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하이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하이 제도는 남중국해에 위치한 섬, 얕은 여울, 암초로 구성된 지리적 구역이다. 3개의 군도(파라셀 제도, 둥사 군도, 스프래틀리 제도)와 중사 군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육지 면적은 15km² 미만이다. 이 지역은 다양한 국가 간의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 대만,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이 일부 섬 또는 해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난하이 제도는 광물, 천연가스, 석유 매장량과 풍부한 해양 생물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 군사적, 운송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생태지역 - 키나발루산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부에 있는 키나발루산은 화강섬록암 산괴로 다양한 기후대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여러 지역 식물 보고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국제지질과학연맹 지질유산으로도 등재되었다.
난하이 제도
개요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지역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지역
위치남중국해
구성둥사 군도
시사 군도
중사 군도
난사 군도
면적6 km²
분쟁 당사국브루나이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타이완
베트남
지리
지리적 영역인도-말레이시아
생물 군계열대 및 아열대 습윤 광엽수림
생태
서식지 손실심각/멸종 위기
보호 구역0 km²

2. 지리

난하이 제도는 크게 파라셀 제도(서사 군도), 둥사 군도, 스프래틀리 제도(남사 군도), 중사 군도의 네 군도로 구성된다. 이 섬들은 평균 수심 200m의 얕은 대륙붕 위에 위치하지만, 스프래틀리 제도(남사 군도) 해저의 경우 수심이 수천 미터에 달하며, 필리핀 근처 팔라완 해구는 수심이 5000m에 이른다. 일부 지역은 얕아서 항해가 어렵고 사고 위험이 높다.

해저는 고생대중생대화강암변성암을 포함하고, 섬은 하나의 화산섬을 제외하면 다양한 시기에 형성된 산호초로 구성되어 있다.

2. 1. 파라셀 제도 (서사 군도)

파라셀 제도중국(중화인민공화국), 대만(중화민국) 및 베트남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 파라셀 제도 해전 (1974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하고 있다.[3]

2. 2. 둥사 군도

둥사 군도와 베레커 뱅크는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간에 분쟁이 있으며, 중화민국이 점령하고 있다.

2. 3. 스프래틀리 제도 (남사 군도)

스프래틀리 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간에 분쟁이 있으며,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도 이 군도의 여러 부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4][5] 남해 제도는 북쪽으로는 베이웨이탄, 서쪽으로는 완안탄, 남쪽으로는 제임스 암초(중국명: 쩡무안사), 동쪽으로는 스카버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 또는 하이마탄에 이르며, 남북 약 1800km, 동서 약 900km에 달한다. 이 해역에는 섬, 환초, 암초, 얕은 여울, 수중 암초, 사주 등 250개가 넘는 1km² 이하의 작은 지형들이 흩어져 있다.

대부분의 섬에는 본래 거주민이 없으며, 남해 제도 및 주변 해저에는 광석, 천연 가스, 석유가 매장되어 있어 경제적, 군사적, 해운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20세기 중반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타이완),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이 남해 제도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며, 각각 몇몇 섬을 실효 지배하고 있다.

2. 3. 1. 주요 섬 및 암초

이 섬, 얕은 여울, 암초는 3개의 군도와 중사 군도(매클스필드 뱅크 및 스카보로 암초)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의된 남중국해 섬은 해양의 해양 섬으로 구성되지만, 해양의 대륙붕 섬(하이난, 나투나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총 육지 면적은 간조 시 15km2 미만이다.

  • 파라셀 제도중국(중화인민공화국), 대만(중화민국) 및 베트남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다. 1974년 파라셀 제도 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했다.[3]
  • 둥사 군도와 베레커 뱅크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간에 분쟁이 있으며, 중화민국이 점령하고 있다.
  • 스프래틀리 제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간에 분쟁이 있으며,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은 군도의 여러 부분을 주장하고 있다.[4][5]
  • 제임스 숄
  • 태평도
  • 중저 암초
  • 중사 군도
  • 매클스필드 뱅크(육지가 해수면 위로 없음)는 중화인민공화국,[6] 중화민국,[7] 및 필리핀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다.[8]
  • 워커 숄
  • 스카보로 암초(해수면 위에는 바위만 있음)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필리핀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다.[9]
  • 추루 숄 (시안파 안샤 또는 시안파 안샤 特魯暗沙; 북위 16°20′ 동경 116°44′)

