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의 행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의 행성은 인류가 천문학을 통해 인식하고, 신화, 점성술, 연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바빌로니아, 만다교, 그리스, 인도, 동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행성을 인식하고, 각 행성에 고유한 신화적 의미와 상징을 부여했다. 고대인들은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을 포함한 일곱 개의 행성을 숭배했으며, 연금술에서는 각 행성을 금속과 연결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서양 및 인도 점성술에서는 행성이 별자리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운명과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이러한 행성들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화, 종교, 과학 등 다방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문양으로 표현되어 왔다.

2. 역사

칠요(七曜)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오행성(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과 태양(일), (월)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요(曜)'는 본래 햇빛을 의미하며, 이후 해, 달, 별을 '요'로 이해하여 밝은 천체를 가리켰다. 고대 중국 점성술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다.[24] 후한의 종실 유홍이 건상력(乾象暦)과 칠요술을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 천문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항성보다 훨씬 밝게 보이며 천구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행성과 태양, 달을 같은 종류로 생각했고, 세계 각지에서 신들과 동일시되어 특별한 취급을 받았다.


  • 현재의 주(週)는 칠요에서 유래되었다.
  • : 천구상 움직임이 느린(=지구에서 먼) 순서인 토성·목성·화성·태양·금성·수성·달 순으로 생각되었다. 이후 토성을 시작으로 현재 잘 알려진 순서(토성·태양·달·화성·수성·목성·금성)로 하루씩 수호한다고 여겨졌으며, 칠요 중 어떤 천체가 수호하는 날을 그 천체의 요일이라 불렀다.
  • 점성술의 구요(九曜)는 칠요에서 유래되었다.
  • : 일식과 관련된 라후(羅睺), 케투(計都)를 칠요에 더한다.

2. 1. 바빌로니아 천문학

바빌로니아인들은 항성을 일곱 개씩 짝지었다. 다섯 행성이 확인되었을 때, 태양과 달이 포함되었고, 함무라비의 만신들 가운데 주요한 신들과도 연관 지어졌다. 영국 박물관에 있는 한 2개국어 목록은 일곱 행성의 무리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열거한다.:[27]

수메르어아카드어행성
아쿠신/수엔
비세비샤마시태양샤마시
다피누우문-시그-에아목성마르두크/아마루투
지브지그델레-바트금성이슈타르
루림루-바트-사그-우스토성닌우르타/닌브/니리그/니니프[28]
비부루바트-구드수성나부/네보
심투투무스타바루화성네르갈



근대 천문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항성보다 훨씬 밝게 보이며 천구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행성과 태양, 달은 같은 종류로 생각되었고, 세계 각지에서 신들과 동일시되어 특별한 취급을 받았다.

칠요(七曜)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오행성(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과 태양(일)과 달(월)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요(曜)'는 본래 햇빛을 의미하며, 이후 해, 달, 별을 '요'로 이해하여 밝은 천체를 가리켰다. 고대 중국 점성술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다.[24]

2. 2. 만다교

만다교에서 일곱 개의 행성은 일곱 개의 바빌론 행성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7] 이들은 어둠의 세계의 여왕인 루하의 수행원이자 자식들이기 때문에 대체로 부정적으로 여겨지지만, 개별 행성은 긍정적인 속성과 연관되기도 한다. 만다어의 행성 이름은 아카드어에서 차용되었으며,[7] 일부는 수메르어에서 기원했다.

각 행성은 배로 운반된다고 여겨지며, 이 배의 그림은 ''아바투르의 두루마리'' 등 만다교 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9]

