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시아포르투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로마 시대에 속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갈리시아 지역에서 발전한 언어이다. 켈트어와 이베리아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800년경에는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의 토착어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문학어로 사용되었으며, 12세기 말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사랑의 칸티가, 친구의 칸티가 등 서정시가 창작되었다. 포르투갈 왕국 분리 이후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로 분화되었으며, 현재 갈리시아어는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에서 사용되고, 포르투갈어는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또한 팔라어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방언으로, 스페인 에스트레마두라 지역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원어 이름 | á lenguage |
사용 국가 | 갈리시아 왕국, 포르투갈 백국 |
사용 지역 |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 |
사용 시기 | 870년 경 (기록), 1400년 경 갈리시아어, 팔라어, 포르투갈어로 분리 |
참고 | linglist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라틴팔리스칸어군 |
어족2 | 로망스어군 |
어파2 | 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
어군2 | 서부 로망스어군 |
어계 | 갈리아-이베리아어 |
어파3 | 이베리아로망스어군 |
어군3 | 서이베리아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
조상 언어2 | 통속 라틴어 |
조상 언어3 | 원시 로망스어 |
ISO 639-3 | 없음 (역사적 언어) |
Glottolog | 없음 |
지도 정보 | |
![]() | |
다른 이름 | |
다른 이름 | 갈라이크-포르투갈어, 고대 갈리시아-포르투갈어, 고대 갈리시아어, 고대 포르투갈어, 중세 갈리시아어, 중세 포르투갈어 |
2. 기원과 역사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고대 로마의 속주 갈라이시아에 병사, 이주자, 중앙에서 파견된 행정관이 가져온 속 라틴어에서 발전했다. 이 과정은 다른 지역보다 느렸지만, 속 라틴어와 접촉하면서 2개 국어를 병용하는 시대가 있었고, 결국 선주민의 언어는 완전히 소멸하고 갈리시아의 특징을 가진 새로운 라틴어가 발전했다.[26][27]
켈트어파와 루시타니아어[28]의 영향은 속 라틴어에 동화되었으며, 이는 켈트어파나 이베리아 기원의 지명과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단어 몇몇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받은 히스파노-로마인 엘리트가 말한 라틴어는 ''Hispano ore''나 ''agrestius pronuntians''와 관련하여 그 지방 특유의 억양을 가지고 있었다.[29]
600년까지 속 라틴어는 더 이상 이베리아 반도에서 사용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30]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비모음은 지역 켈트어가 흥성하는 가운데 발전했을지도 모른다(고대 프랑스어처럼).[31][32] 로마계 갈라이시아에서 사용된 속 라틴어의 음운론적 특질은 6세기에서 7세기 이후에 쓰인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33]
2. 1. 속 라틴어의 영향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과거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군인, 식민지 개척자, 행정관이 도입한 속 라틴어(통속 라틴어)로부터 갈리시아의 옛 로마 속주 지역에서 발전했다. 다른 지역보다 느렸지만, 속 라틴어와 수세기에 걸친 접촉은 이중 언어 시대를 거쳐 토착 언어를 완전히 소멸시키고 몇 가지 갈리시아적 특징을 가진 새로운 라틴어 변종을 이끌었다.[4][5]갈리시아어와 루시타니아어의 영향은 현지 속 라틴어 방언에 흡수되었으며, 이는 일부 갈리시아-포르투갈어 단어뿐만 아니라 켈트어와 이베리아인 기원의 지명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6][7]
초기 형태의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이미 수에비 왕국에서 사용되었으며, 800년경에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가 이미 이베리아 북서부의 토착어가 되었다.[9]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 진화한 속 라틴어의 최초의 음운 변화는 수에비(411–585)와 서고트족(585–711) 등 게르만족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났다.[9]
