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가 결합된 존재로, 헬레니즘 시대에 두 신이 동일시되어 숭배되었다. 그는 지혜, 과학, 의학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헬레니즘 시대의 연금술, 점성술, 헤르메스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세 번 위대한"이라는 칭호는 이집트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기독교인들은 그를 이교도 현자이자 기독교의 도래를 예견한 인물로 보았다. 이슬람 전통에서는 이드리스와 동일시되었으며, 바하이 신앙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메스 - 메르쿠리우스
메르쿠리우스는 로마 신화에서 상업, 웅변, 메시지, 여행, 도둑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와 동일시되며 날개 달린 신발과 모자, 카두케우스를 들고 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로마 문화에서 상업과 관련된 숭배가 활발했던 중요한 신이다. - 헤르메스 - 페타소스
페타소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넓은 챙이 있는 모자이며, 고대 그리스 및 로마 미술에서 헤르메스 등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고대의 점성술사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고대의 점성술사 - 감덕
감덕은 중국 전국 시대의 천문학자로, 석신과 함께 행성을 관측하고 기록하여 고대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목성 위성 최초 발견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논쟁적인 인물이다. - 연금술사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칠레 출신의 예술가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는 영화감독, 작가, 심리 치료사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초현실주의적 영화와 사이코매직으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 연금술사 - 가짜 게버
가짜 게버 저작집은 16세기에 편집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유통된 연금술 관련 저작 모음집으로, 당시 연금술 이론과 실험 지침을 명확히 제시하여 유럽 연금술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와 이슬람 자료 의존도에 대한 논쟁이 있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헤르메스 삼배대왕 (Ἑρμῆς ὁ Τρισμέγιστος) 메르쿠리우스 테르 막시무스 (Mercurius ter Maximus)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 (Hermes Trismegistus) |
분야 | 헤르메스주의 |
위치 | 헬리오폴리스와 헤르모폴리스 |
인물 | |
관련 인물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2. 기원과 정체성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가 결합된 존재이다.[1][3] 헤르메스와 토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그리스인들에 의해 해석적 동일시la를 통해 동등하게 인식되었다.[4] 그 결과, 두 신은 헬레니즘 시대에 헤르모폴리스로 알려진 케메누의 토트 신전에서 하나로 숭배되었다.[5]
이집트의 헤르메스 문헌은 영혼을 불러내고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과 관련이 있었으며, 그리스-바빌론 점성술과 새로 개발된 연금술의 실천에 대한 가장 오래된 헬레니즘 시대의 글에 영향을 미쳤다.[10] 이와 병행하여, 헤르메스 철학은 종교적 숭배 관행을 합리화하고 체계화했으며, 숙련된 사람에게 육체적 존재의 제약으로부터 개인적 승천을 위한 수단을 제공했다. 이 후자의 전통은 헤르메스주의를 당시 동시대적으로 발전하고 있던 영지주의와 혼동하게 만들었다.[11]
'트리스메기스투스'(3배 위대한)라는 칭호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브라이언 P. 코펜헤이버에 따르면, 이 이름이 처음 나타나는 것은 기원전 172년 이집트 멤피스 근처에서 열린 따오기 숭배 모임이라고 한다.[34] 그러나 가스 파우덴은 이 이름의 기원이 아테나고라스(기독교 변증가)와 비블로스의 필론이라고 말한다.[35] 다른 해석으로는, 에스나 신전에 있는 토트의 칭호 "위대한, 위대한, 위대한 토트"가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36]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이집트에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시기는 모세 시대보다 훨씬 전, 이집트 왕조의 초기였다고 한다. 권력자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아브라함과 동시대 인물로 생각했다. 또한 유대교 전승 중에는 아브라함이 그 신비로운 지식의 일부를 헤르메스에게서 얻었다고 하는 것도 있다.
락탄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조르다노 브루노, 마르실리오 피치노, 캄파넬라, 피코 델라 미란돌라 등 많은 기독교 저술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기독교의 출현을 예견한 현명한 이교도 예언자로 생각했다.[37] 이들은 "고대 신학", 즉 고대에 신으로부터 사람에게 주어진 모든 종교에 통하는 유일하고 진실한 신학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믿었으며[38][39], 자라투스트라나 플라톤 등 많은 예언자에게 이 생각을 적용했다.
