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리 공간은 집합과 그 집합의 원소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인 거리 함수로 이루어진 수학적 구조이다. 거리 함수는 구분 불가능한 점의 동일성, 대칭성, 삼각 부등식을 만족해야 하며, 이를 통해 공간 내 점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거리 공간은 위상 공간의 일종으로, 하우스도르프 공간, 파라콤팩트 공간, T6 공간, 제1 가산 공간 등의 성질을 가지며, 부분 집합 역시 거리 공간을 이룬다.
거리 공간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유사 거리 공간, 준계량, 메타미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개념들은 거리 함수의 공리를 완화하여 정의된다. 거리 공간은 완비성, 유계성, 지름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거리 위상을 통해 위상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거리 공간은 실수의 절댓값, 유클리드 공간, 노름 공간 등 다양한 예시를 가지며, 유한 거리 공간은 컴퓨터 과학 및 이산 수학에서 알고리즘 설계에 활용된다. 또한, 그래프 이론에서 그래프의 정점 간 거리를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거리 공간 사이의 사상으로는 등거리 변환, 연속 함수, 균등 연속 함수, 립시츠 사상, 유사 등거리 등이 있으며, 이들은 공간 간의 구조를 보존하거나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노름 벡터 공간, 측지 거리 공간, 길이 공간, 리만 다양체 등은 거리 공간에 추가적인 구조를 부여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해밍 거리와 같은 개념이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중요해졌으며, 사회 격차 분석, 도시 계획, 교통 시스템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거리 공간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리 공간 - 거리화 가능 공간
거리화 가능 공간은 위상을 유도하는 거리 함수가 존재하는 위상 공간으로, 하우스도르프 공간, 파라콤팩트 공간, 제1 가산 공간 등의 성질을 가지며 여러 거리화 정리가 존재한다. - 거리 공간 - 초거리 공간
초거리 공간은 일반적인 거리 공간과 달리 초거리 부등식을 만족하여 열린 공이 열린 집합이자 닫힌 집합이 되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계량기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계량기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거리 공간 | |
---|---|
개요 | |
![]() | |
정의 | 집합과 거리 함수로 구성된 수학적 공간 |
정의 | |
주요 내용 | 집합 X 거리 함수 d: X × X → R (실수 집합) |
거리 함수의 조건 | d(x, y) ≥ 0 (음수가 아님) d(x, y) = 0 ⇔ x = y (식별 불가능성) d(x, y) = d(y, x) (대칭성)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
거리 공간의 표기 | (X, d) |
역사 | |
창시자 | 모리스 르네 프레셰 |
발표 연도 | 1906년 |
예시 | |
유클리드 공간 | 실수 좌표 공간에 유클리드 거리를 부여한 공간 |
맨해튼 거리 공간 | 각 좌표 성분 차이의 절대값의 합으로 정의된 거리 공간 |
이산 공간 | 동일한 점 사이의 거리는 0, 다른 점 사이의 거리는 1로 정의된 거리 공간 |
함수 공간 | 함수의 집합에 적분 또는 다른 노름을 사용하여 정의된 거리 공간 |
성질 | |
위상적 성질 | 거리 공간은 자연스럽게 위상 공간을 이룸 |
완비성 | 코시 수열이 수렴하는지 여부 |
분리 가능성 | 가산 조밀 부분 집합의 존재 여부 |
컴팩트성 | 모든 열린 덮개가 유한 부분 덮개를 갖는지 여부 |
활용 | |
주요 분야 | 해석학 기하학 위상수학 |
응용 분야 | 머신러닝 데이터 마이닝 이미지 처리 |
2. 정의
집합 X 위의 거리 함수(距離函數, metric function영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구분 불가능한 점의 동일성) 임의의 에 대하여,
- (대칭성) 임의의 에 대하여,
- (삼각 부등식, triangle inequality영어) 임의의 에 대하여,
마지막 두 공리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공리로 대체할 수 있다.
- (삼각 부등식)
여기서 로 잡으면 가 되어, 대칭 공리를 얻는다.
거리 공간 은 거리 함수가 주어진 집합이다. 거리 함수의 정의에서 첫째 조건을 로 약화시키면 유사 거리 함수 개념을 얻는다.
지구 표면을 예로 들어,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표면을 따라 최단 경로("까마귀가 나는 거리")로 측정할 수 있다. 이는 해운 및 항공 분야에 유용하다. 지구 내부의 두 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는데, 이는 지진학에서 지진파 이동 시간을 통해 나타난다.
거리 공간 공리는 거리 개념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거리에 대한 직관적인 사실을 담고 있어 다양한 맥락에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도 공간에서 바서슈타인 거리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경하는 비용을, 해밍 거리는 두 문자열 간 차이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거리 공간은 집합 M과 M 위의 거리 d의 순서쌍 (M, d)로 정의되며, 함수 d: M x M → ℝ는 다음 공리를 만족한다. 모든 점 x, y, z ∈ M에 대해:
# 한 점에서 자신까지의 거리는 0이다:
# (양수성)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의 거리는 항상 양수이다: 이면,
# (대칭성)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항상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 삼각 부등식이 성립한다:
y를 경유하여 x에서 z에 도달하는 것은 직접 경로보다 짧을 수 없다. 거리 d가 모호하지 않은 경우 "거리 공간 M"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두 번째 공리를 제외한 모든 공리에서 거리는 항상 음수가 아니다: 따라서 두 번째 공리는 이면, 로 약화될 수 있으며, 첫 번째 공리와 결합하여 로 만들 수 있다.
