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15호선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5호선은 일본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를 기점으로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를 종점으로 하는 일반 국도이다. 1952년 12월 4일 1급 국도로 지정되었으며, 1965년 4월 1일 일반 국도로 변경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도쿄도 주오구, 미나토구, 시나가와구, 오타구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요코하마시 쓰루미구, 가나가와구가 있다. 이 도로는 니혼바시, 야쓰야마 다리, 로쿠고 다리 등 주요 다리를 포함하며, 도쿄 지하철, 게이힌 급행 전철 등 다양한 철도 노선과 교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나가와구 - 배의 과학관
    배의 과학관은 일본선박진흥회의 지원으로 1974년 개관한 해양 과학 박물관으로, 본관은 크루즈 여객선을 모티브로 설계되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2024년 2월부터 해체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 국도 제15호선 (일본) - 가와사키슈쿠
    가와사키슈쿠는 1623년 도카이도에 설치된 역참으로, 시나가와주쿠와 가나가와주쿠 사이의 거리 단축, 가와사키대사 참배객, 로쿠고의 나루터 연결 등으로 교통 요지였으나 메이지 시대 철도 개통으로 역참 기능을 상실했고 현재는 교류관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있다.
  • 국도 제15호선 (일본) - 가나가와슈쿠
    가나가와슈쿠는 에도 시대 도카이도의 역참 마을이자 사가미국 물품 수송로의 일부로 번성했으며, 미일수호통상조약으로 개항지로 지정되었으나 요코하마 항이 개항되면서 요코하마시에 합병되었다.
  • 오타구 - 도쿄도 제4구
    도쿄도 제4구는 오타구 일부를 관할하는 중의원 의원 선거구로, 1996년 41회 총선부터 시작되었으며 선거구 획정에 따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고, 아라이 마사카게, 모리타 켄사쿠, 타이라 마사아키 등이 주요 선출 의원이며 2021년 총선에서는 타이라 마사아키가 당선되었다.
  • 오타구 - 이케가미통신기
    이케가미통신기는 1946년 설립되어 텔레비전 카메라 개발을 시작으로 세계 최초 휴대용 텔레비전 카메라 개발, ENG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을 개발하며 방송 기술 발전에 기여한 일본의 방송 및 영상 기술 전문 기업이다.
국도 제15호선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본 국도 15호선 지도
노선도
노선 정보
국가일본
종류일반국도
노선 번호15
총 연장29.6 km
실제 연장29.4 km
현존 도로29.1 km
제정1952년 (쇼와 27년)
노선 정보
별칭다이이치 게이힌 (第一京浜)
시점 및 종점
기점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 (35)
주요 경유 도시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종점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 아오키도리 교차로 (35)
연결 도로
주요 연결 도로국도 1호선
국도 4호선
국도 20호선
국도 130호선
국도 131호선
국도 409호선
국도 132호선
연결 도로 (북쪽)니혼바시, 주오, 도쿄
연결 도로



연결 도로 (남쪽)요코하마
기타 정보
이전 노선14호선
다음 노선16호선

2. 역사

1934년(쇼와 9년) 5월 1일 당시 "1호 국도"와 니혼바시 - 가나가와 간이 중복 구간이었던 "36호 국도"(도쿄시에서 요코하마 항에 이르는 노선)의 경로가 그 해에 착공한 신케이힌 국도의 경로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오타구의 일부인 당시의 가마타구 우메야시키 앞과 로쿠고 우편국 앞에 일본 최초의 푸시 버튼식 신호등이 설치되었다.[23]

1952년 (쇼와 27년) 12월 4일 『도로법』에 근거한 『노선 지정』에서 "1급 국도 15호"로 도쿄도 주오구(니혼바시)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가나가와) 간이 지정되었다.

1965년 (쇼와 40년) 4월 1일 도로법 개정으로 1급·2급 구별이 없어지고, "일반 국도 15호"가 되었다.

