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로마 기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로마 기년법은 7세기 중반에 확립된 기년법으로, 세상 창조를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하며, 동방 정교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9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며, 예수가 세상 창조 후 5509년에 태어났다고 여겼다. 비잔틴 제국 멸망 후에도 러시아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점차 서기로 대체되었다. 동로마 기년법은 알렉산드리아 기원과 파스칼 연대기 등 다양한 연대 계산 방식을 포함하며, 정교회 내에서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로마 기년법
개요
이름그리스어: Ἔτη Γενέσεως Κόσμου κατὰ Ῥωμαίους (Étē Genéseōs Kósmou katà Rhōmaíous)
그리스어: Ἔτος Κτίσεως Κόσμου (Étos Ktíseōs Kósmou)
그리스어: Ἔτος Κόσμου (Étos Kósmou)
유형기년법
사용 문화권동로마 제국
시작 시점기원전 5509년 9월 1일
종료 시점1728년
다른 기년법과의 관계창세기 원년과 유사
상세 정보
설명로마인에 따른 세계 창조 연대, 세계 창조 기원, 세계 시대 등으로 불린다. 기원전 5509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한다.
역사약 691년부터 사용됨
1728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됨
특징율리우스력 사용
새해는 9월 1일에 시작
관련 개념인딕티오
서기
사용례동로마 제국의 공문서, 정교회 문서 등
기타
참고신약성경에 "세상 창조 이후"라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등장함 (마태복음 25:34, 누가복음 11:50, 히브리서 4:3, 9:26, 요한계시록 13:8, 17:8)

2. 역사

"동로마 기년법"이라는 용어는 7세기경 수도사이자 사제였던 게오르기우스의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다.[4][5] 게오르기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세계 시대"의 주요 장점으로 천문학적 달과 태양 주기, 인딕티온의 주기가 동일한 시점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부활절 계산법에도 편리하다고 여겼다.[6]

동로마 기년법은 7세기 중반에 최종 확정되기 전 약간의 수정 과정을 거쳤다. 그 이전의 초기 형태는 서기 412년경에 개발되었다. 7세기 후반에는 서유럽, 특히 영국에서도 알려졌다.[5] 10세기 후반(서기 988년경)에 이 시대가 공식 정부 기록에 사용되면서 동로마 세계 전역에서 통일된 시스템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이 시대는 9월 1일에 시작하는 것으로 계산되었으며, 예수는 세상 창조 이후 5509년에 태어난 것으로 여겨졌다.[7] 동방 교회는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서기 시스템 사용을 피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그리스도의 탄생 날짜가 14세기까지 논쟁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비잔틴 달력은 율리우스력과 거의 동일했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 월 이름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음역되었다.
  • 새해 첫날은 9월 1일이었으며, 교회력과 시민 달력 모두 9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인딕티온 참조), 이는 오늘날까지도 동방 정교회 교회력이다.
  • 날짜는 로마 방식으로 월의 칼렌데스(καλανδαί|칼란다이grc), 노네스(νωναί|노나이grc), 이데스(εἰδοί|에이도이grc)에 따라 계산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단순히 그리스,[9] 시리아,[10] 및 이집트 방식으로 월의 시작부터 숫자를 매겼다.
  • 그 시대는 로마 건국이 아닌, 기원전 5509년 9월 1일부터 기원전 5508년 8월 31일까지 계산된 창조의 해를 기준으로 했으며, 연도는 인딕티온의 위치에 따라 계산되었고, 집정관의 해에 따라 계산되지 않았다.


비잔틴 달력의 윤일은 율리우스력의 원래 로마식 버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2월 24일을 두 번 계산하여 얻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동로마 기년법이 점차 기독교 시대(서기)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처음에 1597년 테오파네스 1세 카리케스 총대주교에 의해 사용되었고, 이후 1626년 키릴 루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1728년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2] 한편, 러시아는 1453년 비잔틴 제국의 붕괴 이후에도 이 시대를 계속 사용했으며, 서기 1492년(AM 7000) 모스크바에서 밀레니엄주의 운동이 일어났다.[13] 비잔틴 달력이 러시아에서 표트르 대제에 의해 율리우스력으로 변경된 것은 서기 1700년이었다.[14] 이는 오늘날까지도 전통적인 정교회 달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서기 2000년 9월은 AM 7509년으로 시작했다.

