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낙엽 활엽수로, 학명은 *Wisteria floribunda*이다. 일본에서는 '후지'라고 불리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덩굴은 10미터 이상 뻗어 다른 물체를 감싸며, 봄에 청자색 나비꽃이 피고, 열매는 협과를 이룬다.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등나무 덩굴은 가구나 옷감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어린 순, 잎, 꽃, 열매 등을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덩굴식물 - 패션프루트
패션프루트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시계꽃과 덩굴성 식물의 열매로, '예수의 수난'을 의미하는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달콤새콤한 과육과 씨앗을 가지며, 다양한 가공식품이나 신선한 형태로 섭취된다. - 덩굴식물 - 머루
머루는 동아시아 북동부 자생의 낙엽성 덩굴식물로, 식용 열매와 와인 제조 활용, 공예품 제작, 한약재 사용, 관상 가치를 가지며, 최근 한국에서 와인 원료로 품종 개량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등 (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Wisteria floribunda |
속 | 후리지아속 |
종 | 등 |
명명자 | (Willd.) DC. |
이명 | Kraunhia floribunda (Willd.) Taub. Rehsonia floribunda (Willd.) Stritch |
영어 이름 | Japanese wisteria |
문화어 | 참등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급 없음) | 속씨식물 |
강 (계급 없음) | 진정쌍떡잎식물 |
아강 (계급 없음) | 핵심진정쌍떡잎식물 |
하강 (계급 없음) | 장미군 |
상목 (계급 없음) | 진정장미군I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콩아과 |
연 | 후리지아연 |
형태 및 크기 | |
길이 | 9m |
높이 | 2m |
꽃 길이 | 2–6cm |
꼬투리 길이 | 5–10cm |
덩굴 길이 | 30m |
잎 길이 | 10–30cm |
품종 | |
품종 | 시로바나후지 아케보노후지 |
기타 | |
관련 정보 | 籐 (등나무) 야마가타현쓰루오카시후지노하나 (일본 지명) |
참고 | 후지 (구축함) |
참고자료 | |
웹사이트 | 브리태니커 미국 산림청 국립공원관리청 일본지식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
2. 명칭
フジ|후지일본어는 일본어 이름이며, 그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바람이 불 때 꽃이 흩날리는 모습에서 '후키치루(吹き散る, 흩날리다)'를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2] 한자로는 '藤'이라고 쓰는데, 이는 원래 중국 원산의 중국등나무(シナフジ)를 중국에서 '자등(紫藤)'이라 표기한 것을 일본에서 줄여 쓴 것이다.[2] '藤'자 자체는 덩굴성 식물을 의미한다.
별명으로는 '''노다후지'''(野田藤)가 있는데, 이는 오사카시후쿠시마구 주변의 옛 지명인 노다촌에서 유래한다. 노다촌은 예로부터 등나무 명소로 유명했다.[2] 그 외에도 츠루후지, 후지즈루, 하나후지 등으로도 불린다.
야마후지(ヤマフジ)는 등나무와 혼동되기도 하는데, 야마후지는 등나무와 매우 유사한 별종의 표준 일본어 이름이다.
등나무는 고대부터 친숙한 식물로, 등나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다른 식물 이름에도 '등'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등대엉겅퀴나 등나무(フジイバラ)의 경우, '등'은 후지산을 의미하므로 등나무와는 관련이 없다. 등골고사리는 오와리후지를 가리킨다.
3. 생태
잎은 어긋나기를 하는 깃꼴겹잎이며, 4~6쌍의 작은 잎을 가진 덩굴성 갈잎나무이다. 덩굴은 10m 이상 길게 뻗어 오른쪽으로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작은 잎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며 짧은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봄에는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수십 센티미터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청자색 나비꽃이 달린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서 아래로 처지며, 보통 20cm~50cm, 길게는 100cm에 달하고, 100개가 넘는 꽃이 밑동에서 끝부분으로 며칠에 걸쳐 핀다. 꽃은 자주색, 연분홍색(등색), 흰색이다.