고대 신학의 정당성을 보여주기 위해, 이러한 기독교도들은 헤르메스의 가르침을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사용했다. 이 때문에, 기독교 교부에게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의 동시대인[40]으로 생각되거나, 헤르메스의 이름으로 불리는 3명의 인간으로 생각되거나[41], 위대한 성직자·철학자·왕을 겸하고 있었다는 의미에서 "3배 위대"라고 생각되었다.[41][42]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는, 에메랄드 타블렛의 "전 세계 지혜의 세 부분을 안다"라는 구절을 근거로 하는 것이 있다. 이 3가지 분야의 지식이란, 즉 연금술, 점성술, 테우르기아이다.[43]
2. 1. 헤르메스와 토트의 결합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그리스인들은 해석적 동일시la를 통해 헤르메스와 토트가 동등하다고 인식했다.[4] 그 결과, 두 신은 헬레니즘 시대에 헤르모폴리스로 알려진 케메누의 토트 신전에서 하나로 숭배되었다.[5]해석적 의사소통의 그리스 신 헤르메스는 지혜의 이집트 신 토트와 결합되었다. 이집트의 사제이자 박식가였던 임호테프는 죽은 지 오랜 후에 신격화되었고, 고전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에 토트와 동화되었다.[6] 아멘호테프와 테오스라는 현자는 지혜, 과학, 의학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에 토트-헤르메스에게 헌정된 신전에 임호테프와 함께 모셔졌다.[7]
키케로는 "헤르메스"로 언급된 여러 신들을 열거했다. "네 번째 수성(헤르메스)은 나일 강의 아들로, 이집트인들은 그의 이름을 말할 수 없다", "다섯 번째는 아르카디아의 페네우스 사람들이 숭배하는 자로, 아르고스 파놉테스를 죽이고 이집트로 도망쳐 이집트인들에게 법과 알파벳을 주었다고 한다. 그가 바로 이집트인들이 테이트라고 부르는 자이다."[8] 이 구절은 그리스 헤르메스와 이집트 토트(또는 다른 신들)의 혼합주의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보여준다. 네 번째(헤르메스가 "나일 강의 아들", 즉 토착 신)는 이집트 관점, 다섯 번째(그리스에서 이집트로 간 자)는 그리스-아르카디아 관점이다. 키케로의 언급(가장 오래된 트리스메기스투스 자료는 서기 초)은 삼중대 헤르메스가 헬레니즘 이집트에서 그리스 신과 이집트 신의 혼합주의를 통해 유래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헤르메스 문헌''은 토트와 아문에게 가장 자주 언급한다).[9]

2. 2. 초기 문헌 기록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이집트 신 토트와 연관될 수 있다.[1][3]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그리스인들은 해석적 동일시la를 통해 헤르메스와 토트의 동등성을 인식했다.[4] 그 결과 두 신은 헬레니즘 시대에 헤르모폴리스로 알려진 케메누에 있던 토트 신전에서 하나로 숭배되었다.[5]
해석적 의사소통의 그리스 신 헤르메스는 지혜의 이집트 신 토트와 결합되었다. 이집트의 사제이자 박식가인 임호테프는 죽은 지 오래 후에 신격화되었고, 고전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에 토트와 동화되었다.[6] 유명한 서기 아멘호테프와 테오스라는 현자는 지혜, 과학, 의학의 동등한 신이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에 토트-헤르메스에게 헌정된 신전에 임호테프와 함께 놓였다.[7]
키케로는 "헤르메스"로 언급된 몇몇 신들을 열거했다. "네 번째 수성(헤르메스)은 나일 강의 아들로, 그의 이름은 이집트인들이 말할 수 없다." 그리고 "다섯 번째는 아르카디아의 페네우스 사람들이 숭배하는 자로, 아르고스 파놉테스를 죽이고 그 때문에 이집트로 도망쳐 이집트인들에게 그들의 법과 알파벳을 주었다고 한다. 그가 바로 이집트인들이 테이트라고 부르는 자이다."[8] 이 구절의 가장 그럴듯한 해석은 그리스 헤르메스와 이집트 토트(또는 때로는 다른 신들)의 동일한 혼합주의에 대한 두 가지 변형이다. 네 번째(헤르메스가 "실제로" "나일 강의 아들", 즉 토착 신으로 밝혀짐)는 이집트 관점에서, 다섯 번째(그리스에서 이집트로 간 자)는 그리스-아르카디아 관점에서 보았다. 키케로에 나오는 이 두 가지 초기 언급(가장 오래된 트리스메기스투스 자료는 서기 초기에 해당)은 삼중대 헤르메스가 헬레니즘 이집트에서 그리스 신과 이집트 신 사이의 혼합주의를 통해 유래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헤르메스 문헌''은 토트와 아문에게 가장 자주 언급한다).[9]
