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불안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불안장애는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정신 질환으로, DSM-5와 ICD-10의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다. 유전적 요인, 가족력, 환경적 스트레스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며, 편도체의 기능적 연결성 변화와 관련이 있다. 치료는 인지행동치료(CBT)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SSRI, SNRI, 벤조디아제핀 등이 사용된다. 보완대체의학(CAM)의 효과는 제한적이며, 스트레스 관리, 수면, 카페인 제한 등의 생활 습관 관리도 중요하다. 범불안장애는 우울증, ADHD 등 다른 정신 질환과 동반될 수 있으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공황장애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은 공황 발작과 이에 대한 불안, 상황 회피를 특징으로 하며, 심계항진,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인지 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한다. - 불안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불안 장애 - 친밀감에 대한 공포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친밀한 관계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으로, 개인 정보 공유, 정서적 반응, 타인에 대한 취약성과 관련되며, 유년기 경험과 학대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여러 관계를 맺거나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의 징후를 보이며, 불확실성 수용, 자기 연민 등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하지불안 증후군
하지불안 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과 함께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나타나는 신경 질환으로, 휴식 시 증상이 심해지고 움직이면 완화되며, 도파민 시스템 이상, 철분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수면 장애 및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정신의학적 진단 - 신체화 장애
신체화 장애는 명확한 신체적 원인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를 동반하기도 하고, 증상 완화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정신 치료, 상담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사용된다.
범불안장애 | |
---|---|
일반 정보 | |
질병 분류 | ICD-10: F41.1 ICD-9: 300.02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과, 심리학 |
증상 | |
주요 증상 | 과도한 걱정, 초조함, 수면 장애, 피로감, 과민성, 집중력 저하, 근육 긴장, 발한, 떨림 |
동반 가능 증상 | 우울증, 심장 질환, 자살 |
발병 |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유형 | |
유형 | (정보 없음) |
원인 및 위험 요인 |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인 | (정보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공황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불안 장애, 경계선 성격 장애, 반사회성 성격 장애, 강박 장애, 특정 공포증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행동 치료, 메타인지 치료, 약물 치료 |
약물 | 항불안제 |
예후 및 빈도 |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평생 유병률 3–5% |
의학 정보 | |
MedlinePlus | 000917 |
2. 진단
범불안장애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라 진단한다. 미국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 발간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과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ICD)에서 제시하는 진단 기준이 대표적이다. DSM-5와 ICD-10의 진단 기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171][173]
2. 1. DSM-5 기준
미국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에서 발간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의 2013년판인 DSM-5에 의하면, 범불안장애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171]A. 과도한 불안(anxiety)이나 근심(worry)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며, 걱정거리(concern)가 많다.
B. 걱정을 통제하기가 어렵다.
C. 다음의 7개 증상 중 3개 이상이 나타난다(아동에게는 1개 이상이면 됨).
- 초조(restlessness)
- 쉽게 피로해짐(fatigability)
- 집중 곤란(concentrating problem)
- 신경 과민(irritability)
- 근육 긴장(muscle tension)
- 수면 곤란(difficulty with sleep)
• 극심한 스트레스 유발 (Causes extreme stress)
D. 직장생활, 학업, 사회생활에서 괴로움을 느낀다.
E. 증상이 약물 남용이나 기타 약물 처방 등으로 인하여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F. 공황장애(panic disorder)와 같은 정신질환 증상에 가까운 것이 아니다.
DSM-5에서의 진단기준은 2004년판과 비교하여 큰 변동 사항은 없으며 약간의 단어들이 바뀐 것에 그쳤다.[172]
2. 2. ICD-10 기준
국제질병분류(ICD-10)에서는 DSM-5와는 다른 범불안장애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73]A. 일상생활의 사건이나 문제에 대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긴장, 걱정, 우려를 느낀다.
B. 다음 증상 중 최소 4가지 이상이 나타나야 하며, 그중 (1)~(4)번 증상 중 최소 1가지 이상을 포함해야 한다.
증상 분류 | 번호 | 증상 내용 |
---|---|---|
자율신경계 각성 증상 | (1) | 심계항진 혹은 심장 두근거림, 심박수 증가 |
(2) | 땀 흘림 | |
(3) | 떨림 혹은 진전 | |
(4) | 입 마름 (약물이나 탈수증 때문이 아님) | |
흉부 및 복부 관련 증상 | (5) | 숨쉬기 어려움 |
(6) | 질식되는 듯한 느낌 | |
(7) | 흉통이나 불편함 | |
(8) | 메스꺼움 혹은 복통 (예: 배가 뒤틀리는 듯함) | |
뇌 및 정신 관련 증상 | (9) | 아찔함, 휘청거림, 실신감, 어지러움 |
(10) | 사물이 비현실적이거나(비현실감) 자신이 어딘가 동떨어져 있거나 이곳에 있지 않다는 느낌(이인감) | |
(11) | 통제 상실, 미칠 것 같은 느낌, 졸도할 것에 대한 두려움 | |
(12) | 죽음에 대한 두려움 | |
일반 증상 | (13) | 열감 혹은 냉감 |
(14) | 마비 혹은 쑤시는 느낌 | |
긴장 증상 | (15) | 근육 긴장 혹은 쑤시고 아픔 |
(16) | 안절부절못하고 이완되지 못함 | |
(17) | 상기되거나 안달나거나 정신적 긴장을 느낌 | |
(18) | 인후에 응어리가 있는 느낌 혹은 삼키기 어려움 | |
기타 증상 | (19) | 작은 일에도 지나치게 과민하게 반응하거나 놀라함 |
(20) | 걱정이나 불안으로 집중 혹은 마음 비우기가 어려움 | |
(21) | 지속적인 신경질 | |
(22) | 걱정으로 인한 수면의 어려움 |
미국정신의학협회가 1980년에 발간한 DSM-III에서 범불안장애(GAD)가 처음으로 진단 기준에 포함되었다.[24] DSM-III에서는 통제하기 어렵고 광범위한 불안이나 걱정이 과도하고 비현실적으로 1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고 정의했다. 그러나 범불안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범불안장애가 독립적인 장애가 아니라 주요 우울증의 한 증상으로 보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도 있었다.[25]
범불안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0] 30대 주부 L씨의 사례처럼, 왠지 모를 불안감과 초조함이 지속되며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걱정하는 것이 범불안장애의 전형적인 증상이다.[170]
