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빌론의 대탕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빌론의 대탕녀는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리스도의 적과 묵시록의 짐승과 연관되어 묘사된다. 그녀는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짐승 위에 앉아 화려한 옷과 장신구를 하고, 손에는 불륜의 더러움이 담긴 금잔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묵시록에서는 그녀가 "악마가 사는 곳"이자 "더러운 영의 소굴"로 묘사되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로 해석된다. 중세 시대에는 로마를, 종교 개혁 시기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를, 현대에는 거짓 종교의 세계 제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빌론의 대탕녀 - 이세벨
    이세벨은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성경에 등장하는 페니키아 공주이자 이스라엘 왕 아합의 왕비이며, 바알 숭배를 이스라엘에 도입하고 야훼 신앙의 예언자들을 박해하여 사악한 여성의 전형으로 묘사된다.
  • 바빌론의 대탕녀 - 로마 (신화)
    로마는 로마 신화에서 로마를 의인화한 여신으로, 로마의 건국과 번영을 상징하며, 헬멧을 쓴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그리스의 아테나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 신화의 여왕 - 구드룬
    구드룬은 게르만 신화와 영웅 전설에 등장하는 비극적인 여주인공으로, 남편 시구르드의 죽음 이후 복수를 감행하는 인물이며, 스칸디나비아 문헌과 대륙 게르만족의 기록에 등장하고, 문헌에 따라 기원, 복수 동기, 결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신화의 여왕 - 아슬라우그
    아슬라우그는 사가에 등장하는 시구르드와 브륀힐드의 딸로, 뛰어난 지혜와 예지력을 지녔으며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결혼하여 여러 아들을 낳고 그의 복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로, 현대 작품에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는 1906년 의명학교로 시작하여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단에서 운영하는 서울 노원구 소재 사립 종합대학교로, 신사참배 강요로 폐교 후 재건되었으며 삼육신학원과 삼육대학을 거쳐 199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 교육 및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삼육식품
    삼육식품은 1978년경 설립된 대한민국의 식품 제조 기업으로, 두유, 육류 대체 식품, 라면, 김 등을 생산하며, 특히 삼육두유 제품으로 유명하고, 유기농 친환경대상, e-Biz 브랜드 혁신대상 등을 수상하고 FSSC 22000, ISO 14001, ISO 45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품질과 안전, 환경 경영을 강화해왔다.
바빌론의 대탕녀
일반 정보
요한계시록 17장의 삽화
요한계시록 17장의 삽화 (1493년 뉘른베르크 연대기)
다른 이름큰 바빌론
음녀 바빌론
관련 장소바빌론
관련 인물짐승
등장 문헌요한계시록
상징
상징
사치
타락
종교적 의미
기독교로마 가톨릭교회 (일부 해석)
세속 권력
배교
기타
관련 개념적그리스도
바빌론 (요한계시록)

2. 요한 묵시록의 묘사

한스 부르크마이어가 그린 대탕녀 바빌론


요한 묵시록 17장에는 대탕녀 바빌론의 모습이 다음과 같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구절내용
17,4그 여자는 자주색과 진홍색 옷을 입고 금과 보석과 진주로 치장하였습니다. 손에는 자기가 저지른 불륜의 그 역겹고 더러운 것이 가득 담긴 금잔을 들고 있었습니다.
17,5그리고 이마에는 ‘땅의 탕녀들과 역겨운 것들의 어미, 대바빌론’이라는 이름이 적혀 있었는데, 그 이름은 하나의 신비였습니다.
17,6내가 보니 그 여자는 성도들의 피와 예수님의 증인들의 피에 취해 있었습니다. 나는 그 여자를 보고 크게 놀랐습니다.
17,9여기에 지혜로운 마음이 필요한 까닭이 있습니다. 일곱 머리는 그 여자가 타고 앉은 일곱 산이며 또 일곱 임금입니다.
17,10다섯은 이미 쓰러졌고 하나는 지금 살아있으며 다른 하나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가 나오더라도 잠깐밖에 머무르지 못할 것입니다.
17,11또 전에는 있다가 지금은 없는 그 짐승이 여덟번째 임금입니다. 그러나 그는 일곱 가운데 하나였던 자로서, 멸망을 향하여 나아갈 것입니다.
17,12내가 본 열 뿔은 열 임금입니다. 그들은 아직 왕권을 차지하지 못하였지만, 잠시 그 짐승과 함께 임금으로서 권한을 차지할 것입니다.
17,15천사가 또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네가 본 물, 곧 탕녀가 그 곁에 앉아 있는 물은 백성들과 군중들과 민족들과 언어들이다.”
17,18“네가 본 그 여자는 땅의 임금들을 다스리는 왕권을 가진 큰 도성이다.”