2. 2. 게르만족의 영향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군인, 식민지 개척자, 행정관이 갈리시아의 옛 로마 속주 지역에 도입한 속 라틴어(통속 라틴어)에서 발전했다. 속 라틴어와 수 세기에 걸친 접촉은 이중 언어 시대를 거쳐 토착 언어를 완전히 소멸시키고 몇 가지 갈리시아적 특징을 가진 새로운 라틴어 변종을 이끌어냈다.[4][5]초기 형태의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이미 수에비 왕국에서 사용되었으며, 800년경에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가 이미 이베리아 북서부의 토착어가 되었다.[9]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의 진화를 시작한 속 라틴어의 최초의 알려진 음운 변화는 수에비(411–585)와 서고트족(585–711) 등 게르만족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났다.[9]
2. 3. 초기 문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과거 로마 제국 시대에 로마 군인, 식민지 개척자, 행정관이 도입한 속 라틴어(통속 라틴어)로부터 갈리시아의 옛 로마 속주 지역에서 발전했다. 속 라틴어와의 수세기에 걸친 접촉은 이중 언어 시대를 거쳐 토착 언어를 완전히 소멸시키고 몇 가지 갈리시아적 특징을 가진 새로운 라틴어 변종을 이끌었다.[4][5]갈리시아어와 루시타니아어의 영향이 현지 속 라틴어 방언에 흡수되었으며, 이는 일부 갈리시아-포르투갈어 단어뿐만 아니라 켈트어와 이베리아인 기원의 지명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6][7]
초기 형태의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이미 수에비 왕국에서 사용되었으며, 800년경에는 이베리아 북서부의 토착어가 되었다.[9] 속 라틴어에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의 진화를 시작한 최초의 음운 변화는 수에비(411–585)와 서고트족(585–711)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났다.[9]
포르투갈 북부에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 단어를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는 '소젤루 교회 기증서'로, 870년으로 추정되지만, 후기 라틴어/중세 라틴어로 작성되었다.[14] 882년의 'Lardosa의 S. 미겔 교회 기증 및 설립 헌장'에도 몇몇 갈리시아-포르투갈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15] 1175년에 쓰여진 '피아도르의 통지서'는 일부 학자들이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서로 간주한다.[17] 1999년에 발견된 '파이스 형제 협약'(1173년 이전 추정)은 더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 문서들은 후기 라틴어와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이 혼합된 것이다.[18] 연대가 불확실한 '토르토의 통지서'와 '아폰수 2세의 유언'(1214년 6월 27일)은 확실히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이다.[17] 12세기 말과 13세기 초에 지역 로망스어 토착어로 쓰인 산문과 운문 문서가 존재한다.
갈리시아에서 로망스어의 흔적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문서는 775년으로 추정되는 아스투리아스 실로 왕의 왕실 헌장이다.[19] 갈리시아에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서는 1231년으로 추정되는 멜론 수도원의 문서일 가능성이 높다.[21] 1228년의 '카스트로 칼델라스의 보 부르고 헌장'은 라틴어 원본을 번역한 것일 수 있다.
3. 문학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중세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 카스티야 왕국(카스티야 왕국, 레온 왕국, 갈리시아 왕국)과 아라곤 왕관(카탈루냐 공국, 아라곤 왕국, 발렌시아 왕국, 마요르카 왕국)의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같은 시대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오크어와 비교될 만하다.
이 언어는 12세기 말부터 14세기 중반까지 현재의 스페인과 포르투갈 지역에서 문학, 특히 서정시 창작에 주로 사용되었다. 베르날 데 보나발, 페로 다 폰테, 호안 가르시아 데 길하데, 호안 아이라스 데 산티아고, 페드르 아미고 데 세비야 등 160명이 넘는 시인들이 이 언어로 작품을 남겼다.[22]
주요 세속 시 장르로는 남성 화자의 사랑을 노래하는 사랑의 칸티가(''cantigas d'amor''), 여성 화자의 사랑을 노래하는 친구의 칸티가(''cantigas d'amigo''), 그리고 개인적인 비난, 사회 풍자, 문학 논쟁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은 경멸과 비방의 칸티가(''cantigas d'escarnho e de mal dizer'')가 있었다.[22]
포르투갈의 디니스 왕은 137개의 작품을 남겨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시인 중 한 명이며, 1290년에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를 포르투갈의 공용어로 지정하기도 했다.
총 1,700편에 가까운 시가 남아 있으며, 그중 400편이 넘는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는 기적 이야기와 성모 마리아 찬가를 담고 있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는 산문에는 스페인어를 사용했지만,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와 경멸과 비방의 칸티가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 작곡했다.
