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제우스와 마이아의 아들이다. 그는 전령, 상업, 도둑, 여행, 운동, 목축 등을 관장하며, 지하 세계로 영혼을 인도하는 역할도 한다. 헤르메스는 다양한 상징물과 별칭을 가지며, 로마 신화의 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된다. 헤르메스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숭배되었으며, 아르카디아가 숭배의 중심지였다. 헤르메스는 문학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융 심리학에서는 무의식의 신이자 내면 여행의 안내자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의 신 - 히프노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잠의 신 히프노스는 밤의 여신 닉스의 아들이자 죽음의 신 타나토스와 쌍둥이 형제이며, 지하 세계에 살면서 인간에게 휴식을 주는 역할을 하고, 최면술을 뜻하는 영어 단어 'Hypnosis'의 어원이기도 하다.
  • 무술의 신 - 메르쿠리우스
    메르쿠리우스는 로마 신화에서 상업, 웅변, 메시지, 여행, 도둑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와 동일시되며 날개 달린 신발과 모자, 카두케우스를 들고 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로마 문화에서 상업과 관련된 숭배가 활발했던 중요한 신이다.
  • 무술의 신 - 관성제군
    관성제군은 관우가 신격화된 도교의 신으로 명계의 유력한 신이자 재물을 가져다주는 무재신으로 숭배받으며, 당나라 시대부터 숭배가 시작되어 명,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국가와 왕실의 숭배를 받아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고, 특히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의 도움을 계기로 역대 중국 왕조로부터 신호 추증을 받으며 위상이 높아졌다.
  • 전령의 남신 - 아그니
    아그니는 힌두교에서 불의 신으로, 천상의 빛과 지상의 불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하며, 힌두교 의례와 불교, 자이나교, 고대 인도 의학에서도 중요한 존재로 나타난다.
  • 전령의 남신 - 메르쿠리우스
    메르쿠리우스는 로마 신화에서 상업, 웅변, 메시지, 여행, 도둑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와 동일시되며 날개 달린 신발과 모자, 카두케우스를 들고 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로마 문화에서 상업과 관련된 숭배가 활발했던 중요한 신이다.
헤르메스
기본 정보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원본을 바탕으로 기원전 2세기에 로마에서 복제된
"헤르메스 인게누이"(바티칸 미술관)
역할경계, 도로, 여행자, 상인, 도둑, 운동선수, 양치기, 상업, 속도, 교활함, 언어, 웅변, 재치, 메시지의 신
소속올림포스 12신
행성수성
거주지올림포스 산
상징탈라리아, 카두케우스, 거북이, 리라, 수탉, 페타소스(날개 달린 투구)
로마Equivalent머큐리
이집트Equivalent토트
요일수요일 (hēméra Hermoû)
가계
부모제우스, 마이아
형제자매여러 이복 형제자매
자녀에반데르

헤르마프로디토스
압데로스
아우톨리코스
에우도로스
안젤리아
뮈르틸로스
팔라이스트라
아이탈리데스
아라비오스
아스타코스
보우노스
케팔로스
키돈
파리스
폴리보스
프릴리스
사온
다른 언어 표기
그리스어Ἑρμῆς
로마자 표기Hermēs
에트루리아어투름스

2. 숭배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 심판의 무덤(Tomb of Judgement)에서 발견된 헤르메스 프레스코화


그리스 전역에 헤르메스의 제단이 있었지만, 숭배 중심지는 아르카디아 페네오스(Pheneos)였으며, 그곳에서 헤르미아(Hermaea) 축제가 열렸다. 헤르메스는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로 "헤르메스 프시코폼포스"라고도 불렸는데, 죽은 영혼을 하데스로 인도하는 저승사자(영혼의 안내자) 역할을 했다. 호메로스의 《데메테르 찬가》에서 페르세포네데메테르에게 무사히 돌려보내는 역할을 맡았다. 또한 인간에게 잠자는 동안 꿈을 가져다주는 역할도 했다.

을 발명한 헤르메스는 거인족 프로메테우스와 비견된다. 시링크스리라 같은 악기 외에도 여러 형태의 경주 경기와 권투 경기를 창안했다고 알려졌다. 6세기부터는 수염이 텁수룩한 모습에서 벗어나 젊고 운동선수 모습으로 묘사되기 시작했다. 이 새로운 이미지의 헤르메스 상은 그리스 곳곳의 경기장과 체육관에 세워졌다.

고대 그리스 시대 헤르메스 헌정 사원은 아르카디아에 세 곳뿐이었다. 고대 문헌에는 헤르메스 사원이 "수없이 많다"고 언급되지만,[35][57] 이는 헤름이나 다른 신들의 사원에 있는 헤르메스 신전을 묘사하는 시적 표현일 수 있다.[29] 헤르메스 숭배의 가장 오래된 장소 중 하나는 킬리니 산으로, 일부 신화에서는 그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해진다. 전승에 따르면 리카온이 그의 첫 신전을 지었다. 이후 헤르메스 숭배는 아테네로 옮겨져 그리스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5] 로마 시대에는 제국 전역에 헤르메스(머큐리) 숭배가 확산되어 신전이 추가 건설되었으며, 오늘날 튀니지에도 몇 곳이 남아 있다. 로마의 머큐리 신전은 아벤티노 언덕팔라티노 언덕 사이 키르쿠스 막시무스에 위치했으며 기원전 495년에 지어졌다.[58]

대부분의 장소에서 신전은 아프로디테와 함께 헤르메스에게 헌납되었다(아테네, 아르카디아, 크레타, 사모스, 마그나 그라이키아). 신전에서 발견된 봉헌물은 헤르메스가 젊은 성인, 특히 군인과 사냥꾼의 입문자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전쟁과 특정 사냥이 의식적 입문 시련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헤르메스가 십대로 묘사되는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다.

체육관싸움의 수호신 헤르메스는 체육관에 조각상을 가지고 있었고, 올림픽을 기념했던 올림피아의 열두 신 성역에서도 숭배받았다. 그의 조각상은 아폴론과 함께 헌정된 제단에 보관되었다.[59] 아벤티노 언덕 내 신전은 기원전 495년에 헌납되었다.[60][61]

파우사니아스는 메갈로폴리스에서 헤르메스 아카케시우스 신전 폐허를 볼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62] 페네우스 트리크레나(Τρίκρηνα, 세 개의 샘) 산은 헤르메스에게 신성한 곳이었는데, 세 개의 샘이 있었고 헤르메스가 태어난 후 산의 님프들에게 씻겨졌다고 한다.[63] 파라이에는 헤르메스에게 신성한 물이 있었는데, 그 샘 이름은 헤르메스의 시내였으며, 물고기는 신성해 잡히지 않았다.[64]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제물은 꿀, 케이크, 돼지, 염소, 양이었다. 타나그라 시에서는 헤르메스가 야생 딸기 나무 아래에서 양육되었으며, 그 잔해가 헤르메스 프로마쿠스 신전에 보관되어 있다고 믿었다.[65] 페네 언덕에는 그가 태어났을 때 목욕을 했다고 믿어 신성한 세 개의 수로가 있었다.

헤르메스 축제는 헤르마이아였으며, 제물, 육상 경기, 체조로 기념되었다. 기원전 6세기에 제정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원전 4세기 이전 기록은 없다. 플라톤소크라테스가 헤르마이아에 참석했다고 말했다. 그리스 경기 관련 축제 중 유일하게 젊은 소년만 참여가 제한되고 성인은 배제되어 입문과 가장 유사했다.[66]

2. 1. 헤르마

케언(cairn)


초창기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경계를 지키는 남근 신이었다. 원래 헤르마(Herma)는 길가에 있는 표지석 무더기인 케른(cairn)을 뜻했다. 여행자들은 지나가며 그 무더기에 돌을 올려놓았다. 6세기경 피시스트라투스(Pisistratus)의 아들 히파르코스(Hipparchos)는 아테네 아고라에 있던, 각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을 표시하는 케언들을 없애고 청동 혹은 돌로 된 사각 기둥("헤르마")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수염을 기른 헤르메스 두상이 올려져 있었고 기둥 하부에는 돌출한 남근이 있었다. 이보다 더 오래된,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가 태어난 곳이라고 하는 킬레네 산(Mount Kyllini)의 헤르마("킬레네 헤르마")는 남근 형상으로 깎은 단순한 돌이나 나무 기둥이었다. 헤르마는 도로나 경계를 구분하는 용도로 쓰였으며, 아테네에서는 헤르마를 길운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보고 집 밖에 세우기도 했다. 그리스 종교 학자 발터 부케르트는 “이런 종류의 기념비가 올림피아의 신으로 변형될 수 있었다니 경이롭다”라고 평가했다.

기원전 415년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시라쿠사로 출정 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 아테네의 헤르마 전부가 파괴된 사건이 있었다.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사나 아테네 내부 반전 세력의 소행으로 추측했다.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알키비아데스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았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책임으로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에 대한 죗값을 목숨으로 대신했다.[225]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따르면, 기원전 415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르던 아테나이의 헤르마가 하룻밤 사이에 모두 파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알키비아데스 일파가 일으킨 것으로 의심받았고, 알키비아데스가 라케다이몬 측으로 전향하는 원인이 되었다. 알키비아데스가 라케다이몬 측에 한 진언이 계기가 되어 아테나이는 통렬한 타격을 입었고, 결국 패배하게 되었다.

헤르마(헤르메스 기둥상)는 아티카나 에게 해의 몇몇 섬에서 볼 수 있었던, 수염이 있는 흉상과 일어선 양근을 가진 각주이다. 길가나 밭의 경계 등에 세워졌으며, 경계를 나타내는 돌인 동시에, 농민이나 목동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신령의 상이었다고 추측되며[228], 헤르메스의 원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헤르마는 길의 가장자리나 모퉁이에 쌓인 누석(헤르마이온)의 명칭이기도 하며, 헤르메스 기둥상은 이것의 발전된 것으로 여겨지며, 헤르메스의 이름이나 신앙의 기원을 이것에 구하는 견해도 있다.[230][231]。 헤르마는 일본의 도소진처럼 길가나 네거리에 세워져, 여행자에게는 가로를 나타내는 이정표였기 때문에, 헤르메스는 여행자의 보호자, 산 자와 죽은 자의 안내자 및 전령, 더 나아가 상업과 교통을 관장하는 신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2. 2. 상징물

그림에서 헤르메스는 챙이 넓은 여행자 모자 또는 날개 달린 모자(페타소스)를 쓰고, 날개 달린 샌들(탈라리아)을 신고, 동방의 사자(使者) 지팡이를 짚고 있었다. 지팡이의 막대 부분은 교미 중인 뱀으로 꼬여 있었는데 그리스어로는 이 지팡이를 케뤼케이온(kerykeion), 라틴어로는 카두케오스(caduceus)라고 불렀다. 복장은 여행자, 일꾼, 양치기 등이었다. 지갑, 수탉, 거북이는 헤르메스의 대표적 상징물이었다.[35][22]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보통 여행자, 전령, 양치기로 분장한 성숙하고 수염을 기른 남자로 묘사되었다.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에는 보통 수염이 없는 젊고 운동적인 남자로 묘사되었다. 피디아스는 유명한 헤르메스 로기오스(연설가)의 조각상을 남겼고, 프락시텔레스는 아기 디오니소스를 품에 안은 또 다른 유명한 조각상을 남겼다.