C. 공황장애(F41.0), 공포성 불안장애(F40.-), 강박장애(F42.-), 건강염려성 장애(F45.2)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야 한다.
D.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제기준은 갑상선항진증과 같은 신체적 장애, 기질정신장애(F0), 암페타민 과도 복용이나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상과 같은 정신활성물질관련장애(F1)로 인하여서 지속되는 것이 아니다.[173]
3. 진단 기준의 역사
DSM-III-R까지는 범불안장애의 진단적 특징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많았다.[26] 이후 범불안장애와 다른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DSM-III-R에서는 진단 기준 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변경했다.[27]
DSM-IV에서는 '과도한 걱정'의 정의를 바꾸고, 진단에 필요한 관련 정신 생리적 증상의 수를 변경했다.[25] 또한, "자주" 발생하는 증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하고,[28] 범불안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걱정을 조절하기 어려워야 한다는 점을 추가했다.
DSM-5에서는 과도한 걱정이 더 많은 날에 발생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주제에 걸쳐 나타나야 함을 강조했다.[26]
이처럼 범불안장애 진단 기준은 계속 변화해 왔기 때문에 유병률이나 발생률 같은 역학적 통계를 평가하기 어렵고, 연구자들이 이 장애의 생물학적, 심리적 원인을 밝히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범불안장애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 약물을 개발하는 것도 더 어려워졌으며, 이로 인해 범불안장애는 SSRI로 과도하게 치료받는 경향이 있었다.[26]
4. 위험 요인
4. 1. 유전, 가족, 환경
가족 연구 및 쌍둥이 연구를 통해 범불안장애의 유전적 연관성이 밝혀졌다. 1촌 이내 친족에게서 범불안장애 발생 가능성이 높고, 중증우울장애(MDD)와의 유전적 연관성도 보고되었다.[9][31] 범불안장애 환자에게서 중증우울장애가 함께 나타날 확률은 60% 정도로 분석된다.[32] 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등 다른 불안장애와 비교했을 때, 유전자 연구에서 불안장애 유발에 기여하는 유전적 요소는 30-40%에 불과하며,[9][31] 이는 환경적 요소가 범불안장애 발달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불안 관련 행동, 스트레스 유발 사건, 아동기 외상,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9] 특히 부모의 양육 방식은 자녀의 불안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불안 관련 행동을 모방하거나 과잉보호, 통제적인 양육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범불안장애 발병 위험이 높을 수 있다.[9]
편도체 등 잠재적 위협을 감지하는 뇌 조직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불안장애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전달물질수용체에 관여하는 유전자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34] 범불안장애 유발과의 관계 또는 치료 반응과 관련하여 연구된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과도한 스크린 타임, 몰아보기, 인터넷 중독, 노모포비아(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해지는 증상) 등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정신 건강 간의 연관성도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불안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4. 2. 유전자 연구
범불안장애와 관련된 특정 유전자를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학계에서는 범불안장애의 근본 요인으로서 유전적 요소가 존재함을 인정하지만, 아직 특정 유전자가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유전적 요소는 범불안장애 발병 위험을 높이거나, 뇌 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거나, 특정 치료 방식에 대한 반응에 관여한다고 여겨진다.
범불안장애의 유전적 기반을 규명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가족 연구와 쌍둥이 연구가 있다. 메타분석 결과, 유전적 요소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으며, 범불안장애는 1촌 이내 친족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쌍둥이 연구에서는 범불안장애와 중증우울장애 간의 유전적 연결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는 중증우울장애가 범불안장애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불안장애 환자가 중증우울장애도 함께 가지고 있을 확률은 60% 정도로 분석된다. 유전자 연구에서는 불안장애 유발에 있어 유전적 요소가 공헌하는 비율은 30-40%에 불과하며, 환경적 요소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범불안장애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적 인자에 대한 연구에서는, 편도체와 같은 뇌조직, 그리고 불안장애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전달물질수용체에 관여하는 유전자 간의 관계를 규명해 왔다. 특히, 다음과 같은 유전자들이 범불안장애 유발과의 관계 및 치료 반응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5. 병태 생리
