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호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호권은 박해를 피해 다른 나라에서 비호를 구하고 이를 누릴 권리를 의미하며, 1948년 국제 연합의 세계 인권 선언 제14조에 명시되어 있다. 이 권리는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과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에 의해 뒷받침되며, 난민은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타당한 근거가 있어 자신의 출신 국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돌아가기를 원치 않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현대에는 각 국가마다 망명권과 난민에 대한 법적 지위와 정의가 다르며, 망명 신청이 거부될 경우 강제 송환 금지 원칙이 적용된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히브리인들이 종교적인 비호권을 인정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에 아지르권이 인정되었으나, 근대화 과정에서 점차 폐지되었다. 각국은 자국 법에 따라 비호권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 영국,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관련 법규와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호권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비호권 - 도피성
    도피성은 실수로 살인을 저지른 자가 피신하여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장소로, 성경에 나타나는 제도이며, 살인자가 재판 후 무죄 판결을 받으면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보호받는 속죄의 장소이다.
  • 이민법 - 영주권
    영주권은 외국인이 특정 국가에서 장기간 거주하고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적 지위로, 취득 조건과 권리는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거주 기간, 기술, 투자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시민과 유사한 권리를 누리나 일부 제한이 있고 거주 요건 등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 이민법 - 출입국관리
    출입국 관리는 국가의 안보, 경제 보호, 보건 등을 위해 여권, 비자 발급, 출입국 심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국경을 통제하는 행위이다.
  • 난민 -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의 날은 전쟁, 분쟁, 박해로 고향을 떠난 난민과 국내 실향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20일에 기념하며,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5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유엔난민기구(UNHCR)는 매년 캠페인을 통해 난민의 권리와 보호를 강조한다.
  • 난민 -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해 1951년 유엔에서 채택된 국제 조약으로, 난민의 정의, 체약국의 의무, 난민에 대한 대우 등을 규정하며, 1967년 의정서와 지역 협약 등을 통해 보완되었고 대한민국도 가입했으나 낮은 난민 인정률과 사회적 편견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비호권

2. 세계인권선언과 국제법

비호권은 1948년 국제 연합의 세계 인권 선언 제14조에 명시되어 있다.

:1. 모든 사람은 박해를 피해 다른 나라에서 비호를 구하고 이를 누릴 권리를 가진다.

:2. 이 권리는 비정치적인 범죄 또는 국제 연합의 목적과 원칙에 반하는 행위로 진정으로 발생하는 기소의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

:https://www.un.org/en/about-us/universal-declaration-of-human-rights 세계 인권 선언, 제14조

비호권은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3]과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에 의해 뒷받침된다.[4] 비호가 허용되기 전에, 망명 신청자는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라 난민으로 인정될 수 있는데, 이 협약은 난민을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타당한 근거가 있어 자신의 출신 국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돌아가기를 원치 않는 사람"으로 정의한다.[3]

2. 1. 세계인권선언 제14조

모든 사람은 박해를 피해 다른 나라에서 비호를 구하고 이를 누릴 권리를 가진다. 단, 비정치적인 범죄 또는 국제 연합의 목적과 원칙에 반하는 행위로 인해 기소되는 경우에는 이 권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비호권은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3]과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에 의해 뒷받침된다.[4] 망명 신청자는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라 난민으로 인정될 수 있는데, 이 협약은 난민을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타당한 근거가 있어 자신의 출신 국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돌아가기를 원치 않는 사람"으로 정의한다.[3]

2. 2.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3. 현대 정치적 망명

세계 인권 선언은 일반적으로 구속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지만,[5][6] 이 선언에 정의된 망명권은 대부분의 국가가 당사국인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서 언급하고 있다.[7] 현재 각 국가마다 망명권과 난민에 대한 법적 지위와 정의가 다르다.[8] 망명은 일반적으로 난민 지위의 임시적인 형태로 간주된다.[9] 망명 신청의 신빙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량은 일관된 현지 규칙으로 줄일 수 있다.[10]

망명 신청이 거부될 경우, 일반적으로 강제 송환 금지 원칙이 적용되며, 이는 망명 신청자를 "정당한 공포"로 박해받을 국가로 돌려보내는 것을 금지한다.[11] 이 관습 국제법 및 조약법 공법은 1951년 유엔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의 강제 송환 금지 명령의 원칙이자 기본 부분이다.[12]

판례는 비판 법학[13]입헌주의를 포함하여 망명권을 해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

망명권이 종료되면, 예를 들어 출신국의 상황이 바뀌어 더 이상 박해의 위험이 없을 경우, 강제 송환 금지 원칙에 따른 자발적 국외 이주[15] 또는 역사적으로 일부 경우에는 즉각적인 추방[16]이 뒤따를 수 있다.

