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라게 문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라게 문명은 사르데냐 섬에서 청동기 시대에 번성한 독특한 문명으로, 잘린 원뿔 형태의 거석 탑인 누라게를 건설한 것으로 유명하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발전하여 철기 시대까지 이어졌으며, 농업, 축산업, 어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을 했다. 누라게인들은 뛰어난 금속 세공 기술을 보유하여 지중해 무역에 참여했으며, 해양 민족과의 교류를 통해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종교는 황소 숭배와 다산 신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형태의 사원과 성소를 건설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누라게인들은 초기 유럽 농부와 서부 수렵 채집인의 혼합으로 구성되었으며, 독특한 문화와 예술을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르데냐주의 역사 - 사르데냐 왕국
    사르데냐 왕국은 지중해 섬 사르데냐를 중심으로 동로마 제국, 피사/제노바 공화국, 아라곤 왕국, 사보이아 왕가의 지배를 거쳐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으로 발전,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기여 후 이탈리아 왕국 건설로 소멸한 역사적 왕국이다.
  • 사르데냐주의 역사 - 반달 왕국
    5세기부터 6세기 중반까지 북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반달 왕국은 가이세리크의 지휘 아래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해상 세력을 확장하며 지중해를 장악했으나, 내부 갈등과 베르베르족의 저항으로 쇠퇴하여 534년 동로마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 남유럽의 고고문화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남유럽의 고고문화 - 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900년경부터 720년경까지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화장 후 유골을 담은 골호 매장, 기하학적 무늬의 도자기, 청동 유물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에트루리아 문명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리스 문명과 교류하였다.
  • 이탈리아의 고고문화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이탈리아의 고고문화 - 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900년경부터 720년경까지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화장 후 유골을 담은 골호 매장, 기하학적 무늬의 도자기, 청동 유물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에트루리아 문명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리스 문명과 교류하였다.
누라게 문명
개요
누라게 문명 위치
지중해의 누라게 문명
국가이탈리아
위치사르데냐
연대청동기 시대 - 기원후 2세기
이전 문화베알 문화
이후 문화로마
역사
기원기원전 18세기
멸망기원후 2세기
특징
유형고대 문명
주요 유적누라게
거인의 무덤
신성 우물
사회
사회 구조전사적 사회

2. 역사

석기 시대사르데냐 섬은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유럽지중해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처음으로 거주했다. 가장 오래된 정착지는 사르데냐 중부와 북부(앙글로나)에서 발견되었다. 오지에리 문화(기원전 3200–2700년)와 같이 섬에서 여러 후기 문화가 발전했다. 경제는 농업, 축산업, 어업, 본토와의 교역에 기반을 두었다. 야금술의 확산과 함께 구리로 만든 물건과 무기도 섬에 나타났다.[22] 기원전 4천년기에 초기 금속기 시대 사르데냐는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은 추출 중심지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23]

이 시대의 유적에는 수백 개의 지석 (''페르다스 피타스''라고 불림)[24] 와 돌멘, 2,400개 이상의 ''도무스 데 야나스''라고 불리는 지하 묘지, 전사 또는 여성 형상을 나타내는 입상 지석, 그리고 사사리 근처의 몬테 다코디의 계단식 피라미드가 있는데, 이는 로스 미야레스(안달루시아)의 기념물 단지와 이후 발레아레스 제도의 탈라이오트와 유사성을 보인다. 일부 학자에 따르면 이 구조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구조의 유사성은 동지중해에서 유입된 문화적 영향 때문이다.[25][22]

몬테 다코디


몬테 시세리 묘지의 ''도무스 데 야나스'' 중 하나, 푸티피가리


몬테 다코디 제단은 기원전 2000년경부터 사용이 중단되었는데, 당시 거의 모든 서유럽에 널리 퍼져 있던 비커 문화가 섬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비커는 스페인과 남부 프랑스, 이탈리아 반도를 통해 중앙 유럽의 두 지역에서 사르데냐에 도착했다.[26]

보난나로 문화는 사르데냐에서 비커 문화의 마지막 발전 단계(기원전 1800~1600년경)였으며, 북부 이탈리아의 폴라다 문화와 여러 유사점을 보였다. 이 두 문화는 도끼 모양 손잡이가 있는 장식 없는 도자기와 같은 물질 문화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했다.[27] 이러한 영향은 코르시카를 통해 사르데냐로 확산되었을 수 있으며, 코르시카에서는 섬에서 이미 널리 퍼져 있던 새로운 건축 기술(거석식 석조술 등)을 흡수했다.[28] 그 당시 유럽 대륙에서 새로운 사람들이 섬에 도착하여 새로운 종교 철학, 새로운 기술, 새로운 생활 방식을 가져왔고, 이전의 것들을 쓸모없게 만들거나 재해석했다.[29][30]

보난나로 도자기, 사사리 국립 박물관


데치모푸추의 산트이로시의 지하 묘지에서 나온 보난나로 문화의 검(A2 단계)


청동기 시대의 광범위한 확산은 수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구리와 주석(비소 청동 또는 비소)의 새로운 합금으로 농업, 사냥 및 전쟁에 사용되는 도구 제조에 적합한 더 단단하고 더 저항력 있는 금속을 얻었다. 이 시대의 후기(보난나로 A2)에 원시 누라게 건설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22] 이는 누라게 시대의 첫 번째 단계로 플랫폼과 같은 구조이다. 이 건물들은 불규칙한 평면과 매우 튼튼한 외관을 가지고 있어 고전적인 누라게와 매우 다르다. 사르데냐 중서부 지역에 더 많았으며, 나중에는 섬 전체로 퍼져 나갔다.[31]

알부치우(Arzachena)의 프로토-누라게의 예


기원전 900년경부터 페니키아인들은 사르데냐를 점점 더 자주 방문하기 시작했다. 가장 흔한 기항지는 카라리스, 노라, 비티아, 술키, 타로스, 보사 및 올비아였다. 로마 역사가 유스티누스는 기원전 540년 말쿠스가 이끄는 카르타고 원정대가 강력한 누라게 사르데냐를 상대로 한 것에 대해 묘사했다. 이 원정은 실패했고, 카르타고에서 정치 혁명을 일으켜 마고가 등장했다. 그는 사르데냐인들이 페니키아의 해안 도시를 공격한 후 기원전 509년에 섬에 대한 또 다른 원정을 시작했다. 피에로 바르톨로니에 따르면, 해안의 페니키아 도시를 공격한 것은 카르타고였으며, 페니키아인들과 함께 그 도시에 살았던 원주민이 아니었다. 술키나 몬테 시라이와 같이 파괴된 페니키아 도시는 대부분 원주민 사르데냐인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했다.[60]

마고가 하밀카르 1세의 동생에 의해 죽고 교체된 후, 카르타고인들은 여러 군사 작전 끝에 사르데냐인들을 물리치고 해안 사르데냐, 광산이 있는 이글레시엔테 및 남부 평원을 정복했다. 누라게 문화는 섬의 산악 내륙 지방에서 살아남았을 수 있다. 기원전 238년, 고대 로마와의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한 후, 카르타고인들은 용병 전쟁 동안 사르데냐를 로마에 넘겨주었다. 사르데냐는 코르시카와 함께 로마 속주(''코르시카 에트 사르디니아'')가 되었지만,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섬 내륙에서 누라게 문화가 적어도 초기 로마 제국 시대까지 살아남았음을 확인했다.[61]

2. 1. 선사 시대

석기 시대에 이 섬은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유럽지중해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처음으로 거주했다. 가장 오래된 정착지는 사르데냐 중부와 북부(앙글로나)에서 발견되었다. 오지에리 문화(기원전 3200–2700년)와 같이 섬에서 여러 후기 문화가 발전했다. 경제는 농업, 축산업, 어업, 본토와의 교역에 기반을 두었다. 야금술의 확산과 함께 구리로 만든 물건과 무기도 섬에 나타났다.[22] 2014년, 초기 금속기 시대 사르데냐는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은 추출 중심지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23] 이는 기원전 4천년기에 일어났다.