범불안장애의 병태생리는 유전학과 신경학적 구조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활발하고 진행 중인 연구 분야이다.[9] 범불안장애는 편도체의 기능적 연결성 변화 및 공포와 불안 처리와 연관되어 있다.[35] 감각 정보는 기저외측핵 복합체(외측, 기저 및 부속 기저 핵으로 구성)의 핵을 통해 편도체로 들어간다.[35] 기저외측핵 복합체는 감각과 관련된 공포 기억을 처리하고 위협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내측 전전두피질과 감각 피질과 같은 기억 및 감각 처리와 관련된 뇌의 다른 영역으로 전달한다.[35] 불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여겨지는 신경학적 구조는 편도체, 섬엽 및 안와전두피질(OFC)을 포함한다.[9] 이러한 신경학적 구조 중 하나 이상에서 변화가 생기면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이 범불안장애가 없는 개인에 비해 감정적 자극에 대해 더 큰 편도체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널리 추정된다.[9]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은 범불안장애가 없는 개인보다 자극에 대한 편도체와 내측 전전두피질(mPFC) 활성화가 더 큰 것으로 제시되었다.[9] 그러나 편도체와 전두 피질(예: 전전두피질 또는 안와전두피질[OFC]) 사이의 정확한 관계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는데,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전두 피질의 활동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이다.[9] 따라서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의 편도체와 관련된 전두 피질에 대한 이해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이 범불안장애가 없는 개인의 편도체보다 더 민감한 편도체를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전두 피질의 과잉 활동이 다양한 자극에 대한 편도체의 반응성 변화를 유발하는지는 열린 질문이다.[9] 최근 연구에서는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에게서 더 활성화되거나 덜 활성화될 수 있는 전두 피질의 특정 영역(예: 배내측 전전두피질[dmPFC])이나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에게서 다르게 관련될 수 있는 특정 네트워크를 식별하려고 시도했다.[9][35] 다른 연구에서는 범불안장애가 있는 개인의 활성 패턴이 동일 연령대의 범불안장애가 없는 개인과 비교하여 다른지(예: 범불안장애가 있는 청소년의 편도체 활성화)를 조사한다.[9]
6. 치료
범불안장애 치료는 크게 심리치료와 약물치료로 나뉜다.[174] 이외에도 보완대체의학(CAM), 뇌 자극, 운동, 마사지 치료, 기타 추후 연구가 필요한 치료법이 있다.[175]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반복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환자는 심리치료나 정신치료, 약물치료를 받을 수 있다.[176] 인지행동치료(CBT)와 같은 심리치료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같은 약물들이 모두 불안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177] 극도의 불안을 줄여주는 약물은 환자가 인지행동치료를 잘 받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전통적인 치료 방식은 정신 치료적 개입과 약물학적 개입으로 나뉜다.[14] 이 두 가지 외에도 보완 및 대체 의약품(CAMs), 뇌 자극, 운동, 치료 마사지 등이 연구되고 있다.[36]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의 범불안장애 가이드라인에서는 1단계에서 저강도 심리 치료를 제시하고 있으며, 환자가 선호하는 것을 선택한다.[14]
- 개인 단위, 시설 외 자가 관리 (CBT 이론 기반 읽을거리 등)
- 개인 단위 지원과 함께하는 자가 관리 (훈련받은 의료 종사자 지원)
- CBT 이론 기반 집단 정신 교육 (환자 12명당 1명의 의료 종사자 배치)
이러한 방법들이 효과를 보이지 않을 경우, 고강도의 개인 단위 심리 치료 또는 약물 치료를 실시한다.[14] 이러한 치료들 또한 효과가 없을 경우, 전문 팀에 의뢰해야 한다.[14]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감소, 이완, 수면 위생을 지키고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를 줄이는 것은 불안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신체 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신체 활동은 불안 장애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104]
6. 1. 심리치료
범불안장애 치료에는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이 활용된다.[174] 심리치료는 의식과 무의식의 활동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하거나, 인지와 행동 간의 관계에 주목하는 다양한 형태의 치료법을 포함한다.[178][179][176] 이러한 심리치료는 개인 혹은 집단 치료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개인 치료와 집단 치료 모두 범불안장애에 효과적이지만, 개인 치료가 장기적인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176]- 정신역동치료: 프로이트학파 심리학에 기반한 치료법으로, 환자가 무의식 속 갈등을 해소하도록 돕는다. 범불안장애에서는 분노나 적개심 같은 감정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이 걱정을 방어기제로 사용한다고 본다. 따라서 걱정의 본질을 탐색하고, 무의식적 행동을 변화시켜 증상을 줄이고자 한다. 단기불안유발심리치료(STAPP)와 같은 변형 치료법도 있다.[41]
- 행동치료: 불안이 고전적 조건형성을 통해 습득되고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유지된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부정적 경험을 회피하는 행동을 통해 불안을 피하려는 경향을 교정하고, 조건반응이나 공포, 불안을 재학습하도록 돕는다.
- 인지치료: 불안이 부적응적 신념이나 사고방식의 결과라는 전제에 기반한다. 인지적 왜곡과 같은 부적응적 사고 패턴을 건강한 사고 패턴으로 대체하도록 돕는다. 환자는 객관적 증거를 찾고, 부적응적 사고 패턴에 도전하며, 건강한 사고 패턴을 배우는 과정을 거친다.
- 수용전념치료(ACT): 수용기반모델에 기반한 행동치료이다. 감정, 사고, 기억, 감각을 회피하는 전략을 줄이고, 사고에 대한 축자적 반응을 줄이며, 행동 변화에 대한 전념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 수용 기술 등을 가르치며, 약물치료와 병행하면 효과가 더 커진다.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치료(IUT): 불확실하고 모호한 사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줄이는 치료법이다. 인생의 불확실성을 견디고, 다루고, 수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심리교육, 걱정 인지, 문제해결 훈련, 걱정의 유용성 재평가, 가상 노출, 불확실성 인식, 행동 노출 등의 기법을 활용한다.
- 동기강화상담(MI): 환자의 내적 동기를 증폭하고 변화에 대한 모순 감정을 줄이는 환자 중심 치료법이다. 공감 표현, 갈등 고양, 저항, 자기효능감 고양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변화의 장단점을 논의한다. 인지행동치료(CBT)와 병행하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 인지행동치료(CBT): 범불안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심리치료로, 인지치료와 행동치료를 결합한 것이다.[180] 불안을 일으키는 비이성적 사고를 파악하고, 인지 기법을 통해 역기능적 사고 패턴에 도전하는 것이 목표이다. 불안 다루기 훈련, 인지 재구축, 단계적 이완, 상황적 노출, 자아 통제 둔화 등 다양한 개입 기법을 활용한다.
