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우가프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우가프필스는 라트비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1275년 건설되어 여러 차례 지배 세력의 변화를 겪었다. 역사를 통해 디나부르크, 드빈스크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라트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구가 거주하며, 특히 러시아계가 다수를 차지한다. 다우가프필스는 다우가프필스 요새, 교회 언덕 등 다양한 건축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우가프필스 대학교를 비롯한 교육 시설과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춘 문화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공화국 도시 - 리가
    리가는 라트비아의 수도이자 발트 3국 최대 도시 중 하나로, 한자 동맹의 주요 상업 도시로 번영하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주요 항구와 국제공항을 갖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라트비아의 공화국 도시 - 레제크네
    레제크네는 라트비아 동부의 교통 요충지로서, 라트갈족 요새에서 리보니아 기사단,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러시아 제국을 거쳐 라트비아 독립 전쟁 후 라트갈레 지역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재건되어 현재 새로운 문화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 라트비아의 도시 - 리가
    리가는 라트비아의 수도이자 발트 3국 최대 도시 중 하나로, 한자 동맹의 주요 상업 도시로 번영하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주요 항구와 국제공항을 갖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라트비아의 도시 - 발카
    발카는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국경에 위치한 도시로, 128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920년 분할되었고, 1917년 독립 라트비아 공화국을 선포했으며,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양국 간 왕래가 자유로워졌다.
  • 라트비아의 행정 구역 - 리가
    리가는 라트비아의 수도이자 발트 3국 최대 도시 중 하나로, 한자 동맹의 주요 상업 도시로 번영하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주요 항구와 국제공항을 갖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라트비아의 행정 구역 - 발미에라구
    발미에라구는 라트비아 비제메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로, 발미에라 도시를 포함하며 목재 가공, 식품, 금속, 섬유 산업이 발달했고, 문화 및 교육 중심지로서 가우야 국립 공원과 인접해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다우가프필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개요
다우가프필스 시가지 전경
다양한 시점에서의 다우가프필스
다우가프필스 시 깃발
깃발
다우가프필스 문장
문장
기본 정보
다른 이름Dinaburg (디나부르크)
국가라트비아
도시 유형공화국 도시
설립1275년
자치권 획득1582년
시장안드레이스 엘크스닌슈
시장 소속 정당무소속
시의회 의원 수15명
면적72.5 km²
해발 고도 (최대)139 m
해발 고도 (최소)86 m
인구 (2023년)78850명
인구 순위2위
인구 밀도1088명/km²
인구 통계 (언어)(라트비아어)
시간대EET
UTC 오프셋+2
DSTEEST
UTC 오프셋 DST+3
우편 번호LV-54(01–65)
지역 번호(+371) 654
웹사이트다우가프필스 공식 웹사이트
기후Dfb
지리
위치리가에서 떨어져 있음
거리러시아에서 떨어져 있음
리투아니아에서 떨어져 있음
벨라루스에서 떨어져 있음

2. 역사

1275년 리보니아 검 형제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성이 이 도시의 기원이 되었다. 이후 이 도시는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이름도 여러 번 바뀌었다. 1918년 라트비아 독립과 함께 현재의 이름인 "다우가프필스"로 확정되었다.

초기 역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 러시아 제국 시대, 20세기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이 지역에서는 라트비아, 폴란드, 소련 군대가 다우가프필스 전투를 벌였다. 다우가프필스 요새 건설은 1810년에 시작되어 1878년에 완공되었다.[8]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유대교 거주 지역 디넨부르크 읍으로 속했으며, 2개의 철도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1897년 조사에서 인구는 72,231명이었고, 그 중 32,369명이 유대인이었다.

2. 1. 초기 역사

1275년 리보니아 기사단이 에른스트 폰 라체부르크의 지휘 아래 현재 다우가프필스가 위치한 곳에서 다우가바 강을 따라 20km 떨어진 곳에 뒤나부르크 성을 건설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같은 해, 문헌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1278년 독일 기사단의 영토로 들어갔다.

1281년부터 1313년까지 이 성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통치를 받았다. 1561년에는 다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고, 1569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리보니아 공국 참조). 1577년 러시아 차르 이반 뇌제가 뒤나부르크 성을 점령하고 파괴했다. 같은 해,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스테판 바토리는 강 아래 20k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성과 마을을 건설했다. 1582년 다우가프필스는 마그데부르크 시 권리를 부여받았다.

