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마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강은 야마나시현 가사토리산에서 발원하여 도쿄를 거쳐 도쿄만으로 흘러드는 일본의 강이다. 오고치 댐을 거쳐 오메를 지나면서 지치부 타마 가이 국립공원을 통과하며, 하무라에는 에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다마가와 수도의 수원지가 있다. 도쿄와 가나가와현의 경계를 이루며 하네다 공항 근처에서 도쿄만으로 흘러든다. 과거에는 자갈 채취와 홍수로 인한 피해가 있었으나, 현재는 수질 개선을 통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를 이루고 있으며, 식수 공급, 레저 활동, 자전거길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2. 지리

야마나시현사이타마현의 경계에 있는 가사토리산(높이 1953m)에서 발원하여, 도쿄도가나가와현 사이를 흘러 도쿄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하무라에는 1653년 다마가와 형제[1]에 의해 에도(현재의 도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된 유서 깊은 타마가와 수도의 수원지가 있다.

다마가와 수계의 북쪽 분수계는 지치부에서 오쿠타마의 산중에서는 사이타마현과의 현 경계를, 무사시노 대지에서는 무사시노면의 남쪽 가장자리에 가까운 곳을 지나고 있으며, 타마가와 상하수도는 거의 그에 맞춰 개착되었다. 수원에서 하류 중 상류쪽(도쿄도 미타카시 부근)까지는 아라카와와 분수계를 접하고, 하류 중 하구쪽(도쿄도 세타가야구 부근보다 하류)에서는 메구로가와와 논가와와 분수계를 접한다. 즉, 무사시노 대지의 고위면인 무사시노면에 내린 비는 지표를 흐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마가와에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다마가와의 흔적인 강으로 추정되는 유로를 따라 아라카와 수계로 유입된다.

남쪽 분수계는 간토 산지에서 다마 구릉을 통과하고 있다. 중류 이후의 다마가와 지류는 압도적으로 우안에 집중되어 있다. 다마가와 수계 최대의 유역 면적을 가진 아키가와도, 가장 간선 유로 연장이 큰 아사카와도 우안에 있다. 이것은 간토 평야가 주변부가 융기하고, 중앙부가 침강하고 있는 영향이다. 남쪽 분수계는 상류부에서는 후지강사가미강과, 중류 이후에서는 사카이가와와 쓰루미강의 분수계와 접하고 있다.

절벽선(다마가와 중류역에서는 "'''하케'''" 또는 "'''마마'''"라고 부른다) 아래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용수를 모으고 있는 것이 중류 이후의 좌안에서 가장 큰 지류인 노가와이다. JR 주오선 고쿠분지 역 부근에 있는 몇몇 샘을 수원으로 하여 거의 고쿠분지 절벽선을 따라 용수를 모으면서 흘러가 세타가야구 다마가와 1초메에서 본류와 합류한다. 다치카와 절벽선 아래에서도 마찬가지로 용수를 모은 흐름이 있지만, 여기에서의 주역은 후츄 용수를 시작으로 하는 몇몇 용수로이다.

다마 강 유역에 걸쳐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의 유역의 정의는 넓게, 다마강에 용수, 또는 우수가 흘러 들어가는 지역을 의미하며, 여기에 언급된 자치 단체가 존재하는 구역에 다마강 본류가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마강 본류가 흐르고 있는 자치 단체에는 ○표를 붙였다.


도쿄도 히가시야마토시의 무라야마 저수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이루마시의 야마구치 저수지는 하무라 취수 보 또는 고사쿠 취수 보에서 다마강의 물을 도수하고 있기 때문에 다마강 수계가 된다[24]。3시는 아라카와 유역이며, 양 저수지 모두 아라카와 수계의 하천에도 연결되어 있다.

다마강은 중류 이후, 오메를 정점으로 하는 광대한 선상지를 형성하여 현재의 무사시노 대지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그 외에 있던 모든 구릉(사야마 구릉 제외)을 깎아 평탄한 지형을 만들었다.

수만 년 전 이후, 무사시노 대지의 융기에 의해 다마강 중류는 이 대지의 남쪽 가장자리로 밀려나 현재와 같이 다마 구릉의 북쪽 가장자리를 흐르게 되었다.

유역에서는 구석기 시대 이후의 유적고분이 발견되었으며, 강을 따라 일찍부터 사람들이 정주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2. 1. 발원지 및 상류

야마나시현사이타마현의 경계에 있는 가사토리산(높이 1953m)에서 발원한다.[20] 야마나시현 고슈 가사토리산에서 동쪽으로 흘러 도쿄 서부의 산악 지대로 들어가, 오고치 댐이 오쿠타마 호를 형성한다. 댐 아래에서 다마강이라는 이름을 얻어 지치부 타마 가이 국립공원을 지나 오메 시로 동쪽으로 흐른다.

오고치 댐


가사토리산(해발 1953m) 산정 남쪽 사면 아래 "미즈히"를 발원지로[20] '''이치노세가와'''가 시작되어 남쪽으로 흘러가고, 서쪽의 야나기사와 고개에서 흘러오는 야나기사와 강과의 합류점부터는 '''타바 강'''으로 불리며 동쪽으로 오쿠타마 호 (오고치 댐의 댐 호수)로 흘러든다.

'''다마가와'''라고 불리는 곳은 오쿠타마 호수의 물이 흘러나오는 코고우치 댐 하류부터이다. 그 후, 도쿄도 오메까지는 산 속을 동쪽으로 흐른다. 이 상류부는 지치부 타마 가이 국립공원에 포함된다. 이 구간을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오메선이 달리고 있다.

오메선 미타케역 주변은 1985년 (쇼와 60년)에 '''미타케 계류'''로서 명수백선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21] 양쪽 강둑에는 약 4km의 산책로가 정비되어 있다.

도쿄도 니시타마군 오쿠타마마치 시로마루에는 시로마루 댐이 있다.

2. 2. 중류

오고치 댐 아래에서 다마 강이라는 이름을 얻어 지치부 타마 가이 국립공원을 지나 오메 시 동쪽으로 흐른다. 그 후, 타마 언덕과 무사시노 대지 사이를 남동쪽으로 흐른다.

'''다마가와'''라고 불리는 곳은 오쿠타마 호의 물이 흘러나오는 코고우치 댐 하류부터이다. 그 후, 도쿄도 오메까지는 산 속을 동쪽으로 흐른다. 이 상류부는 지치부 타마 가이 국립공원에 포함된다. 이 구간을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오메선이 달리고 있다.

오메선 미타케역 주변은 1985년(쇼와 60년)에 '''미타케 계류'''로서 명수백선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21] 양쪽 강둑에는 약 4km의 산책로가 정비되어 있다.

도쿄도 니시타마군 오쿠타마마치 시로마루에는 시로마루 댐이 있다. 오메에서부터는 대체로 남동쪽으로 타마 언덕과 무사시노 대지 사이를 여울과 소(沼)를 반복하며 흘러 내려간다. 좌안의 무사시노 대지의 하안단구는 과거의 다마 강이 만든 것이다. 단구 절벽은 아래에서부터 다치카와 절벽선(후추 절벽선), 코쿠분지 절벽선이라고 불리며, 다치카와 절벽선 아래를 다마강 저지, 양 절벽선 사이를 다치카와면, 최상단을 무사시노면이라고 부른다.

