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와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가 공동 개발한 신칸센 차량으로, 호쿠리쿠 신칸센을 위해 2014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E2계를 기반으로 하며, E7계는 JR 동일본 소속, W7계는 JR 서일본 소속으로 운영된다. 이 열차는 최대 275km/h의 속도로 운행하며, 그린 클래스, 그린샤, 보통차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 피해로 10개 편성이 폐차되었지만, 2024년 4월 1일 기준으로 총 61편성이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미니 신칸센
미니 신칸센은 일본에서 기존 협궤 선로를 표준궤로 개궤하여 신칸센과 직통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에 적용되어 건설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속도 제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E8계 전동차
야마가타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된 신칸센 E8계 전동차는 E6계를 기반으로 산업 디자이너 오쿠야마 기요유키가 디자인을 담당하여 2023년부터 도입되어 기존 E3계를 대체하고 최고 속도 향상 및 좌석 개선 등을 통해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하며, 야마가타현의 자연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외관과 그린샤와 보통차로 구성된 객실을 갖추고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호쿠리쿠 신칸센 - 이토이가와역
이토이가와역은 서일본 여객철도와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노선이 지나는 역으로, 호쿠리쿠 신칸센 연장 개통 이후 JR 서일본 관할 유인역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이토이가와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호쿠리쿠 신칸센 - 가나자와역
가나자와역은 1898년 호쿠리쿠 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JR 서일본, IR 이시카와 철도, 호쿠리쿠 철도 노선이 연결되고 호쿠리쿠 신칸센의 종착역이며, 복합 시설과 가나자와 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 |
---|---|
개요 | |
![]() | |
노선 | 호쿠리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
운영사 | 동일본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
별칭 | 신칸센 E7계 · W7계 전동차 |
수상 내역 | 블루 리본상 (2015년, 58회) |
디자인 | 오쿠야마 겐 |
운행 정보 | |
운행 시작 | E7계: 2014년 3월 15일 W7계: 2015년 3월 14일 |
운행 종료 | 현재 운행 중 |
제조사 |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차량 종합차량제작소 (E7계만 해당) 긴키 차량 (W7계만 해당) |
소속 | 하쿠산 나가노 니가타 |
차량 정보 | |
차량 수 | 852량 (71개 편성) (2023년 1월 17일 기준) |
운행 차량 수 | 540량 (52개 편성) |
폐차 차량 수 | 120량 (E7계 8개 편성, W7계 2개 편성, 홍수 피해) |
편성 | 12량/편성 |
편성 번호 | F1–F47; W1–W24 |
수용량 | 934명 |
차체 재질 | 알루미늄 합금 |
차량 길이 | 끝 차량: 26m 중간 차량: 25m |
차량 폭 | 3380mm |
차량 높이 | 3650mm |
출입문 | 양쪽 2개 슬라이딩 도어 |
중량 | 약 540톤 |
가속도 | 1.6km/h/s |
최고 속도 | 영업 운행: 조에쓰 신칸센: 275km/h 호쿠리쿠 신칸센: 260km/h 설계: 275km/h |
동력 출력 | 12MW |
전기 시스템 | 25kV 50/60Hz AC 가선 |
집전 방식 | 단일 암 팬터그래프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응하중, 활주 재점착, 지연 제어 포함), 억속 브레이크, 비상 브레이크, 내설 브레이크 |
안전 장치 | DS-ATC, RS-ATC |
기술 정보 | |
차체 구조 | 더블 스킨 구조 |
주전동기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MT207/WMT210 |
주전동기 출력 | 300kW |
구동 방식 | WN 구동 방식 |
기어비 | 85:28 (3.036) |
편성 출력 | 12,000kW |
제어 방식 | 3레벨 IGBT PWM 컨버터 + 3레벨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
제어 장치 | E7계: CI23계 W7계: WPC206 |
2. 개발 배경
2011년 12월, 동일본여객철도는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운행하던 E2계 0번대 차량 8편성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고속열차 개발에 착수했다.[63] 2012년 9월 4일,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은 공동 개발 및 도입을 공식 발표했다.[64] JR 동일본 소유 차량은 E7계, JR 서일본 소유 차량은 W7계로 명명되었다.[65]
2013년 11월 첫 편성이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인도되었고,[66] 12월부터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야간 시범 운행,[67] 2014년 1월부터 주간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67] 2014년 2월에는 측면 로고 디자인이 공개되었다.[68]
2014년 3월 15일, 동일본여객철도의 시각표 개정과 함께 정규 운행을 시작했다.[69] 초기에는 3편성이 도입되어 왕복 7회 운행했으나,[70][71] 같은 해 11월 왕복 20회로 증회되었다.[72][73]
2014년 4월, 최초로 W7계 차량이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하쿠산까지 인도되었고,[74] 같은 해 8월 가나자와에서 조에쓰묘코 구간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75]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 개통에 따라 W7계와 함께 가가야키, 쓰루기, 하쿠타카가 운행을 시작했다.[76] 같은 해 4월부터 E7계를 추가 도입하여, E2계 0번대를 대체했다.[77] 2015년 5월, 블루리본상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78]
2019년 10월 12일,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홍수로 E7계 8대와 W7계 2대가 손상되어 폐차되었다.[36][37][38][39]
2021년 11월, 동일본 여객철도는 니가타현에서 E7계를 사용한 5km 자율 운행을 시연했다.[40]
2023년 3월 18일 개정된 시간표부터, 조에츠 신칸센의 모든 열차 운행은 E7계로만 운영될 예정이며, 운행 속도는 240km/h에서 275km/h로 증가할 예정이다.[41]
2. 1. 개발 경위
2011년 12월 마이니치 신문은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가 호쿠리쿠 신칸센 연장 개통 시 E2계를 기반으로 한 신형 차량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25] 2012년 1월, JR 서일본 가나자와 지사장은 JR 동일본과의 공동 개발 방침을 언급하며, 눈 피해 대책을 위해 개업 1년 전인 2013년 겨울에 실차 시험을 예정하고 있다고 발표했다.[26] 2012년 9월 4일,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은 공동 개발을 공식 발표했다.[4]2. 2. 개요
2011년 12월 동일본여객철도의 발표에 따르면, 기존에 호쿠리쿠 신칸센 노선에서 운행하던 E2계 0번대 차량 8편성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고속열차 개발에 들어갔다.[63] 2012년 9월 4일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도입을 공식 발표했으며,[64] JR 동일본 소유 차량은 E7계, JR 서일본 소유 차량은 W7계로 명명되었다.[65]2013년 11월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첫 편성이 인도되었고,[66] 같은 해 12월부터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야간 시범 운행, 2014년 1월부터 주간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67] 같은 해 2월에는 측면 로고 디자인이 공개되었다.[68]
2014년 3월 15일 동일본여객철도의 시간표 개정과 함께 정규 운행이 시작되었다.[69] 초기에는 3편성이 도입되어 왕복 7회 운행했으나,[70][71] 같은 해 11월 왕복 20회로 증회되었다.[72][73]
같은 해 4월 최초로 W7계 차량이 도입되어 고베의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하쿠산까지 인도되었고,[74] 같은 해 8월 가나자와에서 조에쓰묘코 구간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75]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 개통에 따라 W7계 차량과 함께 가가야키, 쓰루기, 하쿠타카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76] 같은 해 4월부터 하반기까지 E7계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부터 운용된 E2계 0번대 차량이 평균 내구연한인 15년을 초과함에 따라 차량 교체를 위한 것이었다.[77] 같은 해 5월에는 제55회 일본철도클럽 블루리본상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78] 2016년 9월과 11월에는 가나자와~센다이 구간에 '호쿠리쿠 직통 전용 신칸센으로 간다!'(北陸直通専用新幹線で行く!일본어)라는 명칭으로 임시열차가 운행되었으며, 호쿠리쿠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을 직결 운행하여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 이북에서 최초로 E7계가 운행되었다.[79][80]
2017년 다이야 개정으로 E2계 0번대 차량 운행이 종료되면서 아사마 열차는 모두 E7계로 대체되었다.[81]
같은 해 4월 동일본여객철도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E4계를 교체하고 조에쓰 신칸센 노선에 E7계를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2] 도입에 앞서 같은 해 9월 오미야~니가타 구간 시범 운행을 실시했고,[83] 2019년 3월 16일부터 조에쓰 신칸센 노선 운행과 함께 그랜클래스 좌석 제공이 시작되었다.[84][85]
호쿠리쿠 신칸센 나가노역-가나자와역 간 연장 개통에 맞춰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도입한[64][65] 차량으로, "카가야키", "하쿠타카", "츠루기" 외에 도쿄역-나가노역 간 "아사마"에서 운용된다. 2018년부터는 조에쓰 신칸센 도쿄역-다카사키역-에치고유자와역-니가타역·갈라유자와역 구간에서도 운용되고 있다.