20세기 초 다우가프필스의 시내 (드빈스크)


1912년 프로쿠딘-고르스키의 사진


1621년 다우가프필스는 새로 형성된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의 수도가 되었으며, 이 지역은 폴란드 분할 (1772년)까지 존재했다. 1654년, 러시아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침공하여 동부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러시아군은 1655년 4월과 5월에 다우가프필스를 포위했지만 도시를 점령하지 못했다. 이 도시는 1655년 7월 11일 스웨덴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는데, 당시 스웨덴은 폴란드를 침공했다. 러시아-스웨덴 전쟁이 시작되자, 러시아군은 1656년 8월 10일 다우가프필스를 점령하고 도시 이름을 ''보리소글레보프''로 변경했으며, 1656년부터 1667년까지 11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 러시아는 안드루소보 조약 (1667년) 이후 라트갈레 지역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반환했다. 디네부르크라고 불린 이 도시는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의 수도가 되었으며, 리보니아 공국으로도 알려졌고, 디네부르크의 스타로스트보이기도 했다. 이곳은 지역 세임의 모임 장소였다. 인플란티 로마 가톨릭 주교는 교구 외부에서 거주하다가 17세기 말에 그의 자리를 디네부르크로 옮겼다. 18세기 말, 도시 자체에는 540명이 살았지만, 교외 인구를 포함하면 1,373명이었다.

2. 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

1275년 문헌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1561년부터 1772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했으며, 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령 리보니아수도였다.[1] 1621년 다우가프필스는 새로 형성된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의 수도가 되었으며, 이 지역은 폴란드 분할 (1772년)까지 존재했다.[1]

1582년 다우가프필스는 마그데부르크 시 권리를 부여받았다.[1] 1654년, 러시아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침공하여 동부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러시아군은 1655년 4월과 5월에 다우가프필스를 포위했지만 도시를 점령하지 못했다. 이 도시는 1655년 7월 11일 스웨덴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는데, 당시 스웨덴은 폴란드를 침공했다. 러시아-스웨덴 전쟁이 시작되자, 러시아군은 1656년 8월 10일 다우가프필스를 점령하고 도시 이름을 ''보리소글레보프''로 변경했으며, 1656년부터 1667년까지 11년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다. 러시아는 안드루소보 조약 (1667년) 이후 라트갈레 지역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반환했다. 디네부르크라고 불린 이 도시는 인플란티 보이보드십의 수도가 되었으며, 리보니아 공국으로도 알려졌고, 디네부르크의 스타로스트보이기도 했다. 이곳은 지역 세임의 모임 장소였다. 인플란티 로마 가톨릭 주교는 교구 외부에서 거주하다가 17세기 말에 그의 자리를 디네부르크로 옮겼다. 18세기 말, 도시 자체에는 540명이 살았지만, 교외 인구를 포함하면 1,373명이었다.

2. 3. 러시아 제국 시대

1275년 리보니아 기사단이 에른스트 폰 라체부르크의 지휘 아래 현재 다우가프필스가 위치한 곳에서 다우가바 강을 따라 20km 떨어진 곳에 뒤나부르크 성을 건설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1772년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도시는 프스코프 현(1772-1776), 폴로츠크(1776-1796), 벨라루스(1796-1802), 비테프스크(1802-1917)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처음에는 '''디나부르크''', 그 다음에는 러시아 통치 기간 동안 '''드빈스크'''로 불렸다.

1784년부터 이 도시에는 크고 활발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6] 그 중에는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있었다.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 69,700명 중 유대인은 32,400명(약 44%)이었다.[7]

다우가프필스 요새 건설은 1810년에 시작되어 1878년에 완공되었다.[8] 도시의 새로운 중심지는 19세기에 182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승인된 계획에 따라 요새의 남동쪽에 건설되었다.[9] 이 도시는 상트페테르부르크-바르샤바 철도 노선에 위치해 있었고, 1860년에 이 노선과 연결되었다.[8]

러시아 제국의 일부로서, 이 도시는 1893년부터 1920년까지 ''드빈스크''라고 불렸다.

2. 4. 20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이 도시는 1893년부터 1920년까지 ''드빈스크''라고 불렸다. 새로 독립한 라트비아는 1920년에 이 도시의 이름을 ''다우가프필스''로 변경했다.[1]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이 지역에서는 라트비아, 폴란드, 소련 군대가 다우가프필스 전투를 벌였다.