2. 3. 하류

오메에서부터는 대체로 남동쪽으로 다마 언덕과 무사시노 대지 사이를 여울과 소(沼)를 반복하며 흘러 내려간다. 좌안의 무사시노 대지의 하안단구는 과거의 다마강이 만든 것이다. 단구 절벽은 아래에서부터 다치카와 절벽선(후추 절벽선), 고쿠분지 절벽선이라고 불리며, 다치카와 절벽선 아래를 다마강 저지, 양 절벽선 사이를 다치카와면, 최상단을 무사시노면이라고 부른다. 도쿄도 하무라시에서 타마가와 상하수도로 취수되는 하무라 취수언 부근이나 국립시 아오야기 부근의 다마강은 무사시노 대지의 저위면에 직접 부딪혀 흐르고 있다. 또한, 다마시의 오오구리강 합류점에서 무사시노 화물선 철교, 난부선 다마강 철교의 상류 부근까지는 다마 언덕에 직접 부딪히고 있다.[1]

도쿄도 조후시,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다마구로부터는 도쿄도와 가나가와현의 도현 경계를 따라 흐르며, 양쪽 모두 저지가 된다. 가와사키시 다마구에서 도쿄도 히노시에 걸쳐서는, 다마강이 운반한 자갈층이 지표면에 가까워 배수가 잘 되어 재배에 적합한 배가 특산품이 되고 있다. 특히 가와사키시 다마구와 도쿄도 이나기시가 생산의 중심이 되어 '''다마가와 배'''로 알려져 있다.

도쿄도 오타구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의 경계에서 도쿄만으로 흘러든다. 하구의 좌안에는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이 있다. 하류부 중 로쿠고 다리 부근부터 하류에 대해서는 '''로쿠고 강'''이라고도 불린다.[22] 우안의 하구(수준 척도)는 가와사키구 도노마치의 수위 관측소[23]에 있으며, "바다에서 20km"와 같은 표지의 원점이 된다. 지형으로는 3km 정도 더 내려간 우키시마초 공원 부근에서 게이힌항으로 흘러든다.

3. 명칭의 유래

만엽집에 실린 동가에 "다마강"이 등장한다. 835년에 조정에서 발한 태정관부에서는 마루코의 나루터 근방을 "무사시국 이세가와"라고 칭했다. 상류의 "단바가와(たばがわ)"와의 유사성은 흔히 언급되는 부분이다. 에도 시대에는 동음이의자를 사용하여 '''다마가와'''(たまがわ)라는 이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때문에 현대에도 다마가와라는 이름은 다마가와 상하수도나 후타코타마가와역과 같은 시설명이나 지명 등에 많이 남아있다.

명칭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어,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다마군"의 이름은 이 강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13][14]


  • 가장 유력한 것은 야마나시현단바야마 지역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다. 거기에서 상류의 강 이름인 "단바가와"(たばがわ)가 생겨났고, 사람들이 상류부에서 중류부로 이동함에 따라 변음되어 "타마가와"가 되었다[14]。 다마가와의 경우에는 단바야마 고개를 가리킨다고 한다. 또한, 중류부 사람들이 "타바"에서 흘러온 이 강을 "타바 강"이라고 불렀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15]
  • "타마"는 "영혼"을 의미하며, 즉 다마가와는 "영력을 가진 강", "신성한 강"이다. 무사시국총사인 오쿠니타마 신사 근처를 흐르며 미소기를 위한 성수를 제공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6]수신이 깃든 신성한 강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16]。또한, 옛날에 이 땅에 정착했던 부족이 국혼신을 숭배했기 때문에, 신성한 땅으로서 "영의 군"(타마노코오리), 신성한 강으로서 "영의 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17]
  • "타마"는 "옥석·아름다운 것·뛰어난 것"을 가리키는 말로, 이 강의 흐름이 "옥처럼 아름답고 깨끗"하기 때문에 "타마가와"라고 명명되었다[18]
  • "타마"는 "누리"(たまり)에서 일부가 탈락된 단어이다. 물 부족에 시달린 고대인들이 다마가와의 크기에 놀라 "고여 있는 물"이라고 칭찬한 데서 유래되었다[18]
  • "타마"는 "다마", 즉 "이 펼쳐져 있는 곳"을 의미하며, "사이타마군", "고다마군"과 어원이 같다. 다만, 이 설에서는 "다마군"의 이름이 먼저이고, 그곳을 흐르는 강으로서 "다마가와"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본다[19]

4. 역사

다마강은 경사가 급한 강으로, 선사 시대부터 "난폭한 강"으로 불렸다. 선사 시대의 고분이나 주거지는 범람원을 피해 고대에 있었지만, 취락은 점차 풍부한 물을 찾아 강을 따라 확대되었고, 항상 홍수에 시달렸다. 다마강은 토사의 유하와 퇴적이 커서 범람할 때마다 유로가 바뀌었다. 다마강에는 옛날부터 기내와 동국을 잇는 가도가 여러 개 있었지만, 당시 중국에서 전해진 기술로도 다마강에 다리를 놓는 것은 어려웠고, 배를 이은 주교 또는 도선에 의존했다. 범람으로 유로가 바뀌면서 유역의 마을을 분단하는 일도 자주 있었다. 현재와 같은 유로는 1590년의 대홍수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도 다마강 양쪽에 남아있는 오시타테, 후다, 우네네, 세타, 노게, 도도로키, 마루코 등의 지명은 한때 하나의 취락이었으며, 주로 강의 남쪽은 홍수로 황무지가 되었다. 1889년 시정촌제 시행 시에는, 이들 취락은 다마강이 분단한 채 도쿄부에바라군 또는 가나가와현 기타타마군에 속해 월경지가 되었고, 그 후에 경계 변경이 이루어졌다.

에도 시대 이후에도 대홍수는 빈번하게 발생했다. 전국 시대가 끝나고 군사적인 우려도 줄어들면서, 최하류에는 1600년도카이도의 가교로 로쿠고 다리가 놓였지만, 빈번하게 유실되어 재정을 압박했기 때문에 재건을 단념했다. 1688년부터 1874년까지는 다른 가도와 마찬가지로 나룻배가 되었다. 에도 시대는 유역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고, 특히 무사시노 대지 위는 이수가 어려워 무로마치 시대부터 많은 용수(다마가와 정수, 쇼와 용수, 후추 용수, 니카료 용수 등)가 끌어들여졌지만 홍수로 끊어지면 경작이나 음수에도 곤란을 겪었다.