네덜란드 정부가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헝가리, 발트 3국 출신의 노인 수백 명에게 망명을 허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이들은 오스트리아서독의 수용소에 머물렀다. (nieuwsreelnl)

3. 1. 강제송환 금지 원칙

3. 2. 판례와 법적 해석

4. 각국의 비호권

켄트 왕 에텔베르트는 600년경, 아지르권에 대한 잉글랜드 최초의 법률을 발포했다. 노르만 시대가 되자 아지르권은 두 종류로 나뉘어 모든 교회에 인정되는 하급의 것과, 왕의 칙허를 얻은 상급의 것이 설정되었다. 적어도 22개의 교회가 상급의 아지르권을 인정받았다. 이 22개의 교회에는 배틀 수도원, 비벌리, 콜체스터, 더럼, 헥섬, 노리치, 리폰, 웰스, 윈체스터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요크 대성당이 포함된다. 이러한 성역으로 도망친 자는 40일간 왕의 영장으로 체포되지 않을 권리를 얻었다.

아지르로서의 잉글랜드 교회는 관습법 아래에 있었다. 교회로 도망친 자는 고해를 하고 무기를 넘겨 도망친 교회의 책임자 또는 수도원장의 감독을 받았다. 이 성역에 머무는 40일 동안 죄인은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하나는 당국에 넘겨져 재판을 받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유죄를 인정하고 최단 거리로 "왕국 영토 밖으로" 망명하여, 왕의 허락 없이는 귀국하지 않는 것이었다. 후자를 선택한 자는 누구든 다시 돌아오면 법에 의해 처형되거나, 교회로부터 파문되었다. 두 가지 처벌이 모두 내려지기도 했다.

14세기경부터 아지르권을 폐지하라는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채무 회피를 위해 아지르권을 사용하는 자들이 나타나 문제가 되었다(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채무 불이행은 형사 사건으로 취급되었다). 헨리 8세는 아지르권에 대한 법을 개정하여 아지르권을 청구할 수 있는 범죄의 종류를 대폭 줄였다. 잉글랜드에서의 아지르권은 제임스 1세에 의해 1623년 완전히 철폐되었다.

4. 1. 유럽연합 (EU)

유럽 연합 회원국의 비호는 1951년 7월 28일 난민 지위에 관한 제네바 협약의 적용을 통해 반세기 이상 형성되었다.[17] 1990년대에는 솅겐 조약과 더블린 협약을 통해 공통 정책이 나타나 한 회원국에서 비호 신청이 거부된 신청자가 다른 회원국에 다시 신청하는 것을 방지했다. 이는 2003년 유로닥 및 더블린 규정의 시행과 2009년 10월 유럽 위원회의 두 가지 제안 채택으로 이어졌다.[17] 그러나 오늘날까지도 회원국은 비호 허가 및 조직에 대한 책임을 주로 맡고 있다. 전쟁 난민은 보충적 보호 조항과 임시 보호 지침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유럽 연합(EU+)은 110만 건 이상의 비호 신청을 받았으며, 난민 지위 또는 보충적 보호를 허가하는 비율은 43%였다.[18]
St. Georgenberg의 중세 경계 표지, 티롤

4. 2. 영국

19세기, 영국카를 마르크스를 포함한 사회주의 운동 구성원 등 다양한 박해받는 사람들에게 정치적 망명을 허용했다.[29] 그러나 20세기 초, 1845년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에 대한 폭탄 테러 시도와 시드니 스트리트 포위전으로 인해 정치적 망명이 제한되었다.[30]

켄트 왕 에텔베르트는 600년경, 아지르권에 대한 잉글랜드 최초의 법률을 발포했다. 노르만 시대가 되자 아지르권은 모든 교회에 인정되는 하급과 왕의 칙허를 얻은 상급으로 나뉘었다. 상급 아지르권을 인정받은 교회에는 배틀 수도원, 비벌리, 콜체스터, 더럼, 헥섬, 노리치, 리폰, 웰스, 윈체스터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요크 대성당 등이 있었다. 성역으로 도망친 자는 40일간 왕의 영장으로 체포되지 않을 권리를 얻었다.