다우가프필스의 폴란드 제5 군단 보병 연대


다우가프필스와 라트비아 전체는 1940-41년과 1944-1991년 사이에 소련의 지배를 받았다. 독일은 1941년에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소련 군복을 입고 이 도시를 공격했으며,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이 도시를 점령했다. 나치는 다우가프필스 게토를 설립하여 도시의 유대인들을 강제로 살게 했으며, 대부분은 살해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로치키 공군 기지가 다우가프필스에서 12km 북동쪽에서 운영되었다. 소련 말기에는 다우가바 강에 수력 발전소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라트비아에서 태동한 환경 운동에 의해 성공적으로 반대되었다.

2010년 4월 16일, 도시 중심부에서 부시장 그리고리이스 녜므초프스가 암살범에게 총격을 받아 즉사했다. 이 범죄는 해결되지 않았다.[10]

3. 지명

라트비아어 현재 이름은 '다우가우필스'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언어권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왔다.


  • 러시아어: 드빈스크(Двинcк|드빈스크ru)
  • 독일어: 뒤나부르크(Dünaburg|뒤나부르크de)
  • 이디시어: 데넨부르그(דענענבורג|데넨부르그yi)
  • 폴란드어: 디네부르크·지비누프·지빈스크(Dyneburg·Dźwinów·Dźwińsk|디네부르크·지비누프·지빈스크pl)
  • 벨라루스어: 즈빈스크(Дзвінск|즈빈스크be)
  • 리투아니아어: 다욱필리스(Daugpilis|다욱필리스lt)

3. 1. 지명 변천

라트비아어에서 현재 이름인 '다우가우필스'(Daugavpils)는 '다우가바'와 라트비아어 단어 '필스'(pils, "성"을 의미하며, 리투아니아어 '필리스'(pilis), 그리스어 '폴리스'(polis)[2], 고대 프로이센어 '필스'(pils)[3]와 어원이 같음)를 참조한다.

역사적으로 여러 언어에서 다우가우필스를 지칭하는 이름이 달랐으며, 그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다.

언어명칭
벨라루스어Даўґаўпілс|다우가우필스be, 역사적으로 Дзвінск|즈빈스크be[4], Дынабурґ|디나부르크be
독일어Dünaburg|뒤나부르크de[5]
에스토니아어Väinalinn|배이날린et
핀란드어Väinänlinna|배이낸린나fi
프랑스어Dunebourg, Dimmebourg|뒤네부르, 딤부르프랑스어
라트갈레어Daugpiļs|다우크필스ltg
리투아니아어Daugpilis|다우크필리스lt
폴란드어Dyneburg|디네부르크pl, 때때로 Dźwińsk|지빈스크pl
러시아어Даугавпилс|다우가프필스ru, 역사적으로: Невгин|네브긴ru, Динабург|디나부르크ru, Борисоглебск|보리소글렙스크ru, Двинск|드빈스크ru
이디시어דענענבורג|데넨부르크yi, דינאַבורג|디나부르크yi, דווינסק|드빈스크yi



1582년 다우가우필스(당시 "Dyneburg")의 문장


기간명칭비고
1275년–1656년뒨아부르크 (Dünaburg)리보니아 검 기사단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1656년–1667년보리소글렙스크 (Borisoglebsk)대북방 전쟁 중 러시아 점령기
1667년–1893년뒨아부르크 (Dünaburg)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1893년–1920년드빈스크 (Dvinsk)러시아 제국 시기의 개명
1920년~다우가우필스 / 다우가프필스 (Daugavpils)라트비아 독립 ~ 소비에트 연방 ~ 라트비아 재독립


4. 지리

다우가프필스는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에서 남동쪽으로 230km 정도 떨어진 다우가바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벨라루스리투아니아에 접해 있으며, 약 120km의 국경이 러시아와 맞닿아 있다. 이 도시는 아름다운 호수에 둘러싸여 있다.

