 같은 문장 표현으로 보인다.[67][65] 나머지 16장은 일문이며, 주로 소진의 유세 활동에 대해 적고 있다.[67][65]
'''『노자』갑본'''
- 『노자』갑본 - 현행본과는 반대로, 「덕경」이 「도경」앞에 놓여 있다.[62] 장과 단의 구분에 원점이 표시되어 있지만, 현행본과는 상당히 다르다.[68]
- 권후일서사편 - 『'''오행'''』은 사맹학파(자사, 맹자를 대표하는 유가사상)의 오행설(인의예지성의 덕목에 관한 학설)을 설명한다. 『구주』는 이윤이 군주를 9유형으로 나누어 논한다. 『명군』은 전쟁의 공격과 방어에 대해 주로 논한다. 『덕성』은 오행과 덕, 성, 지의 관계에 대해 논한다.[67]
'''『황제서』'''
『노자』을본의 권전에 놓여 있던, 4편으로 구성된 일서이다. 모두 편명을 가지고 있으며, 내용 및 서사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일괄하여 『황제서』('''황제사경''')라고 명명되었다.[68]
- 『경법』 - 「형명」의 사상(황로사상)에 대해 논한다.[68]
- 『십육경』 - 황제와 신하의 문답 형식을 취하는 소편이 많고, 「형명」및 「음양형덕」에 대해 논한다.[68]
- 『칭』 - 속담과 유사한 어구를 모아, 내용적으로는 앞 2편과 동일 체계에 속한다.[68]
- 『도원』 - 도의 성질과 본원을 논하지만, 「형명」의 설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68]
'''『노자』을본'''
갑본과 마찬가지로, 「덕경」이 「도경」앞에 놓여 있다.[62] 또 장분이 되어 있지 않다.[68] 갑본과 을본을 비교하면, 장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일치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68] 현행본, 갑본, 을본을 비교하면, 각각 글자의 차이가 보인다.[62]
'''『형덕』갑본, 을본, 병본'''
병음양가에 속하는 내용이며, 몇 종류의 식반도를 포함한다.[68] 병본에서 사신에 언급하는 부분은 『예기』곡례상의 기술과 비슷하다.[68]
'''『오성점』'''
천문 점성술에 관한 일서이며,[65] 본래의 편명은 불명이다.[69] 점사의 각처에 감덕과 로부터의 인용이 보이고, 특히 전자가 많다.[69] 오성의 운행을 기록한 것으로는,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이며,[70] 편의 말미에는 기원전 246년-기원전 177년의 70년에 걸친 목성·토성·금성의 위치가 적혀 있고, 이들 3성의 회합 주기의 움직임이 기록되어 있다.[69] 이것들은 고천문학에 있어 귀중한 자료이다.[69]
'''『천문기상잡점』'''
천문 기상에 관한 점의 서이며,[65] 본래의 편명은 불명이다.[71] 350여 조의 점이 적혀 있고, 전체적으로 기상에 의한 점이 중심이지만, 혜성이나 별의 운행 등 천문 현상에 의한 점도 보인다.[71] 혜성의 모양을 그린 그림으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70]
'''『식법』'''
옛날에는 『전서음양오행』이라고 명명되었다.[72] 파손·단열이 현저하고, 2006년 시점에서 아직 정리·수복이 끝나지 않았다.[72] 『천일』, 『사』, 『천지』, 『상삭』, 『제』, 『식도』, 『형일』 등 7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식도』에는 식반도가 보인다.[72]
'''『예서음양오행』'''
내용의 일부는 위의 『식법』에 가깝지만, 다른 병음양가의 주장도 보인다.[72]
'''『상마경』'''
예서체로 쓰여진 5,200자 정도의 일서로,[65][71] 금본 『상마경』과는 전혀 내용이 다르다.[71]

'''『오십이병방』'''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의방서이며,[70][73][74] 본래의 편명은 불명이다.[71]
- 『오십이병방』 - 52개의 표제(질병명·외상명)가 붙여지고,[71] 각각에 치료를 위한 처방이 적혀 있다.[73][71] 거론되고 있는 병명은 100종을 넘고, 그것들은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과·정신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70][73] 처방의 수는 283방이며, 약물에 의한 것을 중심으로 하고,[71] 약물 도포·입욕·훈증·국부 온열 요법·침구·안마·각(사혈을 위한 흡각의 원초 형태)[70], 석침에 의한 치료, 절개수술[74]등의 외과 요법이 보인다.