디니스 1세 (1271년–1325년)의 시 | |
valign=top | |
3. 1. 주요 자료
- 알폰소 10세 치하(1252-1284)에서 쓰여진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Cantigas de Santa Maria)의 현존하는 네 개의 필사본
- ''아유다 노래집''(Cancioneiro da Ajuda)
- ''바티카나 노래집''(Cancioneiro da Vaticana)
- ''콜로치-브란쿠티 노래집''(Cancioneiro Colocci-Brancuti), 리스본의 ''국립 도서관 노래집''(Cancioneiro da Biblioteca Nacional)으로도 알려져 있음
- Cancioneiro dun Grande de Espanha
- 빈델 양피지(Pergaminho Vindel)
- 샤레르 양피지 (Pergaminho Sharrer)
- Os 5 lais de Bretanha
- Afonso Sánchez와 Vasco Martíns de Resende 간의 텐손
3. 2. 대표 시인
베르날 데 보나발, 페로 다 폰테, 호안 가르시아 데 길하데, 호안 아이라스 데 산티아고, 페드르 아미고 데 세비야 등 160명 이상의 시인이 기록되어 있다.[22] 이들이 주로 활동한 세속적 시적 장르는 사랑의 칸티가(''cantigas d'amor'', 남성 화자의 사랑 서정시), 친구의 칸티가(''cantigas d'amigo'', 여성 화자의 사랑 서정시), 경멸과 비방의 칸티가(''cantigas d'escarnho e de mal dizer'', 개인적인 비난에서 사회 풍자, 시적 패러디 및 문학 논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 포함)였다.
포르투갈의 디니스 왕은 세속적인 시적 장르에 기여한 대표적인 인물로, 현존하는 137개의 텍스트를 남겨 다른 어떤 저자보다 많은 작품을 남겼다.
3. 3. 주요 장르
갈리시아-포르투갈어 서정시의 주요 현존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알폰소 10세 현왕 치하(1252-1284)에서 쓰여진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Cantigas de Santa Maria)의 현존하는 네 개의 필사본
- ''아유다 노래집''(Cancioneiro da Ajuda)
- ''바티카나 노래집''(Cancioneiro da Vaticana)
- ''콜로치-브란쿠티 노래집''(Cancioneiro Colocci-Brancuti), 리스본의 ''국립 도서관 노래집''(Cancioneiro da Biblioteca Nacional)으로도 알려져 있음
- Cancioneiro dun Grande de Espanha
- 빈델 양피지(Pergaminho Vindel)
- 샤레르 양피지 (Pergaminho Sharrer)
- Os 5 lais de Bretanha
- Afonso Sánchez와 Vasco Martíns de Resende 간의 텐손
주요 세속적 시적 장르는 사랑의 칸티가(''cantigas d'amor'', 남성 화자의 사랑 서정시), ''친구의 칸티가''(''cantigas d'amigo'', 여성 화자의 사랑 서정시) 및 경멸과 비방의 칸티가(''cantigas d'escarnho e de mal dizer'', 개인적인 비난에서 사회 풍자, 시적 패러디 및 문학 논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 포함)였다.[22]
총 1,700편에 가까운 시가 이 세 장르로 남아 있으며, 400편이 넘는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기적에 대한 서사시와 성모 마리아를 기리는 찬가)가 있다. 카스티야 왕국의 왕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는 산문에는 스페인어를 사용했지만, ''성모 마리아의 칸티가''와 ''경멸과 비방의 칸티가''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로 작곡했다.
포르투갈의 디니스 왕은 세속적인 시적 장르에도 기여했는데, 137개의 현존하는 텍스트는 다른 저자보다 더 많다.
4. 분화
포르투갈 백국이 레온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어 포르투갈 왕국을 건국하고, 갈리시아 왕국이 레온 왕국에 종속되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정치적으로 분열되어 통일성을 잃었다. 이후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각자 독립적으로 발전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화되었다.
레콩키스타를 통해 포르투갈이 영토를 남쪽으로 넓히면서, 독자적인 포르투갈어가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사용되었고, 무어 시대에 이 지역에서 쓰이던 아랍어나 다른 로망스어/라틴어를 대체했다. 한편, 갈리시아어는 이웃한 레온어의 영향을 받았고 (특히 레온 왕국과 레온-카스티야 왕국 시대),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 분리 당시 브라가와 포르투는 포르투갈 백국에 속해 포르투갈에 남았고, 북쪽의 루고, 아 코루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에 남았다.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가 같은 언어의 방언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일부 갈리시아 독립 단체는 재통합을 주장하기도 한다. 엑스트레마두라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팔라어는 갈리시아어와 유사한 발전을 겪었다.