행성만다어만다 문자아카드어다른 이름연관
태양Šamišࡔࡀࡌࡉࡔ|ŠamišmyzŠamaš아두나이 (히브리어 아도나이에서 유래)빛과 생명의 힘 야와르 지와(빛나는 빛)와 시마트 하이이(생명의 보물); 야주카인[10]
금성Libatࡋࡉࡁࡀࡕ|LibatmyzDelebat아마미트(저승의 여신), 아르기우아트, 다이티아, 쿠크바트(별의 축약형), 스핀다르, ʿstira(이슈타르 또는 아스타르테), 루하 또는 루하 ḏ-쿠드샤(성령)사랑과 번식
수성Nbu (ʿNbu)ࡍࡁࡅ|ʿNbumyzNabû마쿠르필, 므시하 (메시아에서 유래); ʿaṭarid (아랍어에서 유래)학습, 서기관; 그리스도와 기독교
ࡎࡉࡍ|SinmyzSīnu아그질, Ṭaṭmʿil, Ṣaurʿil, Sira유산 및 기형 출산
토성Kiwanࡊࡉࡅࡀࡍ|KiwanmyzKayyamānu브 샤미시(태양의 아들)유대인; 토요일
목성Bilࡁࡉࡋ|BilmyzBēlu앙길남성; "뜨겁고 습함"
화성Nirigࡍࡉࡓࡉࡂ|NirigmyzNergallu마릭폭력; 이슬람


2. 3. 그리스 천문학과 점성술

그리스 천문학에서 사용된 프톨레마이오스 체계는 지구로부터 가까운 행성부터 먼 행성까지의 순서로 ,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행성을 배치했다.[16] 하루를 7시간 간격으로 분할한 기간들을 각각 하나씩의 행성이 다스렸다고 보았다.

매일의 첫 번째 시간은 그 시간을 다스리는 행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이것이 로마의 요일 이름 순서의 기원이다. 라틴어 기반 문화권은 로마로부터 요일을 직접 물려받아 고대 행성의 이름을 요일 이름에 사용했다. (스페인어: 수요일-''미에르콜레스''(Mercurii), 프랑스어: 화요일-''마르디''(Martis))

영어 요일은 옛 게르만 및 노르드 문화의 신들로부터 유래했다. (목요일-''토르''(Thor, 유피테르), 금요일-''프리게''(Frige, 베누스)). 이는 로마의 영향으로 노르웨이 신들이 로마 행성 및 신들과 연관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일행성그리스 신게르만 신요일
프랑스어 이름로마 신그리스 이름노르드 이름색슨 이름영어 이름
일요일헬리오스SunneSunday
월요일루나셀레네마니MōndaMonday
화요일마르스아레스티르TīwTuesday
수요일수성헤르메스오딘Wōden / WettinWednesday
목요일유피테르제우스토르ThunorThursday
금요일비너스아프로디테프리그FrigeFriday
토요일사투르누스크로노스뇨르드[17]Njord[17]Saturday



중세 비잔티움 사본에는 고대 행성, 별자리, 각, 가상점, 달의 교점 기호가 나타나며, 많은 고대 천궁도도 보존되어 있다.[29] 그리스 천궁도 원본 파피루스에는 태양이 광선 모양(--|]]|x15px|old sun symbol]])으로, 달이 초승달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다.[30] 수성, 금성, 목성, 토성 기호는 후기 그리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31] 목성과 토성 기호는 그리스어 이름 첫 글자 문자도안이고, 수성 기호는 양식화된 카두케우스이다.[31] 몬더는 초기 문헌에서 고대 행성 관련 신을 표현하는 행성 기호의 선례를 발견했다. 2세기 비안키니의 별자리판[32]은 행성 신의 그리스식 인격화를 보여주는 초기 행성 기호를 제시한다. (수성: 카두케우스, 금성: 목걸이, 화성: 창, 목성: 지팡이, 토성: 낫, 태양: 방사형 왕관, 달: 초승달 장식).[33] 12세기 요한네스 카라테로스의 《점성술 개론》 도해는 태양을 광선 있는 원, 목성을 ''제타''(Ζ, 제우스 첫글자), 화성을 창 겹친 방패, 나머지 행성 기호는 현대와 유사하나 십자 모양은 없다. 현대 태양 기호(☉)는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나타났다.[33]

2. 4. 연금술

연금술에서 각 행성은 고대 세계에 알려진 일곱 가지 금속과 연관되어 있으며, 그 결과 금속과 연관된 행성을 뜻하는 연금술의 기호는 일치한다. 예를 들어 과, 수성은 수은과, 금성구리와 연결되는 식이다. 연금술사들은 다른 원소의 금속은 이 일곱 가지의 변형이라고 믿었다.[34]

17세기 연금술 텍스트에서 추출한 기호 키.


