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사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곱사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 연안 및 강에서 서식하는 연어의 일종이다. 몸은 방추형이며, 등과 지느러미에 검은 무늬가 있고, 수컷은 산란기에 등이 굽는 특징을 보인다. 몸빛깔은 등 쪽이 청록색, 배 쪽은 은백색이며, 한국을 포함하여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냉수성 어류로 2년의 생활 주기를 가지며, 산란 후에는 죽는다. 상업적으로 어획되어 통조림, 훈제, 염장 등으로 가공되며, 알은 캐비어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어 - 연어 (음식)
연어는 주황색 또는 붉은색을 띠는 생선으로, 단백질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훈제, 사시미, 스시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연어 - 브라단 파서
브라단 파서는 아일랜드 신화의 지혜의 연어 이야기처럼 지혜를 얻는 모티프를 다루는 용어로, 다른 문화권 신화와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북극해의 물고기 -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는 대구속 어종으로 무리 생활을 하며 먹이 섭취와 수온 변화에 따라 행동 양상을 보이나, 과도한 어획으로 개체수 감소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기생충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 북극해의 물고기 - 해덕대구
해덕은 대구과에 속하는 어류로, 몸의 색깔과 검은 측선, 엄지자국 반점이 특징이며 북대서양에 주로 분포하고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 연어속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연어속 - 산천어
산천어는 몸길이 약 40cm로 검은 반점과 나뭇잎 모양의 얼룩무늬를 가지며, 맑고 차가운 물에서 서식하고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으며, 튀김, 소금구이 등으로 요리되고 지자체의 어류로 지정되기도 한다.
곱사연어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Oncorhynchus gorbuscha |
명명자 | Walbaum(1792) |
영명 | Pink salmon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경골어류 |
목 | 연어목 |
과 | 연어과 |
속 | 타이헤이요우사케속 |
특징 | |
몸길이 | 30~60cm |
무게 | 1.6~2.2kg |
수명 | 최대 3년 |
서식지 | 북태평양, 북극해의 차가운 물 |
분포 | 한국, 일본, 러시아, 캐나다, 미국 |
식성 | 갑각류, 곤충, 작은 물고기 |
생태 | |
산란 장소 | 하천 |
산란 시기 | 여름~가을 |
산란 형태 | 암컷이 얕은 하천 바닥에 알을 낳고 수컷이 수정 |
이용 | |
식용 | 구이, 찜, 훈제, 통조림 등 |
기타 | 낚시 대상어종, 관상어 |
2. 특징
'''곱사송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최대 76cm, 몸무게는 최대 6.8kg이다. 몸은 방추형이며 유선형이고 약간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이빨이 날카롭다. 등지느러미 외에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주둥이가 구부러지고 머리 뒤쪽(등 쪽)에 연골의 돌기(혹)가 생겨 곱사등이 물고기처럼 보인다.
연어속 중에서는 소형으로, 크기는 40cm~60cm이다. 측선 비늘 수는 연어·송어류 중에서 가장 많으며, 등, 꼬리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번식기에는 수컷만 등이 돌기 모양으로 변형(세파리)된다. 이 때문에 "세파리마스"라는 이름이 있다. 치어에는 퍼마크가 없으며, 4월부터 5월에 강으로 내려가며, 강으로 내려간 후 대부분 2년 만에 성숙하여 회귀한다. 따라서 번식 집단이 짝수 해와 홀수 해로 나뉘어 격년 변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소위 풍어 해와 흉어 해). 번식 집단의 유전적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같은 해의 인접한 하천보다 일본과 알래스카가 유전적으로 더 근연이었다. 이는 모천 회귀 본능이 강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2. 1. 몸빛깔
바다에서는 밝은 은색이다. 산란을 위해 하천으로 돌아온 후에는 등쪽은 옅은 회색, 배는 황백색으로 변한다. (일부는 전체적으로 칙칙한 녹색으로 변하기도 한다.)[1] 모든 연어와 마찬가지로, 등지느러미 외에도 기름지느러미도 가지고 있다. 이 물고기는 검은 잇몸이 있는 흰색 입, 혀에 이가 없고, 등 쪽에 큰 타원형 검은 반점, V자 모양의 꼬리, 13~17개의 연조가 있는 뒷지느러미가 특징이다.[1]3. 분포
곱사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의 해안과 강에서 서식한다. 서쪽으로는 시베리아의 레나 강에서 동쪽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혼슈섬까지, 북쪽으로는 캐나다의 매켄지 강에서 남쪽으로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의 새크라멘토 강까지 분포한다.[3][4][5] 2013년에는 샐리너스 강(캘리포니아)에서 곱사연어 산란의 최남단 기록이 발표되었고,[6] 2017년 가을에는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북쪽 약 약 40.23km 떨어진 라구니타스 크릭에서 12마리가 확인되었다.[7]
북아메리카의 오대호와 이란에도 도입되어 자생 개체군이 존재한다.[8] 유럽에서는 1956년부터 러시아의 백해와 바렌츠해 유역의 강에 주기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강에서 이탈한 물고기가 노르웨이, 스웨덴, 아일랜드, 영국, 아이슬란드의 강에서도 발견되었으며, 노르웨이에서는 자생 개체군이 관찰되기도 했다.[9] 2017년에는 스코틀랜드의 강에서 평소보다 더 많이 잡혔고, 산란이 기록되었다.[10] 2021년에는 노르웨이 수도인 오슬로 시내의 아케르셀바 강에 침입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북태평양, 베링 해, 오호츠크 해, 동해 연안, 일본 홋카이도, 이와테현에 분포한다.