헤르메스의 날개 달린 샌들은 게티 빌라에서 나폴리의 파피리 별장에서 발굴된 로마 청동의 복사본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헬레니즘 시대, 로마 시대, 그리고 서양 역사 전체를 통틀어 현재까지 그의 특징적인 몇 가지 물건들이 신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물건 중에는 챙이 넓은 모자, 즉 페타소스가 있는데, 고대 시골 사람들이 태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널리 사용했으며, 후대에는 작은 날개 한 쌍으로 장식되었다. 때로는 이 모자가 없고 머리에서 솟아오르는 날개로 대체되기도 했다.

페타소스와 여행자의 망토를 입고 카두케우스와 지갑을 들고 있는 헤르메스 조각상; 그리스 원본의 로마 복사본(바티칸 박물관)


또 다른 물건은 두 마리의 뱀이 얽혀 있는 지팡이인 카두케우스로, 때로는 날개 한 쌍과 구체로 장식되었다.[23] 카두케우스는 역사적으로 헤르메스와 함께 등장했으며, 기원전 35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 문서화되었다. 지팡이 주위에 감긴 두 마리의 뱀은 헤르메스처럼 인간과 신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던 신 닌기쉬지다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리스에서는 다른 신들도 카두케우스를 들고 묘사되었지만, 주로 헤르메스와 관련이 있었다. 사람들을 잠들게 하거나 깨어나게 하는 힘이 있고, 소송인들 사이의 평화를 만들며, 그의 권위의 가시적인 징표로서 지팡이로 사용되었다.

유사하지만 다른 상징으로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가 있는데, 이는 의학의 수호신이자 아폴론의 아들인 아스클레피오스와 관련이 있으며, 뱀 한 마리만 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현대에 카두케우스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의 서양 의사들이 직업의 배지로 사용한다. 르네상스 이후, 카두케우스는 여러 개의 문장에서도 나타났으며, 현재 상업의 상징이다.

헤르메스의 샌들은 그리스인들은 ''페딜라''라고 불렀고, 로마인들은 ''탈라리아''라고 불렀는데, 야자수와 미르틀 가지로 만들어졌지만 아름답고, 황금색이며, 불멸의 존재로 묘사되었고, 바람의 속도로 길을 갈 수 있는 숭고한 예술이었다. 원래는 날개가 없었지만, 예술적 표현이 늦어지면서 묘사되었다. 어떤 이미지에서는 날개가 발목에서 직접 솟아오른다. 헤르메스는 또한 손에 지갑이나 가방을 들고, 보이지 않게 하는 힘이 있는 로브나 망토를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무기는 하르페였는데, 아르고스를 죽였으며,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와 케토스를 죽이기 위해 빌려주기도 했다.

페타소스를 쓴 헤르메스. 캅사, 마케도니아의 주화, 기원전 400년경.


고전기 이후의 헤르메스는, 넓은 챙의 둥근 여행 모자 페타소스를 머리에 쓰고, 신들의 전령의 증표인 지팡이 케리케이온을 손에 들고,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 달린 황금 샌들(탈라리아)을 발에 신은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무기인 낫 할페(쇼텔이라고도 함)을 가진다.[225][227]

3. 명칭과 기원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는 디오니소스와 더불어 올림포스 판테온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다. 제우스마이아의 아들인 헤르메스는 펠로폰네소스에 있는 킬레네 산의 동굴에서 태어났다. 그래서 그의 칭호는 "헤르메스 킬레네이우스(Hermes Cylleneius)"이다.

메르쿠리우스: 헨드리크 골치우스(Hendrick Goltzius), 1611년 (네덜란드 할렘의 프란스 할스 박물관)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된다. 메르쿠리우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투름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상업과 부를 상징하는 데이 루크라이를 흡수하기도 하였다. 로마 제국의 혼합주의적 종교 풍토에 따라, 이집트의 아누비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탄생하기도 하였고,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은 후에 연금술사들이 사용했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의 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혼합주의적(혼혈적) 신으로 다루었다.

헤르메스 혹은 메르쿠리우스는 스칸디나비아(북유럽, 혹은 독일)에서는 보탄(Wotan)/보딘(Woden)/오딘(Odin)으로 불렀고, 따라서 라틴어 "디에이스 메르쿠리우스"(dies Mercurius)는 앵글로색슨어 "보드네스 댁(Wodnes dæg)"('보딘의 날'이라는 뜻)에서 나온 영어 "웬즈데이(Wednesday: 수요일)"에 해당하며, 덴마크어로는 "온스닥"(Onsdag)이다.

오늘날 그리스 우체국의 상징은 헤르메스이다.

"헤르메스"라는 이름의 가장 초기의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 *''hermāhās''[8]로, ''e-ma-a2'' (''e-ma-ha'')로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9] 대부분의 학자들은 "헤르메스"가 "돌무더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ἕρμα(''헤르마'')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70] ἕρμα 자체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인도유럽조어 단어는 아닐 것이다.[8] R. S. P. 비크스는 ''헤르마''와의 연관성을 거부하고 그리스 이전 언어 기원을 제안한다.[8]

헤르메스는 그리스 이전의 신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의 숭배의 정확한 기원과 원래의 본질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강신술적 속성을 가진 신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점술, 화해, 마법, 제물 및 입문 및 다른 존재계와의 접촉, 즉 가시적인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사이의 중재자 역할과 관련이 있다.[17]

4. 기능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는 디오니소스와 함께 올림포스 12신 중 가장 젊은 신이다. 제우스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펠로폰네소스반도의 킬레네 산 동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헤르메스 킬레네이우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제우스의 충실한 부하로서 많은 밀명을 수행했으며, 아르고스를 살해하여 "아르게이폰테스"라는 별명을 얻었다.[226]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되며, 상업과 부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집트 신화의 아누비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되기도 하고, 토트와 결합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불리기도 한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오딘으로 불렸으며, 영어 단어 "Wednesday(수요일)"는 "보딘의 날"을 의미하는 앵글로색슨어에서 유래했다.

고전기 이후 헤르메스는 넓은 챙의 둥근 여행 모자 "페타소스"를 머리에 쓰고, 신들의 전령의 증표인 지팡이 "케리케이온"을 손에 들고,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 달린 황금 샌들(탈라리아)을 발에 신은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무기인 낫 "할페(쇼텔이라고도 함)"을 가진다.[225][227]

Psychopomp영어(혼의 인도자)로서 헤르메스는 죽은 자의 혼을 저승으로 인도하거나 지상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했다.[227] 타키투스는 게르만인의 주신 워단(오딘)과 로마의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를 동일시했다. 헤르메스는 아폴론수금 발명자로도 여겨진다.[225]

헤르메스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별칭으로 불렸다.


  • 호디오스: 여행자와 나그네의 수호신.[68]
  • 오네이로폼푸스: 꿈의 인도자.[68]
  • 포이만드레스: 인간의 목자.[80]
  • 프쉬코폼포스: 영혼의 운반자 또는 인도자,[78][81] 지하 세계에서 영혼의 인도자 또는 지도자인 ''프쉬코고게''[82]
  • 소코스 에리우니오스: "빠르고, 잘 달리는."[83] 또는 "매우 유익한" 것으로 해석.[84]
  • 크리소라피스: "황금 지팡이를 가진 자"
  • 크토니우스: 아테니아 축제에서 이 신에게만 제물이 바쳐졌다.[116][117]
  • 킬레니우스: 킬리니 산에서 태어남
  • 에피멜리오스: 양떼의 수호신[68]
  • 플루토도테스: 부를 주는 자 (불의 발명가로서)[119]
  • 프로필라이오스: "문 앞", "문의 수호신";[120] ''필라이오스'', "문지기"[121]
  • 스트로파이오스: "문 기둥에 서 있는 자"[95][122]
  • 스트로페우스: "문의 경첩" 또는 "문의 수호신"[85][123][124][125][126]
  • 아가라이오스: 체육관의 수호신[127]
  • 아카케토스: "간계 없는", "자비로운"
  • 도토르 에온: "좋은 것을 주는 자"


헤르메스는 가축, 양떼, 목자들의 수호신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을 발명하여 프로메테우스와 대비되기도 한다. 또한 시링크스리라 같은 악기와 경주, 권투 경기를 창안했다고 전해진다.

4. 1. 지하 세계 및 다산의 신

기원전 5세기 초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의 두상: 수염이 있는 헤르메스를 표현하고 있다


기원전 520년경의 그리스 고전기의 헤르마: 헤르메스를 나타낸 것으로 여겨지며 남근이 남아 있는 희귀한 사례이다


카론이 뱃사공 막대기를 들고 배에 서서 죽은 여인을 인도하는 심령 인도자 헤르메스를 맞이하는 모습. 타나토스 화가, 기원전 430년경


헤르메스는 숭배의 가장 초창기 기록부터 지하 신(땅 또는 지하 세계와 밀접하게 연관됨)으로 이해되어 왔다.[29] 지하 신으로서 헤르메스 숭배는 다산과 관련된 측면을 포함했으며, 남근은 그의 주요 상징 중 하나였다. 헤르메스와 관련된 남근 이미지의 포함과, ''헤르마''의 형태로 가구 입구에 배치된 것은 고대 시대에 헤르메스가 가정의 다산, 특히 아이를 낳는 가정 남성의 능력을 상징한다는 믿음을 반영했을 수 있다.[29]

헤르메스는 경계의 신(삶과 죽음의 경계)으로서 망자의 영혼을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심령 인도자로 여겨졌으며, 그의 이미지는 고전 그리스 시대의 묘비에 흔히 묘사되었다.[29] "헤르메스 프시코폼포스"는 저승사자(영혼의 안내자)로써 죽은 영혼을 하데스에게 데리고 갔다. 호메로스의 《데메테르 찬가》에서 헤르메스는 페르세포네를 무사히 데메테르에게 돌려보낸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헤르메스는 인간들에게 잠자는 동안 꿈을 가져다 주는 역할을 했다.