동로마 제국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동로마 기년법서력사건
원년-천지 창조
4755년기원전 753년로마 건국
4841년기원전 667년비잔티온 건국
5502년기원전 6년예수 그리스도 탄생
5541년서기 33년예수 그리스도 처형 및 부활
5838년330년콘스탄티노폴리스로마 제국의 수도가 됨
5888년380년기독교테오도시우스 1세의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됨
5903년395년테오도시우스 1세의 사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할됨
6045년537년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칙령으로 세계 창조 기원에 의한 연대 표기에 인딕티온의 사용을 의무화함
6118년610년동로마 제국의 공용어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변경됨
6496년988년세계 창조 기원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됨
6562년1054년동서 교회 분열: 정교회와 가톨릭교회가 분열됨
6712년1204년제4차 십자군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 점령군에 의해 라틴 제국이 수립됨
6769년1261년동로마 제국의 재건.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 의해 금색 바탕에 쌍두 흑수리 깃발이 제국의 국기로 제정됨
6961년1453년제국의 최종적인 멸망



동로마인의 세계관에 따르면 로마는 건국부터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약 2000년 동안 지속되었다.

년부터 년은 세계 창조 기원으로 에 해당한다.

2. 1. 기원과 발전

동로마 기년법은 7세기 중반에 확정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서기 412년경에 개발된 초기 형태가 존재했다.[5] 7세기 후반에는 서유럽, 특히 영국에서도 알려졌다.[5] 10세기 후반(서기 988년경)에 공식 정부 기록에 사용되면서 동로마 세계 전역에서 통일된 시스템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이 기년법은 9월 1일에 시작하며, 예수는 세상 창조 이후 5509년에 태어난 것으로 여겨졌다.[7] 동방 교회는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서기 시스템 사용을 피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그리스도의 탄생 날짜가 14세기까지 논쟁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2. 2. 달력 체계

비잔틴 달력은 율리우스력과 거의 동일했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 월 이름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음역되었다.
  • 새해 첫날은 9월 1일이었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동방 정교회 교회력에서 유지되고 있다.
  • 날짜는 로마 방식으로 월의 칼렌데스(καλανδαί|칼란다이grc), 노네스(νωναί|노나이grc), 이데스(εἰδοί|에이도이grc)에 따라 계산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단순히 그리스,[9] 시리아,[10] 및 이집트 방식으로 월의 시작부터 숫자를 매겼다.
  • 기원은 로마 건국이 아닌, 기원전 5509년 9월 1일부터 기원전 5508년 8월 31일까지 계산된 창조의 해를 기준으로 했다. 연도는 인딕티온의 위치에 따라 계산되었고, 집정관의 해에 따라 계산되지 않았다.


비잔틴 달력의 윤일은 율리우스력의 원래 로마식 버전의 윤일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3월의 칼렌데스 전 6일을 두 배로 하여, 즉 2월 24일을 두 배로 하여 얻었다.

2. 3. 동방 정교회로의 계승

동방 정교회에서 비잔틴 세계 시대는 점차 기독교 시대(서기)로 대체되었다. 1597년 테오파네스 1세 카리케스 총대주교가 처음 사용했고, 1626년 키릴 루카리스 총대주교가 사용했으며, 1728년에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2] 러시아는 비잔틴으로부터 정교회를 받아들여 비잔틴 시대를 기반으로 한 정교회 달력(슬라브어로 번역됨)을 물려받았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으로 비잔틴 제국이 붕괴된 이후에도 이 시대는 러시아에서 계속 사용되었으며, 1492년(AM 7000) 모스크바에서 밀레니엄주의 운동이 일어났다.[13] 1700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비잔틴 달력이 율리우스력으로 변경되었다.[14] 이는 오늘날까지도 전통적인 정교회 달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2000년 9월은 AM 7509년으로 시작했다.