열매는 10~12월에 맺으며, 길이가 15cm 정도 되는 긴 협과가 아래로 늘어진다. 협과(꼬투리)는 길이 10cm~30cm, 너비 2cm~2.5cm의 좁고 긴 거꾸로 된 달걀 모양으로 편평하며, 벨벳 같은 짧은 털이 빽빽하게 덮여 있다. 두꺼운 과피는 성숙하면 목질화되어 단단해지고, 겨울철 공기가 건조해지면 좌우 두 갈래로 갈라져 터지면서 각각 비틀려 종자를 멀리 퍼뜨린다. 종자는 원형이고 편평하며 지름 11mm~12mm의 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3. 1. 분포 및 서식지
일본 고유종으로,[24] 혼슈, 시코쿠, 규슈의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저산지나 평지의 숲에 분포한다. 저산지나 평지의 숲 가장자리, 야산, 계곡의 낭떠러지, 숲 속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대개 발 디딜 곳이 좋지 않은 곳에 자생한다. 예부터 관상용으로 정원 등에 심어지기도 했다. 홋카이도 각지에도 도입되어 심어져 있다.[25] 한국에서는 특히 충청북도 속리산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3. 2. 형태
등일본어나무는 낙엽성 덩굴성 목본이다.[26] 줄기는 처음에는 초질(草質)이며 생장이 빠르고 길게 자라는데, 위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으로 감기는(S자형 회전) 특징이 있다.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가며,[26] 나중에는 목질화되어 굵어지고 지름 10cm에 달하기도 한다.[26]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피목이 많고, 굵은 것은 불규칙하게 융기한다.[26] 1년생 가지는 옅은 회갈색이며, 처음에는 갈색의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짧은 가지도 나온다.[26]겨울눈은 인편눈(鱗芽)이고 어긋나기하며, 장타원형으로 적갈색이고 2 - 3개의 눈비늘에 싸여 있다.[26] 겨울눈의 기부는 옆으로 부풀어 오르며,[26] 짧은 가지에는 많은 겨울눈이 붙는다.[26] 잎자국은 반원형이고, 관속흔은 3개이다.[26]

3. 3. 생태적 특징
등은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식물이다.[30] 다른 콩과 식물처럼 밤에는 잎을 오므린다. 칡은 나무를 감고 올라가 수관에 퍼지며, 교목의 잎을 햇빛으로부터 가리고 줄기를 조여 생장을 방해하며, 때로는 고사시키기도 한다.[26]종자는 꼬투리가 건조해지면 두 개로 갈라지면서 꼬이는 힘으로 멀리 퍼진다.[26] 이때 종자가 날아가는 힘은 매우 강하며, 실제로 사람이 맞아 다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30] 데라다 도라히코는 종자가 꼬투리에서 튀어나와 창호지에 맞는 것을 보고 실험을 통해 초속 10m로 날아간다는 것을 알아냈다.[30]
4. 품종
영국왕립원예협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의 정원공로상(Award of Garden Merit)을 수상한 품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예 품종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품종명 | 특징 |
---|---|
버포드(Burford) [7] | 연보라색, 자주색 용골 |
도미노(Domino) [8] | 연한 라일락색 |
Hon-beni|혼베니일본어 또는 로제아(Rosea) [9] | 끝이 자주색인 연한 장미색 꽃, 길이 약 45.72cm |
Issai|잇사이일본어 퍼펙트 | 연한 라벤더색 꽃 |
Ito Koku Riu|이토 코쿠류일본어 또는 로열 퍼플(Royal Purple) | 진한 파란색 또는 보라색 꽃, 은은한 향, 길고 빽빽한 꽃송이, 길이 30cm |
자코(Jako) 또는 아이보리 타워(Ivory Tower) | |
키모노(Kimono) [10] | |
Kokuryu|코쿠류일본어 [11] | 보라색, 향기가 남 |
Kuchibeni|쿠치베니일본어 또는 카르네아(Carnea) | 분홍색 꽃 |
로렌스(Lawrence) [12] | 연보라색 꽃, 더 진한 보라색 용골과 날개 |
'롱기시마 Kyushaku|규샤쿠일본어 | 최대 약 1.83m[13] 또는 2m[14] 길이의 총상꽃차례에 피는 연보라색 꽃. Kyushaku|규샤쿠일본어는 고대 일본 길이 단위인 9 shaku|샤쿠일본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 9 shaku|샤쿠일본어는 2.72m에 해당한다. 이 품종은 가스카베시 우시지마에 있는 1200년 된 등나무에서 유래했으며, 메이지 시대에 약 3m 길이의 총상꽃차례를 가지고 있었다. Murasaki naga fuji|무라사키 나가 후지일본어 또는 Noda naga fuji|노다 나가 후지일본어로도 알려져 있다.[15][16] |