제방은 옛날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 가제 둑이었으며 대홍수에서는 맥없이 붕괴되었다. 에도 시대부터의 관례로 유작지에서는 여러 역과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지만, 1873년의 지조 개정으로 지금까지 무세였던 유작지에도 과세하게 되었고, 마을이 자력으로 수해를 극복할 수 없게 되었다[46]。그러나 대규모 치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메이지 후반부터 다이쇼 초기에 걸쳐 대수해가 빈번했고, 특히 1910년 간토 일원을 물바다로 만든 메이지 43년의 대수해에서는 다마강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47]。피해의 요인으로는 부국강병 정책 하에서의 치수 사업비 압박, 교각 건설, 자갈 채취, 하천 부지를 이용한 과수 재배, 강가로의 공장 진출 등 무질서한 공업화・도시화가 있었다고 여겨진다[48]

이후 제방의 조기 실현을 요구하는 강변 주민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1914년 9월 16일, 미유키촌 출신 기치주군 의원 아키모토 기시로는 미유키, 히요시, 스미요시, 마치다의 각 촌민 수백 명과 함께 가나가와현청에 대거 진정을 갔다[49]이시하라 겐조가나가와현 지사와의 면회가 허가되었지만, 지사는 대거 진정의 부당함을 설득할 뿐, 제방에 대해서는 "고찰 중"을 반복했다[50]。당시 대거 진정은 단속 대상이었고, 전원이 촌보리가사(삿갓)를 쓰고 있었기 때문에, 이 행동은 "아미가사 사건"으로 다음날 각 신문에 크게 보도되었다[50]

취임한 아리요시 주이치 가나가와현 지사는 요망을 받아들여 1916년 2월부터 공사를 시작했지만, 강 건너편 도쿄부 측에서 반대 운동이 일어나 내무성의 중지 명령을 받았다[51]。아리요시 지사는 이 명령을 무시하고 공사를 속행, 도쿄부와의 대립은 타협되었고, 다음 달 10일에 제방이 완성되었다[51]。이 강행 공사로 아리요시 지사는 하천법 위반과 내무성 명령 위반으로 견책 처분을 받았지만, 주민은 지사의 노력을 칭찬하여 신제방을 "아리요시 둑"이라고 명명했다[51]。현재의 가스 다리에서 버스 노선을 따라 그 흔적이 남아있다[51]

1918년부터 내무성 직할의 본격적인 다마강 하류 개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도중 관동 대지진으로 제방에 균열이나 함몰이 발생했지만, 15년의 세월을 거쳐 1934년에 준공, 하구에서 후타코 다리까지 개수되었다[51]

그 후, 히노 다리까지의 개수가 진행되어 대규모 범람은 적어졌지만, 1974년 '''고마에 수해'''가 발생하여 크게 보도되었고 텔레비전 드라마(『강가의 앨범』)로도 만들어졌다. 니카료 스쿠가와라 제방의 북쪽 기슭에는 "다마강 붕괴의 비"가 세워져 있다[52]

1990년부터는 하구에서 히노 다리까지의 구간을 슈퍼 제방 (고규격 제방)으로 하는 정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후에도 집중 호우나 태풍 등으로 인해 하천 부지가 담수되어 구조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2019년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 (태풍 19호)에 의해 증수되어 제방 붕괴는 없었지만, 유역의 광범위한 지역이 고마에 수해 이후 45년 만에 큰 침수 피해를 입었다. 세타가야구다마가와에 제방 미정비 구간이 약 540m 있었던[53] 외에, 상정을 넘는 강우량에 의한 본류 수위 상승으로 지류에서의 배수가 불가능해지는 "배수" (백워터)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54][55]

4. 1. 고대 ~ 에도 시대

다마강은 중류 이후, 오메를 정점으로 하는 광대한 선상지를 형성하여 현재의 무사시노 대지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사야마 구릉을 제외한 모든 구릉을 깎아 평탄한 지형을 만들었다. 유역에서는 구석기 시대 이후의 유적고분이 발견되어, 강을 따라 일찍부터 사람들이 정주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1]

고대에 다마강은 "육옥천(むたまがわ)" 중 하나인 "조후의 다마가와"로 알려졌으며, 다마강에 얽힌 와카가 『만엽집』과 칙찬와카집에 다수 수록되었다.[1]

다마가와와 관련된 민간 전승 및 종교적 언설은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니치렌 종 계열 종교 집단 내에서 많이 그려진 니치렌의 입멸도가 있다. 니치렌은 1282년 9월에 세야에서 다마가와를 건너 현재의 이케가미 혼몬지가 있던 신도의 저택에 들어가 다음 달에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이후 석가모니 입멸도에 비유한 니치렌 입멸도가 많이 그려졌고, 그 그림들에 다마가와가 그려지게 되었다.[1]

다마가와 유역에는 다마가와에서 건져 올려졌다고 하는 본존이나 신체를 모신 사찰이 10곳 이상 존재한다. 가장 상류에 있는 곳은 도쿄도 후추시의 세키가미 명신사이며, 도쿄도 조후시의 진다이지, 가와사키시 다마구 노보리토의 젠류지와 죠넨지, 도쿄도 세타가야구 가미노게의 롯쇼 신사, 세타의 교젠지, 오타구 니시로쿠고의 안요지, 히가시로쿠고의 간조지 등이 있다. 도쿄도 후추시에 있는 오쿠니타마 신사의 세 번째 궁인 미코시는 과거 코레마사에서 다마가와의 수중에 가라앉히는 수중 도교가 행해졌다.[1]

닛타 요시오키의 고령 전설도 널리 알려져 있다.[1]

1831년에는 숙가와라 마을에 있던 소나무 고목 "쓰나사게마쓰"에 영험함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에도에서 관광객이 몰려들어 다음 해까지 소동이 이어졌다. 에도 막부는 풍기 문란을 문제 삼아 이를 철저하게 단속했고, 1833년에는 "쓰나사게마쓰"도 벌채되어 소동은 수습되었다.[1]

전국 시대에 도요토미 히데요시 아래에서 간토로 영지를 옮긴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다마강 하류의 선상지에서의 벼농사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597년에 용수 봉행・코이즈미 지다유에게 명하여 양쪽 강변의 관개용수로 건설에 착수했다. 1611년에 니카료 용수 (우안)와 로쿠고 용수 (좌안)가 완성되었다. 그 외에도, 1604년경부터 취수를 시작했다고 추정되는 다이마루 용수 (우안)나, 1654년부터 취수를 시작한 타마가와 상하수도 (좌안) 등의 용수로가 잇따라 정비되어, 수리 시설이 좋지 않았던 다마강 하류의 저지대・대지에 풍부한 농업 용수를 가져와 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에도의 생활을 지탱했다.[1]

4. 2. 근대 ~ 현대

다마강은 홍수에 매우 취약하여 역사적으로 주변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 때때로 대규모 홍수 이후 강의 흐름이 바뀌어 기존 정착지를 양분하기도 했다. 그 결과, 도도로키와 같이 강 양쪽의 지명이 같은 곳이 여러 곳 있다. 현재의 흐름은 1590년 홍수로 정해졌다.

제방은 수백 년 동안 설치되어 왔지만,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 20세기 초의 광범위한 토목 공사로 홍수 피해가 크게 줄었지만, 1974년 태풍으로 인해 코마에의 제방이 붕괴되어 19채의 가옥이 유실되었다. 1974년 이후로는 제방 붕괴가 없었다. 1990년부터 제방을 추가로 개선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일본의 대부분의 주요 강과 마찬가지로, 제방은 추가 홍수를 수용하기 위해 강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 제방과 강 사이의 탁 트인 공간은 풀과 관목으로 덮여 있으며, 많은 곳에서 운동장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녹지대와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추가 공간에도 불구하고, 2019년 10월 태풍 하기비스로 발생한 많은 양의 홍수는 가와사키시무사시-코스기역 및 인근 지역을 침수시켜 기반 시설 피해와 정전을 발생시켰다.[2][3]

하무라 취수 보


니카료 우에가하라 제방

5. 치수

다마강은 홍수에 매우 취약하여 역사적으로 주변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 때때로 대규모 홍수 이후에는 강의 흐름이 바뀌어 기존 정착지를 양분하기도 했다. 그 결과, 도도로키와 같이 강 양쪽에 지명이 같은 곳이 여러 곳 있다. 현재의 흐름은 1590년 홍수로 정해졌다.