4. 2. 경계의 신

초기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경계를 지키는 남근 신이었다. 원래 헤르마(Herma)는 길가에 있는 표지석 무더기인 케른(cairn)을 뜻했다. 여행자들은 지나가며 그 무더기에 돌을 올려놓았다. 기원전 6세기에 히파르코스는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던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을 표시하는 케언들을 없애고 청동 혹은 돌로 된 사각 기둥("헤르마")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수염을 기른 헤르메스 두상이 있었고, 기둥 하부에는 돌출한 남근이 있었다. 더 오래된 킬레네 산(Mount Kyllini)의 헤르마("킬레네 헤르마")는 남근 형상으로 깎은 돌이나 나무 기둥이었다. 헤르마는 도로나 경계를 구분하는 용도로 쓰였으며, 아테네에서는 헤르마를 길운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보고 집 밖에 세우기도 했다.

기원전 415년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시라쿠사로 출정 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 아테네의 헤르마 전부가 파괴된 사건이 있었다.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사나 아테네 내부 반전 세력의 소행으로 추측했다.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알키비아데스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았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책임으로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에 대한 죗값을 목숨으로 대신했다.[26]

고대 그리스에는 헤르마 또는 복수형인 헤르마이로 불리는 헤르메스 신의 석주상이 있었으며, 길가 등에 세워져 있었다.[225]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따르면, 기원전 415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르던 아테나이의 헤르마가 하룻밤 사이에 모두 파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알키비아데스 일파가 일으킨 것으로 의심받았고, 알키비아데스가 라케다이몬 측으로 전향하는 원인이 되었다.

헤르마(헤르메스 기둥상)는 아티카나 에게 해의 몇몇 섬에서 볼 수 있었던, 수염이 있는 흉상과 일어선 양근을 가진 각주이다. 길가나 밭의 경계 등에 세워졌으며, 경계를 나타내는 돌인 동시에 농민이나 목동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신령의 상이었다고 추측되며,[228] 헤르메스의 원시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4. 3. 전령의 신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디오니소스와 함께 올림포스 12신 중 가장 젊은 신이다. 제우스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펠로폰네소스반도의 킬레네 산 동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헤르메스 킬레네이우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되며, 상업과 부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집트 신화의 아누비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되기도 하고, 토트와 결합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불리기도 한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오딘으로 불렸으며, 영어 단어 "Wednesday(수요일)"는 "보딘의 날"을 의미하는 앵글로색슨어에서 유래했다.

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아르카디아의 페네오스였으며, 헤르미아라는 축제가 열렸다. 헤르메스는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 즉 "헤르메스 프시코폼포스"로서 죽은 영혼을 하데스에게 인도하고, 데메테르에게 페르세포네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했다. 또한 인간에게 꿈을 가져다주는 역할도 했다.

을 발명한 헤르메스는 프로메테우스와 대비되며, 시링크스리라 같은 악기와 경주, 권투 경기를 창안했다고 전해진다. 6세기 이후 헤르메스는 젊은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경기장과 체육관에 그의 상이 세워졌다.

헤르메스는 챙이 넓은 모자(페타소스)나 날개 달린 모자, 날개 달린 샌들(탈라리아)을 신고, 뱀이 꼬인 지팡이(케뤼케이온)를 짚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의 복장은 여행자, 일꾼, 양치기 등 다양하며, 지갑, 수탉, 거북이가 그의 상징물이다.

헤르메스가 지켜보는 가운데 힙노스와 타나토스(잠과 죽음)가 사르페돈의 시신을 운반하고 있다. 소위 "에우프로니오스 크라테르"의 A면, 에욱시테오스(도공)와 에우프로니오스(화가)가 서명한 아테네 적색 그림 칼릭스 크라테르, 기원전 515년경.


사이코폼프(영혼 인도자)이자 경계를 넘나드는 신으로서, 헤르메스는 주로 신들의 메신저로 숭배받았다.[74] 그는 신의 영역, 저승, 인간 세계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었다.[27]

헤르메스의 주요 역할은 메신저였다.[74] 그는 ''오디세이''에서 제우스를 위해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32] 신들의 메신저이자 전령인 그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페타소스와 탈라리아를 착용했다.[27]

헤르메스는 다양한 별칭으로 불렸다.

  • '''호디오스''': 여행자와 나그네의 수호신.[68]
  • '''오네이로폼푸스''': 꿈의 인도자.[68]
  • '''포이만드레스''': 인간의 목자.[80]
  • '''프쉬코폼포스''': 영혼의 운반자 또는 인도자,[78][81] 지하 세계에서 영혼의 인도자 또는 지도자인 ''프쉬코고게''[82]
  • '''소코스 에리우니오스''': "빠르고, 잘 달리는."[83] 또는 "매우 유익한" 것으로 해석.[84]
  • '''크리소라피스''': "황금 지팡이를 가진 자"
  • '''크토니우스''': 아테니아 축제에서 이 신에게만 제물이 바쳐졌다.[116][117]
  • '''킬레니우스''': 킬리니 산에서 태어남
  • '''에피멜리오스''': 양떼의 수호신[68]
  • '''플루토도테스''': 부를 주는 자 (불의 발명가로서)[119]
  • '''프로필라이오스''': "문 앞", "문의 수호신";[120] ''필라이오스'', "문지기"[121]
  • '''스트로파이오스''': "문 기둥에 서 있는 자"[95][122]
  • '''스트로페우스''': "문의 경첩" 또는 "문의 수호신"[85][123][124][125][126]
  • '''아가라이오스''': 체육관의 수호신[127]
  • '''아카케토스''': "간계 없는", "자비로운"
  • '''도토르 에온''': "좋은 것을 주는 자"


헤르메스는 제우스마이아의 아들로, 제우스가 헤라에게 들키지 않도록 밤에 몰래 마이아를 만나 낳은 신이다. 제우스의 충실한 부하로서 많은 밀명을 수행했으며,[225] 아르고스를 살해하여 "아르게이폰테스"라는 별명을 얻었다.[226] 고전기 이후 헤르메스는 페타소스, 케리케이온, 탈라리아, 할페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225][227]

Psychopomp영어(혼의 인도자)로서 헤르메스는 죽은 자의 혼을 저승으로 인도하거나 지상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했다.[227] 타키투스는 게르만인의 주신 워단(오딘)과 로마의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를 동일시했다. 헤르메스는 아폴론수금 발명자로도 여겨진다.[225]

4. 4. 목축의 신

크리오포로스 헤르메스(양을 들고 있는 모습).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원본을 복제한 후기 로마 시대 조각. 바라코 미술관, 로마


헤르메스는 가축, 양떼, 목자들의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의 측면에서 그의 초기 기원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보이오티아에서 헤르메스는 도시 벽을 따라 양이나 송아지를 들고 다니며 역병으로부터 도시를 구원한 것으로 숭배받았다. 매년 열리는 축제에서는 이 사건을 기념하여 "가장 잘생긴 소년"이 양을 도시 주위를 들고 다니며 희생하여 질병, 가뭄, 기근으로부터 도시를 정화하고 보호했다. 어깨에 양을 메고 있는 목자 신으로서의 헤르메스(''헤르메스 크리오포로스'')의 수많은 묘사가 지중해 세계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선한 목자"로서의 헤르메스의 도상은 초기 기독교, 특히 요한복음에서 그리스도를 "선한 목자"로 묘사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29][28]

고대 그리스 문화에서 ''크리오포로스'' (κριοφόροςel) 또는 ''크리오포루스''는 "숫양을 든 자"[73]라는 뜻으로, 숫양을 엄숙하게 희생하는 것을 기념하는 인물이다. 이는 헤르메스의 별칭이 되기도 한다.

히기누스의 《파불라》에 따르면, 자연, 목자, 가축의 그리스 신인 은 님프 드리오페를 통해 헤르메스의 아들이다.[151] 헤르메스 숭배 자체가 실제로 경계의 신으로서의 판의 측면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히기누스에서 그들의 부자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4. 5. 상업의 신

헤르메스는 예술 작품에서 종종 지갑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87] 그는 아고라의 아고라에우스(아리스토파네스)[86], '시장에 속하는 자' 및 '교통 및 상업에 종사하는 자'를 뜻하는 엠폴라이오스[95] 등의 특징을 지녔다.

5.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는 디오니소스와 더불어 올림포스 판테온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다. 인간 세상의 물건들이 들어 있는 두툼한 지갑을 휴대한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되며 상업과 부를 대표한다. 로마 제국의 혼합주의적 종교 풍토에 따라, 이집트의 아누비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탄생했으며,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은 후에 연금술사들이 사용했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의 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혼합주의적(혼혈적) 신으로 다루었다.

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는 스칸디나비아(북유럽, 혹은 독일)에서는 보탄(Wotan)/보딘(Woden)/오딘(Odin)으로 불렀다. 따라서 라틴어 "디에이스 메르쿠리우스"(dies Mercurius)는 앵글로색슨어 "보드네스 댁(Wodnes dæg)"('보딘의 날'이라는 뜻)에서 나온 영어 "웬즈데이(Wednesday: 수요일)"에 해당하며, 덴마크어로는 "온스닥"(Onsdag)이다.

오늘날 그리스 우체국의 상징은 헤르메스이다.

5. 1. 탄생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는 디오니소스와 더불어 올림포스 판테온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다. 제우스와 시원(始原)의 요정 마이아의 아들인 헤르메스는 아카이아(Achaia)와 아르카디아(Arcadia) 가운데 있는 펠로폰네소스에 소재한 킬레네(Cyllene) 산의 동굴에서 태어났다. 헤르메스의 칭호가 "헤르메스 킬레네이우스(Hermes Cylleneius)"인 것도 킬레네 산에서 났기 때문이다.