2. 4. 중사 군도

중사 군도는 매클스필드 뱅크와 스카보로 암초로 구성된다. 중사 군도는 중화인민공화국,[6] 중화민국,[7] 필리핀[8]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

  • 매클스필드 뱅크 (해수면 위로 육지가 없음)
  • 워커 숄
  • 스카보로 암초 (해수면 위에는 바위만 있음)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필리핀 간에 영유권 분쟁이 있다.[9]
  • 추루 숄 (시안파 안샤 또는 시안파 안샤 特魯暗沙, 북위 16°20′ 동경 116°44′)

2. 5. 지질

섬들은 평균 수심 200m의 얕은 대륙붕 위에 있다. 그러나 남사 군도의 해저는 수심이 수천 미터에 달하며, 필리핀에 가까운 팔라완 해구에서는 수심 5000m에 달한다. 또한 일부 지역은 항해가 어려울 정도로 얕아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1]

해저는 고생대중생대화강암변성암을 포함하며, 섬은 하나의 화산섬을 제외하고 지층 연대가 다른 산호초로 이루어져 있다.[1]

3. 기후

파라셀 제도는 열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강수량은 1130mm이며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5월에서 8월 사이에는 남서 무역풍이 섬에 비를 가져오며, 6월에 최대 강수량(226mm)을 기록한다. 북동 무역풍은 겨울 건기를 가져오며, 12월은 강수량이 가장 적은 달(3.3mm)이다.[2]

스프래틀리 제도는 열대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7°C이며, 5월에서 8월 사이에는 30°C까지, 겨울철에는 25°C까지 변동한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1800mm에서 2200mm 사이이다. 5월부터 11월까지의 남서 몬순은 5개월의 우기를 가져오고, 3월에서 4월까지의 동남 몬순을 포함한 7개월의 건기가 있다.[2]

4. 생태

난하이 제도의 작은 섬들 중 다수는 식물이 없지만, 더 큰 섬들은 산호 섬 상록수림, 관목 숲, 해안 관목 및 풀을 포함하는 다양한 육상 식물 군집을 지원한다.[2] 파라셀 제도에는 89개의 식물 과에 속하는 224개의 속으로 구성된 340종의 육상 식물과 균류가 기록되어 있으며, 하이난섬과 유사한 식물상을 보인다.[2] 중국인과 베트남인은 땅콩, 고구마 및 다양한 채소를 포함하여 47종을 섬에 도입했다.

이 섬들은 슴새, 갈색얼가니새, 붉은발얼가니새, 큰제비갈매기흰제비갈매기를 포함한 다양한 바닷새의 먹이 공급지이자 번식지이다.[2] 바닷새의 배설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꺼운 구아노 퇴적물을 생성한다. 푸른바다거북과 매부리바다거북이 섬 주변 해역에 서식하며 섬 해변에서 둥지를 튼다.[2]

4. 1. 식물

작은 섬들 중 다수는 식물이 없다. 더 큰 섬들은 산호 섬 상록수림, 관목 숲, 해안 관목 및 풀을 포함하는 육상 식물 군집을 지원한다.[2]

파라셀 제도에는 89개의 식물 과에 속하는 224개의 속으로 구성된 340종의 육상 식물과 균류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312종의 속씨식물, 5종의 양치류, 22종의 거대균류, 1종의 지의류가 포함된다. 파라셀 제도의 식물상은 북쪽의 하이난섬과 유사하다.[2]

인간은 다른 식물들을 섬에 도입했다. 중국인과 베트남인은 땅콩, 고구마 및 다양한 채소를 포함하여 47종을 더 도입했다. 섬들을 통해 서식하는 가다랭이새와 갈매기류와 같은 바닷새를 제외하고 야생 육지척추동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의 배설물은 연간 10mm에서 1m의 층을 이룬다.

군도 전체에 대략 100~200종의 식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시사군도에는 166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이후 중국과 베트남에 의해 땅콩, 고구마 및 다양한 채소와 같은 47종이 반입되었다.

4. 2. 동물

육상 동물은 이 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섬들은 슴새, 갈색얼가니새, 붉은발얼가니새, 큰제비갈매기흰제비갈매기를 포함한 바닷새의 먹이 공급지이자 번식지이다.[2] 바닷새의 배설물은 매년 10mm에서 1m까지 축적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꺼운 구아노 퇴적물을 생성한다.