X를 집합으로 하고, 사상 에서, d가 다음 세 가지 조건('''거리 공리''')을 모두 만족할 때, d는 X 상의 '''거리 함수''' 또는 X 상의 '''거리'''(metric영어)라고 하며, 집합 X와 X 상의 거리 d의 쌍 (X, d)를 '''거리 공간'''(metric space영어)이라고 한다.
'''비퇴화성'''
:
'''대칭성'''
:
'''삼각 부등식'''
:
혼동이 없을 경우 거리 공간 (X, d)를 단순히 X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비퇴화성, 대칭성, 삼각 부등식으로부터 유도되는 성질로서,
'''비음수성'''
:
이 있다.
집합 A와 거리 공간 (X, d)와 단사 함수 f: A → X가 있을 때, a1, a2∈A에 대해
:
로 정의하면 (A, df)도 거리 공간이 되며, f에 의해 '''유도된 거리 공간'''이라고 한다.
A가 X의 부분 집합이면 포함 사상 id: A ↪ X; a ↦ a에 의해 거리 공간 (A, did)가 유도된다. 이와 같이 X의 부분 집합과 포함 사상에 의해 정의된 거리 공간을 (X, d)의 '''부분 거리 공간''' 또는 '''부분 공간'''이라고 한다.
2. 1. 관련 개념
유사 거리(pseudometric)는 거리 함수의 정의에서 첫째 조건(구분 불가능한 점의 동일성)을 약화시킨 개념이다. 즉,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0일 수도 있다.[17]초거리 함수(ultrametric)는 삼각 부등식보다 더 강한 조건(max{d(x, y), d(y, z)} ≥ d(x, z))을 만족시키는 거리 함수이다.
거리 공리들을 일부 완화하여 정의한 여러 가지 일반화된 거리 공간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비음수성 | 비퇴화성 | 대칭성 | 삼각 부등식 | |
---|---|---|---|---|
유사 거리 (pseudometric) | ○ | ○ | ○ | |
quasi-metric[27][28] | ○ | ○ | - | ○ |
quasi-pseudometric[29] | ○ | - | ○ | |
metametric[30] | ○ | ○ | ○ | |
semimetric | ○ | ○ | ○ | - |
- '''의사 거리 공간'''(pseudometric space): 이지만, 에 대해 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 '''준계량 공간'''(quasimetric space): 대칭성 공리()를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17] 예를 들어, 산악 마을에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의 소요 시간 차이를 고려할 때 준계량이 사용될 수 있다.
- '''메타미터'''(metametric): 동일한 점 사이의 거리가 반드시 0일 필요는 없다.[19][20] 그로모프 쌍곡 미터 공간과 그 경계 연구에서 나타난다.
- '''부분 미터'''(partial metric): 메타미터와 동일한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를 지칭하는 또 다른 용어이다.[19][20]
- '''이동 미터'''(dislocated metric): 메타미터와 동일한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를 지칭하는 또 다른 용어이다.[19][20]
- '''준미터릭'''(premetric): 비음수성과 조건만 만족한다.
- '''유사반미터릭'''(pseudo-semimetric): 준미터릭과 대칭성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 '''유사미터릭'''(pseudo-metric): 유사반미터릭을 지칭하는 또 다른 용어이다.
- '''거리'''(distance): 대칭성을 만족하는 준미터릭, 즉 유사반미터릭을 지칭한다.[21]
이러한 일반화된 거리 공간들은 균등 구조를 유도할 수 있다.
3. 성질
거리 공간은 다음과 같은 여러 위상수학적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거리 공간 $(X,d)$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
거리 공간 $(X,d)$의 임의의 부분 집합 $Y\subseteq X$에 대하여, $(Y,d|_{Y\times Y})$는 거리 공간을 이룬다.[34]
모든 코시 수열이 극한을 갖는 거리 공간을 '''완비 거리 공간'''이라고 한다.[34]
'''유계 공간'''은 지름이 유한한 거리 공간이다. 임의의 양의 실수 $\epsilon$에 대해 유한 개의 지름 $\epsilon$ 이하의 부분 집합들로 덮을 수 있는 공간을 '''전유계'''라고 한다.
3. 1. 거리 위상
거리 공간 $(X,d)$의 거리 위상은 열린 공들을 기저로 하는 위상이다. 즉, 거리 위상에서의 열린집합은 모든 $x\in U$에 대하여, $B(x,r_x)\subset U$인 $r_x>0$가 존재하는 부분 집합 $U\subset X$이다. 거리 위상은 거리 함수 $d\colon X\times X\to[0,\infty)$를 연속 함수로 만드는 가장 엉성한 위상이자, 함수 집합 $(d(x,-)\colon X\to[0,\infty))_{x\in X}$의 시작 위상이다. 모든 거리 공간은 거리 위상을 통해 표준적으로 위상 공간을 이룬다.[6]4.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