2. 1. 메이지 시대 이전

1876년 (메이지 9년) 6월 8일 - 『도로의 등급을 폐지하고 국도, 현도, 리도를 정함』에 의해 국도, 현도, 리도가 지정되었다. 이때는 도로를 국도, 현도, 리도의 각각 1등 - 3등으로 분류하는 등급제였으며, 현재의 번호에 의한 구분은 아니었다.[10]

그 후, 국도의 등급은 1885년 1월 6일 『국도의 등급을 폐지하고 그 폭원을 정함』에 의해 폐지되었다.

1885년 (메이지 18년) 2월 24일 - 『내무성 고시 제6호』 (국도표)에 의해 국도 노선에 번호가 부여, 지정되어, "1호"(도쿄에서 요코하마에 이르는 노선), "2호"(도쿄에서 오사카 항에 이르는 노선) 외, 44개 노선이 지정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1호 국도는 일본 다리에서 요코하마항에 이르는 국도였다. 일본 다리에서 가나가와까지의 구간은 현재에도 남아있는 구 도카이도와 같으며, 가나가와에서부터는 만리 다리[11]를 건너 관설 철도[12]에 평행하게 초대 요코하마역 앞에서, 현재의 국도 133호를 거쳐 요코하마항[13]까지의 도로와 같다. 이 1호 국도는 통칭 "경빈 국도"라고 불린다.

1920년 (다이쇼 9년) 4월 1일 - 이 해에 시행된 『도로법』에 근거한 『노선 인정』이 시행되었다. 첫 번째 "1호 국도"(도쿄시에서 이세 신궁에 이르는 노선)는 니혼바시에서 이세 신궁까지로 지정되었고, 두 번째 이후는 도쿄에서 각 부현청 소재지에 이르는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국도 15호에 해당하는 경로는 1호 국도 등의 니혼바시 - 가나가와 간이다.

2. 2.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1885년(메이지 18년) 국도 지정에 의해 국도 15호의 전신인 메이지 시대의 "1호 국도"가 지정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1호 국도는 일본 다리에서 요코하마항에 이르는 국도였다. 일본 다리에서 가나가와까지의 구간은 현재에도 남아있는 구 도카이도와 같으며, 가나가와에서부터는 만리 다리[10][11]를 건너 관설 철도[12]에 평행하게 초대 요코하마역 앞에서, 현재의 국도 133호를 거쳐 요코하마항[13]까지의 도로와 같다. 이 1호 국도는 통칭 "경빈 국도"라고 불린다.

다이쇼 시대가 되면서 경빈 국도의 교통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 문제도 많아졌다[15]。 이러한 교통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도쿄부가나가와현이 시나가와의 야쓰야마 다리에서 가나가와의 아오키 다리까지 개축하는 계획을 세웠고, 야쓰야마 다리에서 나마무기까지 개축이 이루어졌다. 그 후 제도 부흥원이 나마무기에서 표다카시마까지 개축하여, 야쓰야마 다리에서 표다카시마에 이르는 거리 약 22.5km, 총 공사비 약 1293만(당시 금액)의 개축이 이루어졌다[16]

먼저, 가나가와현이 1918년(다이쇼 7년) 6월에 "1호 국도 개수 사무소"를 설치하고, 같은 해 7월에 로쿠고바시에서 나마무기까지의 구간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도쿄부가 1920년(다이쇼 9년) 6월 1일에 "국도 개수 사무소"를 설치하고, 야쓰야마 다리에서 로쿠고바시까지의 공사가 착수되었다[15][17]1925년(다이쇼 14년) 8월 3일에 로쿠고바시와 로쿠고바시에서 나마무기까지의 구간이 완성[18]되었고, 1927년(쇼와 2년) 11월 28일에 야쓰야마 다리에서 로쿠고바시까지의 구간이 완성된다[19]1919년(다이쇼 8년)과 1921년(다이쇼 10년)에 폭원을 넓히는 공사 변경을 하였다[15]。 개축 비용은 도쿄부와 가나가와현이 부담했지만, 내무성 토목국의 도로 개량비에서 개축 비용의 2분의 1의 보조를, 로쿠고바시는 3분의 1의 보조를 받고 있다[15]