2. 1. 상징적 의미



바빌론의 대탕녀, 헤라드 오브 란츠베르크의 ''호르투스 델리시아룸'' 삽화, 1180


큰 음녀 바빌론. 마르틴 루터가 1534년에 번역한 신약성서에 등장한다.


대탕녀 바빌론은 요한 묵시록에서 그리스도의 적 및 묵시록의 짐승과 연관된 존재로 묘사된다. 그녀는 머리가 일곱이고 뿔이 열 개 달린 진홍색 짐승 위에 올라탄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 짐승의 몸에는 하느님을 모독하는 이름들이 가득하다.

요한 묵시록 17장과 18장에는 대탕녀 바빌론의 모습과 그 상징적 의미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외모와 치장: 그녀는 자주색과 진홍색 옷을 입고 금, 보석, 진주로 화려하게 치장했다. 이는 부와 권력을 상징하지만, 동시에 타락과 사치를 나타낸다.
  • 금잔: 손에는 금잔을 들고 있지만, 그 안에는 "자기가 저지른 불륜의 그 역겹고 더러운 것"이 가득하다. 이는 겉모습의 화려함과 달리 내면의 부패와 죄악을 상징한다.
  • 이마의 이름: 이마에는 ‘땅의 탕녀들과 역겨운 것들의 어미, 대바빌론’이라는 비밀스러운 이름이 적혀 있다. 이는 그녀가 모든 우상숭배와 가증한 행위의 근원임을 나타낸다.
  • 성도들의 피: 그녀는 "성도들의 피와 예수님의 증인들의 피에 취해 있다"고 묘사되는데, 이는 신자들에 대한 박해와 순교를 상징한다.


대탕녀가 타고 있는 짐승과 주변 환경 또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일곱 머리: 짐승의 일곱 머리는 그녀가 앉은 '일곱 산'이자 '일곱 임금'을 상징한다. 이는 로마의 일곱 언덕이나 강력한 제국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열 뿔: 열 뿔은 '열 임금'을 상징하며, 이들은 아직 왕권을 차지하지 못했지만 잠시 짐승과 함께 권세를 누릴 존재들이다.
  • 물: 탕녀가 앉아 있는 '물'은 '백성들과 군중들과 민족들과 언어들'을 의미하며, 그녀의 영향력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미치고 있음을 상징한다.
  • 큰 도성: 탕녀는 '땅의 임금들을 다스리는 왕권을 가진 큰 도성'으로 해석된다. 이는 강력한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도시나 제국, 혹은 특정 체제를 상징할 수 있다.


'탕녀'라는 표현은 단순히 성적인 문란함을 넘어 은유적으로 '우상 숭배자'를 의미하기도 한다.[2] 이는 신이 아닌 다른 것을 숭배하는 행위를 영적인 간음으로 간주하는 성서적 관점을 반영한다.

캐롤라인 반더 스티첼레는 대탕녀 바빌론 이야기가 히브리 성경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패턴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예언서에서는 종종 수도들이 여성으로 의인화되어 등장하는데, 이들은 다양한 죄악(특히 우상숭배를 성적 문란함으로 비유)을 저지른 대가로 야훼가 보낸 폭력적인 심판을 통해 멸망하는 것으로 그려진다.[7]

대탕녀의 종말론적 몰락은 그녀가 타고 있던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짐승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언된다. 이는 그녀가 의지했던 세속적인 권력에 의해 결국 멸망하게 될 것을 암시한다. 기독교 종말론에서는 대탕녀와 짐승이 상징하는 대상과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해 다양한 해석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3][4][5][6] 요한 묵시록은 그녀가 상징하는 세력을 "악마가 사는 곳"이자 "더러운 영의 소굴"로 규정하며, 화려함 속에 감춰진 타락과 죄악, 그리고 궁극적인 심판을 강조한다.