다음은 각 행성과 연관된 금속 및 기호이다.

일부 연금술사들은 헤르메스주의 카발라를 통해 행성과 신체 기관을 연결시키기도 했다.[34] 예를 들어 파라셀수스는 태양은 심장, 달은 뇌, 수성은 폐, 금성은 콩팥, 화성은 쓸개, 목성은 간, 토성은 지라와 연결된다고 보았다.[18]

행성기관
태양심장
수성
금성콩팥
화성쓸개
목성
토성지라


2. 5. 인도 점성술

인도 천문학과 점성술(조티사)에서는 태양과 달을 포함한 일곱 개의 가시적 행성과 두 개의 비가시적 행성을 인정한다.

산스크리트어 이름타밀어 이름영어 이름한글 이름구나요일
수리야 (सूर्य)ஞாயிறுSun태양사트바영혼, 왕, 높은 지위의 사람들, 아버지.일요일
찬드라 (चंद्र)திங்கள்Moon사트바마음, 여왕, 어머니.월요일
망갈라 (मंगल)செவ்வாய்Mars화성타마스활발한 행동, 확신과 자아화요일
부다 (बुध)புதன்Mercury수성라자스통신과 분석수요일
브리하스파티 (बृहस्पति)வியாழன்Jupiter목성사트바위대한 스승목요일
슈크라 (शुक्र)வெள்ளிVenus금성라자스기쁨 그리고 생식금요일
샤니 (शनि)சனிSaturn토성타마스어렵게 배움. 직업과 수명토요일
라후 (राहु)கரும்பாம்புAscending/North Lunar Node북/승교점타마스전성기를 누리는 아수라로서 그가 통제하는 사람의 삶의 어떤 영역을 카오스로 몰아넣는다.없음
케투 (केतु)செம்பாம்புDescending/South Lunar Node남/강교점타마스초자연적 효력없음

[24][25][26]

2. 6. 동아시아 천문학과 점성술

칠요(七曜)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오행성(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과 태양(일)과 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요(曜)'는 본래 햇빛을 의미하며, 이후 해, 달, 별을 '요'로 이해하여 밝은 천체를 가리켰다. 고대 중국 점성술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다.[24] 후한의 종실 유홍이 건상력(乾象暦)과 칠요술을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晋)의 범녕은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서(序)」에서 "음양을 펴는 도(度), 칠요를 채워 줄인다."고 하였으며, 양사훈은 소(疏)에서 "사물의 칠요는 해와 달과 오성의 사진(사진)으로 생각하니, 그러므로 요(曜)라고 한다."고 하였다. 단순한 날짜를 세는 수단이지만, 사료처럼 이십팔수(二十八宿)와 결합되어 역서에 기재되었다.[25][26]

근대 천문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항성보다 훨씬 밝게 보이며 천구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행성과 태양과 달은 같은 종류로(다시 말해 태양과 달도 행성에 포함하여) 생각되었고, 또한, 세계 각지에서 신들과 동일시되어 특별한 취급을 받았다.

  • 현재의 주(週)는 칠요에서 유래되었다.
  • : 본래의 순서는 천구상의 움직임이 느린(=지구에서 먼) 순으로 토성부터 시작하여 달로 끝나는 (토성·목성·화성·태양·금성·수성·달) 순서로 생각되었다. 이윽고 토성을 시작으로 현재 잘 알려진 순서(토성·태양·달·화성·수성·목성·금성)로 하루씩을 수호한다고 여겨졌으며, 칠요 중 어떤 천체가 수호하는 날을 그 천체의 요일이라고 불렀다.
  • 점성술의 구요(九曜)는 칠요에서 유래되었다.
  • :일식과 관련된 라후(羅睺), 케투(計都)를 칠요에 더한다.

3. 현대 점성술

현대 점성술은 고대 점성술의 전통을 이어받아 발전한 점성술 체계로, 서양 점성술과 인도 점성술이 대표적이다.