그 후, 1923년(다이쇼 12년) 9월 28일에 간토 대지진의 부흥 사업으로 지정되어, 제도부흥원이 1924년(다이쇼 13년)에 나마무기에서 표다카시마까지의 구간의 개축에 착수하여, 1930년(쇼와 5년) 10월에 게이힌 국도의 개축이 완성된다[15][16]

이 중, 시나가와의 야쓰야마 철교에서 현 경계인 로쿠고바시에 대해서는, 1926년(다이쇼 15년) 11월 28일까지 완성되어, 하이리・오모리 경계 매립지에서 준공 축하회가 개최되었다. 도로에는 가로수를 설치하여 보차도를 구분, 차도는 8칸(약 14.4m)으로 아스팔트 포장이 되었다. 보도는 양쪽에 약 2칸(약 3.6m)을 배치하고, 가로수로 플라타너스와 아카시아가 심어졌다[20]

이 게이힌 국도의 개축은, 개축과 동시에 철도와의 교차를 모두 입체 교차로 하는 계획이었으며, 전신주도 모두 없앨 예정이었다. 그러나, 게이힌 전기 철도 본선과의 스즈가모리에서의 교차, 게이힌 전기 철도 다이시선과의 로쿠고바시 남쪽 종점에서의 교차는 입체 교차로 하는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게이힌 전기 철도 본선과의 야쓰야마 다리에서의 병용 궤도, 및, 게이힌 전기 철도 아나모리선과 해안 전기 궤도와의 교차는 평면 교차로 남게 되었고, 전신주도 없어지지 않았다. 입체 교차의 계획에서, 도쿄부가나가와현, 내무성, 철도성의 무계획함으로 인해 평면 교차의 지점이 남게 되어[21], 힘들게 거액을 투입한 개축이 의미를 이루지 못하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전신주를 없애는 것에 대해서도, 체신성이 예외를 인정했기 때문에 경시청에서 예외를 요구했고, 그리고, 도쿄 전등과 도쿄시 전기국 등 차례차례 요구가 확대되는 결과가 된다[15]

기존 입체 교차로 문제 외에도, 그 후 교통량 증가와 교통사고 증가로 인해 경빈 국도 개축 완료 후 불과 수년 만에 새로운 도로 계획에 도달했다. 먼저, 도쿄부와 가나가와현에 의해 도쿄부도 시모오사키 가와와선·가나가와현도 미야코다 시모오사키선, 도쿄부도 오모리 다이시 카와라선·가나가와현도 타지마 하네다선 등을 정비하여 대책을 마련했지만, 내무성은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우회도로로서 '신케이힌 국도'를 건설하게 되었다.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의 연표'''

연도사건
1876년 (메이지 9년) 6월 8일『도로의 등급을 폐지하고 국도, 현도, 리도를 정함』에 의해 국도, 현도, 리도가 지정. 이때는 도로를 국도, 현도, 리도의 각각 1등 - 3등으로 분류하는 등급제였으며, 현재의 번호에 의한 구분은 아니었음.
1885년 (메이지 18년) 2월 24일『내무성 고시 제6호』 (국도표)에 의해 국도 노선에 번호가 부여, 지정되어, "1호"(도쿄에서 요코하마에 이르는 노선), "2호"(동(도쿄에서) 오사카 항에 이르는 노선) 외, 44노선이 지정.
1918년 (다이쇼 7년) 7월게이힌 국도의 개축이 시작.
1920년 (다이쇼 9년) 4월 1일『도로법』에 근거한 『노선 인정』이 시행. 첫 번째 "1호 국도"(도쿄시에서 이세 신궁에 이르는 노선)는 니혼바시에서 이세 신궁까지로 지정, 2번째 이후는 도쿄에서 각 부현청 소재지에 이르는 노선으로 지정. 현재의 국도 15호에 해당하는 경로는 1호 국도 등의 니혼바시 - 가나가와 간.
1923년 (다이쇼 12년) 9월 28일게이힌 국도 개축은 간토 대지진의 부흥 사업이 됨.
1925년 (다이쇼 14년) 8월 3일로쿠고 다리에서 나마무기까지 구간의 개축이 완성.
1927년 (쇼와 2년) 11월 28일얏쓰야마 다리에서 로쿠고 다리까지 구간의 개축이 완성.
1930년 (쇼와 5년) 10월게이힌 국도의 개축이 완성.
1934년 (쇼와 9년) 5월 1일"1호 국도"와 니혼바시 - 가나가와 간이 중복 구간이었던 "36호 국도"(도쿄시에서 요코하마 항에 이르는 노선)의 경과지를 변경하여, "신케이힌 국도"의 경로로 변경.
1934년 (쇼와 9년) 7월오타구의 일부인 당시의 가마타구 우메야시키 앞과 로쿠고 우편국 앞에 일본 최초의 푸시 버튼식 신호등이 설치[23]