헤르메스는 아르카디아의 킬레네 산에서 마이아가 낳았다. 호메로스 찬가들 중 《헤르메스 찬가》에 따르면 마이아는 요정의 이름이지만, 그리스인들이 보통 산파나 현명하고 자상한 노부인에게 이런 이름을 붙였던 사례에서 볼 때, 아주 오래된 고대 요정인 플레이아데스 중 한 명으로써 아르카디아의 동굴에 피신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헤르메스는 성장 속도가 빨랐다. 태어난 날 정오 무렵에 거북이 껍질로 리라를 발명했고, 밤에는 아폴로의 재산인 불사의 소를 훔쳤다. 아폴로의 성스러운 소떼에 둘러쳐져 있었던 결계가 깨짐으로써 올림포스는 최초로 희생을 치르고 이것은 경계를 주관하는 악동신이 저지른 일이었다. 헤르메스는 이른 아침에 태어나 낮에 요람에서 벗어나자마자 아폴론이 키우던 50마리를 훔쳤다[225]。 헤르메스는 자신의 발자국을 위장하고 증거물을 불태워 소들을 거꾸로 걷게 하여 외양간에서 나온 흔적을 없앴다[225]。 다음 날, 소가 없어진 것을 알아차린 아폴론은 이상한 발자국에 당황했지만 점을 쳐서 헤르메스가 범인임을 알게 되었다[227]。 격노한 아폴론은 헤르메스를 찾아내 소를 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헤르메스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내가 그럴 리 없다"고 거짓말하며 제우스 앞으로 끌려가서도 "거짓말하는 방법도 모른다"고 말했다[225]。 그것을 본 제우스는 헤르메스에게 도둑질과 거짓말의 재능이 있음을 간파하고, 헤르메스에게 아폴론에게 소를 돌려주라고 권했다[225]。 헤르메스는 소를 돌려주었지만 아폴론은 납득하지 못했고, 헤르메스는 태어난 직후(소를 훔쳐 돌아오는 길에) 동굴에서 붙잡은 거북이의 등껍질에 창자를 엮어 만든 리라를 연주했다[225]。 그것을 갖고 싶어진 아폴론은 소와 리라를 교환하여 헤르메스를 용서했고, 헤르메스가 갈대 피리를 만들자 아폴론은 우정의 증표로 자신이 가진 케뤼케이온 지팡이를 헤르메스에게 주었다(소는 헤르메스가 모두 죽였기 때문에 교환한 것은 케뤼케이온뿐이라는 설도 있다. 또한, 죽인 소의 창자를 리라 재료로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225]

헤르메스는 헤라의 아들이 아니었지만 아레스와 바뀌어 그 젖을 먹었기 때문에, 헤라는 그것을 안 후에도 헤르메스에게 정이 들어 그를 자신의 아이처럼 귀여워했다[225]

5. 2. 아폴론의 소를 훔침

헤르메스는 아르카디아의 킬레네 산에서 마이아에게서 태어났다.[225] 성장 속도가 매우 빨랐던 헤르메스는 태어난 날 정오 무렵에 거북 껍질로 리라를 발명했고, 밤에는 아폴로가 키우던 50마리를 훔쳤다.[225] 헤르메스는 자신의 발자국을 위장하고 증거물을 불태워 소들을 거꾸로 걷게 하여 외양간에서 나온 흔적을 없앴다.[225]

다음 날, 소가 없어진 것을 알아차린 아폴론은 점을 쳐서 헤르메스가 범인임을 알게 되었다.[227] 격노한 아폴론은 헤르메스를 찾아내 소를 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헤르메스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내가 그럴 리 없다"고 거짓말하며 제우스 앞으로 끌려가서도 "거짓말하는 방법도 모른다"고 말했다.[225] 제우스는 헤르메스에게 도둑질과 거짓말의 재능이 있음을 간파하고, 헤르메스에게 아폴론에게 소를 돌려주라고 권했다.[225]

헤르메스는 소를 돌려주었지만, 아폴론은 납득하지 못했다. 이에 헤르메스는 태어난 직후(소를 훔쳐 돌아오는 길에) 동굴에서 붙잡은 거북이의 등껍질에 창자를 엮어 만든 리라를 연주했다.[225] 리라를 갖고 싶어진 아폴론은 소와 리라를 교환하여 헤르메스를 용서했고, 헤르메스가 갈대 피리를 만들자 아폴론은 우정의 증표로 자신이 가진 케뤼케이온 지팡이를 헤르메스에게 주었다(소는 헤르메스가 모두 죽였기 때문에 교환한 것은 케뤼케이온뿐이라는 설도 있다).[225]

이때 아폴론과 서로 필요한 물건을 교환한 것에서 헤르메스는 장사의 신으로 불리게 되었고, 태어난 직후 각지를 돌아다닌 것에서 여행의 신이 되었다.

5. 3. 아르고스 살해

제우스이오와 밀통했다. 이를 눈치챈 헤라는 제우스에게 따졌지만, 제우스는 이오를 아름다운 암소로 변하게 하여, 그 암소를 아꼈을 뿐이라고 했다. 헤라는 계략을 세워 그 암소를 제우스에게서 빼앗아,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를 감시역으로 붙였다. 아르고스는 몸 전체에 백 개의 눈을 가지고 있어, 잠들 때도 절반인 50개의 눈은 뜨고 있었기에,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았다. 제우스는 이오 구출의 임무를 헤르메스에게 맡겼다. 헤르메스는 케리케이온으로 아르고스의 눈에 마법을 걸어 잠들게 한 후, 하르페로 거인을 죽였다.[70] 이 일로 인해 헤르메스는 '아르게이폰테스', 즉 '아르고스 살해자'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68][69] 아르고스의 눈은 이후 여신 헤라의 상징인 공작의 꼬리에 놓였다.

5. 4. 판

판은 헤르메스와 요정 드리오페의 아들이다. 드리오페는 못생기고 몸의 절반은 염소인 아기를 보자 달아나 버렸다.[151] 헤르메스는 아기를 올림포스 산으로 데려갔고, 판은 그곳에서 보통 아이처럼 웃고 착하게 자랐다고 한다. 판은 특히 목동과 나무꾼이 경배하는 신이 되었다. 어떤 선원의 잘못된 판단으로 판이 죽었다는 소문이 나기도 했으나 그 후에도 판의 성지와 제단에는 숭배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히기누스의 《파불라》에 따르면, 자연, 목자, 가축의 그리스 신인 은 님프 드리오페를 통해 헤르메스의 아들이다.[151] 헤르메스 숭배 자체가 실제로 경계의 신으로서의 판의 측면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히기누스에서 그들의 부자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5. 5. 헤르마프로디토스

아프로디테가 낳은 헤르메스의 세 번째 아들인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나중에 그에게 실연당한 살마키스가 신에게 절대로 헤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간청하여 두 사람의 몸이 합쳐져 자웅동체가 되었다.[145]

5. 6. 오디세우스 조력

헤르메스는 오디세우스를 두 번 돕는다. 칼륍소(Calypso)가 오디세우스를 보내 주도록 설득했고, 키르케의 마법을 방어할 약초를 알려 주었다.

6. 가족 관계

헤르메스는 여러 여성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헤르메스의 자녀 목록이다.[67]

자녀어머니출처날짜
키돈아카칼리스파우사니아스2세기
케릭스아글라우로스파우사니아스2세기
헤르세
판드로소스
보노스알키다메이아파우사니아스2세기
에키온안티아네이라
라오토에오르페우스 아르고.4세기
에우리토스안티아네이라
헤르마프로디토스아프로디테디오도로스 시쿨루스기원전 1세기
아스타쿠스아스타베
아우톨리코스필로니스헤시오도스 여인들의 목록기원전 6세기
키오네히기누스 이야기집1세기
스틸베고대 주석가 일리아스
텔라우게에우스타티우스12세기
미르틸로스클레오불레
클리메네페레퀴데스기원전 5세기
클리티에히기누스 천문학기원전 1세기/서기 1세기
미르토페레퀴데스기원전 5세기
파에투사페레퀴데스기원전 5세기
테오불레히기누스 이야기집1세기
폴리부스크토노필레파우사니아스2세기
엘레우시스다에이라파우사니아스2세기
드리오페의 딸호메로스 찬가 19
페넬로페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
노락스에리테이아파우사니아스2세기
아에탈리데스에우폴레메이아히기누스 이야기집1세기
케팔로니아인칼립소헤시오도스 여인들의 목록기원전 6세기
다프니스이름 없는 님프디오도로스 시쿨루스기원전 1세기
케팔로스헤르세아폴로도로스1/2세기
기가스히에레이아체체스12세기
에반데르테미스디오니시우스기원전 1세기
프릴리스이사고대 주석가 리코프론
리코스, 페레스폰두스, 프로노무스이프티메논노스5세기
리비스리비에히기누스 이야기집1세기
카이코스오키로에가짜 플루타르코스 강에 대하여2세기
아그레우스페넬로페 (드리아드)
파리스필로다메이아파우사니아스2세기
에우도로스폴리멜레호메로스 일리아스기원전 8세기
사온레네디오도로스 시쿨루스기원전 1세기
리노스우라니아수다10세기
아그레우스소세
아브데로스이름 없는 인간 여성아폴로도로스1/2세기
아라부스트로니아헤시오도스 여인들의 목록기원전 6세기
돌롭스어머니 언급 없음
에우리마코스고대 주석가 일리아스
팔라이스트라필로스트라토스3세기
안젤리아핀다르기원전 5세기


7. 역사적 및 문학적 자료

헤르메스라는 이름의 초기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 *''hermāhās''*[8]로, ''e-ma-a2'' (''e-ma-ha'')로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9] 헤르메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청동기 시대 미케네 그리스 시대의 필로스, 테베,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선문자 B 비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헤르메스"가 "돌무더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ἕρμα (''헤르마'')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70] ἕρμα 자체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도유럽조어 단어는 아닐 것이다.[8] R. S. P. 비크스는 ''헤르마''와의 연관성을 거부하고 그리스 이전 언어 기원을 제안한다.[8] 그러나 돌에 대한 어원은 인도유럽어 '*ser-*' ("묶다, 합치다")와도 관련이 있다. "헤르메스"가 "하나의 돌무덤"을 의미하는 더 원시적인 형태에서 유래되었다는 학설은 논쟁의 대상이다.[10]