3. 1. 한국의 분포
곱사연어는 기본적으로 태어난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 산란하지만, 모천 회귀성이 약해 길을 잃고 다른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도 많다. 한국에서는 동해안과 오호츠크 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회귀한다. 일본에서의 회귀 남방 한계는 태평양 쪽에서는 이와테현, 동해 쪽에서는 니가타현 이북이다.[3]4. 생태
곱사연어는 연어속 중에서는 소형으로, 크기는 40~60cm이다. 측선 비늘 수는 연어·송어류 중에서 가장 많으며, 등, 꼬리 지느러미, 지방 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번식기에 수컷만 등이 돌기 모양으로 변형되어 "세파리마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치어에는 퍼마크가 없으며, 4월부터 5월에 강으로 내려가며, 강으로 내려간 후 대부분 2년 만에 성숙하여 회귀한다. 따라서 번식 집단이 짝수 해와 홀수 해로 나뉘어 격년 변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소위 풍어 해와 흉어 해). 번식 집단의 유전적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같은 해의 인접한 하천보다 일본과 알래스카가 유전적으로 더 가까워 모천 회귀 본능이 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
곱사연어는 기본적으로 태어난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 산란하지만, 모천 회귀성이 약해서 길을 잃고 다른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도 많다. 시로자케와 산란장을 형성하는 장소는 구분되지만, 교잡이 발생하여 어업 관계자 사이에서 연어와 송어라고 불리는 시로자케와의 교잡 개체가 포획되는 경우가 있으며, 외견은 양쪽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인위적으로 이입된 오대호에서는 소형의 육봉형이 나타나 세대를 거듭하고 있다.
4. 1. 산란
곱사연어는 고유 서식지에서 2년의 엄격한 생활 주기를 가지므로 홀수 해와 짝수 해 개체군은 교배하지 않는다. 워싱턴주에서는 홀수 해에 곱사연어 회귀가 발생한다.[12] 성체 곱사연어는 바다에서 산란 개울로 들어가며, 일반적으로 자신이 태어난 개울로 되돌아간다. 산란은 6월 말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해안 개울과 일부 더 긴 강에서, 그리고 하천저서대 담수가 가능한 경우 조간대 또는 개울 어귀에서 발생한다.암컷은 꼬리를 사용하여 하천 바닥의 자갈에 "레드"라고 불리는 홈 모양의 둥지를 파서 그곳에 자신의 알을 낳는다. 한 명 이상의 수컷이 접근하여 레드에 떨어지는 알을 수정한다. 그 후 암컷은 꼬리를 사용하여 새로 낳은 접합자를 다시 레드 상단의 자갈 위로 덮는다. 암컷은 레드 내에서 여러 개의 알 덩어리에 1,000~2,000개의 알을 낳으며, 종종 다른 수컷에 의해 수정된다. 암컷은 산란 후 며칠 안에 죽을 때까지 자신의 레드를 지킨다. 밀집된 개체군에서 배아의 주요 사망 원인은 나중에 산란하는 물고기에 의한 레드의 중첩이다.