2. 3. 쇼와 시대 이후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경빈 국도의 교통량이 증가하고 교통사고 문제도 많아졌다.[15] 이러한 교통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도쿄부가나가와현시나가와의 야쓰야마 다리에서 가나가와의 아오키 다리까지 개축하는 계획을 세웠고, 야쓰야마 다리에서 나마무기까지 개축이 이루어졌다. 그 후 제도 부흥원이 나마무기에서 표다카시마까지 개축하여, 야쓰야마 다리에서 표다카시마에 이르는 거리 약 22.5km, 총 공사비 약 1293만(당시 금액)의 개축이 이루어졌다.[16]

가나가와현은 1918년(다이쇼 7년) 6월에 "1호 국도 개수 사무소"를 설치하고, 같은 해 7월에 로쿠고바시에서 나마무기까지의 구간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도쿄부는 1920년(다이쇼 9년) 6월 1일에 "국도 개수 사무소"를 설치하고, 야쓰야마 다리에서 로쿠고바시까지의 공사가 착수되었다.[15][17] 1925년(다이쇼 14년) 8월 3일에 로쿠고바시와 로쿠고바시에서 나마무기까지의 구간이 완성[18], 1927년(쇼와 2년) 11월 28일에 야쓰야마 다리에서 로쿠고바시까지의 구간이 완성된다.[19] 1919년(다이쇼 8년)과 1921년(다이쇼 10년)에 폭원을 넓히는 공사 변경을 하였다.[15] 개축 비용은 도쿄부와 가나가와현이 부담했지만, 내무성 토목국의 도로 개량비에서 개축 비용의 2분의 1의 보조를, 로쿠고바시는 3분의 1의 보조를 받고 있다.[15]

1923년(다이쇼 12년) 9월 28일, 간토 대지진의 부흥 사업으로 지정되어, 제도부흥원이 1924년(다이쇼 13년)에 나마무기에서 표다카시마까지의 구간의 개축에 착수하여, 1930년(쇼와 5년) 10월에 게이힌 국도의 개축이 완성된다.[15][16]

시나가와의 야쓰야마 철교에서 현 경계인 로쿠고바시에 대해서는, 1926년(다이쇼 15년) 11월 28일까지 완성되어, 하이리・오모리 경계 매립지에서 준공 축하회가 개최되었다. 도로에는 가로수를 설치하여 보차도를 구분, 차도는 8칸(약 14.4m)으로 아스팔트 포장이 되었다. 보도는 양쪽에 약 2칸(약 3.6m)을 배치하고, 가로수로 플라타너스와 아카시아가 심어졌다.[20]

이 게이힌 국도의 개축은, 개축과 동시에 철도와의 교차를 모두 입체 교차로 하는 계획이었으며, 전신주도 모두 없앨 예정이었다. 그러나, 게이힌 전기 철도 본선과의 스즈가모리에서의 교차, 게이힌 전기 철도 다이시선과의 로쿠고바시 남쪽 종점에서의 교차는 입체 교차로 하는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게이힌 전기 철도 본선과의 야쓰야마 다리에서의 병용 궤도, 및, 게이힌 전기 철도 아나모리선과 해안 전기 궤도와의 교차는 평면 교차로 남게 되었고, 전신주도 없어지지 않았다. 도쿄부가나가와현, 내무성, 철도성의 무계획함으로 인해 평면 교차의 지점이 남게 되어[21], 힘들게 거액을 투입한 개축이 의미를 이루지 못하는 결과가 되었다. 체신성이 전신주를 없애는 것에 대해 예외를 인정했기 때문에 경시청에서 예외를 요구했고, 도쿄 전등과 도쿄시 전기국 등 차례차례 요구가 확대되었다.[15]