헤르메스는 그리스 이전의 신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의 숭배의 정확한 기원과 원래의 본질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 미케네 시대: 헤르메스의 이름은 ''e‐ma‐a'' (Ἑρμάhας)로 표기되어 있으며, 여러 여신들의 이름과 함께 기록되어 있어 헤르메스 숭배가 이들의 숭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헤르메스 숭배는 헤라, 데메테르, 헤카테, 데스포이나를 포함한 여신들에게 주로 헌정된 신전과 성소에서 이루어졌다.[29]
  • 고대 시대: 헤르메스는 경계를 지키는 남근 신이었다. 원래 헤르마는 길가에 있는 표지석 무더기인 케른을 뜻했다. 여행자들은 지나가며 그 무더기에 돌을 올려놓았다.[227] 6세기경 히파르코스는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던 케언들을 없애고 헤르메스 두상이 올려진 사각 기둥("헤르마")을 세웠다. 헤르마는 도로나 경계를 구분하는 용도로 쓰였으며, 아테네에서는 길운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보고 집 밖에 세우기도 했다. 기원전 415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시라쿠사로 출정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에, 아테네의 헤르마 전부가 파괴된 사건이 있었다.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알키비아데스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았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책임으로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에 대한 죗값을 목숨으로 대신했다.
  • 고전 시대: 그리스 전역에 헤르메스의 제단들이 있었지만, 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아르카디아의 페네오스였으며, 그곳에서는 헤르미아라는 축제가 열렸다. 헤르메스는 저승사자(영혼의 안내자)로서 죽은 영혼을 하데스에게 인도하는 "헤르메스 프시코폼포스"로도 불렸다. 또한 인간들에게 잠자는 동안 꿈을 가져다주는 역할도 했다. 6세기에 들어서 헤르메스는 남근 숭배 사상의 전통적인 수염이 텁수룩한 모습에서 탈피하여 젊은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새로운 이미지의 헤르메스 상은 그리스 곳곳의 경기장과 체육관에 세워졌다.
  •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와 영향력이 확산되면서, 종교 혼합 시기 동안 많은 전통적인 그리스 신들이 외국 신들과 동일시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이집트 신 토트는 그리스어 사용자에 의해 헤르메스의 이집트 형태로 동일시되었다. 두 신은 헤르모폴리스에서 하나로 숭배되었다.[38] 헤르메스는 번역과 해석의 신, 더 일반적으로는 지식과 학습의 신의 속성을 얻게 되었다.[29] 헤르메스에게는 "세 배 위대한 헤르메스"라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칭호가 부여되었다.[41]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인물은 헤르메스주의, 연금술 및 관련 전통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42]
  • 로마 시대: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된다.[225] 메르쿠리우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투름스의 후손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로마인들은 헤르메스를 자신들의 종교에 받아들여, 그의 속성과 숭배를 투름스와 결합하여 메르쿠리우스라는 이름으로 숭배했다. 메르쿠리우스는 폼페이에서 발견된 수많은 신전과 예술 작품 묘사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인기 있는 로마 신 중 하나가 되었다.[43] 로마 제국 시대에 헤르메스를 이집트 죽음의 신 아누비스와 동일시한 결과인 헤르마누비스가 탄생했다. 헤르메스와 아누비스는 모두 영혼 인도자였으며, 이는 그들을 동일한 신으로 융합시키는 주요 속성이었다. 헤르마누비스는 인간의 몸과 자칼 머리를 하고 케리케이온을 들고 묘사되었다.

7. 1. 미케네 시대

"헤르메스"라는 이름의 가장 초기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 *''hermāhās''*[8]로, ''e-ma-a2'' (''e-ma-ha'')로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9] 대부분의 학자들은 "헤르메스"가 그리스어 ἕρμα (''헤르마'')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데,[70] "돌무더기"를 뜻한다.

ἕρμα 자체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인도유럽조어 단어는 아닐 것이다.[8] R. S. P. 비크스는 ''헤르마''와의 연관성을 거부하고 그리스 이전 언어 기원을 제안한다.[8] 그러나 돌에 대한 어원은 인도유럽어 '*ser-*' ("묶다, 합치다")와도 관련이 있다. "헤르메스"가 "하나의 돌무덤"을 의미하는 더 원시적인 형태에서 유래되었다는 학설은 논쟁의 대상이다.[10]

헤르메스는 그리스 이전의 신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의 숭배의 정확한 기원과 원래의 본질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헤르메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청동기 시대 미케네 그리스 시대의 필로스, 테베,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선문자 B 비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기서 헤르메스의 이름은 ''e‐ma‐a'' (Ἑρμάhας)로 표기되어 있다. 이 이름은 포트니야, 포시데이야, 디와, 헤라, 페레, 이페메데야 등 여러 여신들의 이름과 함께 기록되어 있어, 헤르메스 숭배가 이들의 숭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패턴은 이후 시대에도 이어져, 헤르메스 숭배는 거의 항상 헤라, 데메테르, 헤카테, 데스포이나를 포함한 여신들에게 주로 헌정된 신전과 성소에서 이루어졌다.[29]

등장하는 설화에는 헤르메스가 원래는 박명의 신이나 바람의 신이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그 원시적 형태에서는 목축의 신이자 풍요의 신이었다고도 생각되며, 남근을 가진 헤르메스 기둥상(후술)은 헤르메스의 원시적 풍요신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원래는 그리스의 선주 민족인 Pelasgians|펠라스고이인영어의 신이었다고 하며,[227]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들이 헤르메스 기둥상을 만들게 된 것은 펠라스고이인의 풍습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228] 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고대 그리스 중에서도 원시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아르카디아였다.[229] 아르카디아는 목축민이 많은 구릉 지대였으며, 양치기들은 헤르메스를 가축의 수호신으로 숭배했다. 이것이 신들의 사자라는 다양한 직능을 가진 인격신으로 발전한 배경으로, 도리아인의 침입 이후 아폴론이 헤르메스를 대신하여 목양신의 역할을 맡게 된 것도 지적된다.[227]

7. 2. 고대 시대

초창기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경계를 지키는 남근 신이었다. 원래 헤르마는 길가에 있는 표지석 무더기인 케른을 뜻했다. 여행자들은 지나가며 그 무더기에 돌을 올려놓았다.[227] 6세기경 피시스트라투스의 아들 히파르코스는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던, 각각의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들을 표시하는 케언들을 없애고 청동 혹은 돌로 된 사각 기둥("헤르마")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수염을 기른 헤르메스 두상이 올려져 있었고 기둥 하부에는 돌출한 남근이 나와 있었다. 이보다 더 오래된,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가 태어난 곳이라고 하는 킬레네 산의 헤르마("킬레네 헤르마")는 남근 형상으로 깎은 단순한 돌이거나 나무 기둥이었다. 헤르마는 도로나 경계를 구분하는 용도로 쓰였으며, 아테네에서는 헤르마를 길운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보고 집 밖에 세우기도 했다. 그리스 종교 학자 발터 부케르트는 “이런 종류의 기념비가 올림피아의 신으로 변형될 수 있었다니 경이롭다”라고 평가했다.

기원전 415년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시라쿠사로 출정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에, 아테네의 헤르마 전부가 파괴된 사건이 있었다.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사 아니면 아테네 내부 반전 세력의 소행으로 추측했다.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알키비아데스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을 받았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책임으로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에 대한 죗값을 목숨으로 대신했다.

고대 그리스의 문학 작품에서 헤르메스는 수호자이자 트릭스터로 묘사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헤르메스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자", "안내자이자 수호자", "모든 속임수에 뛰어난 자"로 불린다.[30]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에서 헤르메스는 판도라에게 거짓말, 유혹적인 말, 의심스러운 성격을 선물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1]

헤르메스에 관한 가장 초기의 알려진 신학적 또는 영적 문서는 호메로스 찬가에서 발견된다.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 찬가 4''에는 신의 탄생과 아폴론의 신성한 소를 훔치는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이 찬가에서 헤르메스는 교활함과 도둑질과 관련된 "다재다능한 자"(''polytropos'')이자 꿈을 가져다주는 자, 밤의 수호신으로 불린다.[32] 그는 현악기인 킬리스 리라를 발명했다고 전해지며,[33] 경주와 레슬링 스포츠 또한 발명했다고 전해진다.[34]

호메로스헤시오도스는 헤르메스를 숙련되거나 속이는 행위의 주체이자 인간의 은인으로 묘사했다. ''일리아스''에서 그는 "행운의 전달자", "안내자이자 수호자", "모든 속임수에 능숙한 자"라고 불린다. 그는 트로이아인에 맞선 그리스인들의 신성한 동맹이었다. 그러나 그는 아들 헥토르의 시신을 찾기 위해 그리스 진영으로 갔을 때 프리아모스를 보호했고, 그들을 트로이로 데려갔다.[30]

그는 또한 오토스와 에피알테스에게 갇혀 있던 아레스를 놋쇠 용기에서 구출했다. ''오디세이아''에서 헤르메스는 키르케의 힘에 의해 동물로 변한 그의 동료들의 운명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주인공 오디세우스를 돕는다. 헤르메스는 오디세우스에게 마법의 허브를 씹어 자신을 보호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또한 제우스의 명령에 따라 오디세우스를 그녀의 섬에서 풀어 고향으로 가는 여정을 계속하도록 칼립소에게 말했습니다. 오디세우스가 아내의 구혼자들을 죽였을 때, 헤르메스는 그들의 영혼을 하데스로 인도했다.[129] ''일과 날''에서 제우스가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준 행위를 벌하여 인류를 수치스럽게 하기 위해 헤파이스토스에게 판도라를 창조하도록 명령했을 때, 모든 신이 그녀에게 선물을 주었고, 헤르메스의 선물은 거짓말, 유혹적인 말, 의심스러운 성격이었습니다. 헤르메스는 그 후 그녀를 에피메테우스의 아내로 데려가도록 지시받았습니다.[31]

''헤르메스 찬가 4''[130]는 신의 탄생과 그 이후 아폴론의 신성한 가축을 훔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를 "다재다능한(''폴리트로포스''), 부드럽게 교활한, 강도, 가축 몰이꾼, 꿈의 전달자, 밤의 감시자, 문 앞의 도둑, 불멸의 신들 사이에서 곧 놀라운 업적을 드러낼 자"로 소환합니다.[32] "다재다능한, 여러 방식으로 돌리는, 많은 장치를 가진, 독창적인, 또는 방랑이 많은"이라는 단어 ''폴리트로포스''는 ''오디세이아''의 첫 구절에서 오디세우스를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킬리스 리라 외에도, 헤르메스는 많은 종류의 경주와 레슬링 스포츠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따라서 운동선수의 후원자였다.[34]