JR 동일본 소유 차량은 E7계, JR 서일본 소유 차량은 W7계로 명명되었다. 최고 속도는 E2계와 같은 260km/h이며, 12량 편성(10M2T)으로 E5계에 이어 그린샤보다 상위 클래스인 그란클래스가 도입되었다. 정원은 그란클래스 18명, 그린샤 63명, 보통차 853명으로 총 934명이었으나, 짐 보관소 설치로 인해 924명으로 변경되었다.
차량 제조는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외에 종합 차량 제작소(E7계), 긴키 차량(W7계)이 담당했다.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개업 시점 투입 예정 편성 수는 E7계 17편성, W7계 10편성이었다.
3. 디자인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감수하고 가와사키 중공업이 담당한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의 디자인은 공통적으로 "와(和)"를 키워드로 한다. 이는 일본의 전통 문화와 미래를 잇는다는 의미를 담아 "화(和)의 미래"를 디자인 컨셉으로 한 것이다.
디자인 세부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세련됨: 일본 전통과 최신 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표현.
- 여유·해방감: 일본풍 공간에 모임으로써 얻을 수 있는 편안함으로 표현.
이러한 디자인 컨셉을 바탕으로 제작된 E7계·W7계는 2014년 일본 산업 디자인 진흥회의 굿 디자인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는 철도우호회의 블루 리본상을 수상했다.
차량 외부 디자인은 E2계를 기반으로 오쿠야마 켄과 가와사키 중공업이 함께 참여하여 미래 지향적인 스타일과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일본"을 주제로 디자인되었다.[3] 외관은 지붕을 하늘색, 차체 측면을 아이보리 화이트, 라인을 구리색과 하늘색으로 마감했다.[4] 차체 측면 로고는 화살촉 모양으로 디자인된 은색 숫자 "7"과 "동일본 여객철도" 또는 "서일본 여객철도"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29]
3. 1. 외관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의 이중피부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선두차의 노즈 길이는 E2계와 같은 9.1m이다. 차체 폭은 3,380mm로, E5계·H5계에 비해 30mm 넓어졌다. 차체 단면적은 10.9m²이다.외관 디자인은 고속 주행을 위한 조형과 일본의 전통적인 색상 사용, 주행하는 연선의 풍경을 융합하여, 스피드감과 정교함을 표현했다. 선두 형상은 환경 성능을 고려한 공기역학적인 최적 형상[45]으로 디자인되었으며, 환경 성능을 고려한 조형으로 제작되었다. 외관은 하늘색(상부), 아이보리 화이트(차체), 동색(구리색) 및 하늘색(띠)으로 도색되었다.
양쪽 선두차(1·12호차) 양 측면에는 "빛나는 미래를 향해 돌진하는 이미지"를 컨셉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일본 전통 공예의 치밀함·속도를 표현한 로고 마크가 배치된다.
조에쓰 신칸센용 E7계 F21·F22 편성에는 연어색 띠와 벼 이삭, 도키의 날개를 이미지한 로고 마크가 기간 한정으로 랩핑되었다.
3. 2. 실내
차내 디자인은 "어른의 감성을 자극하는 '세련됨'과 마음과 몸의 '여유·해방감'"을 차량의 토탈 콘셉트로 했다. 일본의 전통과 최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세련됨'을, 일본풍 공간에서 얻을 수 있는 편안함으로 '여유·해방감'을 표현했다.
그린샤는 가나자와·니가타 방향 차량 끝 부분 1곳에, 보통차 및 그린 클래스는 각 차량 끝 부분 2곳에 객실 출입문·데크를 설치한다.
화장실은 2량에 1곳의 비율로 설치되어 있으며, 홀수 차량 가나자와·니가타 방향 및 12호차 도쿄 방향에 양변기 2개, 남성용 소변기 2개, 세면대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양변기 및 세면대 1개는 여성 전용이다. 7·11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설비 및 다기능 화장실이 있고, 7호차에는 다기능실도 설치되어 있다.
차내 자동 방송은 E7계·W7계 모두 공통으로 사카이 마사유키와 진 윌슨이 담당하지만, 차임은 E7계가 조에쓰 신칸센과 동일 사양이고, W7계가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 기념송인 "호쿠리쿠 로망"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49]
조명은 JR 동일본의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전체 LED화했다. 모든 좌석에 전원 콘센트를 설치했는데,[50] 이는 E5계·H5계보다 최고 속도가 느려 전원 용량에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51]
그린 클래스 및 그린샤에는 샤프·가와사키 중공업·덴소가 공동 개발한 플라즈마 클러스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탑재했다.
일본 국외에서 온 승객이나, 동계에 스키·스노보드 등 큰 짐을 가진 승객이 증가한 것을 고려하여, 11호차의 그린샤 데크 공간과 보통차의 짝수 호차 도쿄 방향 2석(1번 D·E석)을 철거하고 짐 보관소를 설치했다.
3. 2. 1. 좌석
E2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E7계 및 W7계 열차는 그란 클래스, 그린샤, 보통차 3가지 등급의 객실을 갖추고 있으며, 총 좌석 수는 934석이다.[2] 모든 좌석에는 AC 전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12]; 그린 클래스
: 나가노(현: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에 처음 도입되었다. 전통적인 공간과 첨단 기능을 가진 시트가 조화를 이루어 편안하고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 1열+2열 배치로 시트 간 간격(피치)은 1,300mm이다. 베개, 독서등, 인암식 테이블, 칵테일 테이블, 전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다.
; 그린샤
: 일본의 전통적인 양식미와 현대적인 감각을 조화시켜 차분함과 기품을 표현했다.
: 2열+2열 배치로 시트 피치는 1,160mm이다. 도쿄역 회차 시간을 고려하여 자동 회전 기능이 탑재되었다. 베개, 독서등, 손잡이, 등받이 테이블, 음료 홀더, 전원 콘센트가 제공된다.
:* 등받이와 방석이 연동되어 요람처럼 작동하는 "크레이들 방식" 리클라이닝을 채용하여, 허리 부분의 밀림 없이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한다.
; 보통차
: 3열+2열 배치로 시트 피치는 1,040mm이다. 그린샤와 마찬가지로 자동 회전 기능이 있다. 베개, 손잡이, 등받이 테이블, 음료 홀더, 전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다.
:* 여행에 대한 기대와 설렘, 그리고 시크하고 성숙한 분위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등받이 기울임과 연동하여 좌면을 비스듬히 뒤쪽 아래로 당기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채용하여 착석감 및 허리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4. 구조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 이중피부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선두차의 노즈 길이는 E2계와 같은 9.1m이다. E5계·H5계에 비해 30mm 넓어진 3,380mm의 차체 폭을 가지는데, 이는 차체 경사 장치를 장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차체 단면적은 E2계의 11 m2보다 약간 작은 10.9m2이다. 바닥 하부 기기는 매달아 놓는 방식이며, 대차 부분은 완전히 덮이지 않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차체 연결 부분에서는 E5계·H5계에 장비되었던 차체간 댐퍼는 장비되지 않았고, 외부 호로는 E2계와 동일한 측면 축소 호로를 채용했다.
4. 1. 차체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의 이중피부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선두차의 노즈 길이는 E2계와 같은 9.1m이다. E5계·H5계에 비해 30mm 넓어진 3,380mm의 차체 폭을 가지는데, 이는 차체 경사 장치를 장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차체 단면적은 E2계의 11 m2보다 약간 작은 10.9m2이다. 바닥 하부 기기는 매달아 놓는 방식이며, 대차 부분은 완전히 덮이지 않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차체 연결 부분에서는 E5계·H5계에 장비되었던 차체간 댐퍼는 장비되지 않았고, 외부 호로는 E2계와 동일한 측면 축소 호로를 채용했다. 외관 디자인은 고속 주행을 위한 조형과 일본의 전통적인 색상을 사용했으며, 선두 형상은 환경 성능을 고려한 공기역학적인 최적 형상이다. 도색은 차체 상부색이 하늘색, 차체색이 아이보리 화이트, 차체 중앙의 띠색이 동색(구리색) 및 하늘색이다. 운전대는 캐노피형이다.
