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술관료제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관료제 운동은 20세기 초 에드워드 벨라미와 토르스타인 베블렌의 저작에서 기원하며, 기술 전문가가 사회를 통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확산되었으며, 하워드 스콧을 중심으로 '기술관료 회사'가 결성되어 에너지 증명서를 화폐 척도로 사용하는 등의 계획을 제시했다. 이 운동은 대중의 관심을 받았으나 비판과 조롱을 받으며 쇠퇴했고, 일부 조직은 존속했으나 활동은 감소했다. 기술관료제는 북아메리카 대륙을 '테크네이트'로 건설하여 기술적, 과학적 방식으로 사회를 운영하고, 에너지 기반의 대륙 회계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유사한 사상은 소설,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주의와 비교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관료제 운동 - 하워드 스콧
    하워드 스콧은 기술 전문가의 사회 지배를 주장하며 테크노크라시 운동을 주도했고, 에너지 기반 경제 시스템과 테크네이트 정부를 제안했지만, 학력 위조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 기술관료제 운동 - 킹 허버트
    킹 허버트는 석유 생산량 예측 모델인 피크 오일 이론을 제시하고, 지각 변형과 지하 유체 흐름을 연구했으며, 석유 생산량 감소를 예측하며 태양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를 미래 에너지원으로 제시한 미국의 지구물리학자이다.
  • 1930년대 미국 - 대공황
    1929년 미국 월스트리트 증권 시장 붕괴로 시작된 대공황은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GDP 감소, 산업 생산 붕괴, 높은 실업률 등을 야기했으며 국제 무역 감소, 금융 시스템 붕괴, 금본위제, 보호무역주의 정책 등이 심화시켜 각국 정부가 다양한 정책으로 대응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종식되어 경제 이론, 정책, 사회, 정치,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1930년대 미국 - 금주법 시대
    금주법 시대는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에서 알코올의 제조, 판매, 운송, 수입을 금지한 전국적인 금주 정책으로, 밀주와 조직 범죄 증가, 법 집행 어려움 등의 부작용을 낳고 1933년에 폐지되었다.
기술관료제 운동
개요
이름기술관료제 운동
다른 이름테크노크라시 운동
목표기술관료주의를 통해 사회와 경제를 재건
가격 시스템을 에너지 단위로 대체
국가미국
캐나다
존속 기간1930년대 ~ 현재
이념기술관료주의
과학적 관리법
사회 계획
환경주의
생태 경제학
역사
창립 시기1930년대
발상지미국
주요 인물하워드 스콧
매리언 킹 허버트
특징
핵심 제안가격 시스템 폐지
에너지 화폐 도입
기술 전문가에 의한 사회 운영
지지 기반초기에는 기술자와 엔지니어 중심, 대공황 시기 실업자들에게도 지지 받음
영향사회 계획에 대한 논의 촉발
환경 운동에 간접적 영향
비판비민주적 성격
기술 결정론적 시각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
조직
주요 조직테크노크라시 주식회사
관련 조직과거에는 다양한 연구 그룹과 지역 조직 존재
현재
현황현재는 소규모 단체로 존속, 기술관료주의 이념을 홍보
활동출판물 발행, 강연회 개최

2. 기원

기술관료제 운동은 20세기 초 미국의 진보적인 엔지니어들과 에드워드 벨라미의 저작물[13], 그리고 토르스타인 베블렌의 사상, 특히 1921년에 발표된 그의 저서 ''엔지니어와 가격 체계''에서 영향을 받았다.[14][15][16] '기술관료제(technocracy)'라는 용어는 1919년 캘리포니아 출신 엔지니어인 윌리엄 H. 스미스가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과학자와 엔지니어라는 하인을 통해 실행되는 인민의 통치"를 의미했다.[17][18] 이후 1920년대에는 토르스타인 베블렌의 이론을 설명하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19]

2. 1. 초기 조직

초기 기술관료주의 조직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결성되었다. 이러한 조직에는 헨리 간트의 "새로운 기계"와 토르스타인 베블렌의 "기술자 소비에트" 등이 포함되었으나, 이들은 짧은 시간 안에 해산되었다.[19] 헨리 간트, 토르스타인 베블렌, 하워드 스콧과 같은 초기 이론가들은 기존 사업가들이 공익을 위해 산업을 효과적으로 개혁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산업의 통제권을 엔지니어에게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20]

3. 미국과 캐나다

기술관료제 지지자들은 기존의 가격 시스템에 기반한 정부와 경제는 비효율적이라고 비판하며, 기술 전문가들이 이끄는 사회가 더 합리적이고 생산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6]

대공황 시기에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급진적인 사회 공학 아이디어가 주목받았으며,[7] 기술관료제 운동도 그중 하나였다. 이는 루스벨트 행정부의 뉴딜 정책으로 대표되는 개혁 움직임과 맥을 같이 했다.[6][7] 1932년 말, 미국 전역에서 스스로를 '기술관료'라 칭하는 여러 그룹이 등장해 사회 개혁 방안을 제시했다.[8]

하워드 스콧은 이 운동의 주요 인물로,[2] 1932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동료들과 함께 "기술관료 위원회"를 결성하며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24]

하지만 1930년대 중반 이후 기술관료제 운동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뉴딜 정책의 성공을 그 원인으로 꼽지만,[9][10] 다른 한편에서는 운동 자체의 정치적 비전 부족을 지적하기도 한다.[11] 기술관료들은 입법이나 벌금 같은 정치적 해법 대신, 기술적 해결책(예: 위험한 외부 플랫폼이 있는 전차 대신 플랫폼 없는 전차 설계)이 사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이 운동은 캐나다에서도 활동했으며, 1940년에는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이 기술관료 회사 회원들을 불법 단체 가입 혐의로 체포하는 일도 있었다.[37][3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과 1947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강연 투어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밴쿠버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차량 행렬을 조직하기도 했다.[39][40]

그러나 대공황 시기에 예측했던 가격 시스템의 붕괴가 일어나지 않으면서[41] 운동의 추진력은 약화되었고, 1948년 이후 활동은 점차 감소했다. 이후 기술관료제 운동은 주로 캐나다 밴쿠버와 미국 서부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42] 관련 기록물은 앨버타 대학교에 보관되어 있다.[3]

3. 1. 기술관료제 회사 (Technocracy Inc.)