제방은 수백 년 동안 설치되어 왔지만,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 1974년 태풍으로 인해 코마에의 제방이 붕괴되어 19채의 가옥이 유실되기도 했지만, 1974년 이후로는 제방 붕괴가 없었다. 1990년부터 제방을 추가로 개선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일본의 대부분의 주요 강과 마찬가지로, 제방은 추가 홍수를 수용하기 위해 강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 제방과 강 사이의 탁 트인 공간은 풀과 관목으로 덮여 있으며, 많은 곳에서 운동장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녹지대와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추가 공간에도 불구하고, 2019년 10월 태풍 하기비스로 발생한 많은 양의 홍수는 가와사키시의 무사시-코스기역 및 인근 지역을 침수시켜 기반 시설 피해와 정전을 발생시켰다.[2][3]

선사 시대부터 다마강은 "난폭한 강"으로 불릴 정도로 범람이 잦았다. 취락은 점차 풍부한 물을 찾아 강을 따라 확대되었지만, 항상 홍수에 시달렸다. 다마강은 토사의 유하와 퇴적이 커서 범람할 때마다 유로가 바뀌었다. 현재와 같은 유로에 가까워진 것은 1590년의 대홍수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에도 시대 이후에도 대홍수는 빈번하게 발생했다. 전국 시대가 끝나고 군사적인 우려도 줄어들면서 최하류에는 1600년도카이도의 가교로 로쿠고 다리가 놓였지만, 빈번하게 유실되어 재정을 압박했기 때문에 재건을 단념했다. 1688년부터 1874년까지는 다른 가도와 마찬가지로 나룻배가 되었다.

1918년부터 내무성 직할의 본격적인 다마강 하류 개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4년에 하구에서 후타코 다리까지 개수되었고, 그 후 히노 다리까지의 사이의 개수가 진행되어 대규모 범람은 적어졌지만, 1974년에는 '''고마에 수해'''가 발생했다.

1990년부터는 하구에서 히노 다리까지의 구간을 슈퍼 제방(고규격 제방)으로 하는 정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9년에는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 (태풍 19호)에 의해 증수되어 유역의 광범위한 지역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

6. 생태계

조후 보를 거슬러 올라가는 은어(2004년 4월)


다마강은 1950년대부터 도시화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었지만, 오염 방지 조치와 야생 동물 보호 구역 지정으로 많은 종이 돌아왔다.

잉어, 무지개송어, 산천어, 이와나(연어), 우구이(큰비늘납줄개), 은어 등이 상류에서 제한적 어업이 가능할 정도로 서식하며, 보에 어도 설치로 은어 상류 이동이 증가했다. 미꾸라지, 게, 거북, 가재도 서식한다.

가마우지, 물총새, 흰할미새, 알락오리, 왜가리, 중대백로, 동박새, 원앙, 붉은머리갈매기 등 조류가 흔하며, 1969년 야생 동물 보호 구역 지정 후 다양한 오리가 돌아왔다.

2002년 여름, 바다코끼리 타마찬이 마루코 다리 근처에서 발견되어 유명해졌다.[4]

최근 붉은귀거북, 피라냐외래종이 정착했는데, 이는 지구 온난화와 하수 처리장 폐수로 인한 수온 상승 때문이다. 2000년대 초 가와사키시 야마자키 미츠아키는 버려진 애완 물고기를 위한 "물고기 보호소"를 설립했다.[6]

다마강에는 길고양이가 많이 서식한다.[7]

하구는 하네다 공항 건설로 호안화되었지만, 우안(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이나 중주에는 갯벌과 갈대밭이 형성되어 있다. 과거 간척과 매립이 진행되었고, 양식조개잡이가 활발했으나, 공장 폐수로 어업이 쇠퇴했다. 현재는 일본의 중요 습지 500에 선정된[70] 귀중한 갯벌 환경으로, 다양한 저서 생물이 서식한다.[67]

조류는 겨울에 붉은부리갈매기, 재갈매기, 비오리, 청둥오리 등이 월동하고, 여름에는 제비갈매기 번식지이다. 과거에는 나그네새가 많이 찾아왔으나, 현재는 봄·가을에 물떼새·도요새류가 드물게 들른다.

하구 부근. 조수 간만의 영향을 받아 모래와 흙이 퇴적되어 갯벌 상태가 되어 있다.


게맛살(다이시카와라)


검은 벤케이게(다이시카와라)


모래알게(토노마치)


도요새(겨울깃털, 토노마치)


다마강에 서식하는 어류 및 수생 동물
구역주요 어종
오쿠타마 호수배스, 블루길, 무지개송어, 산천어, 연어, 피라미, 빙어, 참붕어, 피라미, 잉어, 붕어, 참붕어, 산천어, 꼬치고기, 산천어
상류역산천어, 산천어, 무지개송어, 피라미, 끄리, 피라미, 꺽정이, 미꾸리, 동자개, 가시납자리 등
중류역은어, 무지개송어, 말뚝망둥어, 피라미, 피라미, 버들치, 참갈겨니, 돌고기, 돌마자, 돌고기, 모래무지, 모래무지, 참갈겨니, 참갈겨니, 잉어, 잉어, 잉어, 붕어(붕어), 동사리, 꼬치고기, 저구리, 저구리, 민물검정망둑, 줄새코미꾸리, 메다카,

다마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류는 다음과 같다.

; 텃새

: 검은댕기해오라기, 황조롱이, , 갈까마귀, 물총새, 알락할미새, 멧새,

: 가마우지, 중백로, 해오라기, 왜가리, 청둥오리, 까마귀, 논병아리, 청딱따구리, 쇠물닭, 집비둘기, 직박구리, 꼬마물떼새, 흰목물떼새, 흰발갈매기, 알락할미새, 물총새, 물까치, 쇠딱따구리, 종달새,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방울새, 꾀꼬리, 박새, 동고비, 참새

; 겨울새

: 큰말똥가리, 새매, 자고새, 뜸부기, 노랑새, 멋쟁이새, 되새, 유리딱새,

: 대백로, 청둥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흰뺨오리, 장비, 넓적부리, 검은머리흰죽지, 비오리, 꺅도요, 물까마귀, 개똥지빠귀,

: 붉은부리갈매기, 재갈매기

; 여름새

: 중대백로, 검은댕기해오라기, 해오라기, 중백로, 중백로, 제비, 바위제비, 개개비, 제비갈매기

나그네새인 학도요 등도 관찰된다.

6. 1. 수질 오염과 회복

전후 주변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는 다마강에 큰 타격을 주었고, 1950년대부터 도시 지역의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대부분의 종이 서식할 수 없게 되었다.[4] 오염 방지 조치와 강이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공식 지정되면서 현재 많은 종이 돌아왔다.