4. 2. 전원·제어기기
주전동기는 E5계·H5계·E6계와 공통으로 출력 300kW의 MT207형(E7계) 또는 WMT210형(W7계)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를 탑재한다.[46] 제어는 가선에서 공급되는 단상 교류 25kV를 강압한 후 상용 주파수 50/60Hz 자동 전환식 TM215형(E7계) 또는 WTM209형(W7계) 주 변압기로, 구배 억속 브레이크 및 정속 제어 기능을 갖춘 CI23계(E7계) 또는 WPC206형(W7계) 주 변환 장치 내장 컨버터에 의해 직류로 정류한 후, VVVF 인버터로 삼상 교류로 재변환하여 수행한다. 주 변환 장치는 히타치 제작소, 미쓰비시 전기, 도시바 3사에서 제작한다.[46]편성은 선두차 2량이 제어부수차, 중간차는 모두 전동차로 한 10M2T의 12량 편성이다. 30‰ 구배 구간에서 2유닛 컷에 의한 3유닛 6전동차에서의 기동을 가능하게 한 전동차 유닛은, 주 변환 장치 및 주 변압기를 탑재하는 E726형·W726형(M2)과 주 변환 장치만 탑재하는 E715형·W715형 또는 E725형·W725형(M1)으로 구성된다. E725형 0번대·400번대 및 W725형 100번대·300번대에는 PS208A형(E7계) 또는 WPS209형(W7계) 팬터그래프[47]를 탑재한다.
특고압 인입선은 차체 지붕 위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4 - 5·6 - 7호차 간 지붕 위에서는 경사형 케이블 헤드를 통해 접속한다. 서비스용 보조 전원은 주파수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출력을 주파수 60Hz의 삼상 교류 440V로 하여, 편성 간 병렬 운전을 함으로써 중복성을 확보한다.
4. 3. 대차
유욕식 윤활 깃털 부착 원통 롤러 베어링과 탈선 이탈 방지용 L자 가이드가 장착된 축상자를 갖춘 2매 지지판식 축상자 지지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전동차는 DT211형(E7계) 또는 WDT210형(W7계)을 사용한다. 제어차는 운전대 쪽에 강화형 대차 배장 장치를 장착한 TR7010A형, 연결면 쪽에 TR7010형을 장착한다(W7계는 양쪽 모두 WTR7005형). 대차는 차량 차체 제작사 4곳에 일본제철(Nippon Steel Corporation)을 더한 5개 사에서 제조했다.


기초 제동은 E5계·H5계와 마찬가지로 공압식이다. 전동 대차는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각 차륜 1매)를, 부수 대차는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각 차륜 1매)와 차축 디스크 브레이크(각 축 1매)를 장착한다.
그린샤와 보통차에는 감쇠력 전환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장착한다. 그란클래스 차량인 E714형에는 공기 액추에이터식 풀 액티브 서스펜션과 백업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장착한다. E714형·W714형에서는 풀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에러 등으로 고장 시에는 백업으로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이 작동한다.
E5계·H5계에는 차체 틸팅 장치가 탑재되었지만, E7계·W7계는 최고 속도가 호쿠리쿠 신칸센에서는 260km/h, 조에쓰 신칸센에서는 240km/h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탑재되지 않았다.
4. 4. 차내 설비
그린샤는 가나자와·니가타 방향 차량 끝 부분 1곳에, 보통차 및 그린 클래스는 각 차량 끝 부분 2곳에 객실 출입문·데크를 설치한다.화장실은 2량에 1곳의 비율로 설치되며, 홀수 차량 가나자와·니가타 방향 및 12호차 도쿄 방향에 양변기 2개, 남성용 소변기 2개, 세면대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양변기 및 세면대 1개는 여성 전용이다. 7·11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설비 및 다기능 화장실을, 7호차에는 다기능실을 추가로 설치한다.
차내 자동 방송은 E7계·W7계 모두 공통으로 사카이 마사유키와 진 윌슨이 담당하지만, 차임은 E7계가 조에쓰 신칸센과 동일 사양, W7계가 호쿠리쿠 로망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49]
조명은 JR 동일본의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전체 LED화를 실시했다. 보통차를 포함한 모든 좌석에 전원 콘센트를 설치한다.[50] 모든 좌석에 콘센트 설치가 가능했던 이유는, 본 계열이 E5계·H5계보다 최고 속도가 느려 전원 용량에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51]
차내 디자인은 "어른의 감성을 자극하는 '세련됨'과 마음과 몸의 '여유·해방감'"을 차량의 토탈 콘셉트로 하여, 일본의 전통과 최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세련됨'을, 일본풍 공간에서 얻을 수 있는 편안함으로 '여유·해방감'을 표현했다.
또한 그린 클래스 및 그린샤에는 샤프·가와사키 중공업·덴소가 공동 개발한 플라즈마 클러스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탑재한다.
일본 국외에서 온 승객이나, 동계에 스키·스노보드 등 큰 짐을 가진 승객이 증가한 것을 고려하여, 11호차의 그린샤 데크 공간과 보통차의 짝수 호차 도쿄 방향 2석(1번 D·E석)의 좌석을 철거하고 짐 보관소를 설치했다.
5. 운행 노선
E7계·W7계 전동차가 현재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5. 1. 현재 운행 노선
6. 형식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는 중간차는 모두 전동차이며, 12량 편성으로 구성된다. 4-9호차는 홀수차(M1)와 짝수차(M2)가 각각 1유닛, 2·3호차는 1호차, 10·11호차는 12호차의 제어차를 조합한 유닛으로 총 5유닛으로 구성된다. 편성 기호는 E7계가 F편성, W7계가 W편성이다.[11]
E7계와 W7계는 차량 번호 부여 방식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E7계는 'E723'과 같이 형식 뒤에 바로 번호가 붙는 반면, W7계는 'W723-100'처럼 형식과 번호 사이에 '-'가 들어가고, 동일 유닛 내에서는 각 형식의 차호 구분을 '유닛 번호×100'으로 통일하여 0번대가 존재하지 않는다.[53]
차량 형식은 다음과 같다.
- E714형・W714형 (T'sc): 12호차에 연결되는 그린샤 제어차. E714형은 0번대, W714형은 500번대이다. 그린 클래스 어텐던트 준비실, 화장실,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다.
- E715형・W715형 (M1s): 11호차에 연결되는 그린샤 중간 전동차. 주 변환 장치를 탑재하고 있으며, 휠체어 대응 설비와 휠체어 대응 화장실,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다. E715형은 0번대, W715형은 500번대이다.
- E723형・W723형 (T1c): 1호차에 연결되는 일반 제어차. 화장실과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다. E723형은 0번대, W723형은 100번대이다.
- E725형・W725형: 모두 일반 중간 전동차. 주 변환 장치를 탑재하고 있으며, 화장실과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다.
- E725형 0번대・W725형 100번대 (M1): 3호차에 연결되며, 지붕 위에 집전 장치가 있다.
- E725형 100번대・W725형 200번대 (M1): 5호차에 연결된다.
- E725형 400번대・W725형 300번대 (M1k): 7호차에 연결되며, 지붕 위에 집전 장치가 있다. 휠체어 대응 설비, 다목적실, 차내 판매 준비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장실과 세면소는 휠체어 대응이다.
- E725형 200번대・W725형 400번대 (M1): 9호차에 연결된다.
- E726형・W726형: 모두 주 변환 장치와 주 변압기를 탑재하는 일반 중간 전동차이다.
- 100번대 (M2): 2호차에 연결된다.
- 200번대 (M2): 4호차에 연결된다.
- 300번대 (M2): 6호차에 연결되며, 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다.
- 400번대 (M2): 8호차에 연결된다.
- 500번대 (M2): 10호차에 연결된다.
