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부 사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 사미어는 남부 사미어 또는 남부 라프어로 불리며, 공식적인 표준 문자를 가진 8개의 사미어 중 하나이다. 1978년부터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를 기반으로 한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며, 15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남부 사미어는 음운 교체, 8개의 격을 가지는 명사, 인칭 대명사,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되는 동사,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의 형용사, 그리고 주어-목적어-동사(SOV) 구조의 통사론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스웨덴의 언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웨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룰레 사미어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와 노르웨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약 650명의 화자를 가진 사미어의 한 방언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1983년 표준화되었고, 7개의 격과 특이한 동사 활용 체계를 갖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남부 사미어
지도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남부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UNESCO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 (2010년)에서 남부 사미어가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을 보여주는 지도
UNESCO 세계 위험 언어 지도 (2010)에서 남부 사미어는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언어 정보
이름남부 사미어
고유 이름åarjelsaemien gïele (오아르옐세미엔 크엘레)
사용 지역노르웨이, 스웨덴
사용자 수600명 (1992년)
공용 지역노르웨이 스노사, 뢰위르비크, 뢰로스, 하트피엘달 지역
소수 언어 지역노르웨이, 스웨덴
ISO 639-2sma
ISO 639-3sma
Glottologsout2674
Glottolog 참조 이름South Saami
문자라틴 문자
언어 계통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우그리아어파
하위 분류사미어
서부 사미어
상태
언어 활력도심각한 위기
기타
관련 기관åarjel-saemiej skuvle (오아르옐-세미에이 스쿠울레)
maanagierte (마나기에르테)
언어 이름(노르웨이어)sørsamisk
언어 이름(스웨덴어)sydsamiska

2. 언어 명칭

남부 사미어는 다음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 Saami, Southeng
  • Southern Lappeng

3. 문자 체계

남부 사미어는 공식적인 표준 문자가 있는 여덟 개의 사미어 중 하나이다. 다만, 이 언어로 출판된 책은 많지 않으며, 그중 하나는 남부 사미어-노르웨이어 사전이다. 남부 사미어는 1978년부터 공식적인 문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철자는 스웨덴어노르웨이어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라틴 알파벳 문자를 사용한다.

A aB bD dE eF fG gH hI i
Ï ïJ jK kL lM mN nO oP p
R rS sT tU uV vY yÆ æÖ ö
Å å



1976년 사미어 위원회는 æ와 ö의 사용을 권장했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차이가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ö 대신 ø가 사용되고, 스웨덴에서는 æ 대신 ä가 사용된다.[4] 이는 각국의 컴퓨터나 타자기 환경과 노르웨이어 및 스웨덴어의 사용법을 따른 것이다. 문자 Ï ï는 I i의 후설 모음 변이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많은 텍스트에서는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i로만 표기한다.

C c, Q q, W w, X x, Z z는 외래어를 표기할 때만 사용된다.

모음과 자음의 길이는 철자법에 반영되어, 긴 소리는 해당 글자를 두 번 반복하여(예: aa, bb) 표기한다.

4. 음운론

남부 사미어는 15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자음은 6개의 조음 위치와 6개의 조음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남부 사미어에는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이 존재하는데, 음운론적 차이는 비교적 작다. 일반적으로 북부 방언의 음소 체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전형적인 남부 사미어 단어는 장모음 어간과 모음으로 끝나는 이음절 단어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pa:ko/는 '단어'를 의미한다. 기능어, 연결 동사, 부정 보조 동사 등은 단음절로 이루어져 있다. 강세는 항상 단어의 첫음절에 고정되며, 세 음절 이상인 단어의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부차적인 강세가 주어진다.

4. 1. 모음

남부 사미어의 모음 음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북방 방언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해당 모음을 표기하는 방식이다.

rowspan="2"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고모음/i/ (i)/y/ (y)/ɨ/ (ï, i)/ʉ/ (u)/u/ (o)
중모음/e/ (e), /eː/ (ee)/øː/ (öö)/o/ (å), /oː/ (åå)
근저모음/æ/ (æ/ä), 긴소리는 /æː/ (ee)
저모음/aː/ (ae)/ɑ/ (a), /ɑː/ (aa)



높지 않은 모음 /e/, /æ/, /o/, /ɑ/는 모음 길이에서 대조를 이루어 짧은 소리와 긴 소리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반면 높은 모음 /i/, /y/, /ɨ/, /ʉ/, /u/는 짧은 형태로만 나타난다.