마크로보트리스(Macrobotrys) 또는 롱기시마(Longissima) | 길이 1m 이상의 붉은 자주색 꽃송이 |
마크로보트리스 캐스케이드(Macrobotrys Cascade) | 흰색과 분홍빛 자주색 꽃, 왕성한 생장 |
나나 리친스 퍼플(Nana Richins Purple) | 보라색 꽃 |
Nishiki|니시키일본어 | 얼룩덜룩한 잎 |
플레나(Plena) 또는 비올라세아 플레나(Violaceae Plena) | 빽빽한 꽃송이에 겹꽃이 피는 파란색 꽃 |
프라에콕스(Praecox) 또는 도미노(Domino) | 보라색 꽃 |
푸르푸레아(Purpurea) | 알 수 없음; Wisteria sinensis Consequa일 수 있음, 때때로 푸르푸레아로 표기됨 |
루브라(Rubra) | 알 수 없음; 혼베니(Honbeni)일 수 있음 – 때때로 루브럼(Rubrum)으로 표기됨 – 진한 분홍색에서 빨간색 꽃 |
Shiro-noda|시로노다일본어 (W. floribunda falba'') [17] | 긴 흰색 꽃송이 |
텍사스 퍼플(Texas Purple) | 시넨시스 또는 교잡종일 수 있음, 짧은 총상꽃차례, 보라색 꽃, 어린 식물일 때도 꽃을 피움 |
비올라세아 플레나(Violacea Plena) | 겹보라색 꽃, 로제트 모양 |
화이트 위드 블루 아이(White with Blue Eye) – 세키네스 블루(Sekines Blue)로도 알려짐 | 매우 향기로움[18] |
Yae-kokuryu|야에코쿠류일본어 [19] |
5. 인간과의 관계
등은 일본인의 생활과 전통 문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어 왔으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개체도 있다. 튼튼한 덩굴은 가구나 민구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어 유독하지만 약으로 이용되기도 한다.[1]
5. 1. 이용
등나무 덩굴은 섬유가 튼튼하여 민구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32] 엮어서 의자나 바구니를 만들었고, 섬유를 채취하여 옷감이나 끈의 재료로도 사용되었다.남해안에서는 뗏목을 엮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큰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곧게 서서 나무에 감겨 있는 부분은 강도가 약하다고 여겨지며, 땅에 뻗어 있는 부분이 사용되었다.[33]
섬유로 옷감을 짜서 사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등나무 옷감은 주로 서민들이 사용하였고, 에도 시대까지는 작업복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헤이안 시대의 귀족들은 상복을 입을 때만 등나무 옷을 입었다고 한다. 등나무 짜기는 나라 시대의 『만엽집』에 "등나무 옷"이라는 이름으로 나올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에는 교토부 미야즈시 등 일부 지역에서 단고 등나무 짜기(丹後藤織り)가 전승되고 있을 뿐이다. 등나무의 나무껍질 속껍질 섬유로 만든 실은 튼튼하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며, 단고 지방에서는 등나무 짜기의 반물을 "노노"라고 부르며 친숙하게 여기며, 교토부 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5. 2. 관상
등나무는 강한 햇볕을 좋아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공원이나 정원 등 햇볕을 가리는 것이 없는 곳에 목재나 대나무, 철봉 등으로 '''등나무 덩굴'''이라고 불리는 퍼골라를 설치하여 그늘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천개에 등나무 덩굴을 뻗어 가지치기를 하고 개화 시에는 틈 사이로 꽃 이삭이 늘어지도록 피운다. 변이가 풍부하고 원예 품종이 많다. 일세등(いっさいふじ)으로 화분이나 분재용으로 유통되는 것은 수고 50cm 정도의 일세품 등나무이다. 분재에서는 등나무의 특징인 덩굴을 발육시키지 않고 가지치기하여 줄기만 남기고 여기에 꽃 이삭을 늘어뜨리는 것이다.