알은 수온에 따라 12월에서 2월 사이에 부화하며, 어린 개체는 3월과 4월에 자갈에서 나와 하구로 빠르게 이동하며 무게는 약 0.25g이다. 이 물고기는 생후 2년 만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그들은 2년 된 성체로 여름 또는 가을에 담수로 돌아온다. 일본에서의 거슬러 올라가는 남쪽 한계 기록은 태평양 쪽에서는 이와테현, 동해 쪽에서는 니가타현 이북이다. 주로 오호츠크해와 네무로 해협으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거슬러 올라가는 시기는 하천에 따라 다르지만, 일본에서는 7월부터 거슬러 올라가 8월부터 10월에 걸쳐 산란한다.
1962년부터 1967년에 걸쳐 홋카이도 지나이강, 유라쿠부강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산란장은 수심 6-36cm, 크기는 장경 80-170cm 정도, 단경 35-90cm이다. 산란장이 만들어지는 곳의 유속은 시로자케보다 유속이 빠른 곳이 많아 산란장의 위치나 수질로 서식지가 구분된다.
자연 번식에서의 알에서 강으로 내려갈 때까지의 생존율은 0.1-40% 정도이고, 인공 부화에서의 채란부터 방류까지의 생존율은 약 80%이다.
4. 2. 먹이
어린 곱사연어는 담수에서 무척추동물과 동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한다. 바다에서는 다양한 플랑크톤, 무척추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13] 성어는 산란을 위해 담수로 돌아갈 때 먹이를 먹지 않는다.4. 3. 천적
다양한 동물들이 곱사연어의 일생 동안 먹이로 삼는데, 알이나 치어일 때는 담수 생태계의 작은 물고기, 조류, 포유류가 먹이로 삼고, 바다에 있을 때는 큰 물고기, 바닷새, 해양 포유류가 먹이로 삼는다.[14]알과 산란한 곱사연어 성체의 시체는 담수 먹이 그물에 상당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곰은 이동하는 성체 연어를 먹는데, 특히 아직 산란하지 않아 영양가가 높은 연어를 선택하여 사냥한다.[17]
4. 4. 영양 공급
알과 산란한 곱사연어 성체의 시체는 담수 먹이 그물에 상당한 영양분을 공급한다.[15] 곰은 이동하는 성체 연어를 먹는데, 특히 아직 산란하지 않아 영양가가 높은 연어를 선택적으로 사냥한다.[17] 알래스카에서 곰에게 잡힌 곱사연어 중 다수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하천 주변 지역과 숲으로 옮겨지며,[18] 사체의 영양분은 식물과 나무에 흡수된다.[19] 산란에 성공한 곱사연어의 시체는 빠르게 분해되며, 그 과정에서 수생 무척추동물의 서식지가 된다.[20] 이러한 하천 서식지에 대한 자원 보조는 하천 내 다른 연어과 어류의 성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21]5. 인간과의 관계
곱사연어는 동부 및 서부 북태평양 어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10년에는 총 2억 6천만 마리, 40만ton이 어획되었으며, 이 중 1억 4천만 마리는 러시아, 1억 7백만 마리는 미국(알래스카)에서 잡혔다.[24] 러시아에서는 전체 연어 어획량의 69%를 차지하며,[25] 주로 해안 고정망을 이용해 어획한다. 특히 사할린 동해안에서 많이 잡힌다(연평균 11만ton).[26]
북미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곱사연어를 통조림이나 염장하여 이용했다. 1920년대까지 산업이 성장했지만, 1940년대와 1950년대에 개체수가 급감했다. 1959년 알래스카에서는 어구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다. 현재는 선망 어업, 유자망, 자망 등으로 어획하며, 1970년대 중반 이후 개체수와 어획량이 회복되어 1980년대 이후 최고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2천만 마리 이상의 곱사연어가 어업 증진 부화장을 통해 생산되며, 특히 알래스카 북부 만에서 많이 생산된다.[27] 곱사연어는 양식으로 대량 생산되지는 않으며, 주로 통조림, 훈제, 염장, 캐비어 등으로 가공된다.
곱사연어는 육질이 부드럽고 지방이 많아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신선한 곱사연어는 생선구이, 루이베, 훈제, 뫼니에르 등으로 조리한다. 튀김이나 덴푸라로도 즐겨 먹으며, 잔기를 명물로 하는 지역도 있다. 시로자케보다 크기가 작아 찬찬야키에 적합하며, 된장을 넣은 냄비 요리인 마스나베는 곱사연어 어획량이 많은 지역에서 이시카리나베보다 인기가 많다.[34][35]
염장 가공한 야마즈케나 소금 마스는 구이 외에도 절임 재료로 사용되며, 알은 명란젓(스지코)이나 연어알로 가공되어 외식 산업에서 널리 유통된다.[34][35] 통조림의 주재료로도 사용되는데, 마루하니치로의 아케보노 브랜드 연어 통조림이 대표적이다.[36] --
홋카이도 동부 오호츠크해 연안은 일본 최대 곱사연어 수확지이며,[34][35] 7~8월 약 2개월간의 수확으로 국내 소비량 대부분을 충족시킨다. 오대호에는 소형 육봉형 곱사연어가 서식하며 세대를 거듭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알의 생존율은 0.1~40% 정도이며, 인공 부화 시에는 약 80%이다. 시로자케(연어)와 산란장을 공유하지만 서식지 구분이 이루어지며, 어업 관계자들 사이에서 연어와 송어로 불리는 시로자케와의 교잡 개체가 잡히기도 한다.