하워드 스콧(Howard Scott)은 1919년 말 뉴욕에서 주로 과학자와 기술자로 구성된 기술 동맹(Technical Alliance)을 조직하며 활동을 시작했다.[2] 이 동맹은 ''북미 에너지 조사''를 통해 새로운 사회 구조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으나, 조사를 마치지 못하고 1921년에 해체되었다.[21][22][23]

1932년, 스콧은 기술 성장과 경제 변화에 관심을 가진 이들과 뉴욕 시에서 다시 모임을 시작했으며, 이들의 아이디어는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스콧과 월터 라우텐슈라흐(Walter Rautenstrauch) 주도로 "기술관료 위원회"(en: Committee on Technocracy)가 결성되었다.[24] 하지만 이 그룹은 내부 갈등으로 오래가지 못했고, 1933년 1월[25] 해럴드 롭(Harold Loeb)이 이끄는 "기술관료 대륙 위원회"(en: Continental Committee on Technocracy)와 스콧이 이끄는 "기술관료 회사"(en: Technocracy Incorporated)로 분열되었다.[26][27]

스콧이 이끈 기술관료 회사는 "가치의 에너지 이론"을 핵심 사상으로 삼았다. 그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 생산의 공통 기반이 에너지이므로, 화폐 대신 에너지를 측정 단위로 사용하는 '에너지 증명서'(en: energy certificate) 또는 '에너지 회계'(en: energy accounting) 시스템을 도입하면 사회를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0] 기술관료 회사 관계자들은 회색 셔츠와 파란 넥타이, 옷깃의 모나드 휘장으로 구성된 유니폼을 착용했으며, 회원들은 공개적으로 스콧에게 경례했다.[6][31]

기술관료제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1932년 6월 ''뉴욕 타임스'' 보도를 시작으로 1933년 초까지 최고조에 달했다.[27] 그러나 1933년 1월 13일, 스콧이 전국 라디오 방송(피에르 호텔 연설)을 통해 자신의 비전을 설명하고 비판에 반박하려 했으나, 내용은 혼란스럽고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7][32] 이 연설을 계기로 스콧과 기술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은 거세졌다. 언론과 재계는 조롱과 강한 적대감을 보였고, 미국 공학 위원회(en: American Engineering Council)는 기술관료들을 "비전문적 활동, 의심스러운 데이터 사용, 부당한 결론 도출"이라고 비난했다.[33] 비판자들은 기술관료제가 제시하는 기술 유토피아의 대가가 너무 크다고 보았으며, 기존의 민주주의 가치와 제도를 유지하면서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34]

파벌 문제 등으로 기술관료 대륙 위원회는 1936년 10월 해체되었으나,[27][35] 스콧이 이끄는 기술관료 회사는 활동을 지속했다.[10][36] 1940년 10월 7일에는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RCMP)이 서스캐처원주 리자이나(Regina)에서 기술관료 회사 회원들을 불법 단체 조직 혐의로 체포하는 사건도 있었다. 체포된 인물 중에는 기술관료 회사의 전 이사이자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할아버지인 조슈아 N. 할데만(Joshua N. Haldeman)도 포함되어 있었다.[37][38]

1946년과 1947년, 기술관료 회사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강연 투어를 진행하고 로스앤젤레스에서 밴쿠버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차량 행렬을 조직했다.[39] 이 행렬에는 회색으로 통일된 수백 대의 자동차, 트럭, 개조된 스쿨버스 등이 동원되었고, 오토바이 부대와 모나드 기호를 단 비행기까지 등장했다. 이 모습은 기술관료들에 의해 16mm 컬러 필름으로 기록되었다.[40]

그러나 1948년 이후 운동 내부의 반대가 커지면서 활동은 점차 위축되었다. 특히 가격 시스템이 대공황 시기에 예측했던 것(1937년 또는 1940년 이전 붕괴)과 달리 붕괴하지 않으면서 운동의 설득력이 약화된 것이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41] 이후 회원 수와 활동은 꾸준히 감소했지만, 기술관료 회사는 명맥을 유지하며 주로 캐나다 밴쿠버와 미국 서부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을 지속했다. 현재도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월간 뉴스레터를 발행하며 회원 모임을 열고 있다.[42] 관련 자료들은 앨버타 대학교 도서관에 방대하게 보관되어 있다.[3]

3. 2. 캐나다에서의 탄압

1940년 10월 7일, 캐나다 왕립 기마 경찰(Royal Canadian Mounted Police)은 기술관료 회사의 회원들을 체포하여 불법 단체에 속한 혐의로 기소했다. 체포된 사람 중 한 명은 서스캐처원주 레지나의 카이로프랙터이자 기술관료 회사의 전 이사였던 조슈아 N. 할데만(Joshua N. Haldeman)이었는데, 그는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37][38]