3. 연대 계산

동로마 기년법의 연대 계산은 7세기 중반에 확정되기 전까지 여러 수정 과정을 거쳤다. 초기 형태는 서기 412년경에 개발되었으며, 7세기 후반에는 이미 서유럽, 특히 영국에서도 알려졌다.[5] 10세기 후반(서기 988년경)에 이르면 동로마 제국 전역에서 통일된 연대 계산 방식으로 널리 인식되었다.[2]

동로마 기년법은 9월 1일을 한 해의 시작으로 계산했으며, 예수는 세상 창조 이후 5509년에 태어난 것으로 여겼다.[7] 이는 6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서방에서 채택된 서기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그리스도의 탄생이 아닌 천지 창조로부터 역사적 시간을 계산했다. 동방 교회는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서기 시스템 사용을 피했는데, 콘스탄티노플에서는 그리스도의 탄생 날짜가 14세기까지 논쟁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비잔틴 달력은 율리우스력과 거의 동일했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었다.


  • 월 이름은 라틴어를 그리스어로 음역한 형태였다.
  • 새해 첫날은 9월 1일이었다. 교회력과 시민 달력 모두 9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인딕티온 참조) 이는 오늘날까지도 동방 정교회 교회력에서 유지되고 있다.
  • 날짜는 로마 방식인 칼렌데스(καλανδαίgrc, ''kalandaí''), 노네스(νωναίgrc, ''nōnaí''), 이데스(εἰδοίgrc, ''eidoí'')에 따라 계산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그리스,[9] 시리아,[10] 및 이집트 방식처럼 단순히 월의 시작부터 숫자를 매겼다.이는 서방 제국에 거주했던 그리스인들의 지위와 달랐는데, 그들은 일반적으로 모국어에서도 로마식 연대 계산 방식을 사용했다.비잔틴인이 로마식 연대 계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들은 실제로 그것을 오해하여 "칼렌데스의 3일"을 해당 달의 세 번째 날이 아니라 이전 달의 마지막 날 전날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 연도는 인딕티온의 위치에 따라 계산되었고, 집정관의 해에 따라 계산되지 않았다. 즉, 기원전 5509년 9월 1일부터 기원전 5508년 8월 31일까지 계산된 창조의 해를 기준으로 했다.


비잔틴 달력의 윤일은 율리우스력의 원래 로마식 버전과 동일하게 2월 24일을 두 번 계산하여 얻었다.

비잔틴 세계 시대는 동방 정교회에서 점차 기독교 시대(서기)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1728년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2] 한편, 러시아는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정교회를 받아들여 비잔틴 시대를 기반으로 한 정교회 달력을 물려받았다. 1453년 비잔틴 제국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에서는 이 시대가 계속 사용되었으며, 서기 1700년에 표트르 대제에 의해 율리우스력으로 변경되었다.[14]

동로마 기년법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동로마 기년법서력사건
1년-천지 창조
4755년기원전 753년로마 건국
4841년기원전 667년비잔티온 건국
5502년기원전 6년예수 그리스도 탄생
5541년서기 33년예수 그리스도 처형 및 부활
5838년330년콘스탄티노폴리스로마 제국의 수도가 됨
5888년380년기독교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됨
5903년395년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할됨
6045년537년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칙령으로 세계 창조 기원에 의한 연대 표기에 인딕티온 사용을 의무화함
6118년610년동로마 제국의 공용어가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변경됨
6496년988년세계 창조 기원이 처음으로 공식 사용됨
6562년1054년동서 교회 분열: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가 분열됨
6712년1204년제4차 십자군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 라틴 제국 수립
6769년1261년동로마 제국의 재건,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 의해 금색 바탕에 쌍두 흑수리 깃발이 제국의 국기로 제정됨
6961년1453년동로마 제국의 최종적인 멸망



동로마인들은 로마가 건국부터 동로마 제국 멸망까지 약 2000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생각했다.

정교회에서는 동로마 제국의 국교였던 이 기년법이 제국 멸망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러시아에서는 서기 1700년까지 세계 창조 기원을 사용했다.