5. 1. 어업
곱사연어의 상업적 어획은 동부 및 서부 북태평양 어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010년 총 어획량은 약 2억 6천만 마리로 40만ton에 달했다. 이 중 1억 4천만 마리는 러시아에서, 1억 7백만 마리는 미국(알래스카)에서 어획되었다.[24] 곱사연어는 러시아 전체 연어 어업의 69%를 차지한다.[25] 대부분의 곱사연어는 해안 고정망을 사용하여 어획되며, 어업은 사할린 동해안에 집중되어 있다(연평균 11만ton).[26]북미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통조림 및 염장을 위해 곱사연어가 어획되었다. 이 산업은 1920년까지 꾸준히 성장했지만,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곱사연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1959년 알래스카에서는 어구 사용이 금지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곱사연어는 선망 어업, 유자망 또는 자망으로 어획된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개체수와 어획량이 빠르게 증가하여 1980년대 이후 최고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2천만 마리 이상의 어획된 곱사연어는 특히 알래스카 북부 만에서 어업 증진 부화장을 통해 생산된다.[27] 곱사연어는 양식장에서 대량으로 양식되지 않으며, 통조림, 훈제, 염장되거나 캐비어로 가공되는 경우가 많다.
5. 2. 식용 및 가공
육질은 부드럽고 연어과 어류 중에서는 지방이 많다. 신선한 곱사연어는 생선구이, 루이베, 훈제, 뫼니에르 등으로 이용된다. 튀김이나 덴푸라도 맛있으며, 이 물고기의 잔기를 명물로 하는 지역도 있다. 시로자케보다 작아 찬찬야키에 적합하다. 된장으로 만든 냄비 요리는 마스나베라고 불리며, 곱사연어 어획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이시카리나베보다 선호된다.[34][35]염장 가공(야마즈케나 소금 마스 등)하면 적절하게 탈수·숙성되어 맛있다. 소금 마스는 생선구이 외에 하사미즈케나 마스즈케 등의 절임 원료로도 귀하게 여겨진다. 알은 명란젓(스지코)으로 가공된다. 연어알로 가공한 것은 마스코라고 불리며, 외식 산업을 중심으로 유통된다.[34][35]
통조림의 주원료가 되기도 한다. 마루하니치로가 아케보노 브랜드로 제조·판매하는 연어 통조림은 곱사연어를 사용한다.[36]
5. 3. 기타
홋카이도 동부 오호츠크해 연안은 일본 국내 최대의 곱사연어 수확지이다.[34][35] 이 지역에서는 7~8월 약 2개월간의 수확으로 국내 소비의 많은 부분이 충족된다. 오대호에서는 소형의 육봉형 곱사연어가 나타나 세대를 거듭하고 있다.자연 번식에서 알의 생존율은 0.1~40% 정도이며, 인공 부화에서는 약 80%이다. 시로자케(연어)와 산란장을 공유하지만, 서식지 구분이 이루어지며, 어업 관계자 사이에서 연어와 송어라고 불리는 시로자케와의 교잡 개체가 포획되기도 한다.
6. 보존 상태
네이처서브는 곱사연어를 캘리포니아에서는 위급, 워싱턴에서는 위기종으로 등재하고 있다. 알래스카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22] 곱사연어의 진화적으로 중요한 단위는 멸종 위기 종 보호법에 따라 등재되어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Fisheries and Oceans Canada species account
http://www.pac.dfo-m[...]
2007-10-16
[2]
웹사이트
Fishbase species account
http://www.fishbase.[...]
2007-10-16
[3]
간행물
Pacific Salmon in Canada's Arctic Draining Rivers, With Emphasis on Those in British Columbia and the Yukon
https://www.psf.ca/s[...]
Pacific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Council
2009-03
[4]
논문
The humpback and dog salmon taken in San Lorenzo River.