모음은 결합하여 10개의 서로 다른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 표와 같다.

전설모음전설모음 ~ 후설모음중설모음 ~ 후설모음중설모음 ~ 전설모음후설모음 ~ 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 ~ 중모음/ie/ (ie)/yo/ (yø/yö)/ʉe/ (ue); /ɨe/ (ïe/ie)/uo/ (oe)
고모음 ~ 저모음/ʉɑ/ (ua)
중모음/oe/ (øø/öö)
중모음 ~ 저모음/eæ/ (ea)/oæ/ (åe)/oɑ/ (åa)


4. 2. 자음

남부 사미어는 15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며, 이는 6개의 조음 위치와 6개의 조음 방식으로 분류된다. 남부 사미어의 특징 중 하나는 모든 자음이 단어 중간 위치에서 이중 자음(geminate)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m)/n/ (n)/ɲ/ (nj)/ŋ/ (ng)
파열음무기음/p/ (b, p)/t/ (d, t)/ts/ (ts)/tʃ/ (tj)/c/ (gi, ki)/k/ (g, k)
유기음/pʰ/ (p)/tʰ/ (t)/cʰ/ (ki)/kʰ/ (k)
마찰음무성음/f/ (f)/s/ (s)/ʃ/ (sj)/h/ (h)
유성음/v/ ~ /ʋ/ (v)
유사음/j/ (j)
측음/l/ (l)
전동음/r/ (r)


5. 문법

남부 사미어는 교착어이다. 남부 사미어 문법의 특징적인 요소로는 모음 변화 현상인 변화모음(umlaut)이 있으며, 이는 단어의 두 번째 음절 모음이 첫 번째 음절 모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반면, 다른 사미어들과 달리 자음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명사는 8개의 격(주격, 목적격, 소유격, 향방격, 내격, 탈격, 동반격, 서술격)으로 활용되며, 단수복수 구분이 있다. 다만, 서술격에서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다. 인칭 대명사는 3개의 수(단수, 이중, 복수)와 7개의 격으로 활용된다.

동사인칭(1, 2, 3인칭)과 (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되며, 기본적으로 현재 시제과거 시제가 있다. 또한, 부정 동사가 존재하며 이 역시 시제, , 인칭, 수에 따라 활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5. 1. 음운 교체

첫 번째 모음뒤에 오는
mis뒤에 오는
mis뒤에 오는
mis뒤에 오는
mis뒤에 오는
*imismisaasmaaesmaaasmaaasmaeesma*eamiseasmaiesmaeasmaaasmaeesma*iemiseasmaiesmaeasmaïesmaiesma*oamisåasmaåesmaåasmaoesmaöösma*uomisuasmauesmaåasmaoesmaöösmamisasmaesmaæsma, åsmaasma, ïsmaesma*imisæsma, ijsmaismaæsmaïjsmaisma*omisåsmausmaåsma, asmaosma, asma, ovsmausma*umisåsma, asmausmaåsmaosma, ovsmausma



반면에 남부 사미어는 자음 변화가 없는 유일한 사미어이다. 따라서 남부 사미어에서는 단어 중간의 자음이 변화하지 않는다. 비록 이러한 변화가 관련 언어에서는 빈번하지만 말이다. 예를 들어 남부 사미어 nommesma '이름' : nommesnesma '이름 안에'를 북부 사미어 nammase : namasse 와 비교해 보자. 여기에는 mmsma : msma의 자음 변화가 있다.

5. 2. 격 (Cases)

남부 사미어는 여덟 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

|-

!목적격 (akkusatijve)

| align="center" |-m|sma

| align="center" |-i·te|sma; -i·die|sma; -j·te|sma

|-

!소유격 (genitijve)

| align="center" |-n|sma

| align="center" |-i|sma; -j|sma

|-

!향방격 (illatijve)

| align="center" |-se|sma; -sse|sma; -n|sma

| align="center" |-i·te|sma; -i·die|sma; -j·te|sma

|-

!내격 (inessijve)

| align="center" |-sne|sma; -snie|sma

| align="center" |-i·ne|sma; -i·nie|sma; -j·ne|sma

|-

!탈격 (elatijve)