잉어, 무지개 송어, 산천어, ''이와나''(연어), ''우구이''(큰비늘납줄개) 및 아유 모두 상류 지역에서 제한적인 상업적 어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수로 다마강에 서식한다. 최근 보에 어도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은 아유가 상류로 이동하는 개체 수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졌다. 미꾸라지와 같은 다른 물고기도 강에 서식하며, 게, 거북이, 가재도 서식한다.

가마우지, 물총새, 흰할미새, 알락오리, 왜가리, 중대백로, 일본 동백새, 원앙, 붉은머리갈매기 등은 강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새들이다. 1969년 강이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종류의 오리가 다시 돌아왔다. 제방과 강 사이의 광활한 녹지는 추가적인 야생 동물을 끌어들인다.

최근 몇 년 동안 다마강에는 외래종붉은귀거북피라냐와 같은 열대어를 포함한 더 많은 수의 외래종이 정착했다. 열대어가 생존할 수 있게 된 것은 지구 온난화와 하수 처리장의 폐수로 인해 강 수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높은 온도는 이제 주인에게 버려진 열대 애완 물고기가 추운 일본의 겨울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5]

다마강 연안의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생활 하수 유입, 그리고 지류의 수원인 다마 구릉과 무사시노 대지에서의 택지 개발에 따른 산림 파괴로 인한 수원 고갈이 겹쳐 다마강의 물은 현저하게 오염되었다.

그때까지 식수를 공급했던 덴엔초후 취수보는 1970년 수질 악화로 인해 상수도에 부적합하게 되었다.[41] 1972년 11월 1일과 12월 3일에는 마루코 다리에서 로쿠고 다리에 걸쳐 수백에서 수천 마리의 물고기가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했다. 하천에서 시안이 검출되었다. 당시 다마강 주변에 9개의 도금 공장 등이 있어 현장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시안을 유출한 공장은 특정할 수 없었다.[42] 가장 오염이 심했던 것은 1970년 전후였으며, 이후 하수도 정비와 배수 규제로 수질이 점차 개선되었다.

1981년 요미우리 신문 기자 바바 렌세이의 노력으로 다마강에 연어를 방류하는 계획이 시작되었다.[43] 같은 해 가을에 "다마강에 연어를 부르는 모임"이 결성되었고, 1984년에 첫 연어가 거슬러 올라왔다.[44] 당시 일본 각지에서 실시된 컴백 서먼 운동의 하나이다.

또한, 시쿠가와라 보 등에 어도를 설치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다시 은어가 거슬러 올라오게 되었으며, 해오라기제비갈매기와 같은 조류의 먹이를 지원할 정도로 회복되었다.

현재는 하천 부지에 친수 시설 등이 설치되어 인근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급격한 수질 오염과 그 급격한 회복을 경험한 다마강은 환경 보전을 위한 더 많은 노력의 필요성을 상징하는 장으로서, 많은 시민 활동의 무대가 되고 있다.

6. 2. 어류 및 수생 동물

다마강은 전후 주변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1950년대부터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대부분의 종이 서식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오염 방지 조치와 강이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현재는 많은 종이 돌아왔다.

잉어, 무지개송어, 산천어, ''이와나''(연어), ''우구이''(큰비늘납줄개), 아유 등은 상류 지역에서 제한적인 상업적 어업이 이루어질 정도로 충분히 서식한다. 최근 보에 어도를 설치하여 아유의 상류 이동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미꾸라지, 게, 거북이, 가재 등도 서식한다.

가마우지, 물총새, 흰할미새, 알락오리, 왜가리, 중대백로, 일본 동백새, 원앙, 붉은머리갈매기 등은 강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새들이다. 1969년 강이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후 다양한 종류의 오리가 다시 돌아왔다.

2002년 여름에는 북극에 서식하는 수컷 바다코끼리인 타마찬이 마루코 다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어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4]

최근에는 외래종붉은귀거북피라냐와 같은 열대어를 포함한 더 많은 수의 외래종이 정착했다. 이는 지구 온난화와 하수 처리장의 폐수로 인해 강 수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높은 온도는 버려진 열대 애완 물고기가 추운 일본의 겨울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5] 2000년대 초 가와사키의 야마자키 미츠아키는 주인이 강에 버릴 애완 물고기를 수용하기 위해 "물고기 보호소"를 설립했다.[6]

많은 수의 길고양이가 강을 따라 살고 있다.[7]

다마강은 원래 수질이 좋았고, 맑은 물을 좋아하는 아유(鮎, 은어)가 많이 서식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다마강에서 은어 어업이 성행했다.[35] 우키요에에도 은어 어업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35] 다마강의 아유는 쇼군에게도 헌상되었다.[35] 쇼와 초까지 은어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35] 잡힌 은어는 식용으로 이용되었다.[35]

그러나 쇼와 시대에 다마강 주변의 인구가 증가하고 수질이 악화되면서 은어 어업은 한때 중단되었다.[35] 그 후,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거듭되어 수질이 좋아졌고, 은어 어업이 부활했다. 최근에는, 지역 어부들이 다마강과 은어 어업에 대해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은어 어업을 부활시켜, 다마강의 은어를 출하하고 있다.[35]

에도 앞 즉, 도쿄만에서 거슬러 올라오는 은어를 늘리기 위해, 다마강 상류에 위치한 도쿄도 아키시마시, 히노시, 아키루노시는 2018년 3월 12일, "에도 앞 은어를 부활시키는 지역 협의회"를 발족시켰다.[36]

일부 지역에서는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은어, 산천어, 잉어, 무지개송어, 붕어, 피라미 등이 잡힌다. 또한 최근에는 보 (수리 시설)어도가 설치되는 등의 시책이 시행되어, 그에 따라 격감했던 은어의 소상 수가 급증했다. 이 외에도, 미꾸라지 등의 어류, 털게참게, 징거미새우 등의 갑각류도 서식한다.

최근에는 관상어 방류 등으로 외래종의 종류와 수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남미 아마존강에 비유하여 "타마존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62]

다마강에 서식하는 어류 및 수생 동물
구역주요 어종
오쿠타마 호수배스, 블루길, 무지개송어, 산천어, 연어, 피라미, 빙어, 참붕어, 피라미, 잉어, 붕어, 참붕어, 산천어, 꼬치고기, 산천어
상류역산천어, 산천어, 무지개송어, 피라미, 끄리, 피라미, 꺽정이, 미꾸리, 동자개, 가시납자리 등
중류역은어, 무지개송어, 말뚝망둥어, 피라미, 피라미, 버들치, 참갈겨니, 돌고기, 돌마자, 돌고기, 모래무지, 모래무지, 참갈겨니, 참갈겨니, 잉어, 잉어, 잉어, 붕어(붕어), 동사리, 꼬치고기, 저구리, 저구리, 민물검정망둑, 줄새코미꾸리, 메다카,

6. 3. 조류

다마강은 1950년대부터 도시 지역의 수질 악화로 인해 대부분의 종이 서식할 수 없게 되었으나, 오염 방지 조치와 야생 동물 보호 구역 지정으로 현재는 많은 종이 돌아왔다.

상류 지역에서는 잉어, 무지개송어, 산천어, 이와나(연어), 우구이(큰비늘납줄개), 은어 등이 서식하며 제한적인 상업적 어업이 이루어진다. 최근 보에 어도를 설치하여 은어의 상류 이동 개체 수가 증가했다. 미꾸라지를 비롯한 다른 물고기, 게, 거북이, 가재도 서식한다.