- 기타 치료법:
- 이완 기법 (예: 이완 심상법, 명상 이완)
- 메타인지치료(MCT): 걱정에 관한 사고 패턴을 바꾸어 걱정이 대처 전략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 마음챙김기반스트레스경감(MBSR)
- 마음챙김기반인지치료(MBCT)
- 지지치료: 치료자가 환자에게 공감과 수용을 보이는 칼 로저스 학파의 방식이다. 게슈탈트 치료, 교류분석, 카운슬링 등이 있다.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의 GAD 가이드라인에서는 1단계에서 저강도 심리 치료를 제시하며, 환자가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 개인 단위, 시설 외 자가 관리 (CBT 이론 기반 읽을거리 등)
- 개인 단위 지원과 함께하는 자가 관리 (훈련받은 의료 종사자 지원)
- CBT 이론 기반 집단 정신 교육 (환자 12명당 1명의 의료 종사자 배치)
이러한 방법이 효과가 없으면 고강도 개인 단위 심리 치료 또는 약물 치료를 실시하고,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전문 팀에 의뢰한다.
메타분석에 따르면, 인지 행동 치료는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146] 인지 행동 치료에서는 환자가 "사고와 걱정은 자신의 머릿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현실이 아니다"라는 것을 깨닫도록 돕거나(인지에 대한 작용),[147][148] 걱정과 관련 없는 즐거운 활동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지원한다(행동에 대한 작용).[149]
노출 요법을 통해 "불안한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을 하지 않아도 걱정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배우도록 돕는 것도 효과적이다.[150][151] 마음챙김 기법으로 현재에 집중하도록 돕거나, 수용 기법으로 노출 요법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돕기도 한다.[152][153][154]
노출 요법(행동 실험적 요소 포함)은 회피 행동이나 걱정 행동을 멈추고, "회피 행동을 하지 않아도 두려운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걱정 행동과 실제 일어나는 일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을 체감하여 공포감을 줄이도록 돕는다.[155]
주의 전환 훈련은 머릿속 걱정에 쏠린 주의를 현실 세계로 돌리도록 돕는 기법이다. 취미 활동 등을 통해 불안감을 줄일 수 있다.[156]
범불안장애 및 우울증 환자는 과거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면 판단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인지 행동 치료는 실패가 아닌 과거의 성공에 집중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돕는다.[157]
6. 2. 약물치료
범불안장애 치료에는 다양한 약물이 사용된다.[174][175][176] 극심한 불안을 줄여주는 약물은 환자가 인지행동치료를 잘 받게 하는 데 중요하다.[177]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와 같은 항우울제는 성인의 범불안장애 치료의 주류가 되었다.[37][38] 벤조디아제핀은 투여 직후 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의존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61]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한 범불안장애 치료제는 다음과 같다.[40][37][34][62][63][64]
약물 종류 | 약물명 |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 파록세틴, 에스시탈로프람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 벤라팍신, 둘록세틴 |
벤조디아제핀 | 알프라졸람 |
아자피론 | 부스피론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세로토닌 재흡수 수용체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킨다.[74]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역질, 성 기능 장애, 두통, 설사, 변비, 안절부절못함, 젊은 성인 및 청소년의 자살 위험 증가 등이 있다.[78]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 내 농도를 증가시킨다.[81] SNRI의 공통 부작용으로는 불안, 안절부절못함, 메스꺼움, 체중 감소, 불면증, 어지러움, 졸음, 발한, 구강 건조, 성 기능 장애 및 쇠약 등이 있다.[90]
프레가발린은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에 작용하여 글루탐산, 노르에피네프린, 물질 P와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을 감소시킨다. 약물 내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효과를 보이며, 수면 구조를 방해하지 않고 덜 심각한 인지 및 정신 운동 장애를 일으킨다.[98][99]
벤조디아제핀은 즉효성 항불안제이지만, 내성, 정신 장애, 인지 기억 장애, 신체적 의존,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후군이 형성되므로 장기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159][160]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는 단기간의 위기 개입 사용을 제외하고는 벤조디아제핀을 처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6. 3. 보완대체의학 (CAM)
보완 대체 의학(CAM)은 범불안장애 환자들에게 널리 사용되지만, 그 효과에 대한 증거는 없거나 다양하다.[36] CAM 약물에 대한 효능 시험은 안전성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편견과 낮은 품질의 보고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36]효능과 관련하여 비평가들은 CAM 시험이 때때로 CAM을 알려진 약물과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효능을 주장하며, 이후 조사자들이 피험자 간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CAM과 약물 간의 동등성을 시사하는 데 사용된다고 지적한다. 이는 증거 부족을 효능에 대한 긍정적인 주장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차이 없음" 주장은 효능에 대한 적절한 주장이 아니다.[36] 또한 CAM 화합물에 대한 엄격한 정의와 표준이 부재하면 범불안장애 치료에 대한 CAM 효능에 관한 문헌이 더욱 부담스러워진다.[36]
범불안장애 또는 범불안장애 증상 치료 가능성에 대해 학술적으로 연구된 CAM과 학술적 연구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CAM 종류 | 연구 결과 요약 |
---|---|
카바 카바(Piper methysticum) 추출물 | 메타 분석 결과,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적어 결론이 나지 않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 카바 추출물의 효능을 시사하지 않는다.[36] 6건의 임상 시험에서 대상자의 거의 4분의 1(25.8%)이 카바 카바 추출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했다.[36] 카바 카바는 간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64] |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추출물 | 소규모의 다양한 연구에서 위약 또는 다른 약물에 비해 어느 정도 효능을 시사할 수 있으며, 효능 주장은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고 간주된다.[36][40] |
갈피미아 글라우카(Galphimia glauca'') 추출물 | 로라제팜과 비교하는 두 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RCT)이 있었지만, 효능 주장은 "매우 불확실"하다고 간주된다.[36] |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추출물 | 품질이 좋지 않은 시험에서 효능을 시사할 수 있는 경향이 있지만 효능 주장을 확립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6] |
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와 에스콜지아 캘리포르니카(Eschscholzia californica) 추출물을 마그네슘과 혼합 | 위약과 비교한 단일 12주 시험을 통해 효능을 시사했다. 그러나 효능 주장은 확인 연구가 필요하다.[36] 추출물로 인해 부작용을 경험한 소수의 피험자의 경우, 대부분의 부작용은 위장관(GIT) 불내성을 시사했다.[36] |
에키움 아모에눔(Echium amoenum'') 추출물 | 단일 소규모 시험에서 이 추출물을 플루옥세틴 보충제로 사용했다(플루옥세틴을 보충하기 위해 위약 사용 대비). 효능 주장을 입증하려면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36] |