아지르로서의 잉글랜드 교회는 관습법 아래에 있었다. 교회로 도망친 자는 고해를 하고 무기를 넘겨 도망친 교회의 책임자 또는 수도원장의 감독을 받았다. 40일 동안 죄인은 재판을 받거나, 유죄를 인정하고 "왕국 영토 밖으로" 망명하여 왕의 허락 없이는 귀국하지 않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후자를 선택한 자가 다시 돌아오면 처형되거나 파문되었다.

14세기경부터 채무 회피를 위해 아지르권을 사용하는 자들이 나타나면서 아지르권 폐지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헨리 8세는 아지르권을 청구할 수 있는 범죄의 종류를 대폭 줄였으며, 제임스 1세에 의해 1623년 완전히 철폐되었다.

4. 3. 미국

미국은 국제법과 연방법에 따라 개인의 망명 권리를 인정한다.[31]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 또는 정치적 견해로 인해 박해를 받거나 박해받을 두려움이 있는 망명 신청자를 심사한다.[31] 미국 대통령은 매년 법적으로 정의된 난민 수를 지정하며,[32] 이들은 확고한 재정착을 권고받아 미국으로 입국한다.[33] 미국은 망명 신청자에 대해 그러한 할당량을 시행하지 않으며, 매년 망명 허가 건수는 신청자 수와 망명 주장을 성공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33]

미국 법에 따르면, 망명 지위를 받기 위해서는 난민의 정의를 충족하고, 이미 미국 내에 있거나 입국 항에서 입국을 신청해야 한다.[31] 망명 신청에는 긍정적 망명과 방어적 망명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추방 절차 시작 여부에 따라 신청 절차가 달라진다.[34]

9.11 테러 이후, 미국은 미국 시민권 및 이민국 (USCIS), 이민세관집행국 (ICE), 그리고 세관국경보호국 (CFB)을 설립하여 망명 신청을 포함한 이민법의 각기 다른 측면을 처리하도록 했다.[3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다른 어떤 국가보다 더 많은 난민을 정착시켰다.[35] 1980년 난민법 통과 이후 310만 명 이상의 난민을 받아들였다.[35] 1990년대 대부분 동안 연간 10만 명 이상의 난민을 수용했지만, 21세기 첫 10년 동안에는 안보 문제로 인해 연간 약 5만 명으로 감소했다. 2001년에는 86,400명이 미국에서 망명을 요청했다.[36]

미국의 망명 및 난민 결정 절차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는데, 망명 결정 결과가 사건 본질보다는 심판관의 개성에 크게 의존한다는 난민 룰렛 게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2003년과 2007년 사이에 수용된 이라크 난민의 수가 매우 적었다는 점은 미국의 난민 절차에 대한 우려를 보여준다. 난민 및 망명 정책 옹호자들은 "인도주의적 접근 방식"에 기반한 시스템을 요구하며, 각 신청자의 고유한 이야기와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38]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2023년에는 478,885건의 망명 신청이 접수되었고, 31,630건의 망명 신청이 승인되었으며, 937,611건의 망명 신청이 계류 중이다.[39] 망명 허가율은 14.40%, 거부율은 15.67%였다.[40]

4. 4.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2조 2항은 정치적 이유로 망명을 요청하는 외국인에게 망명을 허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79년 베트남 국회 부의장인 호앙 반 호안이 중국으로부터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은 것을 마지막으로, 1980년 이후 실제로 외국인에게 정치적 망명을 허가한 사례는 없다. 중국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은 외국인은 모두 친공산주의 성향의 외국 정치 지도자들이었다.