4. 기술관료제의 계획

1938년, 기술관료제 운동의 핵심 조직인 테크노크라시 Inc.(Technocracy Inc.)는 자신들의 사회 개혁 구상을 발표했다.[43] 이들은 기술관료제를 '사회 공학의 과학'으로 정의하며, 북아메리카 대륙 전체 인구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분배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의 과학적 운영 방식을 제안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사회 운영은 전적으로 과학적, 기술적, 공학적 문제 해결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기존의 정치인, 금융업자, 부당 이득 추구 등은 배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3]

기술관료들은 당시 사회가 실제적인 희소성 단계를 지나 잠재적 풍요 상태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시스템 때문에 인위적인 희소성이 강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교환 매체에 의존하는 가격 시스템은 풍요와 양립할 수 없으며, 진정한 풍요 상태에서는 가격 자체가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은 가격 시스템을 폐지하고 과학적인 생산 및 분배 방식으로 대체해야만 진정한 풍요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3]

이를 위해 모든 시민에게 출생부터 사망까지 '분배 증명서'(Distribution Certificate)를 통해 재화를 분배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이 시스템이 적용될 사회의 범위는 파나마에서 북극까지 아메리카 대륙 전체를 포괄하는 '테크네이트(Technate)'로 설정되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풍부한 천연 자원과 자연적 경계가 하나의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지리적 단위를 형성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43] 기술관료제의 구체적인 운영 방식과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들에서 다루어진다.

4. 1. 작업 일정

기술관료제의 작업 일정


기술관료제 운동은 기존 주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비효율, 이른바 "주말 효과"를 극복하고 자원, 운송, 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최대화하며, 중단 없는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작업 일정을 구상했다.[44]

이들의 계획에 따르면, 모든 시민은 4일 연속 하루 4시간씩 근무하고 이후 3일간 휴식하는 패턴을 따른다. 전체 인구를 7개 그룹으로 나누어 근무 시간대를 순환 배치함으로써, 산업 및 서비스 분야가 하루 24시간, 주 7일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이 시스템에는 개별 시민에게 보장되는 별도의 휴가 기간도 포함되었다.[44]

4. 2. 대륙 회계 시스템 (Continental Accounting System)

하워드 스콧은 상품과 서비스 생산의 공통 기본 척도가 에너지라고 보고, 화폐 대신 에너지 단위(에너지 증명서 또는 '에너지 회계')를 사용하는 것이 사회를 더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이라고 주장했다.[30] 이는 기술관료제 운동의 '가치의 에너지 이론'이라는 핵심 비전으로 이어졌다.

1938년 테크노크라시 Inc.(Technocracy Inc.)는 사회 공학의 과학으로서 기술관료제를 정의하며, 북아메리카 대륙 전체 인구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는 사회 메커니즘의 과학적 운영을 제안했다. 이 시스템에서는 정치인, 금융업자, 부당 이득 추구 등이 배제되고 오직 과학적, 기술적, 공학적 문제 해결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의 가격 시스템은 풍요 속에서 인위적인 희소성을 강요하며, 진정한 풍요 상태에서는 가격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과학적인 생산 및 분배 방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모든 시민에게 출생부터 사망까지 분배 증명서(Distribution Certificate)를 통해 재화를 분배하는 방식을 제안했다.[43]

기술동맹의 북미 에너지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테크노크라시 Inc.는 효율적인 자원 분배 시스템을 위해 다음과 같은 핵심 사항들을 제시했다.[45]

항목내용
124시간 연속적인 에너지 총 순 변환량 등록: (a) 대륙 시설 건설 및 유지 관리용 에너지, (b) 전체 인구 소비를 위한 소비재 및 서비스 형태의 물리적 부의 양 결정
2에너지 변환 및 소비 등록을 통한 균형 부하(balanced load) 달성
3모든 생산 및 소비에 대한 24시간 연속 재고 관리
4모든 상품 및 서비스의 유형, 종류, 크기 등에 대한 상세 등록 (생산 및 사용 위치 포함)
5각 개인의 소비에 대한 상세 등록 및 개인 기록 유지
6시민이 대륙의 물리적 부를 소비하는 데 있어 최대한의 선택권 보장
7모든 인구 구성원에게 상품과 서비스 분배



가격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기술관료들은 에너지 단위를 사용하는 새로운 분배 측정 수단을 고안했다. 특히 에르그와 줄과 같은 에너지 단위를 강조하며 에너지 증명서(Energy Certificate) 개념을 만들었다. 이 증명서에는 시민의 신원, 나이, 성별, 직업/거주지, 에너지 할당량, 구매 내역, 증명서 발급일 및 만료일 등의 정보가 듀이 십진 분류법 형식으로 기록될 예정이었다. 이는 현대의 신분증과 은행 카드를 합친 것과 유사한 개념이다. 테크노크라시 Inc.는 이후 이 개념을 "[https://www.technocracyinc.org/the-energy-distribution-card/ 에너지 분배 카드(Energy Distribution Card)]"로 업데이트하여 직불 카드와 더 유사한 형태로 제시했다.[45]

기술관료제가 제안한 에너지 분배 카드(Energy Distribution Card)


에너지 회계 시스템은 기존 화폐 시스템과 다음과 같은 주요 차이점을 가진다.[45][28]