가미소요산 | 위약과 비교한 이 한약 혼합물에 대한 소규모 시험에서는 위약에 비해 약초 혼합물의 효능을 시사하지 않았지만, 효능 부재에 대한 확정적인 결론을 내리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6] |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 추출물 | 효능 또는 벤조디아제핀 동등성에 대한 주장은 "매우 불확실"하다고 간주된다.[36] |
발레리안(Valeriana) 추출물 | 단일 4주 시험에서 발레리안 추출물이 범불안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하지만, 벤조디아제핀 디아제팜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에 효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간주된다.[36] 추가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36] |
범불안장애 또는 범불안장애 증상 치료에 잠재력이 있어 학문적으로 연구된 다른 양상들은 다음과 같다.
- 침술: 단일의 매우 작은 규모의 연구에서 효능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연구 설계의 결함으로 인해 효능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기되었다.[36]
- 온천 요법: 단일의 비맹검 연구에서 파록세틴에 비해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효능 주장은 확인이 필요하다.[36]
- 치료 마사지: 단일의 소규모의, 편향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연구에서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36]
- 저항 운동과 유산소 운동: 무(無) 치료와 비교했을 때, 단일의 소규모의, 대표적이지 않을 수 있는 연구에서 범불안장애 관해 및 걱정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36]
- 중국식 사혈 요법: 파록세틴에 추가했을 때, 비교를 위한 가짜 시술(sham procedure)이 없는 단일의 소규모의 부정확한 연구에서 4주차에 효능을 보였다. 그러나 이 기술을 가짜 시술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36]
- 물에 뜨기: 무(無) 치료와 비교했을 때, 단일의 부정확한 비맹검 연구에서 효능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36]
- 스웨덴 마사지: 가짜 시술과 비교했을 때, 단일의 연구에서 효능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즉,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36]
- 아유르베다 약물: 단일의 비맹검 연구에서는 아유르베다 약물이 범불안장애 치료에 효과적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36]
- 다(多)종교 정신 기반 중재: 단일의 소규모, 비맹검 연구에서는 효능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36]
6. 4. 생활 습관 관리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감소, 이완, 수면 위생을 지키고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를 줄이는 것은 불안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신체 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신체 활동은 불안 장애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104]7. 물질과 불안의 관계
특정 물질 사용이나 금단은 불안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40] 벤조디아제핀은 범불안장애(GAD) 환자에게 불안 완화를 제공할 수 있지만, 벤조디아제핀 금단은 발한 및 떨림과 같은 다른 부작용과 함께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40]
흡연자는 담배 금단 증상으로 불안을 느낄 수 있으며,[107]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불안을 악화시키고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08] 장기간의 벤조디아제핀 사용은 불안을 악화시키며,[139][140] 벤조디아제핀 감량은 불안 증상 완화로 이어진다는 증거가 있다.[141] 마찬가지로, 알코올 장기 사용은 불안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142] 장기간 금주는 불안 증상 개선으로 이어진다는 증거가 있다.[143]
1988~1990년에 영국의 정신 병원에서 공황 장애, 사회 불안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알코올 또는 벤조디아제핀 의존이었다. 이들의 불안 증상은 초기 금단 단계에서 악화되었지만, 벤조디아제핀과 알코올을 끊으면서 사라졌다. 벤조디아제핀이나 알코올 의존 전에 있던 불안은 의존으로 인해 유지되고 더욱 악화되었다. 벤조디아제핀 회복은 알코올 회복보다 시간이 더 걸리는 경향이 있지만, 결국 이전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144]
8. 동반 질환
범불안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우울증, 스트레스 관련 질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물질 사용 장애 등이 범불안장애와 흔히 동반된다. 이러한 동반 질환은 범불안장애 증상을 악화시키고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범불안장애와 동반 질환 치료에는 인지 행동 치료(CBT)와 동기 강화 상담(MI) 결합이 효과적일 수 있다.[45] 동기 강화 상담은 환자의 치료 동기를 높이고 변화에 대한 양가감정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약물 치료는 동반 질환에 따라 달라지는데, 우울증과 불안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단시간 작용 벤조디아제핀(BZD)을 사용하지만, 물질 사용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BZD 사용을 피해야 한다.[114]
8. 1. 우울증
주요 우울 장애(MDD)는 범불안장애와 가장 흔하게 동반되는 질환이다.[109] 지속성 우울 장애(PDD)도 범불안장애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난다.[111] 혼합 불안-우울 장애로 진단될 수도 있지만, 이는 불안정한 진단으로 간주된다.[111] 범불안장애와 우울증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증상이 더 심각하고 치료 반응이 낮으며 사회적 기능이 더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110]8. 2. 기타 동반 질환
범불안장애는 근육 긴장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같은 스트레스 관련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16] 불면증, 두통, 통증, 대인 관계 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불안 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는 ADHD 환자에게서 일반 인구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117] ADHD 환자의 약 20~40%가 범불안장애를 겪으며, 이는 ADHD 환자에게 가장 흔한 불안 장애이다.[118]
범불안장애 환자의 알코올 중독 유병률은 30~35%이며, 다른 물질 사용 장애의 경우 25~30%의 동반 질환 유병률을 보인다.[119] 범불안장애와 물질 사용 장애를 모두 가진 사람은 다른 동반 질환에 대한 평생 유병률도 더 높다.[119]
9. 역학
범불안장애(GAD)는 성인의 약 3~6%, 아동 및 청소년의 약 5%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40][65] 아동의 경우 3%, 청소년의 경우 10.8%로 추정치가 다양하다.[121] 범불안장애가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날 경우, 일반적으로 8~9세경에 시작된다.[122]
일반적으로 ICD-10 진단 기준이 DSM-5보다 더 포괄적이므로, 유병률 및 평생 위험에 대한 추정치는 ICD-10을 사용할 때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9] 미국[17]과 유럽의 성인 중 약 2%가 특정 연도에 범불안장애를 겪으며,[18][19] 평생 동안 범불안장애가 발생할 위험은 9.0%로 추정된다.[17] 범불안장애는 여성에게 남성보다 두 배 더 자주 진단되며,[20][9] 별거, 이혼, 실업,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 등과 같은 특정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다.[123][9]
범불안장애는 공황 장애보다 3~4배 더 흔하며, 1000명당 64명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드문 질병은 아니다. 10대 중반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정신과 진료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받는 경우가 많다.
9. 1. 국가별 유병률
미국에서는 특정 연도에 18세 이상 인구의 약 3.1%(약 )가 범불안장애를 겪는다.[18] 2019년에는 성인의 5.9%가 범불안장애의 영향을 받았다.[130]다른 국가의 유병률은 다음과 같다.