4. 1. 포르투갈어의 발전
포르투갈 백국이 레온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어 포르투갈 왕국을 세우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통일성을 잃었다. 이후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독립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화되었다.포르투갈이 레콩키스타(국토 회복 운동) 기간 동안 영토를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점점 더 독특해지는 포르투갈어가 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 채택되어, 무어 시대에 이 정복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전의 아랍어 및 기타 로망스어/라틴어를 대체했다. 한편, 갈리시아어는 인접한 레온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레온과 레온-카스티야 왕국의 시대에 영향을 받았고,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 분리 당시 브라가와 포르투 두 도시는 포르투갈 백국에 속해 있었고 포르투갈에 남아 있었다. 북쪽으로 더 가면, 루고, 아 코루냐, 그리고 중세의 주요 중심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에 남아 있었다.
4. 2. 갈리시아어의 발전
포르투갈 백국이 레온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어 포르투갈 왕국을 세우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정치적 분열의 결과로 통일성을 잃었다. 그 후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독립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화되었다.레콩키스타 기간 동안 포르투갈이 영토를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점점 더 독특해지는 포르투갈어가 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 채택되어, 무어 시대에 이 정복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전의 아랍어 및 기타 로망스어/라틴어를 대체했다. 한편, 갈리시아어는 인접한 레온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레온과 레온-카스티야 왕국의 시대에 영향을 받았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 분리 당시 브라가와 포르투 두 도시는 포르투갈 백국에 속해 있었고 포르투갈에 남아 있었다. 북쪽으로 더 가면, 루고, 아 코루냐, 그리고 중세의 주요 중심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에 남아 있었다.
갈리시아어는 16세기까지 갈리시아의 주요 문어였지만, 이후 카스티야 왕국의 공용어였던 카스티야어(스페인어)로 대체되었다. 갈리시아어는 점차 주로 구어체가 되었으며, 마을과 소도시의 다수 농촌 또는 "교육받지 못한" 인구에 의해 보존되었고, 카스티야어는 도시의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교육받은 엘리트들에게 "올바른" 언어로 가르쳐졌다. 16세기, 17세기, 18세기의 대부분 동안, 그 문어 사용은 대중 문학, 연극, 개인적인 편지로 크게 축소되었다. 18세기부터 마르틴 사르미엔토와 같은 저명한 작가들의 연구로 언어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며, 마르틴 사르미엔토는 갈리시아어의 라틴어에서 진화를 연구하고 갈리시아어 최초의 사전을 준비한 호세 코르니데와 파드레 소비라의 토대를 마련했다. 19세기에는 렉수르디멘토 기간 동안 진정한 갈리시아 문학이 등장했고, 이어서 저널이 등장했으며, 20세기에는 과학 출판물이 등장했다. 비교적 최근까지 대부분의 갈리시아인들은 비교적 외지고 산악 지대에 있는 많은 작은 마을에서 살았기 때문에, 언어는 매우 천천히 변했고 지역 외부의 영향은 매우 미미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갈리시아어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까지 갈리시아의 토착어가 되었으며 21세기 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남아 있었다. 1936년 갈리시아 자치 헌장 초안은 이 지역에서 (현대) 갈리시아어의 공용 지위를 고려했지만, 스페인 내전 초기에 갈리시아가 반군 통제하에 들어가면서 시행되지 못했다.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의 언어학적 분류는 오늘날에도 논의되고 있다. 갈리시아 독립 단체 중에는 재통합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포르투갈과 갈리시아 언어학자들은 이 두 언어가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공통된 언어의 방언이라고 주장한다.
스페인 자치 지역인 엑스트레마두라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팔라어는 갈리시아어와 유사한 발전을 겪었다.
