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어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어는 중국 윈난성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어휘와 어순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티베트-버마어파의 이족어와 음성적 특징이 가깝다는 연구도 있으며, 고대 중국어와 자매 관계라는 가설도 제시된다. 바이어는 남부, 중부, 북부의 세 방언으로 나뉘며, 각 방언은 음운론적 특징과 음절 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바이어는 고대 한자를 차용하여 표기하는 방식과 1950년대 이후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며, 1993년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바이어 (언어) | |
---|---|
언어 정보 | |
다른 이름 | 바이위(白语)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지역 | 윈난성 |
민족 | 바이족, 후이족 |
사용자 수 | 약 127만 명 (2003년) |
언어 계통 | 시노-티베트어족 |
언어 분류 (추정) | 시니트어파? 매크로-바이 언어? |
방언 | 젠촨-다리 파니–라마 |
언어 코드 (ISO 639-3) | bca (중앙 바이, 젠촨 방언) bfs (남부 바이, 다리) bfc (파니 바이) lay (라마) |
ISO 639-6 | bicr |
Glottolog | baic1239 |
문자 | 라틴 문자 보웬 문자 |
기타 정보 | |
중국어 표기 | 간체: 白语 정체: 白語 병음: Báiyǔ |
언어 분류 (중국) | 페이어족 |
2. 분류
바이어는 오랜 기간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중국어 차용어가 많고, 이로 인해 명확한 분류에 어려움이 있다. 어휘적, 음성적 특징은 티베트버마어파의 이어와 가깝다. 바이족의 언어학자 서림(徐琳) 또는 조연(趙衍)은 바이어 모음에 긴장음과 이완음의 대립 현상이 있는 것, 복합모음이 적은 것, 폐음절(어미의 자음)이 없는 것 등의 음성적 특징이 이어와 같고 기본 어휘에 이어와 공통 어원을 가진 단어가 적지 않은 것으로 이어와 같은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바이어의 방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지역 및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남부 방언과 중부 방언은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그 외 방언들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편이다.
최근 언어학자들은 고대에 초기 중국어와 갈라진 중국어파의 자매 언어라는 가설도 제시하고 있다.[12] 정장상팡 (2010)은 비슷한 경우에 해당하는 차이자어(蔡家, Caijia)와의 연관성을 지적하며,[13] 로랑 사가르 (2011)는 차이자어와 와샹어(瓦鄉, Waxiang)가 상고한어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주장했다.[14] 이러한 특징을 가진 언어를 묶어 바이어군이라는 분류가 제안되어 있다.
바이어의 기본 어순은 SVO형이며, 한어와 같다. 다른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는, 태국의 카렌어가 태국어의 영향을 받아 SVO형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 SOV형이며, 바이어와 다르다. 그러나, 이것은 바이어가 한어의 영향을 장기간 받은 결과라고 생각되며, 현재도 급속히 한어 어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3. 방언
3. 1. 방언의 상세 분류
바이어의 방언은 화자가 많은 순서대로 다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2]
3개의 방언 사이에서의 의사소통은 어렵지만, 남부방언과 중부방언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북부의 비장 방언에는 5개의 파열음(양순파열음, 치경파열음, 권설파열음, 치경경구개파열음, 연구개파열음)이 있으며, 각각 무성유기, 무성무기, 유성유기로 나뉘며, 비모음과 구강모음의 구별이 있는 등, 풍부한 음절을 남기고 있지만, 성조는 6종밖에 없다.
중부 방언의 음절이 가장 단순하며, 유성파열음, 연구개음, 권설음도 없다. 대신에 비모음이 있으며, 성조는 남부방언과 같이 8종이다. 중부방언에는 유기치경파열음 (t)의 변종으로서 양순전동음(ʙ)가 보이고 있다.
쉬와 자오(1984)는 바이어를 세 가지 방언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실제로는 별개의 언어일 수 있다. 젠촨 (중부), 다리 (남부) 및 비장 (북부)으로 나뉜다. 비장 현은 그 후 루수이 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젠촨과 다리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화자들은 한 달 동안 함께 살면 서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더 분기된 북부 방언은 약 15,000명의 라에마(''勒墨|lè mò중국어'', 레메이, 라마)가 사용하며, 그들은 약 50,000명으로 리수족 안에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현재 이들은 ISO 639-3에 의해 두 개의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왕펑(2012)은 9개의 바이 방언에 대한 다음 분류를 제공한다.