푸른바다거북과 매부리바다거북은 섬 주변 해역에 서식하며 섬의 해변에서 둥지를 튼다.[2] 섬들을 통해 서식하는 가다랭이새와 갈매기류와 같은 바닷새를 제외하고 야생 육지척추동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의 배설물은 연간 10mm에서 1m의 층을 이룬다.

5. 역사

19세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점령의 일환으로, 프랑스1930년대까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했으며, 일부를 영국과 교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남중국해 섬들은 모두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다.[1] 1911년 성립된 중화민국광둥성, 후에 하이난 특별 행정구의 일부로서 남해 제도를 요구했고, 1946년 섬을 접수했다. 1949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섬들을 광동 성의 일부로, 이후 하이난 특별행정구의 일부로 주장했다.[1]

5. 1. 고대 ~ 중세

1405년부터 1433년까지, 정화는 중국 명나라의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동아프리카 원정 항해를 지휘했다. 1421년 정화는 6판의 모군도를 준비했는데, 중국인들은 보통 정화 항해 지도(鄭和航海圖|정화 항해도중국어)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남중국해 섬들이 포함되어 있다.[1]

도서 역사에 가장 광범위하게 관여한 국가는 중국과 베트남이다. 남해 제도는 진나라 시대의 중국인에 의해 각각 장해기두 및 산호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다음 한나라 시대에는 항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남조 송 이후, 섬들은 천리장사 및 만리석당으로 불렸다.[4]

당나라 또는 송 시대에, 현재 베트남과 분쟁 중인 간취안다오에 집이 있었다. 1045년, 송나라 인종의 치세에 왕사가 서사군도로 보내졌다. 하이난섬의 어부들은 "경로부"에 200개가 넘는 항로, 그리고 어부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던 100개가 넘는 섬들의 이름을 기록했다.[4]

정화는 여러 번 항해를 했고, 이 섬들을 통과했지만, 아마 정박은 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정화의 통과에 기인한 이름이 난사군도에 있는 환초에 붙여져 있다.[4]

베트남의 어부와 상인도 또한 남해 제도를 탐험했지만, 비공식적이고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존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4]

5. 2. 근대 ~ 현대

1405년부터 1433년까지, 정화명나라에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동아프리카로 원정 항해를 지휘했다. 1421년, 정화는 6판의 모군도를 준비했는데, 중국인들은 보통 정화 항해 지도(鄭和航海圖|Zhèng Hé hánghǎi tú중국어)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남중국해 섬들이 포함되어 있다.[1]

19세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점령의 일환으로, 프랑스1930년대까지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했으며, 일부를 영국과 교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남중국해 섬들은 모두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다.[1] 1949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섬들을 광동 성의 일부로, 이후 하이난 특별행정구의 일부로 주장했다.[1] 1911년 성립된 중화민국광둥성, 후에 하이난 특별 행정구의 일부로서 남해 제도를 요구했고, 1946년 섬을 접수했다.[1]

6. 명칭

난하이 제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왔다. 기원전 4세기 중국 문헌인 일주서, 시경, 춘추좌씨전, 국어에서는 "남주"(南州) 또는 "남해"(南海)로 언급되었다.[12] 진나라(기원전 221–206년) 시대에는 "삼신산"(三神山)으로 불렸고, 후한(23–220) 시대에는 "장해"(漲海)로 개칭되면서 섬들은 "장해기두"(漲海崎头)로 불렸다.[12] 진나라 (266–420) 시대에는 "산호주"(珊瑚洲)로 알려졌다.[12]

당나라(618–907)부터 청나라(1644–1912)까지는 다양한 이름이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장사'와 그 변형은 파라셀 제도를, '석당'은 스프래틀리 제도를 지칭했다.[12] 파라셀 제도에는 '구유나오저우'(九乳螺洲), '칠주양'(七洲洋), '장사'(长沙), '천리장사'(千里长沙), '천리석당'(千里石塘) 등의 명칭이, 스프래틀리 제도에는 '석당'(石塘), '석상'(石床), '만리석당'(万里石塘), '만리장사'(万里长沙) 등의 명칭이 사용되었다.[12]

청나라 시대에는 "천리장사"와 "만리석당"이라는 이름이 유행했으며, 하이난성 출신 어부들이 군도 내 특정 섬들의 이름을 지었다.[12] 중화민국 시대(1912–1949)에는 스프래틀리 제도를 '단사군도'(团沙群岛)로, 이후 '남사군도'(南沙群岛)로 명명했으며, 파라셀 제도는 '서사군도'(西沙群岛)로 명명했다.[12]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 시대의 이 섬들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12]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중국 국가해양국은 1,660개의 무명 섬과 작은 섬들의 이름을 명명했으며, 2012년에는 추가로 1,664개의 무명 지형에 이름을 지을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산사시(三沙|싼사중국어)에 대한 중국의 주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13]