3. 1. 알렉산드리아 기원

알렉산드리아 기원(, ''Kósmou étē kat'Alexandreîs'')은 서기 412년에 개발되었으며 비잔틴 기원의 전신이다.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등이 초기에 시도한 후, 창조 시점에 대한 알렉산드리아식 계산은 기원전 5493년 3월 25일로 계산되었다.[20]

알렉산드리아의 파노도로스 수도사는 아담부터 서기 412년까지 5904년으로 계산했다. 그의 해는 8월 29일(윤년 전 해에는 8월 30일)에 시작되었으며, 이는 토트의 첫 번째 날, 즉 이집트 새해에 해당한다.[21]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의 안니아노스는 새해를 3월 25일로 하는 수태고지 양식을 선호하여 파노도로스 기원을 약 6개월 정도 옮겨 3월 25일에 시작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알렉산드리아 기원이 만들어졌으며, 그 첫 번째 날은 진행 중인 가상 알렉산드리아 민간력의 첫 번째 날인 기원전 5493년 8월 29일이었고, 교회력은 기원전 5493년 3월 25일에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 교황은 이전에 3월 25일을 연도의 시작으로 선택한 것에 대한 신비로운 정당성을 강조하여 인용했다.

기원전 5493년 3월 25일의 알렉산드리아 기원은 막시무스 고해자와 테오파네스 고해자 같은 교부들과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 같은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특히 수도원 사회에서 그 현저한 신비주의는 비잔틴에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이 걸작 기독교 상징에는 두 가지 심각한 약점이 있었다. 그 약점은 부활절 컴퓨투스에 의해 결정된 예수 부활 날짜에 대한 역사적 부정확성과 유월절 이후 금요일에 일어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날짜에 관한 사도 요한의 복음서 연대기와 모순된다는 점이다.[5]

3. 2. 파스칼 연대기

630년경에 저술된 파스칼 연대기는 성경의 수치를 기반으로 기원전 5507년 3월 21일을 기원으로 하는 새로운 세계 기원 변형을 제안했다.[4][5] 이 연대기는 예수의 탄생 또는 예수의 십자가형과 같은 특정 역사적 날짜에 우주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6]

3. 3. 비잔틴 시대

10세기 후반까지, 적어도 7세기 중반부터 기원전 5509년 9월 1일로 고정된 비잔틴 시대(알렉산드리아 날짜와는 16년, ''파스칼 연대기''와는 2년 차이)는 칼케돈 정교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달력이 되었다.[2]

4. 교부들의 기록

테오필루스(AD 115–181)가 쓴 변증 저서 ''아우톨리코스에게''[15] 와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AD 200–245)의 ''연대기 5권''[16]에는 성경 연대기에 따른 세상의 나이에 대한 초기 기독교 저술이 현존한다. 이 두 명의 초기 기독교 작가는 70인역 성경을 따라 그리스도의 탄생 당시 세상의 나이가 약 5,530년이었다고 결정했다.[17]

벤 시온 와홀더는 이 주제에 대한 교부들의 저술이 (마소라 본문과 비교하여 70인역의 진정성을 기준으로 한 그들의 연대기 체계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지적한다. 기독교 연대기 작가를 통해 초기 헬레니즘 시대의 성경 연대기 작가에 대한 창구가 보존되기 때문이다.

가장 신비로운 교부들, 예를 들어 성 이사악 시리아인조차도 "대략" 기원전 5,500년에 세상이 창조되었다는 교회의 일반적인 이해를 의심 없이 받아들였다. 세라핌 로즈 신부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성 교부들(아마도 만장일치로)은 구약성경의 연대기, 즉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확신했다. 그들은 연대적 '정확성'에 대한 근본주의자의 과도한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가장 신비로운 교부들(성 이사악 시리아인, 성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등)조차도 아담이 문자 그대로 약 900년 동안 살았고, 창조와 그리스도의 탄생 사이에는 약 5,500년("대략")의 시간이 있었다는 것을 확신했다."[31]

5. 비잔틴 제국의 주요 사건 (일본어 위키 항목)

6. 현대 정교회의 사용

정교회는 서기(AD)와 함께 비잔틴 달력을 계속 사용하며, 교회력 새해는 여전히 9월 1일에 기념된다.[2] 러시아는 1453년 비잔틴 제국 붕괴 이후에도 비잔틴 시대를 계속 사용했으며, 표트르 대제에 의해 율리우스력으로 변경된 것은 서기 1700년이었다.[14] 이는 오늘날까지도 전통적인 정교회 달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2024년 9월은 이 시대 7533년의 시작을 알렸다.