이 시대의 유적에는 수백 개의 지석 (''페르다스 피타스''라고 불림)[24] 와 돌멘, 2,400개 이상의 ''도무스 데 야나스''라고 불리는 지하 묘지, 전사 또는 여성 형상을 나타내는 입상 지석, 그리고 사사리 근처의 몬테 다코디의 계단식 피라미드가 있는데, 이는 로스 미야레스(안달루시아)의 기념물 단지와 이후 발레아레스 제도의 탈라이오트와 유사성을 보인다. 일부 학자에 따르면 이 구조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구조의 유사성은 동지중해에서 유입된 문화적 영향 때문이다.[25][22]

몬테 다코디의 제단은 기원전 2000년경부터 사용이 중단되었는데, 당시 거의 모든 서유럽에 널리 퍼져 있던 비커 문화가 섬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비커는 두 지역에서 사르데냐에 도착했다. 첫째는 스페인과 남부 프랑스에서, 둘째는 이탈리아 반도를 통해 중앙 유럽에서였다.[26]

2. 2. 누라게 시대

기원전 2천년대 중반에 형성된 누라게는 초기 누라게에서 진화한 거석 탑이다. 모든 누라게 탑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톨로스(tholos) 챔버가 있었고, 가장 큰 탑은 최대 세 개의 겹쳐진 톨로스 챔버를 가질 수 있었다. 누라게는 사르데냐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약 3제곱킬로미터당 하나의 누라게가 있다.[30]

누라게 로사, 아바산타


누라게 이스 파라스의 톨로스, 이실리


누라게 마을의 그래픽 재구성


누라게의 용도는 사회적, 군사적, 종교적, 천문학적 역할, 용광로, 무덤 등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으나, 현대 학계는 누라게가 방어 시설을 갖춘 주거지였다는 데 동의한다.[32]

기원전 2천 년대 후반,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누라게 구조물 주변 정착지 규모가 커졌으며, 방어를 위해 새로운 탑들이 추가되고 벽으로 연결되어 "복합 누라게"가 형성되었다.[33]

누라게 산투 안티네, 토랄바, 내부 복도


대표적인 누라게로는 바루미니의 수 누락시, 토랄바의 산투 안티네, 아바산타의 누라게 로사 등이 있다. 누라키, 누라미니스 등 일부 사르데냐 마을 이름은 누라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35]

사르데냐는 구리, 등 광물이 풍부하여 합금 생산을 위한 용광로가 많았다. 누라게인들은 숙련된 금속 세공인으로, 유럽의 주요 금속 생산자 중 하나였으며,[36] 다양한 청동 제품을 생산했다. 주석은 청동 제작에 필수적이었기에 에게 해 상인들을 사르데냐로 끌어들였다.[37] 미케네 문명, 키프로스, 크레테, 이베리아 반도 등과 교역하며 문화적 유사성을 보였다.[39]

2. 2. 1. 청동기 시대

보난나로 문화는 사르데냐에서 비커 문화의 마지막 발전 단계(기원전 1800~1600년경)였으며, 당시 북부 이탈리아의 폴라다 문화와 여러 유사점을 보였다. 이 두 문화는 도끼 모양 손잡이가 있는 장식 없는 도자기와 같은 물질 문화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했다.[27] 이러한 영향은 코르시카를 통해 사르데냐로 확산되었을 수 있으며, 코르시카에서는 섬에서 이미 널리 퍼져 있던 새로운 건축 기술(거석식 석조술 등)을 흡수했다.[28] 그 당시 유럽 대륙에서 새로운 사람들이 섬에 도착하여 새로운 종교 철학, 새로운 기술, 새로운 생활 방식을 가져왔고, 이전의 것들을 쓸모없게 만들거나 재해석했다.[29][30]

청동기 시대의 광범위한 확산은 수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구리와 주석(비소 청동 또는 비소)의 새로운 합금으로 농업, 사냥 및 전쟁에 사용되는 도구 제조에 적합한 더 단단하고 더 저항력 있는 금속을 얻었다. 이 시대의 후기(보난나로 A2)에 소위 원시 누라게의 건설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22] 누라게 시대의 첫 번째 단계를 나타내는 플랫폼과 같은 구조이다. 이 건물들은 불규칙한 평면과 매우 튼튼한 외관을 가지고 있어 고전적인 누라게와 매우 다르다. 사르데냐 중서부 지역에 더 많았으며, 나중에는 섬 전체로 퍼져 나갔다.[31]

기원전 2천 년대 중반에 형성된 누라게는 이전의 초기 누라게에서 진화한 것으로, 잘린 원뿔 모양의 거석 탑이다. 모든 누라게 탑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톨로스(tholos) 챔버가 있었고, 가장 큰 탑은 최대 세 개의 겹쳐진 톨로스 챔버를 가질 수 있었다. 이는 사르데냐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약 3제곱킬로미터당 하나의 누라게가 있다.[30]

누라게의 용도에 대한 현대 이론에는 사회적, 군사적, 종교적, 또는 천문학적 역할, 용광로, 또는 무덤이 포함되었다. 이 문제는 오랫동안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었지만, 현대의 합의는 누라게가 방어 가능한 주거지, 그리고 헛간과 사일로를 포함한 시설로 지어졌다는 것이다.[32]

기원전 2천 년대 후반에는 고고학 연구를 통해 이러한 구조물 중 일부를 중심으로 건설된 정착지의 규모가 커졌음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종종 언덕 정상에 위치해 있었다. 아마도 방어적 이유로 인해, 새로운 탑들이 원래의 탑에 추가되었고, 틈새를 가진 벽으로 연결되어 "복합 누라게"를 형성했다.[33]

수많은 누라게 중 가장 유명한 것들 중에는 바루미니의 수 누락시, 토랄바의 산투 안티네, 아바산타의 누라게 로사, 알게로의 누라게 팔마베라, 빌라노바포루의 누라게 제나 마리아, 고네사의 누라게 세루치, 오롤리의 아루비우가 있다. 누라게 아루비우와 같은 가장 큰 누라게는 높이가 약 25~30미터에 달할 수 있으며, 여러 층의 벽으로 보호되는 5개의 주요 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십 개의 추가 탑이 있다.[34] 현재 사르데냐 마을 중 일부는 이름에 "누르-/노르-"가 포함된 누라키, 누라미니스, 누리, 누랄라오, 노라구구메와 같은 누라게에서 직접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5]

사르데냐는 특히 구리과 같은 광산이 풍부한 땅으로, 지중해 유역 전체에서 거래된 합금 생산을 위한 수많은 용광로 건설을 보았다. 누라게 사람들은 숙련된 금속 세공인이 되었으며, 유럽의 주요 금속 생산자 중 하나였으며,[36] 다양한 종류의 청동 물품을 생산했다. 칼, 단검, 도끼와 같은 새로운 무기는 드릴, 핀, 반지, 팔찌, 조각상 및 바다와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제사선보다 앞섰다. 주석은 구리가 있지만 청동 제작을 위한 주석이 부족한 에게 해에서 청동기 시대의 상인들을 끌어들였을 것이다.[37]