다우가프필스의 기후[35][36][37][3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1.1°C13.1°C18.4°C27.4°C31.8°C33.1°C35.1°C33.5°C31.3°C23.6°C16.3°C10.6°C
평균 최고 기온 (°C)-1.8°C-1.1°C4°C12.2°C18.1°C21.4°C23.7°C22.5°C17°C9.9°C3.6°C-0.2°C
평균 기온 (°C)-4.1°C-4.1°C0°C6.7°C12.2°C15.8°C18.1°C16.8°C11.9°C6.3°C1.5°C-2.2°C
평균 최저 기온 (°C)-7°C-7.7°C-4.3°C1.1°C5.7°C9.7°C12.1°C11°C7°C2.7°C-0.8°C-4.5°C
최저 기온 기록 (°C)-42.7°C-43.2°C-32°C-18.6°C-5.5°C-1.3°C2.1°C-1.5°C-5°C-14.7°C-24.1°C-38.7°C
강수량 (mm)40.3mm38.7mm35.5mm34.6mm61.6mm74.2mm72.9mm71.7mm56.1mm58.6mm48.4mm42.8mm
평균 강수일수 (≥ 1mm)11109791110109101011117
평균 상대 습도 (%)87.184.876.668.268.672.374.677.082.085.488.788.7
평균 일조 시간35.162.2133.4195.1270.2271.9277.2244.5156.487.930.524.9


5. 인구

2000년 기준 다우가프필스의 인구는 11만 5265명으로, 라트비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1]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이 도시의 인구는 78,850명이었다.[18]

역사적으로 다우가프필스는 다문화 도시로 알려져 있다. 193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45,160명의 인구 중 라트비아인이 33.57%, 유대인이 24.59%, 폴란드인이 18.15%, 러시아인이 17.84%, 벨라루스인이 2.56%를 차지했다.[19] 1930년에는 어떤 민족 집단도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지 않아 유럽에서 민족 구성이 가장 다양한 도시 중 하나였다.

2012년 국민투표에서 다우가프필스 유권자의 85%가 러시아어를 두 번째 국가 언어로 지정하자는 제안을 지지했다.[20]

5. 1. 민족 구성 (2019년)

민족인구비율 (%)
러시아인55,320명52.8
라트비아인18,411명17.6
폴란드인15,327명14.6
벨라루스인8,206명7.8
우크라이나인2,253명2.1
리투아니아인1,005명1.0
기타4,335명4.1


5. 2. 2012년 러시아어 공용화 국민투표

2000년 기준 다우가프필스의 인구는 11만 5265명으로, 라트비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1]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58,414명53.96%
라트비아인18,725명17.3%
폴란드인16,126명14.9%
벨라루스인8,897명8.22%
우크라이나인2,417명2.23%
리투아니아인1,041명0.96%
유대인492명0.45%
에스토니아인30명0.03%
기타2,118명1.96%



1991년부터 라트비아어가 라트비아의 학교와 행정 부서에서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다우가프필스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러시아인을 포함한 라트비아의 러시아인들은 이에 대해 긴장감을 느꼈다.[1]

6. 종교

성 보리스와 글레브 정교회 대성당 (라트비아에서 가장 큰 정교회이다.)


다우가프필스에는 다양한 종교 시설이 있다. 교회 언덕(Baznīcu kalns)은 도시의 랜드마크로, 루터교, 가톨릭, 정교회, 구교도 등 여러 종파의 교회가 모여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40개 이상의 시나고그가 있었으나, 현재는 다우가프필스 시나고그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복원되어 사용되고 있다.

6. 1. 주요 종교 시설



교회 언덕(Baznīcu kalns)은 도시의 랜드마크이다. 라트비아의 주요 종교인 루터교, 가톨릭, 정교회, 구교도가 모두 눈에 띄게 대표되어 있다.

도시의 예배 장소는 다음과 같다:

이름설립 연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2003년 - 현재
마틴 루터 대성당해당사항 없음
성 보리스와 글레브 대성당해당사항 없음
성 알렉산더 넵스키 대성당해당사항 없음
성 알렉산더 넵스키 교회해당사항 없음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로마 가톨릭 교회해당사항 없음
사슬에 묶인 성 베드로 가톨릭 교회해당사항 없음
예수의 성심 가톨릭 교회해당사항 없음
그리바 가톨릭 교회해당사항 없음
첫 번째 구교도 기도회관해당사항 없음
Vecforštate 구교도 기도회관해당사항 없음
다우가프필스 시나고그2003-2006년 복원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도시에 40개 이상의 시나고그가 있었다.