아이스킬로스는 그의 작품 ''에우메니데스''에서 헤르메스가 오레스테스가 가짜 신분과 다른 계략을 사용하여 클리템네스트라를 죽이는 것을 도왔다고 기록했으며,[132] 또한 그를 수색의 신,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한 물건을 찾는 자들의 신이라고 언급했다.[131] 소포클레스는 ''필록테테스''에서 오디세우스필록테테스를 설득하여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에 서도록 해야 할 때 헤르메스를 소환했고, 에우리피데스의 ''레소스''에서 헤르메스는 돌론이 그리스 해군을 염탐하는 것을 돕는다.[132]

등장하는 설화에는 헤르메스가 원래는 박명의 신이나 바람의 신이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그 원시적 형태에서는 목축의 신이자 풍요의 신이었다고도 생각되며, 남근을 가진 헤르메스 기둥상(후술)은 헤르메스의 원시적 풍요신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원래는 그리스의 선주 민족인 Pelasgians|펠라스고이인영어의 신이었다고 하며,[227]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들이 헤르메스 기둥상을 만들게 된 것은 펠라스고이인의 풍습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228]。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고대 그리스 중에서도 원시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아르카디아였다[229]。아르카디아는 목축민이 많은 구릉 지대였으며, 양치기들은 헤르메스를 가축의 수호신으로 숭배했다. 이것이 신들의 사자라는 다양한 직능을 가진 인격신으로 발전한 배경으로, 도리아인의 침입 이후 아폴론이 헤르메스를 대신하여 목양신의 역할을 맡게 된 것도 지적된다[227]

7. 3. 고전 시대

그리스 전역에 헤르메스의 제단들이 있었지만, 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아르카디아의 페네오스(Pheneos)였으며, 그곳에서는 그를 기리는 헤르미아(Hermaea)라는 축제가 열렸다.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인 헤르메스는 "헤르메스 프시코폼포스"로도 불렸는데, 저승사자(영혼의 안내자)로서 죽은 영혼을 하데스에게 인도했다. 호메로스의 《데메테르 찬가》에서 헤르메스는 페르세포네를 무사히 데메테르에게 돌려보냈다. 또한 헤르메스는 인간들에게 잠자는 동안 꿈을 가져다주는 역할도 했다.

을 발명한 헤르메스는 거인족 프로메테우스와 대비된다. 시링크스리라와 같은 악기 외에도, 여러 형태의 경주 경기와 권투 경기를 창안했다. 6세기에 들어서 헤르메스는 남근 숭배 사상의 전통적인 수염이 텁수룩한 모습에서 탈피하여 젊은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새로운 이미지의 헤르메스 상은 그리스 곳곳의 경기장과 체육관에 세워졌다.

초창기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경계를 지키는 남근 신이었다. 원래 헤르마(Herma)는 길가에 있는 표지석 무더기인 케언(cairn)을 뜻했다. 여행자들은 지나가며 그 무더기에 돌을 올려놓았다. 6세기경 피시스트라투스(Pisistratus)의 아들 히파르코스(Hipparchos)는 아테네의 아고라에 있던, 각각의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들을 표시하는 케언들을 없애고 청동 혹은 돌로 된 사각 기둥("헤르마")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수염을 기른 헤르메스 두상이 올려져 있었고, 기둥 하부에는 돌출한 남근이 나와 있었다. 이보다 더 오래된,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가 태어난 곳이라고 하는 킬레네 산(Mount Kyllini)의 헤르마("킬레네 헤르마")는 남근 형상으로 깎은 단순한 돌이거나 나무 기둥이었다. 헤르마는 도로나 경계를 구분하는 용도로 쓰였으며, 아테네에서는 헤르마를 길운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보고 집 밖에 세우기도 했다. 그리스 종교 학자 발터 부케르트는 “이런 종류의 기념비가 올림피아의 신으로 변형될 수 있었다니 경이롭다”라고 평가했다.

기원전 415년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시라쿠사로 출정 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 아테네의 헤르마 전부가 파괴된 사건이 있었다. 아테네인들은 시라쿠사 아니면 아테네 내부 반전 세력의 소행으로 추측했다. 소크라테스의 문하생 알키비아데스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았고, 이에 대한 간접적인 책임으로 소크라테스는 불경죄에 대한 죗값을 목숨으로 대신했다.

페타소스를 착용한 헤르메스. 아티카식 적색 인물 컵, ; 볼치 출토


헤르메스 숭배는 아티카에서 번성했으며, 선형 B 증거가 발견되기 전 많은 학자들은 헤르메스를 유일하게 아테네의 신으로 간주했다. 이 지역에는 신에게 헌정된 많은 헤르마가 있었는데, 이는 경계, 교차로 및 입구를 표시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돌무더기였지만, 나중에는 나무, 돌 또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기둥이었으며, 헤르메스, 남근 또는 둘 다의 조각상이 새겨져 있었다.[29] 이러한 헤르마의 맥락에서, 고전 그리스 시대에 헤르메스는 여행자와 뱃사람의 수호신으로 숭배받게 되었다.[29]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헤르마는 지하 신이자 영혼 인도자로서의 헤르메스의 역할을 강조하며 무덤 기념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29] 이것이 아마도 그의 원래 기능이었으며, 그는 올림푸스 신전에 늦게 포함되었을 수 있다. 헤르메스는 "가장 어린" 올림푸스 신으로 묘사되며, 아폴론의 소를 훔치는 것을 포함한 일부 신화는 그가 처음으로 천상의 신들과 접촉하게 된 과정을 묘사한다. 따라서 헤르메스는 천상계와 지하계 사이의 중재자이자, 필멸자와 신성 사이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자로 숭배받게 되었으며, 종종 제물 용기에 묘사되었다.[29]

그의 이동성과 경계적인 특성으로 인해, 그는 상반된 것들(예: 상인/고객[29]) 사이에서 중재하는 역할을 하여, 상업, 사회적 교류, 사업으로 인한 부, 특히 갑작스럽거나 예상치 못한 부, 여행, 도로 및 교차로, 경계 조건 또는 일시적인 것, 문턱에서의 변화, 계약, 우정, 환대, 성관계, 게임, 데이터, 추첨, 행운, 희생과 희생 동물, 가축과 목자, 그리고 땅과 소의 비옥함의 신으로 여겨졌다.[35][36][37]

아테네에서 헤르메스 에이온은 기원전 475년 키몬의 지휘 하에 페르시아를 격파한 아테네 해군의 우위를 나타냈다. 이러한 맥락에서 헤르메스는 아테네 제국과 그 확장을, 그리고 민주주의 자체를, 그리고 해군 뱃사람에서 경제를 이끄는 상인에 이르기까지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연관시키는 신이 되었다.[29] 아테네의 아고라 구역은 헤르마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상업 또는 기타 공공 업무에서 개인적인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상인 및 기타 사람들이 봉납물로 놓은 많은 수의 헤르마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헤르마는 아마도 아테네와 피레우스 포위 (기원전 87–86년)에서 파괴되었을 것이다.[29]

비극 작가 아스티다마스가 헤르메스를 주요 주제로 한, 현재는 유실된 인기 있는 연극이 있었다. 등장하는 설화에는 헤르메스가 원래는 박명의 신이나 바람의 신이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그 원시적 형태에서는 목축의 신이자 풍요의 신이었다고도 생각되며, 남근을 가진 헤르메스 기둥상(후술)은 헤르메스의 원시적 풍요신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원래는 그리스의 선주 민족인 Pelasgians|펠라스고이인영어의 신이었다고 하며[227],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들이 헤르메스 기둥상을 만들게 된 것은 펠라스고이인의 풍습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228]。헤르메스 숭배의 중심지는, 고대 그리스 중에서도 원시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아르카디아였다[229]。아르카디아는 목축민이 많은 구릉 지대였으며, 양치기들은 헤르메스를 가축의 수호신으로 숭배했다. 이것이 신들의 사자라는 다양한 직능을 가진 인격신으로 발전한 배경으로, 도리아인의 침입 이후 아폴론이 헤르메스를 대신하여 목양신의 역할을 맡게 된 것도 지적된다[227]

7. 4.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와 영향력이 확산되면서, 종교 혼합 또는 ''해석학'' 시기 동안 많은 전통적인 그리스 신들이 외국 신들과 동일시되었다. 예를 들어,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이집트 신 토트는 그리스어 사용자에 의해 헤르메스의 이집트 형태로 동일시되었다. 두 신은 그리스어로 헤르모폴리스로 알려진 도시인 케메누의 토트 신전에서 하나로 숭배되었다.[38] 이로 인해 헤르메스는 번역과 해석의 신, 더 일반적으로는 지식과 학습의 신의 속성을 얻게 되었다.[29] 기원전 3세기의 예시인 사제 페토시리스가 네콥소 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타나는데, 이 편지는 아마도 기원전 150년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쓰여졌으며, 헤르메스가 모든 비밀 지혜의 스승이며, 이는 종교적 황홀경의 경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80][39]

에스나 사원에서 발견된 토트의 별칭인 "위대한 토트, 위대한, 위대한"[40]은 적어도 기원전 172년부터 헤르메스에게 적용되었다. 이는 헤르메스에게 그의 가장 유명한 후기 칭호 중 하나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Ἑρμῆς ὁ Τρισμέγιστος), 즉 "세 배 위대한 헤르메스"를 부여했다.[41]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인물은 이후 다양한 다른 비전적 지혜 전통을 흡수하여 헤르메스주의, 연금술 및 관련 전통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다.[42]

7. 5. 로마 시대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된다.[225] 메르쿠리우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투름스의 후손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인간 세상의 물건들이 들어 있는 두툼한 지갑을 휴대한 메르쿠리우스는 후에 상업과 부를 대표하는 고대의 신들인 데이 루크라이를 흡수한다.

