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안씨는 고려 태조 때 광주 지역 향리 출신 안방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안방걸은 광주 안정에 공을 세워 대장군에 오르고 광주군에 봉해졌으며, 후손들은 광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주요 인물로는 조선 시대의 안성, 안완경, 안정복 등이 있으며, 총 6개의 후와 24개의 파로 나뉘어 각 파는 파조의 이름이나 관직명을 따라 명명되었다. 조선 시대에 165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주요 집성촌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48,03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안씨 - 안강민
안강민은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용, 서울지검 특수부와 공안부 검사로 주요 사건을 수사하고 검찰총장까지 역임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 활동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 광주 안씨 - 안상훈 (사회과학자)
안상훈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출신으로, 22대 국회의원이며, 사회과학자로서 다양한 정부 정책 자문 및 위원회 활동을 수행했고,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 광주 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광주 안씨 (廣州安氏) | |
| 나라 | 한국 |
| 관향 | 경기도 광주시 |
| 시조 | 안방걸(安邦傑) |
| 집성촌 | 경기도 하남시, 광주시 충청남도 천안시·보령시·부여군 전라북도 남원시·장수군 전라남도 화순군·곡성군 경상북도 영천군·청도군·경주시 경상남도 김해시·밀양시·함안군 |
| 인물 | 안성 안완경 안팽명 안윤손 안윤덕 안사웅 안민학 안황 안정복 안유수 안병훈 안병길 안강민 안동수 안경환 안석환 안희연 안병현 안은수 |
| 년도 | 2015 |
| 인구 | 48,033명 |
2. 역사
광주 안씨의 시조 '''안방걸'''은 고려 태조가 삼국을 통일할 때 광주 지역의 향리로서 광주 안정에 공을 세워 대장군에 오르고, 광주군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광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2. 1. 분파
광주 안씨는 총 6후(后) 24파(派)로 나뉜다. 주요 분파로는 총랑장공 휘 안정 후(摠郞將公 諱 安禎 后), 중랑장공 휘 안국주 후(中郞將公 諱 安國柱 后), 사간공 휘 안성 후(思簡公 諱 安省 后), 판사공 휘 안몽득 후(判事公 諱 安夢得 后), 호군공 휘 안충 후(護軍公 諱 安沖), 위위주부공 휘 안창 후(衛尉注簿公 諱 安昌 后) 등이 있다. 각 파는 파조의 이름이나 관직명을 따라 명명되었다.총랑장공 휘 안정 후에는 봉사공파(奉事公派), 락도공파(樂道公派), 동주공파(東注公派)가 있다. 중랑장공 휘 안국주 후에는 진사공파(進士公派), 불언재공파(不言齋公派), 완귀공파(玩龜公派) (일명 설서공파(說書公派)), 부사맹공파(副司猛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선략장군공파(宣略將軍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도곡공파(道谷公派), 월호공파(月湖公派),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가 있다.
사간공 휘 안성 후에는 주부공파(主簿公派), 서령공파(暑令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가 있다. 판사공 휘 안몽득 후에는 봉사공파(奉士公派), 매죽헌공파(梅竹軒公派), 첨지공파(僉知公派), 사헌공파(使憲公派) (일명 휴명공파(休命公派)), 교리공파(校理公派) (일명 동지공파(同知公派))가 있다.
호군공 휘 안충 후에는 참의공파(參義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가 있다. 위위주부공 휘 안창 후에는 위위주부공파(衛尉注簿公派) (일명 밀양사포파(密陽沙浦派))가 있다.
2. 2. 세계
광주 안씨(廣州 安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 때 광주군(廣州君)에 봉해진 고려대장군(高麗大將軍) '''안방걸(安邦傑)'''이다. 이후 고려시대 주요 인물로는 안국신(安國信, 문하시중), 안여중(安礪仲, 문하시랑), 안보평(安輔平, 내사시랑) 등이 있다. 14세 안유(安 綏, 전중시어사) 이후 경상남도 함안으로 이거하여 전국으로 확산하였다.3. 주요 인물
3. 1. 조선시대
안성(1344년 ~ 1421년)은 1380년(우왕 6)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직학사를 거쳐 상주판관이 되었다. 조선 개국 후 최초 청백리이며 영백, 해백, 한성윤, 강원도 관찰사, 좌참찬, 개성유휴를 거쳐 평양백하였다. 관찰사 부임시 태종의 친필을 받았고 그 판각본이 현재 남아있다. 시호는 사간(思簡)이다.안완경(? ~ 1453년)은 1423년(세종 5) 식년문과 급제, 집현전 직제학, 중시(重試)급제, 부제학, 대사헌을 거쳐 충청감사 재임시 계유정난후 수양대군에 의하여 순절하였다. 단종의 충신으로 강원도 영월 정충단(貞忠壇)에 부식하다. 호는 정암(貞庵)이다.