7. 문화

사울레스 거리 41번지에 있는 아르 누보 양식 건물


다우가프필스는 라트비아 동부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다. 22개의 초·중등학교, 4개의 직업학교, 사울레스 예술대학이 있다. 다우가프필스 대학교(구 다우가프필스 교육대학교)와 리가 공과대학교 지역 분교에서는 매년 1,000명 이상의 교사와 엔지니어가 졸업한다.

바르샤바 거리(Varšavas iela)에는 폴란드 김나지움(고등학교)이 있다. 또한, 18세기부터 내려오는 요새를 비롯한 많은 역사적 건축물과 기념물이 있다.

7. 1. 건축

다우가프필스는 라트비아에서 고전 양식과 절충주의 양식을 모두 갖춘 통일된 앙상블을 자랑하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도시의 역사 지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건축 유산으로, 182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승인된 계획에 따라 19세기에 건축 작업이 이루어졌다.[23] 역사 지구는 도시의 가장 큰 매력이자 고대와 현대의 측면을 조화롭게 균형을 맞춘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로 손꼽힌다.

2020년, 시는 아르 누보 및 붉은 벽돌 건물을 포함한 8개의 역사적 건물의 복원을 위해 7만 유로를 할당했다.[23] 다우가프필스에는 여러 건축, 역사 및 문화 기념물이 있으며,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다우가프필스 요새 - 1810년부터 1878년까지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칙령에 따라 건설되었다. 2013년 4월에는 마르크 로트코 미술관이 요새에 문을 열었다. 이전에는 요새에 바로크 양식의 다우가프필스 예수회 교회가 있었지만[24] 1944년에 파괴되었고 1950년대에 잔해가 철거되었다.
  • 성 베드로 사슬 성당 - 1845-1848년에 건축되고 1924-1934년에 재건된 도시에서 가장 오래 보존된 교회이다.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 - 1856-1864년에 건축되어 1969년에 파괴된 옛 정교회 대성당을 대신하여 1999-2003년에 건축된 정교회 교회이다.
  • 다우가프필스 회당 - 1850년에 건축됨
  • 교회 언덕 (Baznīci kalnas) - 4개의 기독교 교파의 교회가 서로 나란히 위치한 곳: 무염시태 가톨릭 교회, 마르틴 루터 대성당, 성 보리스와 글렙 대성당 및 첫 번째 구교도 기도 집.
  • 다우가프필스 극장 - 베르너 비탄스에 의해 1937-1938년에 건축되었고 2007년에 복원되었다.
  • 다우가프필스 역과 다우가프필스 대학교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물
  • 다우가프필스 지역 연구 및 미술관


폴란드어 김나지움 (학술 중등학교)


다우가프필스는 붉은 벽돌 건물로 유명하며, 이 양식은 독일 출신의 건축가 빌헬름 노이만을 비롯한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빌헬름 노이만은 1878년부터 1895년까지 다우가프필스의 수석 건축가였으며, 그가 설계한 건물들에서 붉은 벽돌과 절충주의 양식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사울레스 거리 1/3번지와 뮤제야 거리 8번지에 있는 건물들이 있다.

7. 2. 주요 건축물



다우가프필스 시의 역사 지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건축 유산이다.[23] 19세기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승인된 계획에 따라 건축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고전 양식과 절충주의 양식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2020년에는 아르 누보 및 붉은 벽돌 건물을 포함한 8개의 역사적 건물 복원을 위해 70000EUR가 할당되었다.[23]

다우가프필스에는 여러 건축, 역사 및 문화 기념물이 있다.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다우가프필스 요새 - 1810년부터 1878년까지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칙령에 따라 건설되었다. 2013년 4월에는 마르크 로트코 미술관이 요새에 문을 열었다. 이전에는 요새에 바로크 양식의 다우가프필스 예수회 교회가 있었지만[24] 1944년에 파괴되었고 1950년대에 잔해가 철거되었다.
  • 성 베드로 사슬 성당 - 1845-1848년에 건축되고 1924-1934년에 재건된 도시에서 가장 오래 보존된 교회이다.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 - 1856-1864년에 건축되어 1969년에 파괴된 옛 정교회 대성당을 대신하여 1999-2003년에 건축된 정교회 교회이다.
  • 다우가프필스 회당 - 1850년에 건축됨
  • 교회 언덕 (Baznīci kalnas) - 4개의 기독교 교파의 교회가 서로 나란히 위치한 곳: 무염시태 가톨릭 교회, 마르틴 루터 대성당, 성 보리스와 글렙 대성당 및 첫 번째 구교도 기도 집.
  • 다우가프필스 극장 - 베르너 비탄스에 의해 1937-1938년에 건축되었고 2007년에 복원되었다.
  • 다우가프필스 역과 다우가프필스 대학교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물
  • 다우가프필스 지역 연구 및 미술관