| align="center" |-ste|sma; -stie|sma

| align="center" |-i·ste|sma; -i·stie|sma; -j·ste|sma

|-

!동반격 (komitatijve)

| align="center" |-i·ne|sma; -i·nie|sma; -j·ne|sma

| align="center" |-i·gujmie|sma; -j·gujmie|sma

|-

!속격 (essijve)

| align="center" |—

| align="center" |-i·ne|sma; -i·nie|sma; -j·ne|sma

|}

5. 3. 명사

남부 사미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로 굴절하며, 여덟 가지 격을 갖는다. 이 격들은 주격, 목격, 소유격, 향격, 처소격, 이탈격, 동반격, 서술격이다. 다만, 서술격에서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다. 명사의 굴절은 본질적으로 집합적이지만, 복수와 단수의 격 어미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는 주격에서는 '-h'이고, 그 외 격에서는 '-i/j-'이며, 여기에 각 격의 어미가 붙는다. 남부 사미어에는 다섯 가지의 다른 굴절 종류가 있지만, 어미 변화의 종류는 없어서 모든 명사는 동일한 격 어미를 사용한다.

각 격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명사 어간은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ie-어간, e-어간, a-어간, oe-어간.

'물고기'를 뜻하는 ''guelie''의 현대 굴절 예시는 다음과 같다.

격 (kaasuse)단수 (aktentaale)복수 (gellientaale)
주격 (nominatijve){{lang|sma|-h|}
''guelie'' (물고기)의 굴절
단수복수
주격guelieguelieh
소유격gueliengueliej
목격gueliemguelide
향격gualanguelide
처소격guelesnegueline
이탈격guelestegueliste
동반격guelinegueliejgujmie
서술격gueline-



과거에는 단수 동반격과 복수 격들(주격 제외)에서 어근 모음 'ie'가 'öö'로 바뀌는 음절 변화(umlaut) 현상이 있었다. 예를 들어, 복수 소유격은 'göölij'였다.

5. 4.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세 가지 (단수, 이중, 복수)와 일곱 가지 격(탈격을 제외한 모든 격)으로 활용된다. 특정한 지시적 편향이 없는 지시 대명사가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며, 이중과 복수 형태는 구분되지 않는다.

남부 사미어 인칭 대명사:
인칭단수이중복수
1mannemonnahmijjieh
2datnedotnahdijjieh
3dihtedahdah



추가적인 대명사에는 지시 대명사와 형용사적 지시어, 의문 대명사와 관계 대명사, 재귀 대명사, 화자 중심 대명사, 상호 대명사, 그리고 다양한 부정 대명사가 포함된다. 이러한 대명사의 대부분은 단수 또는 복수의 존재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변화하며, 일부는 격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지시 대명사는 화자와의 거리에 따라 세 가지 정도를 구분한다.

5. 5. 동사

남부 사미어 동사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 이 중 이중수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범주이다. 동사는 기본적으로 현재 시제과거 시제라는 두 가지 유한 활용 범주를 가진다. 주어 접미사는 시제에 따라 동일하며, 테마 모음과 활용 방식에 따라 세 가지 다른 활용 계급으로 나뉜다.

또한, 완료 분사, 진행형, 부정사, 그리고 부정 및 명령형이라는 네 가지 비유한 형태가 존재한다. 동사는 현재 시제, 과거 시제, 완료, 과거완료, 진행형, 그리고 명령형이라는 TAM(시상) 범주를 나타낸다. 지각 동사는 조건법에 따라 활용되기도 한다.

동사는 음절 수에 따라 홀수 음절 동사와 짝수 음절 동사로 구분되며, 짝수 음절 동사는 여섯 가지 다른 어간 종류를 가진다. 인칭, 수, 부정 동사에 따른 구체적인 활용 변화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 5. 1. 인칭

남부 사미어 동사는 인칭 (1인칭, 2인칭, 3인칭)과 (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 이중수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1] 동사는 또한 시제에 따라 활용되는데, 기본적으로 현재와 과거 시제가 있다.[1]