  • 동등한 에너지 할당량: 모든 시민은 나이(25세 미만, 45세 이상 은퇴자 포함)나 고용 상태(실직자 포함)와 관계없이 독립적인 에너지 할당량을 받는다.
  • 양도 및 축적 불가: 증명서는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거래할 수 없으며, 공인된 판매점에서만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매 시 사용된 에너지는 소멸하며 판매자에게 이전되지 않아 에너지의 유통이나 축적이 발생하지 않는다.
  • 만료일 존재: 증명서에는 만료일이 있어 사용되지 않은 에너지는 무효화된다. 정해진 날짜에 시민은 새로운 에너지 할당량을 받으므로 에너지를 축적할 수 없다.
  • 신분 확인 기능: 증명서는 개인의 신분증과 직접 연결되어 도난이나 타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워드 스콧은 컴퓨터 기술의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에너지 증명서 시스템(C.A.S.)과 듀이 십진 분류법이 종이 기반의 계산 추적 방식이며, IBM 컴퓨터와 같은 장치가 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컴퓨터가 회계사, 엔지니어, 경영진,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등 다양한 직업을 대체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컴퓨터 제어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6] 이러한 아이디어는 이후 칠레의 사이버신 프로젝트나 사이버크라시(Cyberocracy)와 같은 전산화된 정부 및 경제 관리 시스템 구상과도 연결점을 가진다.

4. 3. 테크네이트 (The Technate)

북미 기술국 구상도


1938년 테크노크라시 Inc.(Technocracy Inc.)는 자신들의 제안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43]

: 테크노크라시는 사회 공학의 과학이며, 이 대륙 전체 인구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기 위한 전체 사회 메커니즘의 과학적 운영이다. 이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과학적, 기술적, 공학적 문제로 수행될 것이다. 정치나 정치인, 금융이나 금융업자, 부당 이득이나 불법 사업가는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 테크노크라시는 우리가 실제적인 희소성에서 현재의 잠재적 풍요 상태로 넘어왔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북아메리카 대륙의 사회 메커니즘을 운영하는 것이 이제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이 잠재적 풍요 상태에서 우리는 교환 매체를 통해서만 상품을 분배할 수 있는 가격 시스템을 지속하기 위해 강요된 인위적인 희소성에 갇혀 있다. 테크노크라시는 가격과 풍요가 양립할 수 없다고 말한다; 풍요가 클수록 가격은 작아진다. 진정한 풍요에서는 가격이 전혀 없을 수 있다. 방해적인 가격 통제를 포기하고 과학적인 생산 및 분배 방식을 대체해야만 풍요를 달성할 수 있다. 테크노크라시는 출생부터 사망까지 모든 시민에게 제공되는 분배 증명서(에너지 증명서)를 통해 분배할 것이다. 테크네이트는 파나마에서 북극까지 전체 아메리카 대륙을 포괄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지역의 천연 자원과 자연적 경계가 이를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지리적 단위로 만들기 때문이다.[43]

기술관료들은 자급자족이 가능한 풍부한 자원을 가진 넓은 지역, 즉 '테크네이트(Technate)'를 구상했다. 이 테크네이트는 최소한의 무역만 필요로 하는, 기술관료제에 의해 통치되는 광대한 영역을 의미했다.[28] 그들은 대륙주의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50] 하워드 스콧은 북미 테크네이트 형성을 기술관료제 지도 아래 연방 또는 연합을 형성하는 것에 비유했다. 이는 소련이나 유럽 연합과 같은 대륙 단위 통합체의 개념과 유사성을 보였다.[79][46]

=== 대륙 수문학 (Continental Hydrology) ===

기술국의 대륙 수문학 계획


기술관료제는 테크네이트의 교통 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대륙 수문학'이라는 급진적인 계획을 제시했다. 이는 대륙 전역의 강과 호수를 연결하고 통제하여 당시 자동차나 기차보다 빠른 운송 수단이었던 선박 운송을 극대화하려는 구상이었다. 이 계획은 단순히 교통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 차원의 침식 관리, 전력 생산 증대,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활용까지 목표로 했다.[51] 하지만 이 거대한 구상은 여러 지역의 자연 서식지를 파괴할 수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51]

=== 정부 조직과 기능 순서 (Functional Sequence) ===

기술국 행정 조직도


기술관료제는 테크네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새로운 정부 조직 구조를 제안했다. 이 구조는 대륙 감독관(Continental Director), 대륙 위원회(Continental Control), 특별 순서(Special Sequences), 기능 순서(Functional Sequences), 지역 위원회(Area Control) 등 몇 개의 뚜렷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52]

대부분의 감독관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임명되는 하향식 구조를 가졌다. 유일한 예외는 최상위 직책인 대륙 감독관으로, 지역 통제소(Area Control)로 구성된 대륙 위원회에서 선출되었다. 대륙 감독관은 대륙 전체를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대륙 위원회 구성원 3분의 2의 동의가 있으면 해임될 수 있었다.[52]

행정 구역 설정 방식도 독특했는데, 지구의 위도경도를 기준으로 지역을 나누는 "사변형(quadrangle)" 설정을 제안했다.[52]

: 이 시스템에 따라 우리는 지역 구획을 두 개의 연속적인 경도와 두 개의 연속적인 위도로 경계가 정해진 사변형으로 정의할 것이다. 각 지역 구획에 할당된 번호는 사변형의 동남쪽 모서리 지점의 경도와 위도를 결합한 번호가 될 것이다. 따라서 뉴욕시가 위치한 지역 구획은 7340, 클리블랜드는 8141, 세인트루이스는 9038, 시카고는 8741, 로스앤젤레스는 11834, 멕시코 시티는 9919, 에드먼턴은 11353 등이다.[52]