기원전 4세기 초부터 로마인들은 헤르메스를 자신들의 종교에 받아들여, 그의 속성과 숭배를 에트루리아의 초기 신 투름스와 결합하여 메르쿠리우스라는 이름으로 숭배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라틴어 이름 "메르쿠리우스"는 헤르메스가 세상 사이를 오가는 중재자이자 메신저 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medio currens'"에서 유래된 칭호일 수 있다.[29] 메르쿠리우스는 폼페이에서 발견된 수많은 신전과 예술 작품 묘사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인기 있는 로마 신 중 하나가 되었다.[43] 예술에서 로마의 메르쿠리우스는 헤르메스와 투름스에 대한 이전 묘사의 스타일을 이어받아, 날개 달린 신발이나 모자를 쓰고, 케리케이온을 든 젊고 수염 없는 신으로 묘사되었다. 경계의 신, 메신저, 영혼 인도자로서의 그의 역할 또한 로마 종교에 받아들여진 후에도 변함없이 유지되었다(이러한 속성은 에트루리아인이 투름스를 숭배하는 것과도 유사했다).[44]

폼페이의 고대 프레스코화에 묘사된 헤르메스


로마인들은 게르만 신 오딘을 메르쿠리우스와 동일시했으며, 로마 문화와 접촉한 게르만 민족도 이러한 동일시를 받아들였다는 증거가 있다. 오딘과 메르쿠리우스/헤르메스는 여러 속성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둘 다 지팡이를 들고 넓은 챙 모자를 쓰고 있으며, 여행자 또는 방랑자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의 이유는 표면적인 유사성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두 신 모두 죽음과 관련되어 있으며(메르쿠리우스는 영혼 인도자, 오딘은 발할라에서 죽은 자들의 주), 둘 다 웅변과 관련이 있으며, 비밀 지식과도 관련이 있었다. 오딘을 메르쿠리우스로 동일시한 것은 이전에 더 오딘과 유사한 켈트 신을 "켈트 메르쿠리우스"로 연관시킨 것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다.[45]

로마 제국 시대에 또 다른 혼합주의가 나타났는데, 이는 헤르메스를 이집트 죽음의 신 아누비스와 동일시한 결과인 헤르마누비스의 형태로 나타났다. 헤르메스와 아누비스는 모두 영혼 인도자였으며, 이는 그들을 동일한 신으로 융합시키는 주요 속성이었다. 헤르마누비스는 인간의 몸과 자칼 머리를 하고 케리케이온을 들고 묘사되었다. 헤르마누비스는 사후 세계로 영혼을 인도하는 기능 외에도 이집트 사제단을 대표하여 진실을 탐구했다.[46][47]

로마 제국의 혼합주의적 종교 풍토에 따라, 헤르메스가 이집트의 아누비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탄생했다. 비슷한 과정을 거쳐,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은 후에 연금술사들이 사용했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의 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혼합주의적(혼혈적) 신으로 다루었다.

서기 1세기 초 무렵부터, 어떤 전통에서는 헤르메스가 유헤메리화되기 시작했다. 즉, 전설 속에서 신이 되거나 신과 같은 지위로 격상된 역사적이고 필멸의 인물로 해석되었다. 점성술, 신지학, 연금술을 포함한 수많은 지혜와 마법의 책이 이 "역사적인" 헤르메스에게 귀속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알렉산드리아 형태의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틀어 ''헤르메스 문서''라고 한다.[48]

수성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의 별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로마인에게도 계승되었다. 현대 유럽 언어에서 메르쿠리우스에 해당하는 단어를 수성에 사용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8. 현대의 해석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치하에서 기독교의 이교 탄압이 일어나면서 헤르메스 숭배는 거의 완전히 억압되었다. 하지만 헤르메스는 기독교 학자들에게 신비롭거나 예언적인 인물로 계속 인식되었다.[49][50]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초기 중세 기독교인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기독교의 등장을 예언한 고대 이교도 예언자였다고 믿었다.[49][50]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일부 기독교 철학자들은 모든 종교를 하나로 묶는 진정한 신학의 단일 흐름인 "'원시 신학'"의 존재를 믿고,[51][52] 헤르메스 문헌 등을 사용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모세와 동시대 인물이거나,[53] 에녹과 노아 다음으로 중요한 예언자 계보의 세 번째 인물이라고 주장했다.[54][55]

10세기 ''수다''는 헤르메스가 "삼위일체를 찬양했기 때문에 트리스메기스투스라고 불렸으며, 삼위일체 안에 하나의 신성한 본성이 있다고 말했다"라고 주장하며,[56] 헤르메스 인물을 더욱 기독교화하려 시도했다.

아우톨리코스는 수호신인 헤르메스에게 제물을 바친 덕분에 최고의 도둑으로서의 기술을 습득했다.[115]

8. 1. 융 심리학

카를 융에게 헤르메스는 영역 간의 메신저이자 지하 세계의 안내자로서[209] 무의식의 신이었으며,[210] 의식과 무의식의 중재자이자 내면 여행의 안내자였다.[211][220] 융은 토트 신과 헤르메스를 대응하는 존재로 여겼다.[212]

그는 헤르메스가 중세 연금술 실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했는데,[213] 융은 연금술이 그가 개성화라고 부른 심리적 과정의 상징이라고 믿었다.[214] 특히 융 심리학에서[215] 헤르메스는 공시성 현상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판과 디오니소스와 함께).[217][218]

그는 일부 사람들에게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에게 치유 마법을 부여했기 때문에 치유자의 원형으로 동일시된다.[219][220]

이상 심리학의 맥락에서 사무엘스(1986)는 융이 헤르메스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원형으로 간주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이 장애에 "긍정적"(유익한) 측면을 부여하고 자기애의 좋고 나쁨을 모두 나타낸다.[221]

로페스-페드라자에게 헤르메스는 심리 치료의 보호자이다.[222] 맥닐리에게 헤르메스는 치유 예술의 신이다.[223]

크리스토퍼 부커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 사상에서 헤르메스가 맡았던 모든 역할은 헤르메스가 전환의 안내자 또는 관찰자임을 보여준다.[224]

융에게 헤르메스의 트릭스터 역할은 그를 정신 치료 과정의 안내자로 만들었다.[220]