2. 2. 짐승과의 관계



대탕녀 바빌론은 그리스도의 적 및 묵시록의 짐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묘사된다. 요한 묵시록 17장에 따르면, 대탕녀는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진홍색 짐승 위에 타고 있으며, 이 짐승의 몸에는 하느님을 모독하는 이름들이 가득하다.

대탕녀와 짐승의 관계 및 상징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 짐승의 상징: 짐승의 일곱 머리는 탕녀가 앉은 '일곱 산'이자 '일곱 임금'을 상징한다(묵시 17,9). 이 중 다섯은 이미 멸망했고, 하나는 현재 존재하며, 다른 하나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나 잠시 동안만 존재할 것이다(묵시 17,10). 또한, 과거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짐승은 '여덟 번째 임금'으로, 일곱 임금 중 하나였으며 결국 멸망할 운명이다(묵시 17,11). 짐승의 열 뿔은 아직 왕권을 얻지 못한 '열 임금'을 상징하며, 이들은 잠시 동안 짐승과 함께 권세를 누리게 된다(묵시 17,12).
  • 탕녀의 상징: 탕녀는 자주색과 붉은색 옷을 입고 금, 보석, 진주로 화려하게 치장했으며, 손에는 음행의 더러운 것들이 가득 담긴 금잔을 들고 있다(묵시 17,4). 이마에는 '땅의 탕녀들과 역겨운 것들의 어미, 대바빌론'이라는 비밀스러운 이름이 적혀 있다(묵시 17,5). 그녀가 앉아 있는 '많은 물'은 수많은 백성, 군중, 민족, 언어를 상징하며(묵시 17,15), 탕녀 자체는 땅의 임금들을 다스리는 '큰 도성'을 의미한다(묵시 17,18). 그녀는 성도들과 예수 증인들의 피에 취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묵시 17,6).


대탕녀는 사악한 왕국과의 연관성을 통해 계시록의 짐승과 연결된다. "탕녀"라는 표현은 은유적으로 우상 숭배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2] 기독교 종말론에서는 대탕녀의 종말론적 몰락이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짐승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언한다. 탕녀와 짐승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상징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과 추측이 존재한다.[3][4][5][6]

캐롤라인 반더 스티첼레는 바빌론의 대탕녀 이야기가 히브리 성경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패턴, 즉 '매춘'이나 '간음'을 저지른 죄로 인해 야훼의 심판을 받아 멸망하는 여성으로 의인화된 수도들의 이야기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이 수도들은 각기 자신들이 속한 국가를 상징하며, 성적 문란함으로 대표되는 죄악 때문에 폭력적인 최후를 맞는 것으로 그려진다.[7]

3. 해석

바빌론의 대탕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많은 성서학자들은 '바빌론'이 로마, 특히 로마 제국의 잔혹한 통치, 탐욕, 이교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은유적 표현이라고 본다.[65][66] 요한 묵시록 17장 9절에 언급된 대탕녀가 앉은 ‘일곱 산’은 일반적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71][72][73][74][75][76][77][78][79][80][81][82][83]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 역시 묵시록에 묘사된 바빌론의 특징들이 당시 로마와 가장 잘 부합한다고 설명한다.[85]

반면, 일부 성서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대탕녀 바빌론이 외부의 이교 세력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타락한 예루살렘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86] 이들은 구약성경에서 타락한 예루살렘을 '탕녀'로 묘사한 예언들과[88],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예루살렘의 지도자들에게 예언자들과 의인들을 살해한 책임을 물었던 점 등을 근거로 든다.

대탕녀는 계시록의 짐승과 연관되며, '탕녀'라는 단어는 은유적으로 우상 숭배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2] 대탕녀의 종말론적 몰락은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짐승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언되어 있다.[3][4][5][6]

캐롤라인 반더 스티첼레는 바빌론 대탕녀 이야기가 히브리 성경의 예언서에서 죄를 짓고 결국 야훼의 심판을 받아 멸망하는, 여성으로 의인화된 수도들의 패턴을 따른다고 분석했다.[7] 이 외에도 종교 개혁 시기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를 대탕녀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종교 단체별 해석이 존재한다.