5. 역사

고대 이집트인, 그리스인, 히브리인들은 종교적인 "비호권"을 인정하여 범죄 혐의자를 포함한 사람들을 심각한 처벌로부터 보호했다.[41] 이 원칙은 이후 기성 기독교 교회에 의해 채택되었고, 보호 자격을 얻는 방법과 어느 정도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상세히 규정하는 다양한 규칙이 개발되었다.[41]

511년 오를레앙 공의회는 클로비스 1세 앞에서, 교회나 교회 재산, 또는 주교의 집에 피신하는 모든 사람에게 비호권을 부여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이 보호는 살인자, 도둑간통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아지르에 있는 동안에는 보호를 받지만, 일단 밖으로 나가면 보호를 받을 수 없다. 범죄를 저지른 자에게는 쫓는 자에게 붙잡혀 처벌을 받거나, 아지르로 도망쳐 스스로 유폐 생활을 하는 선택지가 있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아지르권을 얻을 수 있는 기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히브리인에게 아지르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약성서의 『민수기』나 『신명기』에는 도피성에 대한 규정이 있어, 과실로 살인을 저지른 자는 이스라엘 내에 6개 지정된 도피성에 피신할 수 있었으며, 이 성 안에 있는 동안은 복수를 면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재판 전에 피해자의 연고자가 가해자에게 복수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과실이 입증된 경우에도 가해자는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도피성에 머물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었다(『민수기』 35장). 또한 『열왕기』에는 성막이 아지르의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독교 이후에도 아지르는 유럽 각지에 남아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4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교회에 아지르권(영어: Right of asylum)이 인정되었다. 프랑스 등 서유럽 각국에도 아지르권을 인정하는 지역이 많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왕권이 강화됨에 따라 아지르권은 폐지되었다.

에도 시대이혼할 권리가 없던 여성이 도망쳐 들어간 연절사도 아지르 중 하나이다.

5. 1. 고대와 중세의 아지르

기독교 교회는 비호권의 원칙을 채택하여 보호 자격과 범위를 규정하는 다양한 규칙을 개발했다. 511년 오를레앙 공의회는 교회, 교회 재산, 주교의 집에 피신하는 모든 사람에게 비호권을 부여했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히브리인에게 아지르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약성서의 『민수기』나 『신명기』에는 도피성에 대한 규정이 있어, 과실로 살인을 저지른 자는 이스라엘 내에 6개 지정된 도피성에 피신할 수 있었으며, 이 성 안에 있는 동안은 복수를 면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재판 전에 피해자의 연고자가 가해자에게 복수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과실이 입증된 경우에도 가해자는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도피성에 머물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었다(『민수기』 35장). 또한 『열왕기』에는 성막이 아지르의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본의 경우, 중세 시대 에도 시대의 연절사(駆込寺)도 여성들을 위한 아지르의 역할을 수행했다.

일반적으로, 아지르에 있는 동안에는 보호를 받지만, 일단 밖으로 나가면 보호를 받을 수 없다. 범죄를 저지른 자에게는 쫓는 자에게 붙잡혀 처벌을 받거나, 아지르로 도망쳐 스스로 유폐 생활을 하는 선택지가 있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아지르권을 얻을 수 있는 기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기독교 이후에도 아지르는 유럽 각지에 남아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4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교회에 아지르권(영어: Right of asylum)이 인정되었다. 프랑스 등 서유럽 각국에도 아지르권을 인정하는 지역이 많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왕권이 강화됨에 따라 아지르권은 폐지되었다.

켄트 왕 에텔베르트는 600년경, 아지르권에 대한 잉글랜드 최초의 법률을 발포했다. 노르만 시대가 되자 아지르권은 두 종류로 나뉘어 모든 교회에 인정되는 하급의 것과, 왕의 칙허를 얻은 상급의 것이 설정되었다. 적어도 22개의 교회가 상급의 아지르권을 인정받았다. 이 22개의 교회에는 배틀 수도원, 비벌리, 콜체스터, 더럼, 헥섬, 노리치, 리폰, 웰스, 윈체스터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요크 대성당이 포함된다. 이러한 성역으로 도망친 자는 40일간 왕의 영장으로 체포되지 않을 권리를 얻었다.