시장에는 미케네 문명, 키프로스 및 크레테와 같이 금속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 거주하는 문명뿐만 아니라 이베리아 반도가 포함되었으며, 이는 누라게 문명과 그들 사이의 문화적 유사성 및 누라게 유적지에서 후기 청동기 시대 미케네, 서부 및 중부 크레타 및 키프로스 도자기가 존재하고, "게이트웨이-커뮤니티"로 기능했던 것으로 보이는 반다스 유적지에 집중된 현지에서 제작된 복제품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다.[39]

2. 2. 2. 해양 민족과의 관계

사르데냐 전사 조각상


불테이에서 발견된 누라게 선박 모형, 국립 고고학 박물관 (칼리아리)


청동기 후기(기원전 14~12세기)에는 해양 민족의 대규모 이주가 있었는데, 이들은 미케네히타이트 유적을 파괴하고 이집트를 공격했다.[40][8][41] 조반니 우가스에 따르면, 해양 민족 중 가장 중요한 부족인 셰르덴은 누라게족 사르데니아인과 동일시된다.[40][8][41] 이러한 주장은 안토니오 타라멜리,[42] 베어 고든 차일드,[43] 세바스티아노 투사,[44][45] 바소스 카라게오르기스,[46]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의 카를로스 로베르토 조레아도 지지했다.[47]

케오스의 시모니데스플루타르코스는 해양 민족이 이집트를 침략했던 시기에 사르데니아인이 크레타 섬을 습격했다고 언급했는데,[48] 이는 누라게족 사르데니아인이 동지중해를 자주 드나들었음을 보여준다.

누라게 청동 모형, 기원전 10세기


13세기의 티린스, 코모스[49], 코키노크레므노스[50], 할라 술탄 테케[51], 미넷 엘-베이다[52]시칠리아의 리파리[53], 그리고 서부 지중해와 동부 지중해를 연결하는 해상 경로를 따라 있는 아그리젠토 지역에서 누라게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청동기 후기 사르데냐의 것과 유사한 도자기는 마르사 마트루의 이집트 항구에서도 발견되었다.[54]

고고학자 아담 제르탈은 이스라엘의 하로셰트 하고임이 엘-아후와트 유적과 동일하며, 이는 셰르덴족이 사르데냐에서 왔음을 시사하는 누라게 유적이라고 제안했다.[55] 하이파 대학교의 바르 샤이는 엘-아후와트에서 누라게 건축의 영향을 관찰했다.[56]

2. 2. 3. 철기 시대

고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900년에서 기원전 500년까지의 누라게 시기를 철기 시대로 정의하며, 이 시기를 "귀족 시대"로 간주한다. 이 시기에는 정교한 도자기, 도구, 무기가 제작되었다. 무역이 번성하여 근동에서 스페인, 대서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과 교류가 이루어졌다. 마을의 규모가 커지고 인구가 증가했으며, 기원전 1150년부터 누라게 건설은 점차 중단되고 개인 무덤이 집단 무덤(거인의 무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57][73][58][59] 조반니 릴리우에 따르면, 이 시기의 진정한 돌파구는 마을 의회를 중심으로 한 정치 조직이었는데, 이 의회는 촌락의 촌장들과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논의했다.

2. 3. 카르타고와 로마의 지배

기원전 900년경부터 페니키아인들은 사르데냐를 점점 더 자주 방문하기 시작했다. 가장 흔한 기항지는 카라리스, 노라, 비티아, 술키, 타로스, 보사 및 올비아였다. 로마 역사가 유스티누스는 기원전 540년 말쿠스가 이끄는 카르타고 원정대가 강력한 누라게 사르데냐를 상대로 한 것에 대해 묘사했다. 이 원정은 실패했고, 이것은 카르타고에서 정치 혁명을 일으켰으며, 여기서 마고가 등장했다. 그는 사르데냐인들이 페니키아의 해안 도시를 공격한 후 기원전 509년에 섬에 대한 또 다른 원정을 시작했다. 피에로 바르톨로니에 따르면, 해안의 페니키아 도시를 공격한 것은 카르타고였으며, 페니키아인들과 함께 그 도시에 살았던 원주민이 아니었다. 술키나 몬테 시라이와 같이 파괴된 페니키아 도시는 대부분 원주민 사르데냐인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했다.[60]

마고가 하밀카르 1세의 동생에 의해 죽고 교체된 후, 카르타고인들은 여러 군사 작전 끝에 사르데냐인들을 물리치고 해안 사르데냐, 광산이 있는 이글레시엔테 및 남부 평원을 정복했다. 누라게 문화는 섬의 산악 내륙 지방에서 살아남았을 수 있다. 기원전 238년, 고대 로마와의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한 후, 카르타고인들은 용병 전쟁 동안 사르데냐를 로마에 넘겨주었다. 사르데냐는 코르시카와 함께 로마 속주(''코르시카 에트 사르디니아'')가 되었지만,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섬 내륙에서 누라게 문화가 적어도 초기 로마 제국 시대까지 살아남았음을 확인했다.[61]

3. 사회

누라게 사회는 씨족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각 씨족은 족장이 이끌었다.[22] 일반 사람들은 짚으로 지붕을 덮은 석조 원형 가옥으로 이루어진 마을에 살았는데, 이는 현대 바르바지아의 양치기들이 사용하는 '핀네타'와 유사하다. 청동기 시대 말기와 초기 철기 시대에는 여러 개의 방이 안뜰을 중심으로 배치된 더욱 복잡한 형태의 가옥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산트임베니아의 누라게 정착지에서는 귀금속, 식량 등을 보관하는 시설과 시장으로 해석되는 거대한 광장이 발견되었다.[62][63] 청동기 시대 말기부터는 섬의 일부 지역에서 직사각형 가옥과 말린 벽돌로 지어진 구조물이 확인되었다.[64]

가슴에 감마형 자루 단검을 든 누라게 족장의 청동 조각상, 우타 출토.


종교는 누라게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학자들은 누라게 문명이 신정 정치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누라게 청동 조각상에는 망토를 입고 둥근 장식이 달린 지팡이를 든 족장, 광부, 장인, 음악가, 레슬러, 전사 등 다양한 사회 계층이 묘사되어 있다. 서로 다른 제복은 다른 칸톤이나 씨족, 또는 다른 군사 부대에 속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사제 역할은 여성이 수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누라게 팔마베라 근처의 오두막, 알게로


수자원 관리는 누라게인에게 중요했으며, 누라게 아루비우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복잡한 수압 장치가 있었다.[65] 그레마누의 수도교는 누라게인들의 수압 장치 제작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이다.[66]

플루미니마조레의 안타스 누라게 마을의 그래픽 재건


청동기 시대 말기와 초기 철기 시대에는 사르데냐에서 포장된 광장과 거리, 금속 작업장 등 특정 기능을 위한 구조물이 있는 원시 도시 정착지가 발전했다. 개별 가옥에는 저장 시설이 제공되었고 기반 시설이 갖춰졌다.[67][68]