3. 1. 로마 제국

많은 성서학자들은[65][66] ‘바빌론’이 로마, 특히 로마 제국의 잔혹한 통치와 탐욕스러움, 이교주의 등을 비판하기 위한 은유적 표현이라고 본다. 베드로 1서 5장 13절[8][9][10] 역시 바빌론이 로마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사례로 언급되며,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도 바빌론이 로마 또는 로마 제국을 의미할 수 있다고 보았다.[13] 이러한 해석은 주로 313년 밀라노 칙령 이전, 기독교 박해가 심했던 시기의 이교도 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11][12]

에스드라 2서[67][16][17], 바룩 2서[68][18], 시빌라의 신탁[69][19] 등 다른 유대교 문헌에서도 ‘바빌론’은 로마를 뜻하는 암호명으로 사용되었다.[70][20] 요한 묵시록 17장 9절[21]에 언급된 대탕녀 바빌론이 앉은 ‘일곱 산’은 일반적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71][72][73][74][75][76][77][78][79][80][81][82][83][22][23][24][25][26]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재위 기간(서기 70년경)에 주조된 로마 주화에는 로마를 상징하는 여신이 일곱 언덕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84][27]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은 요한 묵시록에 묘사된 바빌론의 특징들이 당시 로마와 가장 잘 부합한다고 설명한다. 그 특징으로는 (a) 땅의 임금들을 다스리는 왕권(요한 계시록 17:18), (b) 일곱 산 위에 앉아 있음(요한 계시록 17:9), (c) 세계 상업의 중심지(요한 계시록 18:3, 11–13), (d) 여러 나라를 타락시킴(요한 계시록 17:2; 18:3; 19:2), (e) 성도들을 박해함(요한 계시록 17:6) 등이 있다.[85][28]

이러한 해석에서 '타락한 여자'로 비유된 바빌론은 고대 로마, 특히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극심했던 시기의 로마 제국을 가리킨다. 이 시기는 칼리굴라, 네로와 같은 폭군들의 통치로 로마의 사회적 퇴폐가 심화되던 때이기도 했다. 특히 네로 황제는 로마 대화재를 빌미로 기독교도를 대대적으로 박해했으며, 이 과정에서 초대 로마 교황으로 여겨지는 베드로가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적그리스도가 네로 황제, 혹은 그의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속설이 퍼지기도 했다.

크레이그 코스터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바빌론' 또는 '창녀'가 단순히 1세기 로마 시를 넘어,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된 세상" 전체를 상징한다고 보기도 한다.[14][15] 또한, 일부에서는 이 구절이 로마의 지배에 협력했던 세력, 예를 들어 헤로데 왕가와 같이 로마의 영향력에 의존했던 유대 내 기득권층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3. 2. 예루살렘

데이비드 로버츠의 공성전으로 파괴되는 예루살렘


많은 성서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바빌론의 대탕녀가 로마 제국을 상징한다는 전통적인 해석 대신, 요한 묵시록이 쓰여진 1세기 당시의 예루살렘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86][30][31][32] 이 관점에 따르면, 대탕녀는 외부의 이교 세력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타락한 내부의 배교자, 즉 부정한 '옛 신부'이자 스스로 '여왕'이라 칭하는 타락한 예루살렘을 상징한다. 이러한 해석을 지지하는 학자들로는 알란 제임스 비글리, 데이비드 칠턴, J. 매싱버르드 포드, 피터 개스켈, 케네스 젠트리, 에드몬도 루피에리, 브루스 말리나, 이안 프로반, J. 스튜어트 러셀, 밀턴 S. 테리 등이 있다.[30][31][32]