기존 입체 교차로 문제 외에도, 교통량 증가와 교통사고 증가로 인해 경빈 국도 개축 완료 후 불과 수년 만에 새로운 도로 계획에 도달했다. 도쿄부와 가나가와현은 도쿄부도 시모오사키 가와와선·가나가와현도 미야코다 시모오사키선, 도쿄부도 오모리 다이시 카와라선·가나가와현도 타지마 하네다선 등을 정비하여 대책을 마련했지만, 내무성은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우회도로로서 '신케이힌 국도'를 건설하게 되었다.

  • 1934년(쇼와 9년)
  • * 5월 1일 - 당시 "1호 국도"와 니혼바시 - 가나가와 간이 중복 구간이었던 "36호 국도"(도쿄시에서 요코하마 항에 이르는 노선)의 경과지를 변경하여, 이 해에 착공한 "신케이힌 국도"의 경로로 변경된다.
  • * 7월 - 오타구의 일부인 당시의 가마타구 우메야시키 앞과 로쿠고 우편국 앞에 일본 최초의 푸시 버튼식 신호등이 설치된다.[23]
  • 1952년(쇼와 27년) 12월 4일 - 『도로법』에 근거한 『노선 지정』에서, "1급 국도 15호"로 도쿄도 주오구(니혼바시)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가나가와) 간이 지정된다.
  • 1965년(쇼와 40년) 4월 1일 - 도로법 개정으로 1급·2급 구별이 없어지고, "일반 국도 15호"가 된다.

3. 주요 경유지 및 시설

도쿄도가나가와현을 경유한다. 경유하는 지자체는 다음과 같다.



주요 경유지 내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1. 주요 접속 도로 및 시설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7호선
(기점)도쿄도주오구수도 고속 도심 환상선국도 제1호선
국도 제20호선
(기점 - 니혼바시 네거리 중복됨)니혼바시 역
(도쿄 메트로 긴자 선, 도자이 선)도쿄도도 제10호선도쿄도도 제408호선교바시 역
(도쿄 메트로 긴자 선)동일본 여객철도 게이요 선긴자 1초메 역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도쿄도도 제304호선긴자 역
(도쿄 메트로 긴자 선, 히비야 선)도쿄도도 제316호선
제405호선미나토구신바시역다이몬 역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지하철 오에도 선)수도 고속 도심 환상선국도 제130호선도쿄도도 제409호선미타 역
(도쿄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지하철 미타 선)도쿄도도 제301호선센가쿠지 역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415호선시나가와역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야마노테 선,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317호선시나가와구기타시나가와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국도 제357호선
도쿄도도 제317호선신반바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421호선아오모노요코초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420호선
도쿄 임해 고속 철도 린카이 선사메즈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다치아이가와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316호선스즈가모리 나들목
(수도 고속 1호 하네다 선)오모리 해안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헤이와지마 역오타구도쿄도도 제318호선오모리마치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국도 제131호선
도쿄도도 제6호선우메야시키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도쿄도도 제11호선게이큐 가마타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공항선)게이힌 급행 전철 공항선도쿄도도 제311호선조시키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로쿠고 제방 역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다마강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게이힌 급행 전철 다이시 선국도 제409호선가와사키 경마장국도 제132호선
가나가와현도 제9호선가나가와현도 제101호선가나가와현도 제140호선동일본 여객철도 난부 선쓰루미강요코하마시쓰루미구가나가와현도 제14호선가나가와현도 제104호선고쿠도역
(동일본 여객철도 쓰루미 선)가나가와현도 제6호선다카시마 선
(동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가나가와현도 제111호선가나가와구히가시카나가와 나들목
(수도 고속 가나가와 1호 오우 선)국도 제1호선