3. 1. 부족

누라게 부족의 가상 분포도


기원전 2천 년대와 1천 년대 초반에 걸쳐 사르데냐에는 누라게인으로 대표되는 단일하고 광범위하며 균일한 문화 집단이 거주했다. 수세기 후, 로마 자료는 섬이 문화적으로 점차 합쳐졌지만, 정치적 정체성은 유지한 수많은 부족이 거주했다고 묘사한다. 부족들은 종종 가장 가치 있는 땅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싸웠다. 언급된 가장 중요한 누라게 부족으로는 발라레스, 코르시, 일리엔세스가 있으며, 이 중 일리엔세스는 로마화에 저항하여 'Civitatas Barbarie'(현재 바르바자)라고 불린 곳에 살았다.[69]

  • '''일리엔세스''' (혹은 이올라에스, 후에 '디아게스베스')는 고대 작가들에 의해 이올라우스(헤라클레스의 조카) 또는 트로이 난민이 이끄는 그리스 식민지인으로 기록되었으며, 현재 사르데냐 중남부에 거주했다. 그리스 역사가들은 또한 그들이 카르타고인과 로마인에게 반복적으로 침략당했지만 실패했다고 전한다.
  • '''발라레스'''는 비커 문화와 동일시되었다.[22] 이들은 현재 사르데냐의 전통적인 하위 구역인 누라, 코기나스, 림바라에 살았다. 발레아레스 제도의 탈라이오틱 문화와 같은 종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2]
  • '''코르시'''는 갈루라와 코르시카에 살았다. 이들은 아르자체나 문화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2천 년대 코르시카 남부에서는 누라게 문화와 함께 토레안 문명이 발전했다.

4. 문화

눈이 넷, 팔이 넷인 전사의 청동 조각상


S'Arcu 'e Is Forros


수 로만제수의 성스러운 "수영장"


파울릴라티노의 산타 크리스티나 성수


누라게 분수 Sa Sedda e Sos Carros


Domu de Orgia의 메가론 신전


아르차케나의 거인의 무덤


누라게 청동 조각상, G. A. 산나 고고학 민족지학 국립 박물관 (사사리)


사르다라에서 출토된 누라게 도기


누라게 문명의 예술은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황소는 남성적인 힘을, 태양신은 여성적인 힘을 상징했으며, 다산 숭배가 이루어졌다. 어머니 여신과 아버지 신(''바바이'')이 존재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0] 노락스, 사르두스, 이올라오스, 아리스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영웅들은 신으로 숭배되기도 했다.

누라게인들은 특정 시기에 성지에 모여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 폰니의 그레마누, 도르갈리의 세라 오리오스, 빌라그란데 스트리사일리의 S'Arcu 'e Is Forros와 같은 성지에는 성스러운 불이 있는 직사각형 사원이 있었다.[70] 숭배된 신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물, 태양, 달, 하지와 같은 천문학적 존재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리 근처의 산타 비토리아 누라게 신전과 같은 일부 구조물은 사르데냐 연방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탈리아 역사학자 지오반니 릴리우는 이곳에서 섬 중앙의 주요 부족들이 동맹을 맺거나 전쟁을 결정하고, 상업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고 주장했다.[72] 산타 크리스티나와 실리고를 포함하여 최소 20개의 다중 역할 구조물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는 기독교 사원으로 재사용되기도 했다. 누라게 노르돌레의 수영장과 같이 도수로 작동하는 의식용 수영장과 욕조가 신전에 건설되기도 했다.[67] 산타디의 피로수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은 지하 신을 기리는 동굴 숭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성스러운 우물은 물의 신을 숭배하기 위해 지어진 구조물이다. 뛰어난 건축 기술로 미루어 보아 사르데냐가 그리스와 크레타의 미케네 왕국과 강한 관계를 맺었던 기원전 14~13세기경 청동기 시대 초기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73]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누라게 정착지에는 방 중앙에 물을 담는 곳과 방 둘레에 벤치가 있는 원형 구조가 나타났다. 올리에나 근처 사 세다 에 소스 카로스의 의례용 분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메가론 신전은 사르데냐 섬 곳곳에 위치하며, 건강한 물에 대한 숭배를 위해 지어졌다. 많은 학자들은 이 건물들에서 에게 해의 영향을 발견한다.[30]

"거인의 무덤"은 집단 매장 구조물로, 철기 시대까지의 누라게 시대 전체에 걸쳐 나타났다. 섬의 중앙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견되며, 평면은 황소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 청동 조각상 ====

''브론제티''(''브룬지토스'' 또는 사르데냐어로 ''브룬지투스'')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제작된 작은 청동 조각상이다. 최대 39cm까지 측정될 수 있는 브론제티는 일상생활의 장면, 다양한 사회 계층의 등장인물, 동물 형상, 신, 배 등을 묘사한다.[36]

==== 몬테 프라마의 거인 ====

몬테 프라마의 거인은 1974년 오리스타노현 카브라스, 사르데냐 근처에서 발견된 대형 조각상 그룹으로, 최대 2.5m에 달한다. 이 조각상들은 전사, 궁수, 레슬러, 누라게 모형, 방패와 무장된 글러브를 낀 권투 선수를 묘사하고 있다.[79] 고대 그리스의 쿠로스보다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80]

==== 도기 ====

누라게 도기는 사르데냐 장인들의 기술과 취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용기 표면에 복잡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도기들은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의식이 끝날 때 부수기도 했다. 신성한 우물의 바닥에서 발견된 단지들이 이를 증명한다.[81] 누라게 도기는 램프, 배 모양의 용기(사르데냐 고유), 그리고 아스코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미케네 등에서 수입된 형태와 현지에서 제작된 형태가 섬 전체의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이탈리아 반도, 시칠리아, 스페인, 크레타에서도 누라게 도기가 발견되어, 누라게 문명이 고대 지중해 무역에 활발히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4. 1. 종교

누라게 사회에서 종교는 큰 영향을 끼쳤으며, 학자들은 누라게 문명이 신정 정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황소는 남성적인 힘을 상징하고, 태양신은 여성적인 힘과 연결되어 다산 숭배가 이루어졌다. 지중해형 어머니 여신과 아버지 신(''바바이'')이 존재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0] 노락스, 사르두스, 이올라오스, 아리스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영웅들은 신으로 숭배되기도 했다.