서양 점성술에서는 각 행성이 특정 별자리와 관련되어 있으며, 행성이 특정 별자리에 위치할 때 강점(거주지)과 약점(손상)을 가진다고 본다. 예를 들어, 태양은 사자자리에 있을 때 강점을, 물병자리에 있을 때는 약점을 가진다.[19][20]

인도 점성술(조티사)에서는 나바그라하라고 불리는 9개의 행성을 사용한다. 각 행성은 산스크리트어 이름과 구나(속성)를 가지며, 특정한 의미와 요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태양은 수리야(सूर्य|수리야sa)라고 불리며, 사트바 구나를 가지고 영혼, 왕, 고위직, 아버지, 자아를 나타내며 일요일을 상징한다.[21][22]

3. 1. 서양 점성술

점성술: 세계도는 육안으로 보이는 행성들이 각각 그것들의 거주지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서양 점성술에서 각 행성은 특정 별자리와 관련되어 있으며, 강점(거주지, 고양)과 약점(손상, 쇠퇴)을 가진다.[19][20] 이러한 관계는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행성과 별자리의 관계
행성거주지 별자리손상 별자리고양 별자리쇠퇴 별자리
태양사자자리물병자리양자리천칭자리
게자리염소자리황소자리전갈자리
수성쌍둥이자리(주간), 처녀자리(야간)사수자리(주간), 물고기자리(야간)처녀자리물고기자리
금성천칭자리(주간), 황소자리(야간)양자리(주간), 전갈자리(야간)물고기자리처녀자리
화성양자리(주간), 전갈자리(야간)천칭자리(주간), 황소자리(야간)염소자리게자리
목성사수자리(주간), 물고기자리(야간)쌍둥이자리(주간), 처녀자리(야간)게자리염소자리
토성물병자리(주간), 염소자리(야간)사자자리(주간), 게자리(야간)천칭자리양자리


3. 2. 인도 점성술

인도 점성술(조티사)에서는 나바그라하라고 불리는 9개의 행성이 사용된다. 나바그라하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이름과 구나(속성)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특정한 의미와 요일을 나타낸다.

산스크리트어 이름영어 이름낙샤트라구나나타내는 것요일
수리야 (सूर्य|수리야sa)태양크리티카, 우타라 팔구니 및 우타라 아사다사트바영혼, 왕, 고위직, 아버지, 자아일요일
찬드라 (चंद्र|찬드라sa)로히니, 하스타 및 슈라바나사트바감성적인 마음, 여왕, 어머니월요일
망갈라 (मंगल|망갈라sa)화성므리가시라, 치트라 및 다니스타타마스에너지, 행동, 자신감화요일
부다 (बुध|부다sa)수성아슐레샤, 제스타 및 레바티라자스소통 및 분석, 마음수요일
브리하스파티 (बृहस्पति|브리하스파티sa)목성푸나르바수, 비샤카 및 푸르바 바드라파다사트바위대한 스승, 부, 확장, 자손목요일
슈크라 (शुक्र|슈크라sa)금성바라니, 푸르바 팔구니 및 푸르바 아사다라자스여성적인, 쾌락 및 생식, 사치, 사랑, 배우자금요일
샤니 (शनि|샤니sa)토성푸샤, 아누라다 및 우타라 바드라파다타마스어려운 방식으로 배우기. 직업과 장수, 수축토요일
라후 (राहु|라후sa)승/북쪽 달의 교점아드라, 스와티 및 샤타비샤타마스자신이 통제하는 삶의 모든 영역을 혼돈으로 빠뜨리려고 최선을 다하는 아수라, 잠재 의식 수준에서 작용없음
케투 (केतु|케투sa)강하/남쪽 달의 교점아슈위니, 마가 및 물라타마스초자연적인 영향, 잠재 의식 수준에서 작용없음

[21][22]

4. 육안 행성

수성금성은 궤도가 지구보다 안쪽에 있기 때문에 황혼 시간에만 보인다. 금성은 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천체이자 가장 눈에 띄는 행성이다. 수성은 태양과의 근접성 때문에 관찰하기가 더 어렵다. 긴 황혼과 최대 이각에서 극도로 낮은 각도로 인해 극지방에서는 수성을 관찰하려면 광학 필터가 필요하다.[23] 화성은 약 25개월마다 발생하는 충일 때 가장 밝게 빛난다. 목성토성은 다섯 행성 중 가장 크지만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어 햇빛을 덜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성은 종종 금성 다음으로 하늘에서 밝은 천체이다. 토성의 밝기는 황도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빛을 다양한 정도로 반사하는 고리에 의해 종종 향상된다. 그러나 고리 자체는 지구에서 육안으로 볼 수 없다.