가마우지, 물총새, 흰할미새, 알락오리, 왜가리, 중대백로, 동박새, 원앙, 붉은머리갈매기 등의 조류를 흔히 볼 수 있다. 1969년 야생 동물 보호 구역 지정 이후 다양한 종류의 오리가 다시 돌아왔다.

2002년 여름에는 북극에 서식하는 바다코끼리 타마찬이 마루코 다리 근처에서 발견되어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4]

최근에는 붉은귀거북, 피라냐와 같은 외래종이 정착했다. 이는 지구 온난화와 하수 처리장 폐수로 인한 수온 상승 때문으로 추정된다. 2000년대 초 가와사키시의 야마자키 미츠아키는 버려진 애완 물고기를 위한 "물고기 보호소"를 설립했다.[6]

다마강에는 많은 수의 길고양이가 서식한다.[7]

다마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류는 다음과 같다.

; 텃새

: 검은댕기해오라기, 황조롱이, , 갈까마귀, 물총새, 알락할미새, 멧새,

: 가마우지, 중백로, 해오라기, 왜가리, 청둥오리, 까마귀, 논병아리, 청딱따구리, 쇠물닭, 집비둘기, 직박구리, 꼬마물떼새, 흰목물떼새, 흰발갈매기, 알락할미새, 물총새, 물까치, 쇠딱따구리, 종달새, 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방울새, 꾀꼬리, 박새, 동고비, 참새

; 겨울새

: 큰말똥가리, 새매, 자고새, 뜸부기, 노랑새, 멋쟁이새, 되새, 유리딱새,

: 대백로, 청둥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흰뺨오리, 장비, 넓적부리, 검은머리흰죽지, 비오리, 꺅도요, 물까마귀, 개똥지빠귀,

: 붉은부리갈매기, 재갈매기

; 여름새

: 중대백로, 검은댕기해오라기, 해오라기, 중백로, 중백로, 제비, 바위제비, 개개비, 제비갈매기

나그네새인 학도요 등도 관찰된다.

6. 4. 하구

전후 주변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는 다마강에 큰 타격을 주었고, 1950년대부터 도시 지역의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대부분의 종이 서식할 수 없게 되었다. 오염 방지 조치와 강이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공식 지정되면서 현재 많은 종이 돌아왔다.[5] 2000년대 초 가와사키의 야마자키 미츠아키라는 남자는 주인이 강에 버릴 애완 물고기를 수용하기 위해 "물고기 보호소"를 설립했다.[6]

많은 수의 길고양이가 강을 따라 살고 있다.[7]

하구 부근은 좌안(도쿄도 오타구)에는 하네다 공항이 건설되어 호안화되었지만, 우안(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이나 중주에는 진흙과 모래가 퇴적되어, 하구에서 수 km에 걸쳐, 도쿄만 내에서는 비교적 넓은 갯벌갈대밭이 형성되어 있다.

과거의 다마강 하구 부근은 수심이 얕았기 때문에, 에도 시대부터 간척을 위한 개척이 시작되었지만, 다이쇼 시대 이후에는 더욱 공업 단지 조성을 위한 매립이 진행되어, 해안선의 모습은 크게 변모했다.

이 하구 부근에서는 과거에는 양식조개잡이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고급 김의 대명사로 불린 「아사쿠사 김」은, 과거 양식되었던 아사쿠사 부근의 시가지 확장과 함께 양식 어업이 주변 지역으로 옮겨갔으며, 18세기 초두에는 시나가와・오모리에서의 양식이 활발했지만, 하구 부근에서는 메이지 4년에 다이시카와라(현재의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에서 양식이 시작되었고, 생산된 김은 「다이시 김」이라고 불리며 고급 아사쿠사 김으로 거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하구 부근의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는 바지락, 대합, 맛조개(아오야기)가 대량으로 잡혔고, 하네다・오모리에서는 뱀장어, 가자미, 도다리, 쥐노래미, 쏨뱅이, 새우 등이 잡히는 풍요로운 어장이었다.

그러나 쇼와 시대가 되자, 게이힌 공업 지대에서 쓰루미쪽에서 진행된 매립이 다마강 하구 부근까지 미치게 됨과 동시에, 공장 폐액에 의한 바다의 오염이 진행되었다. 쇼와 30년대가 되자 잡힌 물고기에서 기름 냄새가 나서 사려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쇼와 44년에는 다마강 하구 부근에서도 매립 계획이 수립되자, 하구 부근의 연안 어업은 쇼와 48년에 어협이 어업권을 포기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

하지만, 지금도 다마강 하구에는 약간이나마 귀중한 갯벌 환경이 남아 있다. 이러한 환경은 지금은 도쿄만 내에서는 이곳 외에 삼번세, 야쓰 갯벌, 반주 갯벌(코비쓰강 하구 부근), 후쓰 갯벌 등 제한된 지역에만 남아 있으며, 도쿄만 서안에서는 유일한 천연 갯벌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2000년대에 들어서 상세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일본의 중요 습지 500」에 선정[70]되는 등 희소하고 귀중한 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구 부근의 둑은 기수역이 되어 있으며, 진흙질 및 모래질의 갯벌이 공존하고 있다. 또한 조수의 간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호기적인 환경이 유지되며, 이러한 환경은 호기성 생물에 의한 수질 정화(BOD・COD 저하) 작용이 높다는 점 외에, 현재에도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저서 생물이 확인되고 있다.[67]

이 외에도, 최근 아사쿠사 김의 자생이 확인되었다. 또한, 바닥에서는 대합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71]되는 등, 도쿄만에서는 희귀해진 갯벌적 환경에서의 생태계의 풍요로움이 재확인되고 있다.

조류는, 겨울에 붉은 부리 갈매기, 세가락 갈매기, 비오리, 청둥오리, 넓적부리, 흰뺨오리 등이 무리 지어 찾아와 월동하고 있으며, 여름에는 제비갈매기의 번식지이기도 하다. 또한, 주변 지역에서도 보이는 물총새나 할미새, 백로류 등의 모습은 연중 관찰된다. 한편, 과거에는 나그네새가 많이 찾아왔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는 봄・가을의 단기간에 물떼새・도요새류가 나그네새로서 드물게 들르는 정도가 되어 버렸다. 과거에는 도쿄 만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다마강 하구 부근에는 얕은 갯벌 환경이 펼쳐져 있었고, 나그네새 또는 겨울새로서 도요·물떼새류가 다수 찾아왔다.

조류학자인 구로다 나가히로는 1909년 - 1918년에 걸쳐, 부근의 구로다 가모장(현재의 하네다 공항 터미널 빌딩 부근), 스에히로 섬(현재의 가와사키구 우키시마초 부근), 하네다초 고지야(현재의 오타구 히가시코지야 부근)에서 관찰을 실시하여 기록했다.

문헌에 따르면, 아래에서 보통종으로 표시한 종은 수백 마리의 무리로 찾아오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며, 흰물떼새나 갯벌도요 등은 겨울새로서 다수 날아왔으며, 당시에는 댕기물떼새가 7월 등 여름을 제외한 장기간에 걸쳐 관찰되는 등 겨울새의 월동지로서도 번성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 외에 꺅도요뜸부기에 대해서는 하구 부근이 아니라, 인근의 (다이쇼기까지의 하구 부근은 벼농사 지대였다)에 다수가 날아왔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 책이 쓰여졌을 당시에는 이미 감소하여, 드물게 볼 수 있을 뿐이었다고 한다.