이 해석의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약성경의 여러 예언서에서 이미 타락한 예루살렘을 영적인 탕녀나 탕녀의 어머니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사야서 1장 21절, 예레미야서 2장 20절 및 3장 1-11절, 에제키엘서 16장 1-43절 및 23장 등에서 이러한 비유를 찾아볼 수 있다.[88][34][60] 갈라디아서 4장 25절에서도 예루살렘은 비슷한 맥락에서 언급된다. 밧모섬의 요한이 묵시록을 저술할 때 이러한 구약의 예언들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높다.[88][34] 캐롤라인 반더 스티첼레 역시 바빌론의 대탕녀 이야기가 히브리 성경 예언서에서 죄를 짓고 결국 야훼의 심판을 받아 멸망하는, 여성으로 의인화된 수도들의 패턴을 따른다고 분석했다.[7]

둘째,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예루살렘의 종교 지도자들, 특히 바리사이파 사람들에게 과거 예언자들과 의인들을 살해한 책임을 물었다는 점이다. 마태오 복음서 23장 34-37절과 루카 복음서 11장 47-51절에서 예수는 예루살렘이 흘린 의로운 피에 대해 질타하는데, 이는 요한 묵시록 17장 6절과 18장 20, 24절에서 바빌론의 죄악을 고발하는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35] 또한 예수가 "예언자는 예루살렘 아닌 다른 곳에서는 죽을 수 없다"(루카 13,33)고 말한 것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35]

셋째, 묵시록 본문의 상징들이 예루살렘과 더 잘 부합한다는 주장이다. 묵시록 17장 9절에 언급된 '일곱 산'은 전통적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으로 해석되었지만, 이 관점에서는 예루살렘을 둘러싼 일곱 언덕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또한 묵시록 18장에 묘사된 '바빌론의 멸망'은 서기 70년 로마군에 의한 예루살렘의 함락과 파괴 사건을 예언적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해석한다.[87][33]

3. 3. 가톨릭 교회

루터 성경의 목판화에 묘사된 바빌론의 대탕녀가 교황의 삼중관을 쓰고 있는 모습


역사주의적 해석가들, 특히 종교 개혁 시기의 인물들은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바빌론의 대탕녀"를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르틴 루터(저서: ''교회의 바빌론 유수''), 장 칼뱅, 그리고 존 녹스(저서: ''여성의 흉악한 통치에 대한 첫 번째 나팔 소리'')와 같은 주요 종교 개혁가들은 이러한 해석을 지지하며 가르쳤다.[40][41]

이들은 성경 예언에서 여자가 교회를 상징한다고 보았으며[42][43], 요한계시록에서 언급된 '일곱 언덕'을 로마의 지리적 특징과 연결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를 바빌론의 대탕녀로 지목하는 근거로 삼았다.[44][45][46] 또한, 종교 개혁가들은 교황적그리스도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들은 가톨릭 교회의 조직과 제사, 관습 등에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유래한 우상 숭배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교회가 파멸을 초래하는 바빌론의 악습을 계승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관점은 이후 개신교 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1646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과 같은 개신교 신조에는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명시하는 내용이 포함되기도 했다. 또한, ''스코필드 참고 성경'' (1917년판)에서는 "교황청"을 수장으로 하는 "배교한 기독교"를 "교회 바빌론"으로 해석하며 로마 가톨릭 교회를 바빌론의 대탕녀와 동일시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마르틴 루터가 번역한 루터 성경 1545년판의 삽화에는 바빌론의 대탕녀가 교황의 삼중관을 쓰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이러한 해석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47][48]

현대에 이르러서도 일부 공위설주의자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가톨릭 교회가 바빌론의 대탕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39]