'기능 순서'는 이러한 지역 구획의 실제적인 필요에 따라 구성되는 하위 조직들을 의미했다. 산업, 서비스 등 사회 운영에 필요한 기능별로 조직되며, 필요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졌다. 기술관료들은 이러한 기능적 정부 구조를 통해 경제 시스템과 정부를 통합하고, 궁극적으로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대륙 회계 시스템'을 실현하고자 했다.[52]

5. 베블런의 기술자 소비에트 (Practicable Soviet of Technicians)

토르스타인 베블런은 1921년에 쓴 그의 저작 ''엔지니어와 가격 체계''에서 기술관료제 운동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14][15][16] 그는 사업가들이 공익을 위해 산업을 개혁할 능력이 없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산업의 통제권이 엔지니어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20]

베블런은 엔지니어가 국가 경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신뢰할 수 있는 위치에 기술자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모든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산업 시스템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기술자와 가격 체계》에 묘사된 조직도


그는 구체적인 행정 체제로 중앙 이사회 아래 세 개의 전문 위원회를 두는 삼자 구조를 제안했다.

  • 중앙 이사회
  • 자원 엔지니어 집행 위원회
  • 생산 엔지니어 집행 위원회
  • 생산 경제학자 자문 위원회[53]


또한 베블런은 경영학을 전공한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는 직책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통적인 경제학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지나치게 사업가처럼 생각하여, 기술관료주의가 해결하고자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들을 오히려 야기할 수 있다고 믿었다. 베블런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습관에 의해, 옳고 현실적인 것을 사업가적인 관점에서 훈련받은 사람들은 상업적 이익과 손실의 관점에서 그려지지 않고, 부재하는 소유주에게 돌아갈 자유 소득의 여지를 제공하지 않는 생산 및 분배 계획에 대해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편견을 가질 것이다. 이 규칙에 대한 개인적인 예외는 거의 없는 것 같다."''[53]

6. 기술관료제와 예술

기술관료제 운동은 삽화, 사진, 비디오 게임,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6. 1. 기술관료제 회사의 미학

기술관료제 운동 회원들은 회원증과 함께 모나드 문양이 새겨진 옷깃 핀이나 패치를 받았으며, 공식 행사나 회의에서는 회색 정장을 착용했다.[54][55] 심지어 자동차도 회색으로 칠하도록 권장되었다. 기술관료제 관련 출판물 다수도 회색 표지를 사용했으며, 이는 기술관료제가 선택한 상징색이었다. 하워드 스콧은 이러한 통일된 복장과 색상 사용이 기술관료 운동의 국가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대중의 호기심을 유발할 것으로 기대했다.[54][55]

기술관료제 관련 출판물에서는 산업 장비와 공장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하는 공통적인 주제였다.

과학 대 혼돈! 하워드 스콧


M. 킹 허버트 저, 원본 학습 과정


기술관료제에서 발행한 다양한 출판물


윌리엄 E. 아킨 저, 테크노크라시와 아메리카 드림을 읽는 한 남자


기술관료제는 선전 구호가 적힌 다양한 홍보물을 제작하기도 했는데, 그 예로 기술관료제 성냥갑을 들 수 있다.[56][57]

성냥갑 앞면


성냥갑 뒷면


성냥갑 내부


성냥갑 외부


성냥갑 내부


특히 기술관료를 상징하는 로봇 이미지가 주목할 만하다.



에 사용된 삽화




The Technocrats Magazineeng의 한 호 표지에는 인간형 로봇이 파괴적인 모습으로 그려졌지만, 잡지 내부 삽화에서는 동일한 로봇이 문명을 감독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기술 유토피아에 대한 기대와 동시에 기술 발전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30년대의 한 생일 카드 만화에서도 로봇이 기술관료를 상징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작가가 기술관료의 개념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59][58]

에 게재된 기술관료에 관한 기사


San Francisco Examiner|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eng에 실린 한 짧은 기사는 기술관료제를 기계 옹호론으로 설명하면서도, 기계가 인류에게 유익할 수 있지만 인간이 이를 현명하고 자비롭게 사용할 만큼 성숙하지 못하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사에는 로봇 공룡이 도시를 파괴하는 삽화가 포함되어 기술 문명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60]

7. 기술관료제와 문학

일부 과학 소설(SF) 작품들은 기술 전문가가 사회를 통치하는 기술관료제를 주제로 다루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기술적으로 운영되는 사회에 대한 현대적인 기대와 동시에 우려를 반영하며, 독자들에게 기술 발전이 가져올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했다.

7. 1. 아이작 아시모프

일부 과학 소설 작품들은 기술관료제라는 용어나 기술 전문가가 통치하는 사회를 다루며, 기술 중심 사회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기술관료제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하워드 스콧(Howard Scott)이 사망한 후, 테크노크라시 주식회사(Technocracy Inc.)는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들은 기술 유토피아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작가들과 접촉하여 회원으로 영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대중의 관심을 끌기를 희망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에게 편지를 보내기도 했으나, 아시모프가 답장을 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61]

아시모프는 한때 뉴욕의 과학 소설 클럽인 퓨처리언스(Futurians)의 회원이었다. 이 클럽의 일부 회원들은 기술관료제에 관심을 보였으나, 관련 연구 자료를 접한 후에는 기술관료제 운동이 진보적인 스탈린주의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판단하여 관심을 거두었다. 다만, 아이작 아시모프 본인이 이 연구 자료를 직접 검토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61]

7. 2. 올더스 헉슬리

일부 과학 소설 문학 작품들은 기술관료제라는 개념이나 기술 전문가가 통치하는 사회를 다루며, 기술 기반 사회에 대한 현대적인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반영했다.