6. 1. E7계 (F편성)
E7계 전동차는 "F1"부터 차량 번호가 매겨진다.[11] 모든 편성에는 동력차 10량과 무동력(부수) 선두차가 포함된다.[12] 11호차는 그린샤(특실)를, 12호차는 그란클래스(최상급) 객실을 제공한다.[12] 편성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1호차는 도쿄 방면이다.[13]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차량 형식 | Tc | M2 | M1 | M2 | M1 | M2 | M1 | M2 | M1 | M2 | M1s | Tsc |
차량 번호 | E723 | E726-100 | E725 | E726-200 | E725-100 | E726-300 | E725-200 | E726-400 | E725-400 | E726-500 | E715 | E714 |
자중 (t) | 41.3 | 44.7 | 46.1 | 45.2 | 46.4 | 45.2 | 46.5 | 45.2 | 46.4 | 45.0 | 45.6 | 44.5 |
정원 | 50 | 100 | 85 | 100 | 85 | 90 | 58 | 100 | 85 | 100 | 63 | 18 |
설비 | 화장실 | 화장실, 전화 | 화장실 | 휠체어 공간, 배리어 프리 화장실, 전화 | 화장실 | 휠체어 공간, 배리어 프리 화장실 | 화장실 |
3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11][13]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2024년 4월 1일 시점의 정보를 나타낸다. 편의상,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를 입고 폐차된 편성도 기재한다. 차력표도 참조. 좌석 정원은 상단은 전기형, 하단은 후기형의 정원을 나타낸다.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ccc;" | | 도쿄 - 쓰루가·니가타 | |||||||||||
---|---|---|---|---|---|---|---|---|---|---|---|---|
colspan="12" style="background-color:#c09584; solid 4px" | | ||||||||||||
colspan="12" style="background-color:#0158e5; solid 4px" | | ||||||||||||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형식 | E723형 (T1c) | E726형 (M2) | E725형 (M1) | E726형 (M2) | E725형 (M1) | E726형 (M2) | E725형 (M1k) | E726형 (M2) | E725형 (M1) | E726형 (M2) | E715형 (M1s) | E714형 (Tsc) |
번대 | 0번대 | 100번대 | 0번대 | 200번대 | 100번대 | 300번대 | 400번대 | 200번대 | 500번대 | 0번대 | 0번대 | |
좌석 | 보통차 | 그린차 | 그란클래스 | |||||||||
정원 (명) | 50 | 100→98 | 85 | 100→98 | 85 | 90→88 | 58 | 100→98 | 85 | 100→98 | 63 | 18 |
48 | 98 | 83 | 98 | 83 | 88 | 52 | 98 | 83 | 98 | 63 | 18 | |
탑재 기기 | CP,BT | MTr,CI | CI,APU | MTr,CI | CI,APU CP,BT | MTr,CI | CI,APU BT | MTr,CI | CI,APU CP,BT | MTr,CI | CI,APU | CP,BT |
자중 (t) | 41.3 | 44.7 | 46.1 | 45.2 | 46.4 | 45.2 | 46.5 | 45.2 | 46.4 | 45.0 | 45.6 | 44.5 |
유닛 | 1 유닛 | 2 유닛 | 3 유닛 | 4 유닛 | 5 유닛 |
'''범례'''
편성 번호 | E723 (T1c) | E726 (M2) | E725 (M1) | E726 (M2) | E725 (M1) | E726 (M2) | E725 (M1k) | E726 (M2) | E725 (M1) | E726 (M2) | E715 (M1s) | E714 (Tsc) |
---|---|---|---|---|---|---|---|---|---|---|---|---|
F1 (폐차) | 1 | 101 | 1 | 201 | 101 | 301 | 401 | 401 | 201 | 501 | 1 | 1 |
F2 (폐차) | 2 | 102 | 2 | 202 | 102 | 302 | 402 | 402 | 202 | 502 | 2 | 2 |
F3 | 3 | 103 | 3 | 203 | 103 | 303 | 403 | 403 | 203 | 503 | 3 | 3 |
F4 | 4 | 104 | 4 | 204 | 104 | 304 | 404 | 404 | 204 | 504 | 4 | 4 |
F5 | 5 | 105 | 5 | 205 | 105 | 305 | 405 | 405 | 205 | 505 | 5 | 5 |
F6 | 6 | 106 | 6 | 206 | 106 | 306 | 406 | 406 | 206 | 506 | 6 | 6 |
F7 (폐차) | 7 | 107 | 7 | 207 | 107 | 307 | 407 | 407 | 207 | 507 | 7 | 7 |
F8 (폐차) | 8 | 108 | 8 | 208 | 108 | 308 | 408 | 408 | 208 | 508 | 8 | 8 |
F9 | 9 | 109 | 9 | 209 | 109 | 309 | 409 | 409 | 209 | 509 | 9 | 9 |
F10 (폐차) | 10 | 110 | 10 | 210 | 110 | 310 | 410 | 410 | 210 | 510 | 10 | 10 |
F11 | 11 | 111 | 11 | 211 | 111 | 311 | 411 | 411 | 211 | 511 | 11 | 11 |
F12 | 12 | 112 | 12 | 212 | 112 | 312 | 412 | 412 | 212 | 512 | 12 | 12 |
F13 | 13 | 113 | 13 | 213 | 113 | 313 | 413 | 413 | 213 | 513 | 13 | 13 |
F14 (폐차) | 14 | 114 | 14 | 214 | 114 | 314 | 414 | 414 | 214 | 514 | 14 | 14 |
F15 | 15 | 115 | 15 | 215 | 115 | 315 | 415 | 415 | 215 | 515 | 15 | 15 |
F16 (폐차) | 16 | 116 | 16 | 216 | 116 | 316 | 416 | 416 | 216 | 516 | 16 | 16 |
F17 | 17 | 117 | 17 | 217 | 117 | 317 | 417 | 417 | 217 | 517 | 17 | 17 |
F18 (폐차) | 18 | 118 | 18 | 218 | 118 | 318 | 418 | 418 | 218 | 518 | 18 | 18 |
F19 | 19 | 119 | 19 | 219 | 119 | 319 | 419 | 419 | 219 | 519 | 19 | 19 |
F20 | 20 | 120 | 20 | 220 | 120 | 320 | 420 | 420 | 220 | 520 | 20 | 20 |
F21 | 21 | 121 | 21 | 221 | 121 | 321 | 421 | 421 | 221 | 521 | 21 | 21 |
F22 | 22 | 122 | 22 | 222 | 122 | 322 | 422 | 422 | 222 | 522 | 22 | 22 |
F23 | 23 | 123 | 23 | 223 | 123 | 323 | 423 | 423 | 223 | 523 | 23 | 23 |
F24 | 24 | 124 | 24 | 224 | 124 | 324 | 424 | 424 | 224 | 524 | 24 | 24 |
F25 | 25 | 125 | 25 | 225 | 125 | 325 | 425 | 425 | 225 | 525 | 25 | 25 |
F26 | 26 | 126 | 26 | 226 | 126 | 326 | 426 | 426 | 226 | 526 | 26 | 26 |
F27 | 27 | 127 | 27 | 227 | 127 | 327 | 427 | 427 | 227 | 527 | 27 | 27 |
F28 | 28 | 128 | 28 | 228 | 128 | 328 | 428 | 428 | 228 | 528 | 28 | 28 |
F29 | 29 | 129 | 29 | 229 | 129 | 329 | 429 | 429 | 229 | 529 | 29 | 29 |
F30 | 30 | 130 | 30 | 230 | 130 | 330 | 430 | 430 | 230 | 530 | 30 | 30 |
F31 | 31 | 131 | 31 | 231 | 131 | 331 | 431 | 431 | 231 | 531 | 31 | 31 |
F32 | 32 | 132 | 32 | 232 | 132 | 332 | 432 | 432 | 232 | 532 | 32 | 32 |
F33 | 33 | 133 | 33 | 233 | 133 | 333 | 433 | 433 | 233 | 533 | 33 | 33 |
F34 | 34 | 134 | 34 | 234 | 134 | 334 | 434 | 434 | 234 | 534 | 34 | 34 |
F35 | 35 | 135 | 35 | 235 | 135 | 335 | 435 | 435 | 235 | 535 | 35 | 35 |
F36 | 36 | 136 | 36 | 236 | 136 | 336 | 436 | 436 | 236 | 536 | 36 | 36 |
F37 | 37 | 137 | 37 | 237 | 137 | 337 | 437 | 437 | 237 | 537 | 37 | 37 |
F38 | 38 | 138 | 38 | 238 | 138 | 338 | 438 | 438 | 238 | 538 | 38 | 38 |
F39 | 39 | 139 | 39 | 239 | 139 | 339 | 439 | 439 | 239 | 539 | 39 | 39 |
F40 | 40 | 140 | 40 | 240 | 140 | 340 | 440 | 440 | 240 | 540 | 40 | 40 |
F41 | 41 | 141 | 41 | 241 | 141 | 341 | 441 | 441 | 241 | 541 | 41 | 41 |
F42 | 42 | 142 | 42 | 242 | 142 | 342 | 442 | 442 | 242 | 542 | 42 | 42 |
F43 | 43 | 143 | 43 | 243 | 143 | 343 | 443 | 443 | 243 | 543 | 43 | 43 |
F44 | 44 | 144 | 44 | 244 | 144 | 344 | 444 | 444 | 244 | 544 | 44 | 44 |
F45 | 45 | 145 | 45 | 245 | 145 | 345 | 445 | 445 | 245 | 545 | 45 | 45 |