영국의 범불안장애(GAD) 평생 유병률은 5.7% 정도이다.[145] 범불안장애는 공황 장애 환자 수보다 3~4배 많으며, 1000명당 64명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드문 질병은 아니다.
10. 사회적 인식 및 지원
범불안장애는 단순한 걱정이나 예민함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하지만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은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
논문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9-04-02
[3]
논문
Anxiety
2016-06-24
[4]
웹사이트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s://www.who.int/[...]
Microsoft Word
2021-06-23
[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6]
웹사이트
What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8-05-28
[7]
논문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8]
웹사이트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hen Worry Gets Out of Control
https://www.nimh.nih[...]
2019-05-30
[9]
서적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comprehensive clinical psychiatry
Elsevier
2015-02-13
[10]
논문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1]
논문
Establishing a common metric for self-reported anxiety: linking the MASQ, PANAS, and GAD-7 to PROMIS Anxiety
2014-01
[12]
논문
Depression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s://jamanetwork.[...]
[13]
논문
A GABAergic projection from the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to the nucleus of the solitary tract: a combined anterograde tracing and electron microscopic immunohistochemical study
https://www.scienced[...]
2000-08-23
[14]
논문
In the clin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3-12-03
[15]
간행물
EPAR summary for the public (Lyrica/pregabalin)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0
[16]
논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link.springer[...]
2018-03
[17]
논문
Twelve-month and lifetime prevalence and lifetime morbid risk of anxiety and mood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2012-09
[18]
웹사이트
The Numbers Count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7-05-28
[19]
논문
The epidemiolog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Europe
[20]
서적
Psychia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1]
논문
DSM-5 reviewed from different angles: goal attainment, rationality, use of evidence, consequences—part 2: bipolar disorders, schizophrenia-spectrum disorders, anxiety disorder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neurocognitive disorders
2014-08-26
[22]
문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0
[23]
웹사이트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https://www.who.int/[...]
WHO
[24]
논문
The Histor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 a Diagnostic Category
2017-06-01
[25]
논문
The Epidemiolog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01-03-01
[26]
서적
Psychopathology: History, Diagnosis, and Empirical Foundations
John Wiley & Sons, Inc.
[27]
논문
DSM-III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more stringent criteria
1985-07
[28]
논문
Reliability and clinical validity of UM-CIDI DSM-III-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995-03
[29]
논문
Anxiety
2016-12-17
[30]
서적
Clinical Handbook of Anxiety Disorders: From Theory to Practice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
[31]
논문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genetic epidemiology of anxiety disorders
2001-10
[32]
논문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http://eprints.white[...]
2016-11
[33]
논문
Impairment in pure and comorbi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at 12 months in two national surveys
1999-12
[34]
논문
Long-Term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Anxiety Disorder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2016-03
[35]
논문
Disrupted Amygdalar Subregion Functional Connectivity and Evidence of a Compensatory Network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36]
논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8-03-01
[37]
논문
Psychological therapie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2007-01-24
[38]
논문
Pharmacotherapy of Anxiety Disorders: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Options
https://vitaliboost.[...]
2023-07-13
[39]
논문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rimary care
http://www.wfsbp.org[...]
2015-11-24
[40]
논문
Pharmaco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an evidence-based treatment review
2018-07
[41]
서적
Clinical handbook of anxiety disorders: from theory to practice
Humana Press
2020
[42]
논문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5-07
[43]
논문
Expanding Our Conceptualization of and Treatment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tegrating Mindfulness/Acceptance-Based Approaches with Existing Cognitive-Behavioral Models
[44]
논문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pathways for general practitioners
[45]
논문
Psycho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1-02
[46]
논문
Cognitive behavioral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preliminary meta-analysis
1997
[47]
논문
Internet-Deliver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Nationwide Routine Care: Effectiveness Study
[48]
논문
A comparison of emotion-focused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Results of a feasibil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doi.apa.org/g[...]
