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서셈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서셈어군은 원시 셈어에서 분화된 언어군으로, 기원전 3천 년 중반부터 증거가 나타난다.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람어는 제국 아람어로 사용되며 북서셈어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북서셈어는 아랍어와 비교하여 어두 *w의 변화, 명사 복수형 형성 방식, CVCC형 명사의 복수형 변화 등의 특징을 보인다. 가나안어군, 아람어, 우가리트어 등이 북서셈어군에 속하며, 아모리인 언어 역시 북서셈어군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북서셈어군
언어 정보
이름북서셈어군
다른 이름레반트어군
지역중동 집중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파
중앙셈어파
하위 언어
주요 언어아람어
카나안어
사멸 언어우가리트어
아모리어
사말어
남길르앗어
타이마어 ?

2. 역사적 발전

원시 셈어 또는 다른 셈어군으로부터 북서셈어가 언제 분화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리처드 C. 스타이너는 2011년에 북서셈어의 가장 초기 증거가 기원전 3천 년 중반 이집트 피라미드 텍스트의 뱀 주문에서 발견된다고 주장했다.[10] 기원전 3천 년 후반에서 2천 년 중반까지 아카드어와 이집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아모리트어 인명과 단어, 그리고 기원전 2천 년 전반의 원시 시나이 문자 비문들이 북서셈어의 초기 흔적을 구성한다. 기원전 14세기의 우가리트어는 완전하게 증명된 첫 번째 북서셈어이다.[11]

기원전 1천 년 초, 고대 식민지의 페니키아인들이 페니키아어를 지중해 전역으로 퍼뜨렸는데, 특히 오늘날의 튀니지에 있는 카르타고가 대표적이다. 페니키아 문자는 인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데,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아람 문자(정방형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아랍 문자, 게르만족의 룬 문자, 키릴 문자의 기원이자 조상이기 때문이다.

기원전 8세기부터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935–608년), 신 바빌로니아 제국(기원전 612–539년), 아케메네스 제국(기원전 539–332년)이 제국 아람어를 사용하면서 아람어가 레반트, 아라비아 반도 북부, 아나톨리아 남부를 포함한 북서셈어 지역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다른 북서셈어들을 대체하였다. 고대 유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아람어를 사용했고, 타나크의 일부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히브리어유대교의 전례 언어이자 학문의 언어로 보존되었고, 19세기에 부활하여 이스라엘현대 히브리어가 되었다.

7세기의 초기 무슬림 정복 이후 아랍어가 점차 이 지역에서 아람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고전 시리아-아람어는 오늘날 동방 아시리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칼데아 가톨릭 교회, 시리아 기독교 등 일부 동방 기독교 교회들의 전례 언어로 남아 있다. 이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한 중동 전역의 원주민들에 의해 현대 방언으로 사용되며, 유창한 화자는 약 1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주로 아시리아인, 영지주의 만다인, 말룰라와 주바딘의 아람인 (시리아인), 미즈라히 유대인이 사용한다. 레반트 아랍어와 메소포타미아 아랍어에는 아람어 기층어가 존재한다.

3. 특징

ḏanabuדנבא
danḇāזנב
zānāḇ꼬리*θ → ʃ𐎘𐎍𐎘
ṯalāṯuתלת
təlāṯשלש
šālōš셋*θ̣ → sˤ𐎑𐎍𐎍
ẓilluטללא
ṭillālāצל
ṣēl그림자



우가리트어는 *ṣ́ 음을 잃고 (ṣ)로 대체했다.

원시 북서셈어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원시 북서셈어 자음 음소
유형조음 방법성도순음치간음치경음설측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성문음
폐쇄음파열음무성음*p*t*k
강세*ṭ*q/ḳ*ʼ, ˀ
유성음*b*d*g
마찰음무성음*ṯ*s*ḫ*ḥ*h
강세*ṯ̣/θ̣/ẓ*ṣ*ṣ́/ḏ̣
유성음*ḏ*z*ġ/ǵ*ʻ, ˤ
공명음전동음*r
접근음*w*l*y
비음*m*n



원시 북서셈어에서 강조 자음은 인두음화되어 발음되었다. 강조 자음의 후두음화에서 후설음화로의 변화는 중앙 셈어의 혁신으로 여겨진다.[12]
형태론북서셈어군의 명사는 3개의 격(주격, 대격, 속격), 2개의 성(남성, 여성), 3개의 수(단수, 양수, 복수)를 가진다. 대명사는 2개의 성과 3개의 격을 가진다.