- 권전일서사편 - 『족비십일맥구경』, 『음양십일맥구경』, 『맥경』, 『음양맥사후』의 4편으로,[74][73] 각각 그 내용에 따라 편명이 붙여졌다.[74] 앞 2편은 인체의 11맥(경락)의 추행 경로, 그것에 관한 병, 및 구에 의한 치료법을 적는다.[74] 뒤 2편은 맥에 근거한 병의 징후의 진단에 대해 논한다.[74]
'''『태산도』, 『양생도』, 『잡료방』'''
모두 일서이며, 본래의 편명은 불명이다.[75]

'''『도인도』'''
너비 0.5미터, 길이 1.4미터의 갑에 그림과 글자로 그려져 있다.[74]
- 『도인도』 - 길이 1미터에 걸친 부분으로,[74][29] 44종류의 운동도(세로 4열, 가로 11종)가 검은 윤곽, 주·갈·람·먹의 베타 칠로 그려져 있다.[74] 각 도에는, 술(자태)의 명칭, 효과가 있다고 하는 병명, 모사하고 있는 동물명, 사용 기구명 등이 덧붙여져 있다.[75] 이것들은 도가 사상에 근거하는 수련의 술[29], 중국 최고의 체육 요법의 그림이며, 기공 요법의 루트라고 할 수 있다.[70] 또, 장가산한간의 도인서 『인서』와 함께, 최고의 도인 문헌이라고 한다.
- 권전일서이편 - 『각곡식기』는 「곡물을 피하고 기를 먹는다」, 즉 기공에 의한 건강법을 적는다.[75] 『음양십일맥구경』은 『오십이병방』권전일서의 것과 동일 내용이며, 양자는 갑본·을본으로 구별된다.[75]
'''『장사국남부도』'''
장사국 남부의 지형을 적고, 현재의 호남성 남부의 소수 유역과 그 주변에 해당한다.[75][70] 너비 50센티미터의 갑을 2장 이어붙인[75], 한 변 96센티미터의 정사각형으로, 축척 17-19만분의 1이다.[75][70] 묘사의 중심이 되는 부분에서는 정밀도가 높고, 하천의 굴곡도 대체로 현재의 것과 일치한다.[75]

'''『주군도』'''
호남성 최남단, 강화현의 도강 유역(위의 『장사국남부도』의 동남쪽 한 구석[76])에 해당한다.[70] 세로 98센티미터, 가로 78센티미터, 축척 8-10만분의 1이다.[70][76] 흑·홍·남청의 삼색을 사용하여, 하천이나 산맥을 엷은 색으로, 군의 주둔지나 방위 경계선을 진한 색으로 그려 놓았다.[76] 리의 이름과 호수, 폐촌과 같은 것도 보여, 당시의 취락의 실태를 아는 귀중한 자료이다.[62]
4. 3. 죽간(竹簡) 및 목독(木牘)
1호묘에서는 부장품 목록(견책)이 적힌 죽간이 발견되었다. 이 죽간은 예서체(일부는 소전체)로 총 2,063자[54]가 쓰여 있었으며, 흩어진 죽간을 복원한 결과 부식품, 조미료, 주류·곡식, 칠기·토기·화장용구·의류, 악기·죽기, 목제와 토제의 명기 순으로 배열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9][53] 견책의 내용과 실제 부장품을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 일치하여,[39][54][53] 부장품 명칭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며,[39][53] 이를 통해 처음으로 명칭과 형태가 일치하는 한나라 시대 기물도 많다.[54] 또한 한나라 초기 사회 경제, 농업생산, 생활 습관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39]3호묘의 견책 내용은 대부분 1호묘의 것과 일치하지만,[41] 수레와 말·악무·종자, 그들이 소지하는 무기·의장·악기 등의 내용도 포함되는 점이 다르다.[39][41] 그것들은 3호묘에 부장된 목용과 관 양측의 帛画 내용과 대략 비교할 수 있다.[41] 또한 식품·의류·각종 기구에 대해서도 1호묘에는 없는 것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39] 3호묘에서는 의학서, 방중술에 관한 내용이 적힌 죽간이 발견되었다. 의서간은 2권으로, 1권은 『황제내경』과 비슷하게 양생에 대해 서술하고,[39][77] 다른 1권은 방중술에 대해 서술한다.[77] 3호묘의 목독(木牘)은 시종과 수레와 기병(3매), 부장된 음식과 그 용기(2매), 의복(1매), 매장일과 봉인한 인물(1매)이 기록되어 있다.[39] 이 중 매장일과 봉인한 인물이 기록된 목독의 내용을 산동성(山東省) 임읍(臨沂) 한묘(漢墓)에서 출토된 『원광원년력보(元光元年暦譜)』와 대조한 결과, 매장 시기는 문제의 초원(初元) 12년(기원전 168년) 2월로 추정되었다.[39]
4. 4. 의류 및 직물
1호묘에서는 비단옷, 장갑, 신발 등 다양한 의류와 직물이 출토되어 당시의 방직 기술과 복식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소사선의(素紗襌衣)는 매우 가볍고 얇은 비단옷으로, 당시의 높은 제사 기술을 보여준다.4. 5. 칠기(漆器)