4. 3. 언어 분류 논쟁
정치적 분열의 결과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 백국이 레온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어 포르투갈 왕국을 세우면서 통일성을 잃었다. 그 후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독립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화되었다.포르투갈이 레콩키스타(국토 회복 운동) 기간 동안 영토를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점점 더 독특해지는 포르투갈어가 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 채택되어, 무어 시대에 이 정복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전의 아랍어 및 기타 로망스어/라틴어를 대체했다. 한편, 갈리시아어는 인접한 레온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레온과 레온-카스티야 왕국의 시대에 영향을 받았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 분리 당시 브라가와 포르투 두 도시는 포르투갈 백국에 속해 있었고 포르투갈에 남아 있었다. 북쪽으로 더 가면, 루고, 아 코루냐, 그리고 중세의 주요 중심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에 남아 있었다.[1]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의 언어학적 분류는 오늘날에도 논의되고 있다. 갈리시아 독립 단체 중에는 재통합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포르투갈과 갈리시아 언어학자들은 이 두 언어가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공통된 언어의 방언이라고 주장한다.[2]
스페인 자치 지역인 엑스트레마두라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팔라어는 갈리시아어와 유사한 발전을 겪었다.[3]
5. 음운 체계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11세기부터 16세기까지 사용된 언어로,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7개의 구두 모음(/a/, /e/, /ɛ/, /i/, /o/, /ɔ/, /u/)을 가졌으며, 이는 대부분의 로망스어와 유사하다. 이 모음들은 음절 끝의 비음 자음(/n/, /ŋ/, /ɲ/)과 만나면 5개의 비음 모음([ã], [ẽ], [ĩ], [õ], [ũ])으로 축소되었다.[23]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e – ɛ/, /o – ɔ/ 모음이 /e/, /o/로 변화했다(현대 스페인어와 유사함).
/a – ɐ/ 분포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두 모음이 스페인어와 현대 갈리시아어처럼 상호 보완적인 분포를 가지는 이음(/a/로만 취급)이라는 주장과, 유럽 포르투갈어에서처럼 이음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24]
/s/와 /z/는 설단 치조음이었고, /ts/와 /dz/는 설단 치조음이었다. 후에 모든 파찰음 시비런트는 마찰음이 되었고, 설단 치조음과 설단 치조음 시비런트는 한동안 구분되었지만 결국 대부분의 방언에서 합쳐졌다. 자세한 내용은 포르투갈어의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5. 1.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1 | colspan="2" | | 2 | colspan="2" | | colspan="2" |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2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1 포르투갈 중부와 남부에서는 최종적으로 로 변화하고, 포르투갈 북부와 갈리시아에서는 에 합류했다.
:2 와 는 아마도 상보적 분포로 존재했다.
5. 2. 모음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7개의 구두 모음 체계 ()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모음들은 음절 끝의 비음 자음 ()과 만날 때 비음화되어 5개의 모음 ()으로 줄어들었다.[23]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모음이 로 변화했다.[24]
의 분포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두 모음이 상보적 분포를 가지는 이음으로 로만 취급된다는 주장과, 유럽 포르투갈어에서처럼 이음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24]
6. 구전 전통
갈리시아-포르투갈 지역은 오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 전승, 즉 구전 전통이 풍부한 곳이다. 레콩키스타를 거치며 갈리시아-포르투갈어가 남쪽으로 퍼져나가면서 이러한 전통은 더욱 강화되었다.
2005년, 포르투갈과 스페인 정부는 갈리시아-포르투갈 구전 전통을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으로 지정해 줄 것을 공동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여러 대학과 기관들이 이 공통 문화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데 힘쓰고 있다.
구전 전통에는 즉흥 노래 대결인 ''칸티가스 아우 데사피우''(cantigas ao desafio) 또는 ''레게이파스''(regueifas), 수많은 전설, 이야기, 시, 로망스, 민요, 속담, 수수께끼 등이 있다. 또한, 어휘, 음성, 형태, 구문에서 유사성을 보이는 말하기 방식도 포함된다.
''마고스토''(magosto), ''엔트로이도''(entroido),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 같은 종교 축제, 코카라는 드래곤이 성 조지와 싸우는 전통, 전통 의상, 장식품, 공예, 작업 도구, 조각된 채소 랜턴, 미신, 식물과 동물에 대한 지식 등도 공통 유산에 속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삶의 방식은 현대 생활로 대체되면서 잊혀져 가고 있으며, 어부들의 전문 용어, 전통 공예 도구 이름, 축제의 구전 전통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40][41][42]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바이쇼-리미아오" 방언은 엔트리모, 로비오스, 테라스 드 보우루, 카스트로 라보레이로 등 여러 마을에서 사용된다.