3. "세 번 위대한" 칭호
"트리스메기스투스"는 "세 번 위대한 자"라는 뜻으로, 에메랄드 타블렛에 나오는 "전 세계 지혜의 세 부분을 안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는 설명이 있다. 여기서 세 가지 지혜는 연금술, 점성술, 테우르기아를 의미한다.[43]
3. 1. 다양한 해석
"세 번 위대한"이라는 칭호가 처음 나타난 것은 아테나고라스의 《사절(Legatio)》과 비블로스의 필로의 단편(서기 64년~141년경)이라고 포든(Fowden)은 주장한다.[12] 그러나 코펜하버(Copenhaver)는 후속 저서에서 이 칭호가 기원전 172년 이집트 멤피스 근처에서 열린 이비스 신앙 회의록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보고한다.[13] 하트(Hart)는 이 칭호가 에스나 신전에서 발견된 토트의 칭호인 "위대한 토트, 위대한, 위대한"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4]락탄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마르실리오 피치노, 톰마소 캄파넬라,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를 비롯한 많은 기독교 작가들과 조르다노 브루노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이교도 현자이자 기독교의 도래를 예견한 인물로 여겼다.[14][15] 그들은 모든 종교를 관통하는 단일하고 참된 신학인 ''원초 신학''(prisca theologia)의 존재를 믿었다. 이 신학은 고대 시대에 신이 인간에게 부여했으며,[16][17] 조로아스터와 플라톤을 포함한 일련의 예언자들을 거쳐 전해졌다. 기독교인들은 ''원초 신학''의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해 헤르메스 문헌을 자신들의 목적으로 전용했다. 이러한 설명에 따르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의 동시대인이거나,[18] 헤르메스라는 이름을 가진 세 명의 사람들, 즉 에녹, 노아, 그리고 가장 위대한 사제이자 철학자이자 왕이었기 때문에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알려진 이집트의 사제 왕 중 세 번째였다.[19][20]
《수다》(10세기)에는 "그는 삼위일체를 칭송하며 삼위일체 안에 하나의 신적 본성이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트리스메기스투스라고 불렸다."라는 또 다른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21]
트리스메기스투스(3배 위대한)라는 칭호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브라이언 P. 코펜헤이버에 따르면, 이 이름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것은 기원전 172년, 이집트 멤피스 근처에서 열린 따오기 숭배 모임이라고 한다.[34] 그러나 가스 파우덴은 이 이름의 기원이 아테나고라스(기독교 변증가)와 비블로스의 필론이라고 말한다.[35] 에스나 신전에 있는 토트의 칭호 "위대한, 위대한, 위대한 토트"가 기원이라는 설도 있다.[36]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이집트에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시기는 모세 시대보다 훨씬 전, 이집트 왕조의 초기였다고 한다. 권력자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아브라함과 동시대 인물로 생각했다. 또한 유대교 전승 중에는 아브라함이 그 신비로운 지식의 일부를 헤르메스에게서 얻었다고 하는 것도 있다(:en:Kybalion).
락탄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조르다노 브루노, 마르실리오 피치노, 토마소 캄파넬라, 피코 델라 미란돌라 등 많은 기독교 저술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기독교의 출현을 예견한 현명한 이교도 예언자로 생각했다.[37] 이들 저술가들은 "고대 신학", 즉 고대에 신으로부터 사람에게 주어진 모든 종교에 통하는 유일·진실한 신학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믿고 있었으며,[38][39] 자라투슈트라나 플라톤 등 많은 예언자에게 이 생각을 적용했다.