F46 | 46 | 146 | 46 | 246 | 146 | 346 | 446 | 446 | 246 | 546 | 46 | 46 |
F47 | 47 | 147 | 47 | 247 | 147 | 347 | 447 | 447 | 247 | 547 | 47 | 47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0%; text-align:center;"
! 편성 번호
! 제조
! 신제일
! 낙성
배치
! 현행 처우
・배치
! 제적일
! 최종
배치
! 전속 이력
! 비고
|-
!F1
| 가와사키 중공업
| 2013년 11월 27일
| rowspan="19"| 나가노
| rowspan="2"| 폐차
| rowspan="2"| 2020년 3월 31일
| rowspan="2"| 나가노
|
| rowspan="2"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2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13년 12월 25일
|
|-
!F3
| 2014년 1월 30일
| rowspan="4"| 나가노
|
|
|
|
|-
!F4
| rowspan="3"| 가와사키 중공업
| 2014년 2월 24일
|
|
|
|
|-
!F5
| 2014년 3월 18일
|
|
|
|
|-
!F6
| 2014년 6월 2일
|
|
|
|
|-
!F7
| rowspan="3"| J-TREC 요코하마
| 2014년 6월 26일
| rowspan="2"| 폐차
| 2020년 3월 5일
| rowspan="2"| 나가노
|
| rowspan="2"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8
| 2014년 7월 14일
| 2020년 3월 31일
|
|-
!F9
| 2014년 8월 27일
| 나가노
|
|
|
|
|-
!F10
| 히타치 제작소
| 2014년 9월 16일
| 폐차
| 2020년 1월 14일
| 나가노
|
|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11
| rowspan="2"| J-TREC 요코하마
| 2014년 10월 6일
| rowspan="3"| 나가노
|
|
|
|
|-
!F12
| 2014년 11월 10일
|
|
|
|
|-
!F13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14년 12월 19일
|
|
|
|
|-
!F14
| 2015년 1월 19일
| 폐차
| 2020년 3월 31일
| 나가노
|
|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15
| 가와사키 중공업
| 2015년 2월 6일
| 나가노
|
|
|
|
|-
!F16
| 히타치 제작소
| 2015년 4월 8일
| 폐차
| 2020년 3월 31일
| 나가노
|
|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17
| 가와사키 중공업
| 2015년 3월 6일
| 나가노
|
|
|
|
|-
!F18
| J-TREC 요코하마
| 2015년 10월 26일
| 폐차
| 2020년 3월 31일
| 나가노
|
| style="text-align:left;"|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
|-
!F19
| rowspan="2"| 가와사키 중공업
| 2017년 4월 3일
| 나가노
|
|
|
|
|-
!F20
| 2018년 10월 31일
| rowspan="20"| 니가타
| rowspan="20"| 니가타
|
|
|
|
| style="text-align:left;"| 2019년 10월 23일부터 호쿠리쿠 신칸센과 공통 운용
|-
!F21
| 히타치 제작소
| 2018년 11월 20일
|
|
|
|
|
|-
!F22
| 가와사키 중공업
| 2018년 12월 5일
|
|
|
|
|
|-
!F23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19년 9월 24일
|
|
|
| rowspan="2"| 니가타→나가노: 2021년 1월 1일
나가노→니가타: 2022년 8월 1일
| rowspan="2" style="text-align:left;"| 2019년 10월 23일부터 호쿠리쿠 신칸센과 공통 운용
|-
!F24
| 2019년 10월 16일
|
|
|
|-
!F25
| 가와사키 중공업
| 2019년 11월 11일
|
|
|
| 나가노→니가타: 2023년 3월 1일
|
|-
!F26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19년 12월 23일
|
|
|
| 나가노→니가타: 2023년 5월 1일
|
|-
!F27
| 2020년 1월 24일
|
|
|
| 나가노→니가타: 2023년 3월 1일
|
|-
!F28
| J-TREC 요코하마
| 2022년 1월 25일
|
|
|
|
|
|-
!F29
| rowspan="2"| 가와사키 중공업
| 2020년 11월 9일
|
|
|
|
|
|-
!F30
| 2020년 12월 3일
|
|
|
|
|
|-
!F31
| 히타치 제작소
| 2021년 2월 26일
|
|
|
|
|
|-
!F32
| 가와사키 중공업
| 2021년 5월 11일
|
|
|
|
|
|-
!F33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21년 8월 17일
|
|
|
|
|
|-
!F34
| 2021년 10월 6일
|
|
|
|
|
|-
!F35
| J-TREC 요코하마
| 2021년 11월 9일
|
|
|
|
|
|-
!F36
| 가와사키 중공업
| 2021년 10월 21일
|
|
|
|
|
|-
!F37
| 히타치 제작소
| 2022년 8월 3일
|
|
|
|
|
|-
!F38
| rowspan="2"| 가와사키 중공업
| 2022년 12월 6일
|
|
|
|
|
|-
!F39
| 2023년 1월 30일
|
|
|
|
|
|-
!F40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21년 5월 12일
| rowspan="3"| 나가노
| rowspan="8"| 나가노
|
|
|
|
|
|-
!F41
| 2021년 6월 4일
|
|
|
|
|
|-
!F42
| 가와사키 중공업
| 2021년 6월 7일
|
|
|
|
|
|-
!F43
| J-TREC 요코하마
| 2021년 8월 2일
| rowspan="5"| 니가타
|
|
|
| rowspan="2"| 니가타→나가노: 2022년 8월 1일
|
|-
!F44
| rowspan="2"| 히타치 제작소
| 2022년 1월 14일
|
|
|
|
|-
!F45
| 2022년 11월 21일
|
|
|
| 니가타→나가노: 2023년 3월 1일
|
|-
!F46
| 가와사키 중공업
| 2023년 3월 28일
|
|
|
| 니가타→나가노: 2023년 5월 1일
| &
6. 2. W7계 (W편성)
W7계 전동차는 "W1"부터 차량 번호가 매겨진다.[11] 모든 편성에는 동력차 10량과 무동력(부수) 선두차가 포함된다.[12] 11호차는 그린샤(특실)를, 12호차는 그랜클래스(최상급) 객실을 제공한다.[12]
편성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1호차는 도쿄 방면이다.[13]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차량 형식 | Tc | M2 | M1 | M2 | M1 | M2 | M1 | M2 | M1 | M2 | M1s | Tsc |
차량 번호 | W723-100 | W726-100 | W725-100 | W726-200 | W725-200 | W726-300 | W725-300 | W726-400 | W725-400 | W726-500 | W715-500 | W714-500 |
자중 (t) | 41.3 | 44.7 | 46.1 | 45.2 | 46.4 | 45.2 | 46.5 | 45.2 | 46.4 | 45.0 | 45.6 | 44.5 |
정원 | 50 | 98 | 85 | 98 | 85 | 88 | 58 | 98 | 85 | 98 | 63 | 18 |
설비 | 화장실 | 화장실, 전화 | 화장실 | 휠체어 공간, 배리어 프리 화장실, 전화 | 화장실 | 휠체어 공간, 배리어 프리 화장실 | 화장실 |
3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11][13]
도쿄 - 쓰루가 | ||||||||||||
---|---|---|---|---|---|---|---|---|---|---|---|---|
colspan="12" style="background-color:#D8A373; solid 4px" | | ||||||||||||
colspan="12" style="background-color:#0067d7; solid 4px" | | ||||||||||||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형식 | W723형 (T1c) | W726형 (M2) | W725형 (M1) | W726형 (M2) | W725형 (M1) | W726형 (M2) | W725형 (M1k) | W726형 (M2) | W725형 (M1) | W726형 (M2) | W715형 (M1s) | W714형 (Tsc) |
번대 | 100번대 | 200번대 | 300번대 | 400번대 | 500번대 | 500번대 | 500번대 | |||||
좌석 | 보통차 | 그린샤 | 그란클래스 | |||||||||
정원 (명) | 50 | 100→98 | 85 | 100→98 | 85 | 90→88 | 58 | 100→98 | 85 | 100→98 | 63 | 18 |
48 | 98 | 83 | 98 | 83 | 88 | 52 | 98 | 83 | 98 | 63 | 18 | |
탑재 기기 | CP,BT | MTr,CI | CI,APU | MTr,CI | CI,APU CP,BT | MTr,CI | CI,APU BT | MTr,CI | CI,APU CP,BT | MTr,CI | CI,APU | CP,BT |
자중 (t) | 41.3 | 44.7 | 46.1 | 45.2 | 46.4 | 45.2 | 46.5 | 45.2 | 46.4 | 45.0 | 45.6 | 44.5 |
유닛 | 1유닛 | 2유닛 | 3유닛 | 4유닛 | 5유닛 |
'''범례'''
편성 번호 | W723 (T1c) | W726 (M2) | W725 (M1) | W726 (M2) | W725 (M1) | W726 (M2) | W725 (M1k) | W726 (M2) | W725 (M1) | W726 (M2) | W715 (M1s) | W714 (Tsc) |
---|---|---|---|---|---|---|---|---|---|---|---|---|
W1 | 101 | 101 | 101 | 201 | 201 | 301 | 301 | 401 | 401 | 501 | 501 | 501 |