6. 1. 구전 유산
갈리시아-포르투갈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민속담이 공유되어 왔다. 레콩키스타와 함께 갈리시아포르투갈어가 남쪽으로 퍼져 모사라베어를 대체하면서, 이러한 고대 민속담 공유는 더욱 심화되었다. 2005년, 포르투갈과 스페인 정부는 갈리시아-포르투갈 구전 전통을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으로 지정할 것을 공동 제안했다. 이러한 공통 문화의 기록 및 전승 작업에는 여러 대학과 기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갈리시아-포르투갈 민속은 구전 전통이 풍부하다. 여기에는 즉흥 노래 대결인 ''칸티가스 아우 데사피우''(cantigas ao desafio) 또는 ''레게이파스''(regueifas), 많은 전설, 이야기, 시, 로망스, 민요, 속담, 수수께끼, 그리고 어휘, 음성, 형태, 구문에서 유사성을 유지하는 말하기 방식 등이 포함된다.
구전 전통의 공통 유산에는 또한 수호 성인 시장, 축제, 행렬, 고대 춤과 전통이 있는 ''마고스토'', ''엔트로이도'' 또는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과 같은 종교 축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코카라는 드래곤이 성 조지와 싸우는 전통이 있다. 또한 전통 의상과 장식품, 공예 및 기술, 작업 도구, 조각된 채소 랜턴, 미신, 식물과 동물에 대한 전통 지식 등도 포함된다. 이 모든 것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이 현대 생활로 대체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는 공통 유산의 일부이며, 어부들의 전문 용어, 전통 공예 도구의 이름, 축제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전 전통도 천천히 잊혀지고 있다.[40][41][42]
6. 2. 보존 노력
갈리시아포르투갈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민속담이 공유되어 왔다. 레콩키스타와 함께 갈리시아포르투갈어가 남쪽으로 퍼져 모사라베어를 대체하면서, 이러한 고대 민속담 공유는 더욱 심화되었다. 2005년, 포르투갈과 스페인 정부는 갈리시아포르투갈 구전 전통을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으로 지정할 것을 공동 제안했다. 이러한 공통 문화의 기록 및 전승 작업에는 여러 대학과 기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갈리시아포르투갈 민속은 구전 전통이 풍부하다. 여기에는 즉흥 노래 대결인 ''칸티가스 아우 데사피우''(cantigas ao desafio) 또는 ''레게이파스''(regueifas), 많은 전설, 이야기, 시, 로망스, 민요, 속담, 수수께끼, 그리고 어휘, 음성, 형태, 구문에서 유사성을 유지하는 말하기 방식 등이 포함된다.
구전 전통의 공통 유산에는 수호 성인 시장, 축제, 행렬, 고대 춤과 전통이 있는 ''마고스토''(magosto), ''엔트로이도''(entroido) 또는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과 같은 종교 축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코카(Coca)라는 드래곤이 성 조지와 싸우는 전통이 있다. 또한 전통 의상과 장식품, 공예 및 기술, 작업 도구, 조각된 채소 랜턴, 미신, 식물과 동물에 대한 전통 지식 등도 포함된다. 이 모든 것은 전통적인 삶의 방식이 현대 생활로 대체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는 공통 유산의 일부이며, 어부들의 전문 용어, 전통 공예 도구의 이름, 축제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전 전통도 천천히 잊혀지고 있다.[40][41][42]
7. 현대 언어
포르투갈레 백국이 독립하여 포르투갈 왕국 건국으로 이어지고, 레온 왕국에 종속되어 있던 갈리시아 왕국과 정치적으로 분단되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그 통일성을 점차 잃어갔고,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각각 독립적인 진화를 계속했다.[1]
7. 1. 갈리시아어
포르투칼레 백국이 독립하여 포르투갈 왕국 건국으로 이어지고, 레온 왕국에 종속되어 있던 갈리시아 왕국과 정치적으로 분단되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그 통일성을 점차 잃어갔고,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각각 독립적인 진화를 계속했다.[1]갈리시아어는 인접한 레온어(특히 레온 왕국과 레온-카스티야 왕국 시대)의 영향을 받았고,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1] 분열 시대의 브라가와 포르투 두 도시는 포르투칼레 백국이었으며, 오늘날 포르투갈령에 남아있다.[1] 또한 북쪽에는 루고 시와 아 코루냐 시, 중세의 거대 중심 도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가 갈리시아에 남아있다.[1]