동사는 접미사 활용(완료)과 접두사 활용(미완료)을 통해 시제를 나타낸다. G-어근(기본)은 사건을 표현하며, 접미사 활용은 *qaṭal-a('그가 죽였다'), 접두사 활용은 *ya-qṭul-u('그가 죽일 것이다')와 같은 형태를 띤다. G-상태 동사는 상태를 표현하며, 접두사 활용은 *yi-kbad-u('그가 무거워질 것이다'), 접미사 활용은 *kabid-a('그가 무겁다/무거웠다/무거워질 것이다')와 같다.

N-어근(수동/중간태)은 접두사 *n(a)-로 표시되며, 수동, 중간, 상호 의미를 표현한다. D-어근(타동)은 두 번째 자음의 중복으로 표시되며, 타동사적 의미를 갖는다. C-어근(사역)은 *haqṭil- (구 *saqṭil-) 형태의 접미사 활용과 *-saqṭil- 형태의 접두사 활용으로 사역의 의미를 표현한다.

"내부 수동태 어근"(Gp, Dp, Cp)은 다른 모음 패턴을 통해 수동성을 표현한다. Gp 접두사 활용은 *yu-qṭal-u ('그가 죽임을 당할 것이다')로 재구성될 수 있다. 재귀 또는 상호 의미는 *t(Gt, Ct) 또는 t-어근(tD)으로 표현될 수 있다.

북서셈어 원시어 동사 어근은 다음과 같다.

북서셈어 원시어 동사 어근
G fientiveG 상태DC
완료*qaṭal-a*kabid-a*qaṭṭil-a*ha-qṭil-a
미완료*ya-qṭul-u*yi-kbad-u*yV-qaṭṭil-u*yVsa-qṭil-u
분사*qāṭil-um*kabid-um*mu-qaṭṭil-um*musa-qṭil-um
GpNDpCp
완료*quṭVl-a*na-qṭal-a*quṭṭVl-a*hu-qṭVl-a
미완료*yu-qṭal-u*yin-qaṭil-u*yu-qVṭṭal-u*yusV-qṭal-u
분사*qaṭīl-um, *qaṭūl-um*na-qṭal-um 또는 *mun-qaṭil-um?*mu-qVṭṭal-um*musV-qṭal-um
GttDCt
완료*qtaṭVl-a?*ta-qaṭṭVl-a*sta-qṭVl-a?
미완료*yi-qtaṭVl-u*yVt-qaṭṭVl-u*yVsta-qṭVl-u
분사*mu-qtaṭVl-um*mut-qaṭṭVl-um*musta-qṭVl-um


아랍어와의 차이점북서셈어군은 아랍어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14]

3. 1. 음운론

ḏanabuדנבא
danḇāזנב
zānāḇ꼬리*θ →𐎘𐎍𐎘
ṯalāṯuתלת
təlāṯשלש
šālōš셋*θ̣ →𐎑𐎍𐎍
ẓilluטללא
ṭillālāצל
ṣēl그림자



우가리트어는 *ṣ́ 음을 잃고 (ṣ)로 대체했다.

원시 북서셈어 자음 음소
유형조음 방법성도순음치간음치경음설측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성문음
폐쇄음파열음무성음*p*t*k
강세*ṭ*q/ḳ*ʼ, ˀ
유성음*b*d*g
마찰음무성음*ṯ*s*ḫ*ḥ*h
강세*ṯ̣/θ̣/ẓ*ṣ*ṣ́/ḏ̣
유성음*ḏ*z*ġ/ǵ*ʻ, ˤ
공명음전동음*r
접근음*w*l*y
비음*m*n



원시 북서셈어에서 강조 자음은 인두음화되어 발음되었다. 강조 자음의 후두음화에서 후설음화로의 변화는 중앙 셈어의 혁신으로 여겨진다.[12]

3. 2. 형태론

북서셈어군의 명사는 3개의 격(주격, 대격, 속격), 2개의 성(남성, 여성), 3개의 수(단수, 양수, 복수)를 가진다. 대명사는 2개의 성과 3개의 격을 가진다.