3. 4. 기타 해석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Church)는 바빌론의 대탕녀와 그에 상응하는 몰몬경의 "크고 가증한 교회"가 전 세계를 지배하며 부, 성적 부도덕, 지배욕, 그리고 성도들의 박해나 죽음을 추구하는 강력한 단체들과 육적인 개인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고 본다.[1] 바빌론의 대탕녀, 즉 사탄의 교회는 그리스도의 추종자들과 관련이 없거나 그들을 반대하는 모든 조직으로 구성된다. 궁극적으로 바빌론의 대탕녀는 마지막 날에 멸망할 운명이다.[49][50]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은 바빌론의 대탕녀가 전통적인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타락한 상태를 나타낸다고 믿는다. 다른 교회들(주로 개신교)은 일반적으로 창녀의 일부 또는 그녀의 딸들로 여겨진다. 재림교인들은 또한 요한계시록 17장 6절의 "성도"에 대한 박해가 이교 로마의 믿음에 기초하여 로마 가톨릭교회가 도입한 교리를 거부한 신자들에 대한 박해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중세 시대 동안, 특히 종교 재판에 의한 가톨릭교회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박해, 왈도파와 위그노에 대한 박해가 이러한 박해의 예로 언급된다.[51]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은 요한계시록 17장 18절을 세상의 왕들을 지배하는 거짓 교회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한다. 그들은 교황이 이교 의식, 믿음 및 의식을 교회에 들여오도록 허용함으로써 배교했다고 여긴다. 그들은 교황청을 로마 제국의 연장선으로 보고 데살로니가후서 2장 7절("불법의 비밀한 힘이 이미 활동하고 있지만, 지금 그것을 억제하는 자가 제거될 때까지 그렇게 할 것이다.")의 성취로 본다.[52]

엘렌 G. 화이트의 ''각 시대의 대쟁투'' (1858)는 "영적 바빌론"이 "모든 민족"에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질 것이며, 로마 제국은 구세계에서만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기록했다. 많은 종교 개혁 시대의 개신교 지도자들처럼, 그녀의 저술은 또한 로마 가톨릭 교회를 타락한 교회로 묘사하며, 하나님의 참된 교회에 대한 적으로서 사악한 종말론적 역할을 하며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묘사한다.[53][54]

여호와의 증인은 초기에는 재림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이후 분리되었으며,[55] 바빌론의 대탕녀가 "거짓 종교의 세계 제국"을 상징한다고 믿는다.[56] 이는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다른 종교 단체를 포괄한다.[57] 여호와의 증인 문헌에서는 바빌론의 대탕녀와 정치 권력의 뒤이은 공격을 자주 언급하며, 이를 "큰 환난"의 시작으로 본다.[58] 그들은 이 거짓 종교 제국이 하나님의 백성을 박해했으며, 세상의 정치적, 상업적 요소들과 "음행"을 저질렀다고 믿는다(요한 계시록 17장 1-2절).[59] 또한, 고대 바빌론에서 유래한 종교 관행(삼위일체, 영혼 불멸, 심령술, 우상 숭배, 주문 사용, 부도덕 용인, 정치 개입, 성직자 계급 등)을 가진 전 세계적 종교 체제로 보며,[61] 특히 기독교 세계를 주요 대상으로 지목하고 그 외의 '거짓 종교'들을 큰 바빌론의 딸로 해석한다.[62] 가까운 미래에 큰 창녀 바빌론은 "붉은 짐승"(국제 연합)과 "열 뿔"(여러 정부)에 의해 멸망할 것이라고 해석한다(요한 계시록 17장 16절).[63]

바발론 (일명 "주홍색 여자" 또는 "가증스러운 어머니")은 1904년 영국 작가 앨리스터 크로울리가 쓴 ''율법서''를 통해 확립된 종교 체계인 텔레마에서 발견되는 여신이다. "바발론"이라는 이름의 철자는 크로울리가 그의 저서 ''환상과 음성''에서 밝혔으며, 그녀의 이름과 이미지는 크로울리의 "Liber Cheth vel Vallum Abiegni"에도 등장한다.

가장 추상적인 형태에서 바발론은 여성적인 성적 충동과 해방된 여성을 나타낸다. 영지주의 미사의 신조에서는 그녀를 가장 비옥한 의미에서 어머니 대지와 동일시한다. 크로울리는 바발론이 아르케타입 또는 여신으로서의 지위 외에도, 지상에 '주홍색 여자'의 영적 직무를 맡은 살아있는 여성 아바타를 가진다고 믿었다. ''율법서''에서 처음 확인된 이 직무는 "위대한 짐승"(To Mega Therion)으로서의 크로울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대응으로 여겨지며, 주홍색 여자는 호루스 아이온의 에너지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크로울리는 여러 여성이 자신의 삶에서 주홍색 여자의 직무를 수행했다고 믿었다.