카스티야어가 도시 지역의 이중 언어 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에게 "올바른" 언어로 교육된 반면, 갈리시아어는 화자 대다수가 마을과 도시에 사는 시골 사람이나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에 와서 갈리시아에서 보호되었다.[1] 비교적 최근까지 대부분의 갈리시아인들이 외딴 지역과 산악 지형의 많은 작은 마을에 살았기 때문에 언어는 매우 느리게 변화했고 외부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1]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갈리시아어에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갈리시아 특유의 단어가 있었고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갈리시아인들은 오늘날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1] 현대 갈리시아어는 갈리시아의 카스티야어와 함께 공용어로 1930년대에 스페인 제2공화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나,[1] 이 인가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에서 취소되었지만, 이 정권이 끝나자 부활했다.[1]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를 어떤 언어군으로 분류할지는 지금도 논의되고 있다.[1] 이 두 언어가 별개의 언어라기보다는 공통된 언어의 방언이라고 주장하는 포르투갈인과 갈리시아인 문헌학자와 마찬가지로 양자의 통일을 모색하는 갈리시아 민족주의 단체의 소수에게서 발견되는 견해가 있지만, 이러한 견해는 널리 절충주의로 여겨지고 있다.[1] (자세한 내용은 레인테그라리스모 참조)[1]
에스트레마두라주의 스페인 자치구 일부에서 사용되는 파라어는 갈리시아어와 유사한 발전을 이루었다.[1]
갈리시아어는 갈리시아주의 언어이며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포르투갈어가 사용되면서 계속 성장하는 반면 갈리시아어는 인구의 대다수에게 사용되며, 오늘날에는 화자 수로 세계 5위를 기록하고 있다.[1]
7. 2. 포르투갈어
포르투칼레 백국이 독립하여 포르투갈 왕국 건국으로 이어지고, 레온 왕국에 종속되어 있던 갈리시아 왕국과 정치적으로 분단되면서 갈리시아포르투갈어는 그 통일성을 점차 잃어갔고,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는 각각 독립적인 진화를 계속했다.[1]포르투갈령이 레콩키스타로 남쪽으로 확대되자, 독자적인 길을 걷는 포르투갈어는 무어 시대에 이 점령된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초기 아랍어와 다른 로망스 라틴어를 대체하면서 이 지역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1] 포르투갈어는 남쪽의 이 새로운 영역에서 대체된 언어의 영향을 흡수했기 때문에 자매 언어인 갈리시아어와는 독특한 언어가 되었다.[1] 한편 갈리시아어는 인접한 레온어 (특히 레온 왕국과 레온-카스티야 왕국 시대)의 영향을 받았고, 19세기와 20세기에는 카스티야어의 영향을 받았다.[1] 분열 시대의 두 도시 (브라가, 포르투)는 포르투칼레 백국이었으며, 오늘날 포르투갈령에 남아있다.[1]
7. 3. 팔라어
팔라어참조
[1]
서적
Linguistic Minorities in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Spain, Portugal, Greece : Summary of the Report
https://www.google.c[...]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0
[2]
서적
Medieval Europe and the World: From Late Antiquity to Modernity, 400-1500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2-05
[3]
서적
História do galego-português: estado linguístico da Galiza e do noroeste de Portugal desde o século XIII ao século XVI (com referência à situação do galego moderno)
Fundação Calouste Gulbenkian
[4]
간행물
The language(s) of the Callaeci
https://dc.uwm.edu/e[...]
2006
[5]
서적
Estudos de Linguística Histórica Galego-Portuguesa
http://www.instituto[...]
IN-CM
[6]
웹사이트
A Toponímia Céltica e os vestígios de cultura material da Proto-História de Portugal. Freire, José. Revista de Guimarães, Volume Especial, I, Guimarães, 1999, pp. 265–275
http://www.csarmento[...]
2011-11-14
[7]
서적
A toponimia celta de Galicia
Toxosoutos
2014
[8]
서적
Bilingualism and the Latin language
http://asset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As origens do romance galego-português
http://cvc.instituto[...]
Instituto Camões
[10]
서적
Alguns aspectos da Teoria da Continuidade Paleolítica aplicada à região galega
http://www.continuit[...]