다우가프필스는 붉은 벽돌 건물이 많다. 이 스타일은 독일 출신의 건축가 빌헬름 노이만이 설계한 건물에서 가장 잘 나타나며, 그는 1878년부터 1895년까지 이 도시의 수석 건축가였다. 벽돌 건축의 훌륭한 예로는 사울레스 거리 1/3번지와 뮤제야 거리 8번지에 있는 건물들이 있다.

8. 교통

'''다우가프필스 사티크스메 AS'''는 시의 버스와 트램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다우가프필스 트램


시의 기차역은 리가-다우가프필스 철도의 종착역이다.

구 소련 공군 기지는 다우가프필스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12km 떨어진 로치키에 위치해 있으며, 민간 또는 군/민간 공항으로 재개발될 가능성이 있지만, 2023년 기준으로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25][26][27] 그리바 비행장은 다우가프필스에서 북서쪽으로 4km 떨어진 강 옆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는 주로 낙하산 점프와 패러글라이딩이 이루어진다.[28]

9. 정치

다우가프필스 시청


다우가프필스 시 정부의 수장은 다우가프필스 시장, 또는 문자 그대로 '의회 의장'(''domes priekšsēdētājs'')이다. 2021년 1월부터 현재 시장은 안드레이스 엘크슈닌슈로, 이전에는 화합당 소속이었으며 무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세 번째 임기를 수행하고 있는데, 2017년 지방 선거가 치러진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2017년 9월 연합이 해체되면서 첫 임기가 종료되었고, 그 뒤를 라트비아 녹색당의 Rihards Eigims|리가르츠 에이김스lv가 이었다("우리당" 선거 명단으로 선출). "우리당"은 전 시장인 야니스 라치플레시스의 라트갈레당과 연합하여 통치했다. 에이김스는 이전에 라트갈레의 빛 당의 대표로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그리고 라트비아 사회민주노동당의 일원으로서 2009년에 잠시 시장을 역임했다.

의회는 1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4년마다 선출된다. 가장 최근 선거는 2021년에 치러졌다.

10. 경제

Ziegler 기계 공장


산업은 중요하며, 현지 고용주로는 다우가프필스 기관차 수리 공장, 디톤 구동 체인 공장(''디톤 피에바드케주 루프니카''), 금속 공업 그룹 ''DAUER'', 상업 제빵 회사 ''Latvijas Maiznieks'', ''Ziegler GmbH'' 기계 공장, ''Axon'' 케이블 조립 공장, ''Nexis Fibers'' 산업용 실, ''Latgales alus SIA'' 양조장, 창문 및 실내 목재 부품 제조업체인 ''Fores'' 등이 있다.

화학 산업은 소련 시대에 잘 발달했으나 1990년대 자본주의로의 회귀 이후 대부분 사라졌다. ''Dauteks'' 합성 섬유 공장은 소련에서 가장 큰 공장 중 하나였으며, 라트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산업 고용주였다. 1960년대에 공장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된 Ķīmija 교외 지역은 이 공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공장은 2000년대 초 프랑스 회사인 로디아가 소유했으나 완전히 폐쇄되었다. 동부 라트비아에 새로운 산업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세금 인센티브가 존재한다.

11. 스포츠

다우가프필스 올림픽 센터


라트비아 스피드웨이 그랑프리는 현재 라트비아 스피드웨이 센터에서 개최되며, 미국의 세 차례 세계 챔피언 그렉 행콕이 2009년과 2013년에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라트비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라이더로 기록되었다. 로코모티프 다우가프필스는 폴란드 리그 시스템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는 오토바이 스피드웨이 팀이다.

축구 클럽 BFC 다우가프필스는 다우가프필스의 첼트니에크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한다. 그들은 라트비아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한다. 과거에는 이전 다우가바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했던 디나부르그 FC가 있었다.