7. 자원

난하이 제도에는 광물, 천연 가스, 석유 매장량이 있으며, 인근 해저에도 풍부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는 물고기, 동물, 식물 등 모든 청구 국가들이 수천 년 동안 식량으로 활용해 왔으며, 전쟁의 위험을 초래할 만한 분쟁은 거의 없었다.

8. 영유권 주장 및 통제

난하이 제도는 3개의 군도와 중사 군도(매클스필드 뱅크 및 스카보로 암초)로 구성되며, 간조 시 총 육지 면적은 15km2 미만이다.

1947년 중화민국 내무부 영토부가 제작한 남중국해 섬 지도. 일본 점령에서 주권을 이양받은 후 제작되었다.


1932년과 1935년 중화민국은 난하이 제도 132개 섬의 이름을 지었고, 1933년에는 타이핑 섬을 점령한 프랑스 정부에 공식 항의했다.[14] 1947년에는 섬 149개의 이름을 변경하고, ''남중국해 섬 지도''를 발행했다.

난하이 제도의 범위는 북쪽 베이웨이탄에서 남쪽 제임스 암초, 동쪽 스카버러 암초에서 서쪽 완안탄까지 남북 약 1,800km, 동서 약 900km에 이른다. 이 해역에는 250개가 넘는 섬, 환초, 암초 등이 산재해 있다.

대부분의 섬에는 본래 거주민이 없으며, 난하이 제도 및 주변 해저에는 광물, 천연가스, 석유가 매장되어 있어 경제적, 군사적, 해운적 중요성이 크다.

8. 1.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PRC)은 1958년에 스프래틀리 제도를 포함하는 구단선으로 알려진 지역 내에 자국의 영해를 정의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15] 1959년에 이 섬들이 행정 사무소(办事处/''banshichu'')에 속하게 되었다가 1988년에 하이난 성의 행정으로 변경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섬에 대한 주장을 강력하게 주장했다.[17]

2010년 3월, 중국 관리들은 미국 관리들에게 남중국해를 대만, 티베트,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동등한 "핵심 이익"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18][19] 같은 해 7월, 공산당이 통제하는 환구시보는 "중국은 군사적 수단으로 핵심 이익을 보호할 권리를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대변인은 "중국은 남해에 대한 부인할 수 없는 주권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은 주장을 뒷받침할 충분한 역사적 및 법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20] 2013년에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의 공식 영유권 주장의 일부로 대만 섬 동쪽에 열 번째 구단선을 추가했다.[21][22]

중화인민공화국은 남중국해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구단선을 긋고, 이 모든 섬들을 하이난성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현재 8~9개의 섬과 암초를 실효 지배하고 있다.

2016년 7월, 필리핀 대 중국 사건에서 상설중재재판소는 필리핀의 손을 들어주었다. 재판소는 중국이 "구단선" 지도에 근거한 "역사적 권리"가 없다고 판결했다.[24][25] 중국은 이 판결을 거부했다.[26]

8. 2. 베트남

1956년 8월 22일부터 1975년까지 사용된 남베트남의 기념비. 스프래틀리 제도(난사 군도)를 베트남 영토(푸옥투이 성)의 일부로 주장하며, 이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기념비로 대체되었다.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스프래틀리 제도(난사 군도)를 포함하는 구단선 내 해역을 자국 영해로 정의했다. 북베트남 총리 팜반동저우언라이에게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이 결정을 존중한다"는 외교 서한을 보냈다.[15] 당시 북베트남은 소련의 지원 부족, 남베트남 응오딘지엠과 미국의 제네바 협정에 따른 선거 거부 상황에서 미국의 강경한 아시아 정책에 맞서 중국을 지지해야 했지만, 영해 주장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피했다.[15]

팜반동의 서한은 남베트남 영토에 대한 언급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법적 가치가 없으며, 북베트남의 중화인민공화국 지지 외교 문서로 간주된다.[16]

베트남은 1973년 난사 군도 전체를 푸억투이성(당시 카인호아성) 소속으로 주장했다. 현재 베트남은 29개 섬과 암초를 실효 지배하고 있다.