W2 (폐차됨) | 102 | 102 | 102 | 202 | 202 | 302 | 302 | 402 | 402 | 502 | 502 | 502 |
W3 | 103 | 103 | 103 | 203 | 203 | 303 | 303 | 403 | 403 | 503 | 503 | 503 |
W4 | 104 | 104 | 104 | 204 | 204 | 304 | 304 | 404 | 404 | 504 | 504 | 504 |
W5 | 105 | 105 | 105 | 205 | 205 | 305 | 305 | 405 | 405 | 505 | 505 | 505 |
W6 | 106 | 106 | 106 | 206 | 206 | 306 | 306 | 406 | 406 | 506 | 506 | 506 |
W7 (폐차됨) | 107 | 107 | 107 | 207 | 207 | 307 | 307 | 407 | 407 | 507 | 507 | 507 |
W8 | 108 | 108 | 108 | 208 | 208 | 308 | 308 | 408 | 408 | 508 | 508 | 508 |
W9 | 109 | 109 | 109 | 209 | 209 | 309 | 309 | 409 | 409 | 509 | 509 | 509 |
W10 | 110 | 110 | 110 | 210 | 210 | 310 | 310 | 410 | 410 | 510 | 510 | 510 |
W11 | 111 | 111 | 111 | 211 | 211 | 311 | 311 | 411 | 411 | 511 | 511 | 511 |
W12 | 112 | 112 | 112 | 212 | 212 | 312 | 312 | 412 | 412 | 512 | 512 | 512 |
W13 | 113 | 113 | 113 | 213 | 213 | 313 | 313 | 413 | 413 | 513 | 513 | 513 |
W14 | 114 | 114 | 114 | 214 | 214 | 314 | 314 | 414 | 414 | 514 | 514 | 514 |
W15 | 115 | 115 | 115 | 215 | 215 | 315 | 315 | 415 | 415 | 515 | 515 | 515 |
W16 | 116 | 116 | 116 | 216 | 216 | 316 | 316 | 416 | 416 | 516 | 516 | 516 |
W17 | 117 | 117 | 117 | 217 | 217 | 317 | 317 | 417 | 417 | 517 | 517 | 517 |
W18 | 118 | 118 | 118 | 218 | 218 | 318 | 318 | 418 | 418 | 518 | 518 | 518 |
W19 | 119 | 119 | 119 | 219 | 219 | 319 | 319 | 419 | 419 | 519 | 519 | 519 |
W20 | 120 | 120 | 120 | 220 | 220 | 320 | 320 | 420 | 420 | 520 | 520 | 520 |
W21 | 121 | 121 | 121 | 221 | 221 | 321 | 321 | 421 | 421 | 521 | 521 | 521 |
W22 | 122 | 122 | 122 | 222 | 222 | 322 | 322 | 422 | 422 | 522 | 522 | 522 |
W23 | 123 | 123 | 123 | 223 | 223 | 323 | 323 | 423 | 423 | 523 | 523 | 523 |
W24 | 124 | 124 | 124 | 224 | 224 | 324 | 324 | 424 | 424 | 524 | 524 | 524 |
편성 번호 | 제조 | 신제작일 | 낙성 배치 | 현행 처우 ・배치 | 제적일 | 최종 배치 | 비고 |
---|---|---|---|---|---|---|---|
W1 | 가와사키 중공업 | 2015년3월14일 | 하쿠산 | 하쿠산 | |||
W2 | 히타치 제작소 | 2015년3월14일 | 폐차 | 2020년1월31일 | 하쿠산 |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를 입음 | |
W3 | 가와사키 중공업 | 2015년3월14일 | 하쿠산 | ||||
W4 | 히타치 제작소 | 2015년3월14일 | |||||
W5 | 가와사키 중공업 | 2015년3월14일 | |||||
W6 | 2015년3월14일 | ||||||
W7 | 긴키 차량 | 2015년3월14일 | 폐차 | 2020년1월31일 | 하쿠산 |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으로 피해를 입음 | |
W8 | 히타치 제작소 | 2015년3월14일 | 하쿠산 | ||||
W9 | 2015년3월14일 | ||||||
W10 | 긴키 차량 | 2015년3월14일 | |||||
W11 | 히타치 제작소 | 2015년9월17일 | |||||
W12 | 2021년10월29일 | ||||||
W13 | 2021년12월8일 | ||||||
W14 | 2022년3월31일 | ||||||
W15 | 2023년11월11일 | ||||||
W16 | 2023년12월2일 | ||||||
W17 | 가와사키 차량 | 2022년5월31일 | |||||
W18 | 2022년7월6일 | ||||||
W19 | 히타치 제작소 | 2022년7월5일 | |||||
W20 | 가와사키 차량 | 2022년8월24일 | |||||
W21 | 긴키 차량 | 2022년11월22일 | |||||
W22 | 가와사키 차량 | 2022년10월28일 | |||||
W23 | 긴키 차량 | 2023년10월18일 | |||||
W24 | 히타치 제작소 | 2022년12월6일 |
7. 차량 현황
총 71편성이 도입되었으며, 현재 61편성이 운행 중이다. 2019년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E7계 8편성, W7계 2편성이 폐차되었다.[37]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F1호 | 2013년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F1편성은 도입 초기 S13호로 도입했다. |
F2호 | |||
F3호 | 2014년 | 운행 중 | |
F4호 | 운행 중 | ||
F5호 | 운행 중 | ||
F6호 | 운행 중 | ||
F7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F8호 | |||
F9호 | 운행 중 | ||
F10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F11호 | 운행 중 | ||
F12호 | 운행 중 | ||
F13호 | 운행 중 | E5계와 적용된 차음판에 6호차와 10호차에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 |
F14호 | 2015년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F15호 | 운행 중 | ||
F16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F17호 | 운행 중 | ||
F18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F19호 | 2017년 | 운행 중 | |
F20호 | 2018년 | 운행 중 |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소속으로 2019년 10월 23일부터 호쿠리쿠 신칸센에 대출 중이다. |
F21호 | 운행 중 |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소속으로 조에쓰 신칸센 노선만 운행한다. | |
F22호 | 운행 중 | ||
F23호 | 2019년 | 운행 중 |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소속으로 2019년 10월 23일부터 호쿠리쿠 신칸센에 대출 중이다. |
F24호 | 운행 중 | ||
F25호 | 운행 중 | ||
F26호 | 운행 중 | ||
F27호 | 2020년 | 운행 중 | |
F28호 | 운행 중 | ||
F29호 | 운행 중 | ||
F30호 | 운행 중 | ||
F31호 | 2021년 | 운행 중 | |
F32호 | 운행 중 | ||
F33호 | 운행 중 | ||
F34호 | 운행 중 | ||
F35호 | 운행 중 | ||
F36호 | 운행 중 | ||
F37호 | 운행 중 | ||
F38호 | 운행 중 | ||
F39호 | 운행 중 | ||
F40호 | 운행 중 | ||
F41호 | 운행 중 | ||
F42호 | 운행 중 | ||
F43호 | 운행 중 | ||
F44호 | 2022년 | 운행 중 | |
F45호 | 운행 중 | ||
F46호 | 2023년 | 운행 중 | |
F47호 | 운행 중 | ||
F48호 | 운행 중 |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W1호 | 2014년 | 운행 중 | |
W2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W3호 | 운행 중 | ||
W4호 | 운행 중 | ||
W5호 | 운행 중 | ||
W6호 | 운행 중 | ||
W7호 | 2019년 |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되었다. | |
W8호 | 2015년 | 운행 중 | |
W9호 | 운행 중 | ||
W10호 | 운행 중 | ||
W11호 | 운행 중 | ||
W12호 | 2021년 | 운행 중 | |
W13호 | 운행 중 | ||
W14호 | 운행 중 | ||
W15호 | 2022년 | 운행 중 | |
W16호 | 운행 중 | ||
W17호 | 운행 중 | ||
W18호 | 운행 중 | ||
W19호 | 운행 중 | ||
W20호 | 운행 중 | ||
W21호 | 2023년 | 운행 중 | |
W22호 | 운행 중 | ||
W23호 | 운행 중 | ||
W24호 | 운행 중 |
2014년 4월 13일 가나자와 항
8. 사건 및 사고
2019년 10월,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가 침수되어 JR 동일본 소속 E7계 8개 편성과 JR 서일본 소속 W7계 2개 편성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89] 이로 인해 해당 편성들은 모두 폐차되었다.[89]
8. 1.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 침수 사건
2019년 10월,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가 침수되면서, JR 동일본 소속 E7계 8개 편성과 JR 서일본 소속 W7계 2개 편성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89] 이로 인해 해당 편성들은 모두 폐차 결정되었다.[89]침수된 편성 목록은 다음과 같다.