2022-03
[49]
논문
The effect of sandplay therapy on the thalamus in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case report.
http://doi.apa.org/g[...]
2020-10
[50]
논문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in treat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tients with childhood trauma using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o examine choline level i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centrum semiovale.
http://doi.apa.org/g[...]
2021-07
[51]
논문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https://www.psychiat[...]
2021-09-22
[52]
논문
Affective outcomes of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and specific phobias: a meta-analysis
2008-09
[53]
문서
Instead of teaching patients to resist, control or "fix" their fear or anxiety, exposure is used to promote 'fear tolerance' given that fear and anxiety are universal, inevitable and safe.
[54]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practitioners' use of exposure therapy for childhood anxiety disorders
2016-05
[55]
논문
Current theoretical model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conceptual review and treatment implications
2009-12
[56]
서적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Springer
2016
[57]
논문
Internet-delivered interpretation training reduces worry and anxiety in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
http://doi.apa.org/g[...]
2021-07
[58]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https://discovery.uc[...]
[59]
논문
Comparative Remission Rates and Tolerability of Drug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f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60]
뉴스
An Anxious History of Valium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3-11-16
[61]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zodiazepine dependence
2005-05
[62]
문서
Escitalopram Oxalate: Mechanism of Action.
[63]
문서
Venlafaxine Hydrochloride: Mechanism of Action.
[64]
논문
An effect-size analysis of pharmacologic treatment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07-11
[65]
논문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ith pregabalin, an atypical anxiolytic
2007-04
[66]
논문
Pregabalin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2FYIC.0000000000000147
2017-01
[67]
논문
Is there a role for agomelatine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A review of published data
[68]
논문
Agomelatin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active comparator and placebo-controlled study
[69]
논문
Efficacy of Agomelatine 25-50 mg for the Treatment of Anxious Symptoms and Functional Impairment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Meta-Analysis of Three Placebo-Controlled Studies
[70]
논문
Efficacy of agomelatin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71]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agomelatine (10 or 25 mg/day) in non-depressed out-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12-week,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72]
논문
Noradrenergic functio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mpact of treatment with venlafaxine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clonidine challenge
2011-01
[73]
웹사이트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www.mayoclini[...]
2007-05-29
[74]
논문
Clinical effects of pharmacological variations in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 overview
2005-12
[75]
논문
Relapse prevention and residual symptoms: a closer 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continuation studies with escitalopram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76]
논문
Paroxetine: an update of its use in psychiatric disorders in adults
2002-01-01
[77]
웹사이트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and panic disorder in adults: management
https://www.nice.org[...]
2011-01-26
[78]
웹사이트
Antidepressant Medica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formation for Parents and Caregivers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5-09-01
[79]
논문
SSRI Antidepressant Medications: Adverse Effects and Tolerability
2001-02
[80]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tud.qucosa.de[...]
2019-12-02
[81]
논문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a pharmacological comparison
2014-03
[82]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eprints.soto[...]
2014-04-08
[83]
논문
Efficacy of drug treatment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www.bmj.com/[...]
2011-03-11
[84]
논문
An international survey of reported prescribing practic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2012-10
[85]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eprints.soto[...]
2014-04-08
[86]
논문
Canad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posttraumatic stress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2014
[87]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eprints.soto[...]
2014-04-08
[88]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duloxetine and venlafaxine in major depression, including unpublished data
2011-04
[89]
논문
Citalopram versus other anti-depressive agents for depression
2012-07-11
[90]
논문
Antidepressant efficacy and side-effect burden: a quick guide for clinicians
2015
[91]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eprints.soto[...]
2014-05
[92]
간행물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93]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vision of the 2005 guidelines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eprints.soto[...]
2014-04-08
[94]
논문
"[The serotonin syndrome: An updated literature review]"
2018-09-19
[95]
논문
Adverse reactions to duloxetine in depression
2011-11
[96]
Plain English summary
Review finds little evidence to support gabapentinoid use in bipolar disorder or insomnia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10-17
[97]
논문
Gabapentin and pregabalin in bipolar disorder, anxiety states, and insomni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rationale
2022-03
[98]
논문
Pregabalin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novel pharmacologic intervention
[99]
논문
Pregabalin: Its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profile in generalized anxiety
[100]
논문
Pregabalin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01]
서적
Bipolar Depression: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
2007-04-02
[102]
서적
Anxiety Disorders: A Guide for Integrating Psychopharmacology and Psychotherap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13
[103]
서적
Oxford Handbook of Practical Drug Therap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1-10
[104]
논문
The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the 2-year course of depressive and/or anxiety disorders.
[105]
뉴스
Humans Were Born to Run, Fossil Study Suggest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24-02-25
[106]
논문
Selection on the regulation of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 humans and chimpanzees
https://doi.org/10.1[...]
2018
[107]
논문
Anxiety, anxiety disorders, tobacco use, and nicotine: a critical review of interrelationships
2007-03
[108]
논문
Caffeine abstention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2009
[109]
논문
Depression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07
[110]
논문
Anxiety disorders in older adults: A comprehensive review
2010
[111]
논문
Mixed anxiety–depression in a 1 year follow-up study: shift to other diagnoses or remission?
https://tud.qucosa.d[...]
2004-04
[112]
논문
Attentional networks in co-occurr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disorder: Towards a staging approach to the executive control deficits
2022
[113]
논문
Sleep problems as a transdiagnostic hub bridging impaired attention control, generalized anxiety, and depression
2022
[114]
논문
Anxiety Disorders with Comorbid Substance Use Disorders: Diagnostic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2008-11
[115]
논문
Internalizing disorders and leukocyte telomere erosion: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o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http://www.moffittca[...]