고대 신학의 정당성을 보여주기 위해, 이러한 기독교도들은 헤르메스의 가르침을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사용했다. 이 때문에, 기독교 교부에게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의 동시대인[40]으로 생각되거나, 헤르메스의 이름으로 불리는 3명의 인간[41], 혹은 위대한 성직자·철학자·왕을 겸하고 있었다는 의미에서 "3배 위대"라고 생각되었다.[42]
에메랄드 타블렛의 "전 세계 지혜의 세 부분을 안다"라는 구절을 근거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트리스메기스투스"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유를 연금술, 점성술, 테우르기아의 세 가지 지식 분야를 모두 안다는 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43]
4. 헤르메스 저작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헤르메티카''는 큰 명성을 얻었고 연금술사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헤르메스는 점성술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었는데, 아부 마샤르 알 발키 (787–886)가 그 예이다.[22] "헤르메스 전통"은 연금술, 마법, 점성술 및 관련 주제를 포함한다. 헤르메스 저작은 철학적 헤르메티카와 기술적 헤르메티카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전자는 주로 철학을 다루고, 후자는 실용 마법, 물약, 연금술을 다룬다. "밀봉된"이라는 표현은 현자의 돌을 만드는 연금술 과정에서 재료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넣고 밀봉하는 헤르메스 봉인 절차에서 유래했으며, 이 용기는 30~40일 동안 가열되었다.[23]
르네상스 시대에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모세와 동시대 인물로 여겨졌으나, 1614년 아이작 카소본이 헤르메스 저작이 기독교 출현 이후에 작성되었음을 증명하면서 르네상스 헤르메스주의는 붕괴되었다.[24] 실제 저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프랑스 도상주의자이자 중국 선교를 위한 예수회의 중국 선교사였던 조아킴 부베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조로아스터, 중국 문화 영웅 복희가 실제로는 성경의 족장 에녹이라고 생각했다.[26]
''헤르메티카''의 다양한 비평 판본이 브라이언 코펜하버의 ''헤르메티카''처럼 현대 학계에서 출판되었다.
4. 1. 철학적 헤르메티카와 기술적 헤르메티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동안, ''헤르메티카''는 큰 명성을 누렸고 연금술사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헤르메스는 점성술과도 강력하게 연관되었는데, 예를 들어 영향력 있는 이슬람 점성가 아부 마샤르 알 발키(787–886)가 그러했다.[22] 따라서 "헤르메스 전통"은 연금술, 마법, 점성술 및 관련 주제를 지칭한다.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철학적 헤르메티카와 기술적 헤르메티카,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전자는 주로 철학을 다루고, 후자는 실용 마법, 물약, 그리고 연금술을 다룬다. "밀봉된"이라는 표현은 현자의 돌을 만드는 연금술적 절차에서 유래했다. 이는 재료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넣고 목을 녹여 밀봉하는 헤르메스 봉인으로 알려진 절차를 필요로 했다. 그 후 용기를 30~40일 동안 가열했다.[23]르네상스 시대에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와 동시대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아이작 카소본이 1614년에 헤르메스 저작이 기독교 출현 이후에 작성되었음을 증명한 후, 르네상스 헤르메스주의 전체가 붕괴되었다.[24]
프랑스 도상주의자이자 중국 선교를 위한 예수회의 중국 선교사였던 조아킴 부베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조로아스터, 중국 문화 영웅 복희가 실제로 성경의 족장 에녹이라고 생각했다.[26]
''헤르메티카''의 다양한 비평 판본이 브라이언 코펜하버의 ''헤르메티카''와 같이 현대 학계에서 출판되었다.