안팽명(1447년~ 1492년)은 안성의 손자이다. 1476년 문과급제, 통정대부, 지재교, 대사간, 대사성겸 춘추관 편수관하였다. 청백리(淸白吏)에 록(錄)함.
안윤손(1450년 ~ 1520년)은 1476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참판에 이르렀다.
안황(1549년 ~ 1593년)은 1574년(선조 7) 문과에 합격하고, 1590년 사도시정(司䆃寺正), 1592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다가 1593년 의주로부터 환도하는 중도에 졸하였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광양군(廣陽君)에 추봉되었으며, 뒤에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안정복(1721년 ~ 1791년)은 역사학자, 실학자로, 조선조 최고 역사서 동사강목 외 다수 저술했다. 광주안씨 경술보(1790년)서두에 변무(辨誣=거짓을 밝힘)글로 "안씨동원보(安氏同原譜=조선의 안씨들은 중국에서 온 이씨이다 라는 거짓 족보)에 후손들은 속지말라" 라고 경계하였다. 광성군에 봉해짐. 잡동사니(雜同散異)라는 책명은 명사가 되었다.
안종화는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민영환과 함께 조약의 폐기를 강력히 주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낙향하였다.‘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를 편찬했다.
3. 2. 현대
안동수는 제50대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안경환은 서울대학교 법대 교수 및 제4대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4. 과거 급제자
광주 안씨는 조선시대에 총 165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문과 45명, 무과 11명, 사마시 109명이다. 1596년 선조 29년에 안종록(安宗祿, 1566 丙寅生)이 정시 갑과 장원급제를 하였고, 1602년 선조 35년에는 안욱(安旭, 1564 甲子生)이 알성시 갑과 장원급제를 하였다. 1528년 중종 23년에는 안주(安宙, 1495 乙卯生)가 식년시 을과에 급제하였다. 1586년 선조 19년 안대진(安大進, 1561 辛酉生)은 중시 병과, 1621년 광해군 13년 안헌징(安獻徵, 1600 庚子生)은 정시 을과에 급제하였다. 1726년 영조 2년 안후석(安后奭, 1683 癸亥生)은 식년시 병과, 1887년 고종 24년 안효철(安孝轍, 1855 乙卯生)은 별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494년 성종 25년 안구(1855 乙卯生)는 별시 병과, 1507년 중종 2년 안한영(安漢英, 1855 乙卯生)은 증광시 병과, 1524년 중종 19년 안우(安宇, 1855 乙卯生)는 별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5. 본관 및 집성촌
본관 광주는 현재 경기도 광주시 일대를 가리킨다. 주요 집성촌은 경기도 하남시 감북동, 하사창동, 광주시 중대동, 덕곡동, 장지동,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남도 천안시 불당동, 서산시, 청양군 청양읍 군량리,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홍성군 장곡면 상송리,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보령시 남포면 삼현리,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 남원시 보절면 괴양리,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방송리, 화순군 북면 다곡리,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호명리, 영천군 금호읍 도남동, 청도군 운문면 지촌동,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대송리, 칠북면 가연리, 영동리, 밀양시 상동면 금포리, 성만리, 부북면 사포리, 유방리, 초동면, 김해시 진영읍 의전리, 진례면 시례리, 예동,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 울산광역시 범서면, 두산면, 망성,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등지에 분포한다.
5. 1. 대종회
광주 안씨 대종회는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선왕동의 봉산재(逢山齋)에 있다.광주 안씨는 시조로부터 14세인 전중시어사 휘 유(綏)공이 경상남도 함안(咸安)으로 이거(移居)하였고, 이후 모든 광주 안씨 후손들은 함안에서 전국으로 확산하였다. 경기도 광주의 갈마치(시조의 무덤이 있다는 산) 아래 텃골(德谷)과 인근에도 세거지(世居地=집성촌)가 있으며, 매년 춘향제(春享祭)는 경남 함안군 선왕동의 봉산재에서 모신다.
6. 인구
광주 안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3,609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48,033명으로 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