바발론의 배우자는 카오스이며, 영지주의 미사에서 창조적 원리의 남성 형태로 "생명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카오스는 ''환상과 음성''과 ''Liber Cheth vel Vallum Abiegni''에 등장한다. 그녀는 배우자와의 관계와는 별개로, 일반적으로 짐승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녀는 종종 신성한 창녀로 불리며, 그녀의 주요 상징은 성배이다.

크로울리는 그의 저서 ''토트의 서''에서 "그녀는 짐승을 타고 있으며, 왼손에는 그들을 결합시키는 열정을 나타내는 고삐를 쥐고 있다. 오른손에는 사랑과 죽음으로 불타는 성배인 잔을 높이 든다. 이 잔에는 아이온의 성찬의 요소들이 섞여 있다."라고 썼다.

일부에서는 이를 미래에 대한 예언으로 보기도 한다. 세대주의의 다카기 케이타는 로마 가톨릭, 자유주의 신학의 에큐메니컬 운동이 대음녀라고 주장했다.

토트 타로의 디자인 감수를 한 앨리스터 크로울리는 일반적인 타로 카드의 『』에 해당하는 카드에 이 모티프를 도입하여 『욕망』이라고 이름 붙였다.

4. 현대적 의미



대탕녀는 그와 마찬가지로 사악한 왕국과 연관되어 요한 계시록의 짐승과 연결된다. '탕녀'라는 표현은 은유적으로 '우상 숭배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2] 대탕녀의 종말론적 몰락은 일곱 머리와 열 뿔을 가진 짐승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언되어 있다. 기독교 종말론에서는 이 탕녀와 짐승이 무엇을 상징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현대적인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3][4][5][6]

캐롤라인 반더 스티첼레는 바빌론의 대탕녀 이야기가 히브리 성경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패턴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이 예언서들에서는 종종 수도들이 여성으로 의인화되어 '매춘'이나 '간음'을 저지르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수도들은 그들이 속한 국가를 상징하며, 성적으로 문란하게 표현되는 다양한 죄를 저질렀다고 여겨진다. 결국 이들은 야훼가 내리는 폭력적인 처벌을 통해 멸망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사 구조는 대탕녀 이야기에서도 나타난다.[7]