4. 2. 르네상스 시대의 인식과 몰락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동안, ''헤르메티카''는 큰 명성을 누렸고 연금술사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헤르메스는 점성술과도 연관되었는데, 일례로 이슬람 점성가 아부 마샤르 알 발키 (787–886)가 그러했다.[22] "헤르메스 전통"은 연금술, 마법, 점성술 및 관련 주제를 지칭한다. 텍스트는 철학적 헤르메티카와 기술적 헤르메티카,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전자는 주로 철학을 다루고, 후자는 실용 마법, 물약, 그리고 연금술을 다룬다. "밀봉된"이라는 표현은 현자의 돌을 만드는 연금술 절차에서 유래했다. 이는 재료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넣고 목을 녹여 밀봉하는 헤르메스 봉인 절차를 필요로 했다. 그 후 용기를 30~40일 동안 가열했다.[23]르네상스 시대에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모세와 동시대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1614년 아이작 카소본이 헤르메스 저작이 기독교 출현 이후에 작성되었음을 증명한 후, 르네상스 헤르메스주의 전체가 붕괴되었다.[24]
프랑스 도상주의자이자 중국 선교를 위한 예수회의 중국 선교사였던 조아킴 부베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조로아스터, 중국 문화 영웅 복희가 실제로 성경의 족장 에녹이라고 생각했다.[26]
5. 이슬람 전통
이슬람 전통에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앙투안 파브르는 자신의 저서 《영원한 헤르메스》에서 이를 지적했다. 그러나 헤르메스라는 이름은 코란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슬람의 헤지라 첫 세기의 성인전 작가들과 연대기 작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이슬람 예언자인 이드리스와 동일시했다.
5. 1. 이드리스와의 동일시
앙투안 파브르는 1995년에 출판된 저서 《영원한 헤르메스》에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이슬람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지적했지만, 헤르메스라는 이름은 코란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슬람의 헤지라 첫 세기의 성인전 작가들과 연대기 작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이슬람 예언자인 이드리스[27]와 빠르게 동일시했으며, 무슬림들은 이드리스를 에녹(창세기 5:18-24 참조)과 동일시했다. 페르시아 천문학자 아부 마샤르 알발키(787–886)의 기록에 따르면, 이드리스/헤르메스는 세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 번 현명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불렸다. 첫 번째 헤르메스는 토트와 유사하며, 세상을 움직이는 신성한 과학과 지혜의 신비를 최초로 접하게 해주는 "문명 영웅"이었다. 그는 이 신성한 과학의 원리를 이집트 상형 문자로 새겼다. 두 번째 헤르메스는 바빌론에서 피타고라스의 제자였다. 세 번째 헤르메스는 연금술의 첫 번째 스승이었다. 이슬람 학자 피에르 로리는 "얼굴 없는 예언자" 헤르메스는 "구체적이거나 두드러진 특징이 없으며, 이 점에서 성경과 코란의 주요 인물들과 다르다"라고 썼다.[28]별 숭배 종파인 하란의 사비안도 자신들의 교리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서 유래되었다고 믿었다.[29]
최소한 20개 이상의 아랍어 ''헤르메티카''가 현존한다. 이러한 아랍어 헤르메스 저술 중 일부는 고대 그리스어 또는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번역되었지만, 일부는 원래 아랍어로 쓰여졌다.[30] 헤르메스 단편들은 또한 자비르 이븐 하얀(–816 사망)의 저서 ''에메랄드 태블릿''의 초기 버전을 인용[31]) 및 이븐 우마일(900-960)의 저술 전반에 걸쳐 헤르메스 격언을 인용하고 해설했으며, 그중에는 ''에메랄드 태블릿''에 대한 해설도 포함)과 같은 중세 이슬람 세계의 연금술과 화학의 무슬림 연금술사의 저작에서도 발견된다.[32]
5. 2. 사비안과의 연관성
앙투안 파브르는 1995년에 출판된 저서 《영원한 헤르메스》에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이슬람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지적했지만, 헤르메스라는 이름은 코란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슬람의 헤지라 첫 세기의 성인전 작가들과 연대기 작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이슬람 예언자인 이드리스[27]와 빠르게 동일시했으며, 무슬림들은 이드리스를 에녹과 동일시했다. 페르시아 천문학자 아부 마샤르 알발키의 기록에 따르면, 이드리스/헤르메스는 세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 번 현명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불렸다. 별 숭배 종파인 하란의 사비안도 자신들의 교리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서 유래되었다고 믿었다.[29]5. 3. 아랍어 헤르메티카
앙투안 파브르는 1995년에 출판된 저서 《영원한 헤르메스》에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이슬람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지적했지만, 헤르메스라는 이름은 코란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슬람의 헤지라 첫 세기의 성인전 작가들과 연대기 작가들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를 19.57, 21.85절의 이슬람 예언자인 이드리스[27]와 빠르게 동일시했으며, 무슬림들은 이드리스를 에녹(창세기 5.18–24 참조)과 동일시했다. 페르시아 천문학자 아부 마샤르 알발키(787–886)의 기록에 따르면, 이드리스/헤르메스는 세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 번 현명한"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로 불렸다. 첫 번째 헤르메스는 토트와 유사하며, 세상을 움직이는 신성한 과학과 지혜의 신비를 최초로 접하게 해주는 "문명 영웅"이었다. 그는 이 신성한 과학의 원리를 이집트 상형 문자로 새겼다. 두 번째 헤르메스는 바빌론에서 피타고라스의 제자였다. 세 번째 헤르메스는 연금술의 첫 번째 스승이었다. 이슬람 학자 피에르 로리는 "얼굴 없는 예언자" 헤르메스는 "구체적이거나 두드러진 특징이 없으며, 이 점에서 성경과 코란의 주요 인물들과 다르다"라고 썼다.[28]별 숭배 종파인 하란의 사비안도 자신들의 교리가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서 유래되었다고 믿었다.[29]