일본에서 유명한 등나무 명소로는 가메이도덴진자의 등(도쿄도), 우시지마의 등나무(사이타마현, 국 지정 특별 천연기념물), 코쓰하타의 등나무(사이타마현 지정 천연기념물), 아시카가 플라워파크의 등(도치기현 지정 천연기념물), 쿠마노의 긴 등나무(시즈오카현, 국 지정 천연기념물), 쿠로키의 등나무(후쿠오카현, 국 지정 천연기념물), 카와치 후지엔(기타큐슈시) 등이 있다. 이 중 국제적으로 유명한 명소로는 아시카가 플라워파크와 카와치 후지엔이 있다. 아시카가 플라워파크의 큰 등나무는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영혼의 나무”와 비슷하다고 칭찬받아, 2014년 1월 CNN에 의해 “핀란드의 오로라”나 “마다가스카르의 바오밥의 길” 등과 함께 “2014년 세계의 꿈의 여행지 10곳”에 일본에서 유일하게 선정되었다.[34] 이것을 계기로 국제적인 등나무 명소로서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했다.[35] 또 카와치 후지엔은 등나무 터널의 모습이 웹상에서 확산됨으로써 외국인 인기가 높아져 2018년 시점에서 입장객의 절반 정도가 외국인 관광객이다.[36]
- ---
5. 3. 식용
어린 순과 부드러운 어린잎, 6부 정도 핀 꽃은 먹을 수 있다.[26] 따뜻한 지방에서는 3~5월, 추운 지방에서는 4~6월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26] 어린 순과 어린잎은 쓴맛이 약해서 날것으로 튀김을 하거나, 살짝 데쳐서 다져 무침, 나물, 볶음, 조림, 비빔밥, 국거리 등으로 활용한다.[26] 꽃봉오리와 꽃은 식용 꽃으로, 시럽 절임,[23] 튀김, 샐러드, 초절임, 한천 묵, 꽃술 등으로 만들 수 있다.[26]田中|다나카일본어 꽃을 밥에 넣어 지은 것은 등나무밥이라고 한다.[25] 7~9월경에 채취한 열매는 꼬투리에서 꺼내 볶은 콩으로 만들어 안주로 한다.[24]하지만 다른 콩과 식물과 마찬가지로 렉틴을 중심으로 한 배당체의 독성이 포함되어 있어 다량 섭취하면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설사, 위통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꽃은 먹을 수 있지만, 씨앗의 과육은 완하제로 작용한다고 한다.[25] 가열되지 않은 씨앗은 식중독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그 외에, 나무껍질과 꼬투리에는 위스타린, 씨앗에는 유독성 알칼로이드의 일종인 시티신이 존재한다는 보고도 있다.
5. 4. 약용
등나무류 식물에는 배당체인 위스타린(wistarin)이 함유되어 있어 유독하지만, 소량을 복통 등의 약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1] 등나무혹(藤瘤)은 등나무 줄기에 생기는 혹과 같은 것으로, 민간에서 암 치료제로 여겨진다.[1]6. 문화
신라 시대 두 처녀가 사랑하는 남자가 죽자 연못에 빠져 죽었는데, 그 자리에서 등나무가 자랐다고 한다. 등나무의 꽃말인 "사랑에 취하다"는 여기서 유래했다.
일본에서 등나무를 뜻하는 와메이(일본어 이름) '''후지'''(フジ)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바람이 불 때마다 꽃이 흩날리는 모습에서 「吹き散る」(후키치루, 흩날리다)를 의미한다는 주장이 있다. 별명으로는 '''노다후지'''(野田藤)가 있는데, 이는 셋쓰국노다촌(현재 오사카시후쿠시마구 주변)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등나무의 꽃말은 "최고의 순간", "사랑에 취하다"이다. 꽃은 보통 연한 보라색이며, 등색이라는 색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고사기』나 나라 시대의 지리서인 『풍토기』에는 등나무가 섬유 식물로만 기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와카집인 『만엽집』에도 섬유 식물로서 등나무를 노래한 시 한 수가 있다. 배원익헌이 편찬한 『대화본초』(1708년경)에는 등나무 이용법에 대한 기록이 있다.
"등나무 물결"은 등나무 꽃이 물결치는 모습을 가리키는 말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만엽집』에는 등나무를 노래한 시가 27수 있는데, 그중 18수가 이것을 언급하고 있다.
후지와라 성은 나카토미노 가마타리가 덴지 천황에게서 669년에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카스가야마의 등나무는 카스가 신사가 이 일족의 수호신이었기 때문에 두터운 보호를 받았다고도 한다.
등나무 꽃이나 잎을 도안화한 문장 "등문"이 있으며, 십대가문에 꼽힐 정도로 많은 집안에서 사용되고 있다.
야마가타현쓰루오카시(구 후지시마정)에 등나무 꽃 지역이 지명으로 존재한다.