8. 3. 기타 국가

중화인민공화국베트남 외에도, 중화민국(타이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도 난하이 제도의 일부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점령하고 있다. 대만은 스프래틀리 제도 전체를 주장하지만, 타이핑 섬을 포함하여 한 섬과 한 암초만을 점령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대륙붕에 있는 세 개의 섬을 점령하고 있다. 필리핀은 스프래틀리 제도의 대부분을 칼라얀 군도라고 부르며 팔라완 주의 별도 자치구로 주장하지만, 8개의 섬만 점령하고 있다. 브루나이는 루이자 암초를 포함한 비교적 작은 지역을 주장한다.[23]

인도네시아는 섬이 아닌 해양 권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남중국해 참조)

2016년 7월, 필리핀 대 중국 상설중재재판소 중재 재판에서 필리핀이 승소했다. 재판소는 "...육상 영토에 대한 주권 문제에 대해 판결하지 않고 당사자 간의 해양 경계를 획정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24][25] 재판소는 또한 중국이 "구단선" 지도에 근거한 "역사적 권리"가 없다고 판결했다.[24][25] 중국과 대만은 이 판결을 거부했다.[26][27]

일본프랑스는 각각 점령을 종료한 이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있다.

참조

[1]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017-06
[2] WWF ecoregion
[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4] 웹사이트 Global Security http://www.globalsec[...]
[5] 웹사이트 An interactive look at claims on the South China Sea http://graphics.stra[...] 2015-10-21
[6] 웹사이트 中沙群岛:隐伏在海下的暗沙群 http://www.sansha.go[...] 2018-08-31
[7] 웹사이트 Limits in the Seas – No. 127 Taiwan's Maritime Claims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5-11-15
[8] 뉴스 Philippines protests China's moving in on Macclesfield Bank http://globalnation.[...] 2012-07-06
[9] 웹사이트 ROC reaffirms sovereignty over Huangyan Island https://taiwantoday.[...]
[10] 웹사이트 NGA Bathymetric Chart 91005 https://www.oceangra[...] 2024-06-05
[11] 논문 Recent records of thermohaline profiles and water depth in the Taam ja' Blue Hole (Chetumal Bay, Mexico) 2024
[12] 논문 China's Sovereignty over the South China Sea Islands: A Historical Perspective
[13] 뉴스 China to name territorial islands http://news.xinhuane[...] 2012-10-16
[14] 웹사이트 Todd C. Kelly http://www.hawaii.ed[...]
[15] 문서 BBC Vietnam, Về lá thư của Phạm Văn Đồng năm 1958, January 24, 2008. The English text of the interview is downloadable at https://www.academia.edu/6174115/Interview_North_Vietnam_and_Chinas_Maritime_Territorial_Claims_1958.
[16] 웹사이트 Late Vietnam PM's letter gives no legal basis to China's island claim http://www.thanhnien[...] Thanh Nien News 2014-06-02
[17] 뉴스 Clinton Signals U.S. Role in China Territorial Disputes After Asean Talks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0-07-23
[18] 뉴스 China Warns U.S. to Stay Out of Islands Dispute https://www.nytimes.[...] 2010-07-26
[19] 뉴스 A clash of interests in Asia https://www.japantim[...] 2020-07-28
[20] 뉴스 China Says Its South Sea Claims Are `Indisputable'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0-07-29
[21] 웹사이트 Limits in the Seas https://2009-2017.st[...] Office of Ocean and Polar Affairs, U.S. Department of State
[22] 웹사이트 New ten-dashed line map revealed China's ambition http://www.thanhnien[...] 2014-07-19
[23] 웹사이트 Regional strategic considerations in the Spratly Islands dispute http://sunzi.lib.hku[...]
[24] 웹사이트 PCA Press Release: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v.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PCA-CPA https://pca-cpa.org/[...] 2016-07-12
[25] 뉴스 Tribunal Rejects Beijing's Claims in South China Sea https://www.nytimes.[...] 2016-07-12
[26] 웹사이트 Beijing rejects tribunal's ruling in South China Sea case https://www.theguard[...] 2016-07-26
[27] 웹사이트 Taiwan rejects ruling on South China Sea with Taiping Island defined as 'rocks' http://www.theonline[...] The Online Citizen 2016-07-26
[28] 서적 南海諸島国際紛争史
[29] 간행물 琉球弧の考古学 -南西諸島におけるヒト・モノの交流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