서부 | 동부 | |
---|---|---|
공싱 (), 란핑 현 | 마저룽 (), 추이베이 현 | |
핵심 분기 |
남부 방언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다리 방언 Dali (bfs-dal)
- 샹윈 방언 Xiangyun (bfs-xia)
중부 방언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란핑 방언 Lanping (bca-lan)
- 어위안 방언 Eryuan (bca-ery)
- 젠촨 방언 Jianchuan (bca-jia)
- 허칭 방언 Heqing (bca-heq)
- 윈롱 방언 Yunlong (bca-yun)
북부 방언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누장 방언 Nujiang (bfc-nuj)
- 란핑 방언 Lanping (bfc-lan)
3. 2. 음운론적 특징
북부 방언은 파열음(양순파열음, 치경파열음, 권설파열음, 치경경구개파열음, 연구개파열음)이 있으며, 각각 무성유기, 무성무기, 유성유기로 나뉜다. 비모음과 구강모음의 구별이 있는 등, 풍부한 음절을 남기고 있지만, 성조는 6종밖에 없다.중부 방언의 음절이 가장 단순하고, 유성파열음, 연구개음, 권설음도 없다. 대신에 비모음이 있으며, 성조는 남부방언과 같이 8종이다. 중부방언에는 유기치경파열음 (t)의 변종으로서 양순전동음(ʙ)가 보이고 있다.
4. 음운
젠촨 방언(중부 방언)의 음운은 다음과 같다.
'''성모(음절 첫 자음)'''
젠촨 방언은 음절 처음에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진다.[1]
궁싱 및 퉈로우 방언은 파열음 및 파찰음에 대해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가지 대립을 보인다. 달리 방언의 표준 형태를 포함한 동부 핵심 그룹에서는 유성 초기음이 무성 무기음이 되었으며, 다른 방언에서는 톤에 따라 유성음의 부분적인 소실을 보인다.[2] 일부 방언은 과 음운론적으로 대립하는 구개수 비음 을 추가로 가지고 있다.[3]
'''운모(음절 끝 자음)'''
젠촨 방언의 종성은 다음과 같다.[1]
- 이중 모음:
- 삼중 모음:
, , 를 제외한 모든 모음은 비음화 모음 변이형을 가진다. 달리 방언에는 비음 모음이 없다.[1] 일부 다른 방언은 비음화 대신 비음 종성을 유지하지만, 궁싱 및 퉈로우 방언만이 과 사이의 대립을 가진다.[2]
'''성조'''
젠촨에는 8개의 성조가 있으며, 이는 양태적 및 비양태적 발성으로 구분된다.[1] 일부 서부 방언은 더 적은 수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2]
4. 1. 성모 (음절 첫 자음)
젠촨 방언은 음절 처음에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진다.[1]문자 | IPA | 비고 |
---|---|---|
b | ||
p | ||
m | 변이음 | |
f | ||
v | ||
d | ||
t | 변이음 | |
n | 변이음 | |
l | ||
g | ||
k | ||
ng | 변이음 | |
h | ||
hh | ||
j | ||
q | ||
ni | ||
x | ||
y | ||
z | ||
c | ||
s | ||
ss | ||
zh | 북부 방언, 한어 | |
ch | 북부 방언, 한어 | |
sh | 북부 방언, 한어 | |
r | 북부 방언, 한어 |
궁싱 및 퉈로우 방언은 파열음 및 파찰음에 대해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및 유성음 사이의 오래된 3방향 대립을 유지하고 있다. 달리 방언의 표준 형태를 포함한 동부 핵심 그룹에서는 유성 초기음이 무성 무기음이 되었으며, 다른 방언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톤에 의해 조건화된 유성음의 부분적인 소실을 보인다.[2] 일부 방언은 과 음운론적으로 대립하는 추가적인 구개수 비음 을 가지고 있다.[3]
4. 2. 운모 (음절 끝 자음)
젠촨 방언의 종성(음절 끝 자음)은 다음과 같다:[1]- 이중 모음: , , , , , , ,
- 삼중 모음:
, 및 를 제외한 모든 모음은 대립하는 비음화된 변이형을 가지고 있다. 달리 방언에는 비음 모음이 없다.[1] 일부 다른 방언은 비음화 대신 비음 종성을 유지하지만, 궁싱 및 퉈로우 방언만이 과 사이의 대립을 가진다.[2]
4. 3. 성조
젠촨어에는 8개의 성조가 있으며, 이는 양태적 및 비양태적 발성으로 구분된다.[1] 일부 서부 방언은 더 적은 수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2]문자 | 음가 | 비고 |
---|---|---|
l | 55 | 완화 |
b | 55 | 긴장. 중부. 옛 rl |
f | 35 | 완화 |
x | 33 | 완화 |
없음 | 21 | 긴장. 옛 rx |
z | 32 | 완화. 남부 |
t | 31 | 완화 |
p | 42 | 긴장. 옛 rt |
d | 21 | 긴장. 옛 무문자 |
5. 문자
바이어는 역사적으로 두 가지 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바이족 지식인 등이 사용하던, 한자를 차용한 보원 문자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공식적으로 채택된 로마자 표기 방식이다.