7. 근연종
등나무속(Wisteriala)에는 일본, 중국, 북미에 6종이 알려져 있으며[31], 한국에는 등나무와 좀등나무가 자생한다. 좀등나무는 등나무와 덩굴을 감는 방향, 잎의 수, 꽃차례의 길이 등에서 차이가 있다. 중국 원산의 중국등나무(W. sinensisla)도 재배되는 경우가 있다.
등나무와 좀등나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특징 | 등나무 | 좀등나무 |
---|---|---|
덩굴 감는 방향 | 오른쪽 (S형) | 왼쪽 (Z형) |
작은 잎의 수 | 5~9쌍 | 4~6쌍 |
잎 뒷면 털 | 성숙하면 없어짐 | 있음 |
꽃차례 길이 | 20~90cm | 10~20cm |
포의 모양 | 좁은 난형 | 난형 |
종자 색깔 | 갈색 | 흑갈색 |
나래등(Millettia japonicala)은 등나무속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등나무와 비슷한 식물이며 7~8월에 황백색 꽃을 피운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ese wisteri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1-04-25
[2]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W. sinensis
http://www.fs.fed.us[...]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2014-12-12
[3]
웹사이트
Japanese Wisteria
http://www.nps.gov/p[...]
National Park Service
2014-12-12
[4]
웹사이트
Japanese wistaria,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https://japanknowled[...]
Japan knowledge.com
2021-05-15
[5]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https://plants.ces.n[...]
NC State University and N.C. A&T State University
2023-05-19
[6]
웹사이트
Purple Patches Japanese Wisteria (includes some growth conditions and US region map)
https://www.monrovia[...]
2020-05-13
[7]
웹사이트
Wisteria × valderi 'Burford'
https://www.rhs.org.[...]
RHS
2021-03-05
[8]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Domino'
https://www.rhs.org.[...]
RHS
2019-02-18
[9]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Wisteria floribunda 'Hon-beni'
https://www.rhs.org.[...]
2021-03-17
[10]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Kimono'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1]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Kokuryu'
https://www.rhs.org.[...]
RHS
2019-02-18
[12]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Lawrence'
https://www.rhs.org.[...]
RHS
2019-02-18
[13]
웹사이트
Creator's Palette- pictures of Wisteria floribunda Longissima
http://www.creatorsp[...]
2017-01-10
[14]
논문
1929-12-07
[15]
웹사이트
牛島のフジ
https://www.jataff.o[...]
Japan Association for Techno-innovation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22-04-25
[16]
웹사이트
牛島のフジ(藤花園)
https://tabi-mag.jp/[...]
General Incorporated Association Pressmen's Union
2022-03-05
[17]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f. alba 'Shiro-noda'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8]
서적
Wisterias: a comprehensive guide
Timber Press
1995
[19]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Yae-kokuryu'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0]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フジ(標準)
(YList ID: 5560)
2023-03-24
[21]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f. alba (Carrière) Rehder et E.H.Wilson
(YList ID: 35179)
2022-02-06
[22]
웹사이트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f. alborosea (Makino) Okuyama
(YList ID: 22012)
2022-02-06
[23]
뉴스
刈られた「黒木大藤」の花 シロップ漬けで復活 福岡県八女市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0-06-02
[24]
서적
2000
[25]
웹사이트
フジ(藤) - 建設部まちづくり局都市環境課
https://www.pref.hok[...]
2024-12-06
[26]
서적
2014
[27]
웹사이트
牛島のフジ
https://www.jataff.o[...]
公益社団法人農林水産・食品産業技術振興協会
2022-04-25
[28]
웹사이트
牛島のフジ(藤花園)
https://tabi-mag.jp/[...]
一般財団法人プレスマンユニオン
2022-04-25
[29]
웹사이트
九尺藤(キュウシャクフジ)
https://web.archive.[...]
千種園芸
[30]
서적
1948
[31]
서적
(Title not specified)
大橋他編
2016
[32]
간행물
豊田市郷土資料館だより 第99号
http://www.toyota-re[...]
2020-01-09
[33]
서적
流筏林業盛衰史 : 吉野北山林業の技術と経済
林業経済研究所
1974-10-15
[34]
뉴스
Dream destinations for 2014(英語)
http://edition.cnn.c[...]
[35]
뉴스
大藤、外国人観光客に人気 栃木・足利のフラワーパーク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7-05-14
[36]
뉴스
外国人人気の河内藤園、学生が観光案内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8-04-29
[37]
문서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