7. 이용

다마강은 과거 쇼와 시대 중기까지 어업이 성행하여, 중류에서는 은어가마우지 낚시, 하류에서는 뱅어 어업이 이루어졌다.[30] 현재는 오락으로서의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어료는 다마강 어업협동조합의 수입원이 되고 있다. 낚시와 다른 레저와의 마찰도 있어 카누이스트에게 폭언을 하고 돌을 던지는 등의 행위도 발생했다.[31]

상류에서는 래프팅 등이 행해지고 있으며, 다마강 뱃놀이 사업자 조합에는 18개사가 가맹하고 있다.[32] 다마강 유역을 활용한 에코 뮤지엄은 "다마강 에코 뮤지엄 플랜의 추진"으로, 2006년도 국토교통성 테즈쿠리 향토상 (지역 활동 부문) [https://www.mlit.go.jp/sogoseisaku/region/tedukuri/pdf/Part21_H18/H18_katsudou_05.pdf 수상]. 2017년도에는 [https://www.mlit.go.jp/sogoseisaku/region/tedukuri/pdf/Part32_H29/H29_taisyou_01.pdf 동상 대상 수상]. 이 외에도 강가에 다마강의 물을 이용한 공원이 설치되어 있다.

도쿄 외곽 근처의 이 강은 인기 있는 카약 명소이며, 미타케를 통과하는 다마강에서 일본 전국 슬라롬 카약 대회가 열린다. 이 강 구간은 또한 도쿄에서 접근성이 뛰어나 급류 래프팅과 하이드로스피드의 새로운 목적지이기도 하다. 회사들은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운영한다. 미타케 주변의 강바닥에 있는 바위들은 또한 도쿄 최고의 등반(볼더링) 장소 중 하나를 형성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110525200144/http://www.climbing.com/exclusive/features/japan235/index4.html '닌자 락']과 '데드엔드'와 같은 바위에서 일본의 유명한 볼더 문제를 찾을 수 있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강 양쪽 둑에 스포츠 경기장이 나타나고, 많은 팀들이 정기적으로 야구, 축구, 럭비 유니온을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를 여기서 연습하거나 경기를 한다. (이 강 이름을 딴 타마리바 클럽이라는 럭비 클럽이 있다.) 도시를 통과하는 강가에는 많은 놀이터, 공원 공간 및 골프 연습장도 있다. 자전거길과 달리기는 도쿄만 입구까지 뻗어 있으며, 도쿄 도심을 관통하는 강을 따라 이어진다.

7. 1. 수자원

다마강은 식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쿄도의 수원은 약 80%가 톤가와 수계 및 아라카와 수계(아라카와는 무사시 수로에 의해 톤가와의 물도 도수되고 있다)이고, 약 20%가 다마강 수계이다.[28]

1930년대까지는 조후 정수장 부근에서 물을 끌어왔지만, 종종 바닷물(염수 쐐기)이 강을 거슬러 올라와 수돗물이 짜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1934년부터 1936년에 걸쳐 마루코 다리 상류부에 염수 대책을 겸한 조후 취수언을 건설했다.[29] 수질 악화로 인해 조후 정수장은 1967년에 폐지되었지만, 그 후에도 조후 취수언은 염수 대책으로 남아있다.

과거에는 자갈 채취가 이루어졌다. (후술). 「자갈 철도」도 참조.

강변을 무단으로 점유하여 을 만들거나, 주거지를 설치하는 사람도 있다.

전국 시대에 도요토미 히데요시 아래에서 간토로 영지를 옮긴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다마강 하류의 선상지에서 벼농사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597년에 용수 봉행・코이즈미 지다유에게 명하여 양쪽 강변의 관개용수로 건설에 착수했다. 1611년에 니카료 용수(우안)와 로쿠고 용수(좌안)가 완성되었다. 그 외에도, 1604년경부터 취수를 시작했다고 추정되는 다이마루 용수(우안)나, 1654년부터 취수를 시작한 타마가와 상하수도(좌안) 등의 용수로가 잇따라 정비되어, 그 전까지 수리 시설이 좋지 않았던 다마강 하류의 저지대・대지에 풍부한 농업 용수를 가져와 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에도의 생활을 지탱했다.

도쿄도 히가시야마토시의 무라야마 저수지,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이루마시의 야마구치 저수지는 하무라 취수 보 또는 고사쿠 취수 보에서 다마강의 물을 끌어오기 때문에 다마강 수계가 된다.[24] 3시는 아라카와 유역이며, 양 저수지 모두 아라카와 수계의 하천에도 연결되어 있다.

7. 2. 레저

도쿄 외곽 근처의 이 강은 인기 있는 카약 명소이며, 미타케를 통과하는 다마강에서 일본 전국 슬라롬 카약 대회가 열린다.

이 강 구간은 또한 도쿄에서 접근성이 뛰어나 급류 래프팅과 하이드로스피드의 새로운 목적지이기도 하다. 회사들은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운영한다.

미타케 주변의 강바닥에 있는 바위들은 또한 도쿄 최고의 등반(볼더링) 장소 중 하나를 형성한다. '닌자 락'과 '데드엔드'와 같은 바위에서 일본의 유명한 볼더 문제를 찾을 수 있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강 양쪽 둑에 스포츠 경기장이 나타나고, 많은 팀들이 정기적으로 야구, 축구, 럭비 유니온을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를 여기서 연습하거나 경기를 한다. (이 강 이름을 딴 타마리바 클럽이라는 럭비 클럽이 있다.) 도시를 통과하는 강가에는 많은 놀이터, 공원 공간 및 골프 연습장도 있다.

자전거길과 달리기는 도쿄만 입구까지 뻗어 있으며, 도쿄 도심을 관통하는 강을 따라 이어진다. 쇼와 시대 중기까지 어업이 성행하여, 중류에서는 은어가마우지 낚시, 하류에서는 뱅어 어업이 이루어졌다.[30] 현재는 오락으로서의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어료는 다마강 어업협동조합의 수입원이 되고 있다. 낚시와 다른 레저와의 마찰도 있어 카누이스트에게 폭언을 하고 돌을 던지는 등의 행위도 발생했다.[31]

상류에서는 래프팅 등이 행해지고 있으며, 다마강 뱃놀이 사업자 조합에는 18개사가 가맹하고 있다.[32]

다마강 유역을 활용한 에코 뮤지엄은 "다마강 에코 뮤지엄 플랜의 추진"으로, 2006년도 국토교통성 테즈쿠리 향토상 (지역 활동 부문) 수상. 2017년도에는 동상 대상 수상.

이 외에도 강가에 다마강의 물을 이용한 공원이 설치되어 있다.