누라게인들은 특정 시기에 성지에 모여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 성지에는 앉을 수 있는 계단과 신성한 구덩이가 있었고, 폰니의 ''그레마누'', 도르갈리의 ''세라 오리오스'', 빌라그란데 스트리사일리의 ''S'Arcu 'e Is Forros''와 같이 중앙에 성스러운 불이 있는 직사각형 사원도 있었다.[70] 숭배된 신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물, 태양, 달, 하지와 같은 천문학적 존재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리 근처의 산타 비토리아 누라게 신전과 같은 일부 구조물은 사르데냐 연방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곳은 20헥타르가 넘는 가장 큰 누라게 신전 중 하나로, 종교적 건물과 민간 건물이 모두 있었다.[71] 이탈리아 역사학자 지오반니 릴리우는 이곳에서 섬 중앙의 주요 부족들이 동맹을 맺거나 전쟁을 결정하고, 상업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고 주장했다.[72] 무역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산타 크리스티나(파울리라티노)와 실리고를 포함하여 최소 20개의 다중 역할 구조물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는 카브라스의 산 살바토레 인 시니스에 있는 ''쿰베시아''처럼 기독교 사원으로 다시 사용되었다. 누라게 노르돌레의 수영장과 같이 도수로 작동하는 의식용 수영장과 욕조가 신전에 건설되기도 했다.[67] 산타디의 피로수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은 지하 신을 기리는 동굴 숭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성스러운 우물은 물의 신을 숭배하기 위해 지어진 구조물이다. 처음에는 기원전 8~6세기로 추정되었으나, 뛰어난 건축 기술로 미루어 보아 사르데냐가 그리스와 크레타의 미케네 왕국과 강한 관계를 맺었던 기원전 14~13세기경 청동기 시대 초기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73] 성스러운 우물의 건축 양식은 누라게와 유사하다. 주요 부분은 꼭대기에 구멍이 뚫린 톨로스 돔으로 덮인 원형 방이다. 기념비적인 계단이 입구와 지하 공간(지하 공간)을 연결하며, 지하 공간은 성스러운 샘의 물을 모으는 역할을 했다. 외부 벽에는 신자들이 공물과 종교 물품을 놓았던 돌 벤치가 있고, 제단이 있는 곳도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우물이 주요 누라게 신들 중 하나인 사르두스에게 헌정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사르데냐와 유사한 성스러운 구덩이가 불가리아 서부 가를로 마을 근처에서 발견되었다.[74]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누라게 정착지에는 방 중앙에 물을 담는 곳과 방 둘레에 벤치가 있는 독특한 유형의 원형 구조가 나타났다. 올리에나 근처 사 세다 에 소스 카로스의 의례용 분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곳에서는 납 파이프를 이용한 수압 장치를 통해 양의 머리 모양 장식에서 물이 분지 안으로 쏟아졌다.[75] 일부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건물을 의례용 또는 종교적 기능을 가진 열적 구조물로 해석한다.[76][77]

메가론 신전은 사르데냐 섬 곳곳에 위치하며, 건강한 물에 대한 숭배를 위해 지어졌다. 이 독특한 건물들은 누라게 문명의 문화적 활력과 동시대 지중해 문명과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는 건축적 표현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 건물들에서 에게 해의 영향을 발견한다.[30] 메가론 신전은 측벽이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를 띤다. 아르차케나의 ''Malchittu''와 같은 일부 건물은 반원형이며, 빌라그란데 스트리사일리의 ''Sa Carcaredda'' 신전과 같은 건물들은 원형 방으로 끝을 맺는다. 이들은 테메노스라고 불리는 신성한 구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때로는 같은 장소에서 여러 개의 신전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복잡한 구조를 가진 많은 메가론 신전이 발굴된 거대한 성소인 ''S'Arcu 'e Is Forros''가 그 예시이다. 가장 크고 보존이 잘 된 사르데냐 메가라는 에스테르질리의 ''Domu de Orgia''이다.

"거인의 무덤"은 정확한 기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길쭉한 돌멘에서 진화한 집단 매장 구조물이다. 이들은 철기 시대까지의 누라게 시대 전체에 걸쳐 나타났으며, 당시에는 구덩이 무덤으로 대체되었다. 섬의 중앙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 이들의 평면은 황소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베틸리(betili)라고 알려진 큰 석조 조각상(때로는 남성 생식기나 여성 유방의 조잡한 묘사를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가늘고 긴 메렌히르)이 입구 근처에 세워졌다. 때로는 마다우(Madau)나 일로이(Iloi)의 거대한 무덤에서처럼, 정교하게 다듬어진 돌을 사용한 ''opus isodomum'' 기술로 무덤이 건설되었다.

4. 2. 예술

황소와 같은 동물 묘사는 누라게 문명 이전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왔지만, 누라게인들 사이에서도 그 중요성이 유지되었다. 배, 청동 항아리 등에 자주 묘사되었고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다. 반인반수 형상의 작은 청동 조각과 네 팔, 네 눈,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사슴 형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신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둘기 역시 자주 묘사된 신성한 동물이다. ''핀타데라''라고 불리는 기하학적 패턴이 새겨진 작은 원반도 종교적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그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누라게 종교의 핵심은 황소로 대표되는 남성적 힘과 태양신, 로 대표되는 여성적 힘이 연결된 다산이었다. 학자들은 지중해형 어머니 여신과 아버지 신(''바바이'')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노락스, 사르두스, 이올라오스, 아리스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영웅들은 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군사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굴 결과에 따르면 누라게인들은 특정 시기에 공통 성지에 모였다. 폰니의 ''그레마누'', 도르갈리의 ''세라 오리오스'', 빌라그란데 스트리사일리의 ''S'Arcu 'e Is Forros''와 같은 성지에는 중앙에 성스러운 불이 있는 직사각형 사원이 있었다.[70] 숭배된 신들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물, 태양, 달, 하지와 같은 천문학적 존재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세리 근처의 산타 비토리아 누라게 신전과 같은 일부 구조물은 사르데냐 연방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탈리아 역사가 지오반니 릴리우에 따르면, 이곳에서 섬 중앙의 주요 부족들이 동맹을 맺고 전쟁을 결정하거나 상업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고 한다.[72] 무역을 위한 공간도 존재했다. 산타 크리스티나와 실리고를 포함하여 최소 20개의 다중 역할 구조물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는 기독교 사원으로 재사용되기도 했다. 누라게 노르돌레의 수영장과 같이 도수로 작동하는 의식용 수영장과 욕조가 신전에 건설되었다.[67] 산타디의 피로수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은 지하 신을 기리는 동굴 숭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4. 2. 1. 청동 조각상

''브론제티''(''브룬지토스'' 또는 사르데냐어로 ''브룬지투스'')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으로 제작된 작은 청동 조각상이다. 최대 39cm까지 측정될 수 있는 브론제티는 일상생활의 장면, 다양한 사회 계층의 등장인물, 동물 형상, 신, 배 등을 묘사한다.[36] 이 조각상들은 대부분 사르데냐의 다양한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지만, 상당수는 에트루리아 문명 유적지, 특히 이탈리아 중부(불치, 베툴로니아, 포풀로니아, 마지오네)와 캄파니아(폰테카냐노) 그리고 더 남쪽의 그리스 식민지 크로토네에 있는 무덤에서 발견되었다.[36]

4. 2. 2. 몬테 프라마의 거인

몬테 프라마의 거인은 1974년 오리스타노현 카브라스, 사르데냐 근처에서 발견된 대형 조각상 그룹으로, 최대 2.5m에 달한다. 이 조각상들은 전사, 궁수, 레슬러, 누라게 모형, 방패와 무장된 글러브를 낀 권투 선수를 묘사하고 있다.[79] 고고학자 조반니 릴리우가 조각상에 붙인 이름인 ''Kolossoi''의 연대는 여러 가설에 따라 기원전 11세기에서 8세기 사이로 추정된다.[79] C-14 분석 결과, 이 조각상들은 고대 이집트 조각상 이후 지중해 지역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의인화 조각상이며, 고대 그리스의 쿠로스보다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80]

이 조각상들은 원반형 눈과 동양풍 의복을 특징으로 하며, 신화 속 영웅들을 묘사하여 묘소를 지키는 모습이거나, 전형적인 누라게 신들의 일종의 판테온으로 추정된다. 이들의 발견은 누라게 문명이 그 특성을 유지하면서 수세기 동안 새로운 특징들을 도입했으며, 사르데냐의 일부 지역에 대한 페니키아인들의 식민지화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증명한다.