소속 회사 | 차호 | 비고 |
---|---|---|
JR 동일본 | F1 | 2013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F2 | 2013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7 | 2014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8 | 2014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10 | 2014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14 | 2015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16 | 2015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F18 | 2015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
JR 서일본 | W2 | 2014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W7 | 2014년 도입,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로 폐차 |
9. 시험 운행
E7계는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기타카미 구간, 나가노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에서 시운전을 실시했다. F2편성은 2014년 1월 9일에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로, 같은 달 11일에 도쿄 신칸센 차량 센터로 회송되어, 같은 달 15일부터 본격적인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조에쓰 신칸센에서의 시운전은 2014년 4월 15일, 16일에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로 회송된 F5편성이 실시했다.
W7계는 2014년 4월 30일에 하쿠산 종합 차량소 내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했고, 6월 22일에는 하쿠산 종합 차량소와 함께 보도 공개했다. 8월 1일부터는 열차 주행 시험을 시작했다. 8월 5일에는 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소에서 시험 주행, 8월 7일에는 시험 주행 구간을 나가노까지 연장했다.
2014년 10월 23일에는 나가노-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소에 E7계가 첫 입선하여 주행 시험을 같은 달 31일까지 실시했다.
2014년 12월 8일부터 2015년 3월 13일까지, 나가노-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기지 구간에서 E7계·W7계를 사용한 차량 주행 시험·승무원 훈련·설비 확인 등의 각종 시운전을 실시했다. 나가노-조에쓰묘코 구간은 하루 최대 25왕복, 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기지 구간은 하루 최대 14왕복 주행했다.
9. 1. 시운전
E7계는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기타카미 구간, 나가노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에서 시운전을 실시했다. F2편성은 2014년 1월 9일에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로, 같은 달 11일에 도쿄 신칸센 차량 센터로 회송되어, 같은 달 15일부터 본격적인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조에쓰 신칸센에서의 시운전은 2014년 4월 15일, 16일에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로 회송된 F5편성이 실시했다.W7계는 2014년 4월 30일에 하쿠산 종합 차량소 내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했고, 6월 22일에는 하쿠산 종합 차량소와 함께 보도 공개했다. 8월 1일부터는 열차 주행 시험을 시작했다. 8월 5일에는 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소에서 시험 주행, 8월 7일에는 시험 주행 구간을 나가노까지 연장했다.
2014년 10월 23일에는 나가노-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소에 E7계가 첫 입선하여 주행 시험을 같은 달 31일까지 실시했다.
2014년 12월 8일부터 2015년 3월 13일까지, 나가노-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기지 구간에서 E7계·W7계를 사용한 차량 주행 시험·승무원 훈련·설비 확인 등의 각종 시운전을 실시했다. 나가노-조에쓰묘코 구간은 하루 최대 25왕복, 조에쓰묘코-가나자와-하쿠산 종합 차량기지 구간은 하루 최대 14왕복 주행했다.
9. 2. 자동 운전 시험
2020년 11월 10일, JR 동일본은 신칸센 자동 운전을 위해 E7계를 사용한 시험 주행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시험 주행 목적은 니가타역 -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간 약 5km 구간에서 E7계 1개 편성(12량)으로 시험 주행을 하여 평가 및 과제를 추출하는 것이다.시험은 2021년 10월~11월경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ATO 기능 검증, 로컬 5G 성능 확인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ATO 기능 검증에서는 원격 조작으로 열차를 출발시켜 자동 가감속, 정해진 위치 정차, 비상시 원격 조작으로 열차 정지 등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로컬 5G 성능 확인에서는 고화질 영상 실시간 전송 기술 등을 시험하여 철도 환경에서 5G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연선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주행 중인 회송 열차와 전송 시험을 실시하여 대용량·저지연 통신 가능 여부 등 5G의 철도 환경 성능을 확인한다.
JR 동일본은 2018년 7월 그룹 경영 비전 '변혁 2027'을 발표하고 운전사가 필요 없는 '드라이버리스 운전'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E956형 (ALFA-X) 야간 주행 시험 등을 통해 신칸센 자동 운전 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이번 시험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향후 신칸센 자동 운전을 위한 ATO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10. 기타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비어 있어 내용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따라서 빈 결과를 출력합니다.)
10. 1. 검측차로서의 운용
조에쓰·호쿠리쿠 신칸센에서의 검측 업무는 기본적으로 신칸센 E926형 전동차(East-i)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재해 대책 및 예비 차량 확보를 위해 영업 차량으로 검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E7계 F10편성[58] 및 W7계 W5, W6편성[59]에 검측 장치가 탑재되어 영업 열차 및 회송 열차로 검측을 실시하고 있다.참조
[1]
간행물
3月15日ダイヤ改正と各地の話題
Kōtsū Shimbun
2014-05
[2]
간행물
E7系・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2-11
[3]
웹사이트
北陸路走る 伝統と未来 新幹線デザイン決定
http://www.chunichi.[...]
The Chunichi Shimbun
2012-09-05
[4]
웹사이트
北陸新幹線用の新型車両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 East & JR West
2012-09-04
[5]
웹사이트
総合車両製作所、北陸新幹線の車両生産工場増強-60両5編成受注
http://www.nikkan.co[...]
The Nikkan Kogyo Shimbun Ltd.
2013-07-03
[6]
웹사이트
JR東:北陸新幹線の新型車両「E7系」概要発表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2-09-04
[7]
웹사이트
E7系による"とき"運転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5-19
[8]
웹사이트
北陸新幹線 長野~金沢間開業に伴う運行計画の概要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 East & JR West
2014-08-27
[9]
웹사이트
トヨタ紡織、鉄道車両用シートを初受注 ~ 北陸新幹線「グランクラス」に採用 ~
http://www.toyota-bo[...]
Toyota Boshuku Corporation
2013-04-18
[10]
웹사이트
北陸新幹線E7系・W7系への荷物置場の設置について
https://www.westjr.c[...]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5-09-03
[11]
간행물
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4-06
[12]
간행물
E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4-02
[13]
간행물
E7系・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4-03
[14]
서적
JR電車編成表 2017冬
Kotsu Shimbunsha
2016-11-16
[15]
서적
JR電車編成表 2017夏
Kotsu Shimbunsha
2017-05-18
[16]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14/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3-2014
Koyusha Co., Ltd.
2014-07
[17]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15/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4-2015
Koyusha Co., Ltd.
2015-07
[18]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16/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5-2016
Koyusha Co., Ltd.
2016-07
[19]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18/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7-2018
Koyusha Co., Ltd.
2018-07
[20]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19/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8-2019
Koyusha Co., Ltd.
2019-07
[21]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20/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19-2020
Koyusha Co., Ltd.