참조

[1] 웹사이트 Revelation 17:18 Parallel Verses https://www.bibleref[...] BibleRef.com 2022-06-12
[2] 웹사이트 Dictionary and Word Search for pornē (Strong's 4204) http://www.bluelette[...] 2011-11-03
[3] 웹사이트 Rome or Jerusalem http://www.philvaz.c[...]
[4] 웹사이트 The Interpretation of Revelation http://www.apocalips[...] 2011-11-03
[5] 웹사이트 Hunting the Whore of Babylon http://www.catholic.[...] Catholic Answers
[6] 웹사이트 Ch 17: Babylon the whore http://www.apocalips[...] Commentary on Revelation
[7] 간행물 Just a Whore. The Annihilation of Babylon According to Revelation 17:16 http://www.lectio.un[...] University of Amsterdam 2021-05-28
[8]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21-09-04
[9] 서적 Knowing the End From the Beginning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03-01
[10] 서적 The First Letter of Peter https://books.google[...] Baylor University Press 2016-03-01
[11] 서적 Women in scripture: a dictionary of named and unnamed women in the Hebrew https://books.google[...]
[12] 문서
[13] 서적 Church Fathers: Church History, Book II (Eusebius)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06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Knowing the End From the Beginning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03-01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서적 She Who Restores the Roman Empire: The Biblical Prophecy of the Whore of Babyl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03-01
[28] 백과사전 Babylon in the New Testament http://www.internati[...] 2010-10-20
[29] 문서
[30] 웹사이트 Hunting the Whore of Babylon http://www.catholic.[...]
[31] 문서
[32]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http://www.thepreter[...] 2011-07-03
[33] 문서
[34] 서적 Revelation: The Apocalypse of St. Joh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10-22
[35] 웹사이트 A New and Original Exposi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https://books.google[...]
[36] 인용구
[37] 웹사이트 Church Fathers: Exposition on Psalm 65 (Augustine), 2. http://www.newadvent[...] 2017-08-11
[38] 웹사이트 Church Fathers: Exposition on Psalm 87 (Augustine), 7. http://www.newadvent[...] 2017-08-11
[39] 웹사이트 The Apocalypse & the Prophesied Whore of Babylon https://vaticancatho[...] 2007-01-31
[40] 서적 Urban Religion and the Second Great Awakening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16-03-01
[41] 서적 Apocalypticism Explained: Martin Luther, PBS.org https://www.pbs.org/[...] 2017-09-18
[42] Webarchive Commentary on Daniel and Revelation https://books.google[...] 2021-09-21
[43] Webarchive Keys To Bible Symbols http://www.bibleuniv[...] 2010-09-28
[44] 서적 Every Prophecy of the Bible
[45] 서적 Revelation Unveiled
[46] 웹사이트 Who Is Mystery Babylon The Great – Mother Of Harlots http://www.mystery-b[...] 2011-06-19
[47] 웹사이트 GHDI - Image http://ghdi.ghi-dc.o[...] 2019-12-26
[48] 웹사이트 Recapturing My Religious Satirical Soul in Lutherland, Germany https://www.percepti[...] 2019-12-26
[49] 간행물 Warring Against the Saints of God https://www.churchof[...] 2019-10-16
[50] 간행물 Great and Abominable Church http://eom.byu.edu/i[...] Macmillan 2014-03-19
[51] 웹사이트 Timeline of Bloody History of Papal Rome – Oppression of Protestants http://amazingdiscov[...] 2015-06-06
[52] 서적 Seventh-Day Adventists Believe Review &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53] 웹사이트 White Horse Media http://www.whitehors[...] 2014-01-11
[54] 서적 The Great Controversy: Between Christ and Satan http://www.whiteesta[...] The Ellen G. White Estate 2006-06-06
[55] 간행물 Watch Tower's Debt to Seventh-day Adventism: A Fascinating Footnote to History https://www.ministry[...] 1969-10
[56] 웹사이트 Take Your Stand for True Worship –Watchtower Online Library http://wol.jw.org/en[...] 2012-10-20
[57] 간행물 Christendom Has Failed God! After Her End, What?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1962-04-15
[58] 간행물 When All Nations Unite Under God's Kingdom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1961-10-15
[59] Webarchive What Does the Bible Really Teach? http://www.jw.org/en[...]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2015-10-11
[60] 서적 Revelation: The Apocalypse of St. Joh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61] 간행물 『ものみの塔』 ものみの塔聖書冊子協会 1991-12-01
[62] 서적 『啓示の書―その壮大な最高潮は近い!』 ものみの塔聖書冊子協会
[63] 서적 『啓示の書―その壮大な最高潮は近い!』 ものみの塔聖書冊子協会
[64] 인용구
[65] 링크 Women in scripture: a dictionary of named and unnamed women in the Hebrew http://books.google.[...]
[66] 리스트 http://books.google.[...] PBS
[67] 참조
[68] 참조
[69] 인용
[70] 링크 http://books.google.[...]
[71] 서적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Revelation Hendrickson Publishers 1991
[72] 서적 A handbook on the Revelation to John United Bible Societies 1993
[73] 서적 Revelation College Press Pub 2000
[74]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7
[75] 서적 The Apocalypse of John MacMillan 1919
[76] 서적 A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of St. John the Divine Adam & Charles Black 1966
[77] 서적 The Revelation to John Zondervan 1969
[78] 서적 Commentary on Revelation Kregel Publications 1977
[79] 서적 The Book of Revelation,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Eerdmans 1987
[80] 서적 A Continental Commentary: The Revelation of John Fortress Press 1993
[81] 서적 Word Biblical Commentary : Revelation 17–22 Word, Incorporated 2002
[82] 서적 The IVP Bible background commentary : New Testament InterVarsity Press 1993
[83] 서적 New Bible commentary : 21st century edition Inter-Varsity Press 1994
[84] 웹사이트 http://books.google.[...]
[85] 웹사이트 http://www.internati[...]
[86] 서적 Biblical Apocalyptics: A Study of the Most Notable Revelations of God and of Christ 1898
[87] 서적 A commentary on the Apocalypse of John
[88] 서적 Revelation: The Apocalypse of St. John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