보원 문자(僰文)는 한자의 음과 뜻, 소리, 뜻을 사용하거나 창작한자를 활용하여 바이어를 표기하는 방식이다. 남조 시대부터 명나라 초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존하는 자료는 14세기 이후의 것이다. 윈난성 다리시의 산화비(山花碑)에는 명나라 시대 바이족 시인 양부(杨黼)가 보원 문자로 쓴 시가 수록되어 있다.[9][10]
1958년에 최초의 로마자 표기법안이 제시되었고, 1993년 개정된 표기법은 26개의 로마자 조합으로 바이어의 성모(어두자음) 27종, 운모(어미모음) 37종, 성조 9종을 구별하여 표기한다.
5. 1. 고대 문자 (보원 문자)
바이족의 지식인이나 노래하는 사람 같은 일부 예능인들은 예로부터 한자를 사용해서 바이어를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고백자(古白字)나 방괴백자(方塊白字)라고도 일컬어진다. 좡어의 방괴 문자나 베트남어의 쯔놈과 다름없는 방법이지만, 현존하는 자료는 14세기 이후 새로 생긴 것이다.[7] 사용되는 글자는 다음의 4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한자의 음과 뜻을 사용
- 한자의 소리만을 사용
- 한자의 뜻만을 사용
- 창작한자
'''바이어'''에는 고대 중국어와 같은 어휘가 많고, 한자로의 표기가 좡어나 베트남어 등보다도 쉬우며, 새로 창작한 문자는 소수로 남아 있다. 광둥어 방언자(方言字) 등과 마찬가지로, 어기조사를 나타내는 문자로는 한자에 입구(口)변을 붙여 소리를 빌린 것이 있다.

보원 문자(僰文|bówén중국어)는 사방 백문(方块白文|중국어), 한자 백문(汉字白文|중국어), 한자형 백문(汉字型白文|중국어), 또는 고백문(古白文|중국어)이라고도 불리며, 한족의 한자에서 차용하여 바이족 언어에 맞게 개조된 표어 문자이다.[7] 이 문자는 남조 시대부터 명나라 초까지 사용되었다.[8]
윈난성 다리시의 산화비(山花碑|중국어)에는 명나라 시대 백족 시인 양부(杨黼|중국어)가 보원 문자로 쓴 시 《사기산화·영창이경》(《詞記山花·詠蒼洱境》)이 수록되어 있다.[9][10]
5. 2. 로마자 표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바이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이 공식적으로 채용되었다. 1958년에 최초의 표기법안이 제시되었지만, 1993년에 개정된 표기법으로는 26개의 로마자 조합으로 표기를 하고 있다. 바이어의 성모(어두자음)는 27종, 운모(어미모음)는 37종, 성조는 9종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문자 | IPA | 비고 |
---|---|---|
b | p | |
p | pʰ | |
m | m | 변음 ɱ |
f | f | |
v | v | |
d | t | 변음 ɾ |
t | tʰ | 변음 ɾʱ |
n | n | 변음 ɱ |
l | l | |
g | k | |
k | kʰ | |
ng | ŋ | 변음 ɱ |
h | x | |
hh | ɣ | |
j | tɕ | |
q | tɕʰ | |
ni | ɲ | |
li | ʎ | |
x | ɕ | |
y | j | |
z | ts | |
c | tsʰ | |
s | s | |
zh | tʂ | 북부방언, 중국어 |
ch | tʂʰ | 북부방언, 중국어 |
sh | ʂ | 북부방언, 중국어 |
r | ʐ | 북부방언, 중국어 |
문자 | IPA | 비고 |
---|---|---|
i | i | 변음 ɩ |
ei | e | |
ai | ɛ | |
a | ɑ | |
o | o | |
u | u | |
e | ɯ | |
v | v | |
iai | iɛ | |
ia | iɑ | |
iao | iɑo | |
io | io | |
iou | iou | |
ie | iɯ | |
ui | ui | |
uai | uɛ | |
ua | uɑ | |
uo | uo | |
ao | ɑo | |
ou | ou | |
er | er | 남부방언 |
ier | ier | 남부방언 |