아지르로서의 잉글랜드 교회는 관습법 아래에 있었다. 교회로 도망친 자는 고해를 하고 무기를 넘겨 도망친 교회의 책임자 또는 수도원장의 감독을 받았다. 이 성역에 머무는 40일 동안 죄인은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하나는 당국에 넘겨져 재판을 받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유죄를 인정하고 최단 거리로 "왕국 영토 밖으로" 망명하여, 왕의 허락 없이는 귀국하지 않는 것이었다. 후자를 선택한 자는 누구든 다시 돌아오면 법에 의해 처형되거나, 교회로부터 파문되었다. 두 가지 처벌이 모두 내려지기도 했다.

14세기경부터 아지르권을 폐지하라는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채무 회피를 위해 아지르권을 사용하는 자들이 나타나 문제가 되었다(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채무 불이행은 형사 사건으로 취급되었다). 헨리 8세는 아지르권에 대한 법을 개정하여 아지르권을 청구할 수 있는 범죄의 종류를 대폭 줄였다. 잉글랜드에서의 아지르권은 제임스 1세에 의해 1623년 완전히 철폐되었다.

5. 2. 중세 잉글랜드

켄트의 애설버트 왕은 600년경 성역에 관한 최초의 앵글로색슨 법을 선포했다.[42] 노르만 시대에는 모든 교회에 하급 성역권이, 왕실 헌장에 의해 인가된 교회에는 더 넓은 성역권이 부여되었다. 최소 22개의 교회가 이러한 더 넓은 성역에 대한 헌장을 가지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배틀 수도원, 베벌리, 콜체스터, 잉글랜드 더럼, 헥섬, 노리치, 리폰, 웰스 대성당, 윈체스터 대성당, 웨스트민스터 사원, 요크 민스터가 포함되었다.

때때로 범죄자는 보호를 받기 위해 예배당 자체에 도달하거나, 특정한 종을 울리거나, 특정한 고리나 문 노커를 잡거나, 프리드-스툴" 의자에 앉아야 했다. 교회 성역은 관습법에 의해 규제되었다. 망명 신청자는 죄를 고백하고 무기를 넘긴 후, 교회 또는 수도원의 감독을 받으며 40일의 유예 기간을 가졌다.[42] 이 기간 동안 망명 신청자는 세속 당국에 항복하여 재판을 받거나, 왕국을 떠나는 선택을 해야 했다. 왕국을 떠나기로 선택한 경우, 공개적인 의식을 통해 소유물을 교회와 왕실에 넘기고 지정된 항구 도시로 맨발과 맨머리로 나무 십자가를 들고 떠나야 했다.

14세기에는 망명 규칙이 강화되어 도망자들은 교회 밖에서 소변 및 배변이 허용되었고, 굶어 죽도록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되었다.[43] 그러나 성역의 권리는 종종 무시되기도 했다.[43] 장미 전쟁 기간에는 정치적 이유로 성역을 찾는 사례가 발생했는데, 엘리자베스 우드빌 여왕이 대표적인 예이다.[44]