'오다'를 뜻하는 동사 båetedhsma의 활용 예를 통해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다.[1]

båetedhsma (오다) 동사 활용 예시 (ie 어간)
현재 시제과거 시제명령형
1인칭 단수båatamsmaböötimsma해당 없음
2인칭 단수båatahsmaböötihsmabåetiehsma
3인칭 단수båatasmaböötisma해당 없음
1인칭 이중수båetiensmaböötimensma해당 없음
2인칭 이중수båetedensmaböötidensmabåetedensma
3인칭 이중수båetiejægansmaböötigansma해당 없음
1인칭 복수båetebesmaböötimhsma해당 없음
2인칭 복수båetedesmaböötidhsmabåetedesma
3인칭 복수båetiehsmaböötinsma해당 없음
분사båetijesmabåatemesma해당 없음
부정형båetiehsma동명사båetieminiesma
부정사båetedhsma동사 명사båetemesma


5. 5. 2. 수

남부 사미어 동사에 따라 활용되며, 단수, 이중수, 복수의 세 가지 수가 있다. 이 중 이중수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범주이다.

'오다'를 의미하는 동사 'båetedh'의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현재 시제과거 시제명령형
1인칭 단수båatamböötim해당 없음
2인칭 단수båatahböötihbåetieh
3인칭 단수båatabööti해당 없음
1인칭 이중수båetienböötimen해당 없음
2인칭 이중수båetedenböötidenbåeteden
3인칭 이중수båetiejæganböötigan해당 없음
1인칭 복수båetebeböötimh해당 없음
2인칭 복수båetedeböötidhbåetede
3인칭 복수båetiehböötin해당 없음
분사båetijebåateme해당 없음
부정형båetieh동명사båetieminie
부정사båetedh동사 명사båeteme


5. 5. 3. 부정 동사

남부 사미어는 핀란드어, 다른 사미어들, 에스토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를 가지고 있다. 남부 사미어에서 부정 동사는 시제(과거와 비과거), (직설법과 명령법),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그리고 (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 이것은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 북부 사미어와 같은 다른 사미어들과 다르다.

} || ean|sma || ibie|sma || idtjim|sma || idtjimen|sma || idtjimh|sma

|-

! 2인칭

| ih|sma || idien|sma || idie|sma || idtjih|sma || idtjiden|sma || idtjidh|sma

|-

! 3인칭

| ij|sma || eakan|sma || eah|sma || idtji|sma || idtjigan|sma || idtjin|sma

|}

남부 사미어 부정 동사, 직설법 형태
rowspan="2"|비과거 직설법과거 직설법
단수이중수복수단수이중수복수
1인칭{{lang|sma|im|}
} || aellien|sma || aellebe|sma || ollem|sma || ollen|sma || ollebe|sma

|-

! 2인칭

| aellieh|sma || aelleden|sma || aellede|sma || ollh|sma || olleden|sma || ollede|sma

|-

! 3인칭

| aellis|sma || aellis|sma || aellis|sma || olles|sma || olles|sma || olles|sma

|}

6. 통사론

남부 사미어는 핀란드어, 다른 사미어들, 에스토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를 가지고 있다. 남부 사미어에서 부정 동사는 시제(과거와 비과거), (직설법과 명령법),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그리고 (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 이것은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 북부 사미어와 같은 다른 사미어들과 다르다.

남부 사미어 부정 동사, 명령법 형태
rowspan="2"|비과거 명령법과거 명령법
단수이중수복수단수이중수복수
1인칭{{lang|sma|aelliem|}
남부 사미어 부정 동사, 직설법 형태
rowspan="2"|비과거 직설법과거 직설법
단수이중수복수단수이중수복수
1인칭imeanibieidtjimidtjimenidtjimh
2인칭ihidienidieidtjihidtjidenidtjidh
3인칭ijeakaneahidtjiidtjiganidtjin



남부 사미어 부정 동사, 명령법 형태
rowspan="2"|비과거 명령법과거 명령법
단수이중수복수단수이중수복수
1인칭aelliemaellienaellebeollemollenollebe
2인칭aelliehaelledenaelledeollholledenollede
3인칭aellisaellisaellisollesollesolles


참조

[1] 웹사이트 Samelovens språkregler og forvaltningsområdet for samisk språk https://www.regjerin[...] Statsministerens kontor 2014-08-12
[2]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s://web.archive.[...] Council of Europe 2014-04-03
[3] 웹사이트 Umeå University http://umu.diva-port[...] 2019-07-06
[4] 서적 Sørsamisk grammatikk Davvi Girji 2012
[5]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Council of Europe 2014-04-03
[6] 웹사이트 남부 사미어 https://www.ethnolog[...]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