FBC 라트갈레는 플로어볼에서 도시를 대표한다. 또한 HK 디나부르가라는 아이스 하키 팀이 있으며, 현재 라트비아 하키 프리미어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2008년 다우가프필스 다목적 스포츠 단지의 건설이 시작되어 2009년 10월에 완공되었다.

12. 저명한 출신 인물


  • 드빈스크의 메이르 심하 (1843–1926): 랍비이자 아하로님 (할라하 랍비) 중 한 명이었다.
  • 울랴나 세묘노바 (1952년 출생): 농구 선수이다.
  • 그제고시 피텔베르크 (1879–1953): 폴란드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이다.
  • 솔로몬 미호엘스 (1890–1948):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인 배우 겸 감독이었다.
  • 블라디슬라프 라기니스 (1908–1939): 폴란드 군 지휘자였다.
  • 마크 로스코 (1903–1970): 20세기를 대표 화가 중 한 명으로, 추상표현주의 화가이다.
  • 요세프 로젠 (1858–1936): 로가초프가온으로 알려진 랍비이다.
  • 모제스 아리에 뢰프 프리들란트: 자료에 따르면 인물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나,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다.
  • 비타스 (1979년 출생): 러시아의 가수, 작곡가, 작사가, 배우, 패션 디자이너이다.
  • 고트하르트 케틀러 (1517–1587): 리보니아 기사단의 마지막 단장이자 초대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작이다.

고트하르트 케틀러


마크 로스코

  • 안드리스 암바이니 (1975년 출생): 라트비아 컴퓨터 과학자이다.
  • 콘스탄틴스 칼코 (1994년 출생): 라트비아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 알렉산드르스 차우나 (1988년 출생): 라트비아 축구 선수이다.
  • 테레사 체르빈스카 (1974년 출생): 폴란드 경제학자이자 폴란드 재무부 장관 (2018–2019)을 역임했다.
  • 레오니트 도비친 (1894–1936): 러시아 작가이다.
  • 몹사스 페이긴스 (모브샤 페이긴스, 1908–1950): 라트비아 체스 마스터였다.
  • 이세르 하렐 (출생명 이세르 할페린, c. 1912–2003): 이스라엘 정보부 수장이었다.
  • 카스튜스 (칸스탄친) 예자비타우 (1893–1946): 벨라루스 독립 운동의 정치 및 군사 지도자였다.[29]
  • 아브라함 이삭 쿡 (1864–1935): 랍비, 사상가, 외교관, 중재자, 학자였다.
  • 핀차스 하코헨 린투프 (1851–1924): 랍비이자 카발리스트였다.
  • 빅토리아 모데스타 (1988년 출생): 라트비아 출신 영국 싱어송라이터, 퍼포먼스 아티스트, 모델이다.
  • 그리고리예스 넴초우스 (1948–2010): 라트비아 언론인, 사업가, 정치인이었다.
  • 니콜라이 폴리아코프 OBE (1900–1974): 코코 더 클라운의 창시자이다.
  • 이사크 일리치 루빈 (1886–1931): 유대인 정치 경제학자이자 사회주의 활동가였다.
  • 아르티옴스 루드네브스 (1988년 출생): 라트비아 축구 선수이다.
  • 아이작 나흐만 스타인버그 (1888–1957): 작가, 정치인, 프릴랜드 연맹 공동 창립자였다.
  • 브와디스와프 스투드니키 (1867–1953): 폴란드 정치인 겸 저술가였다.
  • 스타니스와프 스비아니에비치 (1899–1997): 폴란드 경제학자이자 역사학자였다.
  • 데니스 바실리에프스 (1999년 출생): 라트비아 피겨 스케이터이다.