헨리 8세는 망명 규칙을 변경하여 망명을 주장할 수 있는 범죄 유형을 제한했으며, 중세의 망명 제도는 제임스 1세에 의해 1623년 완전히 폐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sylum 2012-08-17
[2] 문서 asylum
[3] 간행물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UN, 1951 https://www.unhcr.or[...]
[4] 웹사이트 Convention and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1967 http://www.unhcr.org[...]
[5]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Context: Law, Politics, Mor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 간행물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aw https://cdn2.sph.har[...]
[7] 간행물 States Parties to the 1951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and the 1967 Protocol,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https://www.unhcr.or[...]
[8] 논문 Unveiling the Canvas Ceiling : A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of Refugee Employment and Workforce Integration https://onlinelibrar[...] 2020-04
[9] 논문 Refuge or asylum-a philosophical perspective. https://heinonline.o[...] 1988
[10] 논문 Who Is a Refugee? Uncertainty and Discretion in Asylum Decisions https://academic.oup[...] 2020
[11] 논문 A"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 https://heinonline.o[...] 1988
[12] 문서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13] 서적 Migration, Recognition and Critical Theo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14] 논문 Courts, the new constitutionalism and immigrant rights: The case of the French Conseil Constitutionnel https://ejpr.onlinel[...] 2004
[15] 논문 Limitations of the Customary International Principle of Non-Refoulement on Non-Party States: Thailand Repatriates the Remaining Hmong-Lao Regardless of International Norms. https://heinonline.o[...] 2014
[16] 간행물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asylum policies in Europe, 1990-2000. https://www.temaasyl[...] 2003
[17] 간행물 A single asylum procedure and equitable to establish a uniform status valid throughout the European Union: the final building blocks of international protection are asked http://europa.eu/rap[...] Brussels 2009-10-21
[18] 간행물 EU received over 1.1 million asylum applications in 2023, European Union Agency for Asylum, February 2024 https://euaa.europa.[...] European Union Agency for Asylum 2024-02
[19] 논문 Helène Lambert, Francesco Messineo, and Paul Tiedemann, COMPARATIVE PERSPECTIVES OF CONSTITUTIONAL ASYLUM IN FRANCE, ITALY, AND GERMANY: REQUIESCAT IN PACE?, Refugee Survey Quarterly, Vol. 27, No. 3 2008-09-16
[20] Wikisource French Constitution of 1946
[21] Wikisource Constitution of the Fifth French Republic (original text)
[22] 웹사이트 Code de l'entrée et du séjour des étrangers et du droit d'asile. http://www.legifranc[...] Legifrance 2013-07-10
[23] 웹사이트 Authority delegated to OFPRA by art. L. 722-1 of Code de l'entrée et du séjour des étrangers et du droit d'asile, J.O., 4 December 2009 http://www.legifranc[...] Legifrance.gouv.fr
[24] 웹사이트 ofpra.gouv.fr http://www.ofpra.gou[...]
[25] 뉴스 Asile politique: la France ajoute cinq Etats à sa liste de pays «sûrs» http://www.lefigaro.[...] Le Figaro 2006-04-27
[26] 뉴스 La porte étroite de l'asile politique Le Figaro 2007-02-13
[27] 뉴스 How the US and the UK accept far fewer Afghan refugees than other countries https://www.newstate[...] New Statesman 2021-12-06
[28] 웹사이트 No nosūtīšanas uz Ukrainu bēgošs Krievijas pilsonis tiesas ceļā izcīna patvērumu Latvijā https://www.diena.lv[...] Diena 2023-04-23
[29] 서적 Revolutionary Refugees: German Socialism in Britain, 1840-1860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6-01-01
[30] 서적 Jewish London: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Breedon 2003-10-13
[31] 웹사이트 Refugees and Asylum https://www.uscis.go[...] 2021-12-04
[32] 웹사이트 Memorandum for the Secretary of State on Presidential Determination on Refugee Admissions for Fiscal Year 2022 https://www.whitehou[...] 2021-10-08
[33] 웹사이트 U.S. Annual Refugee Resettlement Ceilings and Number of Refugees Admitted, 1980-Present https://www.migratio[...] 2021-12-18
[34] 웹사이트 Obtaining Asylum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uscis.go[...] 2021-12-18
[35] 웹사이트 U.S. Refugee Admissions Program https://www.state.go[...] 2021-12-06
[36] 웹사이트 Asylum Seekers (most recent) by country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com 2012-08-17
[37] 웹사이트 Refugee Admissions https://www.state.go[...] 2021-12-18
[38] 간행물 Refugee Advocacy, Traumatic Representations and Political Disenchantment https://www.jstor.or[...] 2008
[39] 문서 Executive Office For Immigration Review, Adjuction Statistics, Total Asylum Applications, U.S. Department of Justice https://www.justice.[...]
[40] 문서 Aylum Decision Rates, Adjucation Statistics, Executive Office for Immigration Review, U.S. Department of Justice https://www.justice.[...]
[4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anctuary http://www.newadvent[...]
[42] 문서 Historia Regum Britanniae
[43] 서적 The Time Traveller's guide to Medieval Englan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UK 2022-04-02
[44]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