동로마 제국의 국교였던 정교회에서는 이 기년법이 제국의 멸망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일본 정교회는 기본적으로 서기를 사용하지만, 정교회의 몇몇 소수 교회에서는 현재도 이 기년법을 사용하고 있다. 년은 세계 창조 기원의 년부터 년에 해당한다.

7. 비판과 논쟁

비잔틴 기년법은 성경 연대기와 관련하여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다. 우선, 창조 시점에 대한 다양한 계산법이 존재한다. 파노도로스는 아담부터 서기 412년까지를 5904년으로 계산한 반면, 안니아노스는 새해를 3월 25일로 하는 수태고지 양식을 선호하여 파노도로스 기원을 약 6개월 정도 옮겼다.[21] 이러한 차이는 70인역마소라 본문 등 성경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45]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는 3월 25일을 창조 자체의 기념일이자, 중세 율리우스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날이며, 명목상의 춘분점으로 여겼다. 또한 그리스도가 그 날짜에 잉태되었다고 보아 3월 25일은 수태고지 축일이 되었고, 9개월 후 12월 25일에 그리스도의 탄생 축일인 크리스마스를 기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파스칼 연대기는 기원후 630년경 안티오키아 학문 전통의 한 대표자가 저술한 비잔틴 세계 연대기로, 아담의 창조부터 기원후 627년까지 이르는 연대기적 사건 목록을 기반으로 하며, 성경의 수치를 기반으로 기원전 5507년 3월 21일을 창조 시점으로 제시했다.[5]

이러한 다양한 계산법과 해석의 차이는 성경 연대기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으며,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날짜에 관한 사도 요한의 복음서 연대기와 모순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5]

7. 1. 젊은 지구 창조설과의 관계

일부 젊은 지구 창조설 지지자들은 비잔틴 기년법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하기도 한다.[31] 그러나 동방 정교회는 공식적으로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는다.[31]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세상의 창조는 교리우주론적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인간 중심 역사의 일부로서 의심할 여지없이 현실인 신성한 행위였다.[32]

세라핌 로즈 신부는 성 교부들이 구약성경의 연대기, 즉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확신했다고 지적했다. 가장 신비로운 교부들(성 이사악 시리아인, 성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등)조차도 아담이 문자 그대로 약 900년 동안 살았고, 창조와 그리스도의 탄생 사이에는 약 5,500년("대략")의 시간이 있었다는 것을 확신했다. 이들은 연대적 '정확성'에 대한 근본주의자의 과도한 관심을 갖지 않았다.[31]

교부들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구약성경 연대기 사이에 수백 년의 불일치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지만, 개의치 않았다.[45] 그들은 연도에 대해 트집을 잡거나 표준 달력이 "바로 그 해"까지 정확하다고 걱정하지 않았다. 관련된 것이 수천 년에 불과하고 특정 사람들의 생애와 관련되어 있으며, 수백만 년 또는 인류의 모든 시대와 종족으로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충분했다.[46]

7. 2. 진화론과의 관계

정교회는 진화론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세라핌 로즈 신부와 같은 일부는 성경창세기에 나오는 아담으로부터 시작되는 연대기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는다.[31] 성 이사악 시리아인과 같은 신비주의 교부들조차도 창조와 그리스도의 탄생 사이에 약 5,500년(대략)의 시간이 있었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31]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세상의 창조는 교리우주론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중심 역사의 일부로서 의심할 여지 없는 신성한 행위였다.[32]

아담과 이브의 창조 (러시아 성상, 18세기)

8. 한국의 관점

한국 정교회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하에 있으며, 공식적으로 서기를 사용한다.[2] 하지만, 한국 정교회는 비잔틴 기년법의 역사적, 신학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회력 등에서 여전히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역사학계 및 종교학계에서는 비잔틴 기년법을 동로마 제국과 정교회의 역사 및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한다.

