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습지보호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습지보호지역은 환경부, 국토해양부, 시·도지사에 의해 지정되어 관리되며, 2024년 9월 기준 환경부 지정 내륙 습지 33개소, 국토해양부 지정 연안 습지 17개소, 시·도지사 지정 습지 7개소가 있다. 습지보호지역은 다양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이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연경관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의 습지보호지역은 관리 주체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중앙정부에서는 환경부가 내륙 습지를, 해양수산부(과거 국토해양부)가 연안 습지를 담당하며, 각 시·도지사 역시 관할 구역 내의 습지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2. 습지 지정 현황
환경부는 2024년 9월 기준으로 총 33개소, 137.741km2의 내륙 습지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해양수산부는 2023년 12월 기준으로 총 17개소, 1533.63km2의 연안 습지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또한, 시·도지사가 지정한 습지보호지역은 현재 총 7개소이며, 그 면적은 8.254km2에 달한다.
이러한 습지보호지역 지정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자연 자산인 습지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습지가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적 장치이다. 각 지정 주체별 상세한 현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환경부 지정 내륙 습지
환경부는 생태계 보전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습지보전법에 따라 주요 내륙 습지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총 33개소의 내륙 습지가 지정되었으며, 그 면적은 137.741km2에 달한다.
주요 내륙 습지보호지역으로는 낙동강 하구,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의 대암산, 경상남도 창녕군의 우포늪,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무제치늪,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물영아리오름 등이 있다. 이러한 습지들은 독특한 지형과 생태계를 가지고 있어 학술적 연구 가치가 높고, 다양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1. 1. 주요 내륙 습지 목록
(람사르등록)무안갯벌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현경면 일대 42km2 생물다양성 풍부, 지질학적 보전가치 있음 2001년 12월 28일
(2008년 1월 14일)진도갯벌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고군면 일원(신동지역) 1.44km2 수려한 경관 및 생물다양성 풍부, 철새도래지 2002년 12월 28일 순천만 갯벌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해룡면, 도사동 일대 28km2 흑두루미 서식·도래 및 수려한 자연경관 2003년 12월 31일
(2006년 1월 20일)보성·벌교갯벌 전라남도 보성군 호동리, 장양리, 영등리, 장암리, 대포리 일대 33.92km2 자연성 우수 및 다양한 수산자원 2003년 12월 31일
(2006년 1월 20일)옹진장봉도갯벌 인천광역시 옹진군 장봉리 일대 68.4km2 희귀철새 도래·서식 및 생물다양성 우수 2003년 12월 31일 부안줄포만갯벌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보안면 일원 4.9km2 희귀철새 도래·서식 및 생물다양성 우수 2006년 12월 15일
(2010년 2월 1일)고창갯벌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1지구) 심원면(2지구) 일원 64.66km2 광활한 면적과 빼어난 경관, 유용수자원의 보고 2007년 12월 31일
(2010년 2월 1일)서천갯벌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종천면 일원 68.09km2 검은머리물떼새 서식, 빼어난 자연경관 2008년 2월 1일
(2009년 12월 2일)신안갯벌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도 및 병풍도 일대 1100.86km2 빼어난 자연경관 및 생물다양성 풍부(염생식물, 저서동물) 2010년 1월 29일 마산만 봉암갯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 0.1km2 도심습지, 희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서식 2011년 12월 16일 시흥갯벌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0.71km2 내만형 갯벌, 희귀,멸종위기야생동물 서식, 도래지역 2012년 2월 17일 대부도갯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연안갯벌 4.53km2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알락꼬리마도요의 서식지이자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갯벌 2017년 3월 22일
(2018년 10월 25일)화성 매향리갯벌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주변 갯벌 14.08km2 칠면초군락 등 염색식물과 대형저서동물 등 생물다양성 풍부한 갯벌 2021년 7월 20일 고흥갯벌 전라남도 고흥군 여자만 주변지역 갯벌 59.43km2 멸종위기 철새의 서식지 및 대형저서동물 등 생물다양성 풍부한 갯벌 2022년 12월 29일 사천 광포만 경상남도 사천시 광포만 주변지역 갯벌 3.46km2 넓은 염생식물 군락 및 대형저서동물 등 생물다양성 풍부 2023년 10월 23일 제주 오조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주변지역 갯벌 0.24km2 물수리, 노랑부리저어새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로 생물다양성 풍부 2023년 12월 21일 여수 갯벌 전라남도 여수시 여자만 주변지역 갯벌 38.81km2 해양보호생물인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흰발농게의 서식지로 생물다양성이 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