4. 2. 3. 도기



누라게 도기는 사르데냐 장인들의 기술과 취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용기 표면에 복잡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도기들은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의식이 끝날 때 부수기도 했다. 신성한 우물의 바닥에서 발견된 단지들이 이를 증명한다.[81] 누라게 도기는 램프, 배 모양의 용기(사르데냐 고유), 그리고 아스코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미케네 등에서 수입된 형태와 현지에서 제작된 형태가 섬 전체의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이탈리아 반도, 시칠리아, 스페인, 크레타에서도 누라게 도기가 발견되어, 누라게 문명이 고대 지중해 무역에 활발히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5. 언어

청동기 시대 사르데냐에서 사용된 언어는 그 시대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8세기 경 철기 시대에 누라게족이 에우보이아 문자에서 유래한 문자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2]

에두아르도 블라스코 페레르에 따르면, 고대 사르데냐어는 인도유럽어족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는 원시 바스크어, 고대 이베리아어와 유사하다.[83]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에트루리아어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 조반니 우가스는 누라게 사르데냐에 실제로 여러 언어권 (둘 이상)이 존재했으며, 아마도 인도유럽어족 이전 언어와 인도유럽어족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2]

요하네스 훔슈미트, 막스 레오폴트 바그너, 에미디오 데 펠리체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은 사르데냐에서 로마 이전의 다양한 언어적 기층을 구분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이베리아 반도, 프랑스, 이탈리아, 사르데냐, 북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범지중해 기층, 바스크어와 고대 사르데냐어 사이의 유사성을 설명하는 히스파노-코카서스 기층, 마지막으로 리구리아어 기층이다.[84]

6. 경제

누라게 경제는 농업, 축산업, 어업을 기반으로 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누라게인들은 서부 지중해에서 포도 재배를 처음으로 시행했다.[85] 와인과 맥주와 같은 알코올 음료도 생산되었으며, 동부 지중해에서 수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멜론 재배는 원예 기술이 있었음을 보여준다.[87] 현대 사르데냐와 마찬가지로 토양의 60%는 소와 양을 사육하는 데에만 적합했다. 아마도 가축을 전통적인 경제 기반으로 삼는 다른 인간 공동체처럼, 이러한 재산이 사회 계층을 확립했을 것이다. 기원전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차 도로의 존재는 잘 조직된 사회라는 것을 보여준다.[88] 금속 잉곳에서 발견된 표시는 누라게인들이 회계를 위해 사용한 숫자 체계가 있었음을 증명한다.

Oxhide ingot from Nuragus


항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역사가 피에를루이지 몬탈바노는 해안을 따라 누라게 닻을 발견했다고 언급했으며, 일부는 100kg의 무게였다.[86] 이것은 누라게인들이 효율적인 배를 사용했고, 길이가 최대 15m에 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지중해 전역을 여행하며 미케네 문명(공통적인 톨로스 무덤 형태와 황소 숭배로 입증됨), 스페인, 이탈리아, 키프로스, 레바논과 상업적 연결을 맺었다. 키프로스형 구리 잉곳과 같은 품목이 사르데냐에서 발견되었으며, 청동과 초기 철기 시대 누라게 도자기 및 기타 유물은 에게해 지역, 키프로스,[89] 스페인(우엘바, 타라고나, 말라가, 테루엘카디스)[90]에서 지브롤터 해협까지, 그리고 원-빌라노반, 빌라노반[91] 및 후기 에트루리아의 이탈리아 반도 중심지인 베툴로니아, 불치 및 포풀로니아 (9세기에서 6세기까지 그들의 무덤에서 발견된 누라게 조상에서 알려짐)에서 발견되었다.

베툴로니아의 누라게 도자기


사르데냐는 납과 구리와 같은 금속이 풍부했다. 고고학적 발견은 수많은 청동 무기를 포함한 누라게 야금술의 우수한 품질을 입증했다. 누라게 문명의 소위 "황금기"(기원전 2천년 후반, 기원전 1천년 초)는 아마도 섬의 금속 채굴의 정점과 일치했을 것이다. 주석을 사용하는 합금인 청동의 광범위한 사용은, 사르데냐에 단일 매장지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았던 금속이지만, 누라게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거래할 수 있는 능력을 더욱 증명한다.

2013년 스웨덴의 북유럽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71개의 고대 청동 물체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당시 스칸디나비아에서 사용된 구리의 대부분은 사르데냐와 이베리아 반도에서 왔다고 밝혀졌다.[92] 철기 제작은 기원전 13세기부터 섬에서 입증되었다.[93]

2024년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나온 후기 청동기 시대 검에 대한 조사는 이베리아 외에도 그 생산에 사용된 금속이 사르데냐에서도 왔음을 보여주었다.[94]

Oliena의 Nuragic complex of sa Sedda 'e sos Carros에서 출토된 호박 목걸이


후기 청동기 시대부터, 발트해와 출처를 알 수 없는 호박이 사르데냐에 나타났으며, 유럽 대륙과의 상업적 교류를 통해 유입되었다. 현지에서 가공된 호박은 주거 환경, 매장지, 성소 및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95]

7. 유전학

2020년 2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된 유전자 연구는 누라게 문명과 관련된 17명의 유골을 조사했다. 추출된 Y-DNA 샘플은 I2a1b1 (2개 샘플), R1b1b2a, G2a2b2b1a1, R1b1b (4개 샘플), J2b2a1 (3개 샘플), G2a2b2b1a1a에 속했고, 추출된 mtDNA 샘플은 T, V, H, J, K 및 U의 다양한 유형에 속했다.[96] 이 연구는 누라게 문명이 이베리아 및 남부 프랑스의 신석기 시대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유사했던 사르데냐의 초기 신석기 시대 주민들과 강한 유전적 연속성이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96] 이들은 약 80%의 초기 유럽 농부(EEF) 조상과 20%의 서부 수렵 채집인(WHG) 조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96] 이들은 서부 지중해 전역에 퍼진 신석기 시대의 카드 신석기 문화의 사람들로부터 주로 파생된 것으로 예측되었다.[96] 누라게 민족은 스텝 관련 조상이 거의 없어 유럽의 다른 청동기 시대 사람들과 구별되었다.[96]

Villalba-Mouco 등의 2021년 연구는 금속기 시대부터 시작된 이탈리아 반도에서 유래된 가능한 유전자 흐름을 확인했다. 선사 시대 사르데냐에서 이란 농부 또는 코카서스 관련 조상과 관련된 구성 요소는 신석기 시대부터 이탈리아 본토에 존재하며 (EEF 및 WHG 구성 요소와 함께) 금속기 시대 초기에 0%에서 청동기 시대에 약 5.8%로 점차 증가한다.[97] Manjusha Chintalapati 등이 2022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사르데냐에서 청동기 시대 표본의 대다수는 스텝 목축민 관련 조상이 없다. 몇몇 개인에게서 스텝 조상의 증거를 발견했는데, 이는 기원전 2600년경에 도착했을 것이다."[98] 다음은 Su Asedazzu (SUA), 세울로, S'Orcu 'e Tueri (ORC), 페르다스데포구에서 온 누라게 개인 집단의 조상 구성 요소의 비율이다.[98]

샘플서부 수렵 채집인초기 유럽 농부서부 스텝 목축민
SUA00316.8%72.5%10.6%
SUA00618.6%74.1%7.3%
ORC0038.8%83.6%7.6%
ORC00412.8%84.7%2.5%
ORC00513.9%77.2%8.9%
ORC00615.2%79.3%5.5%
ORC00719.5%75.7%4.8%

(1) - Manjusha Chintalapati, Nick Patterson, Priya Moorjani (2022)의 데이터. 표 J: 개인별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그룹의 qpAdm 분석.