참조

[1] 간행물 How Old is The World?: The Byzantine Era and its Rival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6
[2] 간행물 "Οικουμενικόν Πατριαρχείον" Μαρτίνος Αθ. 1966
[3] 서적 Medieval Chronolog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2
[4] 논문 Der Mönch und Presbyter Georgios, ein unbekannter Schriftsteller des 7. Jahrhunderts https://archive.org/[...] 1900
[5] 간행물 How old is the World? The Byzantine era κατα Ρωμαίους and its rivals http://www.wra1th.pl[...] 2006
[6]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7] 웹사이트 John Skylitzes, "Synopsis Historion": The Year 6508, in the 13th Indiction: the Byzantine dating system http://www.paulsteph[...] Translations from Byzantine Sources: The Imperial Centuries, c.700–1204 2006-11
[8] 논문 Chronology and History in Byzantium 2018
[9] 서적 Medieval Chronicles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2
[10] 서적 Roman Syria and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03
[11] 간행물 Observations sur la Forme Grecque des Indications Calendaires Romaines à Rome à l'Époque Impériale Maison de l'Orient Méditerranéen 2008
[12]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 I: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76
[13] 서적 1492: The Year Our World Bega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1
[14] 웹사이트 Russian Calendar (988–1917) http://www.litencyc.[...] University of Bristol 2008-09-25
[15] 서적 Theophilus of Antioch to Autolycus
[16] 서적 Extant Writings III. The Extant Fragments of the Five Books of the Chronography of Julius Africanus
[17] 서적 GENESIS, CREATION and EARLY MAN: The Orthodox Christian Vision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2000
[18] 논문 Biblical Chronology in the Hellenistic World Chronicles 1968-07
[19] 서적 Epoch: Era of Antioch and Era of Alexandra Blackie and Son 1841
[20] 서적 Chronology of the Ancient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21] 간행물 Era http://www.ccel.org/[...] 1908-14
[22] 서적 The Chronography of George Synkellos: a Byzantine Chronicle of Universal History from the Cre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3] 웹사이트 Chronicon Paschale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24] 문서 On the Cross and the Thief 1:2
[25] 문서 Homily 19
[26] 논문 Hippolytu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ristian Era 1962-03
[27] 논문 Hippolytu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ristian Era 1962-03
[28] 서적 The Rudder (Pedalion)
[29]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84
[30] 서적 Decline and Fall of Byzantium To The Ottoman Turk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75
[31] 서적 GENESIS, CREATION and EARLY MAN: The Orthodox Christian Vision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2000
[32] 논문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the birth of chronology 2017-09
[33]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34]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35] 웹사이트 Der rhythmische Organismus der Kirche http://www.prokopij.[...]
[36] 논문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Chrysanthine Theory and Performance Practice of Scale Tuning, Steps, and Prominence of the Octoechos in Byzantine Chant
[37] 서적 Orthodox Study Bible St. Athanasius Academy of Orthodox Theology
[38] 서적 The Orthodox Study Bible St. Athanasius Academy of Orthodox Theology
[39] 서적 The Orthodox Church: 455 Questions and Answers Light & Life Publishing, Minneapolis
[40] 논문 The Orthodox Doctrine of Creation in the Age of Science
[41] 논문 Fitting Evolution into Christian Belief: An Eastern Orthodox Approach
[42] 서적 An Ancient History: From the Creation to the Fall of the Western Empire in A.D. 476 https://books.google[...] Baltimore: Foley
[43] 서적 Chronology: Era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 & C. Black
[44]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5] 논문 Biblical Chronology in the Hellenistic World Chronicles 1968-07
[46] 서적 GENESIS, CREATION and EARLY MAN: The Orthodox Christian Vision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Platina, California
[47] 서적 A history of the councils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1894
[48] 웹사이트 Re: How long is a year..EXACTLY? East Carolina University Calendar discussion List CALNDR-L http://hermetic.ch/c[...] 1996-10-25
[49] 문서 29 in cycle 19
[50] 서적 二 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陥落」「第4章 近代的思考の誕生 岩波新書
[51] 문서 この算定に使用されたのは、ヘブライ語聖書ではなく、ギリシア語七十人訳聖書である。ヘブライ語本文に基づく算定と七十人訳に基づく算定では1000年以上の開きが生じる。
[52] 서적 How Old is The World? The Byzantine Era and its Rival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53] 문서 "Οικουμενικόν Πατριαρχείον" Μαρτίνος Αθ., Αθήνα
[54] 서적 Medieval Chronolog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