올더스 헉슬리의 소설 멋진 신세계는 본래 H. G. 웰스가 제시한 이상 사회를 풍자하려는 의도로 쓰였으나, 점차 기술관료제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비판으로 발전했다. 소설 속 문명은 디스토피아적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으로 매우 발전했으며, 대중은 표면적으로는 행복하게 묘사된다. 이는 기술관료주의자들이 추구하는 유토피아와 실제 나타날 수 있는 디스토피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말굽 이론과 유사한 논쟁점을 제시한다.[62]

소설에서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사회 최상위 계층인 '알파'에 대한 묘사이다. ''"알파 아이들은 회색 옷을 입는다. 그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열심히 일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우 똑똑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문명을 지배하는 과학자와 기술자 계급이다. 알파 계급이 회색 옷을 입는다는 설정은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지만, 실제 기술관료제 운동가들이 입었던 회색 유니폼을 연상시킨다.[62]

과학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멋진 신세계》는 기술관료제에 대한 대중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비판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북미, 특히 미국에서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시행된 조치들이 지나치게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이러한 상황을 《멋진 신세계》나 조지 오웰1984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감염병 전문가인 파우치 박사의 과학적 판단과 역할에 대해 여러 차례 의회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63]

7. 3. H. G. 웰스

H. G. 웰스는 자신의 저서 다가올 세상의 모습에서 기술관료제를 긍정적으로 다루었다. 이 책은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대한 응답으로 쓰였으며, 웰스는 헉슬리를 "반동주의자"라고 부르며 책에서 여러 차례 언급했다.

《다가올 세상의 모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가 재건되는 대체 역사를 따르며, 기술관료 세력이 폐허 속에서 일어나 지구를 재건하는 모습을 그린다. 《멋진 신세계》와 달리, 이 책은 합리적이고 공학적인 사회를 옹호하는 주장을 담고 있다.

웰스는 이 책에서 기술관료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기술관료제'라고 알려진 흥미로운 운동이 주목을 받았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경제를 순전히 물리적 기반으로 재정의하려는 견실한 과학적 노력이다. 그러나 그것은 언론의 방식으로 이용되었고, 사회적, 경제적 생활이 기술자들에 의한 민주적 통제의 부인을 의미하는 새로운 사회 질서에 대한 획일적인 계획으로 놀랍도록 수용적인 대중에게 제시되었다. 그 당시의 기술관료제는 매우 주목할 만하다. 에너지 단위가 새로운 통화의 기초가 될 것이었다. 그래서 모든 발전소는 조폐국이 되었고 모든 폭포는 잠재적인 '금광'이 되었으며, 인간사의 돈과 에너지는 실제로 보조를 맞추었다."''[64]

8. 기술관료제와 비디오 게임

기술관료제 운동은 비디오 게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많은 주요 AAA 게임 회사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비디오 게임에서 기술관료제는 주로 역사 전략 게임에 집중하는 대규모 제작 회사인 패러독스 인터랙티브(Paradox Interactive)의 게임들에서 잘 나타난다.

예를 들어, 패러독스 인터랙티브가 개발한 빅토리아 3에서는 기술관료제가 하나의 통치 체제로 등장한다.



게임 내에서 권력 분배 방식 중 하나로 기술관료제가 있으며, 이는 ''"국가는 이성과 능력을 갖춘 선출되지 않은 위원회에 의해 통치된다"''라고 정의된다. 이 체제는 공학, 과학, 권위와 관련된 여러 보너스를 제공하며, 이를 채택하기 위해서는 '중앙 기록 보관소' 기술을 연구해야 한다.[73]

기본 게임에서 미국으로 플레이할 경우, "통합 과학 협회"를 결성할 수 있으며, 공화국이 기술관료제를 채택하면 국기가 회색 배경 중앙에 모나드가 그려진 기술관료제 깃발로 변경된다.[72]

9. 기술관료제와 사회주의

기술관료제와 사회주의 사상은 여러 관점에서 비교되어 왔다. 이로 인해 소련, 중국, 싱가포르, 유럽 연합과 같은 국가들이 기술관료제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기술관료 이론가들이 제시한 정의에 따르면 실제 기술관료제는 아직 구현된 적이 없다. 기술관료제와 사회주의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폴 블랜셔드(Paul Blanshard)는 "기술관료제와 사회주의"라는 저서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자유민주주의를 원하지 않는다고 해서 기술관료제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사회주의자들은 여전히 투표권을 중요하게 여기며,[74] 기술관료들이 중시하는 기술자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가 조직 운영에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블랜셔드는 또한 기술관료제가 제안하는 에너지 회계 방식이 구체적이지 않아 가격 시스템을 대체하기에는 아직 위험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74]

폴 템플(Paul Temple)은 "전체주의적 판타지-기술관료제, 파시즘 및 전쟁"에서 기술관료 운동의 지도자 하워드 스콧(Howard Scott)이 독재자처럼 행동했으며 그의 선전 방식이 파시스트의 것과 유사하여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템플은 기술관료들이 자본주의 하의 대의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하의 직접 민주주의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75]

윌리엄 Z. 포스터와 얼 브라우더는 "기술관료제와 마르크스주의"에서 공산주의자들(레닌과 스탈린의 가르침에 따라)이 이미 기술관료들이 지적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기술 발전이 새로운 철학의 필요성을 낳아 기존 철학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는 하워드 스콧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에너지를 가치 측정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사회주의의 노동 가치설을 부정하는 것이며, 이는 단지 측정 단위를 임의의 단위(에르그)로 바꾸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76]