유전적 데이터는 부계 사회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99]

8. 대중문화

대중문화에서 누라게 문명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1959년 엔니오 포리노가 작곡한 오페라 나는 샤르다나는 누라게 시대의 사르데냐를 배경으로 한다.
  • 대기 블랙 메탈 프로젝트 Downfall of Nur는 앨범에서 누라게 문명의 붕괴를 묘사한다.[103]

8. 1. 영화 및 텔레비전

《누라게스 사레나》(2017)는 이탈리아의 가수 살모가 출연한 누라게 문명에서 영감을 얻은 판타지 단편 영화이다.[101][102]

8. 2. 오페라

엔니오 포리노가 1959년에 작곡한 오페라 나는 샤르다나는 누라게 시대의 사르데냐를 배경으로 한다.

8. 3. 음악

대기 블랙 메탈 프로젝트 Downfall of Nur는 앨범에서 누라게 문명의 붕괴를 묘사한다.[103]

참조

[1] 간행물 The Nuragic Civilization in Sardinia https://efi.int/site[...] 2023-11-02
[2] 간행물 The nuragic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2003
[3] 학술지 Nuraghi as Ritual Monuments in the Sardinian Bronze and Iron Ages (circa 1700–700BC) 2022
[4] 학술지 Aspetti insediativi nel versante orientale del Monte Arci (Oristano -Sardegna) tra il bronzo medio e la prima età del ferro https://quaderniarch[...] Soprintendenza Archeologia, belle arti e paesaggio per la città metropolitana di Cagliari e le province di Oristano e Sud Sardegna 2014-12-22
[5] 문서 G. Lilliu (1999) p. 11
[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dscapes and Societies: Selected Ca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 서적 Cagliari, Edizioni Della Torre
[9] 문서 Rowland, R. J. “When Did the Nuragic Period in Sardinia End.” Sardinia Antiqua. Studi in Onore Di Piero Meloni in Occasione Del Suo Settantesimo Compleanno, 1992, 165–175.
[10] 서적 La storia di Sardegna
[11] 학술지 The chronological and cultural definition of Nuragic VII, AD 456-1015 https://www.academia[...] 1998
[12] 학술지 The Duos Nuraghes Project in Sardinia: 1985-1996 Interim Report https://www.jstor.or[...] 1998
[13] 학술지 Il Bronzo finale della Sardegna
[14] 학술지 Social Organization in Nuragic Sardinia: Cultural Progress Without 'Elites'?
[15] Cite Establishing the Middle Sea: The Late Bronze Age of Mediterranean Europe (1700–900 BC). https://link.springe[...] 2024-11-09
[16] 웹사이트 Sardegna Nuragica http://www.sardegnad[...] Edizioni Maestrali
[17] 서적 Ichnussa
[18] 웹사이트 La civiltà Nuragica http://www.provincia[...] 2024-04-24
[19] 서적 Parole di segni, L'alb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Carlo Delfino Editore
[20] 서적 Le fonti classiche e la Sardegna. Atti del Convegno di Studi - Lanusei - 29 dicembre 1998 Carocci
[21] 서적 La Sardegna nelle fonti classiche S'Alvure editrice
[22] 서적 L'Alba dei Nuraghi Fabula editrice
[23] 학술대회 Silver in Neolithic and Eneolithic Sardinia https://www.academia[...] Landesmuseums für Vorgeschichte Halle 2014
[24] 서적 The Interplay of Economic, Climatic and Cultural Change Investigated Through Isotopic Analyses of Bone Tissue: The case of Sardinia 4000–1900 BC https://books.google[...]
[25] 문서 Ercole Contu, Sardegna Archeologica – L'Altare preistorico di Monte D'Accoddi, p. 65
[26] 문서 Giovanni Lilliu, Arte e religione della Sardegna prenuragica, p.132
[27] 웹사이트 Alberto Moravetti, il complesso nuragico di Palmavera http://www.sardegnac[...] 2018-04-08
[28] 간행물 Una nuova sepoltura della cultura di Bonnanaro da Ittiri (Prov. di Sassari, Sardegna) ed i rapporti fra la Sardegna settentrionale e la Corsica nell'antica età del Bronzo https://www.academia[...] 2007-01
[29] 서적 La civiltà dei Sardi dal paleolitico all'età dei nuraghi Il Maestrale
[30] 서적 La Civiltà Nuragica http://www.sardegnac[...] Delfino
[31] 문서 Parkinson, E.W., McLaughlin, T.R., Esposito, C. et al.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963-021-09158-4 Radiocarbon Dated Trends and Central Mediterranean Prehistory]. J World Prehist 34, 317–379 (2021). https://doi.org/10.1007/s10963-021-09158-4
[32] 학술지 Constructing a Nuragic Local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ombs and towers in Bronze Age Sardinia 2001-04
[33] 웹사이트 Sardegna Nuragica http://www.sardegnad[...] 2018-04-08
[34] 웹사이트 Museo Nazionale Archeologico di Nuoro, Il Sarcidano: Orroli, Nuraghe Arrubiu http://www.museoarch[...]
[35] 서적 Breve storia di Sardegna
[36] 웹사이트 provinciadelsole.it http://www.provincia[...] 2015-05-03
[37] 논문 Tin as a draw for traders was first suggested in the essay on Sardinian metallurgy by N. Gale and Z. Gale in Miriam S. Balmuth, ed. Studies in Sardinian Archaeology 3 (Oxford, 1987).
[38] 간행물 Copper and Bronze Metallurgy in Sardinia 1983
[39] 서적 Studies in Sardinian Archaeology 3: Nuragic Sardinia and the Mycenaean World Oxford 1987
[40] 웹사이트 Giovanni Ugas: Shardana http://www.sardiniap[...] 2015-05-03
[41] 웹사이트 Nuovo studio dell'archeologo Ugas http://www.sardiniap[...] 2017-02-03
[42] 서적 Scavi e scoperte. 1903-1910 Carlo Delfino editore
[43] 서적 The Bronze Age https://www.marxists[...]
[44] 서적 I popoli del Grande Verde: il Mediterraneo al tempo dei faraoni Edizioni Storia e Studi Sociali
[45] Youtube Presentazione del libro "I Popoli del Grande Verde" di Sebastiano Tusa presso il Museo del Vicino Oriente, Egitto e Mediterraneo della Sapienza di Roma https://www.facebook[...] 2018-03-21
[46] 서적 On cooking pots, drinking cups, loomweights and ethnicity in bronze age Cyprus and neighbouring regions: an international archaeological symposium held in Nicosia, November 6th-7th, 2010 A.G. Leventis Foundation 2011
[47] 서적 Sea peoples in Canaan, Cyprus and Iberia (12th to 10th centuries BC) https://eprints.ucm.[...] Complutense University of Madrid
[48] 웹사이트 Paola Ruggeri - Talos, l'automa bronzeo contro i Sardi: le relazioni più antiche tra Creta e la Sardegna http://eprints.uniss[...] 2018-04-08
[49] 웹사이트 Ceramiche. Storia, linguaggio, e prospettive in Sardegna http://www.sardegnad[...]
[50] 서적 On Cooking Pots, Drinking Cups, Loomweights and Ethnicity in Bronze Age Cyprus and Neighbouring Regions
[51] 간행물 Cyprus and Sardinia in the Late Bronze Age: Nuragic table ware at Hala Sultan Tekke
[52]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Pottery of the 2014-2019 Campaigns https://www.academia[...] 2023-10-10
[53] 보고서 Campagna di scavo http://eprints.bice.[...]
[54] 간행물 Un mare infestato da mercanti e pirati:relazioni e rotte commerciali tra Egitto e Sicilia nel II millennio a.C. https://www.academia[...] 2023-10-16