참조

[1] 서적 Classical Myth Pearson
[2] 서적 Hermes the Thief: The Evolution of a Myth Vintage Books 1947
[3] 문서 Burkert, p. 158. [[Iris (mythology)|Iris]] has a similar role as divine messenger.
[4] 문서 Homer, 1–512, as cited in Powell, pp. 179–189.
[5] 서적 The Hellenistic world from Alexander to the Roman conquest: a selection of ancient sources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The Latin word ''{{lang|la|cādūceus}}'' is an adaptation of the Greek {{lang|grc|κηρύκειον}} ''{{lang|grc-Latn|kērykeion}}'', meaning "herald's wand (or staff)", deriving from {{lang|grc|κῆρυξ}} ''{{lang|grc-Latn|kēryx}}'', meaning "messenger, herald, envoy". Liddell and Scott, ''Greek-English Lexicon''; Stuart L. Tyson, "The Caduceus", ''The Scientific Monthly'', '''34'''.6 (1932:492–98), p. 493.
[7] 서적 Bullfinch's Mythology Crown Publishers
[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https://archive.org/[...] Brill
[9] 간행물 Hermes and e-m-a2 http://www.utexas.ed[...] University of Texas 2011-11-26
[10] 서적 Linear B: a 1984 survey Peeters Publishers
[11] 서적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Hamlyn
[12] 서적 Sarama and her Children: The Dog in the Indian Myth Penguin Books India
[13] 간행물 Babylonian Origin of Hermes the Snake-God, and of the Caduceus I https://www.jstor.or[...] 1916
[14] 서적 Counselling Psychology: Integrating Theory, Research, and Supervised Practic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5] 서적 The Golden Wand of Medicine: A History of the Caduceus Symbol in Medicine https://books.google[...] ABC-CLIO
[16] 서적 Dissemina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17] 간행물 Danubian Historical Studies Akadémiai Kiadó
[18] 문서 Wodan, Hermes und Pushan
[19]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21]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library.globa[...]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4-23
[22] 서적 Ancient art and its remains: or, A manual of the archæology of art https://archive.org/[...]
[23] 서적 Hermes the Thief https://books.google[...] SteinerBooks
[24]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
[25]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27] 웹사이트 Greek Gods http://people.rit.ed[...]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28] 서적 The Good Shepherd and the Enthroned Ruler: A Reconsideration of Imperial Iconography in the Early Church Augsburg Fortress
[29] 간행물 Hermes the Transformer Ágora. Estudos Clássicos em debate, núm. 17, 2015, pp. 45–62 Universidade de Aveiro. Aveiro, Portugal. https://www.redalyc.[...]
[30] 문서 The Iliad
[31] 문서 Works And Days
[32] 문서 Hymn to Hermes
[33] 문서 Homeric hymn to Hermes
[34] 문서 "First Inventors... Mercurius [Hermes] first taught wrestling to mortals."
[35]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 Co.
[36] 간행물 Taking Care of Business in the Age of Hermes http://www.trinity.e[...] Trinity University 2011-07-20
[37] 서적 In and Out of the Mind: Greek Images of the Tragic Self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4-12
[38] 서적 Classical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Astrology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7-07-21
[40]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41]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Egyptian Her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문서 Pompeii: The Life of a Roman Town
[44] 서적 Mercure romain : Le culte public de Mercure et la fonction mercantile à Rome de la République archaïque à l'époque augustéenne École française de Rome 1980
[45] 문서 Mercury–Wotan–Óðinn: One or Many?
[46] 문서 De Iside et Osiride
[47] 문서 Bibliotheca historica
[48] 서적 The Eternal Hermes: From Greek God to Alchemical Magus Red Wheel/Weiser
[49] 서적 Prisci Theologi and the Hermetic Reformation in the Fifteenth Century Repristination Press 2011
[50] 간행물 Enoch in the Islamic Tradition 2015
[51]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52] 서적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SUNY
[53]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54]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55]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문서 Hermetica
[57] 서적 The Works of Lucian of Samosata BiblioBazaar, LLC
[58] 문서 Ab urbe condita
[59] 서적 Initiation in Myth, Initiation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0] 서적 The Roman's World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Publishers
[61] 서적 The Little Black Book of Rome: The Timeless Guide to the Eternal City https://books.google[...] Peter Pauper Press, Inc.
[62]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30.6 https://www.perseus.[...] 2021-02-20
[63]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16.1 https://www.perseus.[...] 2021-02-20
[64]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7.22.4 https://www.perseus.[...] 2021-02-20
[65]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9.22.2 https://www.perseus.[...] 2021-02-20
[66] 서적 Eros and Greek athle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Encyclopedia of Greco-Roman Mythology https://archive.org/[...] ABC-CLIO
[68] 서적 The Facts on File: Encyclopedia of World Mythology and Legend
[69] 문서 Homeric Hymn 29 to Hestia
[70] 웹사이트 Greek History and the Gods http://faculty.gvsu.[...]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Michigan) 2012-04-08
[71] 웹사이트 Suda, kappa.2660 https://www.cs.uky.e[...] 2020-11-02
[72] 서적 A Companion to Sophocles Wiley Blackwell 2012
[73] 서적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Satan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1
[74] 서적 Blackwood's Edinburgh magazine, Volume 22; Volume 28 Leonard Scott & Co. 1849
[75] 문서 Iphigenia in Aulis https://www.perseus.[...]
[76] 웹사이트 Perseus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77] 서적 Intuition: The Inside Story :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8] 서적 New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Hamlyn Publishing Group Limited
[79] 서적 Études mithriaques: actes du 2e Congrès International, Téhéran, du 1er au 8 september 1975 https://books.google[...] BRILL, 1978
[80] 서적 Projection and Re-Collection in Jungian Psychology: Reflections of the Soul Open Court Publishing, 1985
[81] 간행물 Mythical patterns in the art of Gustave Moreau: The primacy of Dionysus http://crisolenguas.[...] 2019-03-29
[82]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83] 문서 "Σῶκος Ἐριούνιος Ἑρμῆς (Iliad 20.72): The Modification of a Traditional Formula" https://www.academia[...] Glotta: Zeitschrift für griechische und lateinische Sprache
[84] 문서 A Figura Etymologica in the Homeric Hymn to Hermes https://www.academia[...] Classical Journal
[85] 서적 Graffiti in the Athenian Agora http://www.ascsa.edu[...]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2007-04-14
[86] 서적 The People of Aristophanes: A Sociology of Old Attic Comedy https://books.google[...] B. Blackwell 1951
[8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Civilization Oxford R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8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u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89] 서적 A Local History of Greek Polytheism: Gods, People and the Land of Aigina, 800–400 BCE https://books.google[...] BRILL 2013
[90] 문서 An universal history,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present time – Volume 5 (p. 34) https://archive.org/[...] 1779
[91] 서적 Greek and Egypti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92] 문서 Introduzione
[93] 문서 Hermes the Thief: The Evolution of a Myth
[94] 서적 Spectator Politics: Metatheatre and Performance in Aristopha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2
[95] 문서 Aristophanes
[96] 문서 the thief praying... https://books.google[...]
[97] 서적 A Victor of Salamis: A Tale of the Days of Xerxes, Leonidas, and Themistocles Wildside Press LLC 2007
[98] 서적 A New Companion to Greek Traged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3
[99] 서적 Information Gathering in Classical Gre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9
[100] 서적 The Gentile and the Jew in the courts of the Temple of Christ: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Roberts, and Green 1862
[101] 서적 Stratagem and the Vocabulary of Military Trickery https://books.google[...] BRILL 1988
[102]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at Athe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03] 서적 The learned banqueter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104] 서적 Music in painting: music as symbol in Renaissance and baroque painting https://books.google[...] Corvina 1984
[105] 문서 7.27.1 https://www.perseus.[...]
[106] 서적 The Greek questions of Plutarch
[107] 웹사이트 Silence in the Land of Logo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4-12
[108] 문서 Archilochus and the Iambic Poetry
[109] 서적 Human Excellence and an Ecological Conception of the Psych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10] 서적 Jung and the Post-Jungia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111] 서적 Amoral Politics: The Persistent Truth of Machiavellism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12] 서적 Three Homeric Hymns: To Apollo, Hermes, and Aphrodi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문서 Trickster Makes this World: Mischief, Myth and Art https://archive.org/[...] Canongate Books
[114] 웹사이트 THE HOMERIC HYMNS A NEW PROSE TRANSLATION AND ESSAYS, LITERARY AND MYTHOLOGICAL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5-09-24
[115] 서적 The Homeric Hymns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3-04-12
[116] 서적 The Frogs of Aristophanes, with Notes and Critical and Explanatory, Adapted to the Use of Schools and Universities, by T. Mitchell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17] 웹사이트 Theopompus The Historian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2023-04-30
[118] 웹사이트 The Concept of Neutrality in Classical Gre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4-30
[119] 문서 Fiske
[120] 간행물 Women and Philanthropy, tricksters and soul: re-storying otherness into crossroads of change Pacifica Graduate Institute
[121] 웹사이트 Conference Paper https://docs.google.[...] The Jungian Society for Scholarly Studies: Ithaca August 2009 2013-10-10
[122] 문서 Conference Paper The Jungian Society for Scholarly Studies: Ithaca August 2009
[123]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24] 문서 Sourced originally in R Davis-Floyd, P Sven Arvidson
[125] 서적 The All-knowing God https://books.google[...] Arno Press
[126] 문서 Tales within tales: Apuleius through time AMS Press
[127] 서적 Myths and Myth-makers: Old Tales and Superstitions Interpreted by Comparative Mytholog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128] 웹사이트 Circular Pyxis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129] 서적 The Odyssey Plain Label Books
[130] 웹사이트 THE HOMERIC HYMNS A NEW PROSE TRANSLATION AND ESSAYS, LITERARY AND MYTHOLOGICAL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5-09-24
[131] 웹사이트 God of Searchers http://www.theoi.com[...] The Theoi Project: Greek Mythology 2011-06-28
[132] 서적 Hermes the Thief: The Evolution of a Myth https://books.google[...] Steiner Books
[133] 웹사이트 God of Dreams of Omen http://www.theoi.com[...] Theoi Project: Greek Mythology 2011-06-28
[134] 웹사이트 Guide of the Dead The Theoi Project: Greek Mythology
[135] 웹사이트 God of Contests, Athletics, Gymnasiums, The Games The Theoi Project: Greek Mythology
[136] 웹사이트 Guide of the Dead http://www.theoi.com[...] The Theoi Project: Greek Mythology 2011-06-28
[137]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38]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39]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40]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41]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42] 서적 Translation and the Languages of Modernism: Gender, Politics, Languag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43] 서적 Women of the Left Bank: Paris, 1900-19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44] 서적 Dionysiaca http://www.theoi.com[...]
[145] 문서 Astronomica
[14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47] 서적 Bibliotheca
[148] 문서 Metamorphoses
[149] 문서 Dialogues of the Gods
[150] 문서 Homeric Hymn 5 to Aphrodite
[151] 서적 Fabula
[152] 서적 Gods of the Greeks
[153]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54] 서적 Tzetzes ad Lycophron https://topostext.or[...]
[155] 웹사이트 Photius, Bibliotheca excerpts, 190.50 https://topostext.or[...] 2020-04-11
[156] 웹사이트 Photius, Bibliotheca excerpts - GR http://remacle.org/b[...] 2020-04-11
[157] 문서 Imagines
[158]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159] 서적 Varia Historia https://www.perseus.[...]
[160]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www.perseus.t[...]
[161] 서적 Brill's New Pauly http://data.perseus.[...]
[162] 서적 Brill's New Pauly
[163] 서적 https://www.perseus.[...]
[164] 서적 Brill's New Pauly
[165] 서적 Orphic Argonautica https://www.perseus.[...]
[166] 서적 https://www.perseus.[...]
[167] 서적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168]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169]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170] 서적 RE https://elexikon.ch/[...]
[171] 서적 RE https://elexikon.ch/[...]
[172] 서적 BNJ
[173] 서적 De astronomia https://topostext.or[...]
[174] 서적 Brill's New Pauly
[175] 서적 Brill's New Pauly
[176]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topostext.or[...]
[177] 서적 Brill's New Pauly http://data.perseus.[...]
[178]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79] 서적 Homeric Hymn to Pan http://data.perseus.[...]
[180] 서적 https://books.google[...]
[181]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82]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83] 서적 https://books.google[...]
[184] 서적 https://penelope.uch[...]
[185] 서적 Brill's New Pauly http://data.perseus.[...]
[186] 서적 RE https://de.wikisourc[...]
[187] 서적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188] 서적 Brill's New Pauly
[189] 서적
[190] 서적 https://topostext.or[...]
[191] 웹사이트 De fluviis https://www.perseus.[...]
[192]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93] 서적 http://www.perseus.t[...]
[194] 서적 Library of History
[195] 서적 Suda https://www.cs.uky.e[...]
[196] 웹사이트 http://data.perseus.[...]
[197] 서적 https://www.loebclas[...]
[198]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99] 서적 RE https://de.wikisourc[...]
[200] 서적 Erklärende Anmerkungen zu Homers Ilias
[201] 서적 Imagines (work by Philostratus) https://www.loebclas[...]
[202] 서적 Olympian https://www.loebclas[...]
[203]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21-01-06
[204]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2021-05-02
[205]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2021-02-27
[206]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2016-05-05
[207]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2021-02-27
[20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2022-10-22
[209] 서적 On Ju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4-12
[210] 간행물 Jung and the Greening of Psychology and Education http://www.dennismer[...] 2012-02-26
[211] 서적 The Transcendent Function: Jung's Model of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Dialogue With the Unconsciou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4
[212] 서적 Joyce and Jung: The "Four Stages of Eroticism" I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6
[213] 서적 Alchemical Studies Routledge & Kegan Paul 1967
[214] 학위논문 Of Books and Fire: Approaching the Alchemy of Carl Gustav Jung https://www.reposito[...] 2019-05-15
[215] 서적 Jung on Synchronicity and the Paranorm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
[216] 서적 Initiation Through Trauma: A Comparative Study of the Descents of Inanna and Persephone: Dreaming Persephone Forward https://books.google[...] ProQuest 2005
[217] 서적 Revelations of Chance: Synhronicity as Spiritual Experienc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7
[218] 서적 Psyche and Eros: Mind and Gender in the Life Cours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19] 서적 Hermes and His Children https://books.google[...] Daimon 2003
[220] 서적 Mercury Rising: Women, Evil, and the Trickster Gods' https://books.google[...] Fisher King Press 2011
[221] 서적 Jung and the Post-Jungia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6 1986
[222] 문서 López-Pedraza 2003, p. 19
[223] 서적 Portrait of the Psychiatrist as a Young Man: The Early Writing and Work of R.D. Laing, 1927–1960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Philosophy and Psychiatry, OUP
[224] 서적 The Seven Basic Plots: Why We Tell Storie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4
[225]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大修館書店
[226] 서적 ギリシア神話(上) 新潮社〈新潮文庫〉 昭和54年
[227]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1991
[228] 서적 ギリシア神話(上) 新潮社〈新潮文庫〉 昭和54年
[229] 서적 ホメーロスの諸神讃歌 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 2004
[230] 서적 世界宗教史2 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 2000
[231] 서적 ホメーロスの諸神讃歌 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 2004
[232] 서적 ヘルメティズム エリアーデ・オカルト事典、法蔵館 2002
[233] 서적 錬金術 白水社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