2020-07
[22]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22/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21-2022
Koyusha Co., Ltd.
2022-07
[23]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2021/JR車両のデータバンク2020-2021
Koyusha Co., Ltd.
2015-07
[24]
웹사이트
E7系F47編成が新潟へ
https://railf.jp/new[...]
2023-01-18
[25]
웹사이트
北陸新幹線:山越え時速200キロ、パワフル「E7系」金沢へ 延伸でJR東日本開発
http://mainichi.jp/f[...]
The Mainichi Newspapers
2013-12-31
[26]
웹사이트
「大幅変更なし」 七尾線など、新幹線開業後も
http://www.hokkoku.c[...]
The Hokkoku Shimbun
2012-09-04
[27]
웹사이트
流線型に銅色ライン…北陸新幹線「E7系」公開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4-01-11
[28]
웹사이트
E7系、昼の信濃路を疾走 長野-東京間試験走行
http://www.shinmai.c[...]
The Shinano Mainichi Shimbun
2014-01-11
[29]
웹사이트
北陸新幹線用新型車両シンボルマークデザイン決定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4-02-13
[30]
간행물
平成27年3月14日ダイヤ改正にともなうJR東日本車両の動き
Koyusha Co., Ltd.
2015-05
[31]
웹사이트
W7系、30日に石川初走行 白山車両所
http://www.hokkoku.c[...]
2014-05-27
[32]
웹사이트
北陸新幹線金沢~上越妙高間でW7系による走行試験が始まる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4-08-05
[33]
웹사이트
JR西 130億円増収効果 16年3月期予想 秋以降に車両追加
http://www.chunichi.[...]
The Chunichi Shimbun
2016-09-14
[34]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 選定車両一覧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5-05-21
[35]
간행물
E7系・W7系 ブルーリボン賞を受賞
Koyusha Co., Ltd.
2016-02
[36]
웹사이트
北陸新幹線、10編成が水につかる 台風19号、車両センター水没 | 社会 | 福井のニュース
https://www.fukuishi[...]
2019-10-13
[37]
뉴스
Japan typhoon Hagibis: Ten flooded bullet trains scrapped
https://www.bbc.com/[...]
2019-11-06
[38]
웹사이트
Japan's typhoon-damaged bullet trains to be scrapped - Xinhua | English.news.cn
http://www.xinhuanet[...]
2019-11-06
[39]
웹사이트
Halted by typhoon, Tokyo-Kanazawa direct bullet train services to resume Oct. 25
https://www.japantim[...]
2019-10-19
[40]
뉴스
JR East shows off autonomous bullet train to media
https://www.japantim[...]
2021-11-23
[41]
웹사이트
JR東日本,3月18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2022-12-19
[42]
문서
荷物置き場設置のため、普通車の座席数を変更。
[43]
문서
本系列には「あさま」で運用されているE2系が新幹線車両の標準寿命13-20年にさしかかっていたことから、車両更新も兼ねていた。
[44]
문서
2017年4月現在、E7系が19編成、W7系が11編成投入済。以降の増備は後述する。
[45]
문서
One-motion line ワンモーションラインとネーミング。
[46]
PDF
東日本旅客鉄道(株) 北陸新幹線E7系用 電機品
https://www.global.t[...]
東芝「東芝レビュー」2014年3月号
2014-03
[47]
문서
E5系・H5系に搭載されるPS208形をベースに多分割擦り板を通常の分割擦り板へ変更。
[48]
문서
5号車は4号車から、7号車は6号車から受電するためそれぞれユニットの繋がりは切れない。
[49]
문서
2015年9月30日までは、他のJR西日本所属新幹線車両と同一の「[[いい日旅立ち・西へ]]」を使用。
[50]
문서
北陸新幹線では軽井沢 - 佐久平間・上越妙高 - 糸魚川 - 黒部宇奈月温泉間に周波数50/60 Hzの切替区間が存在するが、車内電源コンセントの周波数は60 Hzに統一される。
[51]
문서
E5系U29編成以降ならびにH5系は、車内照明のLED化により普通車全席にコンセントを設置。
[52]
문서
500系など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における番台区分とは異なる。
[53]
문서
W7系以外の東北・上越新幹線などの車両で0番台が存在しないのは、[[신칸센 E1계 전차|E1계]]에서는 E153형・E158형, E2계에서는 E226형, [[신칸센 E3계 전차|E3계]]에서는 E321형(E311형으로부터의 개조차), [[신칸센 E4계 전차|E4계]]에서는 E453형・E456형・E459형, E5계・H5계에서는 E526형・H526형, E7계에서는 E726형이 해당。
[54]
간행물
JR東日本 E7系/JR西日本 W7系新幹線電車
日本鉄道車輌工業会
2014-09
[55]
문서
同列車は平日運転で[[土曜日]]ならびに一部[[休日]]を運休することから[[臨時列車]]扱いである。
[56]
문서
軽井沢発着列車は週末ならびに一部休日は軽井沢 - 長野間を臨時列車扱いで延長運転を実施する。
[57]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20
[58]
웹사이트
신칸센における 영업열차への 관성정矢궤도검측장치의 탑재
http://library.jsce.[...]
토목학회제70회년차학술강연회
2022-09-24
[59]
웹사이트
사례・실적 JR서일본向けN700계/W7계 동요검측장치
https://www.kawaju.c[...]
카와중테크놀로지주식회사
2022-09-24
[60]
웹사이트
Hanzo
https://chuggington.[...]
2022-06-29
[61]
웹인용
北陸路走る 伝統と未来 新幹線デザイン決定
http://www.chunichi.[...]
The Chunichi Shimbun
2012-09-18
[62]
웹인용
北陸新幹線用の新型車両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 East & JR-West
2012-09-04
[6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ainichi.jp/f[...]
The Mainichi Newspapers
2013-12-31
[64]
보도자료
호쿠리쿠 신칸센 용 신형차량에 대해서
http://www.jreast.co[...]
동일본 여객철도
2014-03-05
[65]
서적
E7系・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2-11
[66]
웹인용
流線型に銅色ライン…北陸新幹線「E7系」公開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4-01-11
[6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hinmai.c[...]
The Shinano Mainichi Shimbun
2014-01-11
[68]
웹인용
北陸新幹線用新型車両シンボルマークデザイン決定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4-02-13
[69]
서적
Koyusha Co., Ltd.
2015-05
[70]
웹인용
長野新幹線「E7系」追加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4-08-26
[71]
웹인용
長野新幹線の新型車両E7系の運転本数拡大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4-02-24
[72]
웹인용
長野新幹線「E7系」追加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高崎支社
2014-08-22
[73]
웹인용
11月8日からの長野新幹線のE7系運転本数拡大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長野支社
2014-08-22
[7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okkoku.c[...]
The Hokkoku Shimbun
2014-04-24
[75]
웹인용
北陸新幹線金沢~上越妙高間でW7系による走行試験が始まる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4-08-05
[76]
웹인용
Outline of service plans for opening of Hokuriku Shinkansen from Nagano to Kanazawa
http://www.jreast.co[...]
JR East & JR West
2014-08-27
[77]
웹인용
JR West forecasts profits of 13 billion yen for March 2016 - Additional train from autumn
http://www.chunichi.[...]
The Chunichi Shimbun
2015-05-01
[78]
웹인용
Blue Ribbon Award & Laurel Prize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2016-05
[79]
웹인용
仙台〜金沢間 旅行商品専用の直通新幹線運転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6-09-09
[80]
뉴스
JR東日本とJR西日本、仙台駅〜金沢駅直通の新幹線を旅行商品専用で初運行
http://travel.watch.[...]
Impress Watch
2016-09-09
[81]
웹인용
E2 series N set Asama services end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7-04-01
[82]
웹인용
日 고속열차 신칸센 '2층열차' 역사 속으로
http://www.yonhapnew[...]
2017-05-07
[83]
웹인용
上越新幹線で初めての速度向上試験 来年度に新車両
http://news.tv-asahi[...]
2017-09-07
[84]
웹인용
上越新幹線への新車投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7-04-04
[85]
웹인용
2019年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8-12-14
[86]
웹인용
http://www.chunichi.[...]
The Chunichi Shimbun
2012-09-05
[87]
서적
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4-06
[88]
서적
E7系・W7系新幹線電車
Koyusha Co., Ltd.
2014-03
[89]
뉴스
태풍 하기비스로 침수된 신칸센 열차 120량 모두 폐기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19-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