[55] 뉴스 Long time archaeological riddle solved: Canaanite general was based in Wadi Ara http://www.jpost.com[...] 2010-07-02
[56]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could cast light on life of Biblical Villain Sisera https://www.jpost.co[...] 2022-06-28
[57] 회의록 Necropoli della Prima Età del Ferroin Sardegna. Una riflessione su alcuni secoli perdutio, meglio, perduti di vista https://www.academia[...] 2024-04-24
[58] 회의록 Quali aristocrazie nella Sardegna dell'età del Ferro? https://www.academia[...] Istituto Italiano di Preistoria e Protostoria 2015-05-03
[59] 서적 Necropoli della Prima Età del Ferro in Sardegna: una riflessione su alcuni secoli perduti o, meglio, perduti di vista https://www.research[...] Carocci 2024-04-24
[60] 서적 Monte Sirai http://www.sardegnac[...] Carlo Delfino editore
[61] 서적 Geographica
[62] 간행물 Il Progetto Sant'Imbenia https://www.academia[...] 2018-04-08
[63] 웹사이트 Sant'Imbenia (Alghero, SS). Il contributo dell'archeometria nella ricostruzione della storia e delle attività dell'abitato nuragico http://eprints.uniss[...]
[64] 간행물 San Sperate (Ca-Sardegna), Via Monastir. Le ceramiche nuragiche del Bronzo recente II e finale: caratteristiche formali ed aspetti funzionali 2017-06-08
[65] 웹사이트 Il Nuraghe Arrubiu di Orroli https://www.academia[...]
[66] 웹사이트 Gli architetti nuragici di Gremanu http://www.archeolog[...]
[67] 웹사이트 Sardegna Digital Library http://www.sardegnad[...]
[68] 서적 La Sardegna nuragica Storia e Monumenti https://www.research[...] Carlo Delfino Editore
[69] 서적 Hellados Periegesis
[70] 웹사이트 Arte e religione della Sardegna nuragica http://www.sardegnac[...]
[71] 웹사이트 Il santuario di Santa Vittoria di Serri http://www.fastionli[...]
[72] 서적 La civiltà in Sardegna nei secoli ERI
[73] 웹사이트 La transizione culturale dall'età del bronzo all'età del ferro nella Sardegna nuragicain relazione con l'Italia tirrenica http://www.bollettin[...] 2017-07-30
[74] 서적 Megalithischer Brunnentempel protosardinischen Typs vom Dorf Garlo, Bez. Pernik Komitee fur Kultur
[75] 웹사이트 Sa Sedda e Sos Carros di Oliena https://www.academia[...]
[76] 웹사이트 Complesso nuragico Sa Seddà e Sos Carros http://www.benicultu[...] Ministero dei beni e delle attività culturali e del turismo 2017-08-02
[77] 간행물 Le rotonde con bacile di età nuragica https://www.academia[...] 2009-01
[78] 서적 Sardegna Nuragica http://www.sardegnad[...] Edizioni Il Maestrale
[79] 간행물 L'armata sarda dei Giganti di pietra Gruppo Editoriale L'Espresso 2007-07-27
[80] 간행물 Restauri Mont'e Prama, il mistero dei giganti http://www.archaeoga[...] 2012-11-21
[81] 문서 Le sculture di Mont'e Prama - Contesto, scavi e materiali
[82] 서적 Tharros Felix Carocci
[83] 서적 Paleosardo: Le radici linguistiche della Sardegna neolitica De Gruyter Mouton
[84] 간행물 Los vocablos en -rr- de la lengua sarda.Conexiones con la península ibérica https://dialnet.unir[...] 2002-12-03
[85] 웹사이트 E' in Sardegna il più antico vitigno del Mediterraneo occidentale http://www.unica.it/[...] Università degli studi di Cagliari 2018-04-08
[86] 서적 SHRDN, Signori del mare e del metallo Zenia 2009-07
[87] 웹사이트 L'insediamento Nuragico di sa osa cabras or, il sito e i materiali https://www.research[...]
[88] 간행물 Manufatti nuragici e micenei lungo una strada dell'età del bronzo presso Bia 'e Palma - Selargius (CA) http://www.quadernia[...] 2016-12-21
[89] 웹사이트 Revisiting Late Bronze Age oxhide ingots – Meanings questions and perspectives https://www.research[...]
[90] 간행물 Le ceramiche nuragiche nella Penisola Iberica e le relazioni tra la Sardegna e la Penisola Iberica nei primi secoli del I millennio a.c. https://www.academia[...] 2015-05-03
[91] 웹사이트 Franco Campus, Valentina Leonelli, Fulvia Lo Schiavo, ''La transizione culturale dall'età del bronzo all'età del ferro nella Sardegna nuragica in relazione con l'Italia tirrenica'', 2010 https://www.academia[...] 2024-11-08
[92] 간행물
[93] 간행물 La siderurgia quale indicatore di contatti tra la Sardegna e Cipro: il caso del settore nuragico di Via Monastir di San Sperate (CA) http://www.quadernia[...] 2018-04-08
[94] 웹사이트 Almost the same, but not quite: an analysis of Late Bronze Age swords in the Balearic Islands https://www.research[...] 2024-11-08
[95] 웹사이트 Ambre protostoriche della Sardegna: nuovi dati su tipologia e possibili indicatori di lavorazione locale https://www.academia[...] 2024-09-08
[96] 간행물 The genomic history of the Aegean palatial civilizations 2021-05-13
[97] 간행물 Genomic transform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during the Copper Age–Bronze Age transition in southern Iberia
[98] 문서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major human admixture events during the European Holocene https://doi.org/10.7[...] 2022
[99] 웹사이트 Social Organization, Intersections, and Interactions in Bronze Age Sardinia. Reading Settlement Patterns in the Area of Sarrala with the Contribution of Applied Sciences https://www.degruyte[...] 2024-09-01
[100] 문서 Ancient genomes reveal structural shifts after the arrival of Steppe-related ancestry in the Italian Peninsula https://www.scienced[...] Supplemental information, Data S6. Main results of phenotype prediction, related to Table 3 and STAR Methods. (A) Description of the groups used for the phenotype prediction and related analyses. (B) Frequency of the effective allele in Italian, Near Eastern, and Yamnaya groups and ANOVA results. (C) Frequency of the effective allele in different Italian groups and ANOVA results. (D) Sample-by-sample phenotype prediction and genotype at the selected phenotype informative markers (reported as number of effective alleles: 0, 1, or 2) 2021
[101] 웹사이트 Nuraghes S'arena https://m.imdb.com/t[...] 2022-01-28
[102] 웹사이트 L'antica civiltà del Nuraghe in un fantasy Il protagonista è il rapper Salmo http://www.ilgiornal[...] 2017-08-31
[103] 웹사이트 Antonio Sanna from Downfall of Nur https://echoesanddus[...] 2022-01-28
[104] 서적 Parole di segni, L'alb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105] 서적 Tharros Felix
[106] 서적 La Sardegna nelle fonti classiche S'Alvure editr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