3. 2. 주요 다리

4. 갤러리

국도 130호선과의 분기, 도쿄도 미나토구 시바 2초메


신바시에서 가와사키 방면을 바라봄

5. 문화

5. 1. 도로명

참조

[1]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www.mlit.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2-19
[2] 웹사이트 http://www.ktr.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2010-11-29
[3] 웹사이트 交通規制のお知らせ 第89回東京箱根間往復大学駅伝競走 http://www.keishicho[...] 警視庁 2013-01-01
[4] 웹사이트 交通規制のお知らせ 第89回東京箱根間往復大学駅伝競走 http://www.police.pr[...] 神奈川県警察本部 2013-01-01
[5]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40年3月29日政令第58号) https://laws.e-gov.g[...] 総務省 行政管理局 2019-10-30
[6] 문서 일반국도의 노선을 지정하는 정령의 최종 개정일인 2004년 3월 19일의 정령(헤세이 16년 3월 19일 정령 제50호)에 근거한 표기.
[7] 웹사이트 表26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道路局 2024-04-02
[8] 문서 2022년 3월 31일 현재
[9] 웹사이트 一般国道の指定区間を指定する政令(昭和33年6月2日政令第164号) https://laws.e-gov.g[...] 総務省 行政管理局 2020-05-19
[10] 문서 당초의 다리와는 달리 현재의 만리교는 요코하마 시도 요코하마 역 네기시 선을 잇는 방향으로 놓여 있다.
[11] 문서 참고자료 「국토지리원 지형도」, 외부 링크 「레일을 깔면서, 거리를 만들면서…」
[12] 문서 동해도 본선(관설철도)의 일부였던 현재의 요코하마역-사쿠라기초역 간은 현재 네기시선이 되어 있다.
[13] 문서 도로 관계 법령에서 요코하마 항이란 현재 오산바시의 입구인 개항 광장 앞 부근을 가리킨다.
[14] 문서 참고문헌 『개량된 경함국도』에 같은 장소의 사진이 게재되어 있다.
[15] 문서 참고문헌 『개량된 경함국도』
[16] 문서 참고문헌 『막다른 경함국도』
[17] 문서 참고문헌 『1호 국도 개축 공사 개요』
[18] 문서 참고문헌 『회보, 경함국도 가나가와현 관내 개축 공사 준공식』
[19] 문서 참고문헌 『회보, 경함국도 준공식』
[20] 뉴스 品川から六郷橋まで第一京浜国道改修開通 時事新報 1926-11-29
[21] 문서 마지막까지 평면 교차로로 남았던 경급 공항선이 완전 고가화된 것은 2012년(헤세이 24년) 10월로, 개축 시작으로부터 1세기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22] 문서 참고문헌 『마루코바시 가설 공사의 대요』, 『다이시바시 가설 공사 개요』
[23] 문서 참고문헌 『지방 통신, 경함국도의 횡단 신호기』
[24] 웹사이트 東京都通称道路名一覧表 http://www.kensetsu.[...] 東京都建設局
[25] 웹사이트 東京都通称道路名地図(区部拡大版) http://www.kensetsu.[...] 東京都建設局
[26] 문서 신칸센의 야츠야마 터널은 지반을 파낸 것이 아니라, 지면을 모두 파내 제거하고 상자형 콘크리트 통(박스 칼버트)을 연결 설치한 것이다. 콘크리트 측면 외벽은 야마노테선 등의 차창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터널 상부 일부는 공원이 되어 있다.
[27] 문서 경함전기철도 본선의 구 시나가와역-다카나와역 간 일부는 국도 15호와 병용된 도쿄 전차 철도의 궤도선을 사용하고 있었다. 참고로, 야츠야마바시는 엄밀히 철도도로 병용교가 아니다.
[28] 뉴스 品川から六郷橋まで第一京浜国道改修開通 時事新報 1926-11-29
[29] 문서 실제 연장은 29.4km, 현도는 29.1km이다. 그러나 29.2km로 기재되어 있는 것은 잘못된 내용이다.
[30] 문서 일본어 위키백과의 내용이나 1번 국도 관련 동음이의어 등을 근거하여 기술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