2011-11-14
[11]
웹사이트
Comparative Grammar of Latin 34: Language Contact
http://ling.cornell.[...]
[12]
웹사이트
Ethnologic Map of Pre-Roman Iberia (circa 200 B.C.)
http://www.arkeotavi[...]
2011-11-14
[13]
웹사이트
Fonética histórica
http://www.instituto[...]
Instituto Camões
[14]
웹사이트
"[The oldest document containing traces of Galician-Portuguese, a.D. 870]"
http://www.novomilen[...]
2011-11-14
[15]
웹사이트
Charter of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of S. Miguel de Lardosa, a.D. 882
http://www.fcsh.unl.[...]
2011-11-14
[16]
서적
The Latinity of Dated Documents in the Portuguese Terri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17]
웹사이트
Os mais antigos textos escritos em português
http://www.instituto[...]
Instituto Camões
[18]
문서
"Ivo Castro, ''Introdução à História do Português. Geografia da Língua. Português Antigo''. [Lisbon: Colibri, 2004], pp. 121–125, and by A. Emiliano, cited by Castro"
[19]
서적
El diploma del Rey Silo
Fundación Pedro Barrié de la Maza
2007
[20]
서적
Algunas calas en los orígenes del gallego
Galaxia
1983
[21]
서적
Documentos galego-portugueses dos séculos XII e XIII
Universidade da Coruña
2008
[22]
문서
Many of these texts correspond to the Greek ''psogoi'' mentioned by [[Aristotle]] [''Poetics'' 1448b27] and exemplified in the verses of iambographers such as [[Archilochus]] and [[Hipponax]].
[23]
간행물
Existe rima de vogal aberta com vogal fechada na poesia trovadoresca galego-portuguesa?
https://ruc.udc.es/d[...]
2002
[24]
웹사이트
As diferenças na pronúncia medieval em relação ao português moderno
https://ciberduvidas[...]
[25]
웹사이트
A Fala Galego-Portuguesa da Baixa Limia e Castro Laboreiro: Integrado no Projecto para a declaraçom de Património da Humanidade da Cultura Imaterial Galego-Portuguesa
http://www.agal-gz.o[...]
2011-11-14
[26]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the Callaeci. Luján Martínez, Eugenio
http://www.uwm.edu/D[...]
[27]
웹사이트
Origens e estruturação histórica do léxico português (1976)
http://www.instituto[...]
[28]
웹사이트
A Toponímia Céltica e os vestígios de cultura material da Proto-História de Portugal. Freire, José. Revista de Guimarães, Volume Especial, I, Guimarães, 1999, pp. 265-275
http://www.csarmento[...]
[29]
웹사이트
Bilingualism and the Latin language, J.N. Ada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assets.cambri[...]
[30]
웹사이트
"''As origens do romance galego-português''. Instituto Luis de Camões"
http://www.instituto[...]
[31]
웹사이트
Comparative Grammar of Latin 34
http://ling.cornell.[...]
[32]
웹사이트
Ethnologic Map of Pre-Roman Iberia (circa 200 B.C.)
http://www.arkeotavi[...]
[33]
웹사이트
Fonética histórica
http://www.instituto[...]
[34]
웹사이트
The oldest document containing traces of Galician-Portuguese, a.D. 870
http://www.novomilen[...]
[35]
웹사이트
Charter of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of S. Miguel de Lardosa, a.D. 882
http://www.fcsh.unl.[...]
[36]
서적
The Latinity of Dated Documents in the Portuguese Terri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41
[37]
웹사이트
The oldest texts written in Galician-Portuguese
http://www.instituto[...]
[38]
서적
Introdução à História do Português. Geografia da Língua. Português Antigo
Colibri
2004
[39]
문서
Many of these texts correspond to the Greek psogoi mentioned by Aristotle [''Poetics'' 1448b27] and exemplified in the verses of iambographers such as Archilochus and Hipponax.
[40]
문서
11月に行われるガリシア伝統の焼き栗まつり。
[41]
문서
いわゆるカーニバルのこと。
[42]
웹사이트
A FALA GALEGO-PORTUGUESA DA BAIXA LIMIA E CASTRO LABOREIRO.Integrado no Projecto para a declaraçom de Património da Humanidade da Cultura Imaterial Galego-Portuguesa
https://www.agal-g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