H. G. 웰스는 사회주의와 기술관료제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웰스는 요제프 스탈린과의 대화에서 기술 지식인들이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이 혁명에 과학적 관점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과거 혁명 과정에서 과학 및 공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노동 계급 운동을 적극적으로 돕기보다는 순응적인 태도를 보였던 점을 들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77]

하워드 스콧 자신은 기술관료제와 사회주의 사이에 명확한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기술관료주의의 아이디어가 관련되어 있는 한, 우리는 너무나 극좌적이어서 공산주의를 부르주아적으로 보이게 만든다"는 도발적인 발언을 통해 기술관료제가 공산주의보다 더 급진적이며,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보다 더 평등주의적이라고 여긴다는 점을 시사했다. 스콧은 모든 사회주의 국가가 여전히 가격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공산주의가 "충분히 급진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회의 석상에서 "붉은 기술관료(red technocrat)"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기술관료제가 사회주의는 아니지만 좌파 이념에 속한다는 점을 강조했다.[78][79][80][61]

10. 유럽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에서는 미국의 테크노크라시 인코퍼레이티드(Technocracy Incorporated) 모델을 기반으로 한 기술관료 운동이 있었으나, 당시의 정치 체제와 충돌하며 어려움을 겪었다.[81]

소련에서도 초기 기술관료 운동이 존재했는데, 이는 전간기 북미의 운동과 유사한 역사를 가졌다. 엔지니어 표트르 팔친스키가 이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기술관료 이념은 '엔지니어스 헤럴드(Engineer's Herald)' 저널 등을 통해 홍보되었다. 소련의 기술관료들은 "미래는 관리-엔지니어와 엔지니어링-매니저의 것이다"라는 구호 아래 경제 개발, 관리, 산업 및 조직 심리학의 과학화를 추구했다. 이러한 관점은 니콜라이 부하린알렉세이 리코프와 같은 우익 반대파의 주요 인사들로부터 지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국가 산업화와 사회에서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한 독자적인 관점을 제시하려는 시도는 요제프 스탈린의 분노를 샀다. 결국 팔친스키는 1929년에 처형되었고, 1년 후에는 산업당 재판을 통해 소련의 주요 엔지니어들이 반정부 음모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후 대규모 엔지니어 탄압이 이어졌으며, 생존한 엔지니어들은 공산당 지도부가 할당한 좁은 범위의 기술적 문제에만 집중하도록 강요받았다.[82]

한편, 레닌주의자가 아닌 볼셰비키 중 가장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가 개발한 텍톨로지 개념은 기술관료적 사상과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제노비아 소초르(Zenovia Sochor)의 연구에 따르면, 보그다노프는 자신의 소설과 정치 저술을 통해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혁명이 일어나 결국 기술관료적 사회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83][84]