13. 자매 도시

국가도시
아르메니아Ալավերդի|알라베르디hy
벨라루스Бабруйск|바브루이스크be
조지아ბათუმი|바투미ka
러시아중앙 행정구 (모스크바)
이탈리아Ferrara|페라라it
중국哈爾濱|하얼빈중국어
우크라이나Харків|하르키우uk
벨라루스Ліда|리다be
독일Magdeburg|마그데부르크de
스웨덴Motala|모탈라sv
러시아나로-포민스크
리투아니아Panevėžys|파네베지스lt
러시아프스코프
폴란드Radom|라돔pl
이스라엘רמלה|람라he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아르메니아Վաղարշապատ|바가르샤파트hy
벨라루스Віцебск|비쳅스크be
덴마크Haderslev|하더슬레우da



라트비아의 자매 도시 목록도 참조.[30]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daugavpi[...] 2022-03-29
[2] 위키낱말사전 https://en.wiktionar[...]
[3] 웹사이트 Prūsisks wirdeīns http://wirdeins.twan[...] 2023-08-31
[4] 문서 In Taraškievica it is spelled Дзьвінск (Dźvinsk)
[5] 서적 The last motor race of the empire (ee: ''Impeeriumi viimane motovõistlus'', de: ''Das letzte Autorennen des Imperiums'') https://tehnikamuuse[...] Estonian Old Technics Museum Foundation 2014
[6] 웹사이트 Jewish families of Dvinsk http://www.jewishgen[...] jewishgen.org 2008-07-12
[7] 서적 Poles, Jews,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4
[8]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daugavpi[...] 2024-04-04
[9] 웹사이트 The Historical Centre of Daugavpils City https://www.visitdau[...] 2024-04-04
[10] 뉴스 Nošauts Daugavpils vicemērs Grigorijs Ņemcovs http://www.tvnet.lv/[...] tvnet.lv 2010-04-16
[11] 서적 Poles, Jews,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ty Univ of Wisconsin Press 2004
[12] 간행물 Latvian Population Census - 1935, Part 4, Nationalities https://stat.gov.lv/[...]
[13] 뉴스 האשה שנלחמה על זכות הבחירה https://www.haaretz.[...] 2024-03-14
[14] 웹사이트 Klimatisko normu dati https://data.gov.lv/[...]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3-19
[15] 웹사이트 Gaisa temperatūras rekordi https://klimats.mete[...]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3-19
[16] 웹사이트 Daugavpils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11-28
[17]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Daugavpil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26
[18] 웹사이트 Population in regions, State cities and municipalities by age and gender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 Territorial unit, Sex, Time period and Age https://data.stat.go[...] National Statistical System of Latvia 2024-02-25
[19] 웹사이트 Fourth Population Census In Latvia in 1935 https://stat.gov.lv/[...] Centrālā statistikas pārvalde
[20] 웹사이트 cvk.lv http://www.tn2012.cv[...] 2012-02-18
[21]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2019 estimation http://pop-stat.mash[...] 2022-07-17
[22] 웹사이트 Problematyka narodowościowa Łotwy, Tabela 7. https://rcin.org.pl/[...] 2024-06-12
[23] 뉴스 Daugavpils to spend 70,000 on historical restorations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20-03-23
[24] 웹사이트 Pro Hereditate Catholica - Daugavpils jezuītu baznīcas vēsture un kādreizējā nozīme https://fsspx-fsipd.[...] 2024-04-04
[25] 웹사이트 Daugavpils | http://www.daugavpil[...] Daugavpils.lv 2011-09-15
[26] 웹사이트 Daugavpils | http://www.daugavpil[...] Daugavpils.lv 2011-09-15
[27] 뉴스 Pašvaldība lemj par SIA "Daugavpils lidosta" likvidāciju https://www.daugavpi[...] Daugavpils.lv 2023-02-20
[28] 웹사이트 Griva (14/32) https://myairfields.[...] 2021-12-31
[29] 웹사이트 Jezavitaŭ Kanstantyn http://www.slounik.o[...]
[30] 웹사이트 Sadraudzības pilsētas https://www.daugavpi[...] Daugavpils 2019-08-30
[31] 웹사이트 The Teutonic Order (M2TW-K-TC faction) https://wiki.totalwa[...] 2019-11-27
[32] 웹사이트 Klimatisko normu dati https://data.gov.lv/[...]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3-19
[33] 웹사이트 Gaisa temperatūras rekordi https://klimats.mete[...]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3-19
[34] 웹사이트 Daugavpils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11-28
[35] 웹인용 Klimatisko normu dati https://data.gov.lv/[...] 라트비아 환경지질기상센터 2023-03-19
[36] 웹인용 Gaisa temperatūras rekordi https://klimats.mete[...] 라트비아 환경지질기상센터 2023-03-19
[37] 웹인용 Daugavpils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15-11-28
[38] 웹인용 Climatologie de l'année à Daugavpil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