최소한 20개 이상의 아랍어 ''헤르메티카''가 현존한다. 이러한 아랍어 헤르메스 저술 중 일부는 고대 그리스어 또는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번역되었지만, 일부는 원래 아랍어로 쓰여졌다.[30] 헤르메스 단편들은 또한 자비르 이븐 하얀(–816 사망, 그의 저서에서 ''에메랄드 태블릿''의 초기 버전을 인용)[31] 및 이븐 우마일(, 그의 저술 전반에 걸쳐 헤르메스 격언을 인용하고 해설했으며, 그중에는 ''에메랄드 태블릿''에 대한 해설도 포함)과 같은 중세 이슬람 세계의 연금술과 화학의 무슬림 연금술사의 저작에서도 발견된다.[32]
6. 바하이 신앙
바하올라는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로, 자신의 저서 불가분 실재에 관한 서판에서 이드리스를 헤르메스와 동일 인물로 묘사한다.[33]
참조
[1]
서적
The Tradition of Hermes Trismegistus: The Egyptian Priestly Figure as a Teacher of Hellenized Wisdom
Brill Publishers
[2]
서적
Dictionary of Gnosis and Western Esotericism
Brill
[3]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Vol. 1
https://archive.org/[...]
[4]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oman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About the Cover: The Mathematical Conquest of the Third Dimension
https://www.ams.org/[...]
2016-08-07
[7]
서적
Thoth or the Hermes of Egypt: A Study of Some Aspects of Theological Thought in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De natura deorum
[9]
웹사이트
Cicero: De Natura Deorum III
http://www.thelatinl[...]
Thelatinlibrary.com
2015-06-25
[10]
문서
[11]
웹사이트
Stages of Ascension in Hermetic Rebirth
http://www.esoteric.[...]
Esoteric.msu.edu
2015-06-25
[12]
서적
The Egyptian Her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Prisci Theologi and the Hermetic Reformation in the Fifteenth Century
Repristination Press
[15]
학술지
Enoch in the Islamic Tradition
[16]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17]
서적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SUNY
[18]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19]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20]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Hermetica
[22]
서적
[23]
서적
The Secrets of Alchem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서적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Brill
[25]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학술지
Chemistry in Iraq and Persia in the Tenth Century A.D.
http://www.southasia[...]
[30]
서적
[31]
Unpublished PhD diss.
Das "Buch über das Geheimnis der Schöpfung" von Pseudo-Apollonios von Tyana
https://books.google[...]
De Gruyter
[32]
학술지
The sayings of Hermes quoted in the Māʾ al-waraqī of Ibn Umail
[33]
웹사이트
Hermes Trismegistus and Apollonius of Tyana in the Writings of Bahá'u'lláh
http://bahai-library[...]
Bahai-library.com
2015-06-25
[34]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Egyptian Her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37]
서적
Giordi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38]
서적
Giordi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39]
서적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SUNY
[40]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41]
서적
Giordano Bruno and the Hermetic Tradition
Routledge
[42]
서적
Herme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44]
서적
The Gods of the Egyptians
[45]
서적
[46]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