동사는 접미사 활용(완료)과 접두사 활용(미완료)을 통해 시제를 나타낸다. G-어근(기본)은 사건을 표현하며, 접미사 활용은 *qaṭal-a('그가 죽였다'), 접두사 활용은 *ya-qṭul-u('그가 죽일 것이다')와 같은 형태를 띤다. G-상태 동사는 상태를 표현하며, 접두사 활용은 *yi-kbad-u('그가 무거워질 것이다'), 접미사 활용은 *kabid-a('그가 무겁다/무거웠다/무거워질 것이다')와 같다.

N-어근(수동/중간태)은 접두사 *n(a)-로 표시되며, 수동, 중간, 상호 의미를 표현한다. D-어근(타동)은 두 번째 자음의 중복으로 표시되며, 타동사적 의미를 갖는다. C-어근(사역)은 *haqṭil- (구 *saqṭil-) 형태의 접미사 활용과 *-saqṭil- 형태의 접두사 활용으로 사역의 의미를 표현한다.

"내부 수동태 어근"(Gp, Dp, Cp)은 다른 모음 패턴을 통해 수동성을 표현한다. Gp 접두사 활용은 *yu-qṭal-u ('그가 죽임을 당할 것이다')로 재구성될 수 있다. 재귀 또는 상호 의미는 *t(Gt, Ct) 또는 t-어근(tD)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은 북서셈어 원시어 동사 어근을 정리한 표이다.

북서셈어 원시어 동사 어근
G fientiveG 상태DC
완료*qaṭal-a*kabid-a*qaṭṭil-a*ha-qṭil-a
미완료*ya-qṭul-u*yi-kbad-u*yV-qaṭṭil-u*yVsa-qṭil-u
분사*qāṭil-um*kabid-um*mu-qaṭṭil-um*musa-qṭil-um
GpNDpCp
완료*quṭVl-a*na-qṭal-a*quṭṭVl-a*hu-qṭVl-a
미완료*yu-qṭal-u*yin-qaṭil-u*yu-qVṭṭal-u*yusV-qṭal-u
분사*qaṭīl-um, *qaṭūl-um*na-qṭal-um 또는 *mun-qaṭil-um?*mu-qVṭṭal-um*musV-qṭal-um
GttDCt
완료*qtaṭVl-a?*ta-qaṭṭVl-a*sta-qṭVl-a?
미완료*yi-qtaṭVl-u*yVt-qaṭṭVl-u*yVsta-qṭVl-u
분사*mu-qtaṭVl-um*mut-qaṭṭVl-um*musta-qṭVl-um


3. 3. 아랍어와의 차이점

북서셈어군이 아랍어와 다른 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4]

4. 하위 분류

5. 영향

페니키아 문자는 인류 역사에서 근본적으로 중요한데, 그리스 문자, 이후의 라틴 문자, 아람어(정방형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아랍 문자 체계, 게르만족의 룬 문자, 그리고 궁극적으로 키릴 문자의 근원이자 조상이기 때문이다.[11] 기원전 8세기부터 아시리아 제국과 뒤이은 신 바빌로니아 제국 및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제국 아람어가 사용되면서, 아람어의 한 형태가 북서셈어 지역 전역으로 퍼져 나갔고, 점차 다른 북서셈어들을 멸종시켰다. 고대 유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아람어를 사용했고, 타나크의 일부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히브리어는 유대교의 전례 언어이자 학문의 언어로 보존되었고, 19세기에 부활하여 현대적 개량을 거쳐 이스라엘현대 히브리어가 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subgrouping of the Semitic languages https://www.academia[...] 2008
[2]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Chapter V https://books.google[...]
[3] 서적 Kurzgefasste vergleichende Grammatik der semitischen Sprachen, Elemente der Laut- und Formenlehre https://archive.org/[...] 1908
[4] 문서 Linguist List Central Semitic composite tree (with Aramaic and Canaanite grouped together in Northwest Semitic, and Arabic and Old South Arabian as sisters) and bibliography of sources for composite tree http://multitree.lin[...]
[5] 웹사이트 Semitic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4-06-02
[6] 논문 What is Aramaic?
[7] 서적 Genealogical Classification of Semitic de Gruyter
[8] 논문 The Language of the Taymanitic Inscriptions and its Classification https://www.academia[...]
[9] 서적 A Catalogue of Books, in all Branches of Literature, both Ancient & Modern ... on sale at E. Jeans's, bookseller ... Norwich https://books.google[...] J. Fletcher
[10] 서적 Early Northwest Semitic Serpent Spells in the Pyramid Text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1]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De Gruyter Mouton
[13]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Biblical Hebrew Vowels: Including a Concise Historical Morphology Brill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