마왕퇴에서 출토된 칠기는 당시 칠기 공예 기술과 예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특히, 칠기로 만든 와인잔과 화장품 상자 등은 지역 칠기 산업의 뛰어난 장인 정신을 엿볼 수 있게 한다.일부 칠기에는 "대후가(軑侯家)" 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칠기가 제작된 곳과 소유자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4]
4. 6. 음식
1호묘에서는 칠기, 토기, 대바구니 등에서 다양한 음식 유물이 발견되어 당시의 식생활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신장후이(辛追)의 미라에서는 식용 동물의 뼈, 대추, 연꽃 수프, 곡물 등이 칠기에 담겨 발견되었다.[3] 그녀의 위에서는 멜론 씨앗이 발견되어 사망 직전에 멜론을 먹었음을 알 수 있다.[3] 죽간에는 장례 의식에 사용된 음식의 종류와 조리법 등이 기록되어 있다.5. 의의 및 영향
마왕퇴 한묘의 발굴은 고고학, 역사학, 문학, 철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고대 중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 특히 1호묘에서 발견된 신장후이(辛追)의 시신(습시)과 백서는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신장후이의 미라는 보존 상태가 매우 뛰어나 부검을 통해 심근경색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또한, 그녀의 위에서 멜론 씨앗이 발견되어 사망 직전에 멜론을 먹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대 방부 처리 기술과 더불어 당시 식생활 연구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3호묘에서는 비단에 그려진 세 장의 지도(지형도, 군사 지도, 행정 구역 지도)가 발견되었는데, 후난성, 광둥성, 광시 지역을 표시하고 한나라와 남월의 정치적 경계를 보여준다. 이는 당시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3호묘에서는 다량의 고전 문헌이 발견되었는데, ''역경''[5]과 ''도덕경''[6]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백 년 앞선 것이었고, 황로도가 도가 문헌과 ''전국책'' 사본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외에도 ''도인''( 기공) 운동을 묘사한 그림을 포함한 다양한 의학 서적과 ''춘추사유''와 같은 역사 서적도 발견되어 사상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a's Sleeping Beauty
http://www.archaeolo[...]
Archeology: A publication of th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09-04-10
[2]
서적
马王堆汉墓研究
岳麓书社
2013
[3]
웹사이트
An oxygen-free case at the Hunan Museum now protects 2,100-year-old Lady Dai.
https://www.pbs.org/[...]
Nova, PBS
2012-12-01
[4]
서적
A History of Far Eastern Art
Prentice-Hall
[5]
서적
I Ching: the Classic of Changes translated with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of the newly discovered second century BC Mawangdui texts
http://www.biroco.co[...]
Ballantyne Books
[6]
서적
Te-tao Ching: A New Translation Based on the Recently Discovered Ma-wang-tui Texts
https://books.google[...]
Rider
1991
[7]
웹사이트
UTokyo BiblioPlaza
https://www.u-tokyo.[...]
東京大学
2020-11-10
[8]
웹사이트
馬王堆老子(まおうたいろうし) NOA-webSHOP
http://rr2.e-meitoku[...]
明徳出版社
2020-11-10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地球の歩き方 中国 2010-2011
ダイヤモンド社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