8. 사건

가와사키시 중1 남학생 피살 사건 - 2015년 2월 20일, 섬소년이 살해된 채 발견된 소년 범죄 사건이다.[2][3]

9. 기타

첫 번째 바이오하자드 비디오 게임(일본에서는 "BIOHAZARD"로 알려짐)의 실사 야외 야간 장면의 오프닝 FMV 시퀀스는 1995년 8월 말/9월 초경 도쿄에서 약 20km 떨어진 다마강 강둑 근처의 풀이 우거진 해안 부지에서 촬영되었다. 모든 FMV 장면의 초기 개발 및 촬영이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다마에서의 촬영은 약 1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오후 5시부터 다음 날 오전 5시까지 진행되었다.[11]

소행성 1089 다마는 다마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Tracing the History of the Tamagawa Josui Aqueduct https://www.gotokyo.[...]
[2] 뉴스 Japan Gears Up for Long-Lasting Effects of Typhoon Hagibis, As Death Toll Rises to 74 https://japan-forwar[...] Japan Forward 2019-11-18
[3] 뉴스 Storm-hit areas of Japan struggle in aftermath of Typhoon Hagibis https://mainichi.jp/[...] Mainichi shimbun 2019-11-18
[4] 뉴스 Seal checks into Hotel Tamagawa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6-05-01
[5] 웹사이트 Piranhas stalk Japan river https://www.youtube.[...] Al Jazeera English 2014-08-15
[6] 뉴스 Kawasaki man runs 'fish shelter' to reel in invasive species in Tamagawa river http://ajw.asahi.com[...] Asahi Shimbun 2015-09-20
[7] 뉴스 Couple care for Tama cats cast off by society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6-05-02
[8] 웹사이트 河川の利用と管理・よくあるお問合せ・ホームレス対策について(京浜河川事務所) http://www.ktr.mlit.[...]
[9] 뉴스 For Japan's New Homeless, There's Disdain and Dang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5-09
[10] 뉴스 Japan's homeless become architects http://the.honolulua[...] The Honolulu Advertiser 2016-05-09
[11] 블로그 Greg Smith's and Linda's interviews https://raccoonstars[...] 2019-03-18
[1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 (1089) Tama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7
[13] 웹사이트 『多摩川』1981.3. 第9号 https://foundation.t[...] 東急財団 2022-06-22
[14] 웹사이트 市名の由来 {{!}} 多摩市役所 http://www.city.tama[...] 2019-09-06
[15] 웹사이트 『多摩川』1981.12. 第12号 https://foundation.t[...] 東急財団 2022-06-22
[16] 웹사이트 『多摩川』1982.03. 第13号 https://foundation.t[...] 東急財団 2019-09-06
[17] 웹사이트 多摩川の由来を知って(平成31年2月1日号) https://www.city.fus[...] 2019-09-06
[18] 웹사이트 『多摩川』1982.06. 第14号 https://foundation.t[...] 東急財団 2019-09-06
[19] 웹사이트 『多摩川』1982.09. 第15号 https://foundation.t[...] 東急財団 2019-09-06
[20] 웹사이트 多摩川の源流「水干(美しい多摩川フォラム)」探訪記 https://www.tama-riv[...]
[21] 웹사이트 御岳渓流 http://www2.env.go.j[...]
[22] 백과사전 六郷川 2024-07-06
[23] 웹사이트 多摩川河口観測所 http://www1.river.go[...] 국토교통성
[24] 웹사이트 村山・山口貯水池(多摩湖・狭山湖) https://www.waterwor[...]
[25] 웹사이트 多摩川の渡し https://www.ktr.mlit[...] 국토교통성関東地方整備국京浜河川事務所 2017-11-08
[26] 서적 多摩川の渡し跡 水辺を歩こう多摩川
[27] 웹사이트 4月1日、リニューアルオープン http://www.tokyu-spo[...] 東急スポーツシステム 2015-04-01
[28] 웹사이트 水源・水質 安定した水源の確保 http://www.waterwork[...] 東京都水道局 2020-07-09
[29] 뉴스 多摩川に塩水防止ダム 東京朝日新聞 1936-02-09
[30] 웹사이트 鵜飼も行われていた、多摩川の漁業 https://www.city.kom[...] 狛江市役所 2022-06-22
[31] 서적 カヌーで来た男 文藝春秋
[32] 뉴스 「多摩川の水難救助で協定 青梅、多摩川消防署と川下り組合 観光シーズンを前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6-27
[33] 서적 多摩川:境界の風景 유린신서 1988
[34] 서적 多摩川:境界の風景
[35] 방송 もういちど日本「江戸前のあゆ」 NHK 2014-06-11
[36] 뉴스 江戸前アユ復活へ地域協議会が発足 昭島など 読売新聞 2018-03-14
[37] 문서 1坪は6尺立方で、およそ10トンである。
[38] 서적 鈴木2004
[39] 서적 三輪、前掲書
[40] 서적 三輪、前掲書
[41] 서적 サケ多摩川に帰る
[42] 뉴스 多摩川にシアン 魚数千匹浮上がる 朝日新聞 1972-12-04
[43] 서적 サケ多摩川に帰る
[44] 서적 サケ多摩川に帰る
[45] 뉴스 多摩川サケの会活動休止 最後の放流 環境教育に一役=東京 読売新聞 2010-02-13
[46] 서적 小林1995
[47] 서적 小林1995
[48] 서적 小林1995
[49] 서적 小林1995
[50] 서적 小林1995
[51] 서적 小林1995
[52] 뉴스 【多摩川を歩く】二子玉川(世田谷区)~和泉多摩川(狛江市)岸辺の碑 水害の恐怖今に 東京新聞 2022-08-03
[53] 웹사이트 「景観大切」「家のぞかれる」…多摩川の堤防未整備区間氾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10-19
[54] 웹사이트 「排水管逆流させたバックウォーター現象とは 堤防は決壊してないのに街が水浸しに」 https://news.ntv.co.[...] 日テレNEWS 2022-06-22
[55] 뉴스 「多摩川が氾濫 バックウォーター現象とは?」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06
[56] 간행물 水辺を歩こう多摩川 国土交通省京浜工事事務所 2002
[57] 서적 多摩川の野鳥 講談社
[58] 서적 鈴木2004
[59] 간행물 水辺を歩こう多摩川
[60] 간행물 水辺を歩こう多摩川 関東農政局 1998
[61] 뉴스 外来藻類 多摩川に繁茂 青梅で確認 アユ生育に影響警戒 読売新聞 2022-06-30
[62] 서적 タマゾン川 多摩川でいのちを考える 旬報社 2012
[63] 뉴스 どうぶつと生きる 捨てガメの命つなぐポスト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3-14
[64] 문서 ガー目#琵琶湖などにおける繁殖の可能性とその影響について
[65] 서적 多摩川の野鳥
[66] 간행물 多摩川河口干潟の生きもの 川崎市環境局公害部環境対策課 2004-12
[67] 간행물 多摩川河口干潟の生物と底質 川崎市環境局公害部環境対策課 2006-03
[68] 간행물 海と人生-川崎で海苔が採れた頃 川崎市市民ミュージアム 1995
[69] 웹사이트 NAGISAネット 港湾百景(2) 海苔と川崎の海 http://www.pa.ktr.ml[...]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港湾空港部横浜港湾空港技術調査事務所
[70] 웹사이트 日本の重要湿地500 No.159 東京湾の干潟・浅瀬 http://www.sizenken.[...] 環境省インターネット自然研究所
[71] 웹사이트 スズガモが水中からハマグリを捕まえてきた様子 http://www.cory.to/c[...]
[72] 서적 六郷川口に於ける鷸・千鳥類の「渡り」 日本鳥学会 1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