2014-04-21
[116]
논문
Irritable bowel syndrom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community study
2009
[11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05-22
[118]
웹사이트
Access
http://www.medscape.[...]
2013-01-15
[119]
간행물
Anxiety Disorders With Comorbid Substance Abuse''
http://www.psychiatr[...]
Psychiatric Times''
2011-09-06
[120]
논문
Comorbidit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s among individuals seeking outpati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2010
[121]
서적
Child Psychopathology
Guilford Press
2003
[122]
논문
Pediatr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epidem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009
[123]
논문
Socioeconomic correlate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The GADIS II study (Generalized Anxiety and Depression Impact Survey II)
2007-06-26
[124]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mong African Americans, Afro Caribbeans, and non-Hispanic Whites
2011-03
[125]
논문
Anxiety disorders research with African Americans: Current status
1991-05
[126]
서적
Psychology
Worth, Incorporated
2011
[127]
논문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2005
[128]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co-morbidity, and comparative disability of DSM-IV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the USA: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https://zenodo.org/r[...]
2005
[129]
서적
Crash Course Psychiatry
Elsevier Ltd
2004
[130]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www.mentalhe[...]
2018-12-19
[131]
뉴스
Relating the burden of anxiety and depression to effectiveness of treat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32]
웹사이트
The burden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Canada - HPCDP: Volume 37-2, February 2017
https://www.canada.c[...]
2018-12-19
[133]
웹사이트
Anxiety Disorders: Background, Anatomy, Pathophysiology
http://emedicine.med[...]
2016-12-01
[134]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35]
웹사이트
The Numbers Count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36]
논문
The epidemiolog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Europe
2005
[137]
간행물
In The Clin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3
[138]
논문
The clinical course and long-term manage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990
[139]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American Psychiatric Press Textbook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8-07-01
[140]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zodiazepine dependence
http://www.benzo.org[...]
2005
[141]
서적
The Handbook of Clinical Adult Psyc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07-28
[142]
간행물
Understanding the health impact of alcohol dependence
2007-03
[143]
간행물
Psychopathology of alcoholics during withdrawal and early abstinence
[144]
간행물
Alcohol and benzodiazepines generate anxiety, panic and phobias
1995-02
[145]
보고서
CG123 - Common mental health disorders: Identification and pathways to care
http://www.nice.org.[...]
영국국립의료기술평가기관
2011-04
[146]
간행물
Psychological therapie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147]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2012"
[148]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2012"
[149]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2012"
[150]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2012"
[151]
서적
認知行動療法入門--短期療法の観点から--
金剛出版
"2004"
[152]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2012"
[153]
간행물
【原著】注意制御、マインドフルネス、脱中心化が心配へ及ぼす影響
https://doi.org/10.2[...]
"2013"
[154]
서적
マインドフルネス & アクセプタンス--認知行動療法の新次元--
ブレーン出版
[155]
서적
認知行動療法における事例定式化と治療デザインの作成--問題解決アプローチ--
星和書店
"2008"
[156]
간행물
全般性不安障害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の不安とその対応
[157]
웹사이트
Focusing on past successes can help you make better decisions
https://www.health.h[...]
2021-04-01
[158]
웹사이트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7-05-29
[159]
간행물
WCA recommendations for the long-term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03-08
[160]
간행물
Benzodiazepine side-effects: from the bench to the clinic
http://www.bentham-d[...]
[161]
간행물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http://publications.[...]
[162]
웹사이트
Läkemedelsbehandling vid ångest
http://www.lakemedel[...]
스웨덴의료제품庁
2011-12-19
[163]
보고서
Vejledning om ordination af afhængighedsskabende lægemidler
https://www.retsinfo[...]
2008-07-09
[164]
저널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9-04-02
[165]
저널
Anxiety
2016-06-24
[166]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67]
웹사이트
What I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8-05-28
[168]
저널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69]
웹인용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hen Worry Gets Out of Control
https://www.nimh.nih[...]
2019-05-30
[170]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6
[171]
문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p. 222. ISBN 978-0-89042-554-1.
[172]
문서
Möller, Hans-Jürgen; Bandelow, Borwin; Bauer, Michael; Hampel, Harald; Herpertz, Sabine C.; Soyka, Michael; Barnikol, Utako B.; Lista, Simone; Severus, Emanuel; Maier, Wolfgang (26 August 2014). "DSM-5 reviewed from different angles: goal attainment, rationality, use of evidence, consequences—part 2: bipolar disorders, schizophrenia-spectrum disorders, anxiety disorder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neurocognitive disorders".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65 (2): 87–106. doi:10.1007/s00406-014-0521-9. PMID 25155875. S2CID 24165894.
[173]
문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0
[174]
저널
In the clin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ttps://pubmed.ncbi.[...]
2013-12-03
[175]
저널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s://doi.org/10.1[...]
2018-03-01
[176]
저널
Psychological therapies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https://pubmed.ncbi.[...]
2007-01-24
[177]
저널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rimary care
http://www.wfsbp.org[...]
2015-11-24
[178]
저널
Pharmaco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an evidence-based treatment review
https://pubmed.ncbi.[...]
2018-07
[179]
서적
Clinical handbook of anxiety disorders : from theory to practice
https://www.worldcat[...]
Humana Press
2020
[180]
간행물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201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불안장애 진료받는 10대 4만 2천 명 육박…4년 만에 65% 증가
[바스리] 하이, 디지털 치료제 들고 한국 넘어 미국으로 – 바이라인네트워크
디지털치료제 전문기업 ‘하이’, 75억원 시리즈B 투자 유치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