uer | uer | 남부방언 |
in | ĩ | 중부방언 |
ein | ẽ | 중부방언 |
ain | ɛ̃ | 중부방언 |
an | ɑ̃ | 중부방언 |
on | ũ | 중부방언 |
en | ɯ̃ | 중부방언 |
vn | ṽ | 중부방언 |
iain | iɛ̃ | 중부방언 |
ian | iɑ̃ | 중부방언 |
ion | iõ | 중부방언 |
ien | iɯ̃ | 중부방언 |
uin | uĩ | 중부방언 |
uain | uɛ̃ | 중부방언 |
uan | uɑ̃ | 중부방언 |
문자 | 조치 | 비고 |
---|---|---|
l | 55 | 이완 |
b | 55 | 긴장. 중부. 구 rl |
f | 35 | 이완 |
x | 33 | 이완 |
s | 21 | 이완. 구rx |
z | 32 | 이완. 남부 |
t | 31 | 이완 |
p | 42 | 긴장. 구rt |
d | 21 | 긴장. 구 문자없는 것 |
6. 사용 지역
바이어는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자치주 | 현, 시 |
---|---|
다리 백족 자치주 | 다리 시, 샹윈 현, 윈룽 현, 얼위안 현, 젠촨 현, 허칭 현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
참조
[1]
서적
Muslim Chinese: Ethnic Nationalism in the People's Republ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2]
웹사이트
Change Request Documentation: 2013-006
https://iso639-3.sil[...]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3]
웹사이트
Change Request Documentation: 2013-007
https://iso639-3.sil[...]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4]
서적
商务印书馆
2012
[5]
서적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2
[6]
웹사이트
http://www.ynszxc.go[...]
2016-10-09
[7]
웹사이트
http://iea.cass.cn/m[...]
中国少数民族文字数据库
2008-11-18
[8]
간행물
http://103.247.176.2[...]
1987
[9]
간행물
白文《山花碑》释读
https://www.ixueshu.[...]
1980
[10]
간행물
http://www.cnki.com.[...]
2008-11-18
[11]
간행물
On the Genetic Position of Bai within Tibeto-Burman
http://stedt.berkele[...]
[12]
저널
On the Genetic Position of the Bai Language
[13]
문서
Zhèngzhāng Shàngfāng [郑张尚芳]. 2010. Càijiāhuà Báiyǔ guānxì jí cígēn bǐjiào [蔡家话白语关系及词根比较]. In Pān Wǔyún and Shěn Zhōngwěi [潘悟云、沈钟伟] (eds.). Yánjūzhī Lè, The Joy of Research [研究之乐-庆祝王士元先生七十五寿辰学术论文集], II, 389–400. Shanghai: Shanghai Educational Publishing House.
[14]
문서
Sagart, Laurent. 2011. [https://www.academia.edu/19534510/Chinese_dialects_classified_on_shared_innovations Classifying Chinese dialects/Sinitic languages on shared innovations]. Talk given at Centre de recherches linguistiques sur l’Asie orientale, Norgent sur Mar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