5. 문양

일본에서는 칠요가 구키 씨, 다누마 씨 등에 의해 가문의 문장("별 문장"의 일종)으로 사용되었다.[1]

참조

[1] 논문 What's New in Ptolemy's ''Almagest'' 2007
[2] 서적 A Survey of the Almages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3]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Planets http://csep10.phys.u[...]
[4] 문서 πλάνης, πλανήτης
[5] 간행물 The Planets in Alchemy and Astrology (Medieval and Renaissance) https://oxfordre.com[...] 2024-02-11
[6] 서적 Myths of Babylonia and Assyria http://sacred-texts.[...] 1915
[7] 서적 Hellenistic Astronomy Brill 2021-09-03
[8] 서적 The Mandaean gnostic religion: worship practice and deep thought Sterling
[9] 서적 The Mandaeans: Gnostic astrology as an artifact of cultural transmission Fluke Press
[10] 논문 Manichaeans (''Marmanaiia''), Zoroastrians (''Iazuqaiia''), Jews, Christians and Other Heretics: A Study in the Redaction of Mandaic Texts https://poj.peeters-[...] 2004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1975
[12] 서적 Greek Horoscopes 1987
[13] 서적 Astronomical papyri from Oxyrhynchus 1999
[14] 웹사이트 Bianchini's planisphere http://brunelleschi.[...] Istituto e Museo di Storia della Scienza (Institute and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2010-03-17
[15] 논문 The origin of the symbols of the planets 1934
[16] 논문 The Arabic version of Ptolemy's planetary hypothesis 1967
[17] 문서 Vigfússon (1874:456).
[18] 서적 The Devil's Doctor: Paracelsus and the World of Renaissance Magic and Science
[19] 웹사이트 Astrology by Hand https://www.astro.co[...] 2021-10-03
[20] 서적 Astrology: Understanding the Birth Chart: A Comprehensive Guide to Classical Interpretation Llewellyn Worldwide 2001
[21]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22] 웹사이트 Strengthening Planetary Forces https://nepalirudrak[...]
[23] 웹사이트 Sky Publishing – Latitude Is Everything http://www2.wwnorton[...] 2007-07-14
[24] 문서 『尚書・舜典』「璇璣玉衡、以斉七政。」孔穎達「七政、其政有七、于璣衡察之、必在天者、知七政謂日月与五星也。木曰歳星、火曰熒惑星、土曰鎮星、金曰太白星、水曰辰星。」『周易・系辞』「天垂象、現吉凶、聖人象之。此日月五星、有吉凶之象、因其変動為占、七者各自異政、故為七政。得失由政、故称政也。」
[25] 서적 暦入門―暦のすべて (生活文化史選書) 雄山閣
[26] 서적 暦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27] 문서 Mackenzie, Myths of Babylonia and Assyria (1915), chapter 13 "Astrology and Astronomy"
[28] 문서 also called (Sumerian) Kâawanu and (Akkadian) Sag-uš "firm, steadfast, phlegmatic";
[2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30] 서적 Greek Horoscopes
[31] 서적 Astronomical papyri from Oxyrhynchus https://archive.org/[...]
[32] 웹인용 Bianchini's planisphere http://brunelleschi.[...] Istituto e Museo di Storia della Scienza (Institute and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2013-03-19
[33] 저널 The origin of the symbols of the planets 1934
[34] 서적 The Devil's Doctor: Paracelsus and the World of Renaissance Magic and Science
[35] 웹사이트 Element Days http://home.unilang.[...]
[36] 웹사이트 Days of the Week in Chinese, Japanese & Vietnamese http://www.cjvlang.c[...] 2012-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