[5]
논문
Five Species of Salmon, Oncorhynchus, in the Sacramento River, California
[6]
논문
Pink salmon (''Oncorhynchus gorbuscha'') in the Salinas River, California: new record and historical perspectives
https://nrm.dfg.ca.g[...]
2017-12-30
[7]
뉴스
Marin's Lagunitas Creek Welcomes Unexpected Guests in this Year's Spawning Season
https://ww2.kqed.org[...]
2017-12-29
[8]
웹사이트
Pink Salmon (Oncorhynchus gorbuscha) - Species Profile
https://nas.er.usgs.[...]
[9]
웹사이트
O. gorbuscha (Walbaum, 1792) - горбуша
http://www.sevin.ru/[...]
[10]
논문
The Scottish invasion of pink salmon in 2017
http://eprints.gla.a[...]
[11]
뉴스
Nå invaderer monsterlaksen Akerselva. Men det er ikke aktuelt å fjerne den med garn eller harpun.
https://www.aftenpos[...]
2021-08-24
[12]
웹사이트
Pink salmon |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 Wildlife
http://wdfw.wa.gov/f[...]
[13]
웹사이트
Pink Salmon Species Profile,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https://www.adfg.ala[...]
2021-03-18
[14]
웹사이트
Pink Salmon {{!}} NOAA Fisheries
https://www.fisherie[...]
2021-03-18
[15]
논문
Evidence of energy and nutrient transfer from invasive pink salmon (Oncorhynchus gorbuscha) spawners to juvenile Atlantic salmon (Salmo salar) and brown trout (Salmo trutta) in northern Norway
2021
[16]
논문
Salmon egg subsidies and interference competition among stream fishes
2019-06-01
[17]
논문
Consumption choice by bears feeding on salmon
https://zenodo.org/r[...]
2001-05-01
[18]
논문
Transportation of Pacific salmon carcasses from streams to riparian forests by bears
https://cdnsciencepu[...]
2009-02-13
[19]
논문
Effects of Salmon-Derived Nitrogen on Riparian Forest Growth and Implications for Stream Productivity
https://esajournals.[...]
2001
[20]
논문
Mass loss and macroinvertebrate colonisation of Pacific salmon carcasses in south-eastern Alaskan streams
https://onlinelibrar[...]
2002
[21]
논문
Marine Subsidies in Freshwater Ecosystems: Salmon Carcasses Increase the Growth Rates of Stream-Resident Salmonids
2003-03-01
[22]
웹사이트
Comprehensive Report Species - Oncorhynchus gorbuscha
http://www.natureser[...]
2018-04-11
[23]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24]
웹사이트
Annual Statistics 2010: Commercial salmon catch by species and country
http://www.npafc.org[...]
North Pacific Anadromous Fish Commission Statistical Yearbook
2015-03-16
[25]
웹사이트
Fisheries Improvement: Western Pacific Salmon: Overview Dec 2013
https://www.sustaina[...]
Sustainable Fisheries Partnership www.sustainablefish.org
2015-03
[26]
웹사이트
Sakhalin Island Regional Salmon FIP
http://salmonfippart[...]
salmonfippartnership.org
2015-03
[27]
웹사이트
Salmon Enhancement and Hatcheries
http://www.cf.adfg.s[...]
2007-10-16
[28]
웹사이트
There are too many pink salmon in the Pacific
https://www.popsci.c[...]
Popular Science
2022-06-11
[29]
논문
Pink Salmon induce a trophic cascade in plankton populations in the southern Bering Sea and around the Aleutian Islands
2018-06-08
[30]
문서
サケ科魚類のプロファイル-7 カラフトマス
http://salmon.fra.af[...]
さけ・ます資源管理センターニュース salmon15号 2005年9月、水産研究・教育機構
[31]
논문
カラフトマス山漬けの製造中の成分変化について
https://agriknowledg[...]
北海道立水産試験場
2009-03
[32]
논문
サケとカラフトマスの産卵環境
http://id.ndl.go.jp/[...]
1968
[33]
논문
北海道東部根室海峡周辺で採集された「サケマス」のDNA 分析による交雑判別
https://doi.org/10.2[...]
2011
[34]
문서
さけ・ます類の漁業と資源調査(総説)
http://kokushi.job.a[...]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35]
문서
カラフトマス
http://kokushi.job.a[...]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36]
웹사이트
もっとわかるヒストリー モノ語り(あけぼのさけ)
https://www.maruha-n[...]
マルハニチロ
2024-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