참조

[1] 논문 Book review: The Technocrats, Prophets of Automation https://www.jstor.or[...] Technology and Culture 1968-04
[2] 논문 Technocratic Optimism, H.T. Odum, and the Partial Transformation of Ecological Metaphor after World War II https://doi.org/10.1[...]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1988-06
[3] 웹사이트 Technocracy Fonds https://discoverarch[...] University of Alberta 2022-04-20
[4] 간행물 Encyclopedia Canadiana 1968
[5] 웹사이트 TrendEvents http://trendevents.h[...] Technocracy, Inc. 2020-03-29
[6] 서적 Technocracy at work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7]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8] 서적 Technocracy at work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9] 서적 Technocracy at work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10] 서적 Technocracy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Sage Publications 1990
[11] 논문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t Movement, 1900-194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8-03
[12] 뉴스 Silicon Valley's attempts to self-police are anti-democratic. They're also not new. https://www.washingt[...] 2022-05-09
[13] 서적 The Technocrats: Prophets of Automation Syracuse University 1967
[14] 논문 Veblen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Engineer: the radical thinker and engineering leaders came to technocratic ideas at the same time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1986
[15] 논문 Thorstein Veblen and the Engineers: A Reinterpretation http://hope.dukejour[...]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1999
[16] 서적 Technocracy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Sage Publications 1990
[17] 서적 Sleepers, Wake!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8] 서적 What is Technocracy? McGraw-Hill Publishing Co., LTD. 1933
[19]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t Movement, 1900-1941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0] 백과사전 Howard Scott http://www.britannic[...]
[21] 웹사이트 Questioning of M. King Hubbert, Division of Supply and Resources, before the Board of Economic Warfare http://www.hubbertpe[...] 2008-05-04
[22]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3]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4]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5]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6] 서적 American studies: an annotated bibliography, Volume 2 https://books.google[...] 1986
[27] 서적 Technological Utopianism in 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28] 서적 Life in a technocracy: what it might be like https://books.google[...] 1933
[29] 서적 American studies: an annotated bibliography, Volume 2 https://books.google[...] 2005
[30] 서적 Electrifying America: social meanings of a new technology, 1880-1940 https://books.google[...] 1992
[31]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32] 웹사이트 Technocracy Incorporated http://www.technocra[...]
[33]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34] 서적 Technocracy and the American Dream: The Technocracy Movement 1900-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35] 서적 Life in a technocracy: what it might be like https://books.google[...] 1996
[36] 간행물 The Technocrats 1919-1967: A Case Study of Conflict and Change in a Social Movement http://summit.sfu.ca[...] 1967
[37] 웹사이트 In science we trust https://newsinteract[...] 2023-12-20
[38] 뉴스 Police Hold Technocrat Haldeman https://www.newspape[...] 2023-12-20
[39] 간행물 The Technocrats 1919-1967: A Case Study of Conflict and Change in a Social Movement http://summit.sfu.ca[...] 1967
[40] 간행물 The Technocrats 1919-1967: A Case Study of Conflict and Change in a Social Movement http://summit.sfu.ca[...] 1967
[41] 간행물 The Technocrats 1919-1967: A Case Study of Conflict and Change in a Social Movement http://summit.sfu.ca[...] 1967
[42] 웹사이트 Technocracy Inc. http://www.technocra[...]
[43] 웹사이트 The Technocrat - Vol. 3 - No. 4 - September 1937 https://archive.org/[...] 1937-09-29
[44] 서적 The Technocrats : Prophets of Automation Syracuse University Press 1967
[45] 서적 "The Energy Certificate." New York: Technocracy Inc., 1938. 22pp (two copies) https://archive.org/[...] 1938
[46] 서적 THE WORDS AND WISDOM OF HOWARD SCOTT https://archive.org/[...]
[47] 서적 What is Technocracy https://archive.org/[...] 1933
[48] Youtube Technocracy full presentation https://www.youtube.[...] 2024-12-09
[49] Youtube "Technocracy '101' " - Ron Miller https://www.youtube.[...] 2024-12-09
[50] 서적 Continentalism: The Mandate Of Survival - 1947 https://archive.org/[...] 1947
[51] 웹사이트 Continental Design https://www.technocr[...] 2024-12-10
[52] 서적 Technocracy Study Course https://archive.org/[...] 1945
[53] 서적 The engineers and the price system https://archive.org/[...] New York, B.W. Huebsch, inc. 1921
[54] Youtube Technocracy - "Operation Columbia" - 1947 https://www.youtube.[...] 2024-12-10
[55] Youtube Technocracy - Interview of Howard Scott by William Andrew Swanberg - 1962 https://www.youtube.[...] 2024-12-10
[56] 웹사이트 Technocracy Matchcover Plays America to Win https://www.ebay.com[...] 2024-12-11
[57] 웹사이트 Technocracy Social Movement New America Science Society Ad Matchbook Cover https://www.ebay.com[...] 2024-12-11
[58] 웹사이트 Vintage Birthday Greeting Card 1930S Technocrat Robot Space Creature https://www.ebay.com[...] 2024-12-10
[59] 서적 The Technocrats' Magazine https://archive.org/[...] 1933
[60] 웹사이트 Library Guides: Major California Newspapers: San Francisco Examiner https://guides.lib.b[...] 2024-12-10
[61] 서적 Techno-Fixers: Origins and Implications of Technological Faith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20-03-26
[62] 서적 Brave New World (Indonesian Edition) https://www.google.c[...] Bentang Pustaka 2016-03-21
[63] Youtube WATCH: Rep. Marjorie Taylor Greene tells Dr. Fauci, 'You're not doctor' during COVID hearing https://www.youtube.[...] 2024-12-11
[64] 서적 The Shape Of Things To Come https://archive.org/[...]
[65] 웹사이트 Stellaris Civics https://stellaris.pa[...]
[66] 웹사이트 Stellaris Government https://stellaris.pa[...]
[67] 웹사이트 Stellaris Resources Explanation https://stellaris.pa[...]
[68] 웹사이트 Steam Workshop::Red Flood https://steamcommuni[...] 2024-12-11
[69] 웹사이트 Steam Workshop::Kaiserreich https://steamcommuni[...] 2024-12-11
[70] 웹사이트 Steam Workshop::Land of the Free https://steamcommuni[...] 2024-12-11
[71] 웹사이트 Technocrats Basic Info and Radical Ideas {{!}} Frostpunk 2|Game8 https://game8.co/gam[...] 2024-09-26
[72] 웹사이트 Victoria 3 Flags https://vic3.paradox[...]
[73] 웹사이트 Victoria 3 Government Structures https://vic3.paradox[...]
[74] 서적 Technocracy and socialism https://archive.org/[...] New York City : League for Industrial Democracy 1933
[75] 웹사이트 Paul Temple: A Totalitarian Fantasy - Technocracy, Fascism, and the War (April 1944) https://www.marxists[...] 2024-12-09
[76] 서적 Technocracy and Marxism https://www.marxists[...] Workers Library Publishers
[77] 웹사이트 Marxism Versus Liberalism https://www.marxists[...] 2024-12-09
[78] 웹사이트 Welcome to the Technate https://www.cbc.ca/p[...] 2021
[79] 웹사이트 Q&A from public meeting - Howard Scott https://www.youtube.[...] 2014-06-16
[80] 웹사이트 These techno-utopians wanted to put scientists in charge of government https://newsinteract[...] 2024-12-11
[81] 서적 Science, Technology, and National Social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9-25
[82] 서적 Science in Russia and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문서 Zenovia Sochor: Revolution and Culture:The Bogdanov-Lenin Controvers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84] 웹사이트 Bogdanov, technocracy and socialism https://web.archive.[...] 2009-11-10
[85] 논문 Technocratic Optimism, H.T. Odum, and the Partial Transformation of Ecological Metaphor after World War II https://doi.org/10.1[...] 1988-06
[86] 논문 Book review: The Technocrats, Prophets of Automation https://www.jstor.or[...] 1968-04
[87] 웹인용 TrendEvents http://